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169B1 -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169B1
KR102303169B1 KR1020210024832A KR20210024832A KR102303169B1 KR 102303169 B1 KR102303169 B1 KR 102303169B1 KR 1020210024832 A KR1020210024832 A KR 1020210024832A KR 20210024832 A KR20210024832 A KR 20210024832A KR 102303169 B1 KR102303169 B1 KR 102303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concrete
sensor module
state information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이덕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로
Priority to KR1020210024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콘크리트의 습윤 양생 프로세스에 있어서 양생 상태를 다수의 물성 인자를 통해 모니터링하고, 이를 통해 정상적인 습윤 양생이 가능하도록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은, 타설된 콘크리트에 습윤 양생을 위한 물을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 분사 장치;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다수의 센서와 다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양생 상태 정보를 송출하는 센서 모듈; 및 센서 모듈로부터 송출된 양생 상태 정보를 센서 모듈과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양생 상태 정보 및 습윤 양생 프로세스에 따른 콘크리트의 목표 양생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기 저장된 양생 조건 정보에 따라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연결된 물 분사 장치 및 콘크리트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건조 장치를 제어하는 타설된 콘크리트 현장에 배치되도록 이동 가능한 이동식 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ARTIFICIAL INTELLIGENCE CONCRETE WET CURING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습윤 양생 과정에 대해서 자동으로 습윤 양생 프로세스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습윤 양생 영역의 양생 상태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하는 동시에, 모니터링 된 양생 상태에 대한 정보와 함께 환경에 따라 설정된 목표치를 기준으로 정상 양생 여부를 판단하여 양생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습윤 양생은 콘크리트 타설 시 실시하는 양생 방식으로, 콘크리트의 타설 후 빠른 시기에 표면이 건조해져 수분이 없어지는 경우, 시멘트의 수화 반응이 충분하지 못하고, 특히 직사광선 및 바람 등에 의하여 표면이 급격히 건조해지는 경우 균열이 발생하여 정상적인 양생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식이다.
즉, 콘크리트 양생 시의 표면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한 방식으로서, 보통 콘트리트에 포함된 수분을 보존하거나, 노출된 표면의 건조를 막기 위해서 수분을 보충하는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습윤 양생 방식으로는, 보통 거적 등의 부재를 보양한 후 살수하거나, 주기적으로 스프링쿨러로 살수하는 방식 또는 타설 전 거푸집에 물을 공급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습윤 양생은 어느 정도의 수분을 공급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노하우가 필수적이어서, 매우 전문화된 인력이 필요하거나, 일일이 작업자가 눈으로 콘크리트의 표면을 확인하고, 이후 수분의 공급을 결정하여 수분 공급을 결정하고, 작업자가 스프링쿨러를 동작시켜 수분을 공급하는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인력 비용 소모의 과다 및 관리의 부정확성의 문제가 발생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등록특허 제10-1362411호 등의 선행기술에서는, 광섬유 센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양생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습윤 양생에 있어서의 환경 정보를 측정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단순히 온도 등 습윤 양생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환경 요소만을 측정할 뿐이어서, 결국 온도에 관련된 콘크리트의 양생 상태를 전문적으로 알고 있는 작업자만이 이를 이용하여 양생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상기의 문제를 전혀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서, 단순한 환경 정보의 센싱뿐 아니라, 콘크리트의 습윤 양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는 동시에, 모니터링된 결과에 따라서 수분의 공급 및 과다 수분 공급의 제거 등의 후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되, 데이터베이스화된 환경 요소에 따른 양생 상태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양생 상태의 모니터링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현장에 있어서 작업자의 전문성과 관계없이 매우 정확한 습윤 양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습윤 양생 작업에 있어서의 정확성 향상 및 인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은, 타설된 콘크리트에 습윤 양생을 위한 물을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 분사 장치;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다수의 센서와 다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양생 상태 정보를 송출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송출된 양생 상태 정보를 상기 센서 모듈과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양생 상태 정보 및 습윤 양생 프로세스에 따른 콘크리트의 목표 양생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기 저장된 양생 조건 정보에 따라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연결된 상기 물 분사 장치 및 상기 콘크리트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건조 장치를 제어하는 타설된 콘크리트 현장에 배치되도록 이동 가능한 이동식 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 모듈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습도, 점도, 밀도, 온도 및 표면 영상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다수의 센서 장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과 이격된 상부에서 상기 센서 모듈이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센서 모듈을 이송하는 이송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 모듈은,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을 직교되는 제1축 및 제2축으로 구성 시,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을 사이에 두고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한 쌍의 제1 구동 벨트를 포함하는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의 한 쌍의 제1 구동 벨트에 각 단측이 설치되어 제1 이송부의 구동에 따라서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일 단측에 설치된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2 구동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 벨트에 센서 모듈이 고정된 제2 이송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식 제어장치는, 네트워크 연결된 상기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를 제어하되, 상기 센서 모듈에 포함된 센서의 스펙에 따라서 결정되는 센싱 가능 영역을 이용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 전체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도록 상기 센서 모듈을 이송하여 각 영역에서 센싱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양생 상태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되, 일 영역으로 상기 센서 모듈이 이동된 후 상기 양생 상태 정보가 획득되는 시간 동안 상기 일 영역에 상기 센서 모듈을 정지시킨 후, 상기 양생 상태 정보가 상기 컴퓨팅 장치에 전송된 후 다음 영역으로 상기 센서 모듈이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식 제어장치는, 기존의 콘크리트 타설 시의 습윤 양생 시, 콘크리트 양생 완료시까지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하여 획득된 양생 상태 정보가 누적된 정보로서, 기 저장된 양생 이력 데이터에 저장된 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 콘크리트 타설 후,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된 양생 조건 하에서의 시간대별 양생 상태 정보를 목표 양생 상태 정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식 제어장치는, 상기 양생 상태 정보와 상기 목표 양생 상태 정보의 오차율이 상기 습윤 양생 프로세스마다 서로 같거나 다르게 설정된 임계 오차율을 벗어난 경우에만, 상기 물 분사 장치 및 상기 건조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물 분사 장치 및 상기 건조 장치를 제어한 후 기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될 시,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양생 상태 정보를 재취득하여 상기 목표 양생 상태 정보와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식 제어장치는, 상기 재취득된 양생 상태 정보와 상기 목표 양생 상태 정보가 상기 임계 오차율을 벗어나는 차이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에 상기 센서 모듈, 상기 물 분사 장치 및 상기 건조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점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식 제어장치는, 상기 재취득된 양생 상태 정보와 상기 목표 양생 상태 정보가 상기 임계 오차율을 벗어나는 차이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식 제어장치의 상기 물 분사 장치 및 상기 건조 장치에 대한 제어 알고리즘의 점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식 제어장치는,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 영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센서 모듈에 포함된 영상 취득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표면 영상으로부터 인식된 연속된 라인 형상의 길이가 기설정된 임계 균열 길이를 초과 시, 상기 관리자 단말에 균열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습도, 밀도, 점도, 온도 및 표면 영상 등, 습윤 양생에 영향을 미치거나 양생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필요시되는 거의 모든 요소를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하되, 습윤 양생 영역에 관계없이 종합적으로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송 모듈 및 센서 모듈을 통해서, 매우 정확하게 양생 상태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물 분사 장치 및 건조 장치를 제어하여, 습도의 부족 및 과잉에 관계없이 이를 목표치에 도달하도록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전문 인력의 투입 없이도,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된 목표치를 기준으로 수분의 공급 및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기기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인력 소모 비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매우 정확한 양생 상태의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양생 상태의 모니터링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후처리 후의 목표치와 현 상태의 재비교를 통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양생 상태의 모니터링을 매우 정확하게 하고, 장치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동식 제어장치를 통해서 네트워크 연결된 센서 모듈 및 물 공급 장치, 건조 장치 및 이송 모듈을 제어하여 습윤 양생을 관리 및 제어하기 때문에, 불편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없고, 콘크리트 현장마다 간단하게 설치하여 상기의 기능 및 효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센서 모듈 및 이송 모듈이 타설 영역에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센서 모듈이 이송되는 영역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다수의 기기가 제어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관리자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센서 모듈 및 이송 모듈이 타설 영역에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센서 모듈이 이송되는 영역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다수의 기기가 제어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관리자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을 위해서 상술한 도면을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은, 물 분사 장치(10), 센서 모듈(20), 이동식 제어장치(30) 및 건조 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중 이동식 제어장치 (30)는 후술하는 도 9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의 구성을 포함하고, 휴대되거나 이송 수단을 통해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물 분사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물 공급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물 탱크 등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펌프(12)에 의하여 물이 이동되어 노즐(11)을 통해 정해진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타설된 콘크리트(1)에 습윤 양생을 위한 물을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물 분사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분사 장치의 분사영역 및 콘크리트(1)가 타설된 영역(A)의 넓이에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물 분사 장치(10)는 고정된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 또는 스프링 쿨러 등 분사 방향이 가변적인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센서 모듈(20)은, 타설된 콘크리트(1)의 양생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다수의 센서와 다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양생 상태 정보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센서 모듈(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센서(21, 22, 23) 및 이들로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가공 또는 그대로 송출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콘크리트(1)는 양생 과정에서 다양한 물성 변화를 띄게 된다. 특히 습윤 양생 과정에서는, 주요 물성 인자로서, 습도, 온도, 밀도, 점도 등이 감지될 필요가 있다. 즉, 습윤 양생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표면 또는 일정 깊이의 콘크리트(1)의 습도, 온도, 밀도 및 점도를 센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에 더불어, 표면의 외관에서는 균열 등 양생 상태에 따라서 발현될 수 있는 외관적 특징이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센서 모듈(20)은 이와 같은 물성 인자에 대한 수치적인 감지와 함께 표면 외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여 후술하는 이동식 제어장치(30)에 전송함으로서, 이동식 제어장치(3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양생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술한 센서(21, 22, 23)는 예를 들어, 타설된 콘크리트(1)의 습도, 점도, 밀도, 온도 및 표면 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양생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다수의 센서 장비를 의미한다. 후술하겠지만, 비접촉 센서(22) 및 칩습이나 접촉 센서(23)와 함께 영상 취득 장치(21)이 대표적인 센싱 장비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습도 센서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전용량식, 저항식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온도 센서 역시 기전력, 저항, 적외선 방식 등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밀도 및 점도 센서 역시 접촉 및 비접촉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X-선 반사율 측정을 통한 표면 막질 두께 및 밀도의 측정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밀도 및 점도 센서는 상술한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포이드 등의 형태의 샘플 흡착기 및 이를 이용한 샘플식 밀도 또는 점도 측정장비(23)가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1)의 타설 영역(A)의 넓이 및 센서 모듈(20)에 탑재된 각 센서의 측정 영역에 따라서, 센서 모듈(20)은 고정 설치되거나 이송되면서 센싱 영역에 대응되는 양생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센서 모듈(20)에 의하여 취득될 수 있는 양생 상태 정보의 범위가 B이고, 콘크리트(1)의 타설 영역을 A라 할 때, A > B인 경우, 센서 모듈(20)이 전체 A 영역에 대한 양생 상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센서 모듈(20)이 이송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B 영역에 대한 양생 상태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사각지대 없이 전체적인 A 영역에 대한 양생 상태 정보를 취득해야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B 영역은 센서 모듈(20)에 포함되어 이동되는 다수의 센서들 중 그 감지 영역이 가장 좁은 센서의 감지 영역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할 것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센서 모듈(20)에 포함된 센서들 중 이송 모듈(50)에 의하여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센서들의 감지 영역이 고려 대상이 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모든 영역 A에 대해서 일부 영역만의 양생 상태의 취득만으로 전체 A 영역에 대한 양생 상태의 유추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센서 모듈(20)의 이송이 불가능하도록 구현된 경우라면, 일 영역(B)에 대한 센싱을 통해서 전체 양생 상태를 가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동식 제어장치(30)는 센서 모듈(20)로부터 송출된 양생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양생 상태 정보 및 습윤 양생 프로세스에 따른 콘크리트(1)의 목표 양생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기 저장된 양생 조건 정보에 따라서 물 분사 장치(10) 및 콘크리트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건조 장치(4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이동식 제어장치(30)는 센서 모듈(20)에서 브로드캐스팅된 양생 상태 정보를,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물 분사 장치(10), 건조 장치(40) 및 이송 모듈(50) 등을 제어 시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상기의 구성들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식 제어장치(30)는 휠 등의 이송 수단에 의하여 이송 가능하거나, 휴대용으로 구성되어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겠지만, 센서 모듈(20)의 일부 센서들만이 이송 모듈(50)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나머지 센서들의 경우 고정 설치되는 경우, 예를 들어 해당 센서들은 이동식 제어장치(30)에 설치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동식 제어장치(30)는 콘크리트 타설 현장에 배치하여 센서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동식 제어장치(30)는 상술한 센서 모듈(20)이 이송되면서 각 영역(B)을 센싱함으로써 전체 A 영역에 대한 양생 상태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기 위해서 센서 모듈(20)의 이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이송 모듈(50)이 추가적인 구성으로서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송 모듈(50)은 타설된 콘크리트(1) 표면과 이격된 상부에서 센서 모듈(20)이 콘크리트(1)가 타설된 영역을 이동 가능하도록 센서 모듈(20)을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후술하는 각 구동부(512, 522, 5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4)와 연결되어 모터(54)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며, 이동식 제어장치(30)는 모터(54)를 제어하여 각 구동부(512, 522, 532)의 구동을 제어한다. 물론, 도 1에서는 모터(54)가 하나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 구동부(512, 522, 532)에 대해서 독립적인 모터가 설치되어 각 모터가 독립 또는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1)의 타설 형태에 따라서 이송 모듈(50)은 센서 모듈(20)을 왕복 일 방향 또는 왕복 다수의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세부 구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설 영역(A)이 직사각형의 형태이고, 센서 모듈(20)에 포함된 각 센서의 감지 영역(B)이 그 영역(A)의 가로 및 세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모듈(20)은 전체 A 영역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기 위하여,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직교 2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 모듈(50)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1)가 타설된 영역(A)을 직교되는 제1축(D2 방향 축) 및 제2축(D3 방향 축)으로 구성 시, 콘크리트(1)가 타설된 영역(A)을 사이에 두고 제1축 방향(D2)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구동부(522, 532) 및 제1 구동부(522, 532)에 의하여 구동되는 한 쌍의 제1 구동 벨트(521, 531)를 포함하는 제1 이송부(51, 53) 및 제1 이송부(51, 53)의 한 쌍의 제1 구동 벨트(521, 531)에 각 단측이 설치되어 제1 이송부(51, 53)의 구동에 따라서 제1축 방향(D2)으로 이동되고, 일 단측에 설치된 제2 구동부(512) 및 제2 구동부(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2 구동 벨트(511)를 포함하고 제2 구동 벨트(511)에 센서 모듈(20)이 고정되어, 제2 구동부(512)의 구동에 따른 제2 구동벨트(511)의 이동에 따라서 제2축 방향(D3)으로 센 모듈(20)이 이동되도록 하는 제2 이송부(51)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2방향 왕복 운동이 아닌, 어느 한 방향으로만 왕복 운동이 되도록 구현되는 경우, 상술한 제2 이송부(51)에 대응되는 구성만이 설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구동 벨트 및 구동부(구동 폴리 및 롤러 등)의 구성 이외에, 다양한 이송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20)이 암 단측에 설치되고, 암이 길이 및 방향 가변형으로 구현되어, 암의 회전 및 길이 조절을 통해서 센서 모듈(20)을 다양한 위치에 이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센서 모듈(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1)가 타설된 영역(A) 전체에 대한 센싱이 필요할 수 있으나, 일부 물성 인자 등 양생 상태 정보에 포함된 다양한 요소들 중 일부에 대해서만 전체 A 영역에 대한 센싱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습도 등의 경우, 표면 온도 및 습도가 A 영역이 아주 넓이 않은 이상 일부 영역마다 다르지는 않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상술한 이송되는 센서 모듈(20)에 포함되지 않고 일부 영역에 고정된 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물성 인자에 대해서는 전체 A 영역 중 일부에 대한 영역의 센싱만을 수행하도록 하고, 균열이 나타난 영역만을 정확하게 센싱하기 위해서,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취득 장치(21)만이 이송 모듈(50)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식 제어장치(30)는, 제1 이송부(51, 53) 및 제2 이송부(52)를 제어하되, 센서 모듈(20)에 포함된 센서의 스펙에 따라서 결정되는 센싱 가능 영역(B)을 이용하여, 콘크리트(1)가 타설된 영역(A) 전체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도록 센서 모듈(20)을 이송하여 각 영역에서 센싱된 데이터로부터 양생 상태 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이때, 센서의 스펙에 따라서 감지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일 영역으로 센서 모듈(20)이 이동된 후 양생 상태 정보가 획득되는 시간 동안 일 영역에 센서 모듈(20)을 정지시킨 후, 양생 상태 정보가 이동식 제어장치(30)에 전송됨이 확인된 후 다음 영역으로 센서 모듈(20)이 이동되도록 제1 이송부(51, 53)와 제2 이송부(5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식 제어장치(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모듈(50)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를 포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식 제어장치(30)는 콘크리트의 정상적인 습윤 양생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서, 물 분사 장치(10) 및 건조 장치(40)를 제어한다. 건조 장치(4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모듈(20)과 인접되어 제2 이송 벨트(511)에 설치되어 이송 모듈(50)에 의하여 이송되면서 구동되거나,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달리, 물 분사 장치(10)와 유사하게 하나 또는 그 이상이 고정된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식 제어장치(30)의 제어에 의하여 하나 이상이 동시 또는 독립적으로 구동됨으로써 특정 영역 또는 전체 A 영역에 대한 건조를 수행한다. 건조 장치(40)는 예를 들어 드라이 에어 분사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물 분사 장치(10) 역시 길이 가변되는 노즐(11)로서 구현되는 경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모듈(50)에 의하여 이송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센서 모듈(20), 물 분사 장치(10) 및 건조 장치(40) 중 어느 하나가 이송 가능한 경우, 하나의 이송 모듈(50)을 통해서 이송되거나, 다수의 이송 모듈(50)을 통해 각 구성들이 독립적으로 이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식 제어장치(30)는 물 분사 장치(10) 및 건조 장치(40)를 제어함에 있어서 특정 영역(B)에 대응되는 처리 영역을 갖는 물 분사 장치(10) 및 건조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예에서, 물 분사 장치(10) 및 건조 장치(40)가 다수개 고정 설치되는 경우의 제어를 의미한다. 물론, 물 분사 장치(10) 및/또는 건조 장치(40)가 이송되도록 구현되는 경우, 이동식 제어장치(30)는 센서 모듈(20)에 대한 이송 제어와 동일한 제어를 통해서 특정 영역에 물 분사 장치(10) 및/또는 건조 장치(40)를 이송시킨 후 이를 구동하여 습윤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동식 제어장치(30)가 상술한 물 분사 장치(10) 및 건조 장치(40)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양생 조건 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이동식 제어장치(30)는, 기존의 콘크리트 타설 시의 습윤 양생 시, 콘크리트 양생 완료시까지 센서 모듈(20)에 의하여 획득된 양생 상태 정보가 누적된 정보로서, 기 저장된 양생 이력 데이터에 저장된 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 콘크리트 타설 후,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된 양생 조건 하에서의 시간대별 양생 상태 정보를 목표 양생 상태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목표 양생 상태 정보로서, 시간대별 양생 상태 정보는, 습도, 온도, 밀도, 점도 등이 콘크리트의 타설 후 습윤 양생에 따라서 시간대별로 갖는 각 물성 인자들의 값에 대한 정보로서, 정상적인 습윤 양생 시의 습도, 밀도, 점도 등의 상태와 이와 연관된 온도의 수치 또는 이들의 관계 함수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된 양생 조건 하에서의 양생 상태 정보라 함은, 센서 모듈(20)에 의하여 양생 상태 정보가 취득된 후, 관리자 등의 평가에 의하여 성공적인 습윤 양생이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된 사례에 포함된 양생 상태 정보를 의미한다. 또는, 머신 러닝 또는 딥 러닝 기술을 이용 시, 상술한 관리자 등의 평가 값이 매칭된 이력이 있는 양생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센서 모듈(20)에 의하여 측정된 양생 상태 정보에 대한 학습을 통해서 자동으로 도출된 정상상태의 양생 상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동식 제어장치(30)는 상술한 예와 같이, 양생 상태 정보와 목표 양생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물 분사 장치(10) 및/또는 건조 장치(40)를 제어함으로써, 정상적인 양생 상태 정보가 획득되는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센서 모듈(20), 물 분사 장치(10) 및/또는 건조 장치(40)의 구동을 반복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제어장치(30)는 측정된 양생 상태 정보(t2, H22, D22, V22)와 목표 양생 상태 정보(t2, H12, D12, V12)의 오차율(E1)이 습윤 양생 프로세스마다 서로 같거나 다르게 설정된 임계 오차율을 벗어난 경우에만, 물 분사 장치(10) 및 건조 장치(40)를 제어하여, 유연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식 제어장치(30)는, 물 분사 장치(10) 및 건조 장치(40)를 제어한 후 기설정된 대기 시간(예를 들어 5분)이 경과될 시, 센서 모듈(20)로부터 양생 상태 정보(t2, H32, D32, V32)를 재취득하여 목표 양생 상태 정보(t2, H12, D12, V12)와 다시 비교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물 분사 장치(10) 및 건조 장치(40)를 제어함은, 펌프(12) 및 에어 분사 장치를 포함하는 건조 장치(40)를 제어함을 의미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오차율(E1)이 임계 오차율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술한 제어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모터(54)를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모듈(50)을 제어하여 센서 모듈(20)을 다른 영역으로 이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점에서 취득된 양생 상태 정보(110)가 해당 시점에 대응되는 목표 양생 상태 정보(100)에 오차 범위 내로 존재하도록 하여, 관리자의 수작업 없이 자동으로 습윤 양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이 무한대로 반복될 수 있다. 즉, 센서 모듈(20)의 고장 등에 의하여 잘못된 센싱 데이터가 취득됨으로써, 이동식 제어장치(30)에 수신된 양생 상태 정보 자체가 잘못되는 경우, 물 분사 장치(10)에 고장이 발생하여 수분이 공급되지 않거나, 과다 수분 상태에서 건조 장치(40)에 고장이 발생하여 수분의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술한 반복 구동이 지나치게 다수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에너지의 낭비 및 이후의 다른 현장에서의 습윤 양생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동식 제어장치(30)는 제1 예에서는, 재취득된 양생 상태 정보와 목표 양생 상태 정보가 임계 오차율을 벗어나는 차이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에 센서 모듈(20), 물 분사 장치(10) 및 건조 장치(4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점검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 빠른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6의 관리자 단말에 출력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120)과 같이, 재 측정 결과 오차율이 임계 오차율(예를 들어 특정 시점에서 10%)을 벗어난 경우, 특정 장비의 점검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고장 발생에 대한 이력 데이터 및 고장 발생 시의 양생 상태 정보에 따라서 합성 곱 신경망 등의 인공지능 학습을 통해서, 화면(1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양생 상태 정보에 따라서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예측되는 장비(122)를 그렇지 않은 장비(121)와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하여, 관라자에게 장비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도, 밀도 및 점도는 정상 상태로 제어되었으나, 상술한 재취득에도 불구하고 온도만이 오차율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온도 센서의 고장 발생 가능성이 높으므로 센서 모듈의 점검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습도, 밀도 및 점도의 관계에 있어서 밀도 및 점도는 변경되나 습도가 변경되지 않는 것으로 측정되는 경우, 예를 들어 물 분사 장치의 고장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한 점검을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는 반복 학습된 이동식 제어장치(30)의 고장 발생 가능성 판단 알고리즘에 따라서 상술한 예와 다르게 또는 상술한 예에 포함된 경우 이외의 예로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예에서는, 도 7의 인터페이스 화면(1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제어장치(30)는, 재취득된 양생 상태 정보와 목표 양생 상태 정보가 임계 오차율을 벗어나는 차이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식 제어장치(30)의 물 분사 장치(10) 및 건조 장치(40)에 대한 제어 알고리즘의 점검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센서 모듈(20)에 의하여 서로 다른 값들이 측정되나, 온도, 습도, 점도, 밀도 또는 표면 영상의 관계에 있어서 어느 한 요소에 대한 오차율만이 임계 오차율을 벗어나게 측정되는 경우나, 재취득 결과 지나치게 다른 양생 상태 정보가 취득되는 경우, 즉 양생 상태 정보의 취득 시 습도가 낮아 물 분사 장치(10)가 일정 시간(예를 들어 5초) 동안 제어되었는데 재취득 시 습도가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측정된 경우라면, 장비를 제어하는 알고리즘 자체에 오류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한 점검을 도 7의 화면(130)과 같이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제1 예 및 제2 예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되거나 상호 연관되도록 구현되어,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정확한 유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식 제어장치(30)가 취득하는 양생 상태 정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취득 장치(21)로부터 촬영한 타설된 콘크리트(1)의 표면 영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영상 취득 장치(21)는 일반 영상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등 다양한 영상 취득용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 모듈(20)이 이송되고 영상 취득 장치(21)의 촬영 범위가 전체 A 영역을 커버하지 못하는 경우, 센서 모듈(20)의 이송 제어에 따라서 이동식 제어장치(30)는 센서 모듈(20)에 포함된 영상 취득 장치(21)의 이송 위치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크리트(1)의 타설 영역에 대한 각 위치에서의 영상이 취득되어 각 영역별 영상이 관리될 수 있다.
콘크리트(1)의 표면 영상을 확인 시, 표면에 균열이 발생한 경우, 양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이동식 제어장치(30)는,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 영상에 대한 정보를 센서 모듈(20)에 포함된 영상 취득 장치(21)로부터 수신하고, 표면 영상으로부터 인식된 연속된 라인 형상의 길이가 기설정된 임계 균열 길이를 초과 시, 관리자 단말에 균열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표면 영상으로부터 인식된 연속된 라인이라 함은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색을 갖는 것으로 픽셀 분석 등에 의하여 분석된 점들이 연속되도록 구성된 라인으로서, 이는 균열을 의미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균열이 발생된 길이가 임계 균열 길이를 초과 시, 이동식 제어장치(30)는 도 8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화면(1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에 알림 정보를 전송하여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균열이 발생된 길이가 임계 균열 길이와 같거나 미만인 경우라면, 상술한 물 분사 장치(10)를 제어하여 균열이 발생된 영역에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균열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관리자는 직접 점검이 필요한 경우에만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그 외의 경우에는 물 분사 장치(10) 또는 건조 장치(40)가 자동으로 구동되어, 콘크리트(1)의 습윤 양생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9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9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9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타설된 콘크리트에 습윤 양생을 위한 물을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물 분사 장치;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다수의 센서와 다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양생 상태 정보를 송출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송출된 양생 상태 정보를 상기 센서 모듈과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양생 상태 정보 및 습윤 양생 프로세스에 따른 콘크리트의 목표 양생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기 저장된 양생 조건 정보에 따라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연결된 상기 물 분사 장치 및 상기 콘크리트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건조 장치를 제어하는 타설된 콘크리트 현장에 배치되도록 이동 가능한 이동식 제어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제어장치는,
    기존의 콘크리트 타설 시의 습윤 양생 시, 콘크리트 양생 완료시까지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하여 획득된 양생 상태 정보가 누적된 정보로서, 기 저장된 양생 이력 데이터에 저장된 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 콘크리트 타설 후,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된 양생 조건 하에서의 시간대별 양생 상태 정보를 목표 양생 상태 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식 제어장치는,
    상기 양생 상태 정보와 상기 목표 양생 상태 정보의 오차율이 상기 습윤 양생 프로세스마다 서로 같거나 다르게 설정된 임계 오차율을 벗어난 경우에만, 상기 물 분사 장치 및 상기 건조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물 분사 장치 및 상기 건조 장치를 제어한 후 기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될 시,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양생 상태 정보를 재취득하여 상기 목표 양생 상태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이동식 제어장치는,
    상기 재취득된 양생 상태 정보와 상기 목표 양생 상태 정보가 상기 임계 오차율을 벗어나는 차이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에 상기 센서 모듈, 상기 물 분사 장치 및 상기 건조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점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습도, 점도, 밀도, 온도 및 표면 영상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다수의 센서 장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과 이격된 상부에서 상기 센서 모듈이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센서 모듈을 이송하는 이송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모듈은,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을 직교되는 제1축 및 제2축으로 구성 시,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을 사이에 두고 제1축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한 쌍의 제1 구동 벨트를 포함하는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의 한 쌍의 제1 구동 벨트에 각 단측이 설치되어 제1 이송부의 구동에 따라서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일 단측에 설치된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2 구동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 벨트에 센서 모듈이 고정된 제2 이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제어장치는,
    네트워크 연결된 상기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를 제어하되,
    상기 센서 모듈에 포함된 센서의 스펙에 따라서 결정되는 센싱 가능 영역을 이용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 전체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도록 상기 센서 모듈을 이송하여 각 영역에서 센싱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양생 상태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되, 일 영역으로 상기 센서 모듈이 이동된 후 상기 양생 상태 정보가 획득되는 시간 동안 상기 일 영역에 상기 센서 모듈을 정지시킨 후, 상기 양생 상태 정보가 상기 이동식 제어장치에 전송된 후 다음 영역으로 상기 센서 모듈이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제어장치는,
    상기 재취득된 양생 상태 정보와 상기 목표 양생 상태 정보가 상기 임계 오차율을 벗어나는 차이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식 제어장치의 상기 물 분사 장치 및 상기 건조 장치에 대한 제어 알고리즘의 점검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제어장치는,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 영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센서 모듈에 포함된 영상 취득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표면 영상으로부터 인식된 연속된 라인 형상의 길이가 기설정된 임계 균열 길이를 초과 시, 상기 관리자 단말에 균열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
KR1020210024832A 2021-02-24 2021-02-24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 KR102303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832A KR102303169B1 (ko) 2021-02-24 2021-02-24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832A KR102303169B1 (ko) 2021-02-24 2021-02-24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169B1 true KR102303169B1 (ko) 2021-09-17

Family

ID=77923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832A KR102303169B1 (ko) 2021-02-24 2021-02-24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16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43495A (ja) * 2020-03-11 2021-09-24 株式会社フジタ コンクリート養生マット、コンクリート湿潤状態監視装置、コンクリート養生装置
CN114525735A (zh) * 2022-02-21 2022-05-24 北京好运达智创科技有限公司 用于盖梁混凝土的自动喷淋养护装置及方法
CN114922451A (zh) * 2022-05-27 2022-08-19 深圳市海清视讯科技有限公司 混凝土墙面喷水控制方法、装置、设备、系统及介质
CN115653332A (zh) * 2022-10-21 2023-01-31 中建八局科技建设有限公司 一种混凝土建筑喷淋养护系统
CN115837705A (zh) * 2022-12-27 2023-03-24 佛山市顺德区新广利混凝土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的混凝土喷淋养护装置及控制方法
CN115974584A (zh) * 2022-12-16 2023-04-18 中国建筑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保养装置及保养方法
CN117789095A (zh) * 2024-01-02 2024-03-29 广州汇思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切花开放周期优化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7885194A (zh) * 2024-03-15 2024-04-16 睢宁县泰宁建材有限公司 一种混凝土预制板生产线的养护房控制系统
KR102675230B1 (ko) * 2023-06-26 2024-06-14 박상도 온도 조절 및 양생 상태 체크 기능을 포함하는 갱폼
CN118505069A (zh) * 2024-07-18 2024-08-16 徐州鼎博混凝土制品有限公司 一种混凝土制品养护智能控制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838A (ko) * 2009-07-29 2011-02-09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제 시공되는 콘크리트와 동일한 조건으로 콘크리트 시료를 양생하는 콘크리트 시료 양생기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방법
JP2011153497A (ja) * 2010-01-28 2011-08-11 Maeda Corp コンクリートの湿潤養生装置
JP2014098260A (ja) * 2012-11-14 2014-05-29 Shirakai:Kk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養生管理システム
JP2017167969A (ja) * 2016-03-17 2017-09-21 首都高技術株式会社 損傷抽出システム
CN207453500U (zh) * 2017-10-18 2018-06-05 中交第四公路工程局有限公司 一种混凝土智能养护系统
JP2018109347A (ja) * 2016-12-28 2018-07-12 日本道路株式会社 散水装置の電源装置、散水装置および湿潤状態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838A (ko) * 2009-07-29 2011-02-09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제 시공되는 콘크리트와 동일한 조건으로 콘크리트 시료를 양생하는 콘크리트 시료 양생기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방법
JP2011153497A (ja) * 2010-01-28 2011-08-11 Maeda Corp コンクリートの湿潤養生装置
JP2014098260A (ja) * 2012-11-14 2014-05-29 Shirakai:Kk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養生管理システム
JP2017167969A (ja) * 2016-03-17 2017-09-21 首都高技術株式会社 損傷抽出システム
JP2018109347A (ja) * 2016-12-28 2018-07-12 日本道路株式会社 散水装置の電源装置、散水装置および湿潤状態検出装置
CN207453500U (zh) * 2017-10-18 2018-06-05 中交第四公路工程局有限公司 一种混凝土智能养护系统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4025B2 (ja) 2020-03-11 2023-11-06 株式会社フジタ コンクリート養生マット、コンクリート湿潤状態監視装置、コンクリート養生装置
JP2021143495A (ja) * 2020-03-11 2021-09-24 株式会社フジタ コンクリート養生マット、コンクリート湿潤状態監視装置、コンクリート養生装置
CN114525735A (zh) * 2022-02-21 2022-05-24 北京好运达智创科技有限公司 用于盖梁混凝土的自动喷淋养护装置及方法
CN114922451A (zh) * 2022-05-27 2022-08-19 深圳市海清视讯科技有限公司 混凝土墙面喷水控制方法、装置、设备、系统及介质
CN115653332A (zh) * 2022-10-21 2023-01-31 中建八局科技建设有限公司 一种混凝土建筑喷淋养护系统
CN115974584A (zh) * 2022-12-16 2023-04-18 中国建筑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保养装置及保养方法
CN115974584B (zh) * 2022-12-16 2024-01-30 中国建筑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保养装置及保养方法
CN115837705A (zh) * 2022-12-27 2023-03-24 佛山市顺德区新广利混凝土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的混凝土喷淋养护装置及控制方法
CN115837705B (zh) * 2022-12-27 2024-04-30 佛山市顺德区新广利混凝土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的混凝土喷淋养护装置及控制方法
KR102675230B1 (ko) * 2023-06-26 2024-06-14 박상도 온도 조절 및 양생 상태 체크 기능을 포함하는 갱폼
CN117789095A (zh) * 2024-01-02 2024-03-29 广州汇思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切花开放周期优化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7789095B (zh) * 2024-01-02 2024-05-14 广州汇思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切花开放周期优化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7885194A (zh) * 2024-03-15 2024-04-16 睢宁县泰宁建材有限公司 一种混凝土预制板生产线的养护房控制系统
CN117885194B (zh) * 2024-03-15 2024-05-07 睢宁县泰宁建材有限公司 一种混凝土预制板生产线的养护房控制系统
CN118505069A (zh) * 2024-07-18 2024-08-16 徐州鼎博混凝土制品有限公司 一种混凝土制品养护智能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169B1 (ko) 인공지능 콘크리트 습윤 양생 관리 시스템
JP2020163565A (ja) ロボット制御のためのカメラキャリブレーションを検証及び更新する方法及び制御システム
US10400464B2 (en) Structure orientation using motor velocity
JP2017054486A (ja) 樹脂隆起部自動低減システム
KR102321942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식 무인보트와 환경 정보 분석을 통한 수자원 모니터링 시스템
ES2954369T3 (es) Inspección de ascensores utilizando secuencia automatizada de preajustes de cámara
AU2017225040B2 (en) Lightning strike inconsistency aircraft dispatch mobile disposition tool
US10488378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esting gas meters
CN102590273B (zh) 纺织品保暖检测系统及方法
CN110163990A (zh) 一种移动机器人巡检方法及系统
CN205427436U (zh) 显示器件的对位检测设备及曝光工艺系统
KR102253614B1 (ko)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CN208458880U (zh) 一种在线红外热成像自巡检测温装置
KR20190047039A (ko) 촬상 기기 제휴 장치, 촬상 기기 제휴 프로그램, 제휴 서포트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
US20170361463A1 (en) Recognizing a location of a robot shared in multiple data centers
EP4018899A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4260956A1 (en) Conveyor belt cleaning device controllable by a control panel
KR102045952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운영 방법
US11618635B1 (en) Conveyor belt cleaning device adapted with modular cleaning heads
US20200142078A1 (en) Location monitoring apparatuses configured for low-power operation
CN110989382A (zh) 一种多功能云端服务家居机器人
TW201908967A (zh) 電子設備的啟動裝置及啟動方法
KR20220165579A (ko) 이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0375B1 (ko) 농산물 건조기용 제어장치
US11661288B1 (en) Conveyor belt cleaning device controllable by a control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