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986B1 - 높이 조절 싱크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 싱크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5986B1 KR102305986B1 KR1020210086670A KR20210086670A KR102305986B1 KR 102305986 B1 KR102305986 B1 KR 102305986B1 KR 1020210086670 A KR1020210086670 A KR 1020210086670A KR 20210086670 A KR20210086670 A KR 20210086670A KR 102305986 B1 KR102305986 B1 KR 1023059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ight
- sink
- upper structure
- height adjustment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 A47B2009/065—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having rack and pin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는, 상수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수를 배출하는 배출홀이 마련된 싱크부를 포함하는 상부구조체; 상기 상부구조체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유도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하부구조체; 상기 하부구조체를 기준으로 상부구조체의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상부구조체의 동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홀과 결합되며, 높이조절부의 동작에 의해 조절되는 상부구조체의 높이에 따라 인장 또는 수축되도록 마련되는 배수 호스; 상기 배수 호스의 인장과 수축을 가이드 하며, 배수 호스의 외부를 보호하는 호스 하우징; 상기 배출홀에 결합되는 배수 호스를 수직의 상태로 유지하도록, 배수 호스의 중단에 구비되는 무게추를 포함하여, 보다 사용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높이 조절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싱크부의 높이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동작함으로써, 세대별 부부 공용에 따른 싱크대의 높이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높이 조절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가구나 싱크대 등은, 그들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설치면과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는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나사관이 형성된 고정 다리와 볼트로 나사의 끼움 깊이를 달리하는 방식으로 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높이 조절이 수행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5154호 “싱크대 다리의 높이조절 부재”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6359호 “싱크대 다리용 높이조절부재”와 같은 기술이 개발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술된 기술과 관련된 높이 조절 방식을 이용할 경우, 구조물의 정면에 위치한 다리는 노출되어 있으나 뒤편의 다리는 구조물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이 잘 닿지도 않고 공간이 좁아 공구도 쓸 수 없으므로, 각각의 다리 높이를 일괄적으로 조절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뒤편에 위치한 다리는 고정형으로 형성하고, 정면에 위치한 다리만을 조절한 이후, 뒤편의 다리에는 쐐기 등을 깊숙히 끼워야 하는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평균적인 남성과 여성의 신장이 서로 다름으로 인하여, 여성 신장을 기준으로 싱크대가 설계될 경우에, 이와 같은 싱크대를 남성이 이용할 경우 싱크대의 낮은 높이로 인하여 사용이 용이하지 않고, 반대의 경우에도, 여성이 이용하기에는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용하는 싱크부의 높이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동작함으로써, 보다 사용이 편리한 싱크대 및 주방가구에 관한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싱크부의 높이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동작함으로써, 세대별 부부 공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높이 조절 싱크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는, 상수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수를 배출하는 배출홀이 마련된 싱크부를 포함하는 상부구조체; 상기 상부구조체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유도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하부구조체; 상기 하부구조체를 기준으로 상부구조체의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상부구조체의 동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홀과 결합되며, 높이조절부의 동작에 의해 조절되는 상부구조체의 높이에 따라 인장 또는 수축되도록 마련되는 배수 호스; 상기 배수 호스의 인장과 수축을 가이드 하며, 배수 호스의 외부를 보호하는 호스 하우징; 상기 배출홀에 결합되는 배수 호스를 수직의 상태로 유지하도록, 배수 호스의 중단에 구비되는 무게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하부구조체로부터 상부구조체의 방향으로 수직하게 마련되는 유압식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압식 높이조절수단은, 외부 압력을 전달받는 스위치에 의해 구동 압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상부구조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하부구조체와 상부구조체의 사이에 구비되는 크로스링크식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링크식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상부구조체의 하부 중심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높이조절프레임 및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마름모의 구조를 형성하여, 수평길이의 축소 시, 높이가 상승하고, 수평길이의 확장 시, 높이가 하강하는 크로스링크 구조로 형성되며, 수평한 방향으로 프레임을 관통하는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높이가 변형되는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랙과 피니언 기어의 조합에 의해 상부구조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랙피니언식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랙피니언식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 또는 하부구조체의 내벽에서 수직하게 마련되는 랙 및 랙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부구조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는, 싱크부에 임시 저장된 상수의 상태 또는 사용자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측정함으로써, 높이 조절 싱크대의 운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 및 높이 조절 싱크대 또는 높이 조절 싱크대의 외부에 마련되어, 높이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단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 싱크대의 양 측방 모서리에는, 높이 조절 싱크대와 접하는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간의 간격 사이에 구비되어, 싱크부로부터 범람하거나, 튕겨나오는 상수를 차단하고, 상부구조체의 상승시에 상부구조체와 하부구조체의 간격 사이를 커버하는 밀폐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는, 높이 조절 싱크대와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의 사이에 삽입되는 수직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의 단부로부터, 높이 조절 싱크대 혹은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재는,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 또는 높이 조절 싱크대의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 또는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와 높이 조절 싱크대의 양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구조체와 하부구조체의 정면에는, 상부구조체의 상승에 따라 인장되어, 상부구조체와 하부구조체간에 발생되는 유격을 외부로부터 가려주는 가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림부는, 상부구조체 혹은 하부구조체에 마련되는 가림막 하우징; 상기 가림막 하우징의 내부에서 스파이럴의 형태를 이루는 탄성 스프링 및 상부구조체의 상승에 따라 가림막 하우징에서 인출되며, 상부구조체의 하강시, 탄성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가림막 하우징의 내부로 권취되는 가림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는, 싱크부가 마련된 상부구조체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승하강 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대응하는 적합한 높이로 변형됨으로써, 사용시 높낮이가 맞지 않아 사용자의 신체에 발생할 수 있는 고통과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의 배출부는, 배수 호스의 외부를 보호하는 호스 하우징과, 배수 호스를 수직의 상태로 유지하는 무게추가 구비되어, 배수 호스를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시켜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는, 운용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이를 표시하고 관리하는 표시부와 제어단말부를 더 포함하여, 보다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는, 싱크부로부터 범람하거나, 튕겨나오는 상수를 차단하고, 상부구조체의 상승시에 상부구조체와 하부구조체의 간격 사이를 커버하는 밀폐부재가 마련되어, 보다 사용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구조체와 하부구조체의 정면에는, 상부구조체의 상승에 따라 함께 인장되어, 상부구조체와 하부구조체간의 유격을 가리는 가림부가 마련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심미적으로 뛰어난 주방가구를 제공해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의 예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3 의 (a) 및 (b) 는 배출부의 구성과 운용방식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4 는 유압식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된 높이 조절 싱크대의 부분절개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분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상부구조체와 하부구조체를 부분 절개한 후의 저면예시도이다.
도 7 은 크로스링크식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된 높이 조절 싱크대의 예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측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구동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10 은 랙피니언식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된 높이 조절 싱크대의 정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부분절개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구동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 표시부 및 제어단말부가 더 구비된 높이 조절 싱크대의 예시도이다.
도 14 는 높이 조절 싱크대와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 사이에 마련되는 밀폐부재의 시공예시도이다.
도 15 의 (a) 내지 (c) 는 밀폐부재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 은 가림부가 마련된 높이 조절 싱크대의 예시도이다.
도 17 은 가림부의 구성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3 의 (a) 및 (b) 는 배출부의 구성과 운용방식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4 는 유압식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된 높이 조절 싱크대의 부분절개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분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상부구조체와 하부구조체를 부분 절개한 후의 저면예시도이다.
도 7 은 크로스링크식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된 높이 조절 싱크대의 예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측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구동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10 은 랙피니언식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된 높이 조절 싱크대의 정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부분절개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구동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 표시부 및 제어단말부가 더 구비된 높이 조절 싱크대의 예시도이다.
도 14 는 높이 조절 싱크대와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 사이에 마련되는 밀폐부재의 시공예시도이다.
도 15 의 (a) 내지 (c) 는 밀폐부재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 은 가림부가 마련된 높이 조절 싱크대의 예시도이다.
도 17 은 가림부의 구성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1)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 1 내지 17 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의 예시도이며, 도 2 는 도 1 의 작동 예시도이고, 도 3 의 (a) 및 (b) 는 배출부의 구성과 운용방식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또한, 도 4 는 유압식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된 높이 조절 싱크대의 부분절개도이며, 도 5 는 도 4 의 분해도이고, 도 6 은 도 4 의 상부구조체와 하부구조체를 부분 절개한 후의 저면예시도이다.
또한, 도 7 은 크로스링크식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된 높이 조절 싱크대의 예시도이며, 도 8 은 도 7 의 측단면도이고, 도 9 는 도 8 의 구동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또한, 도 10 은 랙피니언식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된 높이 조절 싱크대의 정면도이며, 도 11 은 도 10 의 부분절개도이고, 도 12 는 도 11 의 구동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1)는, 상부구조체(100), 하부구조체(200), 높이조절부(300) 및 가이드 레일(4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상부구조체(100)는, 공급부(110)와 싱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110)는, 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1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싱크부(120)는, 상부구조체(100)의 하방에 마련되는 싱크부 고정프레임(121)에 의해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싱크부(120)는, 용이한 방수력과 강도를 형성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싱크부(120)의 방수력과 강도를 형성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든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싱크부(120)의 하방에는,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상수와, 싱크부(120)에 임시 저장된 상수와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홀(122)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구조체(200)는, 상기 상부구조체(100)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홀(122)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유도하는 배출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210)는, 배수 호스(211), 호스 하우징(212) 및 무게추(213)의 구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싱크부(120)의 측방 소정 높이에는, 싱크부(120)로 공급된 상수가 일정 수위를 넘을 경우, 일정 수위를 넘게 된 상수를 배수 호스(211)로 배출하는 수위 조절 홀이 마련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배수 호스(211)는, 상기 배출홀(122)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 호스(211)는, 높이조절부(300)의 동작에 의해 조절되는 상부구조체(100)의 높이에 따라 인장 또는 수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배수 호스(211)는,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는 플랙서블 타입의 배수 호스(211)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 호스(211)는, 완전히 수직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단에 'U'자의 형상을 이루는 굴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 하우징(212)은, 내부로 소정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배수 호스(211)의 인장과 수축을 가이드 함과 동시에, 배수 호스(211)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스 하우징(212)은, 배수 호스(211)의 효과적인 방호를 위하여, 강한 강성과 강도를 가지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예시일 뿐, 반드시 한정되는 재질이 아닌, 적절한 강도를 가지는 합성 플라스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추(213)는, 상기 배출홀(122)에 결합되는 배수 호스(211)의 소정 길이를 수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배수 호스(211)의 중단, 보다 구체적으로는 굴곡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 을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상기 상부구조체(100)의 높이가 도 3 의 (a) 와 같이 기본 상태일 경우, 상기 무게추(213)는 일정한 높이에서 배수 호스(211)를 수직으로 유지시켜 주다가, 상부구조체(100)가 도 3 의 (b) 와 같이, 이후 서술될 높이조절부(300)에 의해 상승할 경우에는, 함께 이끌려 올라가는 배수 호스(211)의 굴곡부에 위치된 무게추(213) 역시 배수 호스(211)의 상승된 높이만큼 올라가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의 배출부(210)는, 배수 호스(211)의 외부를 보호하는 호스 하우징(212)과, 배수 호스(211)를 수직의 상태로 유지하는 무게추(213)를 이용하여, 배수 호스(211)를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시켜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하부구조체(200)의 정면에는, 하부구조체(20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한 회동 방식의 도어(D)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D)는, 도면 1 및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구조체(200)의 정면에 마련되는 한 개 이상의 문이 힌지에 의해 회동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형태일 뿐, 슬라이딩 방식의 개방 도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구조체(200)의 하방에는, 설치면과 지지력을 형성하기 위한 서포트(S)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S)는, 종래 이용되었던 주방 가구의 다리와 동일한, 나사산을 이용한 길이조절방식으로, 싱크대의 하방에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상기 하부구조체(200)를 기준으로 상부구조체(100)의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400)은, 상기 높이조절부(30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상부구조체(100)의 동작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400)은, 상부구조체(100)에 마련되는 상부 레일(410)과 하부구조체(200)에 마련되는 하부 레일(4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레일(410)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구조체(100)의 측방 둘레의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레일(420)은, 상기 상부 레일(4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부구조체(200)의 설정 위치에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수직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상기 하부구조체(200)로부터 상부구조체(100)의 방향으로 수직하게 마련되는 유압식 높이조절수단(310), 또는, 상기 하부구조체(200)와 상부구조체(100)의 사이에 구비되는 크로스링크식 높이조절수단(320), 또는, 랙과 피니언 기어의 조합에 의해 상부구조체(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랙피니언식 높이조절수단(3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높이조절부(300)가 유압식 높이조절수단(310)의 구성으로 운용될 경우, 상기 유압식 높이조절수단(310)은, 외부 압력을 전달받는 스위치(311)에 의해 유압 실린더(312)에 구동 압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상부구조체(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311)는, 바람직하게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발로 밟아 조작하는 방식으로 유압 실린더(312)에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상부구조체(100)를 상승시키는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닌, 상부구조체(100) 또는 하부구조체(200)에 마련되어, 유압 실린더(3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절 스위치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300)가 크로스링크식 높이조절수단(320)으로 운용될 경우, 상기 크로스링크식 높이조절수단(320)은, 높이조절프레임(321) 및 링크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조절프레임(321)은, 상기 싱크부(120)의 중심으로부터 아래의 방향으로 소정 길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322)는, 상기 높이조절프레임(321)의 단부에 결합되며, 하부구조체(200)의 내부 하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프레임(3221), 스크류(3222) 및 전동모터(M)의 구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3221)은, 복수개의 프레임(3221)들의 단부가 서로 결함됨으로써, 마름모의 형상을 가지는 링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3222)는,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마름모의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3221)을 수평하게 관통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회전운동을 통해 프레임(3221)간의 간격을 협소시켜, 마름모 형태의 프레임(3221)이 이루는 높이를 인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모터(M)는, 상시 스크류(3222)의 일단에 구비되어, 전동식으로 스크류(32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링크식 높이조절수단(320)은, 도 8 과 같이 기본의 높이를 가지고 있던 상부구조체(100)를, 전동모터(M)를 통해 프레임(3221)을 수직하게 관통하고 있던 스크류(3222)를 회전시킴으로써, 도 9 와 같은 형태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300)가 랙피니언식 높이조절수단(330)으로 운용될 경우, 상기 랙피니언식 높이조절수단(330)은, 랙(331)과 피니언(332)의 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랙(331)은, 상기 가이드 레일(400) 또는 하부구조체(200)의 내부 벽면에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332)은, 전동모터(M)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음으로써 랙(331)의 높이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형태로, 상부구조체(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동모터(M)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부구조체(100)의 하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며, 연장되는 끝단부가 가이드 레일(400) 또는 하부구조체(200) 벽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승하강 프레임(333)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 프레임(333)은, 승하강 프레임(333)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 하는 승하강 가이드에 의하여, 하부구조체(200)의 범위 내에서 승하강 운동하도록 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랙(331)이 하부구조체(200)의 측벽 내부에 수직으로 마련될 경우, 상기 하부구조체(200)에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되며,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을 이루되, 양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가이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하강 프레임(333)에는, 상술된 양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가이드와 맞물리는 형태를 이루며, 전체적인 형상이 'T'의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됨으로써, 이들의 구성이 맞물림으로 인해 상부구조체(100)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 하도록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331)이, 가이드 레일(400)에 구비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경우에는, 상기 하부 레일(420)의 내면을 따라 소정 길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하강 프레임(333)의 상승과 하강의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M)는, 하부구조체(200)의 중심 반경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모터(M)에는, 승하강 프레임(333)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며, 전동모터(M)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축과, 상기 축의 단부에 결속되는 피니언(332)이 하부 레일(420)에 마련되는 랙(331)에 맞물리고, 상기 축이 전동모터(M)에 의해 회전하여, 상부구조체(100)의 승하강 운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부구조체(100)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 하도록 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랙(331)이 가이드 레일(400)에 구비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피니언(332)이 하부 레일(420)에서 이탈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하부 레일(420)의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을 이루되, 양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가이드가 마련되고, 절곡부의 안쪽으로는 피니언(332)이 삽입되는 형태로 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300)은, 상부구조체(100)의 최대 상승 높이와 최대 하강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리미터모듈이 구비되어, 상부구조체(100)의 높이가 허용치까지 올라갔을 경우 높이조절수단(300)의 동작을 제한함으로써, 상부구조체(100)의 높이를 제한하고, 상부구조체(100)의 높이가 허용치까지 하강하였을 경우 높이조절수단(300)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수단(300)의 운용 방식으로 유압식 높이조절수단(310), 크로스링크식 높이조절수단(320), 랙피니언식 높이조절수단(33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가장 바람직한 운용방식으로는 사용이 용이함과 동시에, 유지보수가 손쉬운 랙피니언식 높이조절수단(330)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높이조절수단(300)의 운용 형태일 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유압식 높이조절수단(310)과, 크로스링크식 높이조절수단(320)과, 랙피니언식 높이조절수단(330)이 모두 이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1)는, 싱크부(120)가 마련된 상부구조체(100)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승하강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대응하는 적합한 높이로 변형되어, 사용시 피로도가 저감된 싱크대(1)를 제공해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 표시부 및 제어단말부가 더 구비된 높이 조절 싱크대의 예시도이다.
도 1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1)는, 측정부(500), 표시부(600) 및 제어단말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부(500)는, 싱크부(120)에 임시저장된 상수의 상태 또는 사용자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측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운용상태에 대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측정부(500)는, 수온을 감지하는 수온 측정 센서(510),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측정 센서(520), 상수의 용존 산소량을 검출하는 산소량 검출 센서(530), 물의 탁도를 검출하는 탁도 검출 센서(540) 및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5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부(500)에 구비되는 센서(510, 520, 530, 540, 550)들의 위치는,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부(120)의 측면 내벽에 동일한 높이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인 위치일 뿐, 싱크부(120)에 임시 저장되는 상수의 상태와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600)는, 상기 측정부(500)로부터 측정된 정보,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동작 상태 및 싱크부(120)에 임시 저장된 상수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구조체(100)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단말부(700)는, 앞서 서술되었던 표시부(600)와 동일한 디스플레이의 구성이 이용됨으로써, 상기 측정부(500)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해 줌과 동시에, 사용자의 입력값을 입력받는 버튼을 통하여, 높이조절부(300)를 구동시키는 유압실린더(312) 및 전동모터(M)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단말부(700)는, 상부구조체(100) 또는 하부구조체(200)에 부착되는 방식(700a)으로 구비되거나, 사용자가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단말기 방식(700b)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1)는, 운용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500) 및 이를 표시하고 관리하는 표시부(600)와 제어단말부(700)가 더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을 이용함에 있어 보다 편리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4 는 높이 조절 싱크대와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 사이에 마련되는 밀폐부재의 시공예시도이고, 도 15 의 (a) 내지 (c) 는 밀폐부재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1)는, 밀폐부재(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800)는,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고흡수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흡수성 소재가 아닌, 싱크부(120)에서 범람하거나 싱크부(120)에서 튕겨나오는 상수를 차단하고, 높이 조절 싱크대(1)와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F) 사이에서 용이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합성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폐부재(800)는, 상기 높이 조절 싱크대(1)의 양 측방에서 높이 조절 싱크대(1)와 접하는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F)간의 간격 사이에 구비되어, 싱크부(120)로부터 튕겨나오는 상수를 차단하고, 상부구조체(100)의 상승시에 상부구조체(100)와 하부구조체(200)의 간격 사이를 커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폐부재(800)는,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한 수직부재(810)와 상수의 범람 또는 상수의 튕겨나옴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수평부재(820)의 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수직부재(810)는, 높이 조절 싱크대(1)와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F)의 사이에 삽입되어, 밀폐부재(800)에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820)는, 높이 조절 싱크대(1) 혹은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F) 상단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820)는, 높이 조절 싱크대(1)와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F)의 상단 높이로부터, 소정 높이를 이루도록 구비되어,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재(820)는, 도 15 의 (a) 와 같이,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F)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 또는 도 15 의 (b) 와 같이, 높이 조절 싱크대(1)의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 또는 도 15 의 (c) 와 같이,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F)와 높이 조절 싱크대(1)의 양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재(820)가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F)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구비될 경우, 상기 밀폐부재(800)는, 상부구조체(100)의 상승시에도,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F) 간에 효과적인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820)가 높이 조절 싱크대(1)의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구비될 경우, 상기 밀폐부재(800)는, 싱크부(120)에서 넘치거나 튕겨나오는 상수가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F) 방향으로 침수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820)가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F)와 높이 조절 싱크대(1)의 양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구비될 경우, 상기 밀폐부재(800)는, 앞서 상술되었던 효과를 내포함과 동시에, 상부구조체(100)의 상승시 발생되는 상부구조체(100)의 측방 모서리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짐으로써, 앞서 두가지 형태보다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1)는, 싱크부(120)로부터 범람하거나 튕겨나오는 상수를 차단하고, 상부구조체(100)의 상승시에 상부구조체(100)와 하부구조체(200)의 간격 사이를 커버할 수 있는 밀폐부재(800)를 통해, 보다 사용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6 은 가림부가 마련된 높이 조절 싱크대의 예시도이며, 도 17 은 가림부의 구성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1)는, 상부구조체(100)의 상승시, 상부구조체(100)와 하부구조체(200)간에 발생되는 유격를 외부로부터 가려주는 가림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림부(900)는, 바람직하게는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구조체(100)와 하부구조체(200)의 정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림부(900)는, 상부구조체(100)와 하부구조체(200)의 양 측방 테두리에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가림부(900)는, 가림막 하우징(910), 복원 수단(920) 및 가림막(9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가림막 하우징(910)은, 상부구조체(100) 혹은 하부구조체(200)의 테두리에 고정되는 케이스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원 수단(920)은, 상기 가림막 하우징(910)의 내부에서 스파이럴의 형태를 이루는 탄성 스프링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막(930)은, 상기 가림막 하우징(910)의 내부에 말려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단이 상기 상부구조체(100) 또는 하부구조체(200)의 모서리에 결합된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상부구조체(100)의 상승에 따라 함께 가림막 하우징(910)으로부터 인출되어, 상부구조체(100)와 하부구조체(200)간의 간격을 가리고, 상부구조체(100)의 하강에 따라, 복원 수단(920)에 의해 다시 가림막 하우징(910)의 내부로 말려들어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1)는, 보다 상부구조체(100)와 하부구조체(200)간에 발생되는 유격공간을 밀폐시킴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심미적으로 뛰어난 주방가구를 제공해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 1 내지 1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싱크대(1)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높이 조절 싱크대
100 : 상부구조체 110 : 공급부
111 : 공급라인 120 : 싱크부
121 : 싱크부 고정프레임 122 : 배출홀
200 : 하부구조체 210 : 배출부
211 : 배수 호스 212 : 호스 하우징
213 : 무게추 300 : 높이조절부
310 : 유압식 높이조절수단 311 : 스위치
312 : 유압 실린더 320 : 크로스링크식 높이조절수단
321 : 높이조절프레임 322 : 링크부
3221 : 프레임 3222 : 스크류
330 : 랙피니언식 높이조절수단 331 : 랙
332 : 피니언 333 : 승하강 프레임
400 : 가이드 레일 410 : 상부 레일
420 : 하부 레일 500 : 측정부
510 : 수온 측정 센서 520 : 수위 측정 센서
530 : 산소량 검출 센서 540 : 탁도 검출 센서
550 : 동작 감지 센서 600 : 표시부
700 : 제어단말부 800 : 밀폐부재
810 : 수직부재 820 : 수평부재
900 : 가림부 910 : 가림막 하우징
920 : 복원 수단 930 : 가림막
D : 도어 S : 서포트
M : 전동모터 F : 주방가구
100 : 상부구조체 110 : 공급부
111 : 공급라인 120 : 싱크부
121 : 싱크부 고정프레임 122 : 배출홀
200 : 하부구조체 210 : 배출부
211 : 배수 호스 212 : 호스 하우징
213 : 무게추 300 : 높이조절부
310 : 유압식 높이조절수단 311 : 스위치
312 : 유압 실린더 320 : 크로스링크식 높이조절수단
321 : 높이조절프레임 322 : 링크부
3221 : 프레임 3222 : 스크류
330 : 랙피니언식 높이조절수단 331 : 랙
332 : 피니언 333 : 승하강 프레임
400 : 가이드 레일 410 : 상부 레일
420 : 하부 레일 500 : 측정부
510 : 수온 측정 센서 520 : 수위 측정 센서
530 : 산소량 검출 센서 540 : 탁도 검출 센서
550 : 동작 감지 센서 600 : 표시부
700 : 제어단말부 800 : 밀폐부재
810 : 수직부재 820 : 수평부재
900 : 가림부 910 : 가림막 하우징
920 : 복원 수단 930 : 가림막
D : 도어 S : 서포트
M : 전동모터 F : 주방가구
Claims (8)
- 상수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수를 배출하는 배출홀이 마련된 싱크부를 포함하는 상부구조체;
상기 상부구조체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유도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하부구조체;
상기 하부구조체를 기준으로 상부구조체의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상부구조체의 동작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홀과 결합되며, 높이조절부의 동작에 의해 조절되는 상부구조체의 높이에 따라 인장 또는 수축되도록 마련되는 배수 호스;
상기 배수 호스의 인장과 수축을 가이드 하며, 배수 호스의 외부를 보호하는 호스 하우징;
상기 배출홀에 결합되는 배수 호스를 수직의 상태로 유지하도록, 배수 호스의 중단에 구비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싱크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하부구조체로부터 상부구조체의 방향으로 수직하게 마련되는 유압식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압식 높이조절수단은,
외부 압력을 전달받는 스위치에 의해 구동 압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상부구조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싱크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하부구조체와 상부구조체의 사이에 구비되는 크로스링크식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링크식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상부구조체의 하부 중심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높이조절프레임 및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마름모의 구조를 형성하여, 수평길이의 축소 시, 높이가 상승하고, 수평길이의 확장 시, 높이가 하강하는 크로스링크 구조로 형성되며, 수평한 방향으로 프레임을 관통하는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높이가 변형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싱크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랙과 피니언 기어의 조합에 의해 상부구조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랙피니언식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랙피니언식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 또는 하부구조체의 내벽에서 수직하게 마련되는 랙 및
랙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부구조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싱크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싱크대는,
싱크부에 임시저장된 상수의 상태 또는 사용자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측정함으로써, 높이 조절 싱크대의 운용 상태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 및
높이 조절 싱크대 또는 높이 조절 싱크대의 외부에 마련되어, 높이조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단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싱크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싱크대의 양 측방 모서리에는, 높이 조절 싱크대와 접하는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간의 간격 사이에 구비되어, 싱크부로부터 범람하거나 튕겨나오는 상수를 차단하고, 상부구조체의 상승시에 상부구조체와 하부구조체의 간격 사이를 커버하는 밀폐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싱크대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높이 조절 싱크대와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의 사이에 삽입되는 수직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의 단부로부터, 높이 조절 싱크대 혹은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재는,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 또는 높이 조절 싱크대의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 또는 다른 객체의 주방가구와 높이 조절 싱크대의 양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싱크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체와 하부구조체의 정면에는,
상부구조체의 상승에 따라 인장되어, 상부구조체와 하부구조체간에 발생되는 유격을 외부로부터 가려주는 가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림부는,
상부구조체 혹은 하부구조체에 마련되는 가림막 하우징;
상기 가림막 하우징의 내부에서 스파이럴의 형태를 이루는 탄성 스프링 및
상부구조체의 상승에 따라 가림막 하우징에서 인출되며, 상부구조체의 하강시, 탄성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가림막 하우징의 내부로 권취되는 가림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싱크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6670A KR102305986B1 (ko) | 2021-07-01 | 2021-07-01 | 높이 조절 싱크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6670A KR102305986B1 (ko) | 2021-07-01 | 2021-07-01 | 높이 조절 싱크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5986B1 true KR102305986B1 (ko) | 2021-09-27 |
Family
ID=7792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6670A KR102305986B1 (ko) | 2021-07-01 | 2021-07-01 | 높이 조절 싱크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5986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7862A (ja) * | 1995-08-03 | 1997-02-10 | Og Giken Co Ltd | 緊急停止装置付流し台 |
JPH09209427A (ja) * | 1996-01-31 | 1997-08-12 | Og Giken Co Ltd | 昇降式流し台装置 |
JPH11123151A (ja) * | 1997-10-21 | 1999-05-11 | Yamaha Livingtec Corp | 浴槽隙間部材 |
KR200314988Y1 (ko) * | 2003-02-22 | 2003-06-02 | 안성일 | 싱크대의 높이 조절장치 |
KR200328676Y1 (ko) * | 2003-04-25 | 2003-10-01 | 박성수 | 높이 조절장치 및 상기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세면대 |
KR101873683B1 (ko) * | 2017-05-29 | 2018-07-02 | 주식회사 엔비스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 싱크대 |
JP2020026668A (ja) * | 2018-08-10 | 2020-02-20 | 株式会社Lixil | 吐水装置及び洗面台 |
-
2021
- 2021-07-01 KR KR1020210086670A patent/KR10230598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7862A (ja) * | 1995-08-03 | 1997-02-10 | Og Giken Co Ltd | 緊急停止装置付流し台 |
JPH09209427A (ja) * | 1996-01-31 | 1997-08-12 | Og Giken Co Ltd | 昇降式流し台装置 |
JPH11123151A (ja) * | 1997-10-21 | 1999-05-11 | Yamaha Livingtec Corp | 浴槽隙間部材 |
KR200314988Y1 (ko) * | 2003-02-22 | 2003-06-02 | 안성일 | 싱크대의 높이 조절장치 |
KR200328676Y1 (ko) * | 2003-04-25 | 2003-10-01 | 박성수 | 높이 조절장치 및 상기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세면대 |
KR101873683B1 (ko) * | 2017-05-29 | 2018-07-02 | 주식회사 엔비스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 싱크대 |
JP2020026668A (ja) * | 2018-08-10 | 2020-02-20 | 株式会社Lixil | 吐水装置及び洗面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05986B1 (ko) | 높이 조절 싱크대 | |
US3449770A (en) | Drip assembly for shower door | |
US3511300A (en) | Folding door construction | |
EP1611827B1 (de) | Kombinierte Bade- und Duschvorrichtung | |
CN205321774U (zh) | 一种带观赏鱼缸的多功能电视柜 | |
US20120159871A1 (en) | Wall Assembly Comprising Panels Configured to Reside in an Overhead Structure | |
CN205216133U (zh) | 一种新型足球训练器 | |
KR101858666B1 (ko) |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 | |
US2313421A (en) | Bathtub with contained shower curtain | |
KR101873683B1 (ko)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 싱크대 | |
CN110241900B (zh) | 一种可移动式马桶 | |
WO2022029264A1 (de) | Dusche mit revisions-bodenplatte | |
DE4344658A1 (de) | Höhenverstellbarer Waschtisch | |
EP0620331A1 (de) | Duschkabine | |
EP3067476A1 (en) | Height adjustable toilet support frame | |
DE29809775U1 (de) | Fernsehschrank für Wohnmobile und Wohnwagen | |
CN111119625A (zh) | 一种冰箱门体及冰箱 | |
CN220416861U (zh) | 一种噪声自动检测仪 | |
US2985891A (en) | Adjustable height bed | |
CN220631737U (zh) | 一种移动展示架 | |
JP2003334118A (ja) | 設置家具のための床側の引き出し | |
DE10051603A1 (de) | Raumzelle zur Aufnahme von Müllbehältern | |
CN220213289U (zh) | 一种水肿时肢体抬高装置 | |
CN216380881U (zh) | 一种市政工程建筑施工围板 | |
CN209164908U (zh) | 一种带配重的直连式底脚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