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837B1 -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837B1
KR102306837B1 KR1020200171268A KR20200171268A KR102306837B1 KR 102306837 B1 KR102306837 B1 KR 102306837B1 KR 1020200171268 A KR1020200171268 A KR 1020200171268A KR 20200171268 A KR20200171268 A KR 20200171268A KR 102306837 B1 KR102306837 B1 KR 102306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water
washing tub
unit
ultras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희
김윤환
Original Assignee
이재희
김윤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희, 김윤환 filed Critical 이재희
Priority to KR1020200171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8Overflow-type cleaning, e.g. tanks in which the liquid flows over the tank in which the articles are pl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boiling the liquid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하우징에 구성되고 세척물과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세척조; 세척조의 외부 정면과 배면 등의 측면에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접촉 구성되고 초음파발진을 통하여 진동을 발생시켜 세척조 내부의 세척수가 요동치도록 하는 초음파진동부; 세척조의 외부 하면 중앙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접촉 구성되고 세척조에 소정의 온도가 전열되도록 하여 세척수가 가열되도록 하는 히팅부; 세척조의 내부 하면 양측에 노출 구성되고 세척조 내부의 세척수를 와류 회전시는 세척수회전부; 세척조의 내부 측면에 노출 구성되고 세척조 내부의 세척수에 미세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버블생성부; 및 하우징에 구성되고 초음파진동부, 히팅부, 세척수회전부 및 버블생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초음파세척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Ultrasonic washing apparatusf}
본 발명은 초음파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조의 외부 측면에 초음파진동부가 설치되고 세척조의 외부 하면에 히팅부가 설치되며 세척조의 내부 하면에 세척수회전부가 설치되어 세척수의 요동, 가열 및 교반을 통하여 세척 및 해동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세척장치는, 압전현상을 이용한 초음파진동부를 이용하여 유체 속에서 강력한 진동의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또한, 이때 나타나는 유체 내의 공동현상(cavitation)에 의한 기포의 생성, 그 진동의 성장과 폭발 및 순간 고온화의 과정 등을 통해 유체 내의 세척물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과 미크론 단위의 미세한 불순물을 분해 또는 산화하여 세척되도록 한다.
여기서, 초음파세척장치는, 등록특허 10-1761344호와 등록실용 20-0486983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 내에 세척수가 수용되고, 세척수 속에는 진동소자가 저면에 밀착되도록 부착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과 함께 진동소자를 밀봉하는 진동자 함체로 이루어진 진동자가 세척조의 바닥에 노출된 상태로 내설되며, 상기 진동자에는 회로선을 통해 초음파발진기가 접속되고 상기 초음파발진기의 발진 진동에 따라 진동소자가 진동하면, 진동판이 진동하여 초음파가 발생되고 파동의 전파 매질인 세척수를 통해 세척조에 투입된 세척물에 초음파가 조사되어 세척물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과 불순물이 분해 또는 산화되어 살균 제거되는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초음파세척장치는, 단순히 세척조에 진동을 유도하는 진동수단만이 구성됨에 따라 세척물의 세척만이 실시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세척수를 가열할 수 없어서 육류 등을 해동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세척조에 온수를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단순히 세척조에만 진동이 유도되기 때문에, 세척조의 용량이 크거나 세척수의 양이 많은 경우 진동부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세척조 내부 전체에 고르게 확산되지 못하고 일부분에 집중되어 운전 효율 및 세척 효율이 저하되고 진동이 세척물까지 전달되지 않아 세척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조의 외부 측면에 초음파진동부가 설치되고 세척조의 외부 하면에 히팅부가 설치되며 세척조의 내부 하면에 세척수회전부가 설치되어 세척수의 요동, 가열 및 교반을 통하여 세척 및 해동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하우징에 구성되고 세척물과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세척조; 세척조의 외부 정면과 배면 등의 측면에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접촉 구성되고 초음파발진을 통하여 진동을 발생시켜 세척조 내부의 세척수가 요동치도록 하는 초음파진동부; 세척조의 외부 하면 중앙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접촉 구성되고 세척조에 소정의 온도가 전열되도록 하여 세척수가 가열되도록 하는 히팅부; 세척조의 내부 하면 양측에 노출 구성되고 세척조 내부의 세척수를 와류 회전시는 세척수회전부; 세척조의 내부 측면에 노출 구성되고 세척조 내부의 세척수에 미세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버블생성부; 및 하우징에 구성되고 초음파진동부, 히팅부, 세척수회전부 및 버블생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조의 외부 측면에 초음파진동부가 설치되고 세척조의 외부 하면에 히팅부가 설치되며 세척조의 내부 하면에 세척수회전부가 설치되어 세척수의 요동, 가열 및 교반을 통하여 세척 및 해동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히팅부를 통해 세척 및 해동뿐만 아니라, 고기를 조리하기 위해 삶거나 오랜시간동안 뼈를 고열로 끊여 국물로 우려낼 수 있어 식당에서 사용하기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세척장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에 구성되고 세척물과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세척조(120), 세척조(120)의 외부 정면과 배면 등의 측면에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접촉 구성되고 초음파발진을 통하여 진동을 발생시켜 세척조(120) 내부의 세척수가 요동치도록 하는 초음파진동부(130), 세척조(120)의 외부 하면 중앙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접촉 구성되고 세척조(120)에 소정의 온도가 전열되도록 하여 세척수가 가열되도록 하는 히팅부(140), 세척조(120)의 내부 하면 양측에 노출 구성되고 세척조(120) 내부의 세척수를 와류 회전시켜 진동 전달에 의한 세척수의 요동 세기가 증대되도록 하는 세척수회전부(150), 세척조(120)의 내부 측면에 노출 구성되고 세척조(120) 내부의 세척수에 미세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버블생성부(160) 및 하우징(110)에 구성되고 초음파진동부(130), 히팅부(140), 세척수회전부(150) 및 버블생성부(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7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는, 세척조(120)에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배수시키는 세척수공급부와 세척수배수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세척조(120), 초음파진동부(130), 히팅부(140), 세척수회전부(150), 버블생성부(160) 및 제어부(170) 등이 설치 구성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구성부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커버하거나 도어 기능을 제공하는 커버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세척조(120)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구성되고 통체 구조를 가지며 세척물과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상면이 개방된 통체 구조를 가지고, 히팅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열이 세척수에 신속하게 전열되도록 하는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세척조(120)의 하면에는 세척수가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세척물이 세척조(120)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거치체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초음파진동부(130)는, 세척조(120)의 외부 정면과 배면 등의 측면에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접촉 구성되고 초음파발진을 통하여 진동을 발생시켜 세척조(120) 내부의 세척수가 요동치도록 하고 세척물이 세척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제어신호와 동작전원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소자(131)와, 세척조(120)의 외부 측면에 접촉 상태로 설치되고 진동소자(131)의 진동이 세척조(120)에 전달되도록 하여 세척수가 요동치도록 하는 진동판(13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초음파진동부(130)는,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초음파진동부(130)는, 세척조(120)에 복수개가 설치 구성되는 경우, 서로 다른 주파수의 초음파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여 공명현상을 방지하고 세척물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팅부(140)는, 세척조(120)의 외부 하면 중앙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접촉 구성되고 세척조(120)에 소정의 온도가 전열되도록 하여 세척수가 가열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제어신호와 동작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소자(141)와, 세척조(120)의 외부 하면에 접촉 상태로 설치되고 가열소자(141)의 열이 세척조(120)에 전열되도록 하여 세척수가 가열되도록 하는 전열판(14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히팅부(140)는,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히팅부(140)는 세척조(120)의 하면에 가열소자(141)의 열을 전열시키는 전열판(142)이 보다 높은 열전도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전열판(142)이 중합체에 열전도용 충전제와 난연제가 혼합되어 전열 확산 기능을 제공하는 제1기능제와, 원적외선 방사제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인산, 강염기 및 물이 혼합되어 이물질의 흡착을 억제하여 원적외선 발생 및 부식과 열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제2기능제의 혼합에 의해 사출 성형 및 제조되며, 여기서, 제1기능제와 제2기능제는 소정의 부피비 일예로, 5:1의 부피비로 혼합된다.
먼저, 본 발명의 전열판(142)에 있어서, 제1기능제는, 중합체 100 중량부에 열전도용 충전제 60 내지 80 중량부 및 난연제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한다.
중합체는, 공지의 실리콘수지(Si resin), 에폭시수지(epoxy resin), 아크릴계수지(acrylic resin), 그 혼합물 및 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열전도용 충전제는, 중합체와 혼합되어 가열소자(141)로부터 전달된 열이 신속하게 세척조(120)로 확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평균입경을 갖는 제1충전, 제2평균입경을 갖는 제2충전제 및 제3평균입경을 갖는 제3충전제를 포함하고, 제1평균입경값은 10 내지 30㎛로 나머지 평균입경값들보다 크며, 제2평균입경값을 제1평균입경값으로 나눈 값은 0.17 내지 0.26이고, 제3평균입경값을 제1평균입경값으로 나눈 값은 0.09 내지 0.11이며, 상기 제1충전제, 제2충전제 및 제3충전제의 부피저항은 104Ωcm 이상 이고, 상기 제1충전제, 제2충전제 및 제3충전제는 단경/장경의 평균값이 0.6 내지 0.8이고, 상기 제2충전제 질량의 합/제1충전제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11 내지 16이거나 제3충전제 질량의 합/제1충전제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4.2 내지 5.2인 특성을 가진다.
제1충전제, 제2충전제 및 제3충전제는, 알루미나(Al2O3), 질화붕소(BN), 질화알루미늄(AlN), 질화규소(Si3N4), 마그네시아(MgO), 베릴리아(BeO), 산화아연(ZnO), 탄화규소(SiC), 지르코니아(ZrO2)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충전제는, 충전제 중 가장 큰 충전제로서, 평균입경이 10 내지 30㎛의 범위를 가지는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중합체와의 혼합시 적절한 점도 범위를 유지할 수 없어 방열하우징(110)의 표면이 매끈하게 유지될 수 없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제2충전제는, 중합체와 제1충전제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것으로서, 제2평균입경값을 제1평균입경값으로 나눈 값이 0.17 내지 0.26에 대응되는 평균입경을 가지는데, 상기와 같은 평균입경을 가지지 않는 경우 제1충전제와 접촉하지 못하고 이격되어 방열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제3충전제는, 제1충전제와 제2충전제들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것으로서, 제3평균입경값을 제1평균입경값으로 나눈 값이 0.09 내지 0.11에 대응되는 평균입경을 가지는데, 상기와 같은 평균입경을 가지지 않는 경우 제1충전제와 접촉하지 못하고 이격되어 방열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충전제, 제2충전제 및 제3충전제의 부피 저항은 104Ωcm 이상 인 것이 바람직하며, 부피 저항이 104Ωcm 미만이면 가열소자(141)에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감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충전제, 제2충전제 및 제3충전제는 단경/장경의 평균값이 0.6 내지 0.8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은 단경/장경의 평균값을 가지지 않는 경우 큰 충전제 입자 사이의 공간이 완전히 채워지지 않아 방열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충전제 질량의 합/제1충전제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11 내지 16이거나 제3충전제 질량의 합/제1충전제 질량의 합의 백분율은 4.2 내지 5.2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은 질량비를 가지지 않는 경우 작은 충전제가 큰 충전제가 형성하는 공간을 채울 정도만 첨가되지 않고 많이 첨가되거나 적게 첨가되어 큰 충전제가 이격되어 방열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여기서, 열전도용 충전제는,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 내지 80 중량부가 첨가 및 혼합되는데, 60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가열소자(141)로부터 전달된 열을 흡수하는 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8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합체와의 교반성이 크게 저하되어 작업성이 저하되고 전열판(142)의 표면 마감도가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난연제는, 전열판(142)을 제조하는 조성물들이 고온의 열과 열전도율에 의해 연소되거나 열변형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틸아이오다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난연제는,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부가 첨가 및 혼합되는데, 20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난연 기능이 저하되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성물들의 교반성이 저하되어 열전도율이 낮아지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제1기능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100 중량부에, 열전도용 충전제 70 중량부 및 난연제 30 중량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하여, 가열소자(141)의 전열을 통한 열전도율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기능제에 의하면, 세척조(120)에 전달되는 가열소자(141)의 열이 신속하게 확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가열소자(141)의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수단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열판(142)에 있어서, 제2기능제는, 원적외선 방사제,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 인산, KOH, NaOH 및 LiOH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강염기 및 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원적외선 방사제 100 중량부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 25 내지 50 중량부, 인산 2 내지 5 중량부, 강염기 6 내지 7 중량부 및 물 9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한다.
원적외선 방사제는, 세척조(120)에 가열소자(141)로부터 열 전달 및 확산시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일라이트, 황토, 규사토, 맥반석, 혈토, 숯가루, 은나노, 게르마늄 등과 같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천연 광물질 또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인 것이 좋다.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는, 전열판(142)에 외부의 충격 등에 대한 내구성을 제공하고 부식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원적외선 방사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내지 5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25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충돌 등에 대한 내구성과 부식방지성이 저하되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공지의 조성물일 수 있다.
인산은, 공기 중의 먼지 등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착 방지 부재로서, 원적외선 방사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2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먼지 등의 흡착 방지 기능이 저하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들의 교반성 및 결합성이 저하되어 전열판(142)의 성형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강염기는, 전열판(142)에 흡착되는 얼룩이나 먼지 등이 쉽게 제거되도록 하는 부재로서, 원적외선 방사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2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먼지 등의 흡착 방지 기능이 저하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흡착된 이물질의 단백질 등을 변형시켜 흡착에 의한 부식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물은, 상기 조성물들의 혼합 교반성을 향상시키고 점도를 조절하는 부재로서, 원적외선 방사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 내지 10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90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교반성이 저하되고, 10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성형후 경화 시간이 증가하여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수치한정에 따른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제2기능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적외선 방사제 100 중량부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 50 중량부, 인산 5 중량부, 강염기 7 중량부 및 물 100 중량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하여, 전열판(142)의 원적외선 방출과 오염 방지를 극대화하고 이물질에 의한 부식이나 열화를 억제하여 가열판(의 수명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기능제에 의하면, 전열판(142)에 외부로부터 이물질 흡착 등에 따른 오염과 부식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오염이 발생되더라도 세척액이나 고압의 에어를 통하여 쉽게 제거되도록 하여 전열판(142)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열판(142)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1기능제와 제2기능제가 5:1의 부피비로 혼합되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제1기능제와 제2기능제의 혼합 부피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전열판(142)의 사출 성형시 경화시간 조절 및 무게평균분자량의 조절에 어려움이 발생되어 경화불량과 물성 저하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하고, 또한, 이물질 제거 기능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히팅부(140)에 의하면, 세척조(120)의 하면에 전열 기능을 제공하여 세척수가 소정의 온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세척수를 이용하여 육류 등의 해동시 해동 작업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히팅부(140)에 의하면, 전열판(142)이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물질로 제조됨에 따라 전열판(142)을 이용한 전열을 통하여 세척수의 가열시 세척조 내부에 원적외선이 방사되도록 하여 육류의 표면과 심부가 균형있게 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세척수회전부(150)는, 세척조(120)의 내부 하면 양측에 노출 구성되고 세척조(120) 내부의 세척수를 와류 회전시켜 진동 전달에 의한 세척수의 요동 세기가 증대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세척조(120)의 설치공에 설치 구성되고 제어신호와 동작전원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51)와, 구동모터(151)에 설치되고 설치공에 노출된 상태에서 세척수를 와류 회전시켜 요동치는 세척수가 강하게 멀리 이동되도록 하여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는 회전체(152) 등을 포함한다.
구동모터(151)는,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체(152)는, 세척조(120)의 설치공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동모터(151)에 연결되고 구동모터(151)의 구동시 세척수를 와류 회전시키고 세척조(120) 내부에서 요동(shake)치도록 하여 세척조(120) 구석에 위치된 세척물의 세척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구동모터(151)에 결합되는 회전체바디와, 회전체바디에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세척수를 와류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회전날개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세척수회전부(150)에 의하면, 세척조(120) 내부에서 초음파진동부(130)에 의해 요동치는 세척수가 강한 에너지를 유지한 상태에서 멀리까지 이동되도록 하여 세척물의 오염물 제거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회전부(150)와 초음파진동부(130)의 동시 동작 또는 교번 동작을 통하여, 세척 효율이 보다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버블생성부(160)는, 세척조(120)의 내부 측면에 노출 구성되고 세척조(120) 내부의 세척수에 미세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세척조(120)의 내부 측면에 노출 구성되고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세척수에 버블이 생성되도록 하는 버블노즐(161)과, 버블노즐(16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16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버블생성부(160)는,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70)는, 하우징(110)에 구성되고 초음파진동부(130), 히팅부(140), 세척수회전부(150) 및 버블생성부(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하우징(110)의 상부에 구성되고 초음파진동부(130), 히팅부(140), 세척수회전부(150) 및 버블생성부(160) 등의 진동, 전열 및 요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어패널, 제어패널에 구성되어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입력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입력수단 및 제어패널에 구성되어 제어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척물의 세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세척조(120)의 내부에 세척물이 수용된 후 소정의 체적으로 세척수가 공급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초음파진동부(130)가 동작되고 초음파진동부(13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세척조(120)에 전달되어 세척조(120) 내부의 세척수가 강하게 요동치게 되면서 세척물의 오염물질이 제거된다.
여기서, 세척수회전부(150)나 버블생성부(160)가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 요동치는 세척수가 세척조(120)의 전체에 고르게 확산되고 또한, 세척수에 버블이 생성되어 세척물의 세척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해동이 필요한 해동물의 해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세척조(120)의 내부에 해동이 필요한 육류 등의 해동물이 수용된 후 세척수가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히팅부(140)가 동작되고 히팅부(14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세척조(120)에 전달되어 세척조(120) 내부의 세척수가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면서 해동물이 해동된다.
여기서, 초음파진동부(130), 세척수회전부(150) 및 버블생성부(160)가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 요동치는 세척수가 세척조(120)의 전체에 고르게 확산되고 또한, 세척수에 버블이 생성되어 소정의 온도를 가지는 세척수가 해동물에 고르게 전달되어 해동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세척조(120)의 외부 측면에 초음파진동부(130)가 설치되고 세척조(120)의 외부 하면에 히팅부(140)가 설치되며 세척조(120)의 내부 하면에 세척수회전부(150)가 설치되어 세척수의 요동, 가열 및 교반을 통하여 세척 및 해동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히팅부를 통해 세척 및 해동뿐만 아니라, 고기를 조리하기 위해 삶거나 오랜시간동안 뼈를 소정의 온도로 끊여 국물로 우려낼 수 있어 식당에서 사용하기 용이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에 구성되고 세척물과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세척조(120); 세척조(120)의 외부 정면과 배면 등의 측면에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접촉 구성되고 초음파발진을 통하여 진동을 발생시켜 세척조(120) 내부의 세척수가 요동치도록 하는 초음파진동부(130); 세척조(120)의 외부 하면 중앙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접촉 구성되고 세척조(120)에 소정의 온도가 전열되도록 하여 세척수가 가열되도록 하는 히팅부(140); 세척조(120)의 내부 하면 양측에 노출 구성되고 세척조(120) 내부의 세척수를 와류 회전시켜 진동 전달에 의한 세척수의 요동 세기가 증대되도록 하는 세척수회전부(150); 세척조(120)의 내부 측면에 노출 구성되고 세척조(120) 내부의 세척수에 미세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버블생성부(160); 및 하우징(110)에 구성되고 초음파진동부(130), 히팅부(140), 세척수회전부(150) 및 버블생성부(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고,
    히팅부(140)는,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소자(141)와; 세척조(120)의 외부 하면에 접촉 상태로 설치되고 가열소자(141)의 열이 세척조(120)에 전열되도록 하여 세척수가 가열되도록 하는 전열판(142)을 포함하며,
    전열판(142)은,
    중합체에 열전도용 충전제와 난연제가 혼합되어 전열 확산 기능을 제공하는 제1기능제와; 원적외선 방사제에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인산, 강염기 및 물이 혼합되어 이물질의 흡착을 억제하여 원적외선 발생 및 부식과 열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제2기능제의 혼합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초음파진동부(130)는,
    초음파를 이용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소자(131)와;
    세척조(120)의 외부 측면에 접촉 상태로 설치되고 진동소자(131)의 진동이 세척조(120)에 전달되도록 하여 세척수가 요동치도록 하는 진동판(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세척수회전부(150)는,
    세척조(120)의 설치공에 설치 구성되고 제어신호와 동작전원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51)와;
    구동모터(151)에 설치되고 설치공에 노출된 상태에서 세척수를 와류 회전시키는 회전체(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버블생성부(160)는,
    세척조(120)의 내부 측면에 노출 구성되고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세척수에 버블이 생성되도록 하는 버블노즐(161)과;
    버블노즐(16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1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
KR1020200171268A 2020-12-09 2020-12-09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 KR102306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68A KR102306837B1 (ko) 2020-12-09 2020-12-09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68A KR102306837B1 (ko) 2020-12-09 2020-12-09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837B1 true KR102306837B1 (ko) 2021-09-29

Family

ID=7792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268A KR102306837B1 (ko) 2020-12-09 2020-12-09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16560A (zh) * 2023-09-17 2023-12-29 瑞能光伏科技(句容)有限公司 一种热敏电阻的处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141B1 (ko) * 2013-10-16 2014-08-13 김남주 수저 및 행주 소독기
KR102152561B1 (ko) * 2020-02-07 2020-09-04 임준수 버블 세척 기능을 겸비한 와류 발생 기반의 농수산식품용 초음파 세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141B1 (ko) * 2013-10-16 2014-08-13 김남주 수저 및 행주 소독기
KR102152561B1 (ko) * 2020-02-07 2020-09-04 임준수 버블 세척 기능을 겸비한 와류 발생 기반의 농수산식품용 초음파 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16560A (zh) * 2023-09-17 2023-12-29 瑞能光伏科技(句容)有限公司 一种热敏电阻的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6837B1 (ko) 히팅부가 구비된 초음파세척장치
KR102280205B1 (ko) 세탁기
TWI280161B (en)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JP2005522041A (ja) メガソニックトランスデューサ共振器を使用するその場局所加熱
CA2488357A1 (en) Method for continuous internal agitation of fluid within hot water heaters or other fluid containing vessels
KR102282608B1 (ko) 압전 초음파 발생장치
EP0396363A2 (en) Ultrasonic induction apparatus and method
ES2230534T3 (es) Aparato de preparacion de bebidas con un calentador de agua y un dispositivo para inhibir la formacion de depositos calcareos.
CN211179772U (zh) 一种食品分析用恒温震荡箱
CN108158438B (zh) 洗米组件、上盖及烹饪器具
CN108435692A (zh) 一种高效超声波清洗机
KR100430747B1 (ko) 초음파 세탁기
KR101125414B1 (ko) 초음파 세척기
KR102145223B1 (ko) 압전 초음파 발생장치
CN112656340A (zh) 洗碗机烘干装置及烘干方法
JPH0663506A (ja) 超音波洗浄機
JP2002086068A (ja) 超音波振動ユニット、超音波洗浄装置、および超音波洗浄方法
KR200180913Y1 (ko) 불판 세척장치
CN211706628U (zh) 一种用于线锯用微粉的恒温超声波振荡器
JPH03181378A (ja) 洗浄装置
JPH07144180A (ja) 洗浄器
CN219037339U (zh) 一种超声处理装置
JP2002126668A (ja) 超音波洗浄装置
RU2116396C1 (ru) Способ стирки текстильных изделий
KR0179134B1 (ko) 초음파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