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125B1 -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인조잔디 충진재 - Google Patents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인조잔디 충진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125B1
KR102306125B1 KR1020200090900A KR20200090900A KR102306125B1 KR 102306125 B1 KR102306125 B1 KR 102306125B1 KR 1020200090900 A KR1020200090900 A KR 1020200090900A KR 20200090900 A KR20200090900 A KR 20200090900A KR 102306125 B1 KR102306125 B1 KR 102306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k
mixture
artificial turf
cooling water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금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와이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와이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와이에코
Priority to KR1020200090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16Transporting the material from mat moulding stations to presse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the material or component parts therefor, e.g. cau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28Moulding or pressing characterised by using extrusion pr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소재로서 다공성을 갖으면서 내열성이 강하고 탄성력이 우수한 코르크를 성질이 다른 SEBS계열 원재료와 고른 배합이 가능하게 가공 후 배합함으로써 SEBS계열 충진재가 가지는 탄성력과 내열성 부족의 단점을 극복하며, 다공성을 갖는 코르크는 가공시 추가되는 커피, 백토, 목초액의 흡수가 용이하여 탄성력과 내열성 뿐만 아니라 향균 및 항취 기능이 우수한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인조잔디 충진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은 코르크와 양봉에서 버려지는 벌집을 14:1~15:1의 비율로 혼합 후 분쇄하는 코르크혼합물 분쇄단계(S11); 상기 분쇄된 코르크혼합물을 물과 1:3~1:4의 비율로 혼합 후 95~100℃의 온도로 가열하는 코르크혼합물 가열단계(S12); 상기 코르크혼합물을 30~35℃까지 자연 냉각 후 통과구멍의 크기가 가로 세로 0.1~0.3mm인 거름망으로 코르크혼합물을 통과시켜 냉각수에 투입하는 냉각수 투입단계(S13); 냉각수에 침전된 코르크혼합물을 수거하여 건조 후 분쇄하여 코르크가공가루를 준비하는 코르크가공가루 준비단계(S14)로 이루어지는 선공정과(S10), 선공정에서 준비된 코르크가공가루를 SEBS계열 원재료와 혼합하여 최종 충진재를 생산하는 후공정(S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인조잔디 충진재{Method for manufactrring filler for artificial turf using cork and filler for artificial ture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인조잔디 충진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천연소재로서 다공성을 갖으면서 내열성이 강하고 탄성력이 우수한 코르크를 성질이 다른 SEBS계열 원재료와 고른 배합이 가능하게 가공 후 배합함으로써 SEBS계열 충진재가 가지는 탄성력과 내열성 부족의 단점을 극복하면서 또한 다공성을 갖는 코르크는 가공 시 사용되는 커피, 백토, 목초액의 흡수가 용이하여 탄성력과 내열성뿐만 아니라 향균 및 항취 기능이 우수한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인조잔디 충진재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는 합성섬유를 소재로 하여 만든 잔디로 잔디의 형태를 갖추어 인공적으로 만든 천연잔디의 대용품이다.
인조잔디는 스포츠 구장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고, 잔디의 생육이 불가능한 옥내정원이나 일조시간이 극히 제한된 고층건물의 북쪽에 접한 옥외지역(極陰地 등)과 같은 곳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인조잔디는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등이 주요 소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심어진 잔디파일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이용자들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충진재로서 작은 크기로 분쇄 또는 파쇄한 고무칩을 일정한 높이로 채워 잔디층을 형성하고 있다.
인조잔디 충진재와 관련된 기술의 예로는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가 있으며, 소재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제조방법을 통해서 제조되며, 소재의 특성을 살려 제조됨에 따라 상이한 소재의 특성을 살려 각 소재가 가지는 장점을 극대화시키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소재의 본연의 특성으로 실제로 성공한 제조방법을 찾기가 매우 어려운 상태이다.
특허문헌 1는 인조잔디에 충전되는 인조잔디용 충진재에 있어서,
기본재인 왕겨; 우천 시 또는 다량의 물이 상기 인조잔디용 충진재에 침투시, 상기 왕겨와 엉겨 붙어 상기 왕겨가 물에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부유 방지재; 및 상기 왕겨와 상기 부유 방지재를 자체 하중으로 눌러주어, 상기 왕겨와 상기 부유 방지재의 혼합을 보조하는 보조 혼합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조잔디용 충진재이고,
특허문헌 2는 하드 세그먼트 블록과 소프트 세그먼트 블록을 함유한 에틸렌-옥텐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폴리부텐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공조제 2 내지 500 중량부; 및 무기 충전제 50 내지 5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압출 및 펠렛화하여 제조한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이고,
특허문헌 3은 인조잔디 하부측에 충진되는 인조잔디용 충진재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열가소성 탄성체 100 중량부에 대해 목분 5 내지 50 중량부, 목분바인더 10 내지 50 중량부, 무기 충전제 100 내지 400 중량부, 미네랄오일 50 내지 200 중량부 및 탄성체의 물성변화 및 색상 변색 방지를 위한 가공조제 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압출 및 펠렛화하여 제조하되, 상기 펠렛화된 충진재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는 숯흡착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흡착층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진재이고,
특허문헌 4는 옥수수 속대를 절단 및 분쇄하여 원료칩을 만드는 단계(S 110); 상기 원료칩에 우레탄 수지와, 백토를 혼합 및 교반하여 원료칩을 코팅하는 단계(S 120); 코팅된 원료칩을 건조 및 분리하는 단계(S 13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속대를 이용한 친환경 인조잔디 충진재의 제조방법이다.
이러한 종래의 인조잔디 충진재와 관련된 기술 및 이 기술에 의해 만들어진 충진재는 인조잔디가 주로 야외에 노출된 곳에 설치됨으로 인해 극한 기온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내열성과 이를 사용하는 운동선수에게 발생되는 순간적인 충격과 압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운동선수와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해 인체에 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현재 열가소성 소재인 SEBS계열의 수지를 사용하여 압출성형된 인조잔디 충진재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SEBS계열의 인조잔디 충진재는 내구성과 충분한 비중이라는 장점이 있는 반면 내열성과 탄성력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662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959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240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854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천연소재로서 다공성과 높은 탄성력, 내열성이 우수한 코르크를 사용하여 공극에 의한 용이한 흡수력으로 인해 다기능성을 갖게 하며, 코르크를 SEBS계열 원재료와 고른 배합이 이루어지게 양봉에서 버려지는 벌집을 촉매제의 역할로 사용하여 친환경적이면서 성질이 다른 코르크와 SEBS계열 원재료의 고른 배합이 가능하여 탄성력과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코르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커피, 백토, 목초액을 사용함으로써 코로크의 다공성과 커피의 향취로 고무 특유의 냄새가 발생되지 않게 하는 기능과 백토와 목초액의 향균기능을 부여시키는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인조잔디 충진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은 코르크와 양봉에서 버려지는 벌집을 14:1~15:1의 비율로 혼합 후 분쇄하는 코르크혼합물 분쇄단계(S11);
상기 분쇄된 코르크혼합물을 물과 1:3~1:4의 비율로 혼합 후 95~100℃의 온도로 가열하는 코르크혼합물 가열단계(S12);
상기 코르크혼합물을 30~35℃까지 자연 냉각 후 통과구멍의 크기가 가로 세로 0.1~0.3mm인 거름망으로 코르크혼합물을 통과시켜 냉각수에 투입하는 냉각수 투입단계(S13);
냉각수에 침전된 코르크혼합물을 수거하여 건조 후 분쇄하여 코르크가공가루를 준비하는 코르크가공가루 준비단계(S14)로 이루어지는 선공정과(S10),
선공정에서 준비된 코르크가공가루를 SEBS계열 원재료와 혼합하여 최종 충진재를 생산하는 후공정(S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르크혼합물 가열단계(S12)에서는 커피가루, 백토, 목초액이 함유된 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수는 목초액과 백토가 함유된 냉각수이며,
상기 냉각수 투입단계(S13)는 상기 코르크혼합물을 목초액과 백토가 포함된 냉각수에 2~3일 자연 침지시킨 후 자연 친화적인 항균제인 목초액과 백토가 침투 내지는 흡수가 된 침전된 침전물을 수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공정(S20)은 상기 코르크가공가루를 SEBS계열 원재료와 혼합 후 코르크가공가루에 함유된 파라핀계 촉매제의 용융점까지 온도로 도달될 수 있는 마찰열이 발생될 수 있도록 충분히 교반하여 원재료들을 혼합하는 원재료 혼합단계(S21);
혼합된 원재료들을 스크류로 혼합하고 용융시키면서 압출하여 성형하는 용융/압출단계(S22);
상기 압출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고 냉각시키는 커팅/냉각단계(S23);
냉각된 압출물을 냉각수로 이송하는 이송단계(S24);
압출물을 냉각수에서 수거하고 사일로에 저장 후 계량하여 포장하는 포장단계(S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연소재이며 다공성, 강한 내열성, 높은 탄력성 등의 특성을 갖는 코르크를 사용함으로써 SEBS계열 수지에 부족한 내열성과 탄성력을 보완하여 우수한 충격 흡수력과 더불어 다공성을 갖는 코르크는 공극에 의해 코르크 가공시 사용되는 커피, 백토, 목초액 성분의 흡수가 용이하여 우수한 향취 및 항균기능을 부여하고 이에 따라 충진재에 고무 특유의 냄새가 발생되지 않게 하여 인조잔디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냄새로 인한 불쾌감과 피로감을 덜어주고, 곰팡이 및 세균번식을 방지하며 양봉에서 버려지는 벌집이 파라핀계 촉매제의 역할을 하여 친환경적이면서 성질이 다른 코르크와 SEBS계열 원재료와의 배합을 용이하게 해줘 탄성력과 내구성이 좋고, 향취 및 항균기능이 부여된 다양한 기능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에 따른 제조 과정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은 다공성을 갖는 코르크와 버려지는 벌집, 커피가루를 이용하여 재활용함으로써 가벼우면서도 탄력성과 내열성을 갖추며 향취기능을 하고 온도와 자외선에 잘 견딜 수 있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르크가공가루를 제조하는 선공정(10)과, 선공정에서 제조된 코르크가공가루와 SEBS계열 원재료를 혼합하여 최종 충진재를 생산하는 후공정(S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공정(S10)은 코르크혼합물 분쇄단계(S11)와, 코르크혼합물 가열단계(S12)와, 냉각수 투입단계(S13)와, 코르크가공가루 준비단계(S14)로 구성된다.
상기 코르크혼합물 분쇄단계(S11)에서는 코르크와 양봉에서 버려진 벌집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가루상태의 코르크혼합물을 준비하는데 이때, 상기 코르크와 벌집은 14:1~15:1의 비율로 혼합한다.
상기 코르크는 다공성, 내열성, 탄력성, 낮은 열전도성, 가벼운 무게, 충격 흡수력 등 다양한 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복사열이 적어 열섬현상을 완화하고, 고무냄새가 없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다공성을 갖는 특성으로 인해 코르크의 가공과정에서 사용되는 벌집, 커피, 백토, 목초액의 흡수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벌집은 양봉에서 사용되다 버려진 벌집을 사용함에 따라 친환경적이며 프로폴리스를 함유하고 있어 자연 항균제 역할을 할 수 있게 하고, 선공정의 코르크가공가루와 후공정의 SEBS계열 원재료와의 배합과정에서 파라핀계 촉매제로서의 역할을 하여 혼합물이 균일한 배합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코르크의 탄성력, 충격 흡수력 기능과 SEBS계열 원재료의 내구성의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벌집은 코르크의 적은 사용량으로도 촉매제의 역할을 부여할 수 있으며 많은 양이 사용될 경우에는 물에 희석하고 가열시 코르크혼합물의 점성이 높아져 덩어리가 생기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코르크 대비 벌집은 14:1~15:1의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르크혼합물 가열단계(S12)는 가루상태의 코르크혼합물을 물과 1:3~1:4의 비율로 혼합하여 희석시키며 이렇게 희석시킨 코르크혼합물은 95~100℃의 온도로 가열하면서 충분히저어줘 코르크혼합물이 덩어리가 생기기 않으면서 가열되게 한다.
한편, 상기 코르크혼합물을 희석시키기 위한 물은 향취기능이 뛰어난 커피가루와 자연친화적이며 내항균성 뛰어난 백토, 목초액을 물에 함유시킨 후 침전물은 걸러내 커피가루, 백토, 목초액의 성분이 함유된 물을 사용함으로써 커피가루, 백토, 목초액의 성분이 코르크혼합물에 충분히 흡수되어 커피향이 충진재 특유의 고무 냄새를 없애고, 백토와 목초액의 항균기능이 곰팡이와 세균 등의 번식을 막을 수 있게 한다.
상기 냉각수 투입단계(S13)는 일정시간 충분히 가열하여 끓인 코르크혼합의 가열을 중단한 후 코르크혼합물을 급냉 또는 자연 냉각시켜 30~35℃의 온도로 냉각시킨다.
상기 냉각시킨 코르크혼합물은 냉각수에 투입하게 되는데 상기 냉각수는 항균기능이 뛰어난 백토와 목초액이 함유된 냉각수를 사용한다.
상기 백토와 목초액이 함유된 냉각수에는 상기 코르크혼합물을 투입시 통과 구멍의 크기가 가로 및 세로 0.1~0.3mm인 거름망을 이용해 코르크혼합물을 통과시켜 입자크기가 0.1~0.3mm인 코르크만 냉각수에 투입되게 함으로써 비교적 작은 입자크기의 코르크만 사용되게 하며, 거름망을 통과하여 냉각수에 투입된 코르크혼합물은 2~3일정도 냉각수에 자연 침지시키는데, 2~3일정도 침지시키는 과정에서 냉각수에 녹아있는 항균기능이 뛰어난 목초액과 백토가 코르크혼합물에 충분히 침투 내지 희석이 되게한 후 침전물을 수거한다.
상기 코르크가공가루 준비단계(S14)는 코르크혼합물이 자연 침전된 냉각수에서 물을 분리한 후 코르크혼합물만 수거하고 자연건조 시켜 코르크혼합물의 수분을 제거하며, 수분이 제거된 코르크혼합물은 분쇄기로 분쇄하여 후공정(S20)의 원료와 배합시킬 수 있게 코르크가공가루로 제조하여 준비한다.
상기 후공정(S20)은 원재료 혼합단계(S21)과, 용융/압출단계(S22), 커팅/냉각단계(S23), 이송단계(S24), 포장단계(S25)로 구성된다.
상기 원재료 혼합단계(S21)는 상기 선공정에서 준비된 코르크가공가루를 SEBS계열 원재료와 혼합 후 코르크가공가루에 함유되어 있는 벌집이 파라핀계 촉매제의 역할을 하여 용융점까지의 온도로 도달될 수 있는 마찰열이 발생될 수 있도록 충분히 교반하여 재료들이 고르게 혼합되게 한다.
상기 용융/압출단계(S22)는 상기 혼합된 원재료들이 마찰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다시한번 고르게 혼합되게 스크류로 이송시켜 혼합하고 용융시키면서 압출하여 성형한다.
상기 용융압출단계에서 가해지는 최적 온도는 223~238℃로 하며, 코르크가공가루와 SEBS계열 원재료가 고르게 혼합되게 하기 위한 교반 수단으로 사용되는 스크류는 회전속도가 13500~14300RP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팅/냉각단계(S23)는 혼합 및 압출된 인조잔디 충진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후 절단된 인조잔디 충진재 제품을 냉각수로 이송하며, 냉각수로 이송된 인조잔디 충진재는 크기 선별기로 이송되게 한다.
상기 포장단계(S25)는 이송 선별된 인조잔디 충진재를 사일로에 저장 후 계량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양으로 최종 단위 포장된다.
이하, 본 발명의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1]
먼저, 선공정 과정으로 코르크와 양봉에서 버려지는 벌집을 수거하여 코르크와 벌집을 14:1의 비율로 혼합 후 분쇄한다.
그후, 커피가루, 백토, 목초액을 물에 혼합하여 침전물을 걸러낸 커피가루, 백토, 목초액 성분이 혼합된 물에 상기 코르크혼합물을 3:1의 비율로 혼합 후 가마솥에 넣고 95~100℃의 온도로 가열한다.
그후, 상기 코르크혼합물을 일정시간 동안 가열하다 가열을 중단 후 30~35℃의 온도가 될 때까지 코르크혼합물을 자연 냉각시키며, 냉각시킨 코르크혼합물을 통과구멍의 크기가 가로 세로 0.1~0.3mm 크기인 거름망을 이용해 코르크혼합물을 통과시켜 목초액과 백토가 함유된 냉각수에 투입한다.
그 후, 코르크혼합물을 냉각수에 3일정도 자연 침전되게 방치 후 물은 버리고 침전된 코르크혼합물만 수거하며, 수거된 코르크혼합물을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한다.
그 후, 수분이 제거된 코르크혼합물을 분쇄기를 이용해 가루로 분쇄하여 코르크가공가루로 준비한다.
그 후, 상기 선공정 과정에서 준비된 코르크가공가루를 SEBS계열 원재료와 고르게 혼합하여 최종 인조잔디 충진재를 생산한다.
[실시예2]
먼저, 선공정 과정으로 코르크와 양봉에서 버려지는 벌집을 수거하여 코르크와 벌집을 14:1의 비율로 혼합 후 분쇄한다.
그후, 커피가루, 백토, 목초액을 물에 혼합하여 침전물을 걸러낸 커피가루, 백토, 목초액 성분이 혼합된 물에 상기 코르크혼합물을 3:1의 비율로 혼합 후 가마솥에 넣고 95~100℃의 온도로 가열한다.
그후, 상기 코르크혼합물을 일정시간 동안 가열하다 가열을 중단 후 30~35℃의 온도가 될 때까지 코르크혼합물을 자연 냉각시키며, 냉각시킨 코르크혼합물을 통과구멍의 크기가 가로 세로 0.1~0.3mm 크기인 거름망을 이용해 코르크혼합물을 통과시켜 목초액과 백토가 함유된 냉각수에 투입한다.
그 후, 코르크혼합물을 냉각수에 3일정도 자연 침전되게 방치 후 물은 버리고 침전된 코르크혼합물만 수거하며, 수거된 코르크혼합물을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한다.
그 후, 수분이 제거된 코르크혼합물을 분쇄기를 이용해 가루로 분쇄하여 코르크가공가루로 준비한다.
그후, 상기 선공정 과정에서 준비된 코르크가공가루를 SEBS계열 원재료와 고르게 혼합 후 코르크가공가루에 함유된 벌집이 파라핀계 촉매제 역할을 하여 용융점까지 온도로 도달될 수 있게 코르크가공가루와 SEBS계열 원재료를 충분히 교반한다.
그 후, 상기 혼합된 원재료들을 스크류로 이송시켜 혼합하고 용융시키면서 압출하여 인조잔디 충진재로 성형하며, 성형된 인조잔디 충진재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냉각수로 이송시켜 냉각수와 함께 크기 선별기로 이송한다.
그 후, 이송 선별된 인조잔디 충진재를 사일로에 저장하고 계량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양으로 최종 단위 포장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인조잔디 충진재는 천연소재이며 다공성, 강한 내열성, 높은 탄력성 등의 특성을 갖는 코르크를 사용함으로써 SEBS계열 수지에 부족한 내열성과 탄성력을 보완하여 우수한 충격 흡수력과 더불어 다공성을 갖는 코르크는 공극에 의해 코르크 가공시 사용되는 커피, 백토, 목초액 성분의 흡수가 용이하여 우수한 향취 및 항균기능을 부여하고 이에 따라 충진재에 고무 특유의 냄새가 발생되지 않게 하여 인조잔디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냄새로 인한 불쾌감과 피로감을 덜어주고, 세균번식을 방지하며 양봉에서 버려지는 벌집이 파라핀계 촉매제의 역할을 하여 친환경적이면서 성질이 다른 코르크와 SEBS계열 원재료와의 배합을 용이하게 해줘 탄성력과 내구성이 좋고, 향취 및 항균기능이 부여된 다양한 기능을 갖게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코르크와 양봉에서 버려지는 벌집을 14:1~15:1의 비율로 혼합 후 분쇄하는 코르크혼합물 분쇄단계(S11);
    상기 분쇄된 코르크혼합물을 물과 1:3~1:4의 비율로 혼합 후 95~100℃의 온도로 가열하는 코르크혼합물 가열단계(S12);
    상기 코르크혼합물을 30~35℃까지 자연 냉각 후 통과구멍의 크기가 가로 세로 0.1~0.3mm인 거름망으로 코르크혼합물을 통과시켜 냉각수에 투입하는 냉각수 투입단계(S13);
    냉각수에 침전된 코르크혼합물을 수거하여 건조 후 분쇄하여 코르크가공가루를 준비하는 코르크가공가루 준비단계(S14)로 이루어지는 선공정과(S10),
    선공정에서 준비된 코르크가공가루를 SEBS계열 원재료와 혼합하여 최종 충진재를 생산하는 후공정(S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르크혼합물 가열단계(S12)에서는 커피가루, 백토, 목초액이 함유된 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는 목초액과 백토가 함유된 냉각수이며,
    상기 냉각수 투입단계(S13)는 상기 코르크혼합물을 목초액과 백토가 포함된 냉각수에 2~3일 자연 침지시킨 후 자연 친화적인 항균제인 목초액과 백토가 침투 내지는 흡수가 된 침전된 침전물을 수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공정(S20)은 상기 코르크가공가루를 SEBS계열 원재료와 혼합 후 코르크가공가루에 함유된 파라핀계 촉매제의 용융점까지 온도로 도달될 수 있는 마찰열이 발생될 수 있도록 충분히 교반하여 원재료들을 혼합하는 원재료 혼합단계(S21);
    혼합된 원재료들을 스크류로 혼합하고 용융시키면서 압출하여 성형하는 용융/압출단계(S22);
    압출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고 냉각시키는 커팅/냉각단계(S23);
    냉각된 압출물을 냉각수로 이송하는 이송단계(S24);
    압출물을 냉각수에서 수거하고 사일로에 저장 후 계량하여 포장하는 포장단계(S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
  5. 청구항 1 내지 4항 중 어느 하나의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충진재.
KR1020200090900A 2020-07-22 2020-07-22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인조잔디 충진재 KR102306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900A KR102306125B1 (ko) 2020-07-22 2020-07-22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인조잔디 충진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900A KR102306125B1 (ko) 2020-07-22 2020-07-22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인조잔디 충진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125B1 true KR102306125B1 (ko) 2021-09-28

Family

ID=7792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900A KR102306125B1 (ko) 2020-07-22 2020-07-22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인조잔디 충진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1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437B1 (ko) 2022-12-22 2023-03-27 주식회사 스플랜트 천연 코르크를 이용한 친환경 코르크 바닥 포장재용 칩 및 그 제조방법
KR102514433B1 (ko) 2022-12-22 2023-03-27 주식회사 스플랜트 천연 코르크를 이용한 친환경 인조잔디 충전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28460B1 (ko) 2023-01-11 2023-05-04 주식회사 에스빌드 재활용 코르크를 이용한 친환경 코르크 칩 생산시스템, 그 시스템에 의한 코르크 칩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친환경 코르크 칩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593B1 (ko) 2009-02-25 2009-05-26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조성물
KR100906622B1 (ko) 2009-02-05 2009-07-10 정미숙 인조잔디용 충진재
KR101352409B1 (ko) 2013-02-07 2014-01-17 주식회사 정영씨엠 숯흡착층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진재
KR101400101B1 (ko) * 2013-11-12 2014-05-28 (주)대건씨앤엘 인조잔디 충진용 에스이비에스 고무칩 제조방법
KR101569489B1 (ko) * 2015-08-19 2015-11-16 문진호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제조방법
KR20180133178A (ko) * 2017-06-05 2018-12-13 (주)신우켐텍 커피부산물을 이용한 펠릿의 제조방법
KR20190085415A (ko)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아이그라스 옥수수 속대를 이용한 친환경 인조잔디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1437B1 (ko) * 2019-05-07 2019-08-19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활성탄을 함유한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18068B1 (ko) * 2019-05-10 2019-09-04 주식회사 디와이에코 인조잔디용 하이브리드 충진재의 제조 방법과 그를 이용해 제조된 인조잔디용 하이브리드 충진재 및 설치 방법
KR102128255B1 (ko) * 2019-12-17 2020-07-08 여진동 테르펜을 함유한 인조잔디용 충진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622B1 (ko) 2009-02-05 2009-07-10 정미숙 인조잔디용 충진재
KR100899593B1 (ko) 2009-02-25 2009-05-26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조성물
KR101352409B1 (ko) 2013-02-07 2014-01-17 주식회사 정영씨엠 숯흡착층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진재
KR101400101B1 (ko) * 2013-11-12 2014-05-28 (주)대건씨앤엘 인조잔디 충진용 에스이비에스 고무칩 제조방법
KR101569489B1 (ko) * 2015-08-19 2015-11-16 문진호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제조방법
KR20180133178A (ko) * 2017-06-05 2018-12-13 (주)신우켐텍 커피부산물을 이용한 펠릿의 제조방법
KR20190085415A (ko)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아이그라스 옥수수 속대를 이용한 친환경 인조잔디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1437B1 (ko) * 2019-05-07 2019-08-19 주식회사 주목씨지알 활성탄을 함유한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18068B1 (ko) * 2019-05-10 2019-09-04 주식회사 디와이에코 인조잔디용 하이브리드 충진재의 제조 방법과 그를 이용해 제조된 인조잔디용 하이브리드 충진재 및 설치 방법
KR102128255B1 (ko) * 2019-12-17 2020-07-08 여진동 테르펜을 함유한 인조잔디용 충진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437B1 (ko) 2022-12-22 2023-03-27 주식회사 스플랜트 천연 코르크를 이용한 친환경 코르크 바닥 포장재용 칩 및 그 제조방법
KR102514433B1 (ko) 2022-12-22 2023-03-27 주식회사 스플랜트 천연 코르크를 이용한 친환경 인조잔디 충전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28460B1 (ko) 2023-01-11 2023-05-04 주식회사 에스빌드 재활용 코르크를 이용한 친환경 코르크 칩 생산시스템, 그 시스템에 의한 코르크 칩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친환경 코르크 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6125B1 (ko)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인조잔디 충진재
TWI274764B (en) Cellulosic fiber composites II
EP2206833A1 (en) A method of producing an infill material for synthetic-grass structures, corresponding material, and synthetic grass structure
KR100866903B1 (ko) 인조 잔디 시스템용 충진재
Alsewailem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mer/date pits composites
WO2007051393A1 (en) Naturally degradable green flower pot and its making process
CN104672944B (zh) 秸塑复合型板材的制备方法
KR101809877B1 (ko) 황토가 함유된 인조잔디용 항균성 충전재 조성물
US20110248423A1 (en) Synthetic Mulch and Method of Making Same
AU726172B2 (en) Plastic composition
KR20160062878A (ko) 고흡수성 수분흡수제와 그 제조 방법
KR102015628B1 (ko) 옥수수 속대를 이용한 친환경 인조잔디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283057A (zh) 一种新型的稠浆法多功能有机环保薄片地膜的制作方法
US20210238390A1 (en) Earth plant compostable biodegradable substr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264468B2 (ja) 生分解性樹脂組成物
KR102199953B1 (ko) 커피가루를 재활용한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조잔디 충진재
KR102015630B1 (ko) 옥수수 속대를 이용한 친환경 인조잔디 운동장의 조성방법
JPH02117319A (ja) 培地用素材
KR101154814B1 (ko) 패각을 함유하는 인조 목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조 목재
CN100432154C (zh) 一种利用油料作物茎杆合成的型材及其制备方法
RU2724249C1 (ru) Биологически разрушаемая термопластичная композиция
KR102203080B1 (ko) 인조잔디 충진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조잔디 충진재
RU2349612C1 (ru) Биологически разрушаемая термопластич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тходов кондитерск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KR101998382B1 (ko) 옥수수 속대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065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