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508B1 - 현수막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현수막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508B1
KR102303508B1 KR1020210057172A KR20210057172A KR102303508B1 KR 102303508 B1 KR102303508 B1 KR 102303508B1 KR 1020210057172 A KR1020210057172 A KR 1020210057172A KR 20210057172 A KR20210057172 A KR 20210057172A KR 102303508 B1 KR102303508 B1 KR 102303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nner
vertical beam
vertical
back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원선
황순재
Original Assignee
황원선
황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원선, 황순재 filed Critical 황원선
Priority to KR1020210057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2/24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막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테두리를 따라 판상의 끼움스틱이 구비된 현수막; 상기 현수막에 대응하는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에 상기 현수막의 상기 끼움스틱이 끼워져서 고정되는 끼움홈을 갖는 액자형 프레임;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을 차폐하는 백보드; 및 상기 백보드를 상기 액자형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보드 패스너;를 포함하며, 현수막을 액자형 프레임에 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수막 거치장치 {Apparatus for supporting a banner}
본 발명은 현수막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현수막의 테두리를 고정하여 현수막을 긴장상태로 거치할 수 있는 현수막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막은 직물이나 비닐 등의 박막으로 제조되어 양단에 막대나 프레임이 설치된다. 이러한 현수막은 양단의 막대나 프레임이 끈을 통해 나무나 기둥 등에 고정됨에 따라 현수상태로 현시된다. 하지만, 이러한 현수막은 일일이 끈을 고정해야 하므로 고정에 불폄함이 있다. 최근, 이를 해결하고자 현수막을 용이하게 거치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의 특허공개 제10-2018-0014611호(상상오디자인)는, 현수막(1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호 마주보며 상향 수직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지주(100); 상기 현수막(10)의 좌우 양단을 고정하고 상기 지주(100)의 사이에 위치되게 마련되는 현수막 고정프레임(200); 상기 지주(100)에 회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현수막 고정프레임(200)의 상하측을 지지하며 고정하도록 된 회전프레임(300); 상기 지주(100)의 일측에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프레임(300)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회동수단(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현수막 고정프레임(200)은 상기 현수막(10)의 좌우 양단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현수막(10)의 좌우 양측 단부와 접촉되는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핀고정부(211)가 형성된 메인프레임(210)과,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일측에 회동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핀고정부(211)가 형성된 메인프레임(210)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내면에는 상기 현수막(10)을 관통하여 상기 핀고정부(211)에 삽입 고정되는 현수막고정핀(221)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커버프레임(220)과, 상기 메인프레임(210)과 커버프레임(220)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그 커버프레임(220)의 개방과 폐쇄상태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230)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장치를 제공한다.
대한민국 특허청의 특허공개 제10-2020-0132324호(애드컴)는, 판상의 설치본체(121)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설치본체(12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상부에서 설치본체(121) 전면에 설치되는 현수막(P)의 전면을 가압하는 상부지지부(123)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설치본체(121)의 양측 측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가로 방향 양측에서 설치본체(121) 전면에 설치되는 현수막(P)의 전면을 가압하는 측부지지부(127)를 가지는 현수막설치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본체(121)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현수막결합부(122)가 구비되어, 현수막결합부(122)가 현수막(P)을 관통하면서 현수막(P)을 지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현수막(P)이 설치본체(121)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고정장치(100)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회전프레임(300)이나 회동수단(400) 또는 회전되는 상부지지부(123)나 측부지지부(127)를 구비해야 하므로 제조가 어렵고, 제조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8-0014611호(상상오디자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0-0132324호(애드컴)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현수막이 설치되는 액자형 프레임이 구비되고, 이러한 액자형 프레임을 따라 끼워지는 끼움부재가 현수막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현수막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현수막 거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액자형 프레임의 후방을 판상의 부재로 차폐할 수 있고, 이러한 판상의 부재를 액자형 프레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현수막 거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액자형 프레임 및/또는 판상의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부재를 압출로 제조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압출시 현수막의 끼움부재나 판상의 부재 또는 이러한 판상의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부재의 고정을 위한 부위를 함께 성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압출로 제조된 부재들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현수막 거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 액자형 프레임의 내측에서 광원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이러한 광원을 액자형 프레임의 내측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현수막 거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한, 판상의 부재나 이러한 판상의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부재들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성요소가 구비된 현수막 거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현수막 거치장치는, 테두리를 따라 판상의 끼움스틱이 구비된 현수막; 상기 현수막에 대응하는 사각형이나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에 상기 현수막의 상기 끼움스틱이 끼워져서 고정되는 끼움홈을 갖는 액자형 프레임;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을 차폐하는 백보드; 및 상기 백보드를 상기 액자형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보드 패스너;를 포함한다.
상기 보드 패스너는, 상기 액자형 프레임에 이격상태를 이루면서 수직상태로 설치되고,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어 양측에 상기 백보드의 테두리가 끼워지는 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버티컬빔;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자형 프레임은, 상기 끼움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복수로 구성되어 사각이나 다각으로 조립됨에 따라 사각형이나 다각형의 형태를 제공하는 복수의 프로파일 압출바; 및 상기 압출바들을 일체로 연결하여 사각형이나 다각형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압출바는, 상기 끼움홈이 상기 현수막과 대향하는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보드 패스너를 구성하는 상기 버티컬빔의 상단 및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기 버티컬빔의 상단 및 하단과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출바는, 판상의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이격상태로 중첩되어 이격된 틈새를 통해 상기 끼움홈을 제공하는 판상의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판상형 리브;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이격상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외측에 상기 삽입홈을 제공하는 복수의 연장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압출바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양측이 제각기 삽입되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압출바들의 전방측 단부나 후방측 단부로 삽입되어 상기 압출바들의 전방측 단부나 후방측 단부를 조립식으로 연결하는 전방 꺽쇠 및 후방 꺽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출바들은, 상기 전방 꺽쇠나 상기 후방꺽쇠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꺽쇠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꺽쇠 삽입부는, 상기 리브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돌출형성되어 이격된 틈새를 통해 상기 전방 꺽쇠나 상기 후방 꺽쇠가 삽입되는 꺽쇠 삽입부를 제공하는 꺽쇠 돌기;로 구성된다.
상기 꺽쇠 돌기는, 상기 전방 꺽쇠나 상기 후방 꺽쇠의 일면이 걸림에 따라 상기 전방 꺽쇠나 상기 후방 꺽쇠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 꺽쇠는, 상기 전방 꺽쇠의 길이 및 두께 보다 길거나 두껍게 구성되고, 강성이 보강되도록 철(凸)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꺽쇠 삽입부는, 상기 전방 꺽쇠나 상기 후방 꺽쇠의 표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전방 꺽쇠나 상기 후방 꺽쇠의 표면을 국부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백보드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현수막을 향해 조명을 제공하는 광원;을 더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상기 백보드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전면에 엘이디가 실장된 복수의 바형 조명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조명모듈들은, 상기 백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티컬빔은, 상기 조명모듈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모듈 삽입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버티컬빔이나 백보드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스프링 클립;을 더 포함한다.
상기 판스프링 클립은, 상기 버티컬빔을 지지하는 버티컬 클립이나 상기 백보드를 지지하는 백보드 클립으로 구성된다.
상기 버티컬 클립은, 상기 버티컬빔에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판상의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일단부에서 절곡되어 경사를 이루고, 상기 수직부와 함께 상기 버티컬빔에 삽입되어 경사에 의해 상기 버티컬빔의 내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상의 일측 경사부; 및 상기 수직부의 타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버티컬빔의 외측을 향해 경사를 이루고, 상기 버티컬빔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노출되어 경사에 의해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일부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상의 타측 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버티컬 클립은, 상기 타측 경사부에서 상기 수직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상기 수직부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판상의 추가 경사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달리, 상기 버티컬 클립은, 상기 버티컬빔에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판상의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일단부에서 절곡되어 경사를 이루고, 상기 수직부와 함께 상기 버티컬빔에 삽입되어 경사에 의해 상기 버티컬빔의 내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상의 일측 경사부; 및 상기 수직부의 타단부나 상기 일측 경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액자형 프레임이나 상기 버티컬빔에 관통상태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버티컬빔은, 상기 버티컬 클립의 상기 수직부 및 상기 일측 경사부가 삽입되는 중공 및 상기 타측 경사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백보드 클립은, 상기 백보드의 측면을 이루는 상기 백보드의 측방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백보드의 측방측 단부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나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백보드의 단부를 차폐하는 판상의 차폐부; 상기 차폐부의 일단부에 절곡상태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일측 의해 적어도 일부분이 탄력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탄성력을 확보하며, 다른 일부분을 통해 상기 백보드의 일측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상의 일측 밴딩부; 및 상기 차폐부의 타단부에 절곡상태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타측에 의해 적어도 일부분이 탄력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탄성력을 확보하며, 다른 일부분을 통해 상기 백보드의 타측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상의 타측 밴딩부;를 포함한다.
상기 일측 밴딩부는, 상기 차폐부의 일단부에 절곡형성되고,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일측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의 단부에서 상기 백보드의 일측면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백보드의 일측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한다.
상기 타측 밴딩부는, 상기 차폐부의 타단부에 절곡형성되고,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타측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제3 절곡부; 및 상기 제3 절곡부의 단부에서 상기 백보드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백보드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4 절곡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달리, 상기 일측 밴딩부는, 상기 차폐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백보드의 일측면을 향해 절곡형성되는 제5 절곡부 및 상기 제5 절곡부의 단부에서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일측을 향해 절곡형성되어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일측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제6 절곡부로 구성되어 V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딜리, 상기 타측 밴딩부는, 상기 차폐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백보드의 타측면을 향해 절곡형성되는 제7 절곡부 및 상기 제7 절곡부의 단부에서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타측을 향해 절곡형성되어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타측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제8 절곡부로 구성되어 V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폐부는, 중앙부가 절곡되어 강성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와 같은 형태로 절곡되어 대칭의 경사를 갖는 일측 절곡부 및 타측 절곡부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현수막의 크기에 대응형성된 액자형 프레임에 현수막이 설치되므로 현수막을 긴장상태로 설치할 수 있고, 현수막의 끼움스틱을 액자형 프레임의 끼움홈에 끼워서 현수막을 액자형 프레임에 고정하므로 현수막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버티컬빔의 양측에 보드홈이 형성되므로 액자형 프레임의 내측에 백보드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백보드를 통해 액자형 프레임의 후방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압출바를 커넥터를 통해 조립하여 사각이나 다각의 액자형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액자형 프레임을 현장에서 조립식으로 제조할 수 있고, 압출바의 일측 및 타측에 끼움홈 및 삽입홈이 구비되므로 현수막 및 백보드, 그리고 버티컬빔을 압출바에 모두 설치할 수 있다.
또, 압출바가 서로 이격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그리고 복수의 리브 및 복수의 연장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알루미늄 압출에 의해 제조되므로 액자형 프레임의 자중을 경감시킬 수 있고,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의 이격된 틈새를 통해 끼움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연장 플레이트들의 이격된 틈새를 통해 삽입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꺽쇠 돌기가 리브와 이격된 상태로 돌출형성되므로 이격된 틈새를 통해 꺽쇠 삽입부를 제공할 수 있으며, 꺽쇠 돌기가 커넥터를 지지하므로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커넥터가 직각으로 절곡형성된 전방 꺽쇠 및/또는 후방 꺽쇠로 구성되므로 서로 마주하는 압출바의 단부들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압출바들의 전방 및/또는 후방을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압출바에 꺽쇠 삽입부가 구비되므로 커넥터를 압출바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후방 꺽쇠가 전방 꺽쇠의 길이 및 두께 보다 길거나 두껍게 구성되므로 압출바의 후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후방 꺽쇠의 단면이 철(凸)형으로 형성될 경우 후방 꺽쇠의 무게를 경감시키면서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꺽쇠 삽입부에 지지돌기가 구비될 경우 커넥터의 억지끼움시 커넥터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억지끼움된 커넥터를 지지돌기가 지지하므로 커넥터의 이탈을 억제할 수도 있다.
아울러, 광원이 구비될 경우 현수막에 조명을 제공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광원이 엘이디가 실장된 복수의 바형 조명모듈로 구성되므로 광원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조명모듈이 버티컬빔의 모듈 삽입홈에 끼워져서 고정되므로 조명모듈을 액자형 프레임의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게다가, 판스프링식으로 버티컬빔이나 백보드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버티컬 클립이나 백보드 클립이 구비될 경우, 버티컬빔이나 백보드가 액자형 프레임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버티컬 클립이 지그재그로 절곡된 수직부, 일측 경사부 및 타측 경사부로 구성되고, 백보드 클립이 차폐부, 일측 밴딩부 및 타측 밴딩부로 구성되므로 탄성력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덧붙여, 버티컬빔에 중공 및 수용홈이 구비되어 버티컬 클립의 일부분이 용이하게 버티컬빔에 삽입되거나 버티컬빔에서 노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자형 프레임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도 3에 도시된 액자형 프레임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액자형 프레임의 단부측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액자형 프래임의 단부측을 확대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액자형 프레임을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프로파일 압출바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버티컬빔과 백보드 및 광원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버티컬빔의 상단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액자형 프레임의 종단면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버티컬 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버티컬 클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우측용 프로파일 압출바를 확대 도시한 평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백보드 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5는 도 3에 도시된 액자형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 및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액자형 프레임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수막 거치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1), 액자형 프레임(10), 백보드(40) 및 후술되는 버티컬빔(30)으로 구성된 보드 패스너를 포함한다. 현수막(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박막으로 구성되며, 테두리를 다라 끼움스틱(1a)이 구비된다. 끼움스틱(1a)은 도 7의 하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막대로 구성되며, 예컨대 마찰력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로 구성될 수 있다. 끼움스틱(1a)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형 프레임(10)을 구성하는 프로파일 압출바(11~14)의 끼움홈(S1)에 끼워져서 걸림상태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현수막(1)은 끼움스틱(1a)에 의해 착탈식으로 액자형 프레임(10)에 고정된다. 다라서, 작업자는 착탈식으로 현수막(1)이 고정되므로 현수막(1)을 액자형 프레임(10)에 용이하게 고정하거나 탈거할 수 있다.
액자형 프레임(10)은 도 2 및 도 7의 전술한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1)에 대응하는 사각형이나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즉, 액자형 프레임(10)은 현수막(1)의 형태에 따라 사각이나 마름모 또는 사다리꼴이나 육각 또는 팔각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설명에 있어서, 액자형 프레임(10)은 편의상 사각형으로 형성된 것만 대표적으로 설명한다.
액자형 프레임(10)은 전술한 압출바(11~14)에 의해 현수막(1)과 대향하는 일측에 끼움홈(S1)을 제공한다. 즉, 압출바(11~14)는 전방에 끼움홈(S1)을 제공한다. 따라서, 액자형 프레임(10)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현수막(1)이 고정된다.
액자형 프레임(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복수의 압출바(11~14)로 구성되며, 이러한 압출바(11~14)들이 사각으로 조립됨에 따라 사각형의 형태를 형성한다. 압출바(11~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형 프레임(10)의 상하부 및 양측부를 구성하는 상부 압출바(11) 및 하부 압출바(13), 그리고 우측 압출바(12) 및 좌측 압출바(14)로 구성된다. 압출바(11~14)는 전술한 끼움홈(S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압출바(11~14)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0)에 의해 사각으로 조립되어 사각형의 형태를 유지한다. 커넥터(2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꺽쇠(21) 및 후방 꺽쇠(22)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방 꺽쇠(21) 및 후방 꺽쇠(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바(11~14)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양측이 제각기 삽입되도록 '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전방 꺽쇠(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를 서로 마주하는 압출바(11~14)들의 전방측 단부로 삽입되어 압출바(11~14)들의 전방측 단부를 조립식으로 연결한다. 후방 꺽쇠(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를 서로 마주하는 압출바(11~14)들의 후방측 단부로 삽입되어 압출바(11~14)들의 후방측 단부를 조립식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액자형 프레임(10)은 모서리를 이루는 압출바(11~14)들의 단부가 커넥터(20)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사각형의 형태를 제공한다.
커넥터(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에 의해 볼팅으로 압출바(11~14)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볼트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0)를 관통하여 압출바(11~14)에 체결된다. 따라서, 압출바(11~14)들은 더욱 견고하게 연결된다.
압출바(11~14)는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제1 플레이트(11a) 및 제2 플레이트(11b), 그리고 판상의 리브(11c) 및 연장 플레이트(11f)로 구성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1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1a)와 이격상태로 중첩되어 이격된 틈새를 통해 끼움스틱(1a)이 끼워지는 끼움홈(S1)을 제공한다. 제2 플레이트(11b)는 강성보강 내지 압력분산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에 구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리브(11c)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며, 제1 플레이트(11a) 및 제2 플레이트(11b) 사이에 구비되어 제1 플레이트(11a) 및 제2 플레이트(11b)를 이격상태로 연결한다. 판상 리브(11c)는 이격된 제1 플레이트(11a) 및 제2 플레이트(11b)를 지지하여 판재형의 제1 플레이트(11a) 및 제2 플레이트(11b)의 강성을 보강한다.
연장 플레이트(11f)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며, 제2 플레이트(11b)에 이격상태로 연장형성되어 제2 플레이트(11b)의 외측에 후술되는 백보드(40)나 버티컬빔(40)이 삽입되는 삽입홈(S4)을 제공한다. 연장 플레이트(11f)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11b)의 후단부에 삽입홈(S4)이 제공되도록 제2 플레이트(11b)의 후단부에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압출바(11~14)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에 끼움홈(S1)이 구비되고, 버티컬빔(30)의 상단 및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S4)이 버티컬빔(30)의 상단 및 하단과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된다.
압출바(11~14)들은 도 7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꺽쇠 삽입부(S2, S3)가 구비된다. 꺽쇠 삽입부(S2, S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전방 꺽쇠(21)나 후방꺽쇠(22)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꺽쇠 삽입부(S2, S3)는 전방 꺽쇠(21)나 후방꺽쇠(22)가 삽입된다.
꺽쇠 삽입부(S2, S3)는 도 7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플레이트(11a) 및 제2 플레이트(11b)에 꺽쇠 돌기(11d, 11e)가 돌출형성됨에 따라 압출바(11~14)에 일체로 형성된다. 꺽쇠 돌기(11d, 11e)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1a) 및 제2 플레이트(11b)의 리브(11c)와 이격상태로 제1 플레이트(11a) 및 제2 플레이트(11b)에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꺽쇠 돌기(11d, 11e)는 리브(11c)와 이격된 틈새를 통해 꺽쇠 삽입부(S2, S3)를 제공한다.
꺽쇠 돌기(11d, 11e)는 도 7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꺽쇠(21)나 후방 꺽쇠(22)의 일면(전면이나 후면)이 걸린다. 따라서, 꺽쇠 돌기(11d, 11e)는 전방 꺽쇠(21)나 후방 꺽쇠(22)가 꺽쇠 삽입부(S2, S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꺽쇠 돌기(11d, 11e)는 도시된 바와 달리, 리브(11c)와 같은 판상형으로 구성되어 리브(11c)와 이격상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꺽쇠 돌기(11d, 11e)는 이격된 틈새로 꺽쇠 삽입부(S2, S3)를 제공한다.
여기서, 전술한 후방 꺽쇠(22)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바(11~14)들의 자중지지나 볼팅을 위해 전방 꺽쇠(21)의 길이 및 두께 보다 길거나 두껍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 꺽쇠(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이 보강되도록 철(凸)형의 단면으로 형성된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꺽쇠 삽입부(S2, S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11p)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돌기(11p)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전방 꺽쇠(21)나 후방 꺽쇠(22)를 마주하는 리브(11c)의 일측면에 이격상태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돌기(11p)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꺽쇠(21)나 후방 꺽쇠(22)의 표면을 향해 돌출되어 이들의 표면을 국부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전방 꺽쇠(21)나 후방 꺽쇠(22)는 꺽쇠 삽입부(S2, S3)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될 경우, 지지돌기(11p)가 이격상태로 돌출형성되어 마찰저항이 감소됨에 따라 용이하게 삽입되고, 삽입된 후 지지돌기(11p)가 지지함에 따라 꺽쇠 삽입부(S2, S3)에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한편, 전술한 백보드(40)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액자형 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된다. 즉, 백보드(40)는 액자형 프레임(10)의 후방을 차폐한다.
다른 한편, 전술한 보드 패스너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버티컬빔(30)으로 구성된다. 버티컬빔(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어 액자형 프레임(10)에 이격상태를 이루면서 수직상태로 설치된다. 버티컬빔(30)은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바(11~14)의 후단부에 형성된 전술한 삽입홈(S4)에 상단부 및 하단부가 삽입된다. 따라서, 버티컬빔(30)은 압출바(11~14)에 착탈가능하게 일체로 고정된다.
버티컬빔(30)은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백보드(40)의 양측 테두리가 끼워지는 보드홈(3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버티컬빔(30)은 백보드(40)를 액자형 프레임(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버티컬빔(30)은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모듈 삽입홈(32)이 보드홈(31)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모듈 삽입홈(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백보드(40)의 전방에 설치되는 광원의 바형태 조명모듈(50)이 설치된다. 모듈 삽입홈(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모듈(50)의 양단부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따라서, 버티컬빔(30)은 전방에 조명모듈(50)이 고정되고, 후방에 백보드(40)가 고정된다.
여기서, 전술한 조명모듈(5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보드(40)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바(Bar)로 형성되고, 복수로 구성되어 백보드(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상태로 설치된다. 조명모듈(50)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52)가 설치되는 와이어공(51b)을 갖는다. 조명모듈(50)들은 와이어공(51b)의 와이어(52)에 의해 등간격으로 연결된다.
조명모듈(5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다수의 엘이디(51a)가 실장된다. 따라서, 조명모듈(50)은 액자형 프레임(10)의 내부에서 현수막(1)을 향해 조명을 제공한다.
한편, 버티컬빔(30)은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34) 및 수용홈(33)이 구비된다. 중공(3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판스프링 클립의 버티컬 클립(35)에 구비된 수직부(35a) 및 일측 경사부(35e)가 삽입된다. 수용홈(33)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버티컬 클립(35)의 타측 경사부(35c)가 삽입상태로 수용된다.
판스프링 클립의 버티컬 클립(35)은 도 10 및 도 11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과 같이 판재로 형성되며, 버티컬빔(30)에 설치되어 압출바(11~14)에 설치된 버티컬빔(30)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버티컬 클립(35)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수직부(35a), 일측 경사부(35e) 및 타측 경사부(35c)로 구성된다.
수직부(35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버티컬빔(30)에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다, 일측 경사부(35e)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35a)의 일단부에서 절곡되어 경사를 이룬다. 일측 경사부(35e)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버티컬빔(30)의 중공(34)에 억지끼움이 가능한 각도의 경사를 갖는다. 일측 경사부(35e)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35a)와 함께 버티컬빔(30)의 중공(34)에 삽입되어 경사에 의해 버티컬빔(30)의 내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타측 경사부(35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35a)의 타단부에서 절곡되어 버티컬빔(30)의 외측을 향해 경사를 이룬다. 타측 경사부(35c)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버티컬빔(30)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노출된다. 타측 경사부(35c)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티컬빔(30)의 중공(34) 및 압출바(11~14)에 구비된 연장 플레이트(11f) 사이에 억지끼움이 가능한 경사를 갖는다. 타측 경사부(35c)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에 의해 액자형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압출바(11~14)의 일부분, 즉 연장 플레이트(11f)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이때, 타측 경사부(35c)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버티컬빔(30)의 전방에 형성된 수용홈(33)을 통해 연장 플레이트(11f)에 지지된다.
이러한 버티컬 클립(35)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35a) 및 일측 경사부(35e)가 버티컬빔(30)의 중공(34)에 억지끼움되고, 타측 경사부(35c)가 버티컬빔(30) 및 연장 플레이트(11f) 사이에 억지끼움되므로 버티컬빔(30) 및 연장 플레이트(11f)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버티컬빔(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연장 플레이트(11f)들 사이의 삽입홈(S4)으로 삽입된 상단 및 하단이 버티컬 클립(35)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므로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즉, 버티컬빔(30)은 연장 플레이트(11f)들 사이의 삽입홈(S4)에 삽입된 상단 및 하단의 유동이 방지된다.
여기서, 전술한 일측 경사부(35e) 및 타측 경사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배를 갖는 곡률부(35b, 35d)를 통해 수직부(35a)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측 경사부(35e) 및 타측 경사부(35c)는 곡률부(35b, 35d)의 구배에 의해 원활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일측 경사부(35e)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35a)를 향해 절곡되어 수직부(35a)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판상의 추가 경사부(35f)가 단부에 연강형성될 수 있다. 추가 경사부(35f)는 탄성력이 확보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버티컬빔(30)의 중공(34)에 억지끼움이 가능한 경사를 갖는다. 이러한 추가 경사부(35f)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35a)에 단부가 지지된 상태로 탄성변형하므로 일측 경사부(35e) 및 수직부(35a)가 버티컬빔(30)의 중공(3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전술한 연장 플레이트(11f)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경사부(35c)와 대향하는 일측면에 복수의 요철(Pd)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Pd)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Pd)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경사부(35c)의 단부가 걸린다. 따라서, 타측 경사부(35c)는 단부가 연장 플레이트(11f)의 일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전술한 버티컬 클립(35)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수직부(35a) 및 일측 경사부(35e), 그리고 전술한 타측 경사부(35c) 대신 수직부(35a)의 타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고정돌기(35g)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35g)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버티컬빔(30)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노출된다. 고정돌기(35g)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버티컬빔(30)이나 연장 플레이트(11f)에 형성된 관통공(HL)에 관통상태로 끼워져서 고정된다. 따라서, 수직부(35a)는 버티컬빔(30)의 중공(34)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고정돌기(35g)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경사부(35e)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일측 경사부(35e)의 고정돌기(35g)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버티컬빔(30)이나 연장 플레이트(11f)의 관통공(HL)에 관통상태로 삽입되어 걸린다. 따라서, 수직부(35a)는 버티컬빔(30)의 중공(34)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다른 한편, 판스프링 클립은 백보드(40)를 지지하는 백보드 클립(6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백보드 클립(60)은 단면의 형태에 따라 도 1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C형 백보드 클립(61) 및 도 1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M형 백보드 클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면이 대략 C형으로 형성된 C형 백보드 클립(61)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차폐부(61a), 그리고 후술되는 판상의 일측 밴딩부 및 판상의 타측 밴딩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차폐부(61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백보드(40)의 측면을 이루는 백보드(40)의 측방측 단부에 설치된다. 차폐부(61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백보드(40)의 측방측 단부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나 폭으로 형성되어 백보드(40)의 단부를 차폐한다.
일측 밴딩부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곡부(61b) 및 제2 절곡부(61c)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절곡부(61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61a)의 일단부에 절곡형성되고, 액자형 프레임(10)의 일측을 이루는 압출바(11~14)의 일측 연장 플레이트(11f)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제2 절곡부(61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곡부(61b)의 단부에서 백보드(40)의 일측면을 향해 절곡되어 백보드(40)의 일측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타측 밴딩부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절곡부(61d) 및 제4 절곡부(61f)로 구성할 수 있다. 제3 절곡부(61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61a)의 타단부에 절곡형성되고, 액자형 프레임(10)의 타측을 이루는 압출바(11~14)의 타측 연장 플레이트(11f)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제4 절곡부(61f)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절곡부(61d)의 단부에서 백보드(40)를 향해 절곡되어 백보드(40)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제4 절곡부(61f)는 탄성력 및 지지력 강화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절곡부(61e)를 통해 제3 절곡부(61d)에 연결될 수 있고, 단부의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접힘상태의 단부 절곡부(61g)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C형 백보드 클립(61)은 도 1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밴딩부 및 타측 밴딩부의 제1 절곡부(61b) 및 제3 절곡부(61d)에 의해 탄성력이 발생되며, 일측 밴딩부 및 타측 밴딩부의 제2 절곡부(61c) 및 제4 절곡부(61f)를 통해 백보드(40)를 지지한다. 따라서, 압축바(11~14)에 구비된 한쌍의 연장 플레이트(11f)들 사이에 삽입된 백보드(40)는, 백보드 클립(60)의 탄성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때, 제2 절곡부(61c) 및 제4 절곡부(61f)는 연장 플레이트(11f)에 형성된 요철(Pd)에 걸림상태로 고정되므로 이탈이 방지된다.
여기서, 전술한 차폐부(61a)는 강도 강화를 위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분이 절곡되어 일측 절곡부(62a) 및 타측 절곡부(62b)로 구성될 수 있다. 차폐부(61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와 같은 형태로 절곡된다.
그리고, 일측 밴딩부 및 타측 밴딩부는 전술한 바와 달리, 탄성력 강화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은 제5 절곡부(62c) 및 제6 절곡부(62d), 그리고 제7 절곡부(62e) 및 제8 절곡부(62f)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5 절곡부(62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61a)를 구성하는 일측 절곡부(62a)의 일단부에서 백보드(40)의 일측면을 향해 절곡형성된다. 제6 절곡부(62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절곡부(62c)의 단부에서 액자형 프레임(10)의 일측, 즉 연장 플레이트(11f)를 향해 절곡형성되어 연장 플레이트(11f)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일측 밴딩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절곡부(62c) 및 제6 절곡부(62d)로 구성되어 V형 단면을 갖는다.
타측 밴딩부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절곡부(62b)를 갖는 차폐부(61a)를 중심으로 전술한 제5 절곡부(62c) 및 제6 절곡부(62d)와 대칭상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타측 밴딩부는 역 V형 단면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 밴딩부 및 타측 밴딩부가 구성될 경우 백보드 클립(6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M형의 단면을 갖는 M형 백보드 클립(6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백보드 클립(60)은 도 1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절곡부(62c) 및 제6 절곡부(62d), 그리고 제7 절곡부(62e) 및 제8 절곡부(62f)가 연장 플레이트(11f)에 가압되어 탄성변형한다. 이러한 백보드 클립(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절곡부(62c) 및 제6 절곡부(62d) 사이의 변곡점 부위, 그리고 제7 절곡부(62e) 및 제8 절곡부(62f) 사이의 변곡점 부위가 탄성력에 의해 백보드(40)를 가압힌다. 따라서, 백보드(40)는 연장 플레이트(11f)들 사이의 삽입홈(S4)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한편, 전술한 압출바(11~14)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삽입홈(S4)이 제2 플레이트(11b)의 전방측에 구비되고, 전방 꺽쇠(21) 및 후방 꺽쇠(22)가 후방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압출바(11~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11b)의 전방측에 한쌍의 연장 플레이트(11f)들이 이격상태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꺽쇠 삽입부(S2, S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바(11~14)의 후방측에 형성된다, 이때, 꺽쇠 삽입부(S2, S3)는 도시된 바와 같이 꺽쇠 돌기(11d, 11e)가 각각 리브(11c) 및 연장 플레이트(11f)에 돌출형성됨에 따라 압출바(11~14)의 후방에 구비된다.
후방 꺽쇠(22)가 삽입되는 꺽쇠 삽입부(S4)의 꺽쇠 돌기(11e)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플레이트(11f)의 단부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직각 연장날개(11h)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압출바(11~14)를 구성할 경우, 압출바(11~14)의 전체적인 길이를 전술한 압출바(11~14) 보다 짧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액자형 프레임(10)의 두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비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압출바(11~14)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버티컬 클립(35)이 삽입홈(S4)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삽입홈(S4)은 전술한 백보드 클립(60)도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11의 미설명 도면부호 BK는 액자형 프레임(10)을 벽체(W)와 같은 구조물에 고정하는 브래킷이고, 도 11의 BT는 브래킷(BK)을 관통하여 벽체(W)에 체결되어 브래킷(BK)을 벽체(W)에 고정하는 볼트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압출바(11~14)가 커넥터(20)의 전방 꺽쇠(21) 및 후방 꺽쇠(22)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사각의 액자형 프레임(10)을 제공한다. 전방 꺽쇠(21) 및 후방 꺽쇠(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바(11~14)의 꺽쇠 삽입부(S2, S3)에 절곡된 양단부가 삽입되므로 압출바(11~14)들을 일체로 연결한다. 이때, 전방 꺽쇠(21) 및 후방 꺽쇠(2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1c)에 지지돌기(11p)가 구비될 경우 지지돌기(11p)에 지지되므로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볼팅으로 압출바(11~14)에 고정되므로 압출바(11~14)들을 견고하게 연결한다.
액자형 프레임(10)은 사각의 형태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W)에 볼팅으로 고정된 브래킷(BK)에 걸려서 고정된 후,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티컬빔(30)이 백보드(40)와 함께 설치된다. 백보드(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버티컬빔(30)의 양측에 구비된 보드홈(31)에 끼워져서 버티컬빔(30)과 일체를 이룬다. 버티컬빔(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바(11~14)의 삽입홈(S4)에 상단 및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버티컬빔(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티컬 클립(35)이 장착된 상태로 삽입홈(S4)에 삽입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버티컬 클립(35)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버티컬빔(30)의 중공(34)에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삽입홈(S4)에 삽입됨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력이 발생되어 버티컬빔(35)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버티컬빔(30)은 삽입홈(S4)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백보드(40) 중 액자형 프레임(10)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백보드(4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가 압출바(11~14)의 삽입홈(S4)에 삽입된다. 이러한 백보드(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백보드 클립(60)과 함께 삽입홈(S4)에 삽입되어 백브드 클립(6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즉, 백보드 클립(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홈(S4)에 삽입되면서 발생되는 탄성력을 통해 백보드(40)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백보드(40)는 삽입홈(S4)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백보드 클립(60) 및 버티컬 클립(35)은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S4)을 형성하는 연장 플레이트(11f)나 삽입홈(S4)의 내부에 구비된 요철(Pd)에 지지됨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된다.
버티컬빔(30)은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모듈 삽입홈(32)에 복수의 조명모듈(50)이 끼워져서 고정된다. 조명모듈(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52)로 연결되어 등간격의 상태로 버티컬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된다. 조명모듈(50)은 현수막(1)이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액자형 프레임(10)의 내부에서 조명을 발산한다.
액자형 프레임(10)은 조명모듈(50)의 내장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바(11~14)의 전방에 형성된 끼움홈(S1)에 현수막(1)의 끼움스틱(1a)이 끼워진다. 따라서, 액자형 프레임(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1)에 의해 전방이 차폐되면서 현수막(1)을 현수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수막(1)의 크기에 대응형성된 액자형 프레임(10)에 현수막(1)이 설치되므로 현수막(1)을 긴장상태로 설치할 수 있고, 현수막(1)의 끼움스틱(1a)을 액자형 프레임(10)의 끼움홈(S1)에 끼워서 현수막(1)을 액자형 프레임(10)에 고정하므로 현수막(1)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버티컬빔(30)의 양측에 보드홈(31)이 형성되므로 액자형 프레임(10)의 내측에 백보드(4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백보드(40)를 통해 액자형 프레임(10)의 후방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압출바(11~14)를 커넥터(20)를 통해 조립하여 사각의 액자형 프레임(10)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액자형 프레임(10)을 현장에서 제조할 수 있고, 압출바(11~14)의 일측 및 타측에 끼움홈(S1) 및 삽입홈(S4)이 구비되므로 현수막(1) 및 백보드(40), 그리고 버티컬빔(30)을 압출바(11~14)에 모두 설치할 수 있다.
또, 압출바(11~14)가 서로 이격된 제1 플레이트(11a) 및 제2 플레이트(11b), 그리고 복수의 리브(11c) 및 복수의 연장 플레이트(11f)로 구성되어 알루미늄 압출에 의해 제조되므로 액자형 프레임(10)의 자중을 경감시킬 수 있고, 제1 플레이트(11a) 및 제2 플레이트(11b)의 이격된 틈새를 통해 끼움홈(S1)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연장 플레이트(11f)들의 이격된 틈새를 통해 삽입홈(S4)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꺽쇠 돌기(11d, 11e)가 리브(11c)와 이격된 상태로 돌출형성되므로 이격된 틈새를 통해 꺽쇠 삽입부(S2, S3)를 제공할 수 있으며, 꺽쇠 돌기(11d, 11e)가 커넥터(20)를 지지하므로 커넥터(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커넥터(20)가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의 전방 꺽쇠(21) 및/또는 후방 꺽쇠(22)로 구성되므로 서로 마주하는 압출바(11~14)의 단부들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압출바(11~14)들의 전방 및/또는 후방을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압출바(11~14)에 꺽쇠 삽입부(S2, S3)가 구비되므로 커넥터(20)를 압출바(11~14)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후방 꺽쇠(22)가 전방 꺽쇠(21)의 길이 및 두께 보다 길거나 두껍게 구성되므로 압출바(11~14)의 후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후방 꺽쇠(22)의 단면이 철(凸)형으로 형성될 경우 후방 꺽쇠(22)의 무게를 경감시키면서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꺽쇠 삽입부(S2, S3)에 지지돌기(11p)가 구비될 경우 커넥터(20)의 억지끼움시 커넥터(20)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억지끼움된 커넥터(20)를 지지돌기(11p)가 지지하므로 커넥터(20)의 이탈을 억제할 수도 있다.
아울러, 광원이 구비될 경우 현수막(1)에 조명을 제공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광원이 엘이디(51a)가 실장된 복수의 바형 조명모듈(50)로 구성되므로 광원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조명모듈(50)이 버티컬빔(30)의 모듈 삽입홈(32)에 끼워져서 고정되므로 조명모듈(50)을 액자형 프레임(10)의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게다가, 판스프링식으로 버티컬빔(30)이나 백보드(4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버티컬 클립(35)이나 백보드 클립(60)이 구비될 경우, 버티컬빔(30)이나 백보드(40)가 액자형 프레임(1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버티컬 클립(35)이 지그재그로 절곡된 수직부(35a), 일측 경사부(35e) 및 타측 경사부(35c)로 구성되고, 백보드 클립(60)이 차폐부(61a), 일측 밴딩부 및 타측 밴딩부로 구성되므로 탄성력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덧붙여, 버티컬빔(30)에 중공(34) 및 수용홈(33)이 구비되어 버티컬 클립(35)의 일부분이 용이하게 버티컬빔(30)에 삽입되거나 버티컬빔(30)에서 노출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현수막 1a: 끼움스틱
10: 액자형 프레임 11~14: 압출바
11a: 제1 플레이트 11b: 제2 플레이트
11c: 연장 플레이트 11d, 11e: 꺽쇠 돌기
11p: 지지돌기 20: 커넥터
21: 전방 꺽쇠 22: 후방 꺽쇠
30: 버티컬빔 31: 보드홈
32: 모듈 삽입홈 33: 수용홈
34: 중공 35: 버티컬 클립
35a: 수직부 35b, 34d: 곡률부
35c: 타측 경사부 35e: 일측 경사부
35f: 추가 경사부 35g: 고정돌기
40: 백보드 50: 조명모듈
51a: 엘이디 60: 백보드 클립
61a: 차폐부 61b: 제1 절곡부
61c: 제2 절곡부 61d: 제3 절곡부
61e: 추가 절곡부 61f: 제4 절곡부
62c: 제5 절곡부 62d: 제6 절곡부
62e: 제7 절곡부 62f: 제8 절곡부

Claims (5)

  1. 테두리를 따라 판상의 끼움스틱이 구비된 현수막;
    상기 현수막에 대응하는 사각형이나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에 상기 현수막의 상기 끼움스틱이 끼워져서 고정되는 끼움홈을 갖는 액자형 프레임;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을 차폐하는 백보드; 및
    상기 백보드를 상기 액자형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보드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 패스너는,
    상기 액자형 프레임에 이격상태를 이루면서 수직상태로 설치되고,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어 양측에 상기 백보드의 테두리가 끼워지는 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버티컬빔;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버티컬빔이나 백보드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스프링 클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 클립은,
    상기 버티컬빔을 지지하는 버티컬 클립이나 상기 백보드를 지지하는 백보드 클립으로 구성되며,
    상기 버티컬 클립은,
    상기 버티컬빔에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판상의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일단부에서 절곡되어 경사를 이루고, 상기 수직부와 함께 상기 버티컬빔에 삽입되어 경사에 의해 상기 버티컬빔의 내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상의 일측 경사부; 및
    상기 수직부의 타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버티컬빔의 외측을 향해 경사를 이루고, 상기 버티컬빔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노출되어 경사에 의해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일부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상의 타측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보드 클립은,
    상기 백보드의 측면을 이루는 상기 백보드의 측방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백보드의 측방측 단부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나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백보드의 단부를 차폐하는 판상의 차폐부;
    상기 차폐부의 일단부에 절곡상태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일측 의해 적어도 일부분이 탄력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탄성력을 확보하며, 다른 일부분을 통해 상기 백보드의 일측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상의 일측 밴딩부; 및
    상기 차폐부의 타단부에 절곡상태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타측에 의해 적어도 일부분이 탄력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탄성력을 확보하며, 다른 일부분을 통해 상기 백보드의 타측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상의 타측 밴딩부;를 포함하는 현수막 거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형 프레임은,
    상기 끼움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복수로 구성되어 사각이나 다각으로 조립됨에 따라 사각형이나 다각형의 형태를 제공하는 복수의 프로파일 압출바; 및
    상기 압출바들을 일체로 연결하여 사각형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출바는,
    상기 끼움홈이 상기 현수막과 대향하는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보드 패스너를 구성하는 상기 버티컬빔의 상단 및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기 버티컬빔의 상단 및 하단과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압출바들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양측이 제각기 삽입되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압출바들의 전방측 단부나 후방측 단부로 삽입되어 상기 압출바들의 전방측 단부나 후방측 단부를 조립식으로 연결하는 전방 꺽쇠 및 후방 꺽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보드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현수막을 향해 조명을 제공하는 광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백보드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전면에 엘이디가 실장된 복수의 바형 조명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조명모듈들은,
    상기 백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버티컬빔은,
    상기 조명모듈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모듈 삽입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거치장치.
  5. 삭제
KR1020210057172A 2021-05-03 2021-05-03 현수막 거치장치 KR102303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172A KR102303508B1 (ko) 2021-05-03 2021-05-03 현수막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172A KR102303508B1 (ko) 2021-05-03 2021-05-03 현수막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508B1 true KR102303508B1 (ko) 2021-09-23

Family

ID=7792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172A KR102303508B1 (ko) 2021-05-03 2021-05-03 현수막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5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405B1 (ko) * 2022-06-10 2023-03-14 주식회사 디자인그룹프레즌트 간편 탈부착 재활용 간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438A (ko)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광도 일면 광고용 간판의 테두리프레임
KR20180014611A (ko) 2016-08-01 2018-02-09 (주)상상오디자인 현수막 게시장치
KR20190000605U (ko) * 2017-08-31 2019-03-08 이소연 광고 간판용 프레임
KR20200132324A (ko) 2019-05-17 2020-11-25 애드컴 주식회사 현수막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438A (ko)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광도 일면 광고용 간판의 테두리프레임
KR20180014611A (ko) 2016-08-01 2018-02-09 (주)상상오디자인 현수막 게시장치
KR20190000605U (ko) * 2017-08-31 2019-03-08 이소연 광고 간판용 프레임
KR20200132324A (ko) 2019-05-17 2020-11-25 애드컴 주식회사 현수막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405B1 (ko) * 2022-06-10 2023-03-14 주식회사 디자인그룹프레즌트 간편 탈부착 재활용 간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508B1 (ko) 현수막 거치장치
KR101273595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US9093570B2 (en) Flexible LED display screen
CN101230603A (zh) 用于构建架身的系统和支承型材
BRPI0918120B1 (pt) dispositivo para fixar uma folha de vidro em uma porta de elevador
FR2908440A1 (fr) Piece giratoire de fixation d'un panneau de grillage a un profile de cloture.
KR100800446B1 (ko) 간판 부착장치
CA2809528C (en) Door assembly for a light fixture
KR101755098B1 (ko) 광고판 및 천정판 조립 구조물
KR100977589B1 (ko) 바닥에 설치되는 전광판
KR200465511Y1 (ko)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KR101108386B1 (ko) 부품 체결부 및 이를 사용한 휴대용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부
KR101359847B1 (ko) 입식 광고대
KR101367524B1 (ko) 액자프레임
SK179198A3 (en) Framing member for use in assembling a bleed sign face construction
CN110864203A (zh) 吊装框架及吊装显示模组
KR100816058B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CN114360400A (zh) 一种大型半透显示装置的模组结构
CN211118432U (zh) 吊装框架及吊装显示模组
KR100948379B1 (ko) 트러스 조명 지지장치
KR102246527B1 (ko)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CN211451176U (zh) 一种过线卡扣和空调器
KR20170091362A (ko) 안내표지판 현수장치
US20100027199A1 (en) Trade show display mount
JP7369105B2 (ja) 梁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