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564B1 - 알러지증상 및 두피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러지증상 및 두피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564B1
KR102305564B1 KR1020210017897A KR20210017897A KR102305564B1 KR 102305564 B1 KR102305564 B1 KR 102305564B1 KR 1020210017897 A KR1020210017897 A KR 1020210017897A KR 20210017897 A KR20210017897 A KR 20210017897A KR 102305564 B1 KR102305564 B1 KR 102305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dye
capsule
arnika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래
Original Assignee
박경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래 filed Critical 박경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2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키틴,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로 염료를 캡슐화시키고, 항염효과를 갖는 아르니카(Arnika) 추출물을 캡슐화시켜서 서로 혼합시킴으로써 알러지증상 및 두피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에 초산 수용액을 투입하여 용해시키는 단계와, 상기 초산 수용액에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이 용해된 혼합물에 레시틴을 투입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에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을 동등한 중량비로 혼합한 뒤에 교반하는 단계와, 교반된 혼합물을 분무 건조하여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가 충진된 염료 캡슐을 얻는 단계와, 유기용매로서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CH2Cl2)과, 벽재를 형성하기 위한 물질로서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폴리카복실 락토오스(Polycarboxyl lactose)와, 심물질인 아르니카(Arnika) 추출물을 균질기(homogenizer)에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아르니카(Arnika) 추출물을 분산하기 위한 분산제로서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을 투입한 다음, 교반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용액이 형성된 후, 감압환경하에서 40~60℃의 온도 범위에서 2~3 시간동안 유기용매인 디클로로메탄을 증발시켜 아르니카(Arnika) 추출물 미세입자에 상기 폴리카복실 락토오스층이 코팅되어 고형화되도록 하여 벽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여과기로 여과하거나 침전시켜 여액을 제거함으로써 아르니카(Arnika)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염료 캡슐과 아르니카(Arnika) 캡슐을 동등한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와, 정제수, 알칼리화제, 염료 캡슐 및 아르니카(Arnika) 캡슐, 향료를 혼합하여 염모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알러지증상 및 두피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Hair-dye Composition For Reducing Allergy and Head skin Irritation}
이 발명은 알러지증상 및 두피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키틴,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로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를 캡슐화시키고, 항염효과를 갖는 아르니카(Arnika) 추출물을 캡슐화시켜서 서로 혼합시킴으로써 알러지증상 및 두피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자신을 아름답게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도 비례하여 커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사람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은 헤어, 패션, 헤어, 메이크업 등 미용 분야의 발전을 가져왔으며, 이로 인해 국내 미용 산업 관련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해왔다.
헤어에 관해서는, 헤어스타일, 모발 관리, 모발 염색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모발의 색상 변화는 사람의 첫인상과 이미지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며, 특히 헤어스타일은 신체 전체로 볼 때 차지하는 비율은 낮으나 그 사람의 첫인상과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은 의복과 맞먹을 정도로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염색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기존의 흰머리 커버만을 위한 염색에서 새치 염색과 멋내기 염색을 접목해 다양한 컬러를 표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람의 모발은 모표피와 모피질과 모수질로 이루어진다.
모표피인 큐티클층은 각화된 편평무핵세포인 큐티클 세포가 중첩되어 있어서 머리의 결을 형성하고 있으며, 에피큐티클, 엑소큐티클, 엔도큐티클로 구성된다. 상기 큐티클 세포의 1/4~1/5는 표면으로 돌출되어 마치 비늘 모양을 하고 있으며, 3/4~4/5는 중첩되어 모피질의 표면을 덮고 있다. 이와 같이 큐티클층을 구성하는 큐티클 세포들은 세포막복합체(CMC, Cell Membrane Complex)에 의해서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세포막복합체(CMC)는 세포막을 경계로 인너β층, δ층, 아우터β층의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가운데 층인 δ층을 양쪽에서 인너β층과 아우터β층이 둘러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δ층은 소량의 단백질과 다당류로 구성되어 있고, β층은 지질 성분으로 18-methyleicosanoic acid가 단백질 분자와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염모제를 모발에 도포하면 알칼리화제에 의하여 세포막복합체(CMC)의 지질 성분인 β층이 제거되고 그 결과 큐티클 세포들을 연결하고 있던 세포막복합체(CMC)에 틈이 생긴다. 따라서 벌어진 큐티클 세포 사이로 염료가 에피큐티클, 엔도큐티클, 모피질내로 침투하여 산화제의 산소분자와 산화중합반응을 통해 발색이 진행되면서 염색이 이루어진다. 이때 모발은 알칼리화제에 의하여 음이온성을 띄게 된다.
일반적으로 염모제는 착색된 색의 내구성 및 조성물의 특성에 따라 산화염모제(영구 모발 염색제)와 비산화염모제(반영구 모발 염색제)로 분류된다. 모발을 착색하기 위해 사용되는 산화염모제의 경우 저분자량의 산화염료가 모발 내에서 산화 중합 반응을 일으켜 색소를 형성하게 되는데, 산화염료의 선정, 조합에 의해 여러가지 다양한 색을 얻을 수 있으며 염모력 및 색상 유지력이 우수한 특징이 있어 가장 널리 이용되는 부류의 염모제이다.
산화염모제는 제1제인 염모제와 제 2제인 산화제의 혼합 시술로 이루어진다. 제1제의 구성성분인 암모니아는 모발을 팽윤시켜 표피를 열어 염모제가 모피질 층으로 침투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제2제인 산화제는 색상을 피질층에 가두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멜라닌 색소를 탈색시켜 모발 본래의 색상을 밝게 해주는 동시에 화학적인 염모제가 모발 본래의 색상 자리에 동시에 침착한다. 이때 남아있는 모발 본래의 색상과 화학적인 염료가 더해져 모발에 최종적인 색상을 만든다.
그런데 이러한 산화염모제로 염색을 하는 경우에, 염모제에 의해 두피가 자극되어 피부 알러지를 일으키거나 가려움, 부어오름, 발진, 염증 등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되기도 하기 때문에, 이러한 피부자극으로 인해 염색 후에 고통을 호소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특히, 민감성 피부를 가지는 이들은 이러한 이유로 염색을 꺼리게 된다.
참고로, 착색제를 함유한 마이크로 캡슐을 제공하면서, 결합제로서 뮤코다당류를 사용하여 최외층 셀을 형성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6-0007476호(공개일자 2016년 01월 20일)의 "컬러 체인지 조성물"에서 개시된 바 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6-000747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공개번호 10-2016-0007476에서 개시되어 있는 기술을 더욱 개량하기 위한 것으로서, 키틴,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로 염료를 캡슐화시키고, 항염효과를 갖는 아르니카(Arnika) 추출물을 캡슐화시켜서 서로 혼합시킴으로써 알러지증상 및 두피자극 완화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염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에 초산 수용액을 투입하여 용해시키는 단계와, 상기 초산 수용액에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 이 용해된 혼합물에 레시틴을 투입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에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을 동등한 중량비로 혼합한 뒤에 교반하는 단계와, 교반된 혼합물을 분무 건조하여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가 충진된 염료 캡슐을 얻는 단계와, 유기용매로서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CH2Cl2)과, 벽재를 형성하기 위한 물질로서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폴리카복실 락토오스(Polycarboxyl lactose)와, 심물질인 아르니카(Arnika) 추출물을 균질기(homogenizer)에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아르니카(Arnika) 추출물을 분산하기 위한 분산제로서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을 투입한 다음, 교반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용액이 형성된 후, 감압환경하에서 40~60℃의 온도 범위에서 2~3 시간동안 유기용매인 디클로로메탄을 증발시켜 아르니카(Arnika) 추출물 미세입자에 상기 폴리카복실 락토오스층이 코팅되어 고형화되도록 하여 벽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여과기로 여과하거나 침전시켜 여액을 제거함으로써 아르니카(Arnika)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염료 캡슐과 아르니카(Arnika) 캡슐을 동등한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염료 캡슐 및 아르니카(Arnika) 캡슐에 정제수, 알칼리화제, 향료를 혼합하여 염모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상기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을 동등한 중량비로 혼합한 뒤에 교반하는 단계에서의 교반 속도는 148rpm을 유지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조성물의 구성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염모제 조성물로서, 정제수 65~80 중량부, 알칼리화제 1.4~5 중량부, 염료 캡슐 및 아르니카(Arnika) 캡슐 0.1~1.7 중량부, 향료 0.2~1.2 중량부를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조성물의 구성은, 상기 염료 캡슐은,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로 이루어지는 외피, 상기 외피 내부에 충진되는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외피로서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는 아민기 및 수산화기를 포함하여 내부에 충진된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와 수소결합을 이루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조성물의 구성은, 상기 염료 캡슐의 표면 구조는, 벌어진 큐티클 비늘의 돌출부가 염료 캡슐의 외피인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의 체인 사이사이로 파고들어 변형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조성물의 다른 구성은, 정제수 65~80 중량부; 알칼리화제 1.4~5 중량부; 염료 캡슐 0.1~1.7 중량부; 향료 0.2~1.2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알칼리화제로서는, 암모니아수, 모노에탄올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메틸이소프로판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메틸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부틸에탄올아민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염료 캡슐은, 뮤코다당류로 이루어지는 외피; 상기 외피 내부에 충진되는 염료;를 포함하며,
상기 염료 캡슐은, 뮤코다당류 100 중량부 기준으로 염료 42.1~60.4 중량부가 충진된 캡슐을 사용하며,
상기 뮤코다당류은, 키틴, 히알루론산, 헤파린, 콘드로이틴황산 중 한가지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염료 캡슐은, 벌어진 큐티클 비늘의 돌출부가 염료 캡슐의 표면 구조를 물리적으로 변형시키는 단계; 상기 변형된 염료 캡슐 표면의 뮤코다당류와 큐티클의 다당류 및 단백질 사이에 새로운 결합을 이루는 단계; 상기 새로운 결합에 의하여 뮤코다당류 체인 결합이 약해지는 단계; 상기 약해진 뮤코다당류 체인 결합이 일부 끊어지며 캡슐 외피가 열리는 단계; 뮤코다당류와 염료 사이의 수소결합이 끊어지며 염료가 방출되는 단계; 상기 방출된 염료가 에피큐티클, 엔도큐티클, 피질 내로 침투하여 염색되는 단계;를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키틴,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로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를 캡슐화시키고, 항염효과를 갖는 아르니카(Arnika) 추출물을 캡슐화시켜서 서로 혼합시킴으로써 알러지증상 및 두피자극 완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모발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러지 증상 및 두피자극완화에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의 염료 캡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러지 증상 및 두피자극완화에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의 염료 캡슐과 모발 사이의 수소결합에 따른 상태 예시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물 내지 대체물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먼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염료 캡슐을 제조한다.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 10 kg에 pH 5 초산 수용액을 15 kg 투입하여 용해시킨다.
상기 키틴의 경우 양이온성 고분자로 점성이 뛰어나고 유화안정, 분산안정, 결합성 등이 우수하다. 특히, 키틴의 점성은 겔화를 이루기 수월하며 유화, 분산시 안전하며 발포개량 결합상태를 만들 수 있다.
상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은 자신의 무게에 300~1000배에 해당하는 수분을 함유할 수 있어서 보습작용이 뛰어나다.
상기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에 콘드로이틴 황산이나 헤파린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에, 초산 수용액에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 이 용해된 혼합물에 레시틴 0.5 kg을 투입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한다.
이어서, 염료인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 10 kg에 유기용매 50 kg을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한다.
다음에, 상기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을 동등한 중량비로 혼합한 뒤에 20℃에서 2시간 동안 148rpm으로 교반한다.
이때 교반 온도는 10~40℃가 바람직하며, 2~4시간 동안 교반할 수 있다.
또한 교반 속도는, 148rpm을 초과하는 경우 제조되는 염료 캡슐의 크기가 300㎛ 미만이 되어 충진된 염료의 양이 감소하여 염색 수율이 저하되고, 148rpm 미만인 경우 염료 캡슐의 크기가 500㎛를 초과하여 외피가 쉽게 찢어져 방출된 염료가 두피에 접촉될 가능성이 증가한다.
상기 148rpm 속도로 교반한 경우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 100 중량부 기준으로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 42.1~60.4 중량부가 충진된 염료 캡슐이 제조된다.
다음에, 교반된 혼합물을 분무 건조하여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가 6.0 kg 충진된 염료 캡슐 14.1 kg을 얻는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러지 증상 및 두피자극완화에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의 염료 캡슐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러지 증상 및 두피자극완화에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의 염료 캡슐과 모발 사이의 수소결합에 따른 상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러지 증상 및 두피자극완화에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의 염료 캡슐은,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로 이루어지는 외피(1), 상기 외피 내부에 충진되는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피(1)로서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는 아민기 및 수산화기를 포함하여 내부에 충진된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2)와 수소결합(3)을 이루어 안정적인 캡슐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염료 캡슐이 제조되고 나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아르니카(Arnika) 캡슐을 제조한다.
아르니카(Arnika) 식물은 전 세계에 약 29종이 있으며, 남아메리카, 멕시코, 아시아 및 유럽에 널리 분포하며, 유럽에서는 러시아를 포함한 중서부 유럽의 산지와 북유럽의 평지와 남유럽의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분포한다. 아르니카(Arnika)에는 주로 세스퀴테르펜 락톤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유럽약전과 영국약전에는 의약 물질의 품질관리를 위해 헬레날린티글레이트로 환산했을 때 세스퀴테르펜 락톤의 함량이 0.40% 이상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약리학적인 연구에 따르면 꽃에 항염증, 항균, 저혈압, 혈소판응집억제, 간보호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민간요법에 의하면 아르니카 꽃은 상처를 치유한다.
먼저, 유기용매로서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CH2Cl2)과, 벽재를 형성하기 위한 물질로서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폴리카복실 락토오스(Polycarboxyl lactose)와, 심물질인 아르니카(Arnika) 추출물을 균질기(homogenizer)에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아르니카(Arnika) 추출물을 분산하기 위한 분산제로서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을 투입한 다음, 충분히 교반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형성한다.
상기한 구성성분의 혼합 비율은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카복실 락토오스(Polycarboxyl lactose) 6~9 중량부, 아르니카(Arnika) 추출물 6~9 중량부,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3~5 중량부를 혼합한다.
혼합용액이 형성된 후, 감압환경하에서 40~60℃의 온도 범위에서 2~3 시간동안 유기용매인 디클로로메탄을 증발시켜 아르니카(Arnika) 추출물 미세입자에 상기 폴리카복실 락토오스층이 코팅되어 고형화되도록 하여 벽재를 형성한 다음, 여과기로 여과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침전시켜 여액을 제거한 후, 아르니카(Arnika) 캡슐이 제조된다.
이와 같이 아르니카(Arnika) 캡슐이 제조되고 나면, 염료 캡슐과 아르니카(Arnika) 캡슐을 동등한 중량비로 혼합한다.
다음에, 정제수 65~80 중량부, 알칼리화제 1.4~5 중량부, 염료 캡슐 및 아르니카(Arnika) 캡슐 0.1~1.7 중량부, 향료 0.2~1.2 중량부를 혼합하여 염모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알칼리화제로서는 암모니아수, 모노에탄올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메틸이소프로판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메틸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부틸에탄올아민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화제가 1.4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알칼리화제의 사용량 부족으로 모발 전처리가 충분히 되지 않아 염색 균일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다른 성분들의 함량, 특히 염료의 사용량이 불충분하게 되어 염색 수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염모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모발을 염색하는 경우에, 상기 염료 캡슐은, 벌어진 큐티클 비늘의 돌출부가 염료 캡슐의 표면 구조를 물리적으로 변형시키는 과정; 상기 변형된 염료 캡슐 표면의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와 알칼리화제로 인하여 큐티클의 다당류 및 단백질 사이에 새로운 결합을 이루는 과정; 상기 새로운 결합에 의하여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의 체인 결합이 약해지는 과정; 상기 약해진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의 체인 결합이 일부 끊어지며 캡슐 외피가 열리는 과정;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와 염료 사이의 수소결합이 끊어지며 염료인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2)가 방출되는 과정; 상기 방출된 염료인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2)가 산화제의 산소분자와 산화중합반응을 통해 발색이 진행되면서 에피큐티클, 엔도큐티클, 모피질 내로 침투하여 염색되는 과정을 통하여 모발을 염색하게 된다.
상기 염료 캡슐의 표면 구조를 물리적으로 변형시키는 과정은, 벌어진 큐티클 비늘의 돌출부가 염료 캡슐의 외피인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의 체인 사이사이로 파고들어 염료 캡슐의 표면 구조를 물리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새로운 결합을 이루는 과정은, 변형된 염료 캡슐의 표면 구조로 모발과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고, 알칼리화제로 인하여 세포막복합체의 β층이 제거되어 노출된 δ층의 다당류 및 단백질과 염료 캡슐의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가 선택적으로 이온결합 또는 수소결합을 이룬다.
염료 캡슐이 두피에 접촉했을때는 서로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물리적 구조 변화가 발생하지 않아 염료 캡슐의 외피(1)가 쉽게 열리지 않으며 염료인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2)의 방출이 유도되지 않아서 모발이 아닌 두피가 염색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이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의 알러지 증상 및 두피자극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된 성분에 부가성분들을 더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난 조성비로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4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부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정제수 65.0 65.0 80.0 80.0 65.0 65.0 80.0 80.0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1 0.1 0.1 0.1 0.1 0.1 0.1 0.1
부틸렌글라이콜 1.0 1.0 1.0 1.0 1.0 1.0 1.0 1.0
폴리쿼터늄-10 0.1 0.1 0.1 0.1 0.1 0.1 0.1 0.1
소듐설파이트 0.5 0.2 0.3 0.4 0.5 0.2 0.3 0.4
아스코빅애씨드 0.2 0.3 0.3 0.4 0.2 0.3 0.3 0.4
시트릭애씨드 0.1 0.1 0.1 0.1 0.1 0.1 0.1 0.1
에탄올아민 1.0 3.0 4.0 6.0 1.0 3.0 4.0 6.0
암모니아수 5.0 4.0 4.0 5.0 5.0 4.0 4.0 5.0
P-아미노페놀 0.1 0.1 0.0 0.0 0.1 0.1 0.0 0.0
5-아미노-O-크레솔 1.1 1.0 1.2 1.0 1.1 1.0 1.2 1.0
레조시놀 0.4 0.5 0.6 0.0 0.4 0.5 0.6 0.0
m-아미노페놀 0.1 0.0 0.0 0.1 0.1 0.0 0.0 0.1
염산-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0.1 0.1 0.1 0.1 0.1 0.1 0.1 0.1
피크라민산 0.0 0.0 0.0 0.0 0.0 0.0 0.0 0.0
세테아릴알코올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피이지-32 2.0 2.0 2.0 2.0 2.0 2.0 2.0 2.0
페트롤라튬 1.0 1.0 1.0 1.0 1.0 1.0 1.0 1.0
미네랄오일 2.0 2.0 2.0 2.0 2.0 2.0 2.0 2.0
피마자씨오일 4.0 4.0 4.0 4.0 4.0 4.0 4.0 4.0
염료 황산톨루엔-2,5-디아민 - - - - 40.0 0.4 - -
m-페닐렌디아민 - - - - 0.3 40.0 - -
p-페닐렌디아민 - - - - 1.8 20.0 - -
염료캡슐 및 아르니카(Arnika) 캡슐 0.1 1.7 0.1 1.7 0.0 0.0 0.1 1.7

염료캡슐 및 아르니카(Arnika) 캡슐의 주성분
└아르니카(Arnika) 50.0 10.0 5.0 40.0 - - - -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40.0 40.0 70.0 10.0 - - - -
└키틴 10.0 50.0
25.0
50.0
- -
- -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라우레스-7-포스페이트 - - - - - - 100.0 100.0
염료 └황산톨루엔-2,5-디아민 40.0 0.4 40.0 0.4 0.4 0.1 40.0 0.4
└m-페닐렌디아민 0.3 40.0 0.3 40.0 0.3 0.7 0.3 40.0
└p-페닐렌디아민 1.8 20.0 1.8 20.0 1.0 0.6 1.8 20.0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3.0 3.0 3.0 3.0 3.0 3.0 3.0 3.0
C12-15알킬벤조에이트 1.0 1.0 1.0 1.0 1.0 1.0 1.0 1.0
피피지-15스테아릴에터 2.2 2.2 2.2 2.2 2.2 2.2 2.2 2.2
스테아레스-2 1.2 1.2 1.2 1.2 1.2 1.2 1.2 1.2
스테아레스-21 0.8 0.8 0.8 0.8 0.8 0.8 0.8 0.8
세테스-20포스페이트 1.0 1.0 1.0 1.0 1.0 1.0 1.0 1.0
피이지-75라놀린 0.5 0.5 0.5 0.5 0.5 0.5 0.5 0.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0.1 0.1 0.1 0.1 0.1 0.1 0.1
알파-나프톨 0.0 0.0 0.0 0.0 0.0 0.0 0.0 0.0
솔비톨 2.0 2.0 2.0 2.0 2.0 2.0 2.0 2.0
에톡시다이글라이콜 0.1 0.1 0.1 0.1 0.1 0.1 0.1 0.1
향료 0.2 1.2 0.2 1.2 0.2 1.2 0.2 1.2
(실험예 1) 알러지 증상 및 두피자극 확인
이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의 알러지 증상 및 두피자극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염모제 조성물(실시예 1~4, 비교예 1~4)을 준비하고, 일반 염모제에 알러지 증상을 나타내는 20~50대 피험자 총 32명을 대상으로 평가실험을 수행하였다. 피험자는 6개의 그룹(실시예 1~4, 비교예 1~4)으로 나누었으며, 팔안쪽에 500㎕/㎠ 만큼 도포하였다. 30분 경과 후 육안으로 홍반의 형성 및 부종의 유무를 관찰하여 알러지 증상과 피부자극성을 판정하였다. 하기 표 2에 피부자극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표기하였으며, 하기 수학식 1로 피부자극 지수를 계산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반응 점수 증상 및 판단기준
- 0 변화 없음
± 0.5 약한 홍반
+ 1.0 명확한 홍반
++ 2.0 부종을 동반한 심한 홍반
+++ 3.0 심한 홍반, 수포, 부종 동반
Figure 112021016112266-pat0000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피부자극지수 0.11 0.16 0.10 0.13 0.97 1.24 0.53 0.62
상기 결과와 같이, 비교예 1~4에서 명확한 홍반이 관찰 되었으며, 특히 캡슐화되지 않은 염료만 제공된 비교예 1~2의 경우 부종이 발생한 피험자도 관찰되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염료 캡슐만을 제공한 비교예 3~4의 경우 두피와 모발에 선택성 없이 염료가 방출되어 두피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피부자극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실시예 1~4의 경우 피험자 1명에서만 미세한 홍반이 발견되었으며 평균적으로 자극이 거의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알러지 증상 및 두피자극을 완화할 수 있다.

Claims (6)

  1.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에 초산 수용액을 투입하여 용해시키는 단계와,
    상기 초산 수용액에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이 용해된 혼합물에 레시틴을 투입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에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을 동등한 중량비로 혼합한 뒤에 교반하는 단계와,
    교반된 혼합물을 분무 건조하여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가 충진된 염료 캡슐을 얻는 단계와,
    유기용매로서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CH2Cl2)과, 벽재를 형성하기 위한 물질로서 생분해성 고분자 화합물 폴리카복실 락토오스(Polycarboxyl lactose)와, 심물질인 아르니카(Arnika) 추출물을 균질기(homogenizer)에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아르니카(Arnika) 추출물을 분산하기 위한 분산제로서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을 투입한 다음, 교반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용액이 형성된 후, 감압환경하에서 40~60℃의 온도 범위에서 2~3 시간동안 유기용매인 디클로로메탄을 증발시켜 아르니카(Arnika) 추출물 미세입자에 상기 폴리카복실 락토오스층이 코팅되어 고형화되도록 하여 벽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여과기로 여과하거나 침전시켜 여액을 제거함으로써 아르니카(Arnika)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염료 캡슐과 아르니카(Arnika) 캡슐을 동등한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염료 캡슐 및 아르니카(Arnika) 캡슐에 정제수, 알칼리화제, 향료를 혼합하여 염모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증상 및 두피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을 동등한 중량비로 혼합한 뒤에 교반하는 단계에서의 교반 속도는 148rpm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증상 및 두피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의하여 제조된 염모제 조성물로서,
    정제수 65~80 중량부, 알칼리화제 1.4~5 중량부, 염료 캡슐 및 아르니카(Arnika) 캡슐 0.1~1.7 중량부, 향료 0.2~1.2 중량부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증상 및 두피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 캡슐은,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로 이루어지는 외피, 상기 외피 내부에 충진되는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외피로서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는 아민기 및 수산화기를 포함하여 내부에 충진된 황산톨루엔-2,5-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혼합체와 수소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증상 및 두피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 캡슐의 표면 구조는, 벌어진 큐티클 비늘의 돌출부가 염료 캡슐의 외피인 키틴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히알루론산)의 체인 사이사이로 파고들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증상 및 두피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6. 삭제
KR1020210017897A 2020-10-20 2021-02-08 알러지증상 및 두피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05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35911 2020-10-20
KR1020200135911 2020-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564B1 true KR102305564B1 (ko) 2021-09-27

Family

ID=77925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897A KR102305564B1 (ko) 2020-10-20 2021-02-08 알러지증상 및 두피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5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6611A (en) * 1987-08-25 1989-03-03 Hoou Kk Hair dye composition
JP2008508196A (ja) * 2004-07-30 2008-03-21 ウエラ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ケラチン繊維を染色するための多成分キット及び方法
KR20160007476A (ko) 2012-11-30 2016-01-20 로레알 컬러 체인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6611A (en) * 1987-08-25 1989-03-03 Hoou Kk Hair dye composition
JP2008508196A (ja) * 2004-07-30 2008-03-21 ウエラ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ケラチン繊維を染色するための多成分キット及び方法
KR20160007476A (ko) 2012-11-30 2016-01-20 로레알 컬러 체인지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2795B2 (ja) ネムノキ抽出物の新規な美容的使用およびそれに応じた局所組成物
JP6387219B2 (ja) タンゲレチン及びegcg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JP7275103B2 (ja) ネフェリウム・ラパセウム(Nephelium lappaceum)抽出物の新規な美容的使用
CN111388348A (zh) 组合物及其应用、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H05503287A (ja) ラブダンの少なくとも1つの誘導体またはそれを含有する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水和脂質薄膜層またはリポソームに基づいた組成物;それを含有する化粧品用または薬理用、特に皮膚科学用の組成物
CN104398395A (zh) 一种天然护肤原液纳米微囊及其制备方法和应用
ITTO970001A1 (it) Impiego di un estratto di eriobotrya japonica, particolarmente nel campo della cosmesi, per stimolare la sintesi di glicosamminoglicani
EP0946138B1 (fr) Utilisation d'un extrait de potentilla erecta dans le domaine de la cosmetique et de la pharmacie
KR20100103964A (ko)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Guryanov et al. Hair surface engineering: Combining nanoarchitectonics with hair topical and beauty formulations
JP2010241762A (ja) 化粧料
KR102305564B1 (ko) 알러지증상 및 두피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637961A (zh) 一种中药润肤乳液
KR20220040959A (ko) 두피 보호 및 모발 발색 증진을 위한 조성물
JP2001114636A (ja) ヒアルロン酸産生及びカタラーゼ産生促進剤、線維芽細胞賦活剤、並びに皮膚外用剤
JP2013136551A (ja) ケラチン繊維改質剤
JP2003530332A (ja) ヘアケア組成物
FR3033699A1 (fr) Extrait de pivoine de chine, composition comprenant ledit extrait et utilisation cosmetique
KR20090067479A (ko) 나노화된 차가버섯을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WO2023012440A1 (fr) Utilisations cosmétiques contre la lumière bleue de microsphères poreuses d'oxyde métallique
WO2016171482A1 (ko) 봉독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048818A (ja) 頭髪用化粧品
JP2001114637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して成る皮膚外用剤
KR102673769B1 (ko) 다크서클 개선용 아이크림
KR101208120B1 (ko) 비타민 복합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