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803B1 - 음원출력장치 - Google Patents
음원출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1803B1 KR101971803B1 KR1020170171059A KR20170171059A KR101971803B1 KR 101971803 B1 KR101971803 B1 KR 101971803B1 KR 1020170171059 A KR1020170171059 A KR 1020170171059A KR 20170171059 A KR20170171059 A KR 20170171059A KR 101971803 B1 KR101971803 B1 KR 1019718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output
- user
- sound source
- inp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541—Details of musical waveform synthesis, i.e. audio waveshape processing from individual wavetable samples, independently of their origin or of the sound they repres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원이 저장되는 저장부; 사사용자의 움직임으로 발생된 충격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가 접속 연결되고,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의 출력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부; 및 상기 저장부, 스위치부, 입력부 및 출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스위치부의 전기적 연결을 감지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의 출력신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원출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음원출력장치가 사용자가 기타 등과 같이 손을 사용하는 악기의 연주 시에 사용자의 발 구름을 통해, 연주에 즉흥적으로 또는 미리 준비된 비트를 추가할 수 있게 되어, 단일의 악기를 이용한 연주 시에도 사용자가 다채로운 공연을 구성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음원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수단이 사용자의 신발 발바닥에 위치하고, 조작수단을 신발 발바닥 면에 고정하고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악기 연주를 방해하지 않고도 음원 출력 제어의 동시 수행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음원 출력 제어 조작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음원출력장치가 사용자가 기타 등과 같이 손을 사용하는 악기의 연주 시에 사용자의 발 구름을 통해, 연주에 즉흥적으로 또는 미리 준비된 비트를 추가할 수 있게 되어, 단일의 악기를 이용한 연주 시에도 사용자가 다채로운 공연을 구성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음원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수단이 사용자의 신발 발바닥에 위치하고, 조작수단을 신발 발바닥 면에 고정하고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악기 연주를 방해하지 않고도 음원 출력 제어의 동시 수행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음원 출력 제어 조작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원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기타 등과 같이 손을 사용하는 악기의 연주 시에 사용자의 발 구름을 통해, 연주에 즉흥적으로 또는 미리 준비된 비트 등의 음원을 추가할 수 있는 음원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버스킹(Busking)은 길거리에서 자유롭게 공연하다는 버스크(Busk)에서 유래된 단어로, 버스킹을 진행하는 버스커(Busker)가 정식적인 공연장이 아닌 길거리에서 간단한 장비를 동원하여 개인적으로 진행되는 공연의 종류로 최근 가장 일반화되었을 정도로 하나의 공연문화로 자리매김하였다.
일반적으로 버스킹은 악기를 이용한 연주가 주류를 이루며, 간혹 연주와 노래를 함께 하는 버스커들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버스킹은, 버스킹을 진행하는 입장에서는 관객과 직접 소통할 수 있고, 공연을 통해 관객에게 본인의 재능을 알릴 수 있고, 관객 입장에서는 길거리를 걷다가 우연히 공연을 경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버스커들의 수 또한 급증하고 있다.
버스킹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공연의 기획과 연출을 위한 별도의 스태프(Staff)없이, 단 한명의 버스커가 몇 가지의 장비만으로 공연 진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버스킹에서, 연주에 사용되는 악기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 기타 등과 같이 멜로디 또는 반주를 선택적으로 연주할 수 있는 악기이다.
물론, 피아노연주의 경우 멜로디와 반주, 화음 등을 통해 풍성한 멜로디와 리듬 등을 관객에게 제공할 수 있으나, 기타 등과 같은 악기는 상호 보완이 가능한 악기를 추가하여 그룹을 이루지 않는 이상 공연에 풍성함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기타를 연주하는 버스커의 경우, 적어도 1~2명이 그룹을 이루어 버스킹을 진행하거나, 음악반주기 등의 멀티미디어 장비를 동원하여 연주와 함께 출력함으로써, 멜로디와 리듬의 빈약할 수 있는 부분을 보완하곤 한다.
하지만, 혼자서 기타를 연주하는 버스커의 경우, 음악반주기를 동원하여 공연을 한다 해도 버스킹의 장점인 현장감을 기대하는 관객에게는 연주와 함께 출력되는 음악 반주에 쉽게 흥을 느낄 수 없고, 음악 반주에 따라 기타 연주 또한 일정한 틀에 따라 진행될 수밖에 없어, 버스커가 관객의 호응과 흥을 끌어올리기 위한 완곡 조절 및 애드리브(Ad lib) 등을 수행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종래기술에는 복수의 버튼을 통해 서로 다른 음원을 출력시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음원을 출력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이미 두 손을 이용하여 기타 연주를 수행하는 버스커가 일일이 음원을 출력시키기 위한 버튼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상황에 따라 지정된 버튼을 누르는 등과 같은 행동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버스킹에 적용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연주 및 연주와 동반된 동작 등의 움직임에 의한 사용자의 음원 출력의 제어의 어려움과 다양한 음원의 출력 제어의 어려움을 해소해줄 수 있는 방법 및 수단이 마련되어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기타 등과 같이 손을 사용하는 악기 연주 시, 사용자의 간단한 동작을 통해, 연주에 멜로디 및 리듬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음원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다양한 음원을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의 연주 자세 및 연주와 동반된 동작 등으로 발생된 움직임과 상관없이, 사용자의 쉬운 음원 출력 제어가 가능한 음원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실시간으로 연주 중의 사용자가 원하는 비트 및 멜로디 등의 음원과 사용자가 연주 중에 구사하기 어려운 복잡한 비트 및 멜로디 등의 음원 또한 연주 중에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음원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출력장치는, 음원이 저장되는 저장부;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발생된 충격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가 접속 연결되고,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의 출력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부; 및 상기 저장부, 스위치부, 입력부 및 출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스위치부의 전기적 연결을 감지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의 출력신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통해 발생된 충격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부분; 상기 스위치부분을 사용자에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분; 및 상기 입력부와 상기 스위치부분을 연결시키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분은 상기 고정부분에 의해 사용자의 신발 또는 의류에 밀착되게 고정되고, 고정위치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 스위치부, 입력부, 출력부 및 제어부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며, 외부전원과의 연결을 통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충전용량 및 작동상태를 알리는 상태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의 출력신호가 상기 스위치부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출력모드 또는 소정의 단위 시간에 발생한 상기 스위치부의 전기적 연결시점에 대한 시계열 정보형태인 패턴정보를 생성 저장하는 생성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모드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드제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모드제공부의 모드를 출력모드 또는 생성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패턴정보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스위치부에 대한 식별 값과, 소정의 단위 시간에 발생한 상기 스위치부의 전기적 연결시점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음원출력장치는 사용자가 기타 등과 같이 손을 사용하는 악기의 연주 시에 사용자의 발 구름을 통해, 연주에 즉흥적으로 또는 미리 준비된 비트 및 멜로디 등을 추가할 수 있게 되어, 단일의 악기를 이용한 연주 시에도 사용자가 다채로운 공연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원출력장치는 사용자가 음원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수단이 사용자의 신발 발바닥에 위치하고, 조작수단을 신발 발바닥 면에 고정하고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악기 연주를 방해하지 않고도 음원 출력 제어의 동시 수행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음원 출력 제어 조작의 편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음원출력장치는 구르는 발을 달리하거나, 발의 가압상태를 유지하거나 등의 다양한 제어방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그에 따른 출력될 음원의 선택을 달리할 수 있음으로써, 연주 중인 사용자의 양 발을 통한 동작만으로도 연주 중에 다양한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음원출력장치는 실시간 출력 제어, 미리 저장한 패턴을 통한 음원 재생 및 미리 저장한 패턴의 편집을 통한 다양한 음원 출력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연주 중의 사용자가 원하는 비트 등의 음원을 직접 만들 수 있고, 사용자가 연주 중에 구사하기 어려운 복잡한 패턴의 음원 출력 또한 간단한 발동작만으로도 가능하게 되어, 연주 중에 해당 음원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완성도 높은 공연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출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출력장치의 스위치부를 통한 음원출력 제어를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출력장치의 스위치부를 통한 음원출력 제어를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출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출력장치의 스위치부를 통한 음원출력 제어를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출력장치(100)는, 손을 사용하여 곡을 연주하는 사용자의 발 또는 신발 바닥면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발 구름으로 작동되어, 미리 저장된 음원이 재생되는 형태로 마련되며, 저장부(110), 스위치부(120), 입력부(130), 출력부(140), 전원공급부(150), 상태확인부(160), 모드제공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음원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음원은, 주로 음악의 비트(Beat)를 담당하는 타악기(Percussion)류의 연주음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베이스(Bass), 하이-헷(Hi-hat), 스네어(Snare), 탐-탐(Tom-tom), 라이드-심벌(Ride Cymbal), 크래쉬-심벌(Crash-Cymbal) 등으로 구성된 드럼세트(Drum-Set)에서 각 타악기의 단일 타격음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음원은, 앞서 설명한 타악기의 단일 타격음 뿐만 아니라, 단일 또는 복수의 타악기를 통해 소정의 시간동안 연주된 음원일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110)는 micro SD카드, SD카드, USB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휴대용 저장매체와 해당 저장매체가 접속되는 슬롯 또는 단자를 포함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음원은 상기의 예와 같이 타악기의 연주음에 국한되지 않고, MP3, PMP, 데스크톱, 랩톱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임의로 저장한 음원이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110)는 후술될 스위치부(120)의 작동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음원을 선택적으로 재생하도록, 저장부(110)에는 스위치부(120)의 작동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음원이 재생될 수 있도록, 스위치부(120)의 작동방식에 대응되는 별도의 폴더(Folder)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스위치부(120)는 신발 또는 의류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며, 신발 또는 의류에 전해지는 충격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스위치부분(122), 고정부분(124) 및 연결부분(12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2의 (a)와 (b)에서는, 스위치부(120) 외에, 저장부(110), 입력부(130), 출력부(140), 전원공급부(150), 상태확인부(160), 모드제공부(170) 및 제어부(180)의 구성이 제외된 채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스위치부(120)의 작동 방식과 스위치부의 작동방식에 의해 궁극적으로 오디오장치(A)를 통한 음원의 출력에 초점을 두고 설명하기 위해,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 것으로, 저장부(110), 입력부(130), 출력부(140), 전원공급부(150), 상태확인부(160), 모드제공부(170) 및 제어부(180)가 축약된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스위치부분(122)은 신발 또는 의류에 전해지는 충격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부분(122)은, 신발(S)의 바닥면 위치에 위치하여 후술될 고정부분(124)에 의해 신발(S)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신발(S)의 바닥면이 지면(G)과 접촉될 때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부분(122)은 가압됨으로 인해 개방(Open) 또는 폐쇄(Close)되는 회로가 포함된 가압스위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2의 (a)에서 처럼, 스위치부분(122)이 가압되지 않도록 신발(S)의 바닥면을 지면(G)으로부터 이격시킨 채로 유지하다가, 도2의 (b)에서와 같이, 신발(S)의 바닥면을 지면(G)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스위치부분(122)의 회로가 폐쇄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지며, 스위치부분(122)의 회로가 폐쇄됨으로 인해 후수될, 출력부(140)에 연결된 오디오장치(A)로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원이 출력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스위치부분(122)은 가압되는 정도를 적어도 두 단계 이상으로 감지하여, 가압 정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거나, 서로 상이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가변형 스위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후에 후술될 출력부(140)를 통한 음원 출력 시에 스위치부분(122)의 가압 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음을 크게 또는 작게 출력시킬 수도 있다.
고정부분(124)은 스위치부분(122)을 신발 또는 의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부분(124)은 스위치부분(122)을 사용자의 신발(S) 바닥면에 위치시킨 채로 신발(S)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발(S)의 일부분에 걸리는 후크(Hook)형태 또는 사용자의 신발(S)의 일부분을 감싸며 스위치부분(122)을 신발(S)의 바닥면에 밀착시키는 탄력성 높은 밴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분(124)은 스위치부분(122)이 신발(S) 바닥면의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발(S) 바닥면에 접촉되는 미끄럼 방지패드와 신발(S) 바닥면의 엣지(Edge)에 고정되는 꺽쇠 형태의 가이드부재(124-a)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연결부분(126)은 스위치부분(122)을 후술될 입력부(13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분(126)은 전열체가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도선을 감싸는 형태로 스위치부분(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와, 후술될 입력부(130)의 형태에 대응되는 커넥터(Connector)가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스위치부(120)의 연결부분(126)이 접속 연결되고, 제어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30)는 연결부분(126)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단자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포함된 믹서(Mixer)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부(130)를 통한 조작을 통해 제어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원의 출력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40)는 오디오장치(A)에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원의 출력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단자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단자와 스피커 모두가 포함되어, 오디오장치(A)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음원의 출력 또한 가능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150)는 저장부(110), 스위치부(120), 입력부(130), 출력부(140) 및 후술될 제어부(180)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며, 외부전원과의 연결을 통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공급부(150)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외부전원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충전단자를 포함하며, 타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단자 또한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태확인부(160)는 전원공급부(150)의 충전용량 및 작동상태를 알릴 수 있다.
여이서, 상태확인부(160)는 전원공급부(150)의 배터리 잔량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복수의 LED(Light Emitted Diode)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적어도 한자리 이상의 숫자를 출력할 수 있는 8-Digit LED가 더 포함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렇듯, 상태확인부(160)는 전원공급구(150)의 충전용량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한 제어신호 및 후술될 제어부(180)를 통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출력장치(100)의 작동상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상태확인부(160)에 별도의 스피커가 포함되어 작동상태에 따른 출력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음원출력장치(100)의 작동상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동시에 제공할 수도 있다.
모드제공부(17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원의 출력신호가 스위치부(120)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출력부(140)에서 출력되는 출력모드 또는 소정의 단위 시간에 발생한 스위치부(120)의 전기적 연결시점에 대한 시계열 정보형태인 패턴정보를 생성 저장하는 생성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드제공부(17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후술될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출력모드 또는 생성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출력모드는 사용자가 신발(S)을 지면(G)방향으로 가압하여 스위치부분(122)의 회로를 폐쇄시킬 때(이하, ‘발 구름’이라 함.)마다, 저장부(110)에 미리 저장된 음원이 출력부(140)에 연결될 오디오장치(A)로 출력되는 모드로, 사용자의 발 구름 동작을 반복할 때마다 음원이 출력됨으로써, 음악의 박자인 비트(Beat)가 생성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또한, 생성모드의 경우는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생성모드를 선택한 시점 이후, 입력부(120)를 통해 생성모드의 종료를 입력하기 이전까지 사용자의 발 구름 동작을 반복하여 일종의 패턴을 형성하고 시계열적 패턴에 대한 정보인 패턴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하는 모드로, 이후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해 모드제공부(170)의 모드를 출력모드로 변경한 뒤, 해당 패턴정보를 선택하고 발 구름 동작을 통해 스위치부분(122)을 가압할 때, 패턴정보의 패턴대로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원이 출력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여기서, 패턴정보란,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생성모드로 진입한 이후에, 소정의 시간동안 발 구름을 통해 스위치부분(122)이 회로적으로 폐쇄되는 시점에 대한 패턴과 발 구름을 통해 패턴을 발생시킨 스위치부(120)의 식별 값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만약, 2개의 스위치부(120)가 사용자의 양 발에 각각 고정된 채로, 입력부(130)에 연결되어있을 경우, 사용자의 발 구름을 통해 패턴을 발생시킨 대상 스위치부(120)의 식별 값을 패턴정보에 포함됨으로써, 각 발에 착용된 스위치부(120)를 통한 패턴 발생 시에 각 스위치부(120)에 의한 패턴 생성을 각각 별도로 식별하고, 이후에 생성된 패턴 정보에 의한 음원의 출력 시에도 각 스위치부(120)로부터 입력된 패턴 별로 개별적인 음원이 출력되도록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모드제공부(170)에서 제공되는 출력모드는 사용자의 주기적인 발 구름을 통해 음원을 출력시킴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비트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모드이고, 생성모드는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한 소정의 시간동안의 발 구름 패턴을 저장해두었다가, 사용자의 발 구름이 발생될 때, 저장부(110)의 음원을 미리 저장된 패턴에 맞게 출력시켜 출력모드를 통해서 생성하기 어려운 비트 또는 멜로디를 사전에 작성하는 모드이다.
만약, 스위치부(120)가 2개로 마련될 경우, 모드제공부(170)는 제공하는 생성모드에서 각각의 스위치부분(122)의 가압을 통한 패턴 생성 시, 스위치부분(122)에 따른 서로 다른 입력을 인식할 수 있어, 이후의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원이 패턴을 따라 출력될 때, 각 패턴에 따라 2개의 음원을 섞어서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발 구름을 통해 스위치부분(122)을 가압하여, 해당 패턴정보의 출력을 요청하였을 경우, 패턴정보와 각 패턴에 따라 조합된 음원이 소정의 재생시간을 가지는 또 하나의 음원의 형태로 출력부(140)와 연결된 오디오장치(A)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모드제공부(170)는 생성모드에서 이미 생성된 패턴정보에 새로운 패턴을 추가적으로 입력시키는 편집모드를 더 제공할 수 있어, 단순한 패턴으로 생성된 패턴정보에 패턴을 추가하여, 좀 더 복잡한 비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저장부(110), 스위치부(120), 입력부(130), 출력부(140), 전원공급부(150), 상태확인부(160) 및 모드제공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스위치부(120)의 전기적 연결을 감지하여,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원의 출력신호를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스위치부분(122)을 통한 회로 개방(Open)/폐쇄(Close) 여부와 폐쇄유지 상태 등을 감지하여, 상태에 따라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원의 선택을 달리하여,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입력부(130)에 2개의 스위치부(120)가 연결되어 있고, 각 스위치부분(122)의 개별적 가압 시에 각각 ‘음원A’, ‘음원B’의 출력신호가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되고, 각 스위치부분(122)의 개별적 가압유지 시엔 각각 ‘음원C’, ‘음원D’가 출력될 수 있고, 2개의 스위치부분(122)이 모두 가압될 때는 ‘음원E’, 또, 2개의 스위치부분(122) 모두 가압 유지될 때는 ‘음원F’가 출력되게 할 수 있어, 입력부(120)에 연결된 스위치부(120)의 수가 단 2개뿐이더라도 다양한 음원의 출력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어부(180)는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모드제공부(170)를 제어하여 모드제공부(170)의 모드를 출력모드 또는 생성모드 또는 편집모드롤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생성모드가 선택될 경우, 입력부(13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생성할 패턴에 대한 BPM(Beat Per Minute)의 입력을 요청하며, 이때, 입력부(130)는 BPM의 입력을 위한 버튼 또는 다이얼 등의 입력수단과,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BPM을 8-Digit 형식으로 출력시키는 출력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BPM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태확인부(160)의 복수의 LED 점등을 제어함으로써, 전자식 메트로놈(metronome)과 유사하게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BPM에 대한 기본 박자 정보를 시각적으로(예를 들면, BPM에 대응되는 속도로 복수의 LED를 순차적으로 점멸시키고, 가장 기본이 되는 박자에만 전체 LED를 점멸시키는 등) 제공할 수도 있으며, 상태확인부(160)에 포함된 스피커를 통해 기본 박자에 대한 정보를 청각적(예를 들어, BPM에 대응되는 사운드A를 주기적으로 출력시키는 가운데, 기본이 되는 박자에만 사운드B를 출력시키는 등)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패턴정보의 생성 시에 해당 BPM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이후,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편집모드가 선택될 경우, 이전에 생성 저장된 패턴정보 내의 BPM에 대한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기본 박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한 BPM에 대해 제어부(180)가 이후 사용자가 발 구름을 통해 입력할 패턴에 입력 시점에 따른 기준 박자를 시각, 청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박자를 맞추기가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 또한 시각, 청각적으로 제공된 기준 박자를 통해서 복잡한 음원 출력 패턴 생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음원출력장치(100)는 사용자가 기타 등과 같이 손을 사용하는 악기의 연주 시에 사용자의 발 구름을 통해, 연주에 즉흥적으로 또는 미리 준비된 비트 및 멜로디 등을 추가할 수 있게 되어, 단일의 악기를 통한 솔로(Solo) 연주 시에도 사용자가 다채로운 공연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원출력장치(100)는 사용자가 음원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수단이 사용자의 신발 발바닥에 위치하고, 조작수단을 신발 발바닥 면에 고정하고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악기 연주를 방해하지 않고도 음원 출력 제어의 동시 수행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음원 출력 제어 조작의 편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음원출력장치(100)는 구르는 발을 달리하거나, 발의 가압상태를 유지하거나 등의 다양한 제어방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그에 따른 출력될 음원의 선택을 달리할 수 있음으로써, 연주 중인 사용자의 양 발을 통한 동작만으로도 연주 중에 다양한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음원출력장치(100)는 실시간 출력 제어, 미리 저장한 패턴을 통한 음원 재생 및 미리 저장한 패턴의 편집을 통한 다양한 음원 출력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연주 중의 사용자가 원하는 비트 등의 음원을 직접 만들 수 있고, 사용자가 연주 중에 구사하기 어려운 복잡한 패턴의 음원 출력 또한 간단한 발동작만으로도 가능하게 되어, 연주 중에 해당 음원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완성도 높은 공연을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음원출력장치
110 : 저장부
120 : 스위치부
122 : 스위치부분
124 : 고정부분
124-a : 가이드부재
126 : 연결부분
130 : 입력부
140 : 출력부
150 : 전원공급부
160 : 상태확인부
170 : 모드제공부
180 : 제어부
A : 오디오장치
G : 지면
S : 신발
110 : 저장부
120 : 스위치부
122 : 스위치부분
124 : 고정부분
124-a : 가이드부재
126 : 연결부분
130 : 입력부
140 : 출력부
150 : 전원공급부
160 : 상태확인부
170 : 모드제공부
180 : 제어부
A : 오디오장치
G : 지면
S : 신발
Claims (6)
- 음원이 저장되는 저장부;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발생된 충격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가 접속 연결되고,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의 출력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의 출력신호가 상기 스위치부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출력모드, 소정의 단위 시간에 발생한 상기 스위치부의 전기적 연결시점에 대한 시계열 정보형태인 패턴정보를 생성 저장하는 생성모드, 및 상기 생성모드에서 이미 생성된 패턴정보에 새로운 패턴을 추가적으로 입력시키는 편집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모드제공부;
상기 저장부, 스위치부, 입력부 및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스위치부의 전기적 연결을 감지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의 출력신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시키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드제공부를 제어하여 상기 모드제공부의 모드를 출력모드, 생성모드 및 편집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제어부;
상기 저장부, 스위치부, 입력부, 출력부 및 제어부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며, 외부전원과의 연결을 통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충전용량 및 작동상태를 알림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제어신호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한 음원출력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동시에 제공하는 상태확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발생된 충격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부분과, 상기 스위치부분을 사용자의 신체와 인접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분과, 상기 입력부와 상기 스위치부분을 연결시키는 연결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분은 상기 고정부분에 의해 사용자의 신발 또는 의류에 밀착되게 고정되고, 고정위치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출력모드는 사용자가 신발을 지면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스위치부분의 회로를 폐쇄시킬 때마다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음원이 상기 출력부에 연결될 오디오장치로 출력되는 모드이며,
상기 생성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생성모드를 선택한 시점 이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생성모드의 종료를 입력하기 이전까지 상기 스위치부분의 회로를 폐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특정의 패턴을 형성하고 시계열적 패턴에 대한 정보인 패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모드이며,
상기 패턴정보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스위치부에 대한 식별 값과, 소정의 단위 시간에 발생한 상기 스위치부의 전기적 연결시점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생성모드로 선택될 경우,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생성할 패턴에 대한 BPM(Beat Per Minute)의 입력을 요청한 후, 해당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BPM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상태확인부에 구비된 복수의 LED 점등 및 스피커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BPM에 대한 기본 박자 정보가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동시에 제공되도록 상기 상태확인부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패턴정보의 생성 시에 해당 BPM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편집모드가 선택될 경우, 이전에 생성 저장된 패턴정보 내의 BPM에 대한 정보를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기본 박자에 대한 정보가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동시에 제공되도록 상기 상태확인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해당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BPM에 대해 해당 사용자의 움직임을 통해 입력할 패턴에 입력 시점에 따른 기준 박자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동시에 제공되도록 상기 상태확인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출력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1059A KR101971803B1 (ko) | 2017-12-13 | 2017-12-13 | 음원출력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1059A KR101971803B1 (ko) | 2017-12-13 | 2017-12-13 | 음원출력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1803B1 true KR101971803B1 (ko) | 2019-08-13 |
Family
ID=67624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1059A KR101971803B1 (ko) | 2017-12-13 | 2017-12-13 | 음원출력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1803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93512A (ja) * | 2004-04-05 | 2005-10-20 | Itsuo Kumazawa | 指装着型データ入力装置 |
KR100540215B1 (ko) | 2003-04-16 | 2006-01-10 | 주식회사 어니언텍 | 버튼별 음원재생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별 음원재생 방법 |
KR20070006296A (ko) * | 2005-07-08 | 2007-01-11 | 박종섭 | 눌림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노래 반주 시스템 |
JP2009198556A (ja) * | 2008-02-19 | 2009-09-03 | Yamaha Corp | ペダルの力覚制御装置 |
KR20120009922A (ko) * | 2010-07-22 | 2012-02-02 | 이경식 | 소리와 빛과 영상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터치식 연주기구 |
-
2017
- 2017-12-13 KR KR1020170171059A patent/KR101971803B1/ko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0215B1 (ko) | 2003-04-16 | 2006-01-10 | 주식회사 어니언텍 | 버튼별 음원재생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별 음원재생 방법 |
JP2005293512A (ja) * | 2004-04-05 | 2005-10-20 | Itsuo Kumazawa | 指装着型データ入力装置 |
KR20070006296A (ko) * | 2005-07-08 | 2007-01-11 | 박종섭 | 눌림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노래 반주 시스템 |
JP2009198556A (ja) * | 2008-02-19 | 2009-09-03 | Yamaha Corp | ペダルの力覚制御装置 |
KR20120009922A (ko) * | 2010-07-22 | 2012-02-02 | 이경식 | 소리와 빛과 영상의 동시 구현이 가능한 터치식 연주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678859B1 (en) | Multi-media device enabling a user to play audio content in association with displayed video | |
US20080250914A1 (en) |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detecting signals generated by one or more sensors and translating those signals into auditory, visual or kinesthetic expression | |
US20090145285A1 (en) | Ensemble system | |
US20070235957A1 (en) | Musical skates | |
US20120055319A1 (en) | Multi-Key Electronic Music Instrument | |
JP2020056938A (ja) | 演奏情報表示装置及び演奏情報表示方法、演奏情報表示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楽器 | |
JP3654143B2 (ja) | 時系列データの読出制御装置、演奏制御装置、映像再生制御装置、および、時系列データの読出制御方法、演奏制御方法、映像再生制御方法 | |
KR101971803B1 (ko) | 음원출력장치 | |
CN211529386U (zh) | 一种根据提示信号弹奏的乐器 | |
CN107731212A (zh) | 一种用于入门指导学习的吉他 | |
JP2007271739A (ja) | 合奏パラメータ表示装置 | |
JP3636041B2 (ja) | 発音制御システム | |
EP2926217A1 (en) | Multi-media spatial controller having proximity controls and sensors | |
CN207558404U (zh) | 一种用于入门指导学习的吉他 | |
JP3614049B2 (ja) | カラオケ装置、カラオケ装置の外部装置およびカラオケシステム | |
CN110889994A (zh) | 一种根据提示信号弹奏的乐器 | |
JP4605295B2 (ja) | カラオケ装置 | |
JP3218470U (ja) | 携帯型演奏練習装置 | |
CN101826320B (zh) | 单人乐器组合 | |
JP4207835B2 (ja) | 電子弦楽器 | |
JP2001070644A (ja) | ダンスゲーム装置 | |
US20100100205A1 (en) | Device of Playing Music and Method of Outputting Music Thereof | |
CN211699703U (zh) | 一种带自动伴奏的电钢琴 | |
CN210516209U (zh) | 一种智能电子琴及音乐教学系统 | |
KR200321889Y1 (ko) | 타악기를 이용한 기이한 소리 발성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