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708B1 -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용접포 - Google Patents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용접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708B1
KR102306708B1 KR1020200164544A KR20200164544A KR102306708B1 KR 102306708 B1 KR102306708 B1 KR 102306708B1 KR 1020200164544 A KR1020200164544 A KR 1020200164544A KR 20200164544 A KR20200164544 A KR 20200164544A KR 102306708 B1 KR102306708 B1 KR 102306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intermediate layer
substrate
halogen flame
welding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섭
김지홍
장진이
김문정
이원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성
Priority to KR1020200164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6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phosphorus or compounds thereof, e.g. with chlorophosphonic acid or salts thereof
    • D06M11/7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phosphorus or compounds thereof, e.g. with chlorophosphonic acid or salts thereof with metaphosphoric acids or their salts; with polyphosphoric acids or their salts; with perphosphor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6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Titanates; Zirconates; Stannates; Plumb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boron or compounds thereof, e.g. borides
    • D06M11/8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boron or compounds thereof, e.g. borides with boron oxides; with boric, meta- or perboric acids or their salts, e.g. with borax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30Flame or heat resistance, fire retardancy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에 관한 것으로서, 면부직포를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면부직포를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수용액에 함침시켜 기재를 제조하는 제2단계와, 상기 기재 상에 난연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해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 50~80중량부를 혼합한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중간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중간층 상에 상기 기재를 적층하여 상기 기재를 합지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용접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면부직포를 기재의 재료로 사용하고, 비할로겐 물질을 이용한 반응성 난연성 재료를 사용하여, 균일한 난연 특성을 제공하고, 전체적으로 유기물 조성을 최소화하여 난연 특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용접포{Manufacturing method of Cloths using non-halogen flame retardant component and Cloths thereby}
본 발명은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에 관한 것으로서, 면부직포를 기재의 재료로 사용하고, 비할로겐 물질을 이용한 반응성 난연성 재료를 사용하여, 균일한 난연 특성을 제공하고, 전체적으로 유기물 조성을 최소화하여 난연 특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용접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산업의 발달과 함께 각종 산업 현장에서는 작업자 보호 및 주변 환경의 보호를 위한 다양한 방호복에 대한 소재의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방화복, 용접복 등과 같은 방호복은 주로 방염 및 난연처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인 방법으로 유기물질로 된 소재의 표면에 할로겐계 또는 질소계 화화물을 포함하는 난염 조성물을 도포하여 유기물질로 된 소재에 난연성을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난염 조성물의 경우 첨가제 형식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분산 불량에 의한 난연성 불균일, 난연제의 표면 이동으로 인한 경시변화, 내구성 결여 등의 문제와 접착력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며, 생산과정 및 사용과정에서 다량의 환경오염 물질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유리섬유나 탄소섬유 등을 이용하여 왔으나, 이를 직물형태로 직조하여 사용시, 착용감이 떨어지고, 탄소섬유의 경우 비용이 상당히 고가로 형성되어 경제적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라미드도 난연 직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고가로 경제적 부담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리섬유로 직조된 용접포 표면에 실리콘 코팅을 한 경우도 있으나, 용접과정에서 발생되는 그 온도를 견디지 못하여 용접포 표면에 실리콘 코팅된 부분이 타버리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방염, 난연 처리된 용접복의 경우 뻣뻣하여 착용감이 떨어져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면부직포를 기재의 재료로 사용하고, 비할로겐 물질을 이용한 반응성 난연성 재료를 사용하여 균일한 난연 특성을 제공하고, 전체적으로 유기물 조성을 최소화하여 난연 특성이 우수한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용접포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면부직포를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면부직포를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수용액에 함침시켜 기재를 제조하는 제2단계와, 상기 기재 상에 난연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해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 50~80중량부를 혼합한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중간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중간층 상에 상기 기재를 적층하여 상기 기재를 합지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용접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수용액의 농도는 40~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층은, 필름(Film)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기재를 합지하게 되고, 상기 중간층은, 그루브(Groove) 가공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그루브는, V자 또는 U자 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층 표면에서부터 50~80%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층은, 메쉬(Mesh) 형태, 돗트(Dot) 또는 스트라이프(Stripe)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기재를 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간층은,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층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의 함량을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 입자의 크기는, 1~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는, 이산화티타늄(TiO2)을 50~80중량부를 더 추가할 수 있으며, 상기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는, 흑연을 1~20중량부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면부직포를 기재의 재료로 사용하고, 비할로겐 물질을 이용한 반응성 난연성 재료를 사용하여, 균일한 난연 특성을 제공하고, 전체적으로 유기물 조성을 최소화하여 난연 특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화염 또는 용접 불티를 받으면 1차적으로 표면의 수용성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함침 면부직포(기재)가 탄화층을 형성하여 용접 불티의 비산을 막아주고, 중간층인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이 화염의 침투를 막고, 최종적으로 다른 한층의 수용성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함침 면부직포(기재)가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는 난연 특성이 우수하여 작업자 보호 및 주변 환경의 보호를 위한 다양한 방화복, 용접복 및 용접포 등의 소재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2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난연 폴리우레탄 합성표를 나타낸 도.
도 3 - 본 발명에 따라 합성된 난연 폴리우레탄의 난연성 평가 결과 데이타를 나타낸 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내화테스트 방법에 대한 예시도.
도 5 -- 비교예 1 및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 대한 내화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도.
도 6 - 비교예 2 및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에 대한 내화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도.
본 발명은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과 폴리우레탄을 혼합한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용접포에 적용하여 방염 및 난연 특성이 우수한 용접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은 면부직포를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면부직포를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수용액에 함침시켜 기재를 제조하는 제2단계와, 상기 기재 상에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해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 50~80중량부를 혼합한 난연조성물을 이용한 중간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중간층 상에 상기 기재를 적층하여 상기 기재를 합지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면부직포를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수용액에 함침시켜 형성된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되며, 난연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해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 50~80중량부를 혼합한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며,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기재를 합지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를 제조하기 위해서, 면부직포를 준비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모다크릴과 같은 할로겐 합성 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면부직포와 같은 비할로겐 섬유를 기재의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다른 난연 섬유에 비해 매우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며, 가죽 난연 소재에 비해 착용감은 좋으며, 통기성이 개선된 장점이 있다.
상기 면부직포의 두께는 0.2~0.5mm 정도를 사용하며, 작업 환경에 따라 두께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면부직포를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수용액에 함침시켜 기재를 제조한다. 상기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수용액의 농도는 40~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용성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수용액의 농도가 40중량% 이하이면 난연 효과가 떨어지고, 50중량% 이상이면 건조 후 표면에 분말형식으로 석출(잔류)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성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40~50중량% 수용액에 일반 면부직포를 함침시킨 후 맹글로 여분의 액을 제거하고 일반적인 열풍건조기 70℃ 에서 10분, 100℃에서 15분, 130℃에서 10분간 건조시켜 기재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기재 상에 난연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해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 50~80중량부를 혼합한 난연조성물을 이용한 중간층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할로겐계 또는 질소계 난연재의 경우 첨가제 형식으로 사용하므로, 분산 불량에 의한 난연성 불균일, 난연재의 표면 이동으로 인한 경시변화, 내구성 결여 등의 문제와 접착력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며, 생산과정 및 사용과정에서 다량의 환경오염 물질을 발생시키고 있다.
여기에서 난연재를 수지와 결합시켜 일체화시키면 상기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난연재를 우레탄 수지와 일체화시킨 반응성 난연재인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상기 기재 간의 합지를 위한 접착제(중간층)로 사용함으로써, 방염전파 열차단 소재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중간층을 이루는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난연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해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 50~80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65~75중량부로 사용한다.
상기 함량보다 적으면 바인더로서의 작용이 미약하고, 너무 많으면 용접 불티에 견디는 내열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난연 폴리우레탄의 합성은 폴리올, Chain extender(쇄연장재)와 Diisocyanate(디이소시아네이트)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원하는 liner polyurethane chain을 합성하였으며, 폴리우레탄 수지의 solid content는 30~70wt%로 하였다.
전체 폴리올 함량의 10~30wt%를 난연 폴리올(FR 폴리올, Flame retardant Polyol)을 사용하였고, 적외선 분광장치를 사용하여 960cm-1 부근의 P-O-P 결합의 유무를 통해 난연 우레탄 수지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함량보다 낮아지면 난연성이 떨어지고, 상기 함량보다 많아지면 딱딱해져 용접복과 같은 의복류에의 적용에는 한계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난연 폴리우레탄 합성표를 나타낸 것으로, 단위는 고형분 무게 대비(wt%) 이다.
본 발명에 따라 합성된 난연 폴리우레탄의 난연성 평가는 난연폴리에스테/FR Rayon 혼방인 HWJQ-FR1005와 면30수 CM-30PL을 기재로 사용하여 각각에 일반 폴리우레탄 수지와 상기 합성된 난연 폴리우레탄 수지를 코팅한 후 시편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10초간 버너 불꽃으로 불을 붙인 후 버너를 제거하였을 때, 상기 합성 난연 폴리우레탄을 코팅한 경우는 약 1.0cm 연소 후 불꽃이 꺼지고, 비난연 일반 폴리우레탄 수지를 코팅한 경우는 7.0cm 타들어 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에 이를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는, 이산화티타늄(TiO2)을 50~80중량부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이는 붕사는 녹는점이 743℃, 끓는점이 1575℃이고, 이산화티타늄은 녹는점 1843℃, 끓는점 2972℃으로, 상기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이산화티타늄(입자 크기 0.25~0.35 ㎛ 정도임)을 혼합함으로써, 난연 특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는, 흑연을 1~20중량부를 더 추가하여 난연 특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은 필름(Film) 형태, 메쉬(Mesh) 형태, 돗트(Dot) 또는 스트라이프(Stripe) 형태, 또는 이들을 혼합한 형태 등 다양한 조직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기재의 재료로 면부직포를 사용한 경우, 그리고 이를 합지하는 경우 특히 뻣뻣한 느낌이 들 수 있으므로, 면부직포의 두께나 용도에 따라 상기 중간층을 다양한 조직 형상으로 제조하여, 뻣뻣함을 줄이고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기재를 합지하고 전체적으로 난연 특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중간층을 사용하므로,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조직 형상으로의 변형도 가능하다.
상기 중간층이 필름 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기재 표면에 상기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메쉬 형태, 돗트 또는 스트라이프 형태의 경우 그라비아 인쇄, 스크린 인쇄, 마스크 인쇄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기재 상에 형성한 후, 40~100℃ 정도에서 열풍 건조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중간층의 두께는 0.02~0.2mm 정도로 형성되며, 이보다 더 두꺼우면 뻣뻣함이 증가하여 착용감이 떨어지며, 이보다 더 얇으면 난연 특성의 확보가 어렵다.
상기 중간층이 필름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중간층은, 그루브(Groove) 가공(홈가공)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그루브는, V자 또는 U자 형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층 표면에서부터 50~80%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층이 특히 필름 형태로 형성된 경우 그루브를 형성함으로써, 중간층이 기재에 잘 밀착되도록 하면서, 용접포의 뻣뻣함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간층은,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층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의 함량이나 입자 크기를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 입자의 크기는, 1~100㎛이며, 입자의 크기가 큰 것은 50~100㎛, 작은 것은 1~20㎛로, 이들을 적절히 혼합하여 단일층의 중간층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을 적절히 분배하여 복수층의 중간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중간층 상에 상기 기재를 적층하여 상기 기재를 합지하여 최종 본 발명에 따른 용접포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기재의 합지는 롤러에 의해 압력을 가하여 균일하게 합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를 이용한 실험 테스트 결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용접 또는 절단할 때 발생하는 불꽃은 스파크, 슬래그(slag) 이외에도 금속 용융물 등이 있고, 그 온도는 발생시 2000~3000℃라고 한다. 이 불티는 작지만 온도가 1500℃(철 융점 1538℃)에 이르며, 입자의 크기, 비산 거리 등에 따라 온도 차이가 있다. 절단 높이가 1.5m의 경우 적열한 스파크의 일반적인 비산 거리는 3m 정도이지만 5m를 넘어 최대 10m 정도까지도 비산하는 경우도 있다. 스파크의 평균입자는 1mm 이하의 것이 많지만 작업 종류에 따라 더 큰 것도 발생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화테스트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내화테스트 샘플을 용접 불꽃 아래에 놓아두고 약 30초간 용접 불꽃을 비산시켜 표면과 배면의 탄화 및 핀홀 생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기재는 면부직포 C20(두께 0.32mm)과 C10(두께 0.66mm)을 사용하였으며, 도 5에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도 6에 비교예 2 및 실시예 1을 나타내었다.
도 5의 비교예 1은 두께 0.32mm의 면부직포를 수용성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50중량% 수용액에 침지 후 맹글로 여분의 액을 제거하고 일반적인 열풍건조기 70℃ 에서 10분, 100℃에서 15분, 130℃에서 10분간 건조시켜 기재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1은 상기 비교예 1의 기재 상에 0.03mm 두께의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난연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해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 70중량부를 혼합)을 필름 형태로 도포하여 중간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상기 기재를 적층하여 합지한 것이다.
도 6의 비교예 2는 두께 0.66mm의 면부직포를 수용성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50중량% 수용액에 침지 후 맹글로 여분의 액을 제거하고 일반적인 열풍건조기 70℃ 에서 10분, 100℃에서 15분, 130℃에서 10분간 건조시켜 기재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2는 상기 비교예 2의 기재 상에 0.03mm 두께의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난연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해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 70중량부를 혼합)을 필름 형태로 도포하여 중간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상기 기재를 적층하여 합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우수한 난연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면부직포를 기재의 재료로 사용하고, 비할로겐 물질을 이용한 반응성 난연성 재료를 사용하여, 균일한 난연 특성을 제공하고, 전체적으로 유기물 조성을 최소화하여 난연 특성을 개선하였다.
또한 화염 또는 용접 불티를 받으면 1차적으로 표면의 수용성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함침 면부직포(기재)가 탄화층을 형성하여 용접 불티의 비산을 막아주고, 중간층인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이 화염의 침투를 막는다. 최종적으로 다른 한층의 수용성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함침 면부직포(기재)가 피부를 보호하게 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는 난연 특성이 우수하여 작업자 보호 및 주변 환경의 보호를 위한 다양한 방화복, 용접복 및 용접포 등의 소재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24)

  1. 면부직포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면부직포를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수용액에 함침시켜 기재를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기재 상에 난연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해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 50~80중량부를 혼합한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중간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
    상기 중간층 상에 상기 기재를 적층하여 상기 기재를 합지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수용액의 농도는 40~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필름(Film)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기재를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그루브(Groove) 가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V자 또는 U자 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층 표면에서부터 50~80%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메쉬(Mesh)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기재를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돗트(Dot) 또는 스트라이프(Stripe)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기재를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복수층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의 함량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 입자의 크기는,
    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는,
    이산화티타늄(TiO2)을 50~80중량부를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는,
    흑연을 1~20중량부를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13. 면부직포를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수용액에 함침시켜 형성된 기재;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되며, 난연 폴리우레탄 100중량부에 대해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 50~80중량부를 혼합한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기재를 합지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수용액의 농도는 40~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필름(Film)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기재를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그루브(Groove) 가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V자 또는 U자 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층 표면에서부터 50~80%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메쉬(Mesh)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기재를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돗트(dot) 또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기재를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복수층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의 함량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
  22.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붕산나트륨 또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물 입자의 크기는,
    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
  23.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는,
    이산화티타늄(TiO2)을 50~80중량부를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
  2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는,
    흑연을 1~20중량부를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
KR1020200164544A 2020-11-30 2020-11-30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용접포 KR102306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544A KR102306708B1 (ko) 2020-11-30 2020-11-30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용접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544A KR102306708B1 (ko) 2020-11-30 2020-11-30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용접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708B1 true KR102306708B1 (ko) 2021-10-01

Family

ID=7811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544A KR102306708B1 (ko) 2020-11-30 2020-11-30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용접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7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4486A (ko) 2022-08-17 2024-02-26 정민규 수성 용액을 이용한 코팅 용접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 용접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604B1 (ko) * 2008-06-20 2009-05-21 두성산업 주식회사 비할로겐계 난연 접착제가 코팅된 도전성 난연 원단 및 그제조 방법
KR20100010374A (ko) * 2008-07-22 2010-02-01 (주)디케이티 비할로겐계 난연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2856A (ko) * 2011-05-30 2012-12-10 신승봉 직물용 내화성 조성물 및 이의 코팅 방법
KR102176024B1 (ko) * 2018-11-22 2020-11-09 주식회사 서원코리아 건축물의 내외장재의 열반사용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준 불연 단열 보드
KR102181421B1 (ko) * 2019-10-24 2020-11-24 (주)에이디비앤에이치 친환경 발포성 내화 코팅제, 이를 이용한 난연부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604B1 (ko) * 2008-06-20 2009-05-21 두성산업 주식회사 비할로겐계 난연 접착제가 코팅된 도전성 난연 원단 및 그제조 방법
KR20100010374A (ko) * 2008-07-22 2010-02-01 (주)디케이티 비할로겐계 난연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2856A (ko) * 2011-05-30 2012-12-10 신승봉 직물용 내화성 조성물 및 이의 코팅 방법
KR102176024B1 (ko) * 2018-11-22 2020-11-09 주식회사 서원코리아 건축물의 내외장재의 열반사용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준 불연 단열 보드
KR102181421B1 (ko) * 2019-10-24 2020-11-24 (주)에이디비앤에이치 친환경 발포성 내화 코팅제, 이를 이용한 난연부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4486A (ko) 2022-08-17 2024-02-26 정민규 수성 용액을 이용한 코팅 용접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 용접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79109B1 (en) Burn protective materials comprising expandable graphite
CN106626656B (zh) 一种阻燃汽车内饰面料复合物及其应用
US10364527B2 (en) Burn protective materials
TWI449828B (zh) 金屬被覆布帛
EP1778478A1 (en) Intumescent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JP2007016357A (ja) 難燃性に優れたスエード調人工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95458B2 (ja) 合成皮革
KR102306708B1 (ko)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용접포
KR100812748B1 (ko) 난연성 및 통기성을 갖는 환경친화적 패블릭 섬유소재 및그 제조방법
CN107553992A (zh) 一种机动车内饰环保阻燃面料复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278824B1 (ko) 친환경 비할로겐 방염 조성물을 이용한 용접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용접포
CN202480468U (zh) 一种阻燃活性炭布
JP2014173195A (ja) 立体プリント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555042B1 (en) Flame-retardant metal-coated cloth
CN108773119A (zh) 一种阻燃单面绒复合面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08006395A1 (en) Process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flame-retardant fabric
US11105039B2 (en) Burn protective materials
JP4169581B2 (ja) 難燃性人工皮革
CN211307672U (zh) 一种均匀革基布
KR101304253B1 (ko) 산업안전작업복용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29253B1 (ko) 매트리스용 난연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1027B1 (ko) 내염성 인조피혁재 및 그 제조방법
CN112455018A (zh) 一种耐火服及其缝纫面料
KR20120132856A (ko) 직물용 내화성 조성물 및 이의 코팅 방법
CN218660800U (zh) 一种隔热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