KR102308103B1 - 일용근로자 일정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일용근로자 일정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103B1
KR102308103B1 KR1020200033293A KR20200033293A KR102308103B1 KR 102308103 B1 KR102308103 B1 KR 102308103B1 KR 1020200033293 A KR1020200033293 A KR 1020200033293A KR 20200033293 A KR20200033293 A KR 20200033293A KR 102308103 B1 KR102308103 B1 KR 102308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employer
schedule
daily
grap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6997A (ko
Inventor
한용완
Original Assignee
한용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용완 filed Critical 한용완
Priority to KR1020200033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103B1/ko
Publication of KR20210116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용근로자 일정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일용근로자들 각각의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근로자 애플리케이션과, 고용주들 각각의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고용주 애플리케이션, 및 근로자 애플리케이션들 및 고용주 애플리케이션들과 연동하여 일용직들에게는 피고용을 위한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용주들에게는 고용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용근로자 일정 관리 시스템{Daily working schedul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용근로자들과 고용주들을 위한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78123호에는 실시간 일용직 중개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구직자 및 구인업체를 인증하고 중개를 행하여 안전하고 분쟁의 우려가 적은 실시간 일용직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베이스부와 서버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부에는 구인업체 정보와 구직자 정보 및 계약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서버는 구인업체 단말기로부터 업종, 지역, 요청 파트를 선택받아 구인의뢰정보를 수신하고, 구인의뢰정보에 대응하는 구직자를 검색하여 매칭하고, 매칭된 구직자들 중에서 등급이 높은 소정 수의 구직자에게 구인공고를 제공하며, 구직자 단말기로부터 확정 신청이 오면 확정 처리를 하고 구인업체 단말기로 확정 알림을 행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78123호 (2016년 11월 29일 공고)
본 발명은 일용근로자들로 하여금 일정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자신이 신뢰하는 고용주들만이 자신의 일정을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원하는 일자에 고용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일용근로자 일정 관리 시스템은 일용근로자들 각각의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근로자 애플리케이션, 고용주들 각각의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고용주 애플리케이션, 및 근로자 애플리케이션들 및 고용주 애플리케이션들과 연동하여 일용직들에게는 피고용을 위한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용주들에게는 고용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근로자 애플리케이션은 일용근로자의 일자별 일정 설정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일용근로자에게 표시한 후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일용근로자의 일자별 일정 정보를 일용근로자의 명령에 따라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며, 각각의 고용주 애플리케이션은 고용주로부터 입력된 근로자 ID 또는 고용주에 의해 기등록된 근로자 ID들 중에서 선택된 근로자 ID를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일용근로자의 일자별 일정 정보를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하여 고용주에게 일용근로자의 근로 일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는 근로자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수신된 일용근로자들의 일자별 일정 정보를 각각의 해당 근로자 ID에 매핑시켜 관리하는 일정 관리부, 및 고용주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일정 조회를 위한 근로자 ID가 수신되면 그 근로자 ID에 매핑된 일용근로자의 일자별 일정 정보를 근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고용주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일정 동기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용주들은 이미 알고 있거나 소개받은 일용근로자들의 일정을 미리 파악하여 고용할 수 있는 바, 이전과 같이 일용근로자들에게 일일이 연락을 취하여 그들의 일정을 확인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일용근로자들은 자신의 일정을 손쉽게 설정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고용주들에게만 근로자 ID를 제공하여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용근로자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고용주들에게는 자신의 일정을 직접 확정지을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일용직 고용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용근로자 일정 관리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5는 근로자 앱의 그래픽 인터페이스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고용주 앱의 그래픽 인터페이스 예시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용근로자 일정 관리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용근로자 단말(100)은 일용근로자가 사용하는 통신 가능한 모바일 단말이며, 고용주 단말(200)은 고용주가 사용하는 통신 가능한 모바일 단말이다. 일용근로자 단말(100)과 고용주 단말(200)은 모두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일용근로자 단말(100)에는 근로자 애플리케이션(110)이 설치되어 실행되며, 고용주 단말(200)에는 고용주 애플리케이션(210)이 설치되어 실행된다. 근로자 앱(110)은 일용근로자에게 피고용을 위한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고용주 앱(210)은 고용주에게 일용근로자의 일정 확인을 통한 고용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근로자 앱(110)과 고용주 앱(210)은 사실상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 가입시 근로자 회원으로 가입하느냐 아니면 고용주 회원으로 가입하느냐에 따라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한다.
근로자 앱(110)은 일용근로자로 하여금 일자별 일정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일용근로자에게 제공하며,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일용근로자의 일자별 일정 정보를 일용근로자의 명령에 따라 서비스 서버(300)로 전달한다. 이에 서비스 서버(300)는 일용근로자의 일자별 일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고용주 앱(210)으로부터 요청이 있을 경우에 고용주 앱(210)으로 제공하여 고용주가 일용근로자의 일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고용주 앱(210)은 고용주로부터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근로자 ID가 입력되거나 고용주에 의해 기등록된 근로자 ID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 근로자 ID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달하면서 해당 근로자의 일자별 일정 정보를 요청하며, 그에 따라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근로자의 일정 정보를 그래픽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하여 고용주에게 일용근로자의 근로 일정을 제공한다.
서비스 서버(30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버로 구성되는 서버 시스템으로서, 일용근로자들의 근로자 앱(110)들 및 고용주들의 고용주 앱(210)들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여 일용근로자들에게는 피고용을 위한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용주들에게는 일용근로자들의 일정 확인을 통한 고용 편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300)는 네트워크 통신부(310)와 데이터베이스(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부(310)는 모바일 단말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TCP/IP 등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데이터베이스(320)에는 근로자 DB(321)와 고용주 DB(322)가 포함될 수 있다. 근로자 DB(321)에는 일용근로자들의 회원 가입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되며, 고용주 DB에는 고용주들의 회원 가입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된다. 그리고 회원 가입 정보에는 회원 ID(일용근로자 ID 또는 고용주 ID)와 이름 및 전화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33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에 속한 구성들은 모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 가능한 기능적 구성들이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회원 관리부(331)와 일정 관리부(332)와 일정 동기화부(333)와 관계 관리부(334) 및 가용 근로자 조회부(335)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331)는 근로자 앱(110)들과 고용주 앱(210)들을 통해 회원 가입된 일용근로자들 및 고용주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일정 관리부(332)는 각각의 근로자 앱(110)으로부터 일용근로자의 일자별 일정 정보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일자별 일정 정보를 해당 근로자 ID에 매핑시켜 관리한다. 즉, 일정 관리부(332)는 수신된 일정 정보를 근로자 DB(321)에 저장된 해당 근로자 ID에 매핑시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동기화부(333)는 고용주 앱(210)으로부터 근로자 ID가 수신되면 그 근로자 ID에 매핑된 일정 정보를 근로자 DB(321)에서 검색하여 고용주 앱(210)으로 회신한다. 이에 따라, 고용주 앱(210)은 고용주가 조회를 원하는 일용근로자의 일정 정보를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용주에게 제공하여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근로자 앱(110)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일정 설정을 위한 복수의 스케줄 객체(혹은 색상 객체)(111)와 그래픽 캘린더(112)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케줄 객체(111)는 근로자의 터치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데, 어느 하나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면 나머지는 모두 비활성화 상태가 된다. 또한, 각각의 스케줄 객체(111)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며, 색상별로 서로 다른 일정 의미가 부여된다. 즉, 스케줄 객체(111)들은 서로 다른 일정 의미를 갖는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빨간색은 확정(근로 확정), 주황색은 타협중(근로 타협중), 파란색은 개인일정, 흰색은 일정 없음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그래픽 캘린더(112)는 복수의 일자 영역(112-1)을 포함한다. 근로자 앱(110)은 현재 월에 대한 그래픽 캘린더()를 디폴트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일용근로자가 다른 월을 선택하면 해당 월에 대한 그래픽 캘린더로 변경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면부호 113은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일용근로자의 일자별 일정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와 동기화시키기 위한 버튼 객체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114는 일용근로자로 하여금 근로자 앱(110)의 기능들을 설정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버튼 객체이다.
일용근로자는 도 3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의 일정을 용이하게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일용근로자는 ‘확정’스케줄 객체를 선택하여 활성화시킨다(①). 이에 따라, ‘확정’스케줄 객체는 도 4의 (a)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나머지 스케줄 객체들과 육안으로 구별되도록 다르게 표시된다. ‘확정’스케줄 객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일용근로자가 일자 영역들을 터치 지정하면, 근로자 앱(110)은 지정된 각각의 일자 영역을 활성화 상태의 스케줄 객체와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시킨다(②). 다음으로, 일용근로자가 ‘타협중’스케줄 객체를 선택하면, 근로자 앱(110)은 도 4의 (b)와 같이 ‘타협중’스케줄 객체를 활성화시키며 ‘확정’스케줄 객체를 비활성화시킨다(③). ‘타협중’스케줄 객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일용근로자는 일자 영역들을 터치 지정하게 되고, 그에 따라 근로자 앱(110)은 지정된 각각의 일자 영역을 활성화 상태의 스케줄 객체와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시킨다(④). 이후, 일용근로자가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일정동기화’버튼을 터치하면, 근로자 앱(110)은 스케줄 객체들과 그래픽 캘린더에 기반하여 일용근로자에 의해 설정된 일자별 일정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여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⑤).
또다른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시간대별로 일정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과정은 도 4와 동일하되, 일용근로자가 일자를 터치 선택하면 시간대별로 일정을 설정할 수 있게 하는 타임스케줄 인터페이스(114)를 팝업 제공한다는 점에서 도 4와 차이가 있다. 근로자 앱(110)은 일용근로자의 일자 터치 선택에 따라 타임스케줄 인터페이스(114)를 팝업 제공하고(①), 타임스케줄 인터페이스(114)가 표시된 상태에서 일용근로자가 확정 객체(111)를 터치 선택하면 활성화시키며(②), 타임스케줄 인터페이스(114) 상에서 근로자에 의해 시간대 영역이 터치 지정되면 그 지정시에 활성화 상태의 스케줄 객체와 동일한 색상으로 시간대 영역을 표시하며(③), 타임스케줄 인터페이스(114)의 전체 시간대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모든 색상을 그래픽 캘린더의 해당 일자 영역에 모두 표시 반영한다. 그리고 일용근로자가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일정동기화’버튼을 터치하면, 근로자 앱(110)은 스케줄 객체들과 그래픽 캘린더에 기반하여 일용근로자에 의해 설정된 일정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여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④). 한편, 도 5의 (a)의 예에서는 시간대를 오전, 오후, 저녁으로 구분하였으나, 이와 달리 1시간 단위 등으로 구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타임스케줄 인터페이스를 통한 일정 설정에 따라, 도 5의 (b)와 같이 3월 9일 영역에는 빨간색과 흰색이 표시된다. 이를 통해, 3월 9일 오전과 오후에는 일정이 확정되었으며 저녁에는 일정이 없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도 6은 고용주 앱(210)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부호 211은 고용주로 하여금 고용주 앱(210)의 기능들을 설정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버튼 객체이다. 도면부호 212는 일용근로자의 일정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 객체이다. 근로자 앱(110)은 고용주가 조회 객체(212)를 선택하면 근로자 ID를 직접 입력토록 하거나 고용주에 의해 기등록된 일용근로자들의 ID 리스트를 제공하여 어느 하나의 근로자 ID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일용근로자의 일정을 조회할 수 있게 한다. 참고로, 근로자 ID 등록은 관리 객체(211)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근로자 ID는 고용주 앱(210) 내에서만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고, 서비스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20)에도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그래픽 캘린더(213)는 고용주가 원하는 일용근로자의 일정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며, 연락 객체(214)들은 일정 조회된 일용근로자와의 연락을 위한 그래픽 객체들이다.
일정 조회에 대한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고용주가 “kdhong”라는 근로자 ID를 입력하여 일정을 조회하면, 그래픽 캘린더(213)에는 해당 일용근로자인 “홍길동”의 일자별 일정 정보가 표시된다. 즉, 고용주 앱(210)은 그래픽 캘린더(213) 상에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홍길동”의 일자별 일정 정보를 반영하여 “홍길동”의 그래픽 캘린더(112)와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고용주는 “홍길동”이라는 일용근로자가 3월 9, 10, 11일에는 이미 근로계약이 되어 있으며, 12, 13일에는 다른 고용주와 근로계약이 타협중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원하는 일정이 비워져 있다면 고용주는 연락 객체(214)를 통해 해당 일용근로자에게 전화를 걸거나 문자를 보내거나 카카오톡 등의 메신저를 통해 메시지를 보내서 일정을 잡을 수 있다. 한편, 일정 조회에 대한 다른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시간대별로 일정이 설정될 경우의 예시 화면으로서, 고용주가 일자를 선택하면 해당 일자의 시간대별 구체 일정을 나타내는 창이 팝업될 수 있다(①, ②).
상술한 바에 따르면, 고용주는 자신과 함께 일해왔던 일용근로자들에게 일일이 연락을 취하지 않고서도 사전에 그들로부터 ID를 제공받아 그들의 일정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고용주는 고용을 원하는 일용근로자들의 일정을 미리 파악한 후에 고용 가능한 일용근로자에게만 연락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관계 관리부(334)는 고용주 앱(210)으로부터 등록 요청된 근로자 ID를 고용주 ID에 매핑시켜 고용주 DB(322)에 등록 관리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근로자 ID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근로자 ID가 매핑되어 관리될 수 있다. 즉, 고용주별로 하나 이상의 근로자 회원 정보가 포함된 근로자 리스트가 관리될 수 있다. 이때, 관계 관리부(334)는 일용근로자의 근로 유형에 따라 그룹화하여 그룹별로 근로자 리스트를 별도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테리어 작업자, 건설 작업자, 청소도우미, 아이돌보미, 음식점 알바, 보조출연자 등과 같이 근로 유형별로 근로자 리스트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고용주 앱(210)에서는 일용근로자 조회시에 근로 유형별로 조회할 수 있다. 그리고 일용근로자는 회원 가입시 본인의 근로 유형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추가로, 관계 관리부(334)는 근로자 앱(110)으로부터 차단 요청된 고용주 ID를 근로자 ID에 매핑시켜 근로자 DB(321)에서 차단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즉, 일용근로자는 근로자 앱(110)을 통해 차단을 원하는 고용주 ID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용근로자는 도 3에 예시된 그래픽 인터페이스에서 관리 객체(114)를 선택한 후에 근로자 ID에 매핑된 모든 고용주 ID를 조회하며, 조회된 고용주 ID들 중에서 차단하고자 하는 고용주 ID를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근로자 앱(110)은 특정된 고용주 ID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달하여 일용근로자의 일정이 해당 고용주에게 공유되지 않도록 차단을 요청한다. 이에 관계 관리부(334)는 근로자 DB(321)에 저장된 해당 근로자 ID에 차단 요청된 고용주 ID를 매핑시켜 차단 상태로 관리한다.
일정 동기화부(333)는 고용주 앱(210)으로부터 수신된 일정 조회를 위한 근로자 ID가 고용주 DB(322) 내 고용주 ID에 매핑 등록되어 있다 하더라도 근로자 DB(321) 내에 고용주 ID가 근로자 ID에 차단 상태로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그 확인 결과 차단 상태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근로자 ID에 매핑된 일용근로자의 일자별 일정 정보를 고용주 앱(210)으로 제공한다. 이는 일용근로자로 하여금 더이상 함께 일하기를 원하지 않는 고용주에게 자신의 일정 정보가 공유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후에 차단 해제도 가능하다. 그리고 고용주 역시 자신이 등록한 근로자 ID를 차단하거나 삭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예시된 그래픽 인터페이스에서 관리 객체(114)를 선택한 후에 고용주 ID에 매핑된 모든 근로자 ID를 조회하며, 조회된 근로자 ID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특정하여 차단 또는 삭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일용근로자는 근로자 앱(110)을 통해 자신의 근로자 ID에 매핑되어 있는 고용주 ID들 중에서 선호하는 고용주 ID를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다. 이 역시, 도 3에 예시된 그래픽 인터페이스에서 관리 객체(114)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서비스 서버(300)의 관계 관리부(334)는 근로자 ID에 매핑된 해당 고용주 ID를 선호 고용주 ID로 지정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일정 동기화부(333)는 고용주 앱(210)으로부터 일정 조회를 위해 수신된 근로자 ID로 일정 정보를 검색한 후에 그 검색된 일정 정보를 고용주 앱(210)으로 제공하되, 해당 고용주가 조회 대상 근로자의 선호 고용주라는 정보를 고용주 앱(210)으로 함께 제공한다.
이 경우, 고용주 앱(210)은 도 9와 같은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고용주에게 제공한다. 도 6과 달리, 고용주 앱(210)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확정 객체(215)와 동기화 객체(216)를 더 포함한다. 이들은 선호 고용주로 하여금 일용근로자의 일정을 확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일용근로자는 선호 고용주에 한하여 자신의 빈 일정을 확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선호 고용주와는 언제든 함께 일을 할 수 있다는 신뢰에 기반한 것이다. 이에 대한 사용 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고용주는 도 10의 (a)에 도시된 그래픽 캘린더 상에서 자신이 고용을 희망하는 일자가 비워있음을 확인한 후에 확정 객체(214)를 선택하여 활성화시킨다(①). 그 다음 일용근로자는 그래픽 캘린더의 일자 영역들 중에서 일정이 없음을 나타내는 색상이 표시된 일자 영역들을 터치 지정하며, 이에 고용주 앱(210)은 지정된 각각의 일자 영역을 도 10의 (b)에서와 같이 확정 객체와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시킨다(②). 이후, 고용주가 ‘동기화’버튼을 터치하면, 고용주 앱(210)은 선호 고용주에 의해 지정된 확정 일정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여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③).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300)의 일정 관리부(332)는 고용주 앱(210)으로부터 수신된 확정 일정 정보를 가지고 근로자 DB(321)에 저장된 해당 일용근로자의 일정 정보를 갱신하며, 일정 동기화부(333)는 고용주 앱(210)으로부터 수신된 확정 일정 정보를 해당 근로자 앱(110)으로 전달한다. 이때, 일정 동기화부(333)는 일용근로자의 일정을 확정한 선호고용주의 정보를 확정 일정 정보와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즉, 일정 동기화부(333)는 고용주 DB(322)에서 선호고용주 정보를 검색하여 고용주 앱(210)으로부터 수신된 확정 일정 정보와 함께 해당 근로자 앱(1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근로자 앱(110)은 확정 일정 정보를 수신하여 그래픽 캘린더에 반영함으로써 도 10의 (b)에 도시된 그래픽 캘린더와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추가로 선호고용주의 정보를 그래픽 인터페이스 상에 함께 표시함으로써 일용근로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서 확정 객체(214)의 색상은 일용근로자용 그래픽 인터페이스 상의 확정 객체(111)와 동일한 색상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선호근로자용 확정 객체(214)의 색상은 일용근로자용 확정 객체(111)의 색상과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근로자용 확정 객체(214)의 색상은 초록색이다. 이 경우, 일용근로자의 그래픽 캘린더 상에서 3월 16일과 3월 17일은 초록색으로 표시되는 바, 선호근로자가 자신의 일정을 확정하였음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1은 일용근로자의 일정을 조회한 고용주 앱의 또다른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고용주로 하여금 일용근로자의 일정을 조회한 후에 일용근로자를 고용하기 원하는 일자를 직접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도록 하되, 일용근로자의 수락(동의) 하에서만 일정이 확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용주 앱(210)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이에 대한 예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일용근로자가 도 12의 (a)에서와 같이 ‘일자선택’객체를 선택한 다음에 고용을 원하는 일자 영역을 터치 지정하면, 고용주 앱(210)은 지정된 일자 영역을 소정의 색상으로 표시시킨다. 이때, 색상은 고용주가 일용근로자에게 고용을 희망한다는 의미가 부여된 색상으로서, 보라색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일용근로자가 ‘일감주기’객체를 선택하면, 고용주 앱(210)은 일정 제안 정보(보라색 일정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여 해당 근로자 앱(110)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서비스 서버(300)의 일정 동기화부(333)는 고용주 앱(210)으로부터 수신된 일정 제안 정보를 해당 근로자 앱(110)으로 전달한다. 이때, 일정 동기화부(333)는 고용주의 정보를 일정 제안 정보와 함께 전달할 수 있다. 근로자 앱(110)은 일정 제안 정보를 수신하여 그래픽 캘린더에 반영하여 도 12의 (a)와 동일해지도록 표시하며, 고용주 정보를 그래픽 인터페이스 상에 함께 표시함으로써 일용근로자가 고용주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일용근로자가 확정 객체를 선택하고 보라색 영역들을 터치 선택한 후 동기화 버튼을 선택하면, 보라색 영역들은 빨간색으로 변경되고 변경된 일정 정보가 서비스 서버(30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고용주 앱(210)의 그래픽 캘린더는 도 12의 (b)와 같이 변경된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가용 근로자 조회부(335)는 고용주로 하여금 근로자 ID가 아닌 일자 지정을 통해 그 지정된 일자에 고용 가능한 근로자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근로자 앱(110)은 고용주로 하여금 그래픽 캘린더 상에서 고용을 희망하는 하나 이상의 일자 영역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고용주에 의해 선택된 일자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여 가용 근로자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근로자 앱(110)으로부터 가용 근로자 조회 요청이 있으면, 가용 근로자 조회부(335)는 고용주 DB(322)에서 고용주 ID에 매핑된 근로자 ID들을 검색하며, 검색된 근로자 ID별로 근로자 DB(321)에 매핑 저장된 일정 정보에 근거하여 고용주에 의해 선택된 일자에 고용 가능한 일용근로자들을 체크한다. 그리고 체크를 통해 확인된 고용 가능한 일용근로자 정보들로 구성된 근로자 리스트를 생성하여 고용주 앱(210)으로 제공한다. 이에 고용주 앱(210)은 근로자 리스트를 화면 표시하여 고용주로 하여금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일용근로자 단말 110 : 근로자 앱
200 : 고용주 단말 210 : 고용주 앱
300 : 서비스 서버

Claims (5)

  1. 일용근로자들 각각의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어 일용근로자의 일자별 일정 설정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일용근로자에게 표시한 후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일용근로자의 일자별 일정 정보를 일용근로자의 명령에 따라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근로자 애플리케이션;
    고용주들 각각의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어 고용주로부터 입력된 근로자 ID 또는 고용주에 의해 기등록된 근로자 ID들 중에서 선택된 근로자 ID를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일용근로자의 일자별 일정 정보를 그래픽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하여 고용주에게 일용근로자의 근로 일정을 제공하는 고용주 애플리케이션; 및
    근로자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수신된 일용근로자들의 일자별 일정 정보를 각각의 해당 근로자 ID에 매핑시켜 관리하는 일정 관리부, 고용주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일정 조회를 위한 근로자 ID가 수신되면 그 근로자 ID에 매핑된 일용근로자의 일자별 일정 정보를 근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고용주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일정 동기화부, 및 근로자 ID에 매핑된 고용주 ID들 중에서 근로자에 의해 선호 고용주로 선택된 고용주 ID를 선호 고용주 ID로 관리하는 관계 관리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되,
    일정 설정용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근로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되 어느 하나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면 나머지는 모두 비활성화 상태가 되며, 각각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되 색상별 서로 다른 일정 의미가 부여된 복수의 스케줄 객체; 및
    터치 지정 가능한 복수의 일자 영역들을 포함하며, 근로자에 의해 일자 영역이 지정되면 그 지정된 일자 영역이 활성화 상태의 스케줄 객체와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되는 그래픽 캘린더;를 포함하고,
    근로자 애플리케이션은 스케줄 객체들과 그래픽 캘린더에 기반하여 근로자에 의해 설정된 일자별 일정 정보를 근로자의 동기화 명령에 따라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며,
    고용주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일용근로자의 일자별 일정 정보에 따라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그래픽 캘린더의 일자 영역마다 해당 일정을 의미하는 색상을 표시하여 고용주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캘린더를 해당 일용근로자의 그래픽 캘린더와 동기화시키고, 고용주가 관계 관리부에 의해 일용근로자에 대한 선호 고용주로 관리되는 경우에 한하여 그래픽 캘린더의 일자 영역들 중에서 일정이 없음을 나타내는 색상이 표시된 일자 영역이 선호 고용주에 의해 지정되면 그 지정된 일자 영역을 일정이 채워졌음을 나타내는 색상으로 변경 표시하며, 선호 고용주의 동기화 명령에 따라 그 지정된 일자 영역의 색상이 해당 근로자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캘린더에서도 동일하게 반영되도록 서비스 서버로 동기화 요청하는 일용근로자 일정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근로자 애플리케이션은 일정 설정용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그래픽 캘린더의 일자 영역이 터치 지정되면 시간대 영역별 터치 지정에 따른 일정 설정을 위한 타임스케줄 인터페이스를 팝업 제공하고, 타임스케줄 인터페이스 상에서 근로자에 의해 시간대 영역이 터치 지정되면 그 지정시에 활성화 상태의 스케줄 객체와 동일한 색상으로 시간대 영역을 표시하며, 타임스케줄 인터페이스의 전체 시간대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모든 색상을 그래픽 캘린더의 해당 일자 영역에 모두 표시 반영하는 일용근로자 일정 관리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는 :
    관계 관리부는 고용주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등록 요청된 근로자 ID를 고용주 ID에 매핑시켜 고용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관리하고, 근로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차단 요청된 고용주 ID를 근로자 ID에 매핑시켜 근로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차단 상태로 관리하며,
    일정 동기화부는 고용주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일정 조회를 위한 근로자 ID가 고용주 데이터베이스 내 고용주 ID에 매핑 등록되어 있되 근로자 데이터베이스 내 고용주 ID가 근로자 ID에 차단 상태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그 근로자 ID에 매핑된 일용근로자의 일자별 일정 정보를 고용주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일용근로자 일정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33293A 2020-03-18 2020-03-18 일용근로자 일정 관리 시스템 KR102308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293A KR102308103B1 (ko) 2020-03-18 2020-03-18 일용근로자 일정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293A KR102308103B1 (ko) 2020-03-18 2020-03-18 일용근로자 일정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997A KR20210116997A (ko) 2021-09-28
KR102308103B1 true KR102308103B1 (ko) 2021-10-01

Family

ID=7792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293A KR102308103B1 (ko) 2020-03-18 2020-03-18 일용근로자 일정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1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308B1 (ko) * 2023-05-12 2023-11-30 정철민 청소 서비스 공유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6835A (ja) * 2002-01-23 2003-07-31 Nichiryoku Co Ltd 求人求職仲介システム
KR101823832B1 (ko) * 2017-08-21 2018-01-31 최윤영 프리랜서 클라이언트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562B1 (ko) * 2015-06-30 2017-04-13 주학진 감정 메시지 전달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KR102035312B1 (ko) * 2016-04-25 2019-11-08 (주)이스톰 사용자 중심의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678123B1 (ko) 2016-04-26 2016-11-29 임하나 실시간 일용직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6835A (ja) * 2002-01-23 2003-07-31 Nichiryoku Co Ltd 求人求職仲介システム
KR101823832B1 (ko) * 2017-08-21 2018-01-31 최윤영 프리랜서 클라이언트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997A (ko)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67717B (zh) 根据角色间的通讯关系预设即时通讯账号联系人及预设通讯录的方法
US11888908B2 (en) Integrated workspace on a communication platform
US20150112738A1 (en) Reserving venue for calendar event
US20150235146A1 (en) Booking method and system
US200802702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a meeting attendee list of an email calendar application
CN106651073A (zh) 任务派发管理系统及其方法
JP2001282974A (ja) 就業管理システム、就業管理装置及び記録媒体
US8325894B2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conference calls
JP2010205295A (ja) 予約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300095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and utilization of context information
WO2019088041A1 (ja) シフト管理装置及びシフト管理方法
US11451639B1 (en) Application integration into user profiles within a communication platform
KR102308103B1 (ko) 일용근로자 일정 관리 시스템
JP2002259648A (ja) 在席管理方法、在席管理サーバ、在席管理プログラム
JP2017073086A (ja) 携帯端末、予定管理プログラム、及び予定管理サーバ
JP6580933B2 (ja) 機能有効化サーバ、機能有効化プログラム、及び予定管理プログラム
JP6614907B2 (ja) 予定管理サーバ、及び予定管理プログラム
JP201902382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021148B1 (ko) 직업 소개소간 인력 중개 방법
WO2023022243A1 (ko) 일용근로자 일정 관리 시스템
US20070244981A1 (en) Disseminating information about security threats
JP2001216408A (ja) 業務支援システム
EP19861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a meeting attendee list of an email calendar application
JP2003108794A (ja) ジョブ管理方法およびアサインシステム
KR2013009236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컨퍼런스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