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535B1 - 곡물 냉장고 - Google Patents

곡물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535B1
KR102303535B1 KR1020190175013A KR20190175013A KR102303535B1 KR 102303535 B1 KR102303535 B1 KR 102303535B1 KR 1020190175013 A KR1020190175013 A KR 1020190175013A KR 20190175013 A KR20190175013 A KR 20190175013A KR 102303535 B1 KR102303535 B1 KR 102303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le
support plate
pipe
housing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2753A (ko
Inventor
박성철
박남규
Original Assignee
박성철
박남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철, 박남규 filed Critical 박성철
Priority to KR1020190175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535B1/ko
Publication of KR20210082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0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2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drople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3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means to fix, clamp, or connect water pipes or evaporation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6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pipes or pip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을 비롯한 곡물을 냉장시키기 위한 곡물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곡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로 곡물을 배출하는 곡물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면이 개구되고 하면이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 제1 배수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결로방지수단; 상기 결로방지수단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2 배수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지지판; 하면이 개구되고 상면이 폐쇄되고 하면이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판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부에 증발기가 설치되는 냉각 관체; 상기 증발기의 냉매유입구와 냉매유출구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배수공과 상기 제2 배수공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는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 상기 결로방지수단의 하면의 제1 배수공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배수공에 수집된 수분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하는 제4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냉장고{refrigerator for grain}
본 발명은 쌀을 비롯한 곡물을 냉장시키기 위한 곡물 냉장고에 관한 것이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쉬망에 응집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제조가 용이한 곡물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발명자가 출원하여 등록한 특허등록 제10-1996911호(발명의 명칭: 곡물 냉장고)(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는 작업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생산단가를 낮추도록 하는 곡물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곡물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곡물 냉장고(200)는 상부에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하게 되며 하부의 개폐수단에 의하여 저장된 곡물이 외부로 인출되는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 하부 중앙에 브라켓(221)에 의해 설치되는 고정봉(220), 상기 브라켓(221)과 고정봉(220)에 고정 설치되는 결로방지수단(230), 상기 결로방지수단(230)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판(240), 상기 지지판(240)에 설치되어 냉기를 발생하게 되는 증발기(250), 상기 증발기(250)의 외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240)에 설치되어 곡물을 냉각하는 냉각 관체(260), 상기 냉각관체(260)의 외측으로 설치되어 하우징(210)의 내부에 저장되는 곡물의 접촉을 방지하는 메쉬망(270), 상기 지지판(240)에 상기 증발기(250)에 냉매를 유입 유출하고 응결수를 배수하는 파이프들이 함께 삽입되어 고정하게 되는 고정수단(280) 및 상기 하우징(21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저장된 곡물을 인출하는 곡물인출받이(29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하면을 향해 원뿔 또는 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최하부의 중앙에 저장된 곡물을 배출하는 곡물배출구(211)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곡물을 냉장 저장하게 된다. 상기 고정봉(220)은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 저면 중앙에 상방으로 길게 고정 설치하되, 상기 고정봉(220)의 하단은 양단이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 하부 양측면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봉과 상기 한 쌍의 봉을 감싸아 고정하는 판체로 형성된 브라켓(221)에 고정 설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봉(220)은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 하부 양측면에 설치된 브라켓(221)의 중앙에 고정 설치되게 되므로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 중앙에 상방으로 길게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결로방지수단(230)은 상기 브라켓(221)의 상면에 상기 고정봉(220)에 의해 고정 설치되게 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와 하부 간에 공기를 차단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결로를 방지하게 되며, 상기 결로방지수단(230)은 상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하되, 내측 중앙에 공간부(231)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231)의 하면에 중앙으로 상기 고정봉(220)이 삽입되는 제1 삽입공(232)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삽입공(232)의 일측에 제1 배수공(233)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결로방지수단(230)은 상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원통형상 내부에 공간부(231)가 형성되고, 공간부(231)의 공기가 상기 냉각관체(260) 또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로 직접적으로 접촉 또는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므로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하부와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 발생을 방지하게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40)은 하면이 상기 고정봉(220)에 삽입된 결로방지수단(230)의 원통부 상단면에 받쳐지며, 상기 고정봉(220)에 의해 결합 설치되게 되며, 상기 지지판(240)은 원통체 형상 또는 두께를 갖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면의 중앙에 상기 고정봉(220)이 관통 고정되는 고정공(241), 상기 고정공(241)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수분을 배출하는 관통공(242) 및 상기 관통공(242)의 외측 가장자리에 냉각관체(260)가 설치되는 설치면(243)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지지판(240)은 상기 결로방지수단(230)의 상면에 중앙 상부로 길게 고정 설치된 고정봉(220)에 삽입하는 것으로, 상기 결로방지수단(230)에 고정봉(220)으로 고정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40)은 상면에 응결수를 응집하여 배수하는 받침판(244)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받침판(244)은 중심부와 외주면 사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고정봉(220)이 관통 삽입되는 제3 삽입공(245) 및 상기 제3 삽입공(245)의 외측으로 오목부에 제3 배수공(246)이 형성된다. 받침판(244)에 응결수가 형성되는 경우에 오목부에 응결수가 수집되게 되고, 응결수는 제3배수공(246)에
설치되는 배수파이프에 의하여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244)은 제3 삽입공(245)를 통해서 상기 고정봉(220)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판(240)의 상면에
안착되게 되므로 상기 받침판(244)은 상기 지지판(240)에 분리나 이탈 없이 설치되고 응결수를 응집하여 배수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250)는 외형상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유입구와 유입된 냉매를 순환 유출하는 냉매유출구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증발기(250)의 중앙하단에는 냉매유입구가 위치하고 냉매유입구로부터 모세관이 수직상승하고, 모세관의 상단부로부터 냉각관이 나선형상으로 하강되어 나선관을 형성하며 나선관 하단부에 냉매유출구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냉매 유입구는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고압 저온냉매를 유입하여는 제1파이프(251)에 연결되고, 냉매 유출구는 상기 압축기로 저압 고온의 냉매를 유출하는 제2파이프(252)와 결합된다. 상기 증발기(250)의 상, 하단 각각에는 한 쌍의 지지발(253)을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발(253)은 중앙이 상기 고정봉(22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가장자리가 상기 증발기(250)의 외측면을 감싸 지지하도록 구비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증발기(250)는 냉매유입구에 제1파이프(251)가 연결되고, 냉매유출구에 제2파이프(252)가 결합되며, 상기 증발기(250)의 상하단에는 중앙이 고정봉(220)에 삽입되는 한 쌍의 지지발(253)로 감싸주게 되어 상기증발기(250)는 고정봉(220)에 이탈이나 분리되지 않게 고정되고, 상기 제1파이프(251)로 유입되는 냉매를 제2파이프(252)로 순환시켜 주변과의 열교환으로 냉기를 발생하여 주변을 냉각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냉각관체(260)는 상면이 폐쇄되고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증발기(250)의 외측으로 설치하되,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게 되어 증발기 외부로 냉기를 발산하여 하우징 내의 곡물을 냉각하게 된다.
상기 냉각관체(260)의 상단은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 중앙에 상방으로 설치된 고정봉(220)에 삽입되게 설치하고, 하단은 상기 지지판(240)의 상면 가장자리에 설치하여 상기 증발기(250)를 감싸 설치하게 된다. 상기 냉각관체(260)는 통기성을 갖는 황토, 숯 등의 원적외선 발생 재질로 형성하되, 내부면에는 외부로부터 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유약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냉각관체(260)는 습기를 축적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내부면에 습기를 차단하는 유약처리가 되어 내부로부터 외부로 습기가 발산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냉각관체(260)는 지지판(250)의 설치면(243)에 설치되게 되므로 상기 냉각관체(260)는 내측에 위치한 상기 증발기(250)의 냉기는 배출하고 하우징(210)의 내부의 습기는 흡수한다.
또한 상기 메쉬망(270)은 상기 냉각관체(260)의 외측으로 설치하되, 상기 냉각관체(260)과 동일 형상의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설치하게 되고, 상단은 하우징(210)의 내측으로 곡물투입시, 투입되는 곡물이 내측에 상기 냉각관체(26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271)를 형성하고, 하단은 상기 고정봉(220)의 브라켓(221)에 설치 고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메쉬망(270)은 냉각관체(260)의 외측으로 설치되게 되므로 상기 냉각관체(260)로 투입되는 곡물 또는 투입된 곡물이 냉각관체(260)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상기 곡물이 동결 또는 냉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80)은 상기 결로방지수단(230)의 제1 배수공(233)에 삽입 설치된다. 고정수단(280)은 튜브(미도시)를 포함하고, 튜브는 내측으로 상기 증발기(250)의 냉매유입구 및 냉매유출구에 각각 결합되는 제1 파이프(251) 및 제2 파이프(252)와, 응결수를 배수하는 배수파이프(281)가 설치된다. 즉 튜브는 양단이 개구되어 내부에 제1 파이프(251), 제2 파이프(252) 및 배수파이프(281)가 설치된다. 이때 튜브의 내주면과 이들 파이프(251), (252), (281)들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게 되고, 이러한 공간을 통해 외부 공기가 냉각관체(26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고정수단(280)의 튜브의 내부에 제1 파이프(251), 제2 파이프(252) 및 배수파이프(281)가 설치되면, 내부 공간으로 합성수지를 충진시킨 후 경화시킴으로써 외부 공기가 냉각관체(260)로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때 합성수지는 공지된 다양한 합성수지가 적용될 수 있으나, 우레탄수지 또는 실리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280)인 튜브에는 압축기로부터 상기 증발기(250)의 냉매유입구 및 냉매유출구로 냉매를 유입하고 유출하는 제1 파이프(251)와 제2 파이프(252) 및 상기 증발기(250)의 응결수를 배수하는 배수파이프(281)를 함께 삽입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제1 파이프(251)와 제2 파이프(252) 및 배수파이프(281) 중 상기 제1 파이프(251)와 제2 파이프(252)는 상기 증발기(250)에 이미 결합한 상태에서 삽입 관통하거나 또는 튜브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증발기(250)에 결합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증발기(250)에 결합되는 상기 제1 파이프(251)와 제2 파이프(252) 및 배수파이프(281)는 고정수단(280)에 의해 삽입하는 것으로 상기 결로방지수단(230)의 제1 배수공(233)에 번거로움 및 복잡함이 없이 간편 용이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수단(280)에 의해 제1파이프(251), 제2파이프(252)는 작동시 완충되어 진동 소음을 감소하게 된다. 이때 고정수단(280)의 제1 파이프(251), 제2 파이프(252) 및 배수파이프(253)의 외측에는 튜브가 둘러싸듯이 설치되는데, 결로방지수단의 제1 배수공(233)으로 삽입될 때 외부 마찰에 의해 튜브가 찢겨지거나 마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수단(280)의 튜브의 외측에 관체를 설치함으로써 제1 배수공(233)으로의 삽입또는 분해 시 튜브가 찢겨지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관체(282)의 내측면과 상기 고정수단(280)의 외측면 사이에는 습기를 차단하는 충진제(실리콘)를 충진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관체(282)는 상기 제1 파이프(251)와 제2 파이프(252)의 구동에 따른 온도차이로 인하여 상기 고정수단(28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저장된 곡물에 냉해 또는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10)의 최하부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곡물배출구(211)의 저면에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에 저장된 곡물을 담아 인출하는 곡물인출받이(29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곡물인출받이(290)는 상면에 상기 곡물배출구(211)와 연통되는 배출공(291)을 형성하고, 하면에 전 후방이 개방된 선반(292)과, 상기 선반(292)의 내측에 외부에서 푸쉬작동에 의해 전, 후진작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291)을 개폐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10)에 저장되어 있는 곡물을 인출하여 담아서 하방으로 배출하는 서랍(293)을 구비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곡물인출받이(29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저장된 곡물을 배출공(291)과 서랍(293)의 푸쉬작동을 통해서 원하는 만큼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곡물 냉장고는 기존의 곡물 냉장고에 비하여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고정수단(280)의 내부를 실리콘재로 밀폐시킴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냉각관체(260)의 내부에 유입되는 차단할 수 있었으나, 메쉬망(270)의 내측에 발생되는 결로발생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집을 이사하는 경우, 정전사태가 발생하는 경우에 곡물 냉장고에 전원을 일정시간 동안 공급하지 못한 상태에 있다가 이사 완료하거나 정전사태가 치유되게 되면 전원이 재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이 일시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 열용량이 작은 메쉬망(270)은 온도 변화 속도가 냉각관체(260) 보다 빠르기 때문에 메쉬망(270)의 내측에는 무정전 시간이 장기화될 때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곡물냉장고에서 고정봉(220)을 브라켓(221)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하고, 결로방지수단(230)의 제1 삽입공(232), 지지판(240)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공(241), 한쌍의 지지발(253)의 중앙의 관통공들을 관통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제1 파이프(251), 제2 파이프(252) 및 배수파이프(281)가 삽입된 튜브를 결로방지수단(230)과 지지판(240)의 통공들을 통과시켜야 하기 때문에 튜브가 왜곡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작업이 하나의 냉장고 제작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냉각관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메쉬망의 하부를 결로 방지구조를 채택하도록 함으로써 매쉬망에 의하여 결로가 방지되도록 하는 곡물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관체, 지지판을 하나의 단위 구조로 완성하고, 결로방지수단을 하나의 구조로 형성한 후 이들을 본딩함으로써 튜브의 손상등을 방지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제작공정이 용이하고, 제작시간을 단축하도록 한 곡물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곡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로 곡물을 배출하는 곡물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지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브라켓과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며 상면이 개구되고 하면이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결로방지수단; 상기 결로방지수단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판; 하면이 개구되고 상면이 폐쇄되고 하면이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판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냉각 관체; 상기 냉각관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 상단부가 폐쇄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부캡으로 이루어지는 매쉬망을 포함하되, 상기 매쉬망의 내부에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결로방지수단과의 접촉부분과, 상기 결로방지수단과, 상기 지지판, 상기 냉각관체가 수용되되, 상기 냉각관체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캡의 저면에는 제3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배수공을 통하여 수집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해결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매쉬망 내측에 발생하는 수분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곡물 냉장고에 저장되는 곡물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제작이 용이한 곡물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곡물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매쉬망의 조립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튜브 내에 삽입되는 관들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매쉬망의 조립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튜브 내에 삽입되는 관들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1, 2에 도시된 곡물 냉장고를 개량시킨 것으로, 도 1, 2에 도시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곡물 냉장고(100)은 케이스(101)의 내부에는 상부에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하게 되며 하부로 곡물배출구가 형성되고 곡물배출구가 개폐수단에 의하여 개폐됨으로써 저장된 곡물이 외부로 인출되는 하우징(210)이 설치된다.
하우징(210)의 내측 하부 중앙에는 지면에 수평방향으로 브라켓(221)이 설치된다. 브라켓(221)은 판상부재(2212)와, 판상부재(2212)의 양측부에 결합되어 하우징 양측벽에 단부가 고정되는 두 개의 금속봉(2211), (221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브라켓(221)의 판상부재(2212)의 상부면에는 결로방지수단(2300)이 설치되고, 결로방지수단(2300)의 상부면에는 고정봉(2200)이 설치된 지지판(2400)이 설치된다.
고정봉(2200)은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몸체의 하부에 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볼트헤드(2201)로 형성되며, 몸체의 상단부가 너트(2601)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는 후술되는 지지체(2400)의 중앙통공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볼트헤드(2201)가 지지체(2400)의 저면에 접촉되게 된다.
또한 지지판(2400)의 상부에는 상부면이 폐쇄되고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냉각관체(260)가 설치되고, 냉각관체(260)의 내부와 지지판(240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는 나선 형상의 증발기(250)가 설치되며, 지지판(2400)의 상부에는 고정봉(2200)의 몸체가 관통하는 받침판(244)이 설치되고, 증발기(250)의 상, 하단 각각에는 한 쌍의 지지발(253)을 구비하되, 한 쌍의 지지발(253)은 중앙이 고정봉(2200)의 몸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가장자리가 증발기(250)의 외측면을 감싸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냉각관체(260)의 외측에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저장되는 곡물의 접촉을 방지하는 메쉬망(2700)이 설치되고, 지지판(240)에는 증발기(250)에 냉매를 유입 유출하고 응결수를 배수하는 파이프들이 함께 삽입되어 고정하게 되는 고정수단및 하우징(21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어 하우징(210)의 내부에 저장된 곡물을 인출하는 곡물인출받이(290)를 구비하게 된다.
하우징(21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하면을 향해 원뿔 또는 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최하부의 중앙에는 곡물인출받이(290)에 의하여 개폐되며 저장된 곡물을 배출하는 곡물배출구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곡물을 냉장 저장하게 된다.
브라켓(221)의 판상부재(2212)의 상부면에는 결로방지수단(2300)가 본드 등의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게 된다. 결로방지수단(2300)은 상면이 개구되고, 하면이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면에는 제1 배수공(2301)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제1 배수공(2301)에는 후술되는 튜브(2800)가 통과되도록 한다.
결로방지수단(2300)의 원통형상의 상부단면과 지지판(2400)의 외측 저면은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고, 결로방지수단(2300)의 내부 공간과 지지판(2400)의 외측 저면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은 외부로부터 냉각 관체(260)의 내부로의 열전달을 차단하여 냉각 관체(260)가 효율적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지지판(2400)은 중심에 고정봉(2200)의 몸체가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판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심의 관통공을 중심으로 상향 돌출된 동심원상의 원형 돌출부(24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 돌출부(2402)의 외측으로는 냉각 관체(260)의 하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 또한 지지판(2400)의 원형 돌출부의 내측에는 제2 배수공(2403)이 관통되어 있어 후술되는 배수파이프가 관통되게 된다. 이때 지지판(2400)의 원형 돌출부의 내측의 표면은 제2 배수공(2403)이 가장 낮은 위치를 형성하도록 하는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판(2400)에는 고정봉(2200)의 볼트헤드(2201)가 저면 외측에 걸리면서 몸체가 중심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게 되고, 지지판(2400)의 원형 돌출부(2402)의 내측에는 수분 유도판(244)이 설치된다.
수분 유도판(244)에는 제2 배수공(2403)에 대향되는 제3배수공(2441)이 형성되며, 수분 유도판(244)는 제3배수공(2441)이 가장 낮은 위치를 갖도록 하여 표면에 축적되는 수분이 제3배수공(2441)을 따라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관체(260)의 내측 상하부에는 고정봉(2200) 몸체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상, 하 한쌍의 지지발(253)에 의하여 고정되게 증발기(250)가 설치된다. 증발기(250)에는 증발기(250)의 냉매유입구 및 냉매유출구에 각각 결합되는 제1 파이프(251) 및 제2 파이프(252)가 연결되어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지지판(2400)의 원형 돌출부(2402)의 내측에 수집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위해서 제2 배출공(2403)에는 제3 파이프(2404)가 설치되어 외부로 인출되고, 제2 배출공(2403)에는 제1 파이프(251), 제2 파이프(252)가 함께 관통되도록 한다.
또한 결로방지수단(230)의 내부에 수집되는 수분은 제1 배수공(2301)에 설치되는 제4 파이프(2302)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제1 배수공(2301)에는 제1 파이프(251), 제2 파이프(252), 제3 파이프(2404), 제4 파이프(2302)가 함께 통과하게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251), 제2 파이프(252), 제3 파이프(2404), 제4 파이프(2302)를 하나의 튜브(2800) 내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튜브(2800)와 이들 파이프들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게 되고, 이러한 공간을 통해 외부 공기가 냉각관체(26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지하기 위하여 튜브의 내부의 공간에 합성수지를 충진시킨 후 경화시킴으로써 빈 공간을 통하여 유체흐름을 차단하고, 외부 공기가 냉각관체(260)로 유입되는 경로를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합성수지는 공지된 다양한 합성수지가 적용될 수 있으나, 우레탄수지 또는 실리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210)의 최하부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곡물배출구(211)의 저면에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에 저장된 곡물을 담아 인출하는 곡물인출받이(290)를 구비하게 된다. 곡물인출받이(290)는 상면에 곡물배출구(211)와 연통되는 배출공(291)을 형성하고, 하면에 전 후방이 개방된 선반(292)과, 선반(292)의 내측에 외부에서 푸쉬작동에 의해 전, 후진작동하도록 형성되고 배출공(291)을 개폐하도록 형성되어 하우징(210)에 저장되어 있는 곡물을 인출하여 담아서 하방으로 배출하는 서랍(293)을 구비하게 된다. 그러므로 곡물인출받이(29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저장된 곡물을 배출공(291)과 서랍(293)의 푸쉬작동을 통해서 원하는 만큼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냉각관체(260)의 외측으로는 매쉬망(2700)이 설치되어 직접 곡물이 냉각관체(260)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며, 매쉬망(2700)의 내부에는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과 결로방지수단과의 접촉부분과, 결로방지수단과, 지지판, 냉각관체가 수용된다. 또한 매쉬망(2700)은 원통부(2750)와 원통부의 상부를 덮는 상부 캡(2720)으로 이루어지며, 원통부(2750)의 하부에는 하부 캡(2710)이 설치된다. 이때 매쉬망(2700)의 원통부(2750)와 상부 캡(2720)은 분리된 구조가 아닌 하나의 물품으로 제작될 수 있다.
매쉬망(2700)의 원통부(2730)의 하단부에는 하단에 개구부를 갖는 삽입홈(2701), (2702)이 상향되게 형성되며, 삽입홈(2701), (2702)들에는 브라켓(221)의 금속봉(2210), (2211)들이 삽입되게 되게 되어 브라켓(221)의 상부에 매쉬망(2700)의 원통부(2730)가 설치되게 된다.
또한 매쉬망(2700)의 하부 캡(2710)의 상단부에는 상부가 개구된 하향 삽입홈들(27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홈들에 브라켓(221)의 금속봉(2210), (2211)들이 삽입된 후에 원통부(2730)와 결합되게 되어, 외부에서 볼 때 냉각관체(260)가 매쉬망(2700)에 의하여 감싸지는 형태가 된다.
하부 캡(2710)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수분이 통과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면에는 제3 배수공(27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3 배수공(2730)에는 튜브(2800)과 관통하며, 제3 배수공(2730)에서 수집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5 파이프(2705)가 설치되어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메쉬망(2700)의 내부의 수분은 하부 캡(2710)에 수집되게 되고 결국 하부 캡(2710)에 형성된 제3 배출공(2730)에 설치된 제5 파이프(2705)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Claims (6)

  1.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곡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로 곡물을 배출하는 곡물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지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브라켓과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며 상면이 개구되고 하면이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결로방지수단;
    상기 결로방지수단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판;
    하면이 개구되고 상면이 폐쇄되고 하면이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판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냉각 관체;
    상기 냉각관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
    상단부가 폐쇄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부캡으로 이루어지는 매쉬망을 포함하되,
    상기 매쉬망의 내부에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결로방지수단과의 접촉부분과, 상기 결로방지수단과, 상기 지지판, 상기 냉각관체가 수용되되, 상기 냉각관체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캡의 저면에는 제3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배수공을 통하여 수집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로방지수단의 하면에는 제1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제2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의 냉매유입구와 냉매유출구에 각각 연결되는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가 상기 제1 배수공과 상기 제2 배수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제1 배수공에는 수집된 수분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제4 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의 제2 배수공에는 제3 파이프가 설치되고 제3 파이프는 제1 배수공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2, 3, 4 파이프들은 하나의 튜브 내에 내장되고, 상기 튜브 내의 공간은 합성수지를 충진시켜 유체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75013A 2019-12-26 2019-12-26 곡물 냉장고 KR102303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013A KR102303535B1 (ko) 2019-12-26 2019-12-26 곡물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013A KR102303535B1 (ko) 2019-12-26 2019-12-26 곡물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753A KR20210082753A (ko) 2021-07-06
KR102303535B1 true KR102303535B1 (ko) 2021-09-17

Family

ID=76860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013A KR102303535B1 (ko) 2019-12-26 2019-12-26 곡물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53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5918A (ja) 2002-09-20 2004-04-08 Marumasu Kikai Kk 穀物低温貯蔵装置
KR200390039Y1 (ko) 2005-04-26 2005-07-18 박성철 곡물냉장고의 냉각장치
KR100697725B1 (ko) 2006-02-22 2007-03-20 주식회사 윈머스 쌀통이 구비된 냉장고
KR100730303B1 (ko) 2006-03-13 2007-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기 전달율 및 확산율을 개선한 곡물 냉장고
KR100850923B1 (ko) 2007-04-02 2008-08-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배수호스 조립체
KR101996911B1 (ko) 2018-02-23 2019-07-05 박성철 곡물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309B1 (ko) * 2009-12-04 2017-08-08 박성철 곡물 냉장고
KR20130068731A (ko) * 2011-12-16 2013-06-26 박성철 곡물 냉장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5918A (ja) 2002-09-20 2004-04-08 Marumasu Kikai Kk 穀物低温貯蔵装置
KR200390039Y1 (ko) 2005-04-26 2005-07-18 박성철 곡물냉장고의 냉각장치
KR100697725B1 (ko) 2006-02-22 2007-03-20 주식회사 윈머스 쌀통이 구비된 냉장고
KR100730303B1 (ko) 2006-03-13 2007-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기 전달율 및 확산율을 개선한 곡물 냉장고
KR100850923B1 (ko) 2007-04-02 2008-08-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배수호스 조립체
KR101996911B1 (ko) 2018-02-23 2019-07-05 박성철 곡물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753A (ko)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0348B2 (en) Refrigerator
KR102311397B1 (ko) 냉장고
KR100499025B1 (ko) 냉장고
US9644887B2 (en) Heat exchanger assembly,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US20080078197A1 (en) Refrigerator with cooling chamber-connecting drain pipe
KR102303535B1 (ko) 곡물 냉장고
CN111609643A (zh) 一种用于防止冰箱排水管堵塞的漏斗及冰箱
CN105737485A (zh) 具有盖板的制冷器具
KR101996911B1 (ko) 곡물 냉장고
JP5417397B2 (ja) 冷蔵庫
US20120060549A1 (en) Heat exchanger for an appliance
KR101754360B1 (ko) 냉장고
JP6526277B1 (ja) 穀物冷蔵庫
US11561038B2 (en) Grain refrigerator
CN210832694U (zh) 一种具有排水管的冰箱
JP2007078319A (ja) 冷蔵庫
JP7300592B2 (ja) 冷蔵庫
WO2022257886A1 (zh) 制冷家电的风口
KR100693191B1 (ko)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석션 파이프 고정장치
CN106322897A (zh) 制冷装置
JP2008095985A (ja) 冷蔵庫
JPH11201622A (ja) 冷蔵庫
JP6460620B2 (ja) 冷蔵庫
KR20210089551A (ko) 냉장고
CN111380271A (zh) 排水结构及卧式冷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