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129B1 -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129B1
KR102307129B1 KR1020197007155A KR20197007155A KR102307129B1 KR 102307129 B1 KR102307129 B1 KR 102307129B1 KR 1020197007155 A KR1020197007155 A KR 1020197007155A KR 20197007155 A KR20197007155 A KR 20197007155A KR 102307129 B1 KR102307129 B1 KR 102307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ubstrate
air supply
processing space
exhaust por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557A (ko
Inventor
요시하루 야마모토
히로키 나카츠카
카즈히로 오노
세이이치 이사와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8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5/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etch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대향시켜서 배치한 본체부(5a)와 천판부(5b)의 상호 간에 형성되는 처리 공간(13)을 통과하도록 유리 기판(2)을 평평하게 놓은 자세로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본체부(5a)에 구비된 급기구(14)로부터 처리 공간(13)으로 급기되며, 또한 본체부(5a)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의 각각에 구비된 배기구(15)에 의해 처리 공간(13)으로부터 배기되는 처리 가스(4)를 사용하여 유리 기판(2)의 하면(2a)에 에칭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한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반송 방향을 따른 거리에 대해서 상류측 단부의 배기구(15)와 최상류측의 급기구(14)의 상호 간 거리(D1)에 비해 하류측 단부의 배기구(15)와 최하류측의 급기구(14)의 상호 간 거리(D2)를 길게 했다.

Description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유리 기판을 평평하게 놓은 자세로 반송하면서 불화수소 등의 처리 가스에 의해 유리 기판의 하면에 에칭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한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유리 기판은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필드에미션 디스플레이 등으로 대표되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나, 스마트폰, 태블릿형 PC 등의 모바일 단말을 비롯하여 다종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에 채용되어 있다.
이 유리 기판의 제조 공정에서는 정전기에 기인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일례를 들면, 유리 기판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 지지대 위에 적재했을 때에 정전기에 의해 유리 기판이 지지대에 부착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처리를 종료한 유리 기판을 지지대로부터 들어올릴 때에 유리 기판이 파손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로의 대책으로서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기 전에 불화수소 등의 처리 가스에 의해 유리 기판의 표면에 에칭 처리를 실시하고, 표면을 조면화시킴으로써 정전기에 기인한 문제의 발생을 회피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는 유리 기판의 표면에 에칭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동 문헌에 개시된 방법에서는 유리 기판을 평평하게 놓은 자세로 반송하면서 그 반송 경로상에 배치한 처리기(동 문헌에서는 표면 처리 장치)가 공급하는 처리 가스에 의해 유리 기판의 하면에 에칭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동 방법에 사용하는 처리기는 유리 기판의 반송 경로를 상하로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부 구성체와 하부 구성체(동 문헌에서는 한쌍의 간극 형성 부재)를 구비하고, 양쪽 구성체의 상호 간에 에칭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처리 공간(동 문헌에서는 간극)이 형성된다. 하부 구성체는 처리 공간에 처리 가스를 급기하기 위한 급기구와, 처리 공간으로부터 처리 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구는 하부 구성체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의 각각에 구비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급기구는 양쪽 배기구의 중간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동 방법에서는 급기구로부터 처리 공간으로 처리 가스를 급기함과 아울러, 배기구에 의해 처리 공간으로부터 처리 가스를 배기하면서 반송에 따라 처리 공간을 통과하는 유리 기판의 하면에 에칭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하면을 조면화시킨다.
일본특허공개 2014-125414호 공보
그러나 상기 방법에 의해 에칭 처리를 실시했을 경우에는 하기와 같은 해결해야 할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즉, 유리 기판이 처리 공간을 통과할 때에 있어서, 급기구로부터 처리 공간으로 급기된 처리 가스는 유리 기판에 끌려서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흐르기 쉽다. 이 때문에 급기된 처리 가스의 대부분은 상류측 단부의 배기구측으로는 흐르지 않고 하류측 단부의 배기구측으로 흐른 후, 상기 하류측 단부의 배기구로부터 배기된다. 이 점에서, 처리 공간 중 유리 기판의 하면에 에칭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영역이 실질적으로 급기구로부터 하류측 단부의 배기구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에만 제한되어, 처리 공간의 전체 길이 중 대략 반분의 길이의 영역이 에칭 처리에 이용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유리 기판의 하면에 충분한 에칭 처리를 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소망의 정도까지 하면을 조면화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유리 기판을 평평하게 놓은 자세로 반송하면서 처리 가스에 의해 유리 기판의 하면에 에칭 처리를 실시함에 있어서, 그 확실한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은 대향시켜서 배치한 상부 구성체와 하부 구성체의 상호 간에 형성되는 처리 공간을 통과하도록 유리 기판을 평평하게 놓은 자세로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하부 구성체에 구비된 급기구로부터 처리 공간으로 급기되며, 또한 하부 구성체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의 각각에 구비된 배기구에 의해 처리 공간으로부터 배기되는 처리 가스를 사용하여 유리 기판의 하면에 에칭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한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반송 방향을 따른 거리에 대해서 상류측 단부의 배기구와 최상류측의 급기구의 상호 간 거리에 비해 하류측 단부의 배기구와 최하류측의 급기구의 상호 간 거리를 길게한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처리 공간 중, 최상류측의 급기구로부터 하류측 단부의 배기구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이 실질적으로 유리 기판의 하면에 에칭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영역이 된다. 이 점을 근거로 하여 반송 방향을 따른 거리에 대해서 상류측 단부의 배기구와 최상류측의 급기구의 상호 간 거리에 비해 하류측 단부의 배기구와 최하류측의 급기구의 상호 간 거리를 길게 하면, 하기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이렇게 하면 처리 공간 내에 있어서 최상류측의 급기구가 양쪽 배기구의 중간 위치보다 상류측 근처에 배치되게 되므로 상기 급기구가 상류측에 근접한 분만큼 유리 기판의 하면에 에칭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영역을 길게 할 수 있다. 즉, 처리 가스와 유리 기판의 하면이 반응하는 시간을 길게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유리 기판의 하면에 확실하게 에칭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급기구를 유리 기판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장척인 슬릿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처리 공간에 대하여 폭 방향을 따라 처리 가스를 균등하게 급기함에 있어서 유리해진다. 그 결과, 유리 기판의 하면에 대하여 폭 방향에 있어서 불균일 없이 에칭 처리를 실시하기 쉬워진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반송 방향을 따라 복수의 급기구를 배치하고, 각 급기구로부터 처리 가스를 급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처리 공간 내의 처리 가스에 대해서 폭 방향을 따라 농도에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유리 기판의 하면에 대하여 폭 방향에 있어서 불균일 없이 에칭 처리를 실시함에 있어서 더욱 유리해진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급기구 중 최하류측의 급기구가 급기하는 처리 가스의 유량을 가장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유리 기판의 하면에 에칭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 기판을 평평하게 놓은 자세로 반송하면서 처리 가스에 의해 유리 기판의 하면에 에칭 처리를 실시함에 있어서, 그 확실한 실행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2는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가 구비하는 처리기의 본체부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3a는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가 구비하는 처리기의 일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3b는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가 구비하는 처리기의 일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3c는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가 구비하는 처리기의 일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3d는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가 구비하는 처리기의 일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4a는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가 구비하는 퍼지 가스 분사 노즐의 근방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4b는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가 구비하는 퍼지 가스 분사 노즐의 근방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5는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가 구비하는 퍼지 가스 분사 노즐의 근방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처음에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에 사용하는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의 반송 방향(도 1에서는 우로부터 좌를 향하는 방향)을 「반송 방향」으로 표기한다. 또한,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유리 기판의 폭 방향(도 1에서는 지면에 대하여 연직인 방향)을 「폭 방향」으로 표기함과 아울러, 「폭 방향」을 따른 길이를 「전폭」이나 「폭 치수」로 표기한다. 또한, 유리 기판의 상하면에 대하여 연직인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표기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1)는 유리 기판(2)을 평평하게 놓은 자세로 수평으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 수단(3)과, 반송 중의 유리 기판(2)의 하면(2a)에 대하여 처리 가스(4)(본 실시형태에서는 불화수소)에 의해 에칭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처리기(5)와, 유리 기판(2)의 상면(2b)에 대한 에칭 처리를 방지하기 위한 퍼지 가스(6)를 분사하는 퍼지 가스 분사 노즐(7)과, 유리 기판(2)의 반입구(8aa) 및 반출구(8ab)를 가짐과 아울러, 자신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9)으로부터 처리 가스(4)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챔버(8)와, 유리 기판(2)의 반송 경로상에 있어서 처리기(5)와 반출구(8ab) 사이에 배치된 제 1 더미 처리기(10), 및 처리기(5)와 반입구(8aa) 사이에 배치된 제 2 더미 처리기(11)와, 처리 가스(4)와 유리 기판(2)의 하면(2a)의 반응에 의해 발생한 생성물을 흡인해서 챔버(8)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흡인 노즐(12)을 주된 구성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반송 수단(3)은 유리 기판(2)의 반송 경로상에 배열된 복수개의 롤러(3a)로 이루어진다. 이 복수개의 롤러(3a)에 의해 직선 위로 연장된 반송 경로를 따라 유리 기판(2)을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롤러(3a)의 상호 간에서는 유리 기판(2)의 하면(2a)의 전폭이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 노출된 하면(2a)과 처리 가스(4)가 반응함으로써 에칭 처리가 실시되어서 하면(2a)의 전폭이 조면화된다. 또한, 반송 수단(3)으로서는 복수의 롤러(3a) 이외의 것을 사용해도 좋고, 반송 중에 유리 기판(2)의 하면(2a)의 전폭을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다른 것을 사용해도 좋다.
처리기(5)는 유리 기판(2)의 반송 경로를 상하로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하부 구성체로서의 본체부(5a)와, 상부 구성체로서의 천판부(5b)와, 천판부(5b)의 자체 중량에 의한 휨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부재로서의 H강(5c)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5a)와 천판부(5b)의 상호 간에는 여기를 통과하는 유리 기판(2)에 에칭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처리 공간(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처리 공간(13)은 편평한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처리 공간(13)의 폭 치수(W1)(도 2을 참조) 및 상하 방향을 따른 두께 치수(T1)는 각각 유리 기판(2)의 전폭(W2)(도 2을 참조) 및 유리 기판(2)의 두께(T2)보다 크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유리 기판(2)이 처리 공간(13)의 밖으로부터 안으로 진입해 왔을 때에 이것에 부수되어 유리 기판(2)의 주위에 존재하는 공기 등의 가스가 처리 공간(13)으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반송 방향을 따른 처리 공간(13)의 길이 치수(L1)는 300㎜~200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0㎜~100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퍼지 가스(6)를 적합하게 분사시키는 관점으로부터는 상기 길이 치수(L1)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양태와는 달리, 유리 기판(2)의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처리 공간(13)의 두께 치수(T1)는 4㎜~3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길이 치수(L1)와 두께 치수(T1)의 비율(길이 치수(L1)/두께 치수(T1))의 값은 10~25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5a)는 직육면체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이 본체부(5a)는 처리 공간(13)에 처리 가스(4)를 분사해서 급기하기 위한 급기구(14)와, 처리 공간(13)으로부터 처리 가스(4)를 흡인해서 배기하기 위한 배기구(15)와, 처리 공간(13)에 급기되는 처리 가스(4)의 가열, 및 처리 가스(4)에 의한 결로의 방지를 위한 히터 등의 가열 수단(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다. 배기구(15)는 본체부(5a)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 단부와 하류측 단부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급기구(14)는 상류측 단부의 배기구(15)와 하류측 단부의 배기구(15) 사이에 반송 방향을 따라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가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급기구(14) 중, 반송 방향의 최하류측의 급기구(14)는 처리 공간(13)에 급기하는 처리 가스(4)의 유량이 가장 많아지고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급기구(14)와 비교해서 2배의 유량의 처리 가스(4)를 급기하고 있다. 한편, 복수의 급기구(14)의 상호 간에 있어서 급기하는 처리 가스(4)의 농도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각 급기구(14)는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롤러(3a)의 상호 간에서 처리 공간(13)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급기구(14)가 급기하는 처리 가스(4)의 유량은 각각 단위시간당 일정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반송 방향을 따른 거리에 대하여 최상류측의 급기구(14)로부터 중앙의 급기구(14)까지의 거리(L2)와, 중앙의 급기구(14)로부터 최하류측의 급기구(14)까지의 거리(L3)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기구(14)가 3개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를 배치해도 좋고, 4개 이상을 배치해도 좋다.
상류측 단부의 배기구(15) 및 하류측 단부의 배기구(15)의 각각은 처리 공간(13)으로부터 흡인한 처리 가스(4)를 본체부(5a)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16)으로 보내주는 것이 가능하다. 공간(16)은 챔버(8) 밖에 배치된 세정 집진 장치(도시 생략)와 접속된 배기관(17)과 연속해 있다. 이에 따라 배기구(15)를 통해서 처리 공간(13)으로부터 공간(16)에 보내진 처리 가스(4)는 그 후 배기관(17)을 통해서 공간(16)으로부터 세정 집진 장치에 배기된다. 또한, 배기관(17)은 공간(16)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상류측 단부의 배기구(15) 및 하류측 단부의 배기구(15)에는 배기하는 가스(「가스」에는 처리 가스(4)뿐만 아니라 처리 공간(13)의 밖으로부터 안으로 끌어 들여진 후, 배기구(15)에 흡인되는 공기 등도 포함됨)의 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기구를 설치해도 좋다. 한편, 배기구(15)의 처리 공간(13)과 접속한 개구부를 막거나, 배기구(15)를 구성하는 부위를 본체부(5a)로부터 분리하여 공간(16)과 연통하는 구멍을 막거나 함으로써 배기구(15)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각 급기구(14)가 처리 공간(13)에 급기하는 처리 가스(4)의 유량과 비교해서 각 배기구(15)가 처리 공간(13)으로부터 배기하는 가스의 유량 쪽이 많아지고 있다. 또한, 각 배기구(15)가 배기하는 가스의 유량은 단위시간당 일정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반송 방향을 따른 거리에 대해서 상류측 단부의 배기구(15)와 최상류측의 급기구(14)의 상호 간 거리(D1)에 비해 하류측 단부의 배기구(15)와 최하류측의 급기구(14)의 상호 간 거리(D2)가 길게 되어 있다. 상호 간 거리(D2)의 길이는 상호 간 거리(D1)의 길이의 1.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배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기구(14) 및 배기구(15)의 양자는 폭 방향으로 장척인 슬릿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급기구(14)의 폭 치수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기판(2)의 전폭보다 약간 짧게 되어 있어도 좋고, 동 도면과는 달리, 유리 기판(2)의 전폭보다 약간 길게 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배기구(15)의 폭 치수는 유리 기판(2)의 전폭보다 약간 길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처리 가스(4)를 폭 방향을 따라 균등하게 급기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급기구(14)의 반송 방향을 따른 개구 길이(S1)는 0.5㎜~5㎜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기구(15)의 반송 방향을 따른 개구 길이는 급기구(14)의 반송 방향을 따른 개구 길이(S1)보다 길게 되어 있다. 또한, 배기구(15)에 의한 가스의 흡인이 원활한 에칭 처리의 실행의 방해가 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본체부(5a)의 상류측 끝 가장자리(5aa)로부터 상류측 단부의 배기구(15)까지의 거리(L4)와, 하류측 끝 가장자리(5ab)로부터 하류측 단부의 배기구(15)까지의 거리(L4)는 공통적으로 1㎜~2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5a) 중, 처리 공간(13)을 통과 중인 유리 기판(2)의 하면(2a)과 대향하는 정상부는 반송 방향을 따라 간극 없이 배열된 복수개의 유닛(본 실시형태에서는 8개로 되며, 후술하는 급기 유닛(18)과 접속 유닛(19)을 포함함)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복수개의 유닛은 본체부(5a)의 정상부를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공간(16)의 천장부를 구성하고 있다.
복수개의 유닛 중에는 급기구(14)가 형성된 급기 유닛(18)과, 급기구(14)가 비형성된 접속 유닛(19)이 포함되어 있다(도 2에서는 급기 유닛(18)과 접속 유닛(19)을 각각 굵은선으로 둘러싸고 있음).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개의 유닛의 배열 중, 급기 유닛(18)은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2번째, 4번째, 및 6번째의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한편, 접속 유닛(19)은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첫번째, 3번째, 5번째, 7번째, 및 8번째의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급기 유닛(18)은 급기구(14)와 연결된 급기 노즐(18a)을 구비하고 있고, 이 급기 노즐(18a)을 챔버(8) 밖에 배치된 처리 가스(4)의 제너레이터(도시 생략)와 접속되어 있다. 접속 유닛(19)은 서로 이웃하는 급기 유닛(18)의 상호 간, 및 급기 유닛(18)과 배기구(15)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여기에서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첫번째의 위치(최상류측의 위치)에 존재하는 접속 유닛(19(19x))은 상기 위치에 고정해서 배치된다. 한편, 상류측으로부터 3번째, 5번째, 7번째, 및 8번째의 위치에 존재하는 접속 유닛(19)은 급기 유닛(18), 또는 급기구(14) 대신에 배기구(20a)가 형성된 후술하는 배기 유닛(20)(도 1에서는 배기 유닛(20)은 미사용)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류측으로부터 2번째, 4번째, 및 6번째의 위치에 존재하는 급기 유닛(18)에 대해서도 접속 유닛(19), 또는 후술하는 배기 유닛(20)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급기구(14)의 수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급기구(14)의 위치에 변경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령 배기 유닛(20)을 배치했을 경우에는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의 양쪽 배기구(15, 15) 이외로부터도 처리 가스(4)의 배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이들 유닛의 치환에 대해서 도 3a~도 3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도 3c 각각에 있어서, 굵은선으로 둘러싸서 나타내는 급기 유닛(18), 접속 유닛(19), 및 배기 유닛(20)은 반송 방향을 따른 길이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들 유닛의 치환을 행했을 경우에 치환에 따라 새롭게 배치된 유닛은 이것에 인접하는 양쪽 유닛(도 3a~도 3c의 각각에서는 인접하는 양쪽 유닛이 모두 접속 유닛(19)인 경우를 도시)과 간극 없이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새롭게 배치된 유닛은 인접하는 양쪽 유닛과 상하 방향에 있어서 단차 없이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기 유닛(18)에 있어서의 급기구(14)의 주변 영역(14a)은 다른 영역에 비해 상하 방향에 있어서 고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급기구(14)의 주변 영역(14a)에서는 다른 영역과 비교해서 처리 공간(13)을 통과 중인 유리 기판(2)의 하면(2a)과의 이간 거리가 짧아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급기구(14)의 주변 영역(14a)에 있어서의 유리 기판(2)의 하면(2a)과의 이간 거리는 다른 영역에 있어서의 유리 기판(2)의 하면(2a)과의 이간 거리와 비교해서 반분의 거리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간 거리가 짧아진 분만큼 급기구(14)의 선단(처리 가스(4)의 유출구)이 유리 기판(2)의 하면(2a)에 근접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령 배기 유닛(20)을 배치했을 경우에는 상기 배기 유닛(20)에 형성된 배기구(20a)가 상기 공간(16)으로 이어진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배기구(20a)를 통해서 처리 공간(13)으로부터 공간(16)으로 보내진 처리 가스(4)는 그 후 배기관(17)을 통해서 공간(16)으로부터 세정 집진 장치에 배기된다. 또한, 배기구(20a)는 상류측 단부의 배기구(15) 및 하류측 단부의 배기구(15)와 마찬가지로 폭 방향으로 장척인 슬릿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기 유닛(18)에 있어서의 급기구(14)의 주변 영역(14a)은 다른 영역과 동일 높이로 해도 좋다.
도 1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부(5b)는 단일의 판체(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직사각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처리 공간(13)을 통과 중인 유리 기판(2)의 상면(2b)과 대향하는 평탄면을 갖는다. 또한, 천판부(5b)는 처리 가스(4)에 의한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히터 등의 가열 수단(도시 생략)을 내장하고 있다. H강(5c)은 천판부(5b) 위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H강(5c)은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복수개의 H강(5c)은 반송 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퍼지 가스 분사 노즐(7)은 반송 방향에 있어서 처리기(5)보다 상류측이며, 또한 유리 기판(2)의 반송 경로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퍼지 가스 분사 노즐(7)은 유리 기판(2)에 있어서의 처리 공간(13)에 진입한 부위와 천판부(5b)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3a)에 반송 방향을 따른 퍼지 가스(6)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반송 방향의 하류측을 향해서 퍼지 가스(6)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퍼지 가스(6)의 흐름은 간극(13a)의 전폭에 걸쳐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퍼지 가스(6)는 반송 수단(3)에 의한 유리 기판(2)의 반송 속도와 비교해서 반송 방향을 따른 유속이 빨라지도록 분사된다. 이에 따라 간극(13a)에 유입하려고 하는 처리 가스(4)를 퍼지 가스(6)의 압력으로 반송 방향의 하류측으로 몰아넣어 간극(13a)으로의 유입을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유리 기판(2)의 상면(2b)의 조면화가 회피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퍼지 가스(6)로서 클린 드라이 에어(CDA)를 사용하고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지 가스(6)는 반송 중의 유리 기판(2)의 선두부(2f)가 처리 공간(13)에 진입하기 직전에 분사가 개시된다. 또한,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지 가스(6)는 반송 중의 유리 기판(2)의 최후부(2e)가 처리 공간(13)에 진입하기 직전에 분사가 정지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퍼지 가스(6)의 분사의 개시 및 정지를 행하는 타이밍은 이하와 같이 결정하고 있다. 우선, 반송 방향에 있어서 퍼지 가스 분사 노즐(7)보다 상류측에 유리 기판(2)의 선두부(2f) 및 최후부(2e)의 통과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센서 등의 검지 수단(도시 생략)이 배치되어 있다. 이 검지 수단이 유리 기판(2)의 선두부(2f)의 통과를 검지하면 유리 기판(2)의 반송 속도와, 선두부(2f)로부터 처리 공간(13)까지의 반송 경로를 따른 거리에 의거하여 퍼지 가스(6)의 분사를 개시하는 타이밍이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해서 검지 수단이 최후부(2e)의 통과를 검지하면 반송 속도와 최후부(2e)로부터 처리 공간(13)까지의 거리에 의거하여 분사를 정지하는 타이밍이 결정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지 가스 분사 노즐(7)은 폭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의 파이프(7a)를 구비하고 있다. 이 파이프(7a)에 대해서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튜브(7b)가 삽입되어 있다. 각 튜브(7b)로부터는 파이프(7a) 내에 퍼지 가스(6)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파이프(7a)의 내부에는 폭 방향으로 장척인 판체(7c)가 부착되어 있으며, 각 튜브(7b)로부터 파이프(7a) 내로 유입한 퍼지 가스(6)는 판체(7c)를 우회하도록 돌아 들어간 후, 파이프(7a)와 연결된 분사부(7d)로부터 분사되도록 되어 있다. 분사부(7d)에 형성된 퍼지 가스(6)의 분사구는 폭 방향으로 장척인 슬릿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분사부(7d)에 의한 퍼지 가스(6)의 분사 각도(θ)(유리 기판(2)의 상면(2b)에 대하여 분사부(7d)가 지향하는 방향이 기운 각도)는 25°~70°의 범위 내에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퍼지 가스 분사 노즐(7)의 자세는 도 5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사부(7d)에 처리 공간(13) 내를 지향시키도록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고, 동 도면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사부(7d)에 처리 공간(13) 밖을 지향시키도록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8)는 직육면체형상의 외형을 이룬다. 이 챔버(8)는 상기 반입구(8aa) 및 반출구(8ab)에 추가하여 천장 구멍(8ac)이 형성된 본체(8a)와, 천장 구멍(8ac)을 막기 위한 덮개체(8b)를 구비하고 있다.
반입구(8aa) 및 반출구(8ab)는 본체(8a)의 측벽부(8ad)에 형성됨과 아울러, 폭 방향을 따라 장척이 되는 편평한 개구로서 형성되어 있다. 천장 구멍(8ac)은 본체(8a)의 천장부(8ae)에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8b)는 천장 구멍(8ac)의 개구 전체를 막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본체(8a)로의 부착, 및 본체(8a)로부터의 분리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덮개체(8b)를 본체(8a)로부터 분리하여 천장 구멍(8ac)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천장 구멍(8ac)을 통해 처리기(5)의 조절, 보수, 점검 등의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더미 처리기(10)는 유리 기판(2)의 반송 경로의 하방에 배치된 직육면체형상의 상자체(10a)와, 상자체(10a)와 대향하도록 반송 경로의 상방에 배치된 천판(10b)과, 천판(10b)의 자체 중량에 의한 휨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부재로서의 H강(10c)을 구비하고 있다. 상자체(10a)와 천판(10b)의 상호 간에는 유리 기판(2)을 통과시키기 위한 간극(21)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더미 처리기(10)는 반출구(8ab)로부터 챔버(8) 내에 유입한 기류가 처리 공간(13)까지 도달하여 에칭 처리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방풍 부재로서 기능한다. 여기에서 방풍 부재로서 유효하게 기능시키기 위해서 반송 방향을 따른 제 1 더미 처리기(10)의 길이는 5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자체(10a)의 상단에는 폭 방향으로 장척인 직사각형상의 개구(10a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자체(10a)의 바닥부에는 챔버(8) 밖에 배치된 세정 집진 장치(도시 생략)와 접속된 배기관(22)이 연속해 있다. 이에 따라 제 1 더미 처리기(10)는 유리 기판(2)의 하면(2a)에 끌려 처리 공간(13) 내로부터 반송 방향의 하류측으로 유출된 처리 가스(4)에 대해서 상기 처리 가스(4)를 개구(10aa)를 통해서 배기관(22)으로 흡인한 후, 세정 집진 장치에 배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천판(10b)은 단일의 판체(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직사각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간극(21)을 통과 중인 유리 기판(2)의 상면(2b)과 대향하는 평탄면을 갖는다. H강(10c)은 천판(10b) 상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1 더미 처리기(10)는 반송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 처리기(5)와 동일한 외형을 가짐과 아울러, 처리기(5)와 겹쳐 보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처리기(5)의 본체부(5a)와 제 1 더미 처리기(10)의 상자체(10a)의 상호 간에서는 폭 치수 및 상하 방향을 따른 치수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해서 (A) 처리기(5)의 천판부(5b)와 제 1 더미 처리기(10)의 천판(10b), (B) 처리기(5)의 H강(5c)과 제 1 더미 처리기(10)의 H강(10c), (C) 처리기(5)의 처리 공간(13)과 제 1 더미 처리기(10)의 간극(21), 이들 (A)~(C)의 각 조합의 상호 간에서도 폭 치수 및 상하 방향을 따른 치수가 동일하다고 되어 있다.
제 2 더미 처리기(11)는 이하에 나타내는 (1), (2)의 2점을 제외하고, 상기의 제 1 더미 처리기(10)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1에 있어서 제 1 더미 처리기(10)에 붙인 것과 동일한 부호를 제 2 더미 처리기(11)에도 붙임으로써 양쪽 처리기(10, 11) 간에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1) 제 1 더미 처리기(10)와는 배치가 상이한 점. (2) 반출구(8ab)로부터가 아닌 반입구(8aa)로부터 챔버(8) 내로 유입한 기류가 처리 공간(13)까지 도달하여 에칭 처리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방풍 부재로서 기능하는 점. 또한, 제 2 더미 처리기(11)는 제 1 더미 처리기(10)와 마찬가지로 해서 반송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 처리기(5)와 동일한 외형을 가짐과 아울러, 처리기(5)와 겹쳐 보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흡인 노즐(12)은 챔버(8)의 천장부(8ae)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흡인구(12a)가 공간(9)과 연속해 있다. 이 흡인구(12a)는 반송 방향에 있어서 제 1 더미 처리기(10)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공간(9)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흡인 노즐(12)은 챔버(8) 밖에 배치된 세정 집진 장치(도시 생략)와 접속되어 있어 흡인한 생성물을 세정 집진 장치에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흡인구(12a)는 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배치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 기판(2)의 반송 경로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그러나 에칭 처리에서 발생한 생성물을 흡인해서 챔버(8)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갖는 점에서, 흡인구(12a)는 본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배치로 하는 경우에도 반송 방향에 있어서 처리기(5)보다 하류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1)를 사용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반송 수단(3)에 의해 유리 기판(2)을 반송함으로써 반입구(8aa)로부터 챔버(8) 내로 유리 기판(2)을 반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입구(8aa)로부터 반출구(8ab)까지의 반송 경로를 따른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거리보다 반송 경로를 따른 전체 길이가 긴 유리 기판(2)을 에칭 처리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2)을 일정한 반송 속도로 반송하고 있다.
이어서, 반입 후의 유리 기판(2)에 반입구(8aa)와 처리기(5) 사이에 배치된 제 2 더미 처리기(11)의 간극(21)을 통과시킨다. 또한, 반입구(8aa)로부터 챔버(8) 내로 유입하고, 유리 기판(2)의 하면(2a)을 따라 반송 방향의 하류측으로 흘러들어오는 가스는 제 2 더미 처리기(11)의 상자체(10a)의 바닥부에 연속한 배기관(22)에서 흡인한다. 이것에 추가하여 제 2 더미 처리기(11)를 방풍 부재로서 기능시킴으로써 반입구(8aa)로부터 챔버(8) 내로 유입한 가스가 처리기(5)의 처리 공간(13)까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제 2 더미 처리기(11)의 간극(21)을 통과한 후의 유리 기판(2)에 처리기(5)의 처리 공간(13)을 통과시킨다. 이때, 유리 기판(2)의 선두부(2f)가 처리 공간(13)에 진입하기 직전으로부터 퍼지 가스(6)의 분사를 개시한다. 그리고 처리 공간(13)을 통과 중인 유리 기판(2)의 하면(2a)측에서는 각 급기구(14)가 급기한 처리 가스(4)에 의해 하면(2a)에 에칭 처리를 실시하면서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 각각의 배기구(15)에 의해 처리 공간(13)으로부터 처리 가스(4)를 배기한다. 한편, 처리 공간(13)을 통과 중인 유리 기판(2)의 상면(2b)측에서는 간극(13a)에 형성된 퍼지 가스(6)의 흐름에 의해 처리 가스(4)에 의한 상면(2b)에 대한 에칭 처리를 방지한다. 또한, 에칭 처리에서 발생한 생성물은 흡인 노즐(12)로 흡인하여 챔버(8) 밖으로 배출한다. 퍼지 가스(6)는 유리 기판(2)의 최후부(2e)가 처리 공간(13)에 진입하기 직전에 분사를 정지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2)의 최후부(2e)가 처리 공간(13)에 진입하기 직전에 퍼지 가스(6)의 분사를 정지하는 양태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리 기판(2)의 선두부(2f)가 처리 공간(13)으로부터 탈출한 후이라면, 유리 기판(2)의 최후부(2e)가 처리 공간(13)에 진입하기 직전보다 더 전에 퍼지 가스(6)의 분사를 정지하는 양태로 해도 상관없다.
이어서, 처리기(5)의 처리 공간(13)을 통과한 에칭 처리 후의 유리 기판(2)에 처리기(5)와 반출구(8ab) 사이에 배치된 제 1 더미 처리기(10)의 간극(21)을 통과시킨다. 또한, 반출구(8ab)로부터 챔버(8) 내로 유입하여 유리 기판(2)의 하면(2a)을 따라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 흘러들어오는 가스는 제 1 더미 처리기(10)의 상자체(10a)의 바닥부에 연속한 배기관(22)에서 흡인한다. 또한, 제 1 더미 처리기(10)를 방풍 부재로서 기능시킴으로써 반출구(8ab)로부터 챔버(8) 내로 유입한 가스가 처리기(5)의 처리 공간(13)까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배기관(22)에 의해 유리 기판(2)의 하면(2a)에 끌려 처리 공간(13) 내로부터 반송 방향의 하류측으로 유출한 처리 가스(4)를 흡인하여 챔버(8) 밖으로 배기한다.
최후에 제 1 더미 처리기(10)의 간극(21)을 통과한 후의 유리 기판(2)을 반출구(8ab)로부터 챔버(8) 밖으로 반출한다. 그리고 하면(2a)에 에칭 처리가 실시된 유리 기판(2)이 얻어진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이 완료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에 의한 주된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에서는 처리 공간(13) 내에 있어서, 최상류측의 급기구(14)가 양쪽 배기구(15, 15)의 중간 위치보다 상류측 근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급기구(14)가 상류측에 근접한 분만큼 유리 기판(2)의 하면(2a)에 에칭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실질적인 영역(최상류측의 급기구(14)로부터 하류측 단부의 배기구(15)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을 길게 할 수 있다. 즉, 처리 가스(4)와 유리 기판(2)의 하면(2a)이 반응하는 시간을 길게 취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 기판(2)의 하면(2a)에 확실하게 에칭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류측 단부의 배기구와 하류측 단부의 배기구 사이에서 양쪽 배기구의 중간 위치보다 상류측 근처에 급기구를 단 1개만 배치하고, 상기 급기구로부터 처리 가스를 급기하는 양태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단 1개의 급기구는 최상류측의 급기구가 됨과 아울러, 최하류측의 급기구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류측 단부의 배기구와 최상류측의 급기구(단 1개의 급기구)의 상호 간 거리에 비해 하류측 단부의 배기구와 최하류측의 급기구(단 1개의 급기구)의 상호 간 거리가 길어지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다.
2 유리 기판 2a 하면
4 처리 가스 5a 본체부(하부 구성체)
5b 천판부(상부 구성체) 13 처리 공간
14 급기구 15 배기구
D1 상호 간 거리 D2 상호 간 거리

Claims (4)

  1. 대향시켜서 배치한 상부 구성체와 하부 구성체의 상호 간에 형성되는 처리 공간을 통과하도록 유리 기판을 평평하게 놓은 자세로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하부 구성체에 구비된 급기구로부터 상기 처리 공간으로 급기되며, 또한 상기하부 구성체에 있어서의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의 각각에 구비된 배기구에 의해 상기 처리 공간으로부터 배기되는 처리 가스를 사용하여 상기 유리 기판의 하면에 에칭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한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반송 방향을 따른 거리에 대해서 상기 상류측 단부의 배기구와 최상류측의 상기 급기구의 상호 간 거리에 비해 상기 하류측 단부의 배기구와 최하류측의 상기 급기구의 상호 간 거리를 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를 상기 유리 기판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장척인 슬릿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기 급기구를 배치하고, 각 급기구로부터 상기 처리 가스를 급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급기구 중 최하류측의 상기 급기구가 급기하는 상기 처리 가스의 유량을 가장 많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0197007155A 2016-11-16 2017-10-30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307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23253A JP6667797B2 (ja) 2016-11-16 2016-11-16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JPJP-P-2016-223253 2016-11-16
PCT/JP2017/039058 WO2018092558A1 (ja) 2016-11-16 2017-10-30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557A KR20190078557A (ko) 2019-07-04
KR102307129B1 true KR102307129B1 (ko) 2021-09-30

Family

ID=62145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155A KR102307129B1 (ko) 2016-11-16 2017-10-30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67797B2 (ko)
KR (1) KR102307129B1 (ko)
CN (1) CN109843821B (ko)
TW (1) TWI735698B (ko)
WO (1) WO201809255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5414A (ja) 2012-12-27 2014-07-0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板状ガラスの表面処理装置及び表面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1825A (en) * 1987-08-10 1989-02-14 Hitachi Ltd Temperature measuring system
US6352592B1 (en) * 1998-01-16 2002-03-05 Silicon Valley Group, Thermal Systems Llc Free floating shield and semiconductor processing system
JP4421609B2 (ja) * 2004-03-31 2010-02-24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エッチング装置
US20070259111A1 (en) * 2006-05-05 2007-11-08 Singh Kaushal K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excitation of chemicals for atomic layer deposition of dielectric film
WO2013146439A1 (ja) * 2012-03-26 2013-10-03 旭硝子株式会社 化学強化時の反りを低減できるガラス板
EP2962680A4 (en) * 2013-02-28 2016-12-28 Amorepacific Corp COMPOSITION FOR MAINTAINING THE EFFICIENCY OF A LOAD
CN105593177A (zh) * 2013-09-25 2016-05-18 旭硝子株式会社 玻璃板的制造方法
PL3053888T3 (pl) * 2013-09-30 2021-07-19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Sposób wytwarzania tafli szkła
WO2016080432A1 (ja) * 2014-11-20 2016-05-26 旭硝子株式会社 透明板、タッチパッド、およびタッチパネル
JP2016135726A (ja) * 2015-01-23 2016-07-28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5414A (ja) 2012-12-27 2014-07-0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板状ガラスの表面処理装置及び表面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80081A (ja) 2018-05-24
JP6667797B2 (ja) 2020-03-18
WO2018092558A1 (ja) 2018-05-24
KR20190078557A (ko) 2019-07-04
TW201825978A (zh) 2018-07-16
CN109843821A (zh) 2019-06-04
TWI735698B (zh) 2021-08-11
CN109843821B (zh)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3339B1 (ko)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JP5486030B2 (ja) 塗布装置
JP2008034436A (ja) エッチング装置
KR102307129B1 (ko)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373650B1 (ko)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373643B1 (ko)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588108B1 (ko)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US20200208913A1 (en) Drying device and method for drying a substrate
JP6641663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2497947B1 (ko)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KR102557690B1 (ko)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
KR102505553B1 (ko)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