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384B1 - 투약 기구, 투약 기구의 사용 방법, 투약 기구용 펌프 유닛 - Google Patents

투약 기구, 투약 기구의 사용 방법, 투약 기구용 펌프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384B1
KR102303384B1 KR1020177014101A KR20177014101A KR102303384B1 KR 102303384 B1 KR102303384 B1 KR 102303384B1 KR 1020177014101 A KR1020177014101 A KR 1020177014101A KR 20177014101 A KR20177014101 A KR 20177014101A KR 102303384 B1 KR102303384 B1 KR 102303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pipe
administration
discharge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9437A (ko
Inventor
도루 미즈타니
다카시 츠지
히로유키 시노하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9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25Flush valves, i.e. bypass valves for flushing 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12Pumping with an aspiration and an expulsion action
    • A61M5/14224Diaphragm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54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monitoring lin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009Special features
    • F04B43/0081Special features systems, control,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7/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having positively-driven valving
    • F04B7/004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having positively-driven valving with specific kinematics of the distribution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2005/1420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with a programmable infusion control system, characterised by the infusion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2005/16863Occlusion de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는 펌프 유닛(3)을 구비하고, 펌프 유닛(3)은, 송액을 행하는 부분의 용적이 확대ㆍ축소를 반복함으로써 약제를 약제 용기로부터 흡인하여 환자에게 토출하는 펌프(31)와, 펌프(31)으로부터 약제 용기측으로 연장되는 흡인측 배관(333)과, 펌프(31)로부터 환자측으로 연장되는 토출측 배관(343)과, 일단(351)이 토출측 배관(343)에 접속되고, 타단(352)이 약제 투여 시에 토출측 배관 내의 압력보다 저압으로 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릴리프 배관(35, 35a)과, 릴리프 배관(35, 35a)을 개폐하는 릴리프 배관 개폐 밸브(36, 36a)를 구비하는 투약 기구, 투약 기구의 사용 방법, 그리고 투약 기구용 펌프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약 기구, 투약 기구의 사용 방법, 투약 기구용 펌프 유닛 {DRUG ADMINISTRATION MECHANISM, METHOD FOR USING DRUG ADMINISTRATION MECHANISM, AND PUMP UNIT FOR DRUG ADMINISTRATION MECHANISM}
본 발명은 약제 용기에 충전된 액상의 약제를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투약 기구, 그리고 투약 기구의 사용 방법, 투약 기구용 펌프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약제 용기에 충전된 액상의 약제(약액)를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투약 기구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수액량 조정 장치가 있다. 이 장치는 펌프실의 팽창ㆍ수축에 의해 송액을 행하는 펌프(마이크로 펌프)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를 내장한 수액 시스템에서는, 펌프의 토출측에 접속된 튜브에 폐색이 발생한 경우라도, 펌프의 구성상, 역류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펌프의 구동이 계속되어 펌프로부터 폐색 개소까지의 구간에 다량의 약액이 체류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튜브에 폐색이 발생해도, 장치 사이드에서는 아무런 대처도 이루어지지 않는다(또한, 특허문헌 1에는 이상 사태의 발생을 검지하는 제어 수단이 기재되어 있지만, 튜브 폐색에 관한 기재는 없음). 이 때문에, 간호사 등의 의료 종사자가 폐색을 해제하면, 튜브에 체류하고 있던 다량의 약액이 단숨에 환자에게 투여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77411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튜브 등의 배관에 폐색이 발생한 경우라도, 폐색 해제 시에 약액이 단숨에 환자에게 투여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투약 기구, 그리고 투약 기구의 사용 방법, 투약 기구용 펌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약제 용기에 충전된 액상의 약제를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투약 기구이며, 본체와, 해당 본체에 설치되는 펌프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펌프 유닛은, 송액을 행하는 부분의 용적이 확대ㆍ축소를 반복함으로써 약제를 약제 용기로부터 흡인하여 환자에게 토출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로부터 약제 용기측으로 연장되는 흡인측 배관과, 상기 펌프로부터 환자측으로 연장되는 토출측 배관과, 일단이 상기 토출측 배관에 접속되고, 타단이 약제 투여 시에 상기 토출측 배관 내의 압력보다 저압으로 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릴리프 배관과, 상기 릴리프 배관을 개폐하는 릴리프 배관 개폐 밸브를 구비하는 투약 기구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폐색 해제 전에 릴리프 배관 개폐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펌프로부터 폐색 개소까지의 구간에 체류한 약액 중 과잉분을 약제 유로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폐색 해제에 의해 체류한 약액이 환자를 향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릴리프 배관은, 상기 타단이 상기 흡인측 배관에 접속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펌프로부터 폐색 개소까지의 구간에 체류한 약액 중 과잉분을 흡인측 배관으로 되돌릴 수 있으므로, 과잉 약액을 유효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릴리프 배관 개폐 밸브는, 수동에 의해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의료 종사자가 폐색 개소를 확인한 후에, 의료 종사자가 릴리프 배관 개폐 밸브를 조작하여 폐색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는 다이어프램식 펌프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펌프 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투약 기구를 경량화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투약 기구를 휴대할 때의 부담이 작아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투약 기구를 사용하여, 상기 토출측 배관이 폐색되었을 때, 상기 펌프를 정지시켜, 상기 토출측 배관에서 환자측으로 약제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릴리프 배관 개폐 밸브를 개방하는, 투약 기구의 사용 방법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약액이 단숨에 환자에게 투여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면서, 과잉의 약액을 약제 유로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어프램식 펌프와, 상기 펌프의 흡인측 및 토출측에 설치된 배관과, 일단이 상기 토출측의 배관에 접속되고, 타단이 약제 투여 시에 상기 토출측의 배관 내의 압력보다 저압으로 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릴리프 배관과, 상기 릴리프 배관을 개폐하는 릴리프 배관 개폐 밸브를 구비하는 투약 기구용 펌프 유닛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펌프 유닛을 내장한 투약 기구에 있어서, 폐색 해제 전에 릴리프 배관 개폐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펌프로부터 폐색 개소까지의 구간에 체류한 약액 중 과잉분을 약제 유로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폐색 해제에 의해 체류한 약액이 환자를 향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릴리프 배관은, 상기 타단이 상기 흡인측의 배관에 접속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펌프 유닛을 내장한 투약 기구에 있어서, 펌프로부터 폐색 개소까지의 구간에 체류한 약액 중 과잉분을 흡인측 배관으로 되돌릴 수 있으므로, 과잉 약액을 유효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폐색 해제에 의해 체류한 약액이 환자를 향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튜브 등의 배관에 폐색이 발생한 경우라도, 폐색 해제 시에 약액이 단숨에 환자에게 투여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일 실시 형태의 투약 경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덮개부를 제거한 상태의 본체와 디스포저블부를 도시하며,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a)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종단면도, (d)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디스포저블부(펌프 유닛)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a)는 정면도, (b)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c)는 우측면도, (d)는 배면도이다.
도 4는, 약액의 흐름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a)는 본 실시 형태의 디스포저블부에 있어서의 투약 시의 약액의 흐름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b)는 폐색 해제 시의 약액의 흐름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 형태의 디스포저블부에 있어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디스포저블부에 있어서의 펌프와 안티 플로우 밸브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종단면도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일 실시 형태를 들어 설명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의 투약 기구(1)는, 본체(2)와, 본체(2)에 착탈할 수 있는 디스포저블부(펌프 유닛 또는 투약 기구용 펌프 유닛)(3)를 구비한다. 이 투약 기구(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액 백 등의 약제 용기(F1)로부터 환자(P)에 이르는 투약 경로(F)의 도중에 설치된다.
도 2의 (a) 내지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2)는 디스포저블부(3)를 유지하여, 여러 가지 검지, 제어, 관리를 행하기 위한 부분이다. 본체(2)에 유지된 디스포저블부(3)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용기측 튜브(F2)와 환자측 튜브(F5)가 접속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본체(2)의 정면측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덮개부는 폐쇄하였을 때 후술하는 디스포저블부(3)의 흡인측 튜브(33) 및 토출측 튜브(34)의 측면에 닿아 있다. 또한, 도 2의 (a) 내지 (d)에 도시된 상방측이 투약 기구(1)의 사용 시에 있어서의 약제 용기(F1)측(흡인측)이고, 하방측이 사용 시에 있어서의 환자(P)측(토출측)으로 된다.
본체(2)는, 디스포저블부(3)가 끼워지는 오목부인 디스포저블부 배치 오목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포저블부 배치 오목부(22)의 저면에는 본체측 전기 접점(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이 디스포저블부 배치 오목부(22)에 디스포저블부(3)를 끼울 때, 이 본체측 전기 접점으로부터 디스포저블부(3)로, 펌프(31)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의 (a) 내지 (d)에 있어서의, 디스포저블부 배치 오목부(22)의 상하에는, 디스포저블부(3)의 흡인측 튜브(33) 및 토출측 튜브(34)를 배치하는 튜브 배치 홈(23)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2)에는, 디스포저블부(3)의 송액 상황을 검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센서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력 센서(24)와 기포 센서(25)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 센서(24)는, 본체(2)에 있어서의 약제 용기(F1)측과 환자(P)측의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단, 약제 용기(F1)측 또는 환자(P)측의 1개소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각 압력 센서(24)는, 본체(2)에 설치된 디스포저블부(3)에 있어서의 흡인측 튜브(33) 및 토출측 튜브(34)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압력 센서(24)는, 튜브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튜브가 팽창함으로써 튜브의 직경 치수가 확대되고, 튜브 내의 압력이 저하하면 튜브가 수축함으로써 튜브의 직경 치수가 축소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흡인측 튜브(33) 및 토출측 튜브(34)의 직경 치수 변화에 의해 각 튜브(33, 34) 내의 압력 변화를 검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각 압력 센서(24)에는, 도 2의 (a) 내지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튜브(33, 34)가 끼워지는 홈을 갖는 가동 블록(241)이 정면측과 배면측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 블록(241)의 배면측에는, 받은 하중에 비례하여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소자(242)가, 가동 블록(241)에 맞닿아 배치되어 있다. 튜브(33, 34)는 본체(2)의 덮개부(도시 생략)에 의해 정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튜브(33, 34)의 확대ㆍ축소에 따라 가동 블록(241)이 이동하고, 상기 소자(242)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상기 소자(242)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변화함으로써, 각 튜브(33, 34) 내의 압력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만일 튜브가 접혀 구부러진 것 등에 의해 투약 경로(F)의 도중 구간에서 폐색이 발생한 경우, 디스포저블부(3)에 있어서의 펌프(31)보다 상류측의 폐색에서는, 약제 용기(F1)측으로부터 약액(약제 용기(F1)에 충전된 액상의 약제)이 흐르기 어려운 상태 그대로 펌프(31)가 흡인을 행하기 때문에, 펌프(31)의 계속적인 구동에 의해, 내부가 부압으로 되어 흡인측 튜브(33)가 수축한다. 한편, 펌프(31)보다 하류측의 폐색에서는, 환자(P)측으로 약액이 흐르기 어려운 상태에서 펌프(31)가 토출하기 때문에, 펌프(31)의 계속적인 구동에 의해, 내부가 정압으로 되어 토출측 튜브(34)가 팽창한다. 이 때문에, 압력 센서(24)의 검지에 의해 폐색 발생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폐색 해제 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본 실시 형태의 디스포저블부(3)에는, 폐색 시에 발생하는 과잉 약액을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릴리프 유로로서, 바이패스 배관(35)과 바이패스 개폐 밸브(36)가 설치되어 있다(도 3의 (b) 참조). 이 릴리프 유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들 외에, 본체(2)에는, 예를 들어 디스포저블부(3)의 펌프 제어 및 각 센서의 검지 결과의 처리 및 기억 등을 행하는 제어부(261), 전지를 배치하는 내부 전원부(262), 외부 전원 입력 잭(263), 약제 용기(F1)보다 환자(P)측에 위치하는, 도시하지 않은 점적통에 설치된, 적하량 등을 검출하는 유량 센서의 검출값을 입력하는 유량 잭(264), 투약 이력 데이터나 센서 검지 결과의 출력 등을 행하는 통신용 잭(26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알람음 등을 발하기 위한 스피커나 알람 표시 등을 행하는 LED 램프, 덮개부가 개방되었음을 검지하는 센서, 여러 가지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환자(P)의 신체에 본체(2)를 장착하기 위한 밴드 등을 설치하기 위한 부분, 의료 기관에서 사용되는 점적 스탠드 등에 설치하기 위한 부분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포저블부(3)는, 도 3의 (a) 내지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31), 프리 플로우 방지 밸브(32), 흡인측 튜브(흡인측 배관)(33), 토출측 튜브(토출측 배관)(34), 바이패스 배관(릴리프 배관)(35), 바이패스 개폐 밸브(릴리프 배관 개폐 밸브)(36)를 구비한다. 펌프(31), 프리 플로우 방지 밸브(32), 바이패스 배관(35), 바이패스 개폐 밸브(36)는 케이스(37)에 수용되어 일체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디스포저블부(3)의 본체(2)로의 착탈이 용이하다. 흡인측 튜브(33) 및 토출측 튜브(34)는 케이스(37)로부터 돌출된 튜브 접속용 배관(332, 342)에 삽입되어 있다. 흡인측 튜브(33) 및 토출측 튜브(34)의 선단에는, 약제 용기(F1) 또는 환자(P)로부터 연장되는 튜브(F2, F5)에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331, 341)를 구비한다. 튜브 접속용 배관(332, 342)은, 도 3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37)의 평면 및 저면으로부터, 정면측으로 치우쳐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2)에 디스포저블부(3)를 장착하려고 할 때 케이스(37)의 정면측과 배면측을 틀리면, 본체(2)의 튜브 배치 홈(23)에 튜브 접속용 배관(332, 342)이 걸리기 때문에 디스포저블부(3)를 장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본체(2)에 대한 디스포저블부(3)의 장착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형태 이외에, 본체(2)에 있어서의 디스포저블부(3) 설치 부분의 외형을 비대칭 형상으로 하거나, 비대칭 위치에 오목부나 볼록부를 형성해 둠으로써, 본체(2)에 대한 디스포저블부(3)의 장착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포저블부(3)에 대한 마킹 표시(화살표 표시 등)에 의해, 본체(2)에 대한 디스포저블부(3)의 장착 실수를 억제할 수도 있다.
케이스(37)의 배면에는 본체측 전기 접점(도시 생략)에 접속할 수 있는 디스포저블부측 전기 접점(3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37)의 배면을 본체(2)의 디스포저블부 배치 오목부(22)의 저면에 일치시켜, 본체측 전기 접점과 디스포저블부측 전기 접점(38)을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펌프(31)에 통전하여 구동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펌프(31)는, 약제를 약제 용기(F1)로부터 흡인하여 환자(P)에게 토출할 수 있다. 펌프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어 피스톤 펌프, 롤러 펌프, 다이어프램식 펌프를 들 수 있지만, 모터가 불필요한 다이어프램식 펌프가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어프램식 펌프가 사용되고 있다. 펌프(31)로서 다이어프램식 펌프를 채용함으로써, 모터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펌프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디스포저블부(3)도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투약 기구(1)를 경량화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P)가 투약 기구(1)를 휴대할 때의 부담이 작아져, 특히 약제의 상시 투여가 필요한 환자(P)에게 있어서 장점이 크다. 또한, 다이어프램식 펌프에서는 약액 토출량의 제어를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펌프(31)에는, 집적화 디바이스에 관한 MEMS 기술을 이용한 펌프이며,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17211호 공보에 기재된 마이크로 펌프가 사용된다. 이 펌프(31)는,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다이어프램(314)이 압전 소자에 의해 진동됨으로써, 송액을 행하는 부분인 펌프실(315)의 용적이 확대ㆍ축소를 반복한다. 펌프실(315)에 있어서의 흡인측에는 흡인 방향의 약액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밸브(316)가 설치되고, 토출측에는 토출 방향의 약액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밸브(317)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흡인측 유로(311)로부터 토출측 유로(312)로 송액이 이루어진다.
또한, 약액의 투여량에 따라 필요한 펌프(31)의 용량이 상이하기 때문에, 용량을 식별하기 위한 마크를 케이스(37)에 표시하거나, 케이스(37)의 형상을 상이하게 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한, 펌프(31)의 용량에 따라 본체(2)(제어부(261))에 있어서의 펌프(31)의 제어 내용이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펌프(31)의 용량에 따라 케이스(37)에 표시된 마크나 케이스(37)의 형상이 상이한 경우, 마크나 케이스 형상을 본체(2)가 인식하고, 이 인식에 의해 제어 내용을 자동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37)에 IC 칩 등의 식별자를 설치하고, 본체(2)에 식별자의 판독 수단을 설치해 둠으로써, 본체(2)에 디스포저블부(3)를 장착하기만 해도 제어 내용을 자동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식별자를 설치한 경우에는, 식별자에 디스포저블부(3)의 사용 이력을 기록해 두어, 사용 후에 제거한 디스포저블부(3)를 재이용할 수 없도록 할 수도 있다.
프리 플로우 방지 밸브(32)는, 펌프(31)가 구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중력에 의해 발생하는 약액의 압력에 의해, 펌프(31)를 통과하는 의도하지 않은 흐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프리 플로우 방지 밸브(32)는, 펌프(31)의 토출측 유로(312)와 밸런스 유로(313)와 접속됨으로써 펌프(31)와 일체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31)의 폭 치수보다 프리 플로우 방지 밸브(32)의 폭 치수 쪽이 작게 형성되어 있고, 양자 간에 단차가 존재한다. 그리고,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31)에 있어서의 흡인측 유로(311)가 통하는 돌출 부분과, 프리 플로우 방지 밸브(32)에 있어서의 출구측 주 유로(322)가 통하는 돌출 부분은 위치가 어긋나 있다. 상기 단차 및 양쪽 돌출 부분의 위치 어긋남에 의해, 펌프(31) 및 프리 플로우 방지 밸브(32)를 케이스(37)에 설치할 때, 잘못해서 반대 방향으로 설치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디스포저블부(3)를 효율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프리 플로우 방지 밸브(32)에는,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324)의 일면측에 입구측 주 유로(321)(펌프(31)의 토출측 유로(312)에 접속되어 있음)와 출구측 주 유로(322)가 형성되어 있고, 타면측에 밸런스 유로(323)(펌프(31)의 밸런스 유로(313)에 접속되어 있음)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측 주 유로(321)와 출구측 주 유로(322)의 사이의 흐름은, 다이어프램(324)이 이동하였을 때에만 일어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약제 용기(F1)로부터의 약액의 압력만이 다이어프램(324)에 걸려 있는 경우에는, 입구측 주 유로(321)와 밸런스 유로(323)의 압력이 균형되어 있기 때문에, 다이어프램(324)이 정지하고 있어 프리 플로우 방지 밸브(32)에 흐름이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펌프(31)의 구동 중에는, 펌프(31)에 의해 압출된 약액의 압력이 밸런스 유로(323) 내부의 압력보다 커지기 때문에, 입구측 주 유로(321)로부터 출구측 주 유로(322)로의 흐름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프리 플로우 방지 밸브(3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펌프(31)의 구동 중에만 디스포저블부(3)에 약액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어, 환자(P)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약액의 투여를 방지할 수 있다.
흡인측 튜브(33)는, 펌프(31)로부터 약제 용기(F1)측으로 연장되는 튜브이다. 토출측 튜브(34)는, 펌프(31)로부터 환자(P)측으로 연장되는 튜브이다. 이들 튜브(33, 34)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의 연질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튜브(33, 34)의 직경 치수 변화가 본체(2)의 압력 센서(24)로 검지되기 때문에, 재질(수지의 배합, 밀도 등), 관 두께, 관경에 대하여, 적어도 압력 센서(24)에 배치되는 부분에서는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 내에서 형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달리, 배관을 사용하여 압력 변화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스포저블부(3)에 연질의 튜브를 사용하지 않고 경질의 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각 튜브(33, 34)의 선단에는 커넥터(331, 341)를 구비한다. 커넥터(331, 341)는 경질 수지제의 범용품이며, 예를 들어 비틀어 넣기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용기측 튜브(F2)와 환자측 튜브(F5)(각각 디스포저블부(3)의 커넥터(331, 341)에 접속할 수 있는, 「수」 「암」의 관계에 있는 형상의 커넥터(F3, F4)를 구비함)에 접속된다. 커넥터(331, 341)에 의해, 디스포저블부(3)와 약제 용기측 튜브(F2)를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디스포저블부(3)와 환자측 튜브(F5)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투약 기구(1)에 대한 약제 용기(F1) 및 환자(P)의 거리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P)가 투약 기구(1)를 휴대할 때 튜브(F2, F5)가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커넥터(331, 341)는 흡인측 튜브(33) 또는 토출측 튜브(34) 중 적어도 한쪽 선단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한쪽에만 커넥터가 설치된 경우, 커넥터가 설치되지 않는 측에 대해서는, 약제 용기(F1)(혹은, 약제 용기(F1)보다 환자(P)측에 위치하는, 도시하지 않은 점적통)까지가 디스포저블부(3)에 포함되게 되고, 투약 기구(1)를 사이에 끼운 반대측에서는, 환자(P)에게 찔러지는 바늘(F6)까지가 디스포저블부(3)에 포함되게 된다.
바이패스 배관(35)은, 펌프(31)를 통하지 않고 흡인측 튜브(33)와 토출측 튜브(34)를 연결하고 있다.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 배관(35)은, 케이스(37) 내부에 있어서의 흡인측 배관(333)과 토출측 배관(343)으로부터 분기되어 있다(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출측 배관(343)의 단부에 위치하는 바이패스 개폐 밸브(36)로부터 분기되어 있음).
투약 시, 도 4의 (a)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튜브 접속용 배관(332)으로부터 케이스(37)로 들어간 약액은, 케이스(37) 내의 흡인측 배관(333), 펌프(31), 프리 플로우 방지 밸브(32), 바이패스 개폐 밸브(36), 케이스(37) 내의 토출측 배관(343)을 순차대로 통과하여, 케이스(37) 내의 튜브 접속용 배관(342)으로부터 나온다. 또한, 바이패스 개폐 밸브(36)에는, 개폐가 이루어지는 유로와 병행하여 바로 통과 가능한 유로가 형성되어 있어, 통상 시(바이패스 개폐 밸브(36)의 개방 조작 시 이외)에는 이 바로 통과 가능한 유로를 약액이 통과한다.
한편, 투약 경로(F)에 폐색이 발생하여 바이패스 개폐 밸브(36)를 개방한 경우에는, 도 4의 (b)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측 튜브(34)에 체류하고 있던 약액 중 과잉분이, 케이스(37) 내의 튜브 접속용 배관(342)으로부터 케이스(37) 내의 토출측 배관(343), 바이패스 개폐 밸브(36)(그 중 개폐가 이루어지는 유로), 바이패스 배관(35), 케이스(37) 내의 흡인측 배관(333)을 순차대로 통과하여, 케이스(37) 내의 튜브 접속용 배관(332)으로부터 나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바이패스 배관(35)이 존재함으로써, 바이패스 개폐 밸브(36)의 개방 시에, 흡인측 튜브(33)와 토출측 튜브(34)를 연통시켜, 투약 경로(F)에 폐색이 발생한 경우의 과잉 약액을 흡인측 튜브(33)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릴리프 배관(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이패스 배관(35))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351)이 흡인측 배관(333)에 접속되고, 타단(352)이 바이패스 개폐 밸브(36)를 통하여 토출측 배관(343)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시한 릴리프 배관(35a)은, 타단(352)이 바이패스 개폐 밸브(36)에 상당하는 릴리프 배관 개폐 밸브(36a)를 통하여 토출측 배관(343)에 접속되어 있기는 하지만, 일단(351)은 대기 개방되어 있고, 개방 부분에 용기(B)가 씌워져 있다. 이와 같이, 릴리프 배관(35a)의 단부(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일단(351))는, 약제 투여 시에 상기 토출측 배관 내의 압력보다 저압으로 되는 부분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바이패스 개폐 밸브(36)의 개방 시에 릴리프 배관(35a)의 일단(351)으로부터 누출된 과잉 약액을 회수하기 위한 용기(B)를 구비하고 있지만, 그 밖에 누출된 잉여 약액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재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 예에서는 릴리프 배관(35a)의 일단(351)으로부터 공기가 토출측 배관(343)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역지 밸브 등을 설치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도 5의 예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개폐 밸브(36)에 상당하는 릴리프 배관 개폐 밸브(36a)는, 릴리프 배관(35a)의 타단(352)에 위치하고 있지만, 위치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일단(351)이나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펌프(31)로서 다이어프램식 펌프 등, 송액을 행하는 부분(도 6의 (c)에 도시하는 펌프실(315))의 용적이 확대ㆍ축소를 반복하는 펌프를 사용한 경우, 디스포저블부(3)의 토출측에 접속된 튜브(34, F5)에 폐색이 발생한 경우라도, 펌프(31)의 구성상, 펌프(31) 내를 통과하는 역류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펌프(31)의 구동이 계속되어 펌프(31)로부터 폐색 개소까지의 구간에 다량의 약액이 체류하는 경우가 있다. 바이패스 배관(35) 및 바이패스 개폐 밸브(36)에는, 펌프(31)로부터 폐색 개소까지의 구간에 체류한 약액 중 과잉분을 펌프(31)보다 흡인측으로 되돌릴 때 약액이 통과된다.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 개폐 밸브(36)는 바이패스 배관(35)의 단부에 설치되어, 바이패스 배관(35)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이 바이패스 개폐 밸브(36)는 수동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의료 종사자 또는 환자(P)가 도 3의 (a)에 도시하는 버튼(361)을 누름으로써 개방된다. 또한, 버튼(361)에서 손을 떼면, 바이패스 개폐 밸브(36)는 스프링 등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쇄 상태로 된다. 자동 개방을 시키지 않는 이유는, 투약 경로(F)의 도중에 폐색이 발생한 경우에 의료 종사자나 환자(P)가 폐색 개소를 확인하고 나서, 폐색 원인을 구명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투약 경로(F)에 폐색이 발생한 경우에 적절한 대처를 이룰 수 있다. 단, 상정되는 사용 상황에 따라서는, 바이패스 배관(35) 등의 압력이 소정 압력을 초과한 경우에 자동 개방되는 바이패스 개폐 밸브(36)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포저블부(3)는 1회용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투약 기구(1)를 위생적이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약제의 종류나 사용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디스포저블부(3)는 통상 3일 정도, 긴 경우에는 30일 정도로 교환된다. 디스포저블부(3)를 1회용으로 함으로써, 의료 기관에 있어서 임상 공학 기사(ME)가 행하는 토출 정밀도의 검사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의료 기관에 있어서의 투약 기구(1)의 관리가 용이해져, 장래적으로는 임상 공학 기사의 손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병동 단위로 간호사 등에 의해 투약 기구(1)를 관리할 수 있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흡인측 튜브(33) 및 토출측 튜브(34) 중 적어도 압력 센서(24)에 일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재질 및 치수 오차 등이 관리되어 있으면, 디스포저블부(3)를 교환한 경우라도, 압력 센서(24)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튜브의 직경이나 경도(직경 변화의 용이함)를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튜브를 의료 기관이 준비하여 투약 기구에 접속하는 경우와 같이, 튜브의 직경이나 경도에 변동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압력 변화의 검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어서, 이 투약 기구(1)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약제 용기(F1)로부터 연장되는 튜브(F2)와 환자(P)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튜브(F5)(바늘(F6)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튜브(F5)에 설치해 둠)를 디스포저블부(3)에 접속한다. 그리고, 튜브(F2)와 튜브(F5)가 접속된 상태의 디스포저블부(3)를 본체(2)에 장착하고, 도 1에 도시하는 상태로 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점적통이나 유량 센서를 장착한다. 이어서, 투약 경로(F)의 기포를 뺀다. 그리고 바늘(F6)을 환자(P)에게 찌른다. 다음으로 펌프(31)의 구동을 개시시킨다. 이에 의해, 펌프(31)에 의해 약액이 환자(P)의 체내로 보내진다.
투약 경로(F)에 폐색이 발생한 경우(특히, 투약 경로(F) 중 펌프(31)보다 환자(P)측의 구간에서 폐색이 발생한 경우)에는, 압력 센서(24)의 검지에 의해, 제어부(261)에 의해 경고 통지(알람음이나 알람 램프 점등에 의한 통지)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의료 종사자 또는 환자(P)는, 펌프(31)를 정지시킨 후에(또한, 상기 경고 통지에 연동하여 펌프(31)의 정지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져도 됨), 본체(2)보다 환자(P)측에 개폐 밸브(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개폐 밸브를 폐쇄한다. 그리고, 의료 종사자 또는 환자(P)가 디스포저블부(3)의 바이패스 개폐 밸브(36)를 개방한다. 그 후, 의료 종사자 또는 환자(P)가 폐색 개소를 확인한 후에 폐색을 해제한다(예를 들어, 접혀 구부러진 상태의 튜브를 늘임으로써 유로를 확보함). 이와 같이, 폐색 해제 전에 바이패스 개폐 밸브(36)를 개방함으로써, 펌프(31)로부터 폐색 개소까지의 구간에 체류한 약액 중 과잉분을, 투약 경로(F) 중 펌프(31)보다 약제 용기(F1)측의 구간으로 되돌릴 수 있다. 이 때문에, 폐색 해제에 의해 체류한 약액이 환자(P)를 향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전하다. 또한, 약제 용기(F1)측의 구간으로 되돌려진 약액은 다시 펌프(31)에 의해 환자(P)에게 투여되기 때문에, 폐색 발생으로 생긴 과잉 약액을 유효 이용할 수 있다. 폐색 해제 후에는 환자(P)측에 개폐 밸브가 있으면 그것을 개방하고, 펌프(31)의 구동을 재개함으로써, 약액의 투여가 재개된다.
본 출원은 2014년 11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240045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다.
1: 투약 기구
2: 본체
24: 압력 센서
3: 디스포저블부, 펌프 유닛(투약 기구용 펌프 유닛)
31: 펌프
315: 송액을 행하는 부분, 펌프실
33: 흡인측 배관, 흡인측 튜브
331: 커넥터(흡인측)
34: 토출측 배관, 토출측 튜브
341: 커넥터(토출측)
35: 릴리프 배관, 바이패스 배관
351: 릴리프 배관(바이패스 배관)의 일단
352: 릴리프 배관(바이패스 배관)의 타단
36: 바이패스 개폐 밸브(릴리프 배관 개폐 밸브)
F1: 약제 용기
P: 환자

Claims (7)

  1. 약제 용기에 충전된 액상의 약제를 투약 경로를 통해서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투약 기구이며,
    본체와, 해당 본체에 설치되는 펌프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펌프 유닛은, 송액을 행하는 부분의 용적이 확대ㆍ축소를 반복함으로써 약제를 약제 용기로부터 흡인하여 환자에게 토출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로부터 약제 용기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투약 경로에 포함되는 흡인측 배관과,
    상기 펌프로부터 환자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투약 경로에 포함되는 토출측 배관과,
    일단이 상기 토출측 배관에 접속되고, 타단이 약제 투여 시에 상기 토출측 배관 내의 압력보다 저압으로 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릴리프 배관과,
    상기 릴리프 배관을 개폐하는 릴리프 배관 개폐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릴리프 배관은, 상기 투약 경로에 폐색이 발생하여, 해당 투약 경로에 있어서의 상기 펌프보다도 토출측에 약제가 체류했을 때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배관 개폐 밸브를 개방했을 경우에, 상기 체류하고 있던 약제 중 과잉분이 통과하는, 투약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배관은, 상기 타단이 상기 흡인측 배관에 접속되는, 투약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배관 개폐 밸브는, 수동에 의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투약 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다이어프램식 펌프인, 투약 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다이어프램식 펌프인, 투약 기구.
  6. 약제 용기에 충전된 액상의 약제를 투약 경로를 통해서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투약 기구에 사용되는 투약 기구용 펌프 유닛이며,
    다이어프램식 펌프와,
    상기 펌프의 흡인측 및 토출측에 설치되고, 상기 투약 경로에 포함되는 배관과,
    일단이 상기 토출측의 배관에 접속되고, 타단이 약제 투여 시에 상기 토출측의 배관 내의 압력보다 저압으로 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릴리프 배관과,
    상기 릴리프 배관을 개폐하는 릴리프 배관 개폐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릴리프 배관은, 상기 투약 경로에 폐색이 발생하여, 해당 투약 경로에 있어서의 상기 펌프보다도 토출측에 약제가 체류했을 때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배관 개폐 밸브를 개방했을 경우에, 상기 체류하고 있던 약제 중 과잉분이 통과하는, 투약 기구용 펌프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배관은, 상기 타단이 상기 흡인측의 배관에 접속되는, 투약 기구용 펌프 유닛.
KR1020177014101A 2014-11-27 2015-11-26 투약 기구, 투약 기구의 사용 방법, 투약 기구용 펌프 유닛 KR102303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40045 2014-11-27
JP2014240045A JP6475958B2 (ja) 2014-11-27 2014-11-27 投薬機構及び投薬機構用ポンプユニット
PCT/JP2015/083297 WO2016084919A1 (ja) 2014-11-27 2015-11-26 投薬機構、投薬機構の使用方法、投薬機構用ポンプ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437A KR20170089437A (ko) 2017-08-03
KR102303384B1 true KR102303384B1 (ko) 2021-09-23

Family

ID=56074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101A KR102303384B1 (ko) 2014-11-27 2015-11-26 투약 기구, 투약 기구의 사용 방법, 투약 기구용 펌프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18026B2 (ko)
EP (1) EP3225267B1 (ko)
JP (1) JP6475958B2 (ko)
KR (1) KR102303384B1 (ko)
CN (1) CN106999657B (ko)
TW (1) TWI664985B (ko)
WO (1) WO20160849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751A1 (ja) * 2015-06-26 2016-12-29 日東電工株式会社 ポンプユニット、ポンプ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10112012B2 (en) * 2016-08-29 2018-10-30 Po-Hsun Tu Automatic regulating system for regulation of liquid pressure in a human bod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6630A (ja) 2007-02-26 2008-09-11 Nomura Unison Co Ltd 輸液ポンプ装置および輸液ポンプ装置の制御方法
JP2010063767A (ja) 2008-09-12 2010-03-25 K & Y:Kk 輸液ポンプシステム
US20100280430A1 (en) * 2007-10-04 2010-11-04 Gambro Lundia Ab Infus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2920A (en) * 1963-06-07 1966-03-29 Andersen Prod H W Manometer and method of using same
US4303376A (en) * 1979-07-09 1981-12-01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Flow metering cassette and controller
US5098384A (en) * 1991-01-23 1992-03-24 Abrams Lawrence M Pressure-compensated fluid administering apparatus
US6905479B1 (en) * 1999-07-20 2005-06-14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Pumping cartridge having an integrated filter and method for filtering a fluid with the cartridge
CN201279316Y (zh) * 2008-09-16 2009-07-29 黄宏辉 一次性微量止痛泵
JP2011177411A (ja) 2010-03-03 2011-09-15 Ricoh Co Ltd 輸液量調整装置、輸液量調整方法、輸液注入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202078599U (zh) * 2011-05-25 2011-12-21 山东省立医院 输液泵用一次性输液器
GB201112910D0 (en) * 2011-07-27 2011-09-14 Ucl Business P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luid
JP2014533581A (ja) * 2011-11-23 2014-12-15 ザ ジェネラル ホスピタル コーポレイション 注入ポンプによる薬剤送達の予測、視覚化、および制御
JP5982117B2 (ja) * 2011-12-05 2016-08-31 株式会社菊池製作所 マイクロダイヤフラムポン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6630A (ja) 2007-02-26 2008-09-11 Nomura Unison Co Ltd 輸液ポンプ装置および輸液ポンプ装置の制御方法
US20100280430A1 (en) * 2007-10-04 2010-11-04 Gambro Lundia Ab Infusion apparatus
JP2010063767A (ja) 2008-09-12 2010-03-25 K & Y:Kk 輸液ポンプ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26291A1 (en) 2017-11-16
TW201620561A (zh) 2016-06-16
JP2016101233A (ja) 2016-06-02
EP3225267A4 (en) 2018-09-26
US10518026B2 (en) 2019-12-31
CN106999657A (zh) 2017-08-01
EP3225267A1 (en) 2017-10-04
EP3225267B1 (en) 2021-11-10
WO2016084919A1 (ja) 2016-06-02
KR20170089437A (ko) 2017-08-03
TWI664985B (zh) 2019-07-11
JP6475958B2 (ja) 2019-02-27
CN106999657B (zh)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137592U (zh) 医疗装置和医疗系统
US8016790B2 (en) Infusion status indicator
US11273257B2 (en) Infusion pump system
KR102303384B1 (ko) 투약 기구, 투약 기구의 사용 방법, 투약 기구용 펌프 유닛
KR102303385B1 (ko) 투약 기구
JP6821270B2 (ja) 投薬機構
JP6875583B2 (ja) ポンプユニット
JP5816708B2 (ja) 薬液注入装置
JP7337466B2 (ja) 投薬機構
JP2010029411A (ja) 点滴筒およびそれを備えた点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