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903B1 - 가공배전선로의 진단보고서 자동작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로의 진단보고서 자동작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903B1
KR102303903B1 KR1020190100051A KR20190100051A KR102303903B1 KR 102303903 B1 KR102303903 B1 KR 102303903B1 KR 1020190100051 A KR1020190100051 A KR 1020190100051A KR 20190100051 A KR20190100051 A KR 20190100051A KR 102303903 B1 KR102303903 B1 KR 102303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port
diagnosis
computerized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520A (ko
Inventor
황국주
Original Assignee
이수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기술(주) filed Critical 이수기술(주)
Priority to KR1020190100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90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단보고서 작성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 중 가공배전선로의 초음파진단에 있어 전주를 포함하는 현장의 기자재들로부터 상기 가공배전선로에 대한 현장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현장정보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전주에 대한 확인정보를 수집하고 추출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수집저장부, 상기 저장된 현장정보를 이용해서 진단리스트를 생성하고,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설정치를 저장하며 상기 기재된 현장정보와 상기 저장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불량보고서의 작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불량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생성부, 상기 생성된 진단리스트 및 상기 생성된 불량보고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확인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추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추출정보를 상기 정보수집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추출정보를 상기 기재된 현장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기재된 현장정보에 대응하는 전주가 진단이 완료된 전주인지를 확인하거나 소관리구 내에 진단할 전주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통보하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로의 진단보고서 자동작성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reation of diagnostic reports on overhead power distribution lines}
본 발명은 진단보고서 작성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주 및 전주 상에 위치하는 전력설비에 대한 진단리스트 및 초음파 진단 보고서를 자동작성하고 서버에 저장하며 문자메세지 등을 전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력설비들 중 특히 가공 배전선로의 전주 상에 위치하는 애자, 변압기, 개폐기, 접속재 등의 설비는 위치 등 환경적 요인으로 사용 연수에 따른 내구성 저하의 속도가 빨라 파손, 절연열화 등에 의한 사고나 정전 유발을 예측하기가 어려운 바 지속적인 점검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가공배전선로의 전력설비를 진단하는 업무를 수행 시 진단장비 및 카메라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현장에서 즉시 정리, 분석 및 판단하여 실시간으로 보고서작성 및 즉시보고에 의한 조치 등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별도의 사무공간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정리, 분석 및 판단하여 보고서를 작성함으로써 시간상 긴 과정을 거치는 시간 낭비와 진단 결과 보고의 지연으로 인한 조치시간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진단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04499호 "영상기능이 부가된 전력설비진단용 초음파 진단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1584182호 "회전형 컨트롤패널을 구비하는 초음파진단장치"
본 발명은 입력되는 정보를 진단리스트에 연동시키고 보고서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작성된 보고서를 이용해서 관리자 또는 현장측정자의 관리 단말기로 문자메세지 등을 전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설정치를 저장하며 진단리스트에 기재된 현장정보와 상기 저장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불량보고서의 작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불량보고서를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단리스트에 기재된 현장정보에 대응하는 전주가 진단이 완료된 전주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현장정보를 측정하는 지점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소관리구 내에 진단할 전주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통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는 전력설비 중 가공배전선로의 초음파진단에 있어 전주를 포함하는 현장의 기자재들로부터 상기 가공배전선로에 대한 현장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현장정보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전주에 대한 확인정보를 수집하고 추출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수집저장부, 상기 저장된 현장정보를 이용해서 진단리스트를 생성하고,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설정치를 저장하며 상기 기재된 현장정보와 상기 저장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불량보고서의 작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불량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생성부, 상기 생성된 진단리스트 및 상기 생성된 불량보고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확인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추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추출정보를 상기 정보수집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추출정보를 상기 기재된 현장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기재된 현장정보에 대응하는 전주가 진단이 완료된 전주인지를 확인하거나 소관리구 내에 진단할 전주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통보하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주를 포함하는 현장의 기자재는 애자, 변압기, 개폐기, 또는 접속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공배전선로에 대한 현장정보는 음향, 파형, 소리의세기(dB), 현장의 기자재에 대한 사진, 현장의 기자재에 대한 동영상, 진단거리, 진단가능 각도표시 데이터, 현장온도, 현장습도, 측정날짜, 측정시각, 현장정보를 측정하는 지점의 위치정보, 또는 제1전산화번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저장된 확인정보를 이용해서 추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추출정보를 상기 정보수집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추출정보를 상기 불량보고서에 기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확인정보는 전주번호찰사진 또는 현장정보를 측정하는 지점의 위치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추출정보는 제2전산화번호 또는 전산화구역번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산부는 상기 추출정보가 상기 제2전산화번호 및 상기 전산화구역번호인 경우에, 상기 위치정보를 한국전력의 신배전정보시스템(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에서 정한 전주의 전산화번호 부여기준을 이용해서 상기 전산화구역번호로 변환하여 추출하고, 상기 전주번호찰사진을 판독하여 상기 제2전산화번호를 추출하며, 상기 전산화구역번호 및 상기 제2전산화번호를 상기 기재된 제1전산화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기재된 제1전산화번호에 대응하는 전주가 진단이 완료된 전주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진단완료가 확인된 전주에 대응하는 상기 진단리스트 상의 열을 색임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산부는 상기 진단리스트에 없는 전주를 진단한 경우에, 상기 진단리스트에 추가누적집계열을 생성하여 카운트하고, 상기 진단리스트에 있지만 대응하는 전주를 진단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진단리스트에 미진단누적집계열을 생성하여 카운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산부는 상기 추출정보가 상기 전산화구역번호인 경우에, 상기 위치정보를 한국전력의 신배전정보시스템(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에서 정한 전주의 전산화번호 부여기준을 이용해서 상기 전산화구역번호로 변환하여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전산화구역번호를 상기 기재된 제1전산화번호와 매칭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기재된 제1전산화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진단리스트 상의 열을 색임힘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소관리구 내에 진단할 전주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통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시스템은 전력설비 중 가공배전선로의 초음파진단에 있어 전주를 포함하는 현장의 기자재들로부터 상기 가공배전선로에 대한 현장정보 및 상기 전주에 대한 확인정보를 측정하는 현장 정보수집 장치, 상기 측정된 현장정보 및 상기 측정된 확인정보를 전달받아 진단리스트를 생성하고, 추출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정보 및 상기 기재된 현장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기재된 현장정보에 대응하는 전주가 진단이 완료된 전주인지를 확인하거나 소관리구 내에 진단할 전주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통보하고,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설정치를 저장하며 상기 기재된 현장정보와 상기 저장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불량보고서의 작성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불량보고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불량보고서에 기재된 현장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추출정보를 상기 불량보고서에 기재한 후 상기 진단리스트 및 상기 불량보고서를 저장하는 진단보고서 작성장치, 및 상기 진단보고서 작성장치로부터 상기 불량보고서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장 정보수집 장치는 상기 가공배전선로의 전주번호찰을 촬영하는 전주번호찰촬영부, 상기 현장의 기자재들로부터 초음파정보를 확인하는 초음파진단부, 상기 현장의 기자재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는 사진촬영부, 및 상기 현장의 기자재에 대한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영상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장 정보수집 장치는 현장정보를 측정하는 지점의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저장되어 있는 맵 상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네비게이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의 동작방법은 현장 정보수집 장치에서 전력설비 중 가공배전선로의 초음파진단에 있어 전주를 포함하는 현장의 기자재들로부터 상기 가공배전선로에 대한 현장정보 및 상기 전주에 대한 확인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에서 상기 측정된 현장정보를 전달받아 진단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에서 상기 측정된 확인정보를 전달받아 추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에서 상기 추출정보 및 상기 기재된 현장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기재된 현장정보에 대응하는 전주가 진단이 완료된 전주인지를 확인하거나 소관리구 내에 진단할 전주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통보하는 단계,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에서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설정치를 저장하며 상기 기재된 현장정보와 상기 저장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불량보고서의 작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불량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에서 상기 생성된 불량보고서에 기재된 현장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추출정보를 상기 불량보고서에 기재하는 단계,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에서 상기 진단리스트 및 상기 불량보고서를 저장하는 단계, 및 서버에서 상기 진단보고서 작성장치로부터 상기 불량보고서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되는 정보를 진단리스트에 연동시키고 보고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작성된 보고서를 이용해서 관리자 또는 현장측정자의 관리 단말기로 문자메세지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설정치를 저장하며 진단리스트에 기재된 현장정보와 저장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불량보고서의 작성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불량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진단리스트에 기재된 현장정보에 대응하는 전주가 진단이 완료된 전주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정보를 측정하는 지점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소관리구 내에 진단할 전주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통보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1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화번호시스템(200)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d는 일실시예에 따른 소관리구(29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리스트(3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시스템(4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수집 장치(5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부(6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의 동작방법(7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1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설정치를 저장하며 진단리스트에 기재된 현장정보와 저장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불량보고서의 작성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불량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100)는 정보수집저장부(110), 보고서생성부(120), 저장부(130), 및 연산부(1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수집저장부(110)는 전력설비 중 가공배전선로의 초음파진단에 있어 전주를 포함하는 현장의 기자재들로부터 가공배전선로에 대한 현장정보(111)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수집저장부(110)는 수집한 현장정보(111)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전주를 포함하는 현장의 기자재는 애자, 변압기, 개폐기, 또는 접속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공배전선로에 대한 현장정보(111)는 음향, 파형, 소리의세기(dB), 현장의 기자재에 대한 사진, 현장의 기자재에 대한 동영상, 진단거리, 진단가능 각도표시 데이터, 현장온도, 현장습도, 측정날짜, 측정시각, 현장정보를 측정하는 지점의 위치정보, 또는 제1전산화번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수집저장부(110)는 음향, 파형, 소리의세기(dB), 현장의 기자재에 대한 사진, 현장의 기자재에 대한 동영상, 진단거리, 진단가능 각도표시 데이터, 현장온도, 현장습도, 측정날짜, 측정시각, 현장정보를 측정하는 지점의 위치정보, 또는 제1전산화번호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수집저장부(110)는 항목별로 분류한 현장정보(111)를 그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수집저장부(110)는 각 그룹에 대응하는 순번을 지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순번은 도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 파형, 또는 소리의세기(dB)는 현장의 기자재에서 발생하는 초음파를 집음 하는 초음파 검사기법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애자는 현수애자 또는 절연애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위치정보라 함은 현장정보(111)를 측정하는 지점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좌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제1전산화번호는 전주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고유식별정보로서, 자세한 설명은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수집저장부(110)는 전주에 대한 확인정보(112)를 수집하고 추출정보(113)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확인정보(112)는 전주번호찰사진 또는 현장정보(111)를 측정하는 지점의 위치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추출정보(113)는, 연산부(140)가 확인정보(112)를 추출하고 연산부(140)에 의해 정보수집저장부(110)로 저장되는 정보로서, 제2전산화번호 또는 전산화구역번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주번호찰사진, 전산화구역번호, 및 제2전산화번호는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일실시예에 따른 보고서생성부(120)는 저장된 현장정보(111)를 이용해서 진단리스트(121)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보고서생성부(120)는 저장된 현장정보(111)를 이용해서 진단리스트(121)를 엑셀기반의 DB테이블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보고서생성부(120)는 엑셀기반의 DB테이블로 생성된 진단리스트(121)에 정보수집저장부(110)에 그룹화되어 저장된 현장정보(111)를 순번에 따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일실시예에 따른 보고서생성부(120)는 진단리스트(121)에 정보수집저장부(110)에 저장된 제1전산화번호를 미리 입력하여 생성할 수 있다.
먼저, 일실시예에 따른 보고서생성부(120)는 제1전산화번호를 포함하는 엑셀기반의 DB테이블을 생성하고, 제1전산화번호에 대응하는 그룹화된 현장정보(111)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보고서생성부(120)는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설정치를 저장하고 진단리스트(121)에 기재된 현장정보(111)와 저장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불량보고서(122)의 작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른 보고서생성부(120)는 소리의세기(dB)에 대한 설정치를 1dB로 저장하고 진단리스트(121)에 기재된 소리의세기(dB)값이 1dB 이상인 경우 해당 현장의 기자재를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보고서생성부(120)는 현장의 기자재를 불량으로 판단한 경우 판단결과에 따라 불량보고서(122)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고서생성부(120)는 불량보고서(122), 진단경로보고서, 진행내역 보고서, 또는 결과보고서 중 어느 하나를 문서로서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른 보고서생성부(120)는 불량보고서(122)를 생성할 때마다 생성된 불량보고서(122)의 내용을 진단리스트(121)에 연결하고 불량보고서(122)의 내용이 연결된 진단리스트(121)을 통해 결과보고서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생성된 진단리스트(121) 및 생성된 불량보고서(122)를 저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저장된 진단리스트(121) 및 보고서를 문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불량보고서(122), 진단경로보고서, 진행내역 보고서, 또는 결과보고서 중 어느 하나를 문서로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무선통신망에 연결되어 저장된 보고서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불량보고서(122), 진단경로보고서, 진행내역 보고서, 또는 결과보고서 중 어느 하나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일실시예에 따른 연산부(140)는 저장된 확인정보(112)를 이용해서 추출정보(113)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산부(140)는 추출된 추출정보(113)를 정보수집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산부(140)는 저장된 추출정보(113)를 진단리스트에 기재된 현장정보(111)와 비교하여 기재된 현장정보(111)에 대응하는 전주가 진단이 완료된 전주인지를 확인하거나 소관리구 내에 진단할 전주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소관리구는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산화번호시스템(200)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d는 일실시예에 따른 소관리구(29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주번호찰(210)은 전주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전산화번호(220)를 포함하여 전주(230)의 일측에 부착된다.
여기서, 전주위치정보는 한국전력의 신배전정보시스템(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에서 정해진 기준에 의해 특정 원점을 기준으로 X축과 Y축의 거리를 나타내는 TM(Transverse Meractor)좌표(240)로 입력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전주의 전산화번호(220)가 부여된다.
구체적으로,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정해진 특정 원점에 의해 전주에 전산화번호(220)를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b를 참조하면, 특정 원점은 북위 37 동경 127의 경기도 오산 지역이 제1 원점(250), 북위 37 동경 129의 강원도 태백 지역이 제2 원점(260), 북위 35 동경 127의 전라남도 담양 지역이 제3 원점(270), 및 북위 35 동경 129의 경남 양산을 제4 원점(280)을 포함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전산화번호(220)가 8889Q891인 경우, 앞 번호 두 자리 88은 특정 원점을 기준으로 동서방향(00~99)으로 해석하고 그 뒤의 89는 원점을 기준으로 남북방향(00~99)으로 해석하여 TM좌표(240)를 생성한다.
또한, 상술한 방법으로 생성된 TM좌표(240) 하나를 사방 2km의 면적을 가로, 세로 각각 4등분한 상태에서의 미리 정한 위치의 코드로 다시 분류하여 해석한다.
예를 들어, 위치의 코드는 A, B, C, D, E, F, G, H, P, Q, W, X, R, S, V, 및 Z일 수 있다.
또한, Q의 뒷자리 번호 89는 상술한 위치의 코드로 분류된 구역 하나의 면적을 X축, Y축으로 각각 10등분 했을 때의 X축으로 8, Y축으로 9에 위치한 것을 의미한다.
즉,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면, 전산화번호(220)의 8자리 중 앞 번호 일곱 자리인 전산화구역번호(221)를 통해 소관리구(290)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준에 따라, GPS수신기를 포함하는 측정장비를 통해 현장정보를 측정하는 지점의 위치정보를 통해 전산화구역번호(221) 및 소관리구(290)를 확인함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89의 뒷자리 번호 1은 사방 50m의 설비 중 첫번째 전주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즉, 전산화번호의 끝자리(222)를 통해 해당 전주(230)가 소관리구(290)에 몇 번째에 위치하는 전주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제1전산화번호는 진단리스트에 기재하기 위하여 수집된 전산화번호(220) 여덟 자리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제2전산화번호는 연산부가 전주번호찰(210)의 사진을 통해 추출하는 전산화번호의 끝자리(222)를 지칭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리스트(3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진단리스트(121)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3에서는 진단리스트(300)로 도시한다. 진단리스트(121) 및 진단리스트(300)는 서로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보고서생성부는 저장된 현장정보를 이용해서 진단리스트(300)를 엑셀기반의 DB테이블로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보고서생성부는 수집한 현장정보의 항목명을 진단리스트(300)의 제목셀(310)에 1:1 대응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집한 현장정보의 항목명은 제1전산화번호(370), 소리의세기(dB), 진단거리, 또는 현장온도일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목셀(310)은 측정값(dB), 측정거리, 적출설비, 선로방향, 또는 대기온도일 수 있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보고서생성부는 현장정보에 대응하는 항목들을 진단리스트(300) 상에 하나의 행(이하, 제목행(320))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보고서생성부는 항목에 대응되고 순번(350)을 포함하는 현장정보의 그룹을 레코드행(340)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일실시예에 따른 레코드행(340)는 제목행(320)의 하부에 위치하고 순번(35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현장정보는 하나의 레코드셀(330)에 연결되고 각각의 레코드셀(330)의 상부에는 항목에 대응되는 제목셀(310)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일실시예에 따른 연산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된 추출정보(113)를 진단리스트에 기재된 현장정보(111)와 비교하여 기재된 현장정보(111)에 대응하는 전주가 진단이 완료된 전주인지를 확인하거나 소관리구 내에 진단할 전주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통보할 수 있다.
이때, 진단리스트에 기재된 현장정보(111)와 추출정보(113)를 비교하기 위해 현장측정자는 위치정보측정이 가능한 현장 정보수집 장치를 사용해 소관리구로 진입하여 확인정보(112)를 수집할 수 있다.
일례로, 추출정보(113)가 제2전산화번호 및 전산화구역번호인 경우 연산부(140)는, 현장정보를 측정하는 지점의 위치정보를 한국전력의 신배전정보시스템(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에서 정한 전주의 전산화번호 부여기준을 이용해서 전산화구역번호로 변환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산부(140)는 전주번호찰사진을 판독하여 제2전산화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전산화구역번호 및 제2전산화번호를 이용해서 전산화번호 8자리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연산부(140)는 생성된 진단리스트(121)에 기재된 제1전산화번호와 비교하여 기재된 제1전산화번호에 대응하는 전주가 진단이 완료된 전주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산부(140)는 진단완료가 확인된 경우에 확인된 전주에 대응하는 진단리스트(121) 상의 열을 색임힘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색임힘은 확인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산부(140)는 해당 열의 글자체를 변경하거나 해당 셀의 배경색을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산부(140)는, 후술할 경우에 따라 누적집계열(360)을 생성하여 카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연산부(140)는 진단리스트(121)에 없는 전주를 진단한 경우 진단리스트(121)에 추가누적집계열(361)을 생성하여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산부(140)는 진단리스트(121)에 있지만 대응하는 전주를 진단하지 못한 경우 진단리스트(121)에 미진단누적집계열(362)을 생성하여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산부(140)는 진단리스트(121)에 있지만 대응하는 전주를 진단하지 못한 경우에 진단리스트(121)에서 해당 열에 대한 순번 부여를 제외할 수 있다.
또한, 현장측정자는 직접 현장에서 전주를 점검하여 진단리스트에 있지만 해당 구역에 제1전산화번호를 가진 전주가 없는 경우에 진단리스트에 감소누적집계열(363)을 생성하여 카운트할 수 있다.
한편, 일실시예에 따른 연산부(140)는 추출정보(113)가 전산화구역번호인 경우 위치정보를 한국전력의 신배전정보시스템(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에서 정한 전주의 전산화번호 부여기준을 이용해서 전산화구역번호로 변환하여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연산부(140)는 추출한 전산화구역번호를 진단리스트(121)에 기재된 제1전산화번호와 매칭하여 일치하는 경우 기재된 제1전산화번호(370)에 대응하는 진단리스트(121) 상의 열을 색임힘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하여 일치하는 경우라 함은 일실시예에 따른 연산부(140)가 추출된 전산화구역번호 7자리를 진단리스트에 기재된 제1전산화번호 8자리와 비교하여 기재된 제1전산화번호 8자리에 추출된 전산화구역번호 7자리가 모두 포함되는 경우를 말한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연산부(140)는 상술한 위치정보를 통해 소관리구 내에 진단할 전주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통보할 수도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시스템(4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시스템(400)은 작성된 보고서를 이용해서 관리자 또는 현장측정자의 관리 단말기로 문자메세지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진단보고서 작성시스템(400)은 현장 정보수집 장치(410), 진단보고서 작성장치(420), 및 서버(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진단보고서 작성시스템(400)을 통해 설명하는 진단보고서 작성장치(420)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의 진단보고서 작성장치(100)를 통해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수집 장치(410)는 전력설비 중 가공배전선로의 초음파진단에 있어 전주를 포함하는 현장의 기자재들로부터 가공배전선로에 대한 현장정보 및 전주에 대한 확인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420)는 현장 정보수집 장치(410)로부터 현장정보를 전달받아 진단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420)는 확인정보를 전달받아 추출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420)는 추출정보 및 진단리스트에 기재된 현장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420)는 기재된 현장정보에 대응하는 전주가 진단이 완료된 전주인지를 확인하거나 진단구역 내 진단할 전주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420)는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설정치를 저장하며 진단리스트에 기재된 현장정보와 저장된 설정치를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420)는 불량보고서의 작성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불량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420)는 생성된 불량보고서에 기재된 현장정보에 대응하는 추출정보를 불량보고서에 기재한 후에 진단리스트 및 불량보고서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420)는 생성된 불량보고서에 기재된 제1전산화번호에 대응하는 전주구역번호 및 제2전산화번호를 불량보고서에 기재한 후에 진단리스트 및 불량보고서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430)는 진단보고서 작성장치(420)로부터 불량보고서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하고 관리자 단말기(46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430) 및 진단보고서 작성장치(42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430) 및 관리자 단말기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수집 장치(410) 및 진단보고서 작성장치(420)는 서로 USB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수집 장치(5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수집 장치(500)는, 전주번호찰촬영부(510), 초음파진단부(520), 사진촬영부(530), 및 동영상촬영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주번호찰촬영부(510)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주번호찰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진단부(520)는 현장의 기자재들로부터 초음파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초음파정보는 음향, 파형, 또는 소리의세기(d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진촬영부(530)는 현장의 기자재에 대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일례로, 다른 실시에에 따른 사진촬영부(530)는 불량이 발생한 현장의 기자재에 대한 사진은 불량이 발생한 애자의 사진 또는 불량이 발생한 전주의 전경사진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촬영부(540)는 현장의 기자재에 대한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르면 현장 정보수집 장치(500)는 네비게이션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부(550)는 현장정보를 측정하는 지점의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저장되어 있는 맵 상에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부(6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네비게이션부(55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6에서는 네비게이션부(600)로 도시한다. 네비게이션부(550) 및 네비게이션부(600)는 서로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가진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시스템(400)은 진단보고서 작성장치(420)가 제2전산화번호(622) 추출을 실패하는 경우 진단보고서 작성장치(420)는 현장 정보수집 장치(410)로 제2전산화번호(622)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수집 장치(410)는 진단보고서 작성장치(420)로부터 제2전산화번호(622) 입력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전산화번호(622) 입력요청을 수신한 현장 정보수집 장치(410)는 네이게이션부(600)를 통해 전산화구역번호(621) 및 제2전산화번호(622)입력란을 포함하는 전산화번호(620)를 화면(610)에 출력하고, 제2전산화번호(622)입력란의 일측에 메시지창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는 "전산화 번호를 직접 입력하시겠습니까?" 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정보수집 장치(410)는 현장측정자가 제2전산화번호(622)를 수동으로 입력한 경우 수동으로 입력된 제2전산화번호(622)를 진단보고서 작성장치(420)로 제2전산화번호(622)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의 동작방법(7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의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의 동작방법(700)을 통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서 도 1의 진단보고서 작성장치(100)를 통해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의 동작방법(700)은 현장 정보수집 장치에서 전력설비 중 가공배전선로의 초음파진단에 있어 전주를 포함하는 현장의 기자재들로부터 가공배전선로에 대한 현장정보 및 전주에 대한 확인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단계 710).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의 동작방법(700)은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에서 측정된 현장정보를 전달받아 진단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720).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의 동작방법(700)은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에서 측정된 확인정보를 전달받아 추출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단계 730).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의 동작방법(700)은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에서 추출정보 및 기재된 현장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단계 740).
단계 740의 비교 결과, 진단보고서 작성장치는 기재된 현장정보에 대응하는 전주가 진단이 완료된 전주인지를 확인하거나 소관리구 내에 진단할 전주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통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의 동작방법(700)은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에서 불량보고서의 작성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불량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750).
단계 750의 작성 여부 판단은,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에서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설정치를 저장하며 기재된 현장정보와 저장된 설정치의 비교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의 동작방법(700)은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에서 생성된 불량보고서에 기재된 현장정보에 대응하는 추출정보를 불량보고서에 기재할 수 있다(단계 760).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단계 760은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에서 생성된 불량보고서에 기재된 제1전산화번호에 대응하는 전주구역번호 및 제2전산화번호를 불량보고서에 기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의 동작방법(700)은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에서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에서 불량보고서를 저장할 수 있다(단계 770).
단계 770에서, 진단보고서 작성장치는 저장된 불량보고서의 내용을 진단리스트에 기재한 다음 진단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의 동작방법(700)은 서버에서 진단보고서 작성장치로부터 불량보고서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자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단계 780).
본 발명을 이용하면,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진단리스트의 그룹을 추출하여 불량보고서를 포함하는 다양한 보고서를 작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정리, 분석 및 판단하여 보고서를 작성함으로써 시간상 긴 과정을 거치는 시간 낭비와 진단 결과 보고의 지연으로 인한 조치시간 지연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전력설비 중 가공배전선로의 초음파진단에 있어 전주를 포함하는 현장의 기자재들로부터 상기 가공배전선로에 대한 현장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현장정보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전주에 대한 확인정보를 수집하고 추출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수집저장부;
    상기 저장된 현장정보를 이용해서 진단리스트를 생성하고,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설정치를 저장하며 상기 생성된 진단리스트에 기재된 현장정보와 상기 저장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불량보고서의 작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불량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생성부;
    상기 생성된 진단리스트 및 상기 생성된 불량보고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확인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추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추출정보를 상기 정보수집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추출정보를 상기 기재된 현장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기재된 현장정보에 대응하는 전주가 진단이 완료된 전주인지를 확인하거나 소관리구 내에 진단할 전주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통보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정보는, 전주번호찰사진 또는 현장정보를 측정하는 지점의 위치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위치정보를 한국전력의 신배전정보시스템(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에서 정한 전주의 전산화번호 부여기준을 이용해서 7자리의 전산화구역번호로 변환하여 상기 추출 정보로 추출하고, 상기 전주번호찰사진을 판독하여 전주번호찰의 끝 한자리를 제2전산화번호로 변환하여 상기 추출 정보로 추출하며, 상기 7자리의 전산화구역번호 및 상기 제2전산화번호를 결합한 8자리의 전산화번호를 상기 진단리스트에 기재된 8자리의 제1전산화번호와 매칭하거나 상기 7자리의 전산화구역번호가 상기 기재된 8자리의 제1전산화번호에 모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기재된 여덟 자리의 제1전산화번호에 대응하는 전주가 진단이 완료된 전주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진단완료가 확인된 전주에 대응하는 상기 진단리스트 상의 열을 색입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보고서 작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를 포함하는 현장의 기자재는,
    애자, 변압기, 개폐기, 또는 접속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보고서 작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배전선로에 대한 현장정보는,
    음향, 파형, 소리의세기(dB), 현장의 기자재에 대한 사진, 현장의 기자재에 대한 동영상, 진단거리, 진단가능 각도표시 데이터, 현장온도, 현장습도, 측정날짜, 측정시각, 상기 현장정보를 측정하는 지점의 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1전산화번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보고서 작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저장된 확인정보를 이용해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추출정보를 상기 정보수집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추출정보를 상기 불량보고서에 기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보고서 작성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진단리스트에 없는 전주를 진단한 경우에 상기 진단리스트에 추가누적집계열을 생성하여 카운트하고, 상기 진단리스트에 있지만 대응하는 전주를 진단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진단리스트에 미진단누적집계열을 생성하여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보고서 작성장치.
  9. 삭제
  10. 전력설비 중 가공배전선로의 초음파진단에 있어 전주를 포함하는 현장의 기자재들로부터 상기 가공배전선로에 대한 현장정보 및 상기 전주에 대한 확인정보를 측정하는 현장 정보수집 장치;
    상기 현장정보 및 상기 측정된 확인정보를 전달받아 진단리스트를 생성하고, 추출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정보 및 상기 생성된 진단리스트에 기재된 현장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기재된 현장정보에 대응하는 전주가 진단이 완료된 전주인지를 확인하거나 소관리구 내에 진단할 전주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통보하고,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설정치를 저장하며 상기 기재된 현장정보와 상기 저장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불량보고서의 작성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불량보고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불량보고서에 기재된 현장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추출정보를 상기 불량보고서에 기재한 후 상기 진단리스트 및 상기 불량보고서를 저장하는 진단보고서 작성장치; 및
    상기 진단보고서 작성장치로부터 상기 불량보고서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정보는, 전주번호찰사진 또는 현장정보를 측정하는 지점의 위치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보고서 작성장치는 상기 위치정보를 한국전력의 신배전정보시스템(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에서 정한 전주의 전산화번호 부여기준을 이용해서 7자리의 전산화구역번호로 변환하여 상기 추출 정보로 추출하고, 상기 전주번호찰사진을 판독하여 전주번호찰의 끝 한자리를 제2전산화번호로 변환하여 상기 추출 정보로 추출하며, 상기 7자리의 전산화구역번호 및 상기 제2전산화번호를 결합한 8자리의 전산화번호를 상기 진단리스트에 기재된 8자리의 제1전산화번호와 매칭하거나 상기 7자리의 전산화구역번호가 상기 기재된 8자리의 제1전산화번호에 모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기재된 여덟 자리의 제1전산화번호에 대응하는 전주가 진단이 완료된 전주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진단완료가 확인된 전주에 대응하는 상기 진단리스트 상의 열을 색입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보고서 작성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정보수집 장치는,
    상기 전주번호찰을 촬영하는 전주번호찰촬영부;
    상기 현장의 기자재들로부터 초음파정보를 확인하는 초음파진단부;
    상기 현장의 기자재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는 사진촬영부; 및
    상기 현장의 기자재에 대한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영상촬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보고서 작성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정보수집 장치는,
    현장정보를 측정하는 지점의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저장되어 있는 맵 상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네비게이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보고서 작성시스템.
  13. 현장 정보수집 장치에서 현장 정보수집 장치에서 전력설비 중 가공배전선로의 초음파진단에 있어 전주를 포함하는 현장의 기자재들로부터 상기 가공배전선로에 대한 현장정보 및 상기 전주에 대한 확인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의 보고서생성부에서 상기 측정된 현장정보를 전달받아 진단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의 연산부에서 상기 측정된 확인정보를 전달받아 추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연산부에서 상기 추출정보 및 상기 생성된 진단리스트에 기재된 현장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기재된 현장정보에 대응하는 전주가 진단이 완료된 전주인지를 확인하거나 소관리구 내에 진단할 전주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보고서생성부로 통보하는 단계;
    상기 보고서생성부에서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설정치를 저장하며 상기 기재된 현장정보와 상기 저장된 설정치를 비교하여 불량보고서의 작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불량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보고서생성부에서 상기 생성된 불량보고서에 기재된 현장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추출정보를 상기 불량보고서에 기재하는 단계;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의 저장부에서 상기 진단리스트 및 상기 불량보고서를 저장하는 단계; 및
    서버에서 상기 진단보고서 작성장치로부터 상기 불량보고서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정보는, 전주번호찰사진 또는 현장정보를 측정하는 지점의 위치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에서 상기 추출정보 및 상기 생성된 진단리스트에 기재된 현장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기재된 현장정보에 대응하는 전주가 진단이 완료된 전주인지를 확인하거나 소관리구 내에 진단할 전주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보고서생성부로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를 한국전력의 신배전정보시스템(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에서 정한 전주의 전산화번호 부여기준을 이용해서 7자리의 전산화구역번호로 변환하여 상기 추출 정보로 추출하고, 상기 전주번호찰사진을 판독하여 전주번호찰의 끝 한자리를 제2전산화번호로 변환하여 상기 추출 정보로 추출하며, 상기 7자리의 전산화구역번호 및 상기 제2전산화번호를 결합한 8자리의 전산화번호를 상기 진단리스트에 기재된 8자리의 제1전산화번호와 매칭하거나 상기 7자리의 전산화구역번호가 상기 기재된 8자리의 제1전산화번호에 모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기재된 여덟 자리의 제1전산화번호에 대응하는 전주가 진단이 완료된 전주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진단완료가 확인된 전주에 대응하는 상기 진단리스트 상의 열을 색입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단보고서 작성장치의 동작방법.
KR1020190100051A 2019-08-16 2019-08-16 가공배전선로의 진단보고서 자동작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303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051A KR102303903B1 (ko) 2019-08-16 2019-08-16 가공배전선로의 진단보고서 자동작성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051A KR102303903B1 (ko) 2019-08-16 2019-08-16 가공배전선로의 진단보고서 자동작성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520A KR20210020520A (ko) 2021-02-24
KR102303903B1 true KR102303903B1 (ko) 2021-09-24

Family

ID=7468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051A KR102303903B1 (ko) 2019-08-16 2019-08-16 가공배전선로의 진단보고서 자동작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9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596B1 (ko) * 2021-06-15 2021-11-19 대한검사기술(주) 위상 배열 초음파 검사 보고서 자동 작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632102B1 (ko) * 2021-08-02 2024-02-01 이상규 제지가공 유지보수 및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805B1 (ko) * 2009-02-17 2010-04-02 박준 초음파 탐지를 이용한 가공 배전 선로 전력 설비의 불량 개소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584182B1 (ko) 2011-02-18 2016-01-22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회전형 컨트롤패널을 구비하는 초음파진단장치
KR101204499B1 (ko) 2012-05-25 2012-11-26 주식회사 서울산전 영상기능이 부가된 전력설비진단용 초음파 진단장치
KR20160128690A (ko) * 2015-04-29 2016-11-08 정의종 Gps정보와 전력설비 전산화번호를 활용한 배전선로 설비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KR101888408B1 (ko) * 2016-10-19 2018-09-2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rtu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520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3904B2 (en) Automated combined display of measurement data
KR102303903B1 (ko) 가공배전선로의 진단보고서 자동작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238193B1 (ko)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JP2017102672A (ja) 地理位置情報特定システム及び地理位置情報特定方法
JP6892974B1 (ja) 劣化診断システム、劣化診断装置、劣化診断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365623A (zh) 一种电力巡检系统
CN111044149A (zh) 电压互感器的温度异常点检测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2633661A (zh) 一种基于bim的应急调度指挥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可读介质
KR20160128690A (ko) Gps정보와 전력설비 전산화번호를 활용한 배전선로 설비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CN111309791A (zh) 一种检测仪器数据自动采集方法
JP5973312B2 (ja) 計器校正試験システム、計器校正試験装置、計器校正試験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812545B (zh) 线路缺陷检测方法、装置、设备及介质
WO2016088178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CN116073520A (zh) 电网巡检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10003983A1 (en) Inspection Support Method, Inspection Support Apparatus, and Inspection Support Program
CN111045915A (zh) 一种基于产品功能测试用例的安全测试的方法和装置
KR102568060B1 (ko) 3차원 모델을 통한 인공지능 기반 안전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2057845B1 (ko) 단말기와의 연계를 통한 영상 관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TW202217734A (zh) 以資訊系統產生工程勘驗資料的方法
KR20220084703A (ko) 시설물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방법
CN115460429B (zh) 用于水质采样监测监管的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802004B (zh) 一种实验室施工建设监控方法及系统
CN116989802B (zh) 一种基于gis与bim模型的idc机房巡检计划配置策略方法
TWI663554B (zh) 機電裝置之巡邏式預防性檢測系統
KR102193260B1 (ko) 시설물 점검용 사진 정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용 사진의 정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