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630B1 -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630B1
KR102306630B1 KR1020200012262A KR20200012262A KR102306630B1 KR 102306630 B1 KR102306630 B1 KR 102306630B1 KR 1020200012262 A KR1020200012262 A KR 1020200012262A KR 20200012262 A KR20200012262 A KR 20200012262A KR 102306630 B1 KR102306630 B1 KR 102306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effect
karaoke
control means
sound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8273A (ko
Inventor
손영철
Original Assignee
손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철 filed Critical 손영철
Priority to KR1020200012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630B1/ko
Publication of KR20210098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05Musical accompaniment, i.e. complete instrumental rhythm synthesis added to a performed melody, e.g. as output by drum machi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래방을 이용중에 예측 불가능한 효과음신호를 제공하여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킬 수 있는 건전한 놀이문화를 제공하되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녹음 후, 그 녹음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구간이 선택적으로 이동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는 효과음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지 또는 착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몸체부 및 제어신호의 제어를 통해 음성신호를 개별적으로 녹음하되 근거리 전기회선통신망와 연결된 이동단말기에 녹음 완료된 각각의 녹음정보 전체 또는 일부구간이 선택적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하며, 노래방기기와 연동되는 설정조건에 따라 효과음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Effect sound producer for singing room}
본 발명은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방에서 노래를 하는 경우 통상 선곡을 하게 되고, 선곡이 이루어지면 미리 메모리 된 반주음이 흘러나오게 되며, 사용자는 화면으로 표시되는 노래가사를 보고 반주음에 맞춰 노래를 부른다.
따라서 미리 녹음되어 있는 반주음 만이 스피커로 출력되므로, 정해져 있는 음악 즉 미리 메모리 되어 있는 상태의 음악을 듣게 되어 노래를 부를 때 효과가 떨어지는 것이었다.
이를 감안하여 노래방에서 템버린을 비롯한 여러 가지 소도구를 준비하여 효과음을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노래방의 분위기를 향상시켜 노래 부르는 사람의 기분이 고조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노래방에 구비된 템버린은 그대로 두드리는 것보다 특정 박자에 맞추어 흥이 나게 두드리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나 템버린을 신나게 두드리는 사람이 드물고, 또한 템버린의 효과음과 별도의 추임새를 필요로 하나 이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키는 사람도 드물어 노래방에서 신나게 흥을 돋우기가 힘든 것이었다.
또한, 이용자에 의한 노래방에서의 즐거운 추억을 항시 남겨 놓기 위해 해당 노래방을 이용하는 시간대 전체에 걸쳐 녹음을 실시하는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녹음서비스는 기본 1시간 정도의 노래방 이용시간에 대한 녹음파일의 전체용량이 방대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어 단지 추억으로 회상하는 수준으로 만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274046호 “다기능네트워크노래방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65029호 “휴대폰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에서 EVRC 보코더를이용한 효과음의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규칙 또는 불규칙하되 예상치 못한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는 효과음을 제공하여 노래방을 이용시에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킬 수 있는 건전한 놀이문화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용자의 음성신호를 녹음하되 그 녹음된 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구간을 해당 이용자가 소지한 이동단말기에 용이하게 전송시켜 노래방의 이용 이후에도 용이하게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는 파지 또는 착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제1기설정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음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기설정조건은 노래방기기로부터 점수를 산정하기 위한 포인트정보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대비포인트와 비교한 결과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음성신호를 녹음하고 이를 음성파일로 저장하되, 제2기설정조건에 따라 상기 음성파일 중 일부를 추출하여 근거리 전기회선통신망에 의하여 연결 및 등록된 이동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기설정조건은 웃음소리가 상기 음성신호 중 하나로 입력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복수의 효과음신호가 미리 저장된 저장부;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효과음신호 중 어느 하나를 규칙 또는 무작위 패턴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효과음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는, 착용가능한 장갑(Glove)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착용부재; 상기 착용부재에 상기 제어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케이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갑 형상의 외면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몸체부를 착용한 착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제어수단을 통해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는 예측 불가능한 효과음신호를 제공하여 노래방을 이용시에 그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켜 즐거운 놀이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사용자의 노래가 녹음된 녹음정보의 전체 또는 효과음신호에 의해 추억이 될 수 있는 일부구간에 해당하는 녹음정보가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에 전송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시기에 항시 청취가 가능한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에 대한 몸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부재에 설치된 제어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에 대한 제어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에 대한 파일스위치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에 대한 효과음스위치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에 대한 설정조건스위치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에 대한 동작설정스위치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의 제공장치(1)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노래방(Singing Room)에서 사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휴양지나 펜션 등과 같이, 사용자(노래하는 사람을 지칭)에 의해 입력된 입력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노래하기 위한 음향신호인 반주가 출력되되 그 노래에 따른 대한 포인트정보(예를 들어, 노래점수)를 출력할 수 있는 노래방기기(10)가 사용될 수 있는 공간에서도 사용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공장치(1)는 크게 사용자에 의해 파지나 착용 등이 가능한 몸체부(100) 및 노래방기기(10) 뿐만 아니라, 이동단말기(20)와 근거리 전기회선통신망과 연결되게 해당 몸체부(100)에 설치되어 설정된 조건에 따라 효과음신호를 출력하며, 사용자의 노래를 파일로 변환하여 녹음 및 해당 녹음된 파일을 이동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는 제어수단(200)의 구성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노래를 실행하는 사용자 이외에 그 주변인인 착용자(사용자 이외의 사람을 지칭)를 통해 웃음을 자아낼 수 있는 저장된 멘트(예를 들어, "여기서 이러시면 곤란합니다"나 웃음소리인 "하하하", "호호호" 등)를 효과음신호로 제공하되 후술하는 발광부(215)와 동반되는 다른 보조효과음신호(예를 들어, '박수소리'나 '탬버린소리' 등)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그 분위기가 한층 고조될 수 있는 상황이 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도 6 및 도 8 참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예컨대 상기 몸체부(100)는 후술하는 제어수단(200)이 유지보수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사용자나 착용자를 통해 착용되어 해당 제어수단(2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착용부재(110) 및 케이스부재(120)의 구성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부재(110)는 전체적으로 장갑(Glove)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착용될 수 있도록 하되 필요에 따라 장갑의 형상 이외에 파지 가능한 형상(예를 들어, 탬버린이나 소정길이를 갖는 봉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예로는, 몸체부(100)는 원반형태를 띄면서 그 전면에는 스위칭모듈(220), 배면에는 파지수단이 구성되며, 복수의 발광부(215)가 전면 및 배면에 분산되어 배치되는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장갑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착용부재(110)는 면이나 가죽 등의 신축성이 있되 착용자의 피부에서 배출되는 땀 등이 외기에 노출되어 건조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 재질의 것이 사용되되 그 외면 즉, 착용자의 손등 부분에는 케이스부재(12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부재(120) 내부에 설치된 제어수단(200)의 제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착용부재(110) 외면 적어도 일부에는 엘이디(LED)로 이루어진 발광부(215)가 다수 설치되어 전원공급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발광부(215)의 바람직한 설치는 상기 착용부재(110)를 착용한 이후에 착용자가 박수 등의 행동을 실행시에 상기 발광부(215) 이외에 제어수단(200)이 설치된 케이스부재(120)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손바닥 부분은 제외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발광부(215)는 착용부재(110)에 다수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필요에 따라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는 케이스부재(120)에 다수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착용부재(110) 외면에는 케이스부재(120)와 탈착이 용이하게 부직포나 스냅단추 등으로 이루어진 부착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재(120)는 회로판으로 구성된 제어수단(200)이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케이스부재(120) 외부로 상기 제어수단(200)이 노출되어 조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체적으로 함체 형상을 가지며, 서로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하여 개폐될 수 있는 하부케이스(121) 및 상부케이스(122)의 구성을 포함한다(도 3에서 각 케이스의 높이는 다소 과장되어 도시되었다).
하부케이스(121)는 하면이 상술한 착용부재(110)의 외면과 부착부재를 통하여 부착되되 그 내부에 제어수단(200)이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부케이스(122)는 하부케이스(121)와 나사 결합 등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하부케이스(121) 내부에 고정 설치된 제어수단(20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되 그 외면에는 상기 제어수단(200)의 구성이 조작가능하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천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예시적으로 관통공은 후술하는 스위치모듈(220)는 물론, 조작되는 상황이 육안으로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게 문자, 숫자 및 기호 등의 표시수단으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213), 마이크(214) 및 스피커(212) 등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수단(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되는 구성으로 제어신호의 제어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개별적으로 녹음 후, 이동단말기(20)로 전송가능하게 하며, 노래방기기(10)와 연동되는 설정조건에 따라 효과음신호나 보조효과음신호를 출력하여 분위기가 한층 고조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근거리통신모듈(211), 착용부재(110)나 케이스부재(120)에 구비된 마이크(214)와 스피커(212), 발광부(215), 저장부(216), 동작센서(217), 스위치모듈(220) 및 이들을 제어하는 마이컴(210)을 포함한다.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한정된 구역 내에서 기 설정된 패스워드의 입력을 통해 다수의 주변기기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본 발명에서의 근거리통신모듈(211)은 마이컴(210)의 제어를 통해 노래방기기(10), 스마트폰 및 노트북 등과 같은 이동단말기(2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컴(210)은 근거리통신모듈(211)을 통해 사용자의 노래 이후에 그 노래에 대한 평가를 점수로 연산한 포인트정보를 노래방기기(10)에서 인가받는다. 이후, 마이컴(210)은 마이크(214)를 통해 전달된 음성신호(사용자의 노래)를 음성파일(예를 들어, 웨이브(wav)이나 엠피쓰리(mp3) 형식 등)로 전환하여 저장부(216)에 저장하고,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저장된(또는 임시저장된) 음성파일을 이동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인가받은 전원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발광하는 엘이디(LED) 등으로 이루어진 발광부(215)는 상술한 착용부재(110) 또는 케이스부재(120)에 다수 구비되되 모드설정스위치(224)를 통해 다수의 상기 발광부(215)의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216)는 사용자의 음성신호인 음성파일 형식으로 이루어진 녹음정보의 저장은 물론, 효과음신호 및 보조효과음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마이컴(210)은 설정된 조건, 예를 들어 효과음스위치(222)나 동작설정스위치(225)의 조작에 따라 저장부(216)에 저장된 음성파일, 효과임신호, 보조효과음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216)는 동작설정스위치(225)와 마이컴(210)의 제어를 통해 사용자나 착용자가 직접 마이크(214)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추가효과음신호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216)는 파일의 삭제와 입력이 가능한 저장공간 즉, 추가효과음신호가 입력/저장되는 공간과 파일의 삭제나 입력이 불가능한 저장공간 즉, 효과음신호나 보조효과음신호가 저장된 공간이 개별적으로 분할 형성되도록 한다.
항상 처음에 설정한 방향을 유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물체의 방위 변화를 측정하는 자이로센서(Gyro sensor) 등으로 이루어진 동작센서(217)는 케이스부재(120) 내부에 설치되며, 동작설정스위치(225)를 통해 온/오프(ON/OFF)된다.
스위치모듈(220)은 녹음정보의 검색/선택, 효과음신호(보조효과음신호 포함)의 검색/선택, 노래방기기(10)에서 전송되는 포인트정보와 대비되는 설정조건의 조작 및 발광부(215)의 발광모드 검색/선택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스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파일스위치(221), 효과음스위치(222), 설정조건스위치(223), 모드설정스위치(224) 및 동작설정스위치(225)의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모듈(220)은 조작의 편의성을 위해 디스플레이(213)로 설정과정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일스위치(221)는 마이크(214)를 통해 사용자의 노래인 음성신호를 녹음정보로 저장한 파일을 검색할 수 있는 스위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케이스부재(120)에 업(UP)/다운(DOWN) 가능하게 복수로 구비되어 디스플레이(213)에 표시되는 파일스위치(221)를 활성화하여 개별적으로 녹음된 녹음정보 전체(노래방 이용중인 시간 전체도 포함)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며, 원하는 녹음정보의 검색이 완료되면 이동단말기(20)에 전송하여 저장될 수 있도록 활성화시킨다.
이때, 디스플레이(213)를 통해 표시되는 녹음정보는 사용자가 노래한 노래의 제목 등이 포함된 노래정보가 함께 표시되어 용이하게 사용자의 노래를 검색 후, 이동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파일스위치(221)는 부가적으로 저장부(216)에 저장된 각각의 녹음정보 전체를 개별적으로 이동단말기(20)에 전송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각각의 녹음정보 중 일부구간(예를 들어, 효과음신호 등을 통해 사용자나 착용자의 웃음이 유발된 경우에 이 부분이 녹음된 부분)에 대하여 추출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단말기(20)에 전송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간이 지난 이후에 그 전송된 일부구간을 청취하여 추억을 되살릴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이때, 녹음정보의 일부구간을 전송을 위한 조건은 이동단말기(20)로 전송하고자 하는 특정시점(예를 들어, 마이컴(210)에 의하여 웃음소리가 들린 것으로 판단된 부분)을 기준으로 그 전이나 그 후의 수 분(minute)에서 수 초(second)의 시간설정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음스위치(222)는 조작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노래하는 도중이나 설정조건스위치(223)에 의해 조작된 설정조건에 부합하는 점수를 사용자가 획득하지 못한 경우, 해당 사용자로 하여금 기분이 나쁘지 않을 정도의 민망한 멘트인 효과음신호가 스피커(21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케이스부재(120)에 업(UP)/다운(DOWN) 가능하게 복수로 구비되어 디스플레이(213)로 표시되는 저장부(216)에 저장된 다수의 효과음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검색 후, 선택된 해당 효과음신호가 동일 또는 무작위의 패턴으로 스피커(212)에 의해 출력될 수 있게 조작할 수 있다. 마이컴(210)는 착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효과음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21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착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 저장된 효과음신호 이외에 마이크(214)를 통해 직접 새로운 효과음신호가 입력 및 저장하여 그 입력된 새로운 효과음신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새로운 효과음신호는 효과음스위치(222)를 통해 입력 후, 활성화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정조건스위치(223)는 노래방기기(10)에서 점수로 제공하는 포인트정보와 대비할 수 있는 기준점수인 대비포인트를 착용자가 직접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여기서, 포인트정보는 노래방기기(10)에서 노래가 끝난 후 화면에 표시하는 점수 산정을 위한 점수의 중간 집계정보일 수 있다. 한편, 대비포인트는 포인트정보와의 비교를 위한 점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비포인트가 50인 경우, 포인트정보가 70이면 대비포인트를 넘은 것으로 판정되며, 포인트정보가 30이면 대비포인트를 넘지 못한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조건스위치(223)는 케이스부재(120)에 업(UP)/다운(DOWN) 가능하게 복수로 구비되어 디스플레이(213)의 표시를 통해 대비포인트를 설정하여 활성화시킨다.
이를 통해 설정조건스위치(223)로 설정된 대비포인트보다 노래방기기(10)에서 마이컴(210)으로 전송되는 포인트정보가 낮은 경우, 상술한 효과음스위치(222)를 통해 설정된 효과음이 자동으로 스피커(212)에 출력되어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해당 포인트정보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마이컴(210)의 제어를 통해 동작설정스위치(225)에서 설정된 보조효과음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노래방기기(10)에서 산정되는 점수를 이용하여 이를 대비포인트와 비교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마이컴(210)에서 자체 알고리즘을 통하여 노래하는 사람의 점수를 직접 산정하고 이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대응하는 효과음을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모드설정스위치(224)는 발광부(215)의 발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를 의미하며, 케이스부재(120)에 하나의 버튼으로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215) 발광이 마이컴(210)의 제어를 통해 전체 또는 일부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활성화시킨다.
동작설정스위치(225)는 동작센서(217)와 연결된 마이컴(210)에 의해 제어되며, 저장부(216)에 저장된 보조효과음신호가 스피커(212)에 의해 출력될 수 있도록 활성화시킨다.
예컨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설정스위치(225)는 케이스부재(120)에 하나의 버튼으로 구비되어 디스플레이(213)의 표시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보조효과음신호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마이컴(210)은 착용자가 손을 흔드는 등의 행위를 하면 동작센서(217)를 통하여 이를 명령신호로 인식하며, 탬버린 등과 같은 악기소리나 새소리 및 박수소리와 같은 선택된 보조효과음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제공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몸체부(100)를 착용한 착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제어수단(200)을 통해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는 예측 불가능한 효과음신호를 제공하여 노래방을 이용시에 그 분위기가 한층 고조시켜 건전한 놀이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사용자의 노래가 녹음된 녹음정보의 전체 또는 효과음신호에 의해 추억이 될 수 있는 일부구간에 해당하는 일부 녹음정보가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기(20)에 전송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시기에 항시 청취가 가능한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노래방기기
20: 이동단말기
100: 몸체부
110: 착용부재
120: 케이스부재
121: 하부케이스
122: 상부케이스
200: 제어수단
210: 마이컴
211: 근거리통신모듈
212: 스피커
213: 디스플레이
214: 마이크
215: 발광부
216: 저장부
217: 동작센서
220: 스위치모듈
221: 파일스위치
222: 효과음스위치
223: 설정조건스위치
224: 모드설정스위치
225: 동작설정스위치

Claims (4)

  1. 파지 또는 착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제1기설정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음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기설정조건은 노래방기기로부터 점수를 산정하기 위한 포인트정보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대비포인트와 비교한 결과에 대응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음성신호를 녹음하고 이를 음성파일로 저장하되, 제2기설정조건에 따라 상기 음성파일 중 일부를 추출하여 근거리 전기회선통신망에 의하여 연결 및 등록된 이동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기설정조건은 웃음소리가 상기 음성신호 중 하나로 입력된 것인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효과음신호가 미리 저장된 저장부;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효과음신호 중 어느 하나를 규칙 또는 무작위 패턴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효과음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착용가능한 장갑(Glove)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착용부재;
    상기 착용부재에 상기 제어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케이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갑 형상의 외면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
KR1020200012262A 2020-01-31 2020-01-31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 KR102306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262A KR102306630B1 (ko) 2020-01-31 2020-01-31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262A KR102306630B1 (ko) 2020-01-31 2020-01-31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273A KR20210098273A (ko) 2021-08-10
KR102306630B1 true KR102306630B1 (ko) 2021-09-28

Family

ID=7731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262A KR102306630B1 (ko) 2020-01-31 2020-01-31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630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1335B2 (ja) * 1996-09-03 2006-12-20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KR100274046B1 (ko) 1998-10-19 2000-12-15 구자홍 다기능 네트워크 노래방 장치
KR100312750B1 (ko) * 2000-01-26 2001-11-03 정명식 센서를 이용한 가상 연주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65029A (ko) 2001-02-05 2002-08-13 주식회사 웹이엔지코리아 휴대폰을 통한 노래방 서비스에서 evrc 보코더를이용한 효과음의 지원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29399B1 (ko) * 2004-07-12 2007-06-15 김찬영 노래반주 시스템의 가상의 사회자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273A (ko)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806B1 (ko) 악기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장치
US20210248986A1 (en) Stick Controller
TWI470473B (zh) 電子娛樂系統中之相關姿勢反饋
US9500515B2 (en) Multifunctional wearable audio-sensing electronic device
US7842879B1 (en) Touch sensitive impact controlled electronic signal transfer device
JP4052274B2 (ja) 情報提示装置
WO2008010204A2 (en) Cheering apparatus
US20030045274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or unit, musical tone generating system, musical tone generating apparatus, musical ton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KR970701577A (ko) 음악, 음향 및 광 합성시스템(synthesized music, sound and light system)
EP180311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instrumental accompaniment and evaluation of sounds
EP1803114A2 (en) Rhythmic device for the production, playing, accompaniment and evaluation of sounds
US9959854B2 (en) Performance enhancing device and related methods
KR102306630B1 (ko) 노래방용 효과음 제공장치
KR101113412B1 (ko) 소리와 빛과 영상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터치식 연주기구
KR101133811B1 (ko)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어폰 장치
JP2008242285A (ja) 演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
US20200164522A1 (en) Mobile terminal and music play-back system comprising mobile terminal
US20220036867A1 (en) Entertainment System
JP2003114682A (ja) 音発生装置
JP2011154289A (ja) 聴衆に唱和をうながす気分を楽しむカラオケ装置
KR200435594Y1 (ko) 저음진동변환기능과 발광다이오드문자표시장치를 내장한엠피쓰리플레이어
CN205581790U (zh) 一种发声键盘
KR101971803B1 (ko) 음원출력장치
KR101400258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표시 방법
JP2006280796A (ja) 音声発生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