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753B1 - 상처 치료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상처 치료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753B1
KR102304753B1 KR1020167025552A KR20167025552A KR102304753B1 KR 102304753 B1 KR102304753 B1 KR 102304753B1 KR 1020167025552 A KR1020167025552 A KR 1020167025552A KR 20167025552 A KR20167025552 A KR 20167025552A KR 102304753 B1 KR102304753 B1 KR 102304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und
ester
absorbent dressing
pores
negat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7719A (ko
Inventor
제이 섹스턴
Original Assignee
아토믹 메디컬 이노베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토믹 메디컬 이노베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토믹 메디컬 이노베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47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5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sub-pressure or over-pressure therapy, wound drainage or wound irrigation, e.g. for use with negative-pressure wound therapy [NPWT]
    • A61F13/00068
    • A61F13/021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having more than one layer with different fluid retention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characterized by parametric properties of the fluid retention layer, e.g. absorbency, wicking capacity, liquid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90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 A61M1/91Suction aspects of the dressing
    • A61M1/91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pressure distribution manifo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90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 A61M1/91Suction aspects of the dressing
    • A61M1/916Suction aspects of the dr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eep w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90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 A61M1/98Containers specifically adapted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 A61M1/984Containers specifically adapted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portable on the body
    • A61M1/985Containers specifically adapted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portable on the body the dressing itself forming the collection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90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 A61M1/91Suction aspects of the dressing
    • A61M1/918Suction aspects of the dressing for multiple suction loc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환자에서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음압 상처 치료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다양한 측면들은, 드레싱을 교체하면서 상처내 조직을 실질적으로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평활근 누공과 같은 상처에 직접 적용하도록 고안된 에스테르-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에스테르-계 물질은 상처 기저부 표면 및/또는 상처 삼출물에 대해 친화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측면들은 평활근 누공과 같은 상처를 봉합하도록 고안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처 치료용 시스템 및 방법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HEALING}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참조
본 출원은 2014년 2월 14일자 미국 가출원번호 61/940,245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가출원의 내용은 그 전체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음압 상처 치료법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은 인체의 다양한 유형의 급성 또는 만성 상처를 치료하고 봉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료 기법이다. 음압 상처 치료법은 상처 기저부에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 환경을 구축하여, 상처 외부로 배액시키는, 상처 기저부 관리 기법이다.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 환경의 효과는 상처의 염증을 줄이고 혈류를 증가시켜 상처에 산소 풍부 환경을 제공하고, 상처-치유성 백혈구, 단백질, 탄수화물 및 성장 인자의 공급을 개선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처는 생리식염수 및/또는 항생제로 세척하며, 상처의 윤곽에 맞게 비-접착성 물질로 덮여질 수 있다. 비-접착성 물질 위에 흡수성 드레싱을 적용하고, 드레싱 처리된 상처에 밀폐용 물질을 적층하여, 기밀 밀봉한다. 밀폐용 물질의 개구부에 진공관이 연결된다. 진공관에 사용되는 진공 펌프는 상처 배액의 수집 및 제거를 위해 상처로부터 배액에 필요한 음압을 제공해준다. 이러한 비-접착성 물질 및/또는 흡수성 드레싱은 상처로부터 배출되는 삼출액의 양, 환자의 나이, 임상 목적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은 상처의 유형, 임상 목적 및 환자의 편안함에 따라 선택되는 다수의 물질들 중 어느 한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성 드레싱은 피부의 욕창 또는 당뇨병성 궤양과 같은 얕은 상처의 경우 면 거즈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은, 총상, 다리 궤양 및 수술로 생긴 공동 (cavity)과 같이 개방형 공동 상처일 경우에는, 폼 물질 (foam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상처는, 폼 물질의 높은 흡수 용량 (capacity)이 유익할 수 있는, 경도의, 중등도의 또는 중증의 삼출성 상처일 수 있다. 폼 물질은 개방형 공동 상처의 가장자리에 맞게 절단하여, 상처 안에 배치할 수 있다. 일반적인 폼 물질은 통상적으로 포어 직경이 약 100 ㎛ - 600 ㎛의 범위이며, 누공을 동반한 상처, 힘줄, 신경 또는 감각 조직의 경우에는, 폼 물질과 상처 기저부 사이에 보호층, 전형적으로 페트롤라툼 거즈가 항상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환자에서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음압 상처 치료 시스템을 위한 드레싱,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드레싱, 시스템 및 방법은, 드레싱을 교체하는 동안에, 상처내 조직을 실질적으로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평활근 누공과 같은 상처에 직접 적용되도록 고안된 에스테르-계 물질 (ester-based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에스테르-계 물질은 상처 기저부의 표면 및/또는 상처 삼출물에 대해 친화성을 가질 수 있다. 압력 하에, 에스테르-계 물질은 상처와 드레싱을 통한 상처 삼출물의 균일한 흐름을 촉진할 수 있으며, 상처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시스템과 방법은 평활근 누공과 같은 상처를 봉합하도록 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는 하기 설명된 도면과 함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하기 도면들에서, 도면 전체적으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요소와 단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 및 단계는 단순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반드시 어떠한 특정 순서나 스케일에 따라 도시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도록 도면에는 동시에 또는 서로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는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구조적 피처들에 대한 도해적인 도시는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단순하게 나타내었다.
도시된 도면들은 예시하기 위한 목적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은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들을 통해 보다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흡수성 드레싱을 포함하는 음압 상처 치료용 치료 시스템의 단순화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내장형 진공을 포함하는 음압 상처 치료용 치료 시스템의 단순화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통상적인 흡수성 드레싱의 포어 크기를 세포의 희생 (cell sacrifice)과 연관시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도 1 및 도 2의 구현예에 따른 흡수성 드레싱의 포어 크기를 세포 희생과 연관시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구현예에 따른 흡수성 드레싱의 상세한 포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A-5C는 도 1 및 도 2의 흡수성 드레싱에 대한 추가적인 구현예에 따른 다양한 포어 크기 및/또는 다중 층을 가진 흡수성 드레싱의 단순화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상처 삼출물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사전-형성된 유로를 구비한 흡수성 드레싱을 포함하는 음압 상처 치료용 치료 시스템에 대한 또다른 구현예의 단순화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상처 삼출물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장벽을 구비한 흡수성 드레싱을 포함하는 음압 상처 치료용 치료 시스템에 대한 또다른 구현예의 단순화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B는 도 7A의 장벽의 단순화된 단면도를 대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상처 삼출물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방사형 하우징 (radial housing)을 구비한 흡수성 드레싱을 포함하는 음압 상처 치료용 치료 시스템에 대한 또다른 구현예의 단순화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B는 도 8A의 방사형 하우징의 단순화된 사시도를 대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C는 도 8B의 방사형 하우징의 단순화된 단면도를 대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D는 도 8C의 방사형 하우징에서 I - I' 선을 따라 절단한, 단순화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음압 상처 치료용 치료 시스템의 구현예들에 통합시킬 수 있는 치료층을 포함하는 음압 상처 치료용 치료 시스템의 단순화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 성분들과 다양한 처리 단계 측면에서 기술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적인 블록들은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여 다양한 결과를 달성하도록 구성된 임의 갯수의 구성 성분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다양한 처리 단계, 장치, 시스템,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방형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임의 갯수의 시스템 및 방법과 연계하여 실시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처 치료, 상처 기저부 준비 (wound bed preparation), 상처의 감염 치료 또는 예방, 염증 저하, 상처로부터 체액 추출, 상처의 드레싱 교체 및 상처 가장자리의 확대 (advancement of wound edges) 예방을 위한 통상적인 기법들을 몇가지 채택할 수 있다.
도시되고 기술된 구체적인 구현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예시이자 최상의 예를 나타낸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실제, 간결한 기재를 위해, 본 시스템의 통상적인 제조, 연결, 준비 및 기타 기능적인 측면들은 상세히 기술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도면들에 나타낸 연결선들은 다양한 요소들 간의 기능적인 관계 및/또는 단계들에 대한 예를 제시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많은 대안적인 또는 부가적인 기능적인 관계 또는 물리적인 연결들이 실제 시스템에 존재할 수 있다.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함유한다" 또는 "비롯하여" 또는 이의 모든 변형 형태들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어, 요소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공정, 방법, 물품, 조성물, 시스템 또는 장치는 언급된 요소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공정, 방법, 물품, 조성물, 시스템 또는 장치에 명확하게 열거 또는 내재되지 않은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요소들의 리스트에 선행하는 "하나 이상의"와 같은 표현들은 열거된 전체 요소들에 해당되며, 열거된 개개 요소들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구현예를 기술함에 있어 "일 수 있는"이라는 표현의 사용은 "본 발명의 구현예들 중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제1 요소가 제2 요소와 "커플링된" 또는 "연결된" 것으로 기술된 경우, 제1 요소는 제2 요소와 직접 "커플링"되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개재 요소 (intervening element)들 중 하나 이상이 제1 요소와 제2 요소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밑", "아래", "하부", "아래쪽", "상부", "윗쪽" 등과 같은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본원에서 도면에 예시된 하나의 요소 또는 피처 (feature)에 대한 다른 요소(들) 또는 피처(들)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본원에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방향성 (orientation) 외에도, 사용시 또는 작동시, 디바이스의 다른 방향성도 포괄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의 디바이스가 뒤집어지면, 다른 요소 또는 피처에 대해 "아래" 또는 "밑"으로 설명된 요소들은 다른 요소 또는 피처에 대해 "위쪽"으로 될 것이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 "아래"는 위쪽과 아래 방향 둘다를 포괄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다르게 배향 (90° 회전하거나 또는 다른 방향임)될 수 있으며, 본원에 사용되는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그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용어 "제1", "제2", "제3" 등이 본원에 다양한 요소, 부재 (component),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요소, 부재,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은 상기한 용어로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요소, 부재,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요소, 부재,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후술하는 제1 요소, 부재,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제2 요소, 부재, 영역, 층 또는 섹션을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구체적인 구현예를 기술하기 위한 목적일 뿐, 본 발명의 개념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단수형 ("a", "an" 및 "the")은 문맥상 명시되지 않은 한 복수형도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서, 용어 "실질적으로", "약" 및 이와 유사 용어들은 대략적인 것을 나타내는 용어들로 사용되며, 정도 (terms of degree)의 용어로서 사용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인지되는 측정치 또는 계산치의 고유 편차를 고려한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구현예들은 인간 또는 동물의 신체 상의 모든 손상된 조직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손상된 조직은 상처 봉합이 필요한 기저 조직을 노출시킬 수 있는 자상 (penetrating wound)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절상 (incisional wound)에 적용될 수 있다. 자상은 또한 수술에 의해 발생된 상처 및/또는 외상, 평활근 누공 등의 누공, 열상, 화상과 같은 온열 손상 (thermal injury), 화학적 손상 (chemical wound), 전기적 손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상된 조직은 하나 이상의 누공을 포함할 수 있다. 누공은 총상, 제왕절개, 크론 질환 및 그외 다양한 질환, 상처 또는 수술 등의 다양한 외상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누공은 혈관, 피부, 장 또는 기타 속이 빈 장기 등의 2개의 상피 표면 (epithelialized surface)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가장 흔히 발생하는 누공의 한가지 타입은 장피 누공인데, 이것은 장과 피부 표면 사이에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소화계의 그외 누공 또는 신체의 다른 시스템에 위치한 누공 등의, 다양한 타입의 누공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본 발명에 재시된 다양한 구현예들은 평활근 조직 등의 상처 기저부의 치유를 촉진하기 위한 모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소정의 대표적인 구현예들은, 예를 들어, 음압 상처 치료법을 이용해 평활근내 누공을 치료 및 치유하기 위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폐쇄성인 상처 드레싱을 제공하기 위한 모든 적절한 시스템 또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들에서, 음압 상처 치료 시스템은 상처 삼출물을 흡수하기 위해 상처 기저부와 직접 접촉하게 적용되는 흡수성 드레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치료층이, 선택적으로, 흡수성 드레싱 하부의 평활근 조직 등의 상처 기저부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처의 봉합 및 치유를 추가로 촉진할 수 있다. 치료층에는, 상처 기저부로부터 나오는 상처 삼출물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성 드레싱이 적층될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과 상처 에지를 폐쇄성 밀봉으로 덮을 수 있다. 폐쇄성 밀봉에 연결될 수 있는 진공관에 진공 펌프를 커플링하여, 흡수성 드레싱을 통해 상처 기저부로 음압을 전달 (communication)할 수 있다. 진공 펌프를 가동하면, 상처 삼출물이 상처 기저부로부터 흡수성 드레싱으로 배출되어, 드레싱 교체시 제거될 수 있다.
평활근 누공은 노출된 평활근 조직을 포함하고 있는 개방형 공동 병변 (cavity wound)일 수 있다. 견고하고 상대적으로 큰 조직을 포함하는 심근 및 골격근과는 달리, 평활근은, 외래 물질과 접촉하였을 때, 허약하고, 취약하며, 쉽게 손상 또는 분해된다. 폼 또는 거즈 등의 어떤 일반적인 흡수성 드레싱을 이용한 음압 상처 치료법은, 예를 들어, 심장 조직, 신경 조직, 힘줄, 노출된 혈관 및 평활근 조직의 취약성으로 인해, 소정의 누공 치료용으로서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임상 실무 표준은 평활근 등의 임의 상처에 폼 또는 거즈, 또는 모든 종래의 흡수성 드레싱을 직접 접촉 사용하는 것을 금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직접 접촉이 평활근 조직에 손상을 야기하여, 상처를 악화시키고 치유를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론으로 결부시키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시스템은 부적절하게도 누공으로부터 상처 삼출물을 불-균일하게 배액시키고, 상처내로의 조직의 내증식 (down growth)을 증가시키고, 드레싱 교체시 부적절한 세포 희생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적어도 이러한 이유로, 누공은 일반적으로 봉합, 접착 및/또는 누공을 봉합하는 스테이플링 등의 방법으로 상처를 닫기 위한 기계적인 방법으로 치료한다. 이러한 기계적인 상처 봉합술은 누공 치유 촉진에 성과가 미미하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음압 치료 시스템 (100)은 흡수성 드레싱 (10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흡수성 드레싱 (101)은 상처 기저부 (120)와 직접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처 기저부 (120)는 평활근 누공 (122)을 둘러싼 평활근 조직 (121)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 (101)은 또한 골격근 및 평활근 조직, 뼈 (도시 안함) 및 기타 조직 등의, 누공 (122)과 인접한, 그리고 상처 기저부 (120)의 다양한 조직들 (123)과 접촉할 수 있다. 밀폐용 물질 (130)이 흡수성 드레싱 (101) 위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처 기저부 (120)의 에지 (125) 옆에 있는 피부 (124)에 부착된다. 밀폐용 물질 (130)의 적용은 상처 기저부 (120)에 대해 기밀 밀봉 (airtight seal)을 제공할 수 있다. 밀폐용 물질 (130)은 플라스틱과 같은 모든 적합한 기밀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어댑터 (131)가 밀폐용 물질 (130)에 커플링되어, 상처 기저부 (120) 에 대한 밀폐용 물질 (130)에 의한 기밀 밀봉은 유지하면서도, 기체 또는 상처 삼출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밀폐용 물질 (130)을 관통하는 액세서 포인트 (access point)를 제공할 수 있다. 어댑터 (131)에 통상적인 진공관 연결기 (132)가 커플링될 수 있다. 진공관 (133)이, 진공관 연결기 (132) 및 진공 펌프 (134)에 커플링될 수 있다. 진공 펌프 (134)는 압전 펌프, 음파 펌프 (sound wave pump) 및/또는 기계 펌프 등의 음압 치료 시스템에 사용되는 모든 적합한 통상적인 진공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상적인 진공 펌프는 0-200mm Hg 수준의 음압을 제공할 수 있다. 진공 펌프 (134)를 가동하면, 상처 기저부 (120)에 음압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시, 의사 등의 의료인이 평활근 누공 (122) 등의 상처 기저부에 직접 흡수성 드레싱 (101)을 적용할 수 있다. 상처 삼출물이 흡수성 드레싱 (101)으로 흡수되기 시작할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 (101) 위에, 상처 기저부 (120)의 에지 (125)를 충분히 덮도록, 밀폐용 물질 (130)을 적층할 수 있다. 그런 후, 의료인은 밀폐용 물질 (130)이 피부 (124)에 부착되어 상처 기저부 (120) 상에 기밀 밀봉이 형성될 때까지 밀폐용 물질 (130)을 압박할 수 있다. 어댑터 (131)는, 음압 소스, 예를 들어, 진공 펌프 (134)에 연결될 수 있다. 진공 펌프 (134)는 진공관 연결기 (132) 및 진공관 (133)과 조립되어, 어댑터 (13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어댑터 (131)는, 밀폐용 물질 (13)내 액세서 포인트와 연결됨으로써, 진공 펌프 (134)에서 흡수성 드레싱 (101)으로 음압이 인가될 수 있다. 진공 펌프 (134)를 가동하면, 음압이 흡수성 드레싱 (101)에 인가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흡수성 드레싱 (101)과 상처 기저부 (120)으로부터 상처 삼출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도 2의 다른 구현예에서, 음압 치료 시스템 (200)은 흡수성 드레싱 (101)에 통합된 진공 펌프 (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는, 진공관 (133) 또는 진공관 연결기 (132)가 필요없을 수 있다. 일체형 진공 펌프 (234)는, 음압 치료 시스템 (100)을 이용하는 동안에, 평활근 누공 (122)이 발생한 환자의 거동 자유성을 개선시키거나 또는 완전 보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거동은, 진공관 (133)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진공 펌프 (134)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제한될 수 있다. 본 구현예는 도 1의 구현예와 유사하게 작동하지만, 흡수성 드레싱 (101)에 음압을 인가하기 위해, 의료인이 각각 분리된 진공관 연결기, 진공관 또는 어댑터를 조립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흡수성 드레싱 (101)은 평활근을 비롯한 상처 등의 상처와 직접 접촉하기에 적합한 모든 생체적합한 흡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생체적합한 흡수성 물질은 생조직 및/또는 상처 삼출물에 대해 친화성 (affinity)을 가질 수 있다. 상처 삼출물은 삼출물, 누출물, 세포외 기질, 혈액 및/또는 그외, 상처로부터 유출되는 다양한 점성의 모든 타입의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생체적합한 흡수성 물질은 다양한 점성을 가진 상처 삼출물을 흡수 및/또는 현탁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생체적합한 물질은, 감압 환경에서 및/또는 드레싱 교체시 실질적인 세포 파괴 또는 손상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평활근 (121)과의 접촉에 적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흡수성 드레싱 (101)은 에스테르-계 물질 (ester-based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에스테르-계 물질은 에지 (125)에 피팅하는 것과 같이, 상처 기저부 (120)의 경계부에 맞게 가공 (trimming)하기 적합한 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스테르-계 물질은 평활근 (121)의 표면에 노출되거나 및/또는 직접 접촉될 수 있는 에스테르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에스테르 관능기는 일반 화학식 R-CO-OR' [
Figure 112016089615493-pct00001
]을 가지는 카르복시산 유도체이다. 에스테르는, 하나 이상의 -OH (하이드록시) 기가 -O-알킬 (알콕시) 기로 치환되어, 무기산 또는 유기산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에스테르 관능기의 카르보닐 산소는 비편재화된 탄소 양이온 (delocalized carbocation)과 더불어 부분 음전하를 가질 수 있다. 에스테르 관능기는 3가지 이상의 화학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첫번째로, 친전자성 탄소 양이온은 하이드록사이드 등의 다른 분자로부터 친핵성 공격을 받기 쉬워, 탄소 양이온에 친전자체가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친핵성 공격으로 에스테르는 가수분해될 수 있다. 2번째는, 친전자체가 고도의 음전성 카르보닐 산소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친전자체는 수소 이온일 수 있다. 따라서, 카르보닐 산소는 분자간의 수소 결합에 참여할 수 있다. 3번째는, 탄소 양이온에 인접한 탄소가 염기에 의해 양성자를 잃게 되고, 공명 구조에 의해 안정되는 바와 같이, 인접 탄소 또는 카르보닐 산소는 음전하를 띄게 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이들 에스테르 관능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반응성이, 생조직 및/또는 상처 삼출물에 대한 에스테르-계 물질의 친화성에, 특히 평활근 조직 (121)에 직접 적용되었을 때, 참여할 수 있다. 에스테르 관능기는, 세포막의 인지질 이중층과 같이, 상처 기저부 (120) 세포 상의 극성 기, 상처 기저부 (120)에 의해 생성되는 상처 삼출물의 물 성분 및 장액과 같이 평활근 누공 (122)을 통해 나오는 유체의 물 성분 등의, 상처 기저부 (120)내 다양한 분자들에 대해 친화성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에스테르 관능기는 수소 결합, 가수 분해 등의 친핵성 첨가 반응 및/또는 염기 탈양성자화 (base deprotonation)를 통해, 평활근 조직 (121)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론으로 결부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 화학적 상호작용은 흡수성 드레싱 (101)과 평활근 조직 (121) 사이의 계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어, 평활근 조직 (121)의 노출된 표면 전체에 음압에 의한 양력 (lifting force)이 균일하게 분산되고, 일정하고 균등한 상승력 (pull upward)이 형성될 수 있다.
상처 기저부 (120)내 조직과 흡수성 드레싱 (101) 및/또는 계면 층 (902) (아래 도 8A-8B에서 언급됨)의 에스테르 관능기 간의 화학적 상호작용의 존재 및 진공 펌프로부터의 음압 중 하나 이상이, 상처 기저부 (120)의 균일한 상승력 및/또는 내향식 (inward) 견인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균일한 상승력 및/또는 내향식 견인의 결과로, 에스테르-계 물질이 상처 기저부 (120)의 기하학적 환경에 유해한 변화 또는 손상을 거의 야기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처 기저부 (120)를 통한 상처 삼출물의 균일한 이동을 촉진할 수 있으며, 상처 기저부 (120)로부터 배출되는 상처 삼출물의 흐름을 줄일 수 있다. 유체의 감소 및/또는 조직를 안쪽으로 끌어당기는 환경은 상처 기저부 (120)의 봉합 및 치유를 야기할 수 있다.
에스테르 관능기와 평활근 조직 (122) 간의 반응성은 진공 펌프에 의해 제공되는 음압 환경과 연계되어, 상처 기저부 (120)에 다양한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에스테르 관능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한가지 이상을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상처에 최적의 기하학적 환경 부여, 육아 조직의 형성, 온도 조절, 조직 내증식 (downgrowth)의 일정 부분 이상의 회복, 최상의 유체 관리 및 세포 증식 유도.
상처 기저부 (120)의 기하학적 환경 (geometric environment)은 상피 세포의 증식 및 모세관 내피 세포의 이동, 및 상처를 통해 배출되는 성장인자, 영양분 및 단백질을 수송하는 삼출물의 이동 등의 소정의 생리학적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 후술한 바와 같이, 이론으로 결부되진 않지만, 상처 삼출물의 불균일한 이동은 상처 기저부에 상처 삼출물의 축적 (pooling)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축적은 세포 대 세포의 상호작용을 파괴할 수 있으며, 세포 염좌 (cell distortion) 또는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에스테르-계 물질은 이러한 세포 염좌를 제한하고, 상처 치유와 봉합에 최적인 또는 개선된 기하학적 환경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상처 기저부 (120) 조직과 에스테르 관능기 간의 화학적 상호작용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육아 조직은 상처 기저부 (120)의 표면에서의 새로운 결합 조직과 새로운 혈관 생성을 포함할 수 있어, 치유 과정을 촉진할 수 있다. 육아 조직의 증식으로 상처 기저부 (120)를 메울 수 있으며, 상처의 봉합 및/또는 삼출물의 배출 감소를 도울 수 있다. 에스테르-계 물질이 평활근 누공 (122) 등의 상처 기저부 (120)에 적용되면, 조직의 과립화가 자극될 수 있다.
상처 기저부 (120)내 정상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혈관 수축과 저산소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감염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 (101) 전역으로 삼출물의 균등한 분산과 이동을 제공하는, 에스테르-계 물질의 소구경 포어 (111)는, 에스테르-계 물질을 통한 증발 및/또는 고르지 않은 기류를 줄여줌으로써, 상처 기저부 (120)의 정상 온도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에스테르-계 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증발 및/또는 고르지 않은 기류는, 상처의 온도 하락을 유발하고, 그래서 조직 대사를 증가시키고 pH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러한 상처 조직내 대사 및 pH 변화는 환자에게 출혈, 육아 조직의 형성 파괴 및 통증을 야기할 수 있다.
에스테르-계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성 드레싱 (101)은, 연속 또는 간헐식 음압과 조합되어, 상처 기저부 (120)의 온도 조절 강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에스테르-계 물질은 에스테르-계 물질 상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온도 조절을 제공할 수 있다. 일차로, 에스테르-계 물질의 표면과 상처 기저부 (120)의 조직 사이의 계면은, 에스테르 관능기가 직접 접촉하여 조직과 반응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정상 체온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두번째로, 나머지 에스테르-계 물질 영역은 상처 기저부 (120)로부터 삼출물을 끌어당겨 고르게 분산 및 상호작용하여, 삼출물이 에스테르-계 물질을 통해 음압 소스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삼출물과 수소 결합과 같은 화학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에스테르-계 물질내에서 삼출물은 체온 보다 낮을 수 있는 온도 평형을 확립할 수 있으며, 조직 계면에 대한 단열층이 에스테르-계 물질 전체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처 기저부에 대한 효과적인 온도 조절은 치유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세포 대사 및 pH 유지에 최적인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에스테르-계 물질은, 상처에 대한 항생제 첨가와 같이, 음압 치료 시스템 (100)에 적용될 수 있는 생리식염수 등의 유입되는 관류액 (instillation fluid)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열 완충제 (thermal buffer)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처 기저부 (120)에 대한 저온 충격을 방지 또는 낮출 수 있다.
에스테르-계 물질의 에스테르 관능기와 상처 기저부 (120) 조직 간의 화학적인 상호작용으로, 비-에스테르 기반의 물질과 비교해, 유체 관리를 개선할 수 있다. 조직 및 삼출물에 대한 고르게 분산된 에스테르 관능기의 친화성은, 음압에 반응하여 상처 기저부 (120)의 표면에 미세 응력 염좌가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삼출물을 음압 소스 방향으로 고르게 질서 정연한 방식으로 상처를 통과하여 이동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친화성은 상처 기저부 (120)의 주름 및 외곽선 (contouring line)에서의 삼출물 유체의 일관된 수집 (consistent collection)을 촉진할 수 있다. 삼출물의 획일적인 이동 작용이 삼출물, 유체 및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해주어, 상처 기저부 (120)의 표면 전체에 동일한 세포 증식 방향성 (orientation)이 형성되게 된다.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균일한 에스테르 관능기의 친화성은, 또한, 조직과 에스테르-계 물질의 밀접한 결합으로 인해, 공동 형성 또는 조직 손상을 방지하거나 또는 낮출 수 있다. 나아가, 조직에 대한 에스테르 관능기의 균일한 친화성으로 인해, 환자가 신체를 움직이는 동안에, 그리고 음압 치료 시스템 (100)을 교체하는 동안에, 세포성 작업 (cellular work)을 적응 및 재-적응시킬 필요가 거의 없을 수 있다. 즉, 유체 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 유체의 주입, 침지, 진공 휴지 사이클 (vacuum pause cycle) 및/또는 드레싱 교체 등과 같이,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시스템은, 필요하지 않거나, 또는 에스테르-계 물질과 함께 사용하였을 때, 훨씬 나은 개선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에스테르 관능기와 상처 기저부 (120) 표면의 조직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발되는 상방 견인성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조직의 상처 기저부 (120) 안으로의 내증식을 완화하거나 및/또는 일정 부분 이상 회복시킬 수 있다. 상피 조직과 심부 조직의 상처 기저부 (120) 안으로의 내 증식은 절개부와 상처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처 기저부 (120)에 에스테르-계 물질에 의해 공급되는 상방 견인성은, 상처 기저부 (120) 표면 전체에 압력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세포의 상처 기저부 (120) 표면 쪽으로의 이동을 유발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에스테르-계 물질은 폴리우레탄, 특히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일 수 있다. 통상적인 에테르-계 폼과 비교해, 에스테르-계 폼은 보다 견고하고, 작은 개방형-망상 셀 구조와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진다. 또한, 에스테르-계 폼은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수분을 현탁시키며, 자체 작은 셀 구조 및/또는 수분에 대한 화학적 친화성으로 인해 유체를 폼 전역에 고르게 흐르게 할 수 있다.
통상적임 폼은 전형적으로, 폴리에테르 트리올 폴리머 등의 에테르-계 폼으로서, 포어 직경이 크다.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평활근 세포와 같이 폼 물질이 사용되는 개개 세포의 크기와 비교해, 이러한 상대적으로 큰 포어 크기는, 통상적인 폼 물질을 상처에 직접 접촉되게 배치하였을 때, 상처 기저부에 발생되는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도 3A는 통상적인 폼 물질 (301)의 포어 직경 (311)의 일 예를 평활근 세포 (321)와 비교하여 예시해준다.
아울러,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에테르-계 폼의 큰 포어 직경은 폼의 수분 현탁 능력을 감소시켜, 수분을 쉽게 폼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에테르-계 폼을 통한 수분의 용이한 이동은 무게 중심이 가장 낮은 폼의 영역에 유체가 쉽게 축적되게 하는 실무적인 현상이 발생하여, 수분이 에테르-계 폼 전역에 고르지 않게 분산된다. 에테르-계 폼은 상처 기저부에 대한 부적절한 온도 조절, 상처 기저부로의 항생제 등의 첨가제의 전달 불량 및 환자가 움직일 경우 밀봉된 시스템내 수분의 고르지 않은 분포와 축적으로 인한 환자의 보행 제한을 부여하므로, 에테르-계 폼의 불량한 수분 보유력으로 인해 음압 치료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
또한, 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의 경우, 에테르 결합의 기본적인 화학 구조는 R-O-R'이다. 가운데 산소는 실질적으로 비반응성일 수 있으며, 확실한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없고, 에스테르 관능기의 산소에 비해 극성이 매우 낮다.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에테르 결합의 안정성으로 인해, 기수분해 및 산, 산화제, 환원제, 염기 및 활성 금속 종과의 반응을 비롯하여, 에스테르-계 폼과 동일한 유형의 화학적 상호작용 또는 반응을 형성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에테르-계 폼과 에스테르-계 폼의 화학적인 차이, 그리고 그로 인한 구조적 차이는, 다양한 용도들에서 이들 물질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음압 치료 시스템을 이용하는 치료 용도의 경우, 언급된 에스테르-계 물질에 대한 다양한 구현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온도 조절 및 균일한 수분 분산은 상처 치유 및 봉합을 최적화할 수 있다.
에스테르-계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성 드레싱 (101)은, 어떤 바람직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도록 제조 및/또는 추가로 가공처리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바람직한 물리적 특성은 포어 밀도, 포어의 기하구조, 포어의 망상 구조 (pore reticulation), 상처 삼출물의 포어 투과성, 건조 인장 강도 및/또는 습식 인장 강도 등의, 포어 크기와 구조를 최적화할 수 있다. 에스테르-계 물질의 가공으로, 현탁된 유체를 포화 부피로 유지하는 에스테르-계 물질의 유지력을 더욱 최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처 기저부 (120)에 제공되는 흡수성 드레싱 (101)의 에스테르-계 물질은 궁극적으로 평활근 누공 (122)을 통해 나오는 상처 삼출물로 포화될 수 있다. 상처 삼출물은 진공관 (133)을 통해 흡수성 드레싱 (101)로부터 계속적으로 제거되면서, 동시에, 상처 삼출물이 평활근 누공 (122)로부터 흡수성 드레싱 (101)로 계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처 삼출물에 대한 에스테르-계 물질의 친화성의 결과로서, 포화된 흡수성 드레싱 (101)은, 진공관 (133)을 통해 에스테르-계 물질로부터 배출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피로 상처 삼출물 및/또는 동일한 수의 상처 삼출물 분자들을 에스테르-계 물질로 유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처 삼출물의 제거가, 0 - 200 mmHg인 임상적으로 적절한 음압 하에서의 흡수성 드레싱 (101)에 수용되는 상처 삼출물의 포화 부피에는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질적으로 포화된 흡수성 드레싱 (101)에 의해 제공되는 유입 부피와 배출 부피가 동일한 이러한 상황 (간단하게 "1분자 유입/1분자 배출 조건"이라고도 함)은, 효과적인 온도 조절, 음압의 고른 분산 및 환자의 거동에도 불구하고 상처 삼출물의 고른 분산 유지 등과 같이, 상처 치유에 여러 이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용도의 경우, 흡수성 드레싱 (101)에서 포어의 기하학적 구조는 포어 (110) 내표면적 증가를 제공하는 형태, 예를 들어 둥근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적 증가는 에스테르 관능기와 상처 기저부 (120) 간의 접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평활근 누공 (122)의 치유에 유익할 수 있다. 표면적 증가는 특히 장 누공과 같이 상처 삼출물의 흐름이 빠른 상처에 유익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도 3B에 나타낸, 흡수성 드레싱 (101)의 포어 (110)의 기하학적 구조는, 상피 세포, 골격근 세포 및/또는 평활근 세포 등의, 상처 기저부 (120)내 일차 세포 타입의 일반적인 형태와 상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포어는 상처 기저부로부터 나오는 삼출물의 세포 또는 기타 물질들 중 임의의 것의 크기 및/또는 직경과 상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어 (110)는 골격근 세포 또는 평활근 세포의 긴 치수 (elongated dimension)와 상관되도록 긴 형태 (elongated shape)를 취할 수 있다. 상처 기저부에 존재할 수 있는 세포 타입들의 크기 및 형태에 대한 예들을 아래 표 1에 나타낸다. 포어 (110)는, 상처 기저부 (120)내 다른 세포 타입의 직경, 형태 및/또는 길이 뿐만 아니라, 후술한 타입의 임의의 세포의 직경, 형태 및/또는 길이와 상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포어 (110)는 팔각형, 육각형, 다이아몬드형 또는 삼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도 취할 수도 있다.
표 1
세포 타입 전체적인 세포 형태 직경 길이
근육 세포 다양함 다양함 다양함
심근 세포 짧고, 가느다란 세포 10 ㎛ - 15 ㎛ 80 ㎛ - 100 ㎛
평활근 세포 짧고, 긴, 방추상 세포 0.2 ㎛ - 2 ㎛ 20 ㎛ - 200 ㎛
골격근 세포 크고, 긴 세포 10 ㎛ - 100 ㎛ 최대 100cm
상피 세포
(내피 세포 포함)
다양함 다양함 다양함
결합 조직 다양함 다양함 다양함
신경 세포 다양함 다양함 다양함
몇몇 용도의 경우, 흡수성 드레싱 (101)의 포어 직경 및/또는 크기는 포어 스트러트 (pore strut)와 상처 기저부 (120)내 세포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도록 맞춤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어의 직경 및/또는 크기는 상처 기저부 (120)내 일차 세포 타입의 직경 및/또는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포어의 너비는, 평활근 세포의 크기와 상관되도록, 약 0.1 ㎛ - 약 100 ㎛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포어 너비는 약 0.1 ㎛ - 약 50 ㎛일 수 있다.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포어 (110)의 크기를 평활근 세포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줄이면, 도 3A -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세포 희생이 줄어들 것으로 생각된다. 통상적인 에테르-계 폼 (301)의 포어 (310)의 일 예를 도 3A에 예시한다. 이 포어 (310)는 약 400 ㎛ - 약 600 ㎛의 직경 (311)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처 기저부 (32)를 예시한, 포어 (310)에 인접한 평활근 세포 (321)는, 드레싱의 교체시, 제거 (예, 희생)될 수 있다.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세포 (321)의 희생은, 상처 기저부 (120)를 메우기 위해 손상된 조직의 재증식에 따라 형성되는 세포 정션 등의, 세포 간의 약한 접촉 형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통상적인 에테르-계 폼에서 포어 (310)의 스트러트 또는 에지는 일부 평활근 세포 (321)와 접촉하여, 평활근 세포 (321)가 상처 치유의 일환으로서 분열됨에 따라 형성되는 약한 세포 정션을 파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폼의 포어 (110)는 도 3B에서 예시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포어 (110)는 약 30 ㎛ 이하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평활근 세포의 직경에 가까울 수 있다. 그 결과, 포어 (110)는 각 평활근 세포 (121)의 길이를 따라 여러 개로 접촉될 수 있다. 이런 방식에서는, 평활근 세포 (121)가 분열함에 따라, 포어 (110)가 세포 정션을 보다 가깝고 및/또는 보다 강력하게 형성되게 지지하는 스캐폴드로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평활근 세포 (121)는 따라서 드레싱 교체시 온전하게 유지되며, 폼-조직의 계면에서 상처 치유에 해가 될 수 있는 평활근 세포 (121)의 상당한 소실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에스테르-계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성 드레싱 (101)은 평활근 조직 (121)의 희생을 줄이도록 고안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포어 (110)의 크기를, 통상적인 에스테르-계 폼의 포어 크기인 약 100 ㎛ - 600 ㎛ 보다 작은, 임의의 포어 크기로 작을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포어 직경 (111)은 평활근 세포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평활근 세포는 직경 약 0.2 ㎛ - 20 ㎛ 및 길이 약 20 ㎛ - 200 ㎛일 수 있는, 짧은 형태, 긴 형태 및 방추성 형태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평균 포어 직경 (111)은 대략적으로 30 ㎛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균 포어 직경 (111)은 약 0.2 - 30 ㎛ 또는 0.2 - 2 ㎛일 수 있다.
아울러, 에스테르-계 물질의 포어 (110)는 망상형 포어 (reticulated pore)일 수 있다. 망상형은 포어 (110)의 루멘 (112)이 채널 (113)을 통해서와 같이 인접 포어 (110)와 소통하는, 포어 (110)들의 개방성을 의미한다. 인접 포어 (110)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우, 포어 (110)의 스트러트 또는 에지는 망상형 폼에서 온전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망상형 흡수성 드레싱 (110)의 개방-셀 (open-celled) 구조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포어 크기는 영양분, 산소, 생활성 물질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확산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전체 상처 기저부 (120)에 대한 음압 및 음압 상처 치료법의 적용시 삼출물의 효과적인 제거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에스테르-계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성 드레싱 (101)의 포어 (110) 크기는 통상적인 에스테르 폼의 포어 크기 보다 작을 수 있거나, 및/또는 평활근 세포 (121)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포어 (110)는 에스테르-계 물질의 섬유-광 몰드 (fiber-optic mold)와 같은 폴드 이용, 스탬플링 방법 (stamping method), 이온 빔 또는 초음파 충격과 같은 충격 방법 (bombardment method), 화학적 에칭, 화학적 배스 (chemical bath) 및/또는 레이저 조사 등의 임의의 적절한 프로세스를 이용해, 에스테르-계 물질에 형성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통상적인 에스테르 폼의 포어는 축융 (felting) 등의 모든 적합한 공정으로 원하는 크기로 줄일 수 있다. 축융 공정은 에스테르-계 물질의 열, 기계 또는 화학적 압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포어 (110)를 영구적으로 압축할 수 있다. 축융 공정은 폴리우레탄 에스테르 폼을 제조하는 공정 중에 에스테르-계 물질을 열처리한 다음, 바람직한 포어 밀도, 포어내 바람직한 유체 역학 및/또는 인장 강도 증가를 달성하기 위한 수준으로 압축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생체적합한 폼을 가공하여, 바람직한 포어 크기, 공극률, 밀도, 포어의 망상 구조, 투과성 및/또는 인장 강도와 같은 임의의 바람직한 물리적인 특성을 수득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에스테르-계 물질을 제조하거나, 및/또는 추가로 가공하여, 상처 삼출물에 대한 친화성, 음압 하에 흡수성 드레싱 (101)의 수축을 허용하는 에스테르-계 물질의 탄성, 에스테르-계 물질내 상처 삼출물의 고른 현탁 및/또는 흡수, 및/또는 첨가제의 보유 및/또는 수송과 같은 임의의 바람직한 화학적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에스테르-계 물질은 특정 타입의 상처 기저부 (120)의 치유를 촉진하도록 맞춤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활근 누공 (122)을 비롯하여, 담도 누공과 같이 산성이 강한 상처 기저부 (120)는 바이카보네이트와 같은 중화 조성물로 함침 (impregnation)하는 등의 화학적으로 변형된 흡수성 드레싱 (101)이 유익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에스테르-계 물질은 알코올, 항생제, 약제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흡수성 드레싱 (101)내 화학적 특성, 포어 크기 및/또는 포어의 기하학적 구조는 어떤 특정 유형의 상처 기저부 (120)에 최대한의 치유 이점을 제공하도록, 최적화 및/또는 맞춤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일부 구현예들에서, 에스테르-계 물질은, 커플링되어 단일한 코헤시브 조각 (single cohesive piece)의 폼을 형성하는, 바람직한 물성을 가진 가로로 정렬된 층을 여러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구현예들에서, 도 5A -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드레싱은, 각각의 층이 각 층내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포어 크기 및/또는 포어의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며, 인접 층 또는 층들과는 서로 다른 포어 크기 및/또는 서로 다른 기하학적 포어 구조를 가지는, 2층 이상의 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를 참조하여, 흡수성 드레싱 (501a)은 제2 층 (550)의 포어 (551) 보다 직경이 더 클 수 있는 포어 (541)를 포함하는 제1 층 (54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여, 흡수성 드레싱 (501b)은 제1 층 (540)이 위에 적용된 제2 층 (5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제1 층 (540) 위에는 추가의 제2 층 (550)이 적용될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 (501b)은 필요에 따라 교대 층 (alternating layer) 540/550을 여러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포어 (541 및 551)는 대략적으로 흡수성 드레싱 (501a, 501b)이 적용될 세포의 크기 및/또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어 (551)는 약 0.1 ㎛ - 약 10 ㎛일 수 있으며, 포어 (541)는 약 10 ㎛ - 약 100 ㎛, 또는 약 20 ㎛ - 약 100 ㎛일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수의 포어 (541) 및/또는 포어 (551)가 상처 기저부 (120)에서 임의의 평활근 세포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포어 (541, 551)는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 크기, 직경 또는 망상 구조들 중 어떤 것을 비롯하여, 전술한 포어 (110)의 임의의 피처를 가질 수도 있다.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교대 층 (540 및 550)의 구비는 상처 기저부 (120)에서 더 작은 포어 (551)를 통해 양호한 밀봉을 구축하면서도, 여전히 더 큰 포어 (541)에서 높은 수준의 흡수와 압축성(이 연동운동 및 환자에 의한 기타 움직임을 보완함)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아울러, 흡수성 드레싱 (501b)에서, 제1 층 (540)의 상하 양쪽에 제2 층 (551)을 구비하면 흡수성 드레싱 (501b)는 리버서블 (reversible)이 가능할 수 있어, 의료인이 사용하기 편리하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포어 (551)는 약 0.1 ㎛ - 약 50 ㎛일 수 있으며, 포어 (541)는 약 10 ㎛ - 약 300 ㎛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1 층 (540)은 약 0.1 mm - 약 2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층 (550)은 2 mm - 8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에 대한 또 다른 구현예를 기술한 도 5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흡수성 드레싱 (501c)에서, 포어 (541)와 포어 (551)는, 층 (560)에서와 같이, 동일 층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구경 포어 (551)가 대구경 포어 (541) 사이에 분산될 수 있으며, 이때 각 포어 (551)가 대구경 포어 (541)로 둘러싸이게 된다. 또한, 흡수성 드레싱 (501c)은 흡수성 드레싱 (501c)을 통과하여 흐르는 상처 삼출물의 체적 및/또는 속도를 낮추기 위해, 제한된 망상 구조 (limited reticulation)를 가진 포어를 포함할 수 있다. 층 (501c)의 포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 크기, 직경 또는 망상 구조들 중 어떤 것을 비롯하여, 전술한 포어 (110)의 임의의 특징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 (560)의 포어는 크기가 약 0.1 ㎛ - 약 300 ㎛일 수 있다.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여러가지 크기의 포어들을 배치함으로써, 대구경 포어 (541)와 소구경 포어 (551)를 포함하는 통로를 통해 상처 삼출물은 이동하게 될 것이며, 그래서 유체 흐름에 대한 저항성 (resistance)이 증가될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소구경 포어 (551) 사이에 대구경 포어 (541)의 배치는 흡수층 (501c)의 상처 삼출물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 균일하거나 또는 대구경 포어 (541) 구조를 가진 흡수층과 비교해, 상처 기저부 (120)에 대해 보다 타이트한 밀봉을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트한 밀봉 또는 압력 저항 층은, 상처 삼출물의 생성 저하와 상처 기저부 (120)로부터의 상처 삼출물의 유출 저하 및/또는 장 등의 누공 소스를 통한 상처 삼출물의 역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아울러,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구경 포어 (551) 및/또는 대구경 포어 (541)의 크기 선택은, 상처 삼출물으로부터 소정의 입자를 쉽게 제거하는 여과 기능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상처 삼출물의 생성 저하 및 흐르는 방향의 전환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을 생각된다. 예를 들어, 소구경 포어 (551)의 크기 및/또는 대구경 포어 (541)의 크기는 다양한 세포 파편 및/또는 박테리아의 크기와 비슷할 수 있으며, 대체적으로 진핵생물 세포 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다.
층 (560)은 전체 흡수성 드레싱 (501c)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대구경 포어와 소구경 포어가 산재된 부가적인 층들로 적층될 수 있거나, 또는 제1층 (501a) 및 제2 층 (501b)과 같이 균일한 포어들로 구성된 부가적인 층들로 적층될 수 있다. 추가적인 구현예들에서, 흡수성 드레싱 (501a, 501b 및 501c) 중 어느 것에는, 포어 크기가 100 ㎛ - 600 ㎛인 통상적인 폼과 같은, 포어 크기가 더 큰 폼이 적층될 수 있다. 아울러, 흡수성 드레싱 (501a, 501b 및 501c) 중 어느 것은 본원에 기술된 흡수성 드레싱, 예를 들어, 흡수성 드레싱 (101)에 대한 다양한 구현예들의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을 구비할 수도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층 (540, 550 및 560)과 같이 수평으로 쌓인 층들을 포함하는 흡수성 드레싱은,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인접 층 사이에 정션 (545)을 포함할 수 있다. 정션 (545)은 흡수층 (501a, 501b, 501c)의 바람직한 물성 및/또는 화학적 특성을 구비하거나 또는 개선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첨가체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한 용액을 정션 (545)에 페인팅, 분무, 웨이핑, 스폰지로 닦기 또는 적용할 수 있다. 첨가제는 항세균제, 약제학적으로 활성인 물질, 비타민, 반-폐쇄성 (semi-occlusive) 물질, 진정제 (emollient), 습윤제, 약제 등과 같은 생체적합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 (501a, 501b, 501c)은 상처 기저부 (120)에 적용하기 전 또는 적용시, 첨가제에 침지하거나 및/또는 첨가제로 포화시킬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 (501a, 501b, 501c)의 사용 방법은 도 1의 구현예에서의 사용 방법과 동일하다. 그러나, 흡수성 드레싱 (501a, 501b, 501c)이 양면 사용이 불가한 구현예의 경우, 즉, 흡수성 드레싱 ((501a, 501b, 501c)의 최외층들이 서로 다른 포어 크기를 가지는 경우, 상처 기저부 (120)에 대해 보다 타이트한 밀봉을 구축하기 위해, 포어 크기가 가장 작은 최외층을 상처 기저부와 마주보게 할 수 있다.
추가적인 구현예들에서, 부가적인 구조적 피처 (제2 구조적 피처로도 지칭될 수 있으며, 흡수성 드레싱의 포어는 제2 구조적 피처로 지칭될 수 있음)를 흡수성 드레싱에 도입하여, 흡수성 드레싱을 통한 지향된 상처 삼출물의 이동에 의해 상처 봉합을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피처는 상처 기저부 (120)의 에지 (125)로부터, 특히 누공 (122)의 에지 (626)으로부터, 누공 상부의 중심 영역쪽으로 상처 삼출물이 흐르게 안내하여, 누공 (122)의 정중선 쪽으로 조직이 끌려가게 할 수 있다. 에테르-계 폼과 같은 통상적인 흡수성 드레싱제는, 흡수성 드레싱을 통과하는 상처 삼출물의 방향에 영향을 주거나 또는 안내하는 구조적 피처를 별도로 또는 의도적으로 채택하고 있진 않다. 지향성 체액 흐름 (directional fluid flow)을 구축하는데 적합한 모든 방법이 흡수성 드레싱에 구현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도 6에 예시된 예에서, 구조적 피처는 상처 기저부 (120)의 에지 (125), 특히 누공 (122)의 에지 (626)로부터 흡수성 드레싱 (601)의 중심 영역 쪽으로 상처 삼출물의 흐름을 안내하여, 누공 (122)의 정중선 쪽으로의 조직의 견인을 부가할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 (601)은 본원에 기술된 흡수성 드레싱에 대한 다양한 구현예들, 예를 들어, 흡수성 드레싱 (101, 501a, 501b, 501c)의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을 구비할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 (601)은, 또한, 사전-형성된 유로 (flow path) (614)를 통해 우선적으로 상처 삼출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소구경으로 된 스캐폴드 (615)를 관통하는 대구경 포어로 된 사전-형성된 유로 (61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전-형성된 유로 (614)는 스캐폴드 (615)의 포어 크기(들)와는 다른 직경을 가진 포어 (예, 스캐폴드의 포어 크기 보다 큰 포어)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중공 경로, 예를 들어 수성 드레싱 (601)의 상처 기저부 (120)에 가장 가까운 쪽에서부터 상처 기저부 (120)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반대쪽까지 이어지는 중공 통로 (hollow pathway)를 포함할 수 있다. 사전-형성된 유로 (614)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가 큰 모래시계 (top heavy hourglass) 형상과 같은 모래시계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사전-형성된 유로 (614)는 대칭적인 또는 하부가 큰 모래시계형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모래시계형 형상은, 흡수성 드레싱 (601)의 수평 방향의 단면에서, 단면이 취해진 모래시계형 형상의 높이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원으로서 사전-형성된 유로 (614)를 관찰할 수 있는, 3차원 구조일 수 있다. 추가적인 구현예들에서, 사전-형성된 유로 (614)는 원뿔-형상 (cone-shape)일 수 있으며, 이때 원뿔-형상의 큰 개구부가 누공 (122)과 대면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이런 원뿔-형상의 작은 개구부 또는 꼭대기 (apex)는 상부에 위치되는 진공 펌프 (134)와 마주볼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2 이상의 진공 펌프 (134), 예를 들어 진공 펌프 (134) 2 - 5개가 사전-형성된 유로 (614)의 상단부 (616)에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전-형성된 유로 (614)의 상단부 (upper end) (616)의 상부에, 순환성 음압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공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사전-형성된 유로 (614)의 하단부 (617)는, 진공 펌프 (134)의 음압이 체액의 흐름을 인가하고, 누공 (122)의 에지 (626)를 안쪽으로 향하게 안내하여 누공 (122)의 봉합을 돕도록, 누공 (122)의 에지들 (62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하기 전에, 사전-형성된 유로 (614)의 하단부 (617)가 누공 (122)의 에지 (626) 사이에 바르게 장착되도록, 흡수성 드레싱 (601)은 절단될 수 있다.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진공 펌프 (134)에 의해 형성된 음압이 상처 삼출물과 누공 (122)의 에지 (626)를 둘다 위로 끌어당길 수 있으며, 사전-형성된 유로 (614)의 낮은 압력으로 인해, 상처 삼출물과 에지 (626)는 사전-형성된 유로 (614) 쪽으로 끌려가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에지 (626)의 이동 방향성은 누공 (122)을 봉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나아가, 누공 (122)의 에지 (626)들이 서로 가까워지게 증식됨에 따라, 사전-형성된 유로 (614)의 하단부들이 앞서 사용된 흡수성 드레싱 (601) 보다 서로 근접하게 위치된, 추가적인 흡수성 드레싱 (601) 구현예가, 누공 (122)의 에지 (626)들이 진공 펌프 (134)를 사용하는 동안 여전히 안쪽으로 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안쪽으로 끌어당기는 견인력을 형성하기 위해, 사전-형성된 유로에 대해 이러한 과정을, 누공이 닫히거나 또는 누공의 에지들이 서로 가까이 모일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사용시, 사전-형성된 유로 (614)를 포함하는 흡수성 드레싱 (601)을 평활근 누공 (122) 등의 상처 기저부 (120)에 적용할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 (601)은, 사전-형성된 유로 (614)의 하단부 (617)가 누공 (122)의 에지 (626)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놓일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 (601) 위에 밀폐용 물질 (130)을 적용하여, 상처 기저부 (120)의 에지 (125)들을 모두 덮을 수 있다. 의료인은 밀폐용 물질이 피부 (124)에 부착되어, 상처 기저부 (120)에 대한 기밀 밀봉이 형성될 때까지, 밀폐용 물질 (130)에 대해 압박을 가할 수 있다. 어댑터 (131)가 음압 소스, 예를 들어 진공 펌프 (134)에 연결될 수 있다. 어댑터 (131)에 연결하기 위해, 진공 펌프 (134)를 진공관 연결기 (132) 및 진공관 (133)과 조립할 수 있다. 그러나, 진공 펌프 (134), 진공관 연결기 (132), 진공관 (133) 및 어댑터 (131)로 구성된 세트 2개 이상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할 수 있다. 어댑터 (131)는 음압이 진공 펌프 (134)에서 흡수성 드레싱 (601)으로 인가되도록, 밀폐용 물질 (130)내 액세서 포인트에 연결될 수도 있다. 진공 펌프 (134)를 2개 이상 사용하는 경우, 각 진공 펌프 (134)와 조합되는 각 어댑터 (131)는 밀폐용 물질 (130)에 각각의 액세서 포인트를 가질 수 있다. 진공 펌프 (134)를 가동하면, 음압이 흡수성 드레싱 (134)에 인가될 수 있으며, 이로써 흡수성 드레싱 (601)과 상처 기저부 (120)로부터 상처 삼출물이 배액될 수 있다.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진공 펌프 또는 진공 펌프들 (134)에 의해 형성되는 음압은 누공 (122)의 에지 (626)와 상처 삼출물 둘다를 윗쪽으로, 사전-형성된 유로 (614) 쪽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다른 구현예는, 도 7A -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액이 흐르는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압력 구배 (pressure gradient) 및/또는 물리적 장벽을 형성하는 구조적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피처들은 생체적합성 물질 등의 플라스틱, 금속 또는 기타 물질로 구성된 장벽 (77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장벽 (770)은 흡수층 (701)내에 통합될 수 있고 조직과 직접 접촉되지 않으므로, 생체적합하지 않은 물질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 (701)은 본원에 기술된 흡수성 드레싱에 대한 다양한 구현예들, 예를 들어, 흡수성 드레싱 (101, 501a, 501b 및 501c)의 물성 및 화학적 특성을 구비할 수 있다.
장벽 (770)은 비행기 날개 형태와 같이 날개형 형상 (wing-like)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벽 (770)은, 장벽 (770)의 전연부 (772)와 후연부 (773)를 연결하는 시위선 (771)을 따라 비대칭적이어서, 장벽 (770)의 내측 (774)이 장벽 (770)의 외측 (775)의 두께인 t2 보다 두꺼운 두께 t1을 가지는, 챔버를 형성할 수 있다. 내측 (774)은 누공 (122) 상위의 흡수성 드레싱 (701)의 중심 영역 방향으로 놓이고, 외측 (775)은 누공 (122) 위쪽의 흡수성 드레싱 (701)의 중심 영역과 반대 방향으로 놓인다. 전연부 (77)는 또한 누공 (122)으로부터 체액이 흐르는 방향 (776)에 대해 받음각 (angle of attack) α을 가질 수 있다.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장벽 (770)의 날개형 형상과 받음각 α는 베르누이 원리를 적용해, 장벽 (770)의 내측 (774)들 사이의 압력이 장벽 (770)의 외측 (77)을 둘러싼 압력 보다 낮은, 압력 구배를 형성시킬 것으로 보인다. 진공 펌프 (134)로부터 음압이 인가되면, 누공 (122)의 에지 (626)와 더불어, 누공 (122)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상처 삼출물이 내측 (774)들 사이의 압력인 낮은 영역 쪽으로 안내되어, 누공의 개구부는 축소되고, 상처 봉합에 도움이 될 것이다.
장벽 (770)은 일체형 구조 (single piece structure) 또는 다중 조각 구조 (multiple piece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벽 (770)은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싱글 및/또는 모놀리식 (monolithic) 도넛-형상의 구조일 수 있거나, 또는 장벽 (770)은 누공 (122) 상위 영역을 둘러싼 원 모양으로 정렬된 복수의 중첩되는 날개들일 수 있다. 추가적인 구현예들에서, 장벽 (770)들은 크기가 다양할 수 있다.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장벽 (770)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예를 들어, 장벽 (770)의 원 둘레를 따라 소형에서 대형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체액이 흐르는 방향성을 조절할 수 있다.
장벽 (770)은 전연부 (772)에서 후연부 (773)까지 약 5 mm - 약 40 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장벽 (770)은 전연부 (772)에서 후연부 (773)까지 약 10 mm - 약 30 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장벽 (770)은, 내측 (774)의 두께 t1과 외측 (775)의 두께 t2를 포함하여, 약 1 mm - 약 10 mm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장벽 (770)은, 내측 (774)의 두께 t1과 외측 (775)의 두께 t2를 포함하여, 약 1 mm - 약 3 mm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사용시, 장벽 (770)을 포함하는 흡수성 드레싱 (701)을 평활근 누공 (122) 등의 상처 기저부 (120)에 적용할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 (701)은, 장벽 (770)의 전연부 (772)가 누공 (122)의 에지 (626) 윗쪽 또는 그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 (701) 위에는, 상처 기저부 (120)의 에지 (125)를 완전히 덮도록, 밀폐용 물질 (130)이 적용될 수 있다. 의료인은 밀폐용 물질이 피부 (124)에 접착되어, 상처 기저부 (120)에 대해 기밀 밀봉이 형성될 때까지, 밀폐용 물질 (130)에 대해 압박을 가할 수 있다. 어댑터 (131)가 음압 소스, 예를 들어 진공 펌프 (134)에 연결될 수 있다. 어댑터 (131)에 연결하기 위해, 진공 펌프 (134)를 진공관 연결기 (132) 및 진공관 (133)과 조립할 수 있다. 어댑터 (131)는, 음압이 진공 펌프 (134)에서 흡수성 드레싱 (601)으로 인가되기 위해, 밀폐용 물질 (130)내 액세서 포인트에 연결될 수도 있다. 진공 펌프 (134)를 가동하면, 음압이 흡수성 드레싱 (134)에 인가될 수 있으며, 이로써 흡수성 드레싱 (601)과 상처 기저부 (120)로부터 상처 삼출물의 배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진공 펌프 (134)에 의해 형성되는 음압은 누공 (122)의 에지 (626)와 상처 삼출물 둘다를 윗쪽으로, 장벽 (770)의 내측들 (774) 사이 영역 쪽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다른 구현예는, 도 8A -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팅 (lifting)을 촉진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처 기저부 (120)내 조직을 부드럽게 비틀 수 있는, 상처 기저부 (120)으로부터 상처 삼출물을 상방 나선형 (upward and spiral) 패턴으로 배액시키기 위한 적절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구조적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처 삼출물이 디바이스를 통해 배액되는 중의 조직의 리프팅 및 비틀기 동작은, 상처 에지들이 상처 기저부 (120)의 정중선 쪽으로 당겨지도록 추가로 촉진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상처의 봉합을 촉진할 수 있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적 피처는, 흡수성 드레싱 (801)에 통합될 수 있는 방사형 하우징 (radial housing)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 (801)은 본원에 기술된 흡수성 드레싱에 대한 다양한 구현예들, 예를 들어, 흡수성 드레싱 (101, 501a, 501b 및 501c)의 물성 및 화학적 특성을 구비할 수 있다. 방사형 하우징 (880)은, 방사형 하우징 (880)의 중심 축 C가 누공 (122)의 중심부 위에 배치되게, 둘 수 있다. 방사형 하우징 (880)은 실질적으로 모래시계 형상의 중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방사형 하우징 (880)은 하나 이상의 나선형으로 감긴 관을 포함하여, 원뿔-형상의 구조의 큰 개구부가 누공 (122)과 마주보는 원뿔-형상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방사형 하우징 (880)은, 그 형태와 구조로 인해, 적절한 압력에서 방사형 하우징 (880) 안에서 유체의 흐름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체는 기체, 액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는 여과된 공기 및/또는 생리식염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공기 압축기에 의해, 또는 방사형 하우징 (88)의 중심부 (886)를 통해 이동하는 상처 삼출물이 진공 압력에 의해 수송관 (885)을 통해 기체를 끌어들이는 트위스트형 벤츄리 효과 (twisted Venturi effect)를 구축함으로써, 압력 하에 수송관 (885)을 통해 유체가 방사형 하우징 (880)으로 수송될 수 있다. 방사형 하우징 (880)은 인접 수송관 (885)로부터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방사형 튜브 (radial tubing) (88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방사형 하우징 (880)으로 수송된 유체는 주입구 (887)들을 통해 방사형 튜브 (881)로부터 방사형 하우징 (880)의 중심부 (886)로 수송될 수 있다. 중심부 (886)는 방사형 하우징 (880)의 방사형 튜브 (881)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주입구 (887)들은, 상처 체액의 회전과 상승력 (upward force)을 촉진시키고, 그로 인한 조직의 토로이드형 비틀림 (toroidal twist)을 강화하기 위해, 방사형 하우징 (880)의 길이 및/또는 높이에 따라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구 (887)는 하부 개구부 (882)에서는 크고, 흐름 감소 구역 (883)에서는 작아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주입구 (887)는 하부 개구부 (882)에서 작아지고, 흐름 감소 구역 (883)에서 커질 수 있다. 아울러, 주입구 (887)의 벽부 (888)들은 유체의 흐르을 안내하도록 각을 이루고 있을 수 있다. 주입구 (887)의 벽부 (888)들은, 유체가 중심부 (886)의 가운데로 안내되도록 각을 이루고 있을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방사형 하우징 (880)은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일의 연속 방사형 튜브 (881)를 포함하거나, 또는 북소개가 함께 연결된 방사형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형 튜브 (881)은 가요성의 생체적합성 및/또는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형 튜브 (881)는, 방사형 튜브 (881)의 각 층이 인접 층에 대해 가요성이거나 및/또는 환자의 보행에 대비하기 위해 상처 기저부 (120)와의 접촉시 유연할 수 있는, 폴리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방사형 튜브 (881)의 각 층은 방사형 튜브 (881)가 순차적으로 올라감에 따라 오프셋 되어, 모래시계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즉, 방사형 하우징 (880)은, 각각 서로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는, 3개 이상의 혼성 구역 (blended zon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혼성 구역은 적어도 하부 개구부 (882), 상부 개구부 (superior opening) (884) 및 흐름 감소 구역 (88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상처 삼출물은 하부 개구부 (882)를 통해 (평활근 누공 (122) 등의) 상처 기저부 (120)로부터 방사형 하우징 (880)의 중심부 (886)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부 개구부 (884)를 통해 진공 펌프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구현예들에서, 방사형 하우징 (880)은, 하부 개구부 (882) 또는 상부 개구부 (884) 중 어느 것이라도 유체 유입구 또는 유출구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대칭적일 수 있다. 즉, 방사형 하우징 (880)의 어느 한쪽 단부가 상처 기저부 (120)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형 하우징 (880)에서 아래쪽으로 향하여 상처 기저부 (120)와 접하는 쪽이 하부 개구부 (882)로 작용할 수 있으며, 위쪽으로 진공관 (133)을 포함한 진공 소스를 향하는 쪽이 상부 개구부 (884)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수송관 (885)은,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밸브, 예를 들어, 버터플라이 밸브 또는 기능 및/또는 구조 면에서 회전문과 비슷한 밸브와 같은, 원-웨이 밸브 (one-way valve)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방사형 하우징 (880)은 진공 펌프 (134)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진공관 (133) 또는 진공 펌프 (134)로 상처 삼출물이 흘러넘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송관 (885)에 원-웨이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 구현예들에서, 주입구 (887)의 벽부 (888)는, 유체가 흐름 감소 구역 (883)의 센터로 안내되도록, 각을 이루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하부 개구부 (882)에 가장 가까운 주입구 (887)의 경우에는, 주입구 (887)는, 방사형 하우징 (880)의 중심축 C 쪽으로 유체를 밀어내고, 결과적으로 누공 (122)의 에지 (626)들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기 위해, 방사형 하우징 (880)의 중심축 C에 대해 직각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입구 (887)의 벽부 (888)는 원주 방향 (circumferential direction)으로 각을 이루고 있을 수 있다.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주입구 (887)를 원주 방향으로 각을 이루게 배치함으로써, 유체는 방사형 하우징을 따라 상방으로 나선형 패턴으로 회전을 하게 될 것이며, 이로써 유체 및 누공 (122)의 에지 (626)들이 토로이드형으로 트위스트되고, 이는 누공 (122)의 봉합을 촉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방사형 하우징 (880)은 진공 펌프 (134)에 의해 제공되는 음압 하에 압축될 수 있는 가요성의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할 수있다. 예를 들어, 방사형 하우징 (880)은, 당 결정 및/또는 장의 크롬 폴리머 (chromic gut polymer) 등의 용해될 수 있는 조성물로 제작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부 개구부 (882)를 통해 유입되는 상처 삼출물과 상호작용하도록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방사형 하우징 (880)의 내측에 도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첨가제는, 상처 삼출물이 방사형 하우징 (880)을 통해 이동함에 따라, 상처 삼출물의 부착성 또는 점착성 (cohesion) 중 하나 이상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상처 삼출물의 토로이드형 트위스트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첨가제는, 누공 (112)의 특징에 따라 정해지는 요구에 따라, 방사형 하우징 (880)의 용해 속도를 높이거나 늦추기 위해 첨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당 결정으로 이루어진 방사형 하우징 (880)의 경우, 방사형 하우징 (880)의 용해가 상처 치유 속도와 상관되도록, 용해 속도를 늦추기 위해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방사형 튜브 (881)는 흐름 감소 구역 (883)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아질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방사형 튜브 (881)의 직경은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또는 흐름 감소 구역 (883) 방향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방사형 튜브 (881)은 약 0.5 mm 내지 약 5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주입구 (887)는 둥근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약 0.1 mm - 약 0.7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주입구 (887)는 원형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다른 기하학적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방사형 하우징은 하우 개구부 (882)가 누공 (122)을 완전히 둘러싸기에 충분한 크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위 누공의 경우, 방사형 하우징은 하부 개구부에 누공 주변 위벽을 비롯하여 누공 (122)을 완전히 둘러싸기에 충분한 크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형 하우징 (880)은 약 10 mm - 약 40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방사형 하우징 (880)은 약 15 mm - 약 25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인 구현예들에서, 방사형 하우징 (880)의 방사형 튜브 (881)는 하나의 모래시계 형상의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형 튜브 (881)는 수송관 (885)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수용하는 이중벽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체가 중심부 (886)로 들어갈 수 있도록 이중벽 구조의 내측 판 (inner pane)에 주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수송관 (885)은 방사형 하우징 (880)의 한쪽편에서는 단일 관이거나, 또는 예를 들어 도 8C -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형 하우징 (880)의 다른 한쪽에서는 복수개의 관일 수 있다. 수송관 (885)은 방사형 하우징 (880)의 주위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 이상의 관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방사형 하우징 (880)은 방사형 하우징 (880)을 둘러싸는 이중벽의 실린더형의 중공 구조일 수 있으며, 하부 개구부 (882)에서 방사형 하우징 (880)의 전체 원주를 따라 유체를 수송할 수 있다. 수송관 (885)은 방사형 하우징 (880)의 방사형 튜브 (881)와 유사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송관 (885)는 약 0.5 mm 내지 약 5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사용시, 방사형 하우징 (880)을 포함하는 흡수성 드레싱 (801)을, 평활근 누공 (122) 등의 상처 기저부 (120)에 적용할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 (801)은, 방사형 하우징 (880)의 하부 개구부 (882)가 누공 (122)를 둘러싸도록 놓일 수 있다. 상처 기저부 (120)의 에지 (125)가 완전히 덮히도록, 흡수성 드레싱 (601) 위에 밀폐용 물질 (130)을 적층할 수 있다. 의료인은 밀폐용 물질이 피부 (124)에 부착되어, 상처 기저부 (120)에 대해 기밀 밀봉이 형성될 때까지, 밀폐용 물질 (130)에 대해 압박을 가할 수 있다. 어댑터 (131)가 음압 소스, 예를 들어 진공 펌프 (134)에 연결될 수 있다. 어댑터 (131)에 연결하기 위해, 진공 펌프 (134)를 진공관 연결기 (132) 및 진공관 (133)과 조립할 수 있다. 어댑터 (131)는, 음압이 진공 펌프 (134)에서 흡수성 드레싱 (601)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밀폐용 물질 (130)내 액세서 포인트에 연결될 수도 있다. 진공 펌프 (134)를 가동시키면, 음압이 흡수성 드레싱 (801)에 인가될 수 있으며, 이로써 흡수성 드레싱 (801)과 상처 기저부 (120)로부터 상처 삼출물을 배액할 수 있다. 이론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진공 펌프 (134)에 의해 형성되는 음압은 누공 (122)의 에지 (626)와 상처 삼출물 둘다를 상방으로, 중심부 (886) 쪽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음압 치료 시스템 (900)은 흡수성 드레싱 (101)과 상처 기저부 (120) 사이에 상처 기저부 계면층 (9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계면층 (902)은 전술한 흡수성 드레싱에 대한 구현예들 (101, 501a, 501b, 501c, 601, 701, 801) 중 임의의 구현예에 사용될 수 있다. 상처 기저부 계면층 (902)은 생조직 및/또는 상처에서 발생되는 상처 삼출물에 대해 친화성을 가진 치료층일 수 있다. 계면층 (902)은, 계면층 (02)과 상처 기저부 (120)의 계면에서 상처 기저부 (120)내 조직과, 화학 결합 및/또는 인력과 같은 화학적 상호작용을 형성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계면층 (902)은, 화학적 상호작용이 효과적으로 상처 기저부 (120)의 봉합을 촉진하는, "화학적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상처 기저부 (120)의 봉합은 상처 기저부 (120)으로부터 상처 삼출물의 배출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종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처 기저부 (120)가 평활근 누공 (122)와 같이 장 누공인 경우, 상처 기저부 (120)로부터 장 물질의 유출을 느리게 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화학적 밀봉으로 인해 종료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계면층 (902)은 상처 기저부 (120)에서 음압의 표준화 (normalization)를 제공할 수 있다. 밀폐용 물질 (130)에서의 진공 압의 소스와 상처 기저부 (120)에 접촉하는 흡수성 드레싱 (101)의 바닥부 또는 계면층 (902) 사이의 흡수성 드레싱 (101) 전역에 대한 음압의 수직적인 분포는 흡수성 드레싱 (101)의 두께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흡수성 드레싱 (101)과 상처 기저부 (120) 사이에 계면층 (902)을 적용하면, 상처 기저부 (120)에 균등한 음압 층을 구축함으로써, 상처 기저부 (120)로부터의 삼출물의 유체 관리를 개선할 수 있다. 계면층 (902)에 의해 제공되는 균등한 압력은, 상처의 내벽이 두꺼워질 수 있으며 봉합이 어려울 수 있는, 위의 상처와 같은 상처 봉합이 곤란한 봉합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계면층 (902)은 상처 기저부 (120)의 평활근 누공 (122) 위에 놓일 수 있다. 그런 후, 계면층 (902) 위에 흡수성 드레싱 (101)을 배치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계면층 (902)은 적어도 일부가 흡수성 드레싱 (101)과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계면층 (902)은 에스테르-계 물질, 예를 들어, 흡수성 드레싱 (101)에 대해 전술한 물성과 화학적 특성을 가진 에스테르-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계면층 (902)은 생흡수성 물질 (bio-absorbable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생-흡수성 물질은 평활근 누공 (122)의 조직에 대해 친화성을 가질 수 있는 친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에에서, 생-흡수성 물질은 흡수성의 외과용 플레인 장 봉합사 (plain gut suture)와 같은 봉합사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인 장 봉합사는 정제된 결합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래 물질에 대한 신체 반응의 일부로서 효소적 분해에 의해 수일이내에 체내로 흡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생-흡수성 물질은 플레인 장 봉합사 보다 훨씬 느리게 용해되는, 크로믹 장 봉합사 (chromic gut sutures) 또는 Vicryl™ 와 같은, 장기 지속형 흡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에스테르-계 물질 및/또는 생-흡수성 물질은 평활근 누공 (122)으로부터 조직 내증식 (ingrowth)에 저항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계면층 (902)은 소수성의 비-흡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수성 물질은 Adaptic®과 같은 페트롤륨 에멀젼 또는 Mepitel®과 같은 실리콘 상처 드레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소수성 물질 역시 평활근 누공 (122)의 조직 내증식에 저항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계면층 (902)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얇은 시트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그 두께는 약 100 ㎛와 같이, 거의 인쇄 용지 시트의 두께일 수 있다. 계면층 (902)는 상처 기저부 (120)에 의해 발생되는 상처 삼출물이 계면층 (902)을 통과하여 흡수성 드레싱 (101)내로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포어를 포함할 수 있다. 포어의 직경은, 약 1 ㎛ - 약 20 ㎛와 같이, 평활근 세포의 너비/직경과 비슷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계면 (902)은 단일 층의 포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계면층 (902)은, 각 층이 각 층내에서는 실질적으로 균등한 포어 크기 및/또는 포어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지만, 인접 층 또는 층들과는 상이한 포어 크기 및/또는 포어의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는, 2층 이상의 포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면층 (902)은 전술한 흡수성 드레싱 (501a, 501b 및 501c 및 도 5A-5C)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은 층 구조 및/또는 포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면층 (902)은, 도 5A-5B와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대구경 포어 층과 소구경 포어 층이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의 교대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소구경 포어는 약 1 ㎛ - 약 10 ㎛일 수 있으며, 대구경 포어는 약 10 ㎛ - 약 20 ㎛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계면층 (902)은 도 5C를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2개의 소구경 포어 층 사이에 끼인 대구경 포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의료진이 사용하기에 편리하게 리버서블 계면층 (902)을 제공해준다. 또한, 계면층 (902)은 상기 도 5C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대구경 포어 사이에 소구경 포어가 분산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구현예의 계면층 (902)은 계면층 (902)을 통해 흐르는 상처 삼출물의 체적 및/또는 속도를 줄이기 위해, 제한된 망상 구조의 포어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층 (902)이 다층 구조인 구현예에서, 계면층 (902)를 구성하는 층 전체의 총 너비는 약 100 ㎛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계면층 (902)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얇은 필름 또는 시트일 수 있다.
사용시, 계면층 (902)는, 전술한 흡수성 드레싱에 대한 임의의 구현예 (101, 501a, 501b, 501c, 601, 701 및 801)를 적용하기 전에, 평활근 누공 (122)을 비롯한 상처 기저부 (120)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크론 질환으로 진단받은 여성 환자는 담도 정션 (biliary junction)에 장피 누공이 3개 발생하여 입원하였다. 다양한 기존 치료법들이 시도되었지만, 누공은 계속되었고, 매일 1000 - 2000 ml의 체액 배출 속도를 나타내었다. 이 환자는 신체 스스로 누공을 치유할 수 없다는 소견을 전달받았으며, 종료가 선언되었다. 이 환자는, 에스테르-계 폼을 누공에 직접 배치하는 시험 시술에 동의하였다. 에스테르-계 폼은, Kinetic Concepts, Inc. 사로부터 상품명 V.A.C. VeraFlo Cleanse™ Dressing으로 판매되는, 포어 크기 133-600 ㎛의 망상 구조의 폴리우레탄 에스테르 폼으로 구성되었으며, 포어의 크기는 폼의 길이가 축융 방향 (즉, 두께)의 길이 보다 더 긴 형태였다. 폼은 누공 바로 위에 배치하였으며, 에스테르-계 폼의 폭을 누공과 직각이 되게 하고, 에스테르-계 폼의 평평한 표면이 누공과 직접 접촉하게 하였으며,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밀폐용 물질로 덮고, 진공관을 통해 진공 펌프를 연결시켰다. 제1 진공 펌프에 의해 수집되지 않는 삼출된 배액을 수집하기 위해, 누공으로부터 상처의 맞은편 단부에 제2 진공관과 펌프를 위치시켰다. 에스테르-계 폼은 3일마다 교체하였다. 시험 시술한지 약 12시간 이내에, 배액이 약 500 ml/day로까지 감소되었다. 그 이후에는, 배액이 약 200 ml/day로 감소하였다. 또한, 상처의 전반적인 색, 질감 및 냄새도 3일 이내에 개선되었다. 상처 기저부의 조직은 노란색이 도는 느슨하게 덮힌 조직에서 적색의 튼튼한 육아 조직으로 개선되었다. 또한, 배액 감소와 유사하게, 상처 부위에서의 담즙의 냄새도 시험 시술 첫 3일 이내에 물론 줄어들었다.
전술한 설명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구현예를 들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제한적이기 보다는 예시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이러한 수정들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주로 구체적인 예들에 의한 것이기 보다는 기술된 전체 구현예들과 이의 법적 등가물에 의해 규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방법 또는 공정 구현예에 언급된 단계들은 모든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제시된 명시적인 순서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임의의 시스템 구현예에 언급된 구성 성분 및/또는 요소는 본 발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순열 조합이 가능하며, 따라서 구체적인 예에 언급된 특정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소정의 구현예들이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임의의 다른 유체를 도입하지 않고 삼출물을 배출시키는 것을 기술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현예들은 삼출물의 바람직한 흐름을 더욱 촉진하여 치유를 촉구하기 위해, 공기, 물, 생리식염수 또는 기타 용액 또는 유체 등의 운반 유체를 상처내로 도입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문제점들에 대한 이점, 기타 장점 및 해법들이 구체적인 구현예들을 들어 상기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어떤 특정한 이점, 장점 또는 해결의 구현 또는 강화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 또는 임의 요소에 대한 모든 이점, 장점, 해법은 결정적인, 필수 또는 필연적인 특징 또는 구성 성분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전술한 구조, 정렬, 용도, 비율, 요소, 물질 또는 구성 성분에 대한 다른 조합 및/또는 변형은, 구체적으로 언급된 것 외에도, 동일한 일반 원칙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달라질 수 있거나, 또는 특히 특정 환경, 제조 사양 (manufacturing specificatio), 디자인 파라미터 또는 그외 작동 요건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구현예들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상기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이들 구현예에 대한 변경 및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수정 또는 변경, 및 그외 수정 또는 변경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1)

  1. 평활근 누공을 포함한 상처 기저부에 계면층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계면층은 0.1 ㎛ - 50 ㎛ 직경의 포어를 갖는 에스테르-계 필름을 포함하는 계면층인, 단계;
    직경이 0.1 ㎛ - 80 ㎛인 포어를 가지는 에스테르-계 폼을 포함하는 흡수성 드레싱을 상기 계면층 위에 적용하여, 계면층이 흡수성 드레싱과 상처 기저부 사이에 배치되는 단계; 및
    상기 흡수성 드레싱에 음압(negative pressure)을 인가하여, 상기 상처 기저부로부터 상처 삼출물(wound fluid)을 배액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질적인 세포 파괴 또는 손상을 야기하지 않는, 인간을 제외한 개체의, 평활근 누공(smooth muscle fistula)을 포함한 상처 기저부(wound bed)의 치료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드레싱 위에 밀폐용 물질(occlusive material)을 적용하여, 상기 상처 기저부에 밀봉(seal)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드레싱이 상기 에스테르-계 폼내에 제2 구조적 피처를 포함하며,
    상기 상처 기저부로부터 배액되는 상기 상처 삼출물에 흐름 패턴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폼이, 제1 층이 제2 층의 평균 포어 크기보다 큰 평균 포어 크기를 가지는,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폼이 0.1 ㎛ - 50 ㎛ 직경의 포어를 갖는, 방법.
  6. 상처 기저부에 배치되고, 음압 환경에서 실질적인 세포 파괴 또는 손상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평활근과 접촉하는 에스테르-계 폼을 포함하는 흡수성 드레싱으로서, 상기 에스테르-계 폼은 직경이 0.1 ㎛ - 50 ㎛인 포어를 포함하는 제1 구조적 피처 및 상처 기저부로부터 상처 삼출물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제2 구조적 피처를 포함하는, 흡수성 드레싱;
    상기 흡수성 드레싱에 음압을 인가하여, 상기 상처 기저부로부터 상처 삼출물을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는, 진공 펌프; 및
    흡수성 드레싱과 상처 기저부 사이에 배치되는 계면층으로서, 0.1 ㎛ - 50 ㎛ 직경의 포어를 갖는 에스테르-계 필름을 포함하는 계면층
    을 포함하는, 평활근 누공을 포함한 상처 기저부를 치료하기 위한 음압 치료 장치.
  7. 삭제
  8. 삭제
  9. 평활근 누공을 포함한 상처 기저부를 치료하기 위한 음압 치료 장치로서,
    에스테르-계 폼을 포함하는 흡수성 드레싱;
    상기 흡수성 드레싱에 인접한 계면층으로서, 0.1 ㎛ - 50 ㎛ 직경의 포어를 갖는 에스테르-계 필름을 포함하는 계면층; 및
    상기 흡수성 드레싱에 음압을 인가하여, 상기 상처 기저부로부터 상처 삼출물을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는 진공 펌프
    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성 드레싱은 상처 기저부에 배치되고,
    상기 계면층은 음압 환경에서 실질적인 세포 파괴 또는 손상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평활근과 접촉하며,
    상기 에스테르-계 폼은 직경이 0.1 ㎛ - 50 ㎛인 포어를 포함하는 제1 구조적 피처 및 상처 기저부로부터 상처 삼출물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제2 구조적 피처를 포함하는,
    음압 치료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67025552A 2014-02-14 2015-02-13 상처 치료용 시스템 및 방법 KR102304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40245P 2014-02-14 2014-02-14
US61/940,245 2014-02-14
PCT/US2015/015968 WO2015123609A1 (en) 2014-02-14 2015-02-13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heal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719A KR20160147719A (ko) 2016-12-23
KR102304753B1 true KR102304753B1 (ko) 2021-09-23

Family

ID=53800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552A KR102304753B1 (ko) 2014-02-14 2015-02-13 상처 치료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10485707B2 (ko)
EP (1) EP3104817B1 (ko)
JP (3) JP6947506B2 (ko)
KR (1) KR102304753B1 (ko)
CN (2) CN116966354A (ko)
AU (1) AU2015218302B2 (ko)
BR (1) BR112016018549B1 (ko)
CA (1) CA2939338C (ko)
ES (1) ES2966671T3 (ko)
IL (1) IL247211A0 (ko)
MX (1) MX2016010532A (ko)
RU (1) RU2710345C2 (ko)
WO (1) WO20151236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08376D0 (en) 2008-05-08 2008-06-18 Bristol Myers Squibb Co Wound dressing
GB0817796D0 (en) 2008-09-29 2008-11-05 Convatec Inc wound dressing
GB201020236D0 (en) 2010-11-30 2011-01-12 Convatec Technologies Inc A composition for detecting biofilms on viable tissues
ES2748519T3 (es) 2010-12-08 2020-03-17 Convatec Technologies Inc Accesorio de sistema de exudado de heridas
JP5965409B2 (ja) 2010-12-08 2016-08-03 コンバテック・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onvatec Technologies Inc 創傷滲出液を評価するための統合システム
CA2838058C (en) 2011-06-07 2019-06-18 Smith & Nephew Plc Wound contacting members and methods
GB201115182D0 (en) 2011-09-02 2011-10-19 Trio Healthcare Ltd Skin contact material
GB2497406A (en) 2011-11-29 2013-06-12 Webtec Converting Llc Dressing with a perforated binder layer
GB201120693D0 (en) 2011-12-01 2012-01-11 Convatec Technologies Inc Wound dressing for use in vacuum therapy
WO2014096843A2 (en) 2012-12-20 2014-06-26 Convatec Technologies Inc. Processing of chemically modified cellulosic fibres
US11071653B2 (en) 2015-05-18 2021-07-27 Smith & Nephew Plc Heat-assisted pumping systems for use i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KR101763493B1 (ko) 2015-12-28 2017-08-0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공 복강경 수술창상용 드레싱키트
BR112018070244A2 (pt) 2016-03-30 2019-01-29 Synovo Gmbh detecção de infecção microbiana em feridas
MX2018011801A (es) 2016-03-30 2019-12-16 Convatec Technologies Inc Deteccion de infecciones microbianas en heridas.
TW201805036A (zh) 2016-07-08 2018-02-16 美商康瓦鐵克科技股份有限公司 流體收集裝置
EP3871645B1 (en) 2016-07-08 2022-05-04 ConvaTec Technologies Inc. Flexible negative pressure system
MX2019000232A (es) 2016-07-08 2019-11-12 Convatec Technologies Inc Deteccion de flujo de fluidos.
US11452809B2 (en) * 2017-04-04 2022-09-27 Kcl Licensing,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a tissue site with negative pressure and oxygen
US20190201595A1 (en) * 2017-12-28 2019-07-04 Deroyal Industries, Inc.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
US11771819B2 (en) 2019-12-27 2023-10-03 Convatec Limited Low profile filter devices suitable for use i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s
US11331221B2 (en) 2019-12-27 2022-05-17 Convatec Limited Negative pressure wound dressing
JP7247151B2 (ja) 2020-09-18 2023-03-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選択装置、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5730A (ja) 2000-05-09 2011-06-30 Kci Licensing Inc 創傷閉鎖具及び創傷包帯
JP2013517097A (ja) * 2010-01-20 2013-05-16 ケーシーアイ ライセンシング インク 高密度領域と低密度領域を有するフォーム創傷インサート、創傷ドレッシング、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8855A (en) * 1975-01-17 1976-09-07 Ionics Lyo Products Company Polyurethane foam surgical dressing
US5636643A (en) * 1991-11-14 1997-06-10 Wake Forest University Wound treatment employing reduced pressure
US8801681B2 (en) * 1995-09-05 2014-08-12 Argentum Medical, Llc Medical device
US7041868B2 (en) * 2000-12-29 2006-05-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oabsorbable wound dressing
US7070584B2 (en) 2001-02-20 2006-07-04 Kci Licensing, Inc. Biocompatible wound dressing
US7700819B2 (en) 2001-02-16 2010-04-20 Kci Licensing, Inc. Biocompatible wound dressing
JP4879404B2 (ja) * 2001-03-21 2012-02-22 エシコ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組織の修復または再生のための多孔質組織骨格形成材料
ATE387919T1 (de) * 2001-12-26 2008-03-15 Hill Rom Services Inc Vakuumbindenverpackung
KR100550807B1 (ko) 2002-10-29 2006-02-09 주식회사 바이오폴 충전형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GB0518804D0 (en) 2005-09-15 2005-10-26 Smith & Nephew Exudialysis tissue cleanser
KR100631108B1 (ko) * 2004-01-07 2006-10-09 주식회사 바이오폴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US20070027414A1 (en) * 2005-07-28 2007-02-01 Integra Lifesciences Corporation Laminar construction negative pressure wound dressing including bioabsorbable material
ATE494914T1 (de) * 2006-11-07 2011-01-15 Hartmann Paul Ag Mehrschichtige, absorbierende wundauflage mit einer hydrophilen wundkontaktschicht
GB0707758D0 (en) 2007-04-21 2007-05-30 Smith & Nephew A foam material for medical us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090177133A1 (en) * 2008-01-04 2009-07-09 Kristine Kieswetter Reduced pressure dressing coated with biomolecules
US9782300B2 (en) * 2008-02-01 2017-10-10 Kci Licensing, Inc. Fiber-microsphere bioresorbable composite scaffold for wound healing
JP5118213B2 (ja) 2008-03-05 2013-01-16 ケーシーアイ ライセンシ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被覆材および組織部位に減圧をかけ、組織部位から液体を捕集および収容するための方法
AU2009270900B2 (en) * 2008-07-18 2015-03-26 Wake Forest University Health Sciences Apparatus and method for cardiac tissue modulation by topical application of vacuum to minimize cell death and damage
CN103877627B (zh) 2008-10-29 2017-01-18 凯希特许有限公司 开腔式减压处理设备和系统
AU2009313898B2 (en) * 2008-11-14 2015-03-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id pouch,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fluid from a tissue site
US9358158B2 (en) 2010-03-16 2016-06-07 Kci Licensing, Inc. Patterned neo-epithelialization dressings, systems, and methods
WO2012061838A1 (en) * 2010-11-07 2012-05-10 Shocking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computing device using vsd material, and method for designing same
WO2012087376A1 (en) 2010-12-22 2012-06-28 Smith & Nephew,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EP2572737B1 (en) * 2011-09-26 2016-03-23 BSN Medical GmbH Improved wound dressing
CN103917255B (zh) 2011-11-18 2016-09-28 凯希特许有限公司 具有带压缩区域和扩张区域的多孔基底的组织治疗系统和方法
WO2014209620A1 (en) * 2013-06-28 2014-12-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brin-coated wound dress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5730A (ja) 2000-05-09 2011-06-30 Kci Licensing Inc 創傷閉鎖具及び創傷包帯
JP2013517097A (ja) * 2010-01-20 2013-05-16 ケーシーアイ ライセンシング インク 高密度領域と低密度領域を有するフォーム創傷インサート、創傷ドレッシング、および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Vincent Milleret et al.,"Analysis of Effective Interconnectivity of DegraPol-Foams Designed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Materials,2,292-306(2009)
심홍진 외 2명, '음압상처치료를 이용한 개방성 복부의 치료',Journal of Surgical Critical Care,2(2),62-66(20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46568A1 (en) 2020-02-13
CN106456379A (zh) 2017-02-22
US10485707B2 (en) 2019-11-26
CN116966354A (zh) 2023-10-31
JP2017506570A (ja) 2017-03-09
EP3104817A1 (en) 2016-12-21
KR20160147719A (ko) 2016-12-23
JP6947506B2 (ja) 2021-10-13
RU2710345C2 (ru) 2019-12-25
EP3104817A4 (en) 2017-09-27
JP7449160B2 (ja) 2024-03-13
JP2023021108A (ja) 2023-02-09
EP3104817C0 (en) 2023-10-04
JP2020157073A (ja) 2020-10-01
NZ723205A (en) 2021-09-24
BR112016018549B1 (pt) 2021-12-28
IL247211A0 (en) 2016-09-29
US20170049627A1 (en) 2017-02-23
BR112016018549A2 (pt) 2018-05-02
AU2015218302A1 (en) 2016-09-01
CA2939338A1 (en) 2015-08-20
AU2015218302B2 (en) 2019-11-07
WO2015123609A1 (en) 2015-08-20
US11819385B2 (en) 2023-11-21
RU2016136672A3 (ko) 2018-09-07
EP3104817B1 (en) 2023-10-04
MX2016010532A (es) 2017-01-19
CA2939338C (en) 2021-02-23
ES2966671T3 (es) 2024-04-23
RU2016136672A (ru) 201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753B1 (ko) 상처 치료용 시스템 및 방법
US20210128802A1 (en) Leak-resistant bandage systems and methods with hydrophilic foam wound insert for fluid-instillation and/or negative-pressure wound therapies
JP5611980B2 (ja) 組織のロール型足場
ES2430688T3 (es) Dispositivo médico
US8118791B2 (en) Medical device
JP6076964B2 (ja) 局所陰圧閉鎖療法被覆材
JP5281715B2 (ja) 内部に埋め込まれた電極を有する接続ハイドロゲルビードを組み込む外科用創傷被覆
TW200845948A (en) Biocompatible wound dressing
TW201909939A (zh) 傷口覆蓋裝置及相關使用方法
EP3689305A1 (en) Negative pressure wound dressing and negative pressure wound treatment device
ES2683044T3 (es) Apósitos para heridas conductivos y procedimientos de uso
RU19790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акуумной терап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опеременного отрицательного давления
CN111588919A (zh) 用于创面的给氧负压治疗装置及冲洗液的制备方法
NZ7232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healing
RU2692566C1 (ru) Способ вакуумного дренирования стернотомных ран
GO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IN COMPANION ANIM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