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362B1 - 액체 저장부의 충진 레벨을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액체 저장부의 충진 레벨을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362B1
KR102306362B1 KR1020197029364A KR20197029364A KR102306362B1 KR 102306362 B1 KR102306362 B1 KR 102306362B1 KR 1020197029364 A KR1020197029364 A KR 1020197029364A KR 20197029364 A KR20197029364 A KR 20197029364A KR 102306362 B1 KR102306362 B1 KR 102306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liquid
liquid reservoir
pressure sensor
generat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0826A (ko
Inventor
기욤 콜로테
스테판 빌랏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90120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1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pressure
    • G01F23/18Indicating, recording or alarm devices actuated electrically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은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31), 액체 저장부 내에 제공된 액체 압력 센서(34), 및 압력 센서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16)을 유지하기 위한 액체 저장부(22)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제어 유닛과 통신하는 대기압 센서(18)를 더 포함하고, 대기압 센서는 환경의 대기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액체 압력 센서와 대기압 센서로부터 압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이들 2개의 압력 신호들의 비교에 기초하여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충진 레벨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액체 저장부 내의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충진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 저장부의 충진 레벨을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액체 저장부 및 액체 저장부의 충진 레벨이 결정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대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일 유형은 액체 저장부 그리고 심지 및 코일 히터 배열체를 포함하는 기화기를 포함한다.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모세관력에 의한 심지를 통해 기화기에 제공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액체 저장부의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모두 소모되었음에도 코일 히터가 활성화될 위험이 있다. 결과적으로 에어로졸이 형성되지 않고 사용자는 가열된 공기를 흡입할 것이다. 가열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사용자에 의해 흡입되는 원하지 않은 제품의 방출을 초래할 수 있다.
영국특허출원공개 GB 2 533 652 A 미국특허출원공개 US 2014/0150810 A1
따라서, 시스템의 활성화 시에 충분한 액체 에어로졸 발생 기질이 액체 저장 부에서 이용 가능한 것을 보장하는 개선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유지하기 위한 액체 저장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 시스템은 액체 저장부 내에 제공된 액체 압력 센서, 및 액체 압력 센서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제어 유닛은 액체 압력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충진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충분한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액체 저장부에서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액체 압력 센서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의해 가해진 압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액체 압력 센서는 액체 저장부에서 제공되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체 압력 센서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의 지속적인 접촉이 그의 적절한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방액성으로(liquid-proof) 구성될 수 있다.
액체 압력 센서가 액체 저장부 내의 액체와 접촉할 때, 액체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총 압력은, 파스칼의 법칙에 따라, 액체 압력 센서 위에서 액체 기둥에 의해 야기되는 압력과 대기압의 합(sum)이다. 액체 저장부 내의 액체 압력 센서가 유체가 이용 가능하거나 충분하지 않은 것을 검출하는 경우,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제어 유닛은 액체 저장부가 교체되거나 재충진될 때까지 기화기의 활성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뜨거운 공기만을 흡입하는 불쾌한 사용자 경험이 방지된다. 빈 액체 저장부의 검출 시, 제어 유닛은 새로운 액체 저장부가 공급되어야 하거나 재충진이 요구된다는 것을, 디스플레이 또는 유사한 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액체 압력 센서는 액체 저장부의 하단에서 제공될 수 있다. 액체 저장부의 하단에서 액체 압력 센서를 제공함으로써, 압력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액체 기둥의 높이가 최대화된다. 또한, 액체 저장부가 세장형 원통형 형태이고, 액체 저장부의 하단이 원통형 액체 저장부의 말단면들 중 하나에 의해 정의되는 구현예에서,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다소 넓은 배향에 걸쳐서 액체 압력 센서와 접촉한다. 따라서, 이들 배향에서, 충분한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이용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결정 또한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하단”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액체 저장부의 하단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충진 레벨 확인을 수행하기 위한 원하는 배향에 있을 때 액체 저장부의 하부 부분을 가리킨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액체 압력 센서”는 액체 저장부 내의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의해 가해진 압력을 결정하는 데 적합한 임의의 압력 센서를 지칭한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제어 유닛과 통신하는 제2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는 환경의 대기압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압력 센서는 또한 대기압 센서로 지칭될 것이다. 제어 유닛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포함된 2개의 압력 센서들로부터 2개의 압력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이들 2개의 압력 신호들의 비교에 기초하여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충진 레벨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액체 저장부가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 충진되고 액체 저장부 내의 액체 압력 센서가 이러한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접촉할 때, 액체 저장부 내부의 액체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은 주변 대기압보다 높다. 따라서, 주변 대기압과 비교하여 액체 저장부 내부의 더 높은 압력 판독은 액체 저장부 내의 충분한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존재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에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흡입 목적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액체 저장부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계속된 사용에 의해 점점 비워짐에 따라, 액체 저장부에서 측정된 압력 값은 주변 대기압과 동일해질 때까지 계속적으로 감소한다. 2개의 압력 값들이 동일한 경우, 액체 저장부는 비어 있고 재충진을 필요로 한다. 액체 저장부가 완전히 비어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 유닛은 압력 값 사이의 차이가 특정한 미리 결정된 임계 값에 도달하였으면 사용자에게 경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임계값은 대기압보다 10% 높은 것, 대기압보다 5% 높은 것, 또는 대기압보다 2% 높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전동식으로 작동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서 퍼프(puff)를 흡인하는 것을 나타내는 퍼프 검출 유닛을 포함한다. 이들 시스템 중 일부에서, 퍼프 센서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내의 기류 경로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이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내의 기류 경로의 압력 강하는 퍼프를 나타내며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기화 유닛의 활성화를 트리거링한다. 퍼프가 흡인되지 않을 때, 이러한 퍼프 센서의 압력 판독은 주변 대기압에 대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주변 대기압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퍼프 검출 유닛에 사용된 퍼프 센서로부터의 압력 판독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주변 대기압을 결정하기 위해 이미 존재하는 압력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추가 구성요소를 요구하지 않고, 그래서 시스템의 복잡도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추가 기능성이 얻어질 수 있다.
액체 저장부 내부의 액체 압력 센서에 의해 얻어진 압력 판독은 각각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및 액체 저장부의 배향에 의존할 수 있다. 특히,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 핸드헬드 시스템인 경우, 액체 압력 센서가 일시적으로 액체 저장부의 상단에 위치되도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 거꾸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액체 압력 센서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 유닛이 이러한 구성에서 충진 레벨 확인을 수행하는 경우, 실제로는 여전히 충분한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이용 가능할 것이지만 액체 저장부가 비어 있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잘못된 충진 레벨 확인을 피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제어 유닛과 통신하는 배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배향 센서는 액체 저장부의 배향을 결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액체 저장부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내에 고정적으로 유지되는 구현예에서, 배향 센서는 또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내의 어느 곳에나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배향은 액체 저장부의 배향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액체 저장부가 정확한 배향인 경우에만 충진 레벨 확인을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체 저장부의 오배향에 의해 야기되는 잘못된 충진 레벨 확인이 회피된다.
배향 센서는 임의의 적절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배향 센서일 수 있다. 방향 센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일 수 있다.
액체 저장부는 재충진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액체 저장부는 재충진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가 더이상 충분한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 나타낼 때마다 사용자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재충진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는 교체 가능한 액체 저장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액체 센서는 교체 가능한 액체 저장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의 교체 시 액체 저장부와 제어 유닛 사이의 접촉은 이들 구성 요소 사이에 대응하는 전기 연결들이 설정되는 것만을 요구한다. 그러나, 액체 센서가 액체 저장부의 일부이므로, 이러한 액체 저장부에 대한 제조 비용이 증가된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전원 및 전자 회로를 차례로 포함하는 장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부는 또한 배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액체 저장부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기화기 조립체 및 마우스피스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장치부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액체 압력 센서는 장치부의 일부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조립 시 또는 카트리지의 교체 시, 액체 압력 센서가 액체 저장부 내의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직접 접촉하게 되도록 액체 압력 센서는 카트리지의 액체 저장부 내에 위치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현예에서, 카트리지의 교체는 또한 전기 연결들뿐만 아니라 장치부와 카트리지 사이에 설정된 유체 연결을 요구한다. 그러나, 카트리지가 액체 압력 센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대응하는 전기 연결들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개별 카트리지의 제조 비용은 액체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에 비해 더 낮다.
액체 저장부는 또한 가압된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거나 가압된 에어로졸로 이미 충진될 수 있다. 압력 하의 이러한 액체는 시스템에 보다 정확한 압력 측정을 제공할 수 있다. 흡입을 위해 원하는 압력에서 가압된 액체 또는 에어로졸을 방출하기 위해, 압력 조절기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에어로졸 형성 시스템에서의 액체 저장부의 충진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유지하는 액체 저장부를 제공하는 단계, 액체 저장부 내에 액체 압력 센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액체 압력 센서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액체 저장부 내의 액체 압력 센서는 압력 값을 측정해서 압력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압력 신호를 제어 유닛에 전달한다. 제어 유닛은 압력 신호를 평가하고 액체 저장부 내의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충진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액체 저장부 내의 충진 레벨이 충분히 높다는 결과를 액체 압력 센서의 압력 신호의 평가가 낳을 때,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원하는 대로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압력 신호의 평가시 액체 저장부가 비어 있거나 실질적으로 비어 있다고 제어 유닛이 결정할 때, 소비자는 이에 따라 통지되고, 액체 저장부가 재충진되거나 교체되기 전에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 활성화될 수 없다.
충진 레벨 검출은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동 동안 언제라도 수행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이 시작하기 직전에 충진 레벨 확인을 수행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액체 압력 센서의 압력 판독이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정확한 배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방법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배향을 결정하기 위한 배향 센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결정된 배향에 따라 충진 레벨의 평가를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 정확한 배향에 있을 때에만 충진 레벨 검출이 트리거링되고, 여기서 압력 센서는 액체 저장부의 하단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와 조합하여 개시된 특징은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와 조합하여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추가로 설명될 것이며, 첨부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도시하며;
도 2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액체 저장부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의 대안적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하부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12), 및 상부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20)으로 이루어지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이 도시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2)는 제어 유닛(16) 및 퍼프 검출기(18)를 포함하는 전원(14) 및 전기 회로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20)은 액체 저장부(22), 기화기(24) 및 마우스피스(26)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의 조립 시, 에어로졸 발생 장치(12)와 에어로졸 발생 물품(20) 사이에 전기 연결이 설정되어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의 개별 전기 구성요소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은 공기 유입구로부터 기화기(24)를 통해 마우스피스(26)로 기류 경로를 정의한다.
도 2는 액체 저장부(22)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0)의 일부분을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액체 저장부(22)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31)가 기화기에 전달되는 개구부(30)를 갖는 하우징(28)을 포함한다. 도시된 액체 저장부(22) 내의 충진 레벨은 약 50%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은 마우스 피스(26)가 위쪽을 향하는 직립 위치에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액체 저장부(22)의 하단(32)에서 액체 압력 센서(34)가 제공되어 있다. 액체 압력 센서(34)는 수성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접촉하도록 방액될(liquid-proofed) 수 있다. 액체 압력 센서(34)가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31)와 접촉할 때, 액체 압력 센서(34)에 의해 측정된 압력은 주변 대기압보다 높다. 또한, 액체 압력 센서(34) 상의 액체 기둥이 높을수록 측정된 압력 값이 높아진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20)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압력 값은 액체 저장부(22) 내의 액체 충진 레벨에 대한 측정치이다. 액체 압력 센서(34)는 제어 유닛(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 유닛(16)은 액체 압력 센서(34)로부터의 압력 신호를 평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압력 신호가 액체 저장부(22)가 비어 있거나 거의 비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 유닛(16)은 기화기(24)의 활성화를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구현예의 구성과 유사하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20)을 나타내는 상부는 액체 저장부(22)를 포함한다. 다시, 액체 저장부(22)의 하단에서 액체 압력 센서(34)가 제공된다. 액체 압력 센서(34)는 다시 제어 유닛(16)에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은 또한 퍼프 센서를 포함하고 자이로스코프 센서(36)를 더 포함한다. 퍼프 센서(18) 및 자이로스코프 센서(36) 둘 모두는 장치 부분(12)에 제공되며 또한 둘 모두는 제어 유닛(16)에 연결된다. 퍼프 센서(18)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에 정의된 기류 경로 내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압력 센서이다. 퍼프 센서(18)에서의 압력 강하는 사용자에 의해 흡인된 퍼프를 나타내며 시스템의 반응으로서, 기화기(24)가 활성화된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에서 퍼프가 흡인되지 않을 때, 퍼프 센서(18)의 압력 신호는 주변 대기압에 대응한다. 따라서, 액체 압력 센서(34) 및 퍼프 센서(18)로부터의 압력 신호들을 비교함으로써,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충진 레벨이 결정될 수 있다. 이들 두 압력 신호들 간의 압력 차이가 클수록 액체 저장부(22)에서 더 많은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이용 가능하다.
자이로스코프 센서(36)는 제어 유닛(16)이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의 배향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액체 저장부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에 대해 고정식으로 보유된다. 따라서, 액체 저장부의 배향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0)의 배향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구현예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결정된 압력 값은 또한 액체 저장부(22)의 배향에 의존한다. 액체 저장부(22)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확한 직립 배향에 있을 때 압력이 결정되면, 신뢰성 있는 압력 판독이 얻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유닛(16)은 우선 자이로스코프 센서(36)를 통해 액체 저장부(22)의 정확한 배향을 보장한다. 제어 유닛(16)이 액체 저장부(22)가 정확한 배향인 것을 검출하였을 때, 충진 레벨 결정이 제어 유닛(16)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Claims (12)

  1.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으로서,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유지(hold)하기 위한 액체 저장부,
    상기 액체 저장부 내에 제공된 액체 압력 센서, 및
    상기 액체 압력 센서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액체 압력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압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충진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상기 제어 유닛과 통신하는 대기압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기압 센서는 주변 대기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액체 압력 센서로부터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대기압 센서로부터 압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액체 압력 센서로부터의 압력 신호와 상기 대기압 센서로부터의 압력 신호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충진 레벨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압력 센서는 상기 액체 저장부의 하단에서 제공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압 센서는 퍼프 센서이며, 이는 또한 사용자에 의한 퍼프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부의 배향을 결정하기 위한 배향 센서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센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부는 재충진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부는 교체 가능한 액체 저장부로서 구성되고, 상기 액체 압력 센서는 액체 저장부의 일부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가지되, 상기 액체 압력 센서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부이고, 상기 액체 저장부는 하단을 가지되, 상기 액체 저장부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부착될 때 상기 액체 압력 센서는 상기 액체 저장부의 하단에서 삽입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액체 저장부는 가압되고,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 충진되거나 또는 가압된 에어로졸로 충진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부는 유출구를 가지되, 상기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상기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액체 저장부의 상기 유출구에 연결된 압력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11.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내의 액체 저장부의 충진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a)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유지하는 액체 저장부를 제공하는 단계,
    (b) 액체 압력 센서를 상기 액체 저장부 내에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액체 압력 센서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액체 압력 센서에서 압력을 측정해서 압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e) 상기 압력 신호를 상기 제어 유닛에 전달하는(communicating) 단계, 및
    (f) 상기 액체 저장부 내의 상기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충진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어 유닛의 압력 신호를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g) 주변 대기압을 결정하기 위한 대기압 센서를 제공하는 단계, 및
    (h) 상기 액체 압력 센서로부터의 압력 신호와 상기 대기압 센서로부터의 압력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충진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내의 액체 저장부의 충진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부의 배향을 결정하기 위한 배향 센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결정된 배향에 따라 상기 충진 레벨 평가를 트리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내의 액체 저장부의 충진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
KR1020197029364A 2017-04-07 2018-03-22 액체 저장부의 충진 레벨을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306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65579.8 2017-04-07
EP17165579 2017-04-07
PCT/EP2018/057334 WO2018184861A1 (en) 2017-04-07 2018-03-22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fill level of a liquid storage por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826A KR20190120826A (ko) 2019-10-24
KR102306362B1 true KR102306362B1 (ko) 2021-09-30

Family

ID=5853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364A KR102306362B1 (ko) 2017-04-07 2018-03-22 액체 저장부의 충진 레벨을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737496B2 (ko)
EP (1) EP3606364B1 (ko)
JP (1) JP6847251B2 (ko)
KR (1) KR102306362B1 (ko)
CN (1) CN110418583B (ko)
RU (1) RU2728013C1 (ko)
WO (1) WO20181848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4914B2 (en) * 2016-03-31 2018-10-23 Altria Client Services Llc Airflow in aerosol generating system with mouthpiece
CN112996400A (zh) 2018-11-27 2021-06-18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用于装置气溶胶生成系统的传感器
EP3750424A1 (en) * 2019-06-13 2020-12-16 Nerudia Limited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smoking substitute device
KR102323511B1 (ko) * 2020-02-05 2021-11-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29282B1 (ko) * 2020-02-11 2021-11-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00830B1 (ko) * 2020-08-31 2023-02-1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4111890A1 (en) * 2021-07-01 2023-01-04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on device alerting of a forthcoming capillary element drying
WO2023226035A1 (zh) * 2022-05-27 2023-11-30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电子雾化装置、储存介质、计算机设备及其自动供液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50810A1 (en) 2011-08-04 2014-06-05 Fontem Holdings 1 B.V. Electronic cigarette with capacitor sensor
GB2533652A (en) 2014-12-25 2016-06-29 Fontem Holdings 2 Bv Electronic cigarette liquid detection and measurement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3686A (en) * 1979-04-26 1980-09-23 Murray Jr Joseph E Smoking apparatus with capillary tube pressure balance
JPS6342422A (ja) * 1986-08-08 1988-02-23 Fuji Photo Film Co Ltd 液体計量容器の差圧式レベル計
US7479391B2 (en) * 2004-12-10 2009-01-20 Tecan Trading Ag Pipett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liquid level and/or gas bubble detection
US9056144B1 (en) * 2008-08-13 2015-06-16 Amad Tayebi Non-clogging, non-dripping and spillage and leakage-proof air-scenting method and device
US20120325022A1 (en) * 2011-06-24 2012-12-27 Veethree Pressure sensing liquid level sender
DE102012209314B4 (de) * 2012-06-01 2015-04-02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bgabe oder Aufnahme eines Flüssigkeitsvolumens
US9423152B2 (en) * 2013-03-15 2016-08-23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Heating control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GB2512329B (en) * 2013-03-26 2015-08-19 Kind Consumer Ltd A Simulated Cigarette
RU2680224C2 (ru) * 2013-05-20 2019-02-18 Сис Рисорсез, Лтд. Разработка приложений для сети с электронной сигаретой
AU2014359184B2 (en) * 2013-12-05 2019-06-27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low resistance air flow path
GB201413037D0 (en) * 2014-02-28 2014-09-03 Beyond Twenty Ltd Beyond 10
US10286163B1 (en) * 2014-03-04 2019-05-14 Philip J. Paustian On demand aerosolized delivery inhaler
US9642397B2 (en) * 2014-03-31 2017-05-09 Westfield Limited (Ltd.) Personal vaporizer with liquid supply by suction
CN203873007U (zh) * 2014-05-22 2014-10-15 深圳市施美乐科技有限公司 具有提醒功能的电子烟装置
CN204132401U (zh) * 2014-10-24 2015-02-04 深圳市云享科技有限公司 雾化器和电子烟
US10500600B2 (en) * 2014-12-09 2019-12-10 Rai Strategic Holdings, Inc. Gesture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WO2016101203A1 (en) * 2014-12-25 2016-06-30 Fontem Holdings 2 B.V. Electronic smoking device with aerosol measurement
WO2016119144A1 (zh) * 2015-01-28 2016-08-04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烟油余量检测装置、电子烟及电子烟控制方法
US11154669B2 (en) * 2015-07-10 2021-10-26 Juul Labs, Inc. Wickless vaporizing devices and methods
CN204861182U (zh) * 2015-08-11 2015-12-16 深圳市新宜康科技有限公司 电子烟充气加压供液装置
GB2542007B (en) * 2015-09-01 2020-04-22 Ayr Ltd Electronic vaporiser system
CA2987162A1 (en) * 2015-09-16 2017-03-27 Philip Morris Products S.A. Cartridge with a capacity sensor
US20170105448A1 (en) * 2015-10-20 2017-04-20 Peter Scarpulla Liquefied Gas Powered Cigarette
EP3162228B1 (en) * 2015-10-28 2020-10-28 Fontem Holdings 1 B.V. Electronic smoking device
US10379131B2 (en) * 2015-11-18 2019-08-13 Elbit Systems Of America/Kmc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liquid level
US11937647B2 (en) * 2016-09-09 2024-03-26 Rai Strategic Holdings, Inc. Fluidic control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CN106388002B (zh) * 2016-09-13 2019-12-27 卓尔悦欧洲控股有限公司 电子烟及烟液控制方法
PL3548128T3 (pl) * 2016-11-29 2022-12-19 Philip Morris Products S.A. Układ wytwarzania aerozolu z regulowanym natężeniem przepływu pompy
US10876879B2 (en) * 2017-04-07 2020-12-29 Altria Client Services Llc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fill level of a cartrid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50810A1 (en) 2011-08-04 2014-06-05 Fontem Holdings 1 B.V. Electronic cigarette with capacitor sensor
GB2533652A (en) 2014-12-25 2016-06-29 Fontem Holdings 2 Bv Electronic cigarette liquid detection and measurement systems
WO2016101202A1 (en) 2014-12-25 2016-06-30 Fontem Holdings 2 B.V. Electronic cigarette liquid detection and measurement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24870A1 (en) 2023-01-26
RU2728013C1 (ru) 2020-07-28
EP3606364A1 (en) 2020-02-12
BR112019018180A2 (pt) 2020-04-07
US11737496B2 (en) 2023-08-29
CN110418583B (zh) 2022-03-22
KR20190120826A (ko) 2019-10-24
JP2020509764A (ja) 2020-04-02
CN110418583A (zh) 2019-11-05
JP6847251B2 (ja) 2021-03-24
WO2018184861A1 (en) 2018-10-11
EP3606364B1 (en) 2022-10-19
US20230354914A1 (en)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6362B1 (ko) 액체 저장부의 충진 레벨을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TWI828642B (zh) 蒸發器裝置及產生可吸入氣溶膠之方法
US1146033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fill level of a cartridge
EP2908673B1 (en) Electronic vapour provision device
CN108348003B (zh) 具有带有柔性壁的液体储存部分的筒
US8505534B2 (en) Humidifying device for breathing gases
KR102291246B1 (ko)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장치 내에 적용될 수 있는 액상 카트리지 내의 액상 잔량 측정 구조
BR112019018180B1 (pt) Sistema e método para verificação do nível de abastecimento da porção de armazenamento de líquido
KR20230144778A (ko)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액상 잔량 측정 시스템
KR20230147845A (ko)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액상 잔량 측정 시스템
EA039609B1 (ru) Схемы фиксации затяжки и питания для испари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EA045591B1 (ru) Схемы фиксации затяжки и питания для испари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JP2022120206A (ja) 非燃焼式吸引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