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615B1 -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 - Google Patents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615B1
KR102306615B1 KR1020210078852A KR20210078852A KR102306615B1 KR 102306615 B1 KR102306615 B1 KR 102306615B1 KR 1020210078852 A KR1020210078852 A KR 1020210078852A KR 20210078852 A KR20210078852 A KR 20210078852A KR 102306615 B1 KR102306615 B1 KR 102306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transfer pipe
mobile vehicle
unmanned mobile
spr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션파라다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션파라다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션파라다이스
Priority to KR1020210078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튜브를 이용하여 원하는 곳에 신속하게 설치가 가능한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는, 소독수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이송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분무 상태의 소독수가 이송되고 소독 대상물이 통과하는 일 평면에 대하여 소독수가 분무될 수 있도록 연장되고 복수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복수개의 토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소독 대상물 방향으로 분무 상태의 소독수를 분무하는 노즐; 상기 이송관이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이 조립된 프레임 튜브; 및 상기 펌프가 작동되어 방역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소독 대상물이 방역 위치에 들어왔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Potable vehicle quarantine apparatus}
본 발명은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튜브를 이용하여 원하는 곳에 신속하게 설치가 가능한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제역이나 조류독감 등은 다양한 전달체 들에 의해 병원균이 전달되어 확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달체 중에서도, 차량은 병원균이 빠르게 확산되게 한다. 따라서 특정 지역에서 발생된 병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 상에 소독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소독장치는 인간에 대한 중대한 위협을 가하게 되는 균 및 바이러스에 관한 것은 아니고 가축에 위해를 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 COVID-19로 불리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해 인간들은 매우 곤혹스러운 상황인 팬데믹에 놓이게 되었다.
이러한 세계적으로 감염병이 대유행하는 상태인 팬데믹에 대응하여 사회봉쇄 등의 조치 등이 전세계적으로 취해지고 있지만 많은 사망자가 세계 곳곳에서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고, 사회봉쇄에 의해 경제적, 사회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사람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개인 소독을 항시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살균장치들은 소독수를 지나가는 차량 등에 단순히 분사하거나 지나가는 사람이 소독수가 침지된 카펫 등을 밟고 지나가도록 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구석구석을 소독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 곳에 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이동이 불가능하거나 이동 및 설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방역장치는 소독약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관리자가 항시 대기하고 있다가 차량이 통과할 때 운전 전원을 온-오프시켜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12-0005478호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와 이송관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후 바로 방역이 가능하고, 차량이 통과할 때에만 자동으로 방역 대상물 감지, 반응거리, 타이머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없이도 효율적인 방역소독 관리가 가능한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는, 분무될 소독수가 보관되는 약액통; 상기 약액통의 소독수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이송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분무 상태의 소독수가 이송되고 소독 대상물이 통과하는 일 평면에 대하여 소독수가 분무될 수 있도록 연장되고 복수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복수개의 토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소독 대상물 방향으로 소독수를 분무하는 노즐; 및 상기 이송관이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이 조립된 프레임 튜브; 및 상기 펌프가 작동되어 방역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소독 대상물이 방역 위치에 들어왔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관은 양측부, 상측부, 그리고 하측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부가 내부에 삽입되어 보호되는 방지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은 중앙에 소독수가 토출되는 노즐 구멍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토출구에 조립되며, 상기 노즐 구멍을 통하여 소독수가 토출될 때 분사되는 소독수가 퍼지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노즐 구멍의 출구에 인접하여 고정된 가이드 핀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나사 홀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끝단에 조립된 베어링부; 및 상기 체결부에 상기 베어링부를 매개로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U자형으로 이루어져 끝단이 상기 노즐 구멍의 출구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의 끝단은 각뿔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 측면은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 튜브는, 한 쌍의 수직 튜브와 복수개의 수평 튜브가 연결되어 사다리 형태로 이루어지고 지면으로부터 세워진 한 쌍의 측면부; 상기 한 쌍의 측면부 상단을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튜브가 병합된 다음 수평으로 연장된 상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관의 노즐은 상기 측면부의 복수개의 수평 튜브마다 위치하고, 상기 이송관과 노즐은 탈착 커버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수평 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 커버는 일측은 상기 복수개의 수평 튜브에 고정되고, 타측은 벨크로 타입 테이프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수평 튜브에 탈착되며, 중앙에는 상기 노즐이 통과하는 노즐 통과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약액통과 이송관에는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열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는, 프레임 튜브로 이송관을 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여 신속하게 장치를 설치하고 방역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는 모션 센서로 방역 대상물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으로 온오프가 이루어져 관리자가 없이도 방역 작업 진행이 가능하다. 또한, 반응거리, 타이머 설정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의 작동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이송관과 노즐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가이드 핀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1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약액통(20), 펌프(30), 이송관(40), 노즐(70), 프레임 튜브(50), 그리고 모선센서(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10)의 약액통(20)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분무될 소독수가 보관된다.
이때, 상기 약액통(20)의 내부의 소독약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약액통(20)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소독수는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를 퇴치하기 위한 물질, 알코올, 정제수 등을 포함하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독수는 당연히 액체 형태로 이루어져 약액통(20)에 보관된 상태에서 유통이 이루어지고, 내용물을 리필하거나 통 전체를 리필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10)의 펌프(30)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약액통(20)의 소독수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이송 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펌프(30)에 의해 제공된 압력은 이송관(40) 내부에 미치게 되고 이송관은 폐쇄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노즐(70)로만 압력이 배출되면서 소독수가 분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10)의 이송관(40)은,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펌프(30)에 의해 분무 상태의 소독수가 이송되고 소독 대상물이 통과하는 일 평면에 대하여 소독수가 분무될 수 있도록 연장되고 복수개의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관(40)은, 도 3울 참고하면, 사각틀 형태로 연장되고 끝단은 폐쇄되어 있으며, 각 토출구로부터 소독수가 분무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송관(40)은 양측부(41), 상측부(42), 그리고 하측부(43)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부(43)가 내부에 삽입되어 보호되는 방지턱(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지턱(60)에는 노즐(70)을 보호할 수 있도록 노즐 홀이 형성되고, 그 노즐 홀 내부에 노즐(70)이 설치되어 차량이 이동하더라도 보호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10)의 노즐(70)은,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이송관(40)의 복수개의 토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소독 대상물 방향으로 분무 상태의 소독수를 분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70)은 본체가 상기 이송관(40)의 토출구에 조립되고, 중앙에 형성된 노즐 구멍(70a)을 통하여 소독수가 분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70)은 중앙에 소독수가 토출되는 노즐 구멍(70a)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토출구에 조립되며, 상기 노즐 구멍(70a)을 통하여 소독수가 토출될 때 분사되는 소독수가 퍼지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노즐 구멍(70a)의 출구에 인접하여 고정된 가이드 핀(71)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10)의 프레임 튜브(5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이송관(40)이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40)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 튜브(50)는, 한 쌍의 수직 튜브(52)와 복수개의 수평 튜브(53)가 연결되어 사다리 형태로 이루어지고 지면으로부터 세워진 한 쌍의 측면부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 상단을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튜브(52)가 병합된 다음 수평으로 연장된 상측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관(40)의 노즐(70)은 상기 측면부의 복수개의 수평 튜브(53)마다 위치하고, 상기 이송관(40)과 노즐(70)은 탈착 커버(54)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수평 튜브(53)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 커버(54)는 일측은 상기 복수개의 수평 튜브(53)에 고정되고, 타측은 벨크로 타입의 테이프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수평 튜브(53)에 탈착되며, 중앙에는 상기 노즐(70)이 통과하는 노즐 통과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10)는 모션센서와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션센서와 타이머는 프레임 튜브(50) 측면 등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차량 등의 방역 대상물의 움직임이 포착되면 펌프(30)가 작동하여 방역을 실시하게 되고, 일정시간 방역 작동 후, 타이머에 의해 중단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방역 대상물의 움직임이 포착될 때에만 방역 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리자 부재 상태에서도 소독약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타이머는 초 단위로 통상 세팅될 수 있고, 이러한 타이머는 설정에 따른다. 즉 예를 들면, 4, 8, 12초 단위로 세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10)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경광등(8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경광등(80)은 야간 방역 시에만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작동될 수 있고, 상기 모션 센서와 타이머와 연동하여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반응거리, 타이머 설정도 가능하다. 이때 반응거리는 예를 들면 2, 4, 6m일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10)에 차량이 통과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10)는 이동식으로 트럭 등에 장비를 분해하고 프레임 튜브는 바람을 뺀 상태에서 실은 다음, 현장으로 이동하고,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튜브(50)를 공기를 공급하여 세우고, 나머지 장비들을 연결하기만 하면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작동이 시작되면 약액통(20)의 소독수는 이송관(40)에 설치된 노즐(70)들로부터 소독수가 분무된다. 이때 차량이 통과하는 일 평면에 대하여 소독수 분위기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통과하는 차량뿐만 아니라 사람과 동물 등 모든 통과물들이 소독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약액통(20)의 소독수는 펌프(30)의 압력에 의해 이송관(40)을 따라 이동하면서 노즐(70)을 통과하여 전술한 일 평면인 소독 평면에 분사될 수 있다. 물론 이송관(40)이 상하좌우 모두 설치되고 각각 노즐(70)들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에 걸쳐 소독수가 분무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튜브(50)에 이송관(40)의 노즐(70)을 탈착 커버(54)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와 높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러한 이송관(40)은 프레임 튜브(50)에 의해 지면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펌프(30)가 작동되어 방역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소독 대상물이 방역 위치에 들어왔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모션 센서(90)가 설치되어 있고, 이는 타이머와 연동하여 적절한 시간 동안 방역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약액통(20)에는 열선(100)이 구비되어 있고, 일정 온도, 예를 들면 영상 5도 이하로 떨어지면 열선이 자동으로 작동되고,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오프되도록 작동됨으로써 추운 겨울 소독수가 얼어 동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이송관(40)에도 열선이 구비되어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이송관(40)은 일 평면인 소독 평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하좌우로 배치되고, 필요에 따라 플렉시블관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관(40)에 설치된 노즐(70)의 노즐 구멍(70a)의 출구에는 U자형의 가이드 핀(71)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핀(71)과 노즐 구멍(70a) 출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분무 시 소독약이 퍼지게 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거리가 멀어지면 소독약의 분무가 직진에 가까워지고, 상기 거리가 가까워지면 토출 후 바로 퍼지게 될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10)의 프레임 튜브(50)의 구조를 볼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튜브(50)는 양쪽의 사다리 형태의 측면부가 세워지는 구조로, 지면에서 안정적으로 세워진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상측부(51)는 하나의 튜브로 연결되고, 하부에는 튜브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다. 물론 그 부분에는 차량 방지턱(60)이 설치된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의 가이드 핀(171)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핀(171)은, 상기 본체(70)에 형성된 나사 홀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171c)와, 상기 체결부(171c)의 끝단에 조립된 베어링부와, 상기 체결부(171c)에 상기 베어링부를 매개로 상기 본체(7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U자형으로 이루어져 끝단(171a)이 상기 노즐 구멍(70a)의 출구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부(17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핀(171)이 불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베어링을 이용하여 노즐 구멍(70a)으로부터 가이드 핀(171)이 벗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171c)를 조절하여 가이드 핀(171)의 끝단(171a)과 노즐 구멍(70a)의 출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71b)의 끝단(171a)은 각뿔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 측면은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 의해 분무되는 소독약의 속도를 유지하면서 퍼지는 각도를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
20 : 약액통 30 : 펌프
40 : 이송관 50 : 프레임 튜브
60 : 방지턱 70 : 노즐
80 : 경광등 90 : 모션센서
100 : 열선

Claims (9)

  1. 분무될 소독수가 보관되는 약액통;
    상기 약액통의 소독수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이송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소독수가 이송되고 소독 대상물이 통과하는 일 평면에 대하여 소독수가 분무될 수 있도록 연장되고 복수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복수개의 토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소독 대상물 방향으로 소독수를 분무하는 노즐;
    상기 이송관이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이 조립된 프레임 튜브; 및
    상기 펌프가 작동되어 방역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소독 대상물이 방역 위치에 들어왔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중앙에 소독수가 토출되는 노즐 구멍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토출구에 조립되며, 상기 노즐 구멍을 통하여 소독수가 토출될 때 분사되는 소독수가 퍼지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노즐 구멍의 출구에 인접하여 고정된 가이드 핀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나사 홀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끝단에 조립된 베어링부; 및
    상기 체결부에 상기 베어링부를 매개로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U자형으로 이루어져 끝단이 상기 노즐 구멍의 출구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양측부, 상측부, 그리고 하측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부가 내부에 삽입되어 보호되는 방지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끝단은 각뿔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 측면은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튜브는,
    한 쌍의 수직 튜브와 복수개의 수평 튜브가 연결되어 사다리 형태로 이루어지고 지면으로부터 세워진 한 쌍의 측면부;
    상기 한 쌍의 측면부 상단을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튜브가 병합된 다음 수평으로 연장된 상측부;를 포함하는,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의 노즐은 상기 측면부의 복수개의 수평 튜브마다 위치하고, 상기 이송관과 노즐은 탈착 커버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수평 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커버는 일측은 상기 복수개의 수평 튜브에 고정되고, 타측은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수평 튜브에 탈착되며, 중앙에는 상기 노즐이 통과하는 노즐 통과 홀이 형성된,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통과 이송관에는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열선이 구비된,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
KR1020210078852A 2021-06-17 2021-06-17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 KR102306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52A KR102306615B1 (ko) 2021-06-17 2021-06-17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52A KR102306615B1 (ko) 2021-06-17 2021-06-17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615B1 true KR102306615B1 (ko) 2021-09-30

Family

ID=7792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852A KR102306615B1 (ko) 2021-06-17 2021-06-17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5621A (ko) 2022-01-27 2023-08-03 김경욱 다중 분사 노즐을 구비한 차량 방역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3161A (ko) * 2011-01-17 2012-07-25 안태운 스팀방역장치
KR20120005478U (ko) 2011-01-20 2012-07-30 이대섭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대인 소독기
KR101342745B1 (ko) * 2013-07-02 2013-12-19 김명호 차량용 방역장치
KR101666520B1 (ko) * 2015-09-07 2016-10-14 박재광 긴급도로용 조립식 자동방역소독기
KR102194935B1 (ko) * 2020-05-18 2020-12-29 주식회사 중원환경산업 아치형 이동식 방역 터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3161A (ko) * 2011-01-17 2012-07-25 안태운 스팀방역장치
KR20120005478U (ko) 2011-01-20 2012-07-30 이대섭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대인 소독기
KR101342745B1 (ko) * 2013-07-02 2013-12-19 김명호 차량용 방역장치
KR101666520B1 (ko) * 2015-09-07 2016-10-14 박재광 긴급도로용 조립식 자동방역소독기
KR102194935B1 (ko) * 2020-05-18 2020-12-29 주식회사 중원환경산업 아치형 이동식 방역 터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5621A (ko) 2022-01-27 2023-08-03 김경욱 다중 분사 노즐을 구비한 차량 방역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007B1 (ko) 출입구 방역장치
KR102306615B1 (ko) 무인 이동식 차량용 방역장치
KR101951285B1 (ko) 거점식 차량 살균 소독 시설
KR101573763B1 (ko) 거점식 연무 방제 시스템
KR102210813B1 (ko) 실내용 워킹 스루 소독장치
JP5791292B2 (ja) 車両消毒装置
ES2269123T3 (es) Aparato de barrera para contener el paso de gases nocivos a traves de una abertura.
KR101086861B1 (ko) 차단 방역장치
KR200339684Y1 (ko) 차량방역기
KR101368455B1 (ko) 축산 농장용 차량 소독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20083161A (ko) 스팀방역장치
JP2005021359A (ja) 立体駐車設備の消火装置
KR102369994B1 (ko) 터널식 모듈형 소독 시스템 장치
CN212187234U (zh) 公共交通工具客舱消毒防疫装置
KR200317750Y1 (ko) 차량용 방역장치
KR102245376B1 (ko) 출구식 분사 소독기 및 차량 소독시스템
JP2022061410A (ja) 消毒システム
KR200455788Y1 (ko) 약제 분무장치
KR101314280B1 (ko) 친환경 살균수를 이용한 차량용 방역장치
KR102574728B1 (ko) 미세분무 기능을 가지는 거점식 스마트 방제 시스템
KR100571583B1 (ko) 차량의 자동 방역장치
KR200414171Y1 (ko) 고정방역기 측면약대 탄성장치
CN205768908U (zh) 防疫车
KR200329616Y1 (ko) 차량 바퀴용 소독조
KR200357803Y1 (ko) 다기능 방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