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614B1 -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614B1
KR102253614B1 KR1020200168830A KR20200168830A KR102253614B1 KR 102253614 B1 KR102253614 B1 KR 102253614B1 KR 1020200168830 A KR1020200168830 A KR 1020200168830A KR 20200168830 A KR20200168830 A KR 20200168830A KR 102253614 B1 KR102253614 B1 KR 102253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work
crack
lining concret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학
Original Assignee
최문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문학 filed Critical 최문학
Priority to KR1020200168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omet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시공이 완료된 터널의 라이닝콘크리트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관제 카메라를 이용하여,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 단계; 관제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라이닝콘크리트의 균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균열 영역에 대한 거동을 분석하는 거동 분석 단계; 균열 영역의 거동 분석 결과에 따라, 균열 영역에 대해 보수 작업 작업이 이행되어야 할 임계 작업 기일을 산출하는 임계 작업 기일 산출 단계; 및 균열 영역에 대한 보수 재료 및 보수 공법을 선정하여, 산출된 임계 작업 기일까지 보수 작업이 완료되도록 하는 보수 계획을 수립하는 보수 계획 수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LANNING REPAIR OF TUNNEL BASED ON MONIOTIRNG DATA}
본 발명은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라이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시공된 터널에서 외부 지하수를 차단하도록 하는 라이닝콘크리트의 균열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보수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구조물은 아치 형태로 구조적으로는 상대적으로 안정한 형태이지만, 밀폐된 터널 구조 상 한 번 사고가 발생하면 대피하기가 용이치 않을 뿐만 아니라, 최근 건설되는 터널 구조물은 대부분 터널의 시점과 종점의 길이가 10Km가 넘는 장대 터널이어서 한 번 사고가 발생하면 대형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한편 현재의 터널 점검 방식은 터널에 진출입하는 차량을 차단한 후, 점검자가 터널을 직접 방문하여 도보로 이동하면서 육안으로 터널 전 구역을 점검하는 등의 방식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터널 점검 방식은 점검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하고, 사람이 직접 수행함에 따른 휴먼 에러가 다수 존재하여 점검 효율이 지극히 낮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에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3-0124605호에서는 일정속도로 카메라를 이동시키면서 터널을 촬영하여 터널을 점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카메라가 이동하면서 촬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영상 왜곡이 발생할 우려가 존재하고, 점검 시점에만 영상 촬영이 이루어져 터널에 균열이 발생한 시점부터 발생된 균열의 성장 정도를 면밀히 분석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라이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시공된 터널에서 외부 지하수를 차단하도록 하는 라이닝콘크리트의 균열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보수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은, 시공이 완료된 터널의 라이닝콘크리트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관제 카메라를 이용하여,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 단계; 관제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닝콘크리트의 균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균열 영역에 대한 거동을 분석하는 거동 분석 단계; 균열 영역의 거동 분석 결과에 따라, 균열 영역에 대해 보수 작업 작업이 이행되어야 할 임계 작업 기일을 산출하는 임계 작업 기일 산출 단계; 및 균열 영역에 대한 보수 재료 및 보수 공법을 선정하여, 산출된 임계 작업 기일까지 보수 작업이 완료되도록 하는 보수 계획을 수립하는 보수 계획 수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거동 분석 단계는, 균열 영역이 최초 발현된 시점의 크기에 대응하는 제1 크기 및, 제1 크기를 기준으로 임계 기간 동안 성장한 균열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는 제2 크기로부터, 균열 영역의 성장 속도를 연산함으로써 균열 영역에 대한 거동을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거동 분석 단계는, 연산된 성장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균열 영역의 위험도를 세분화하고, 임계 작업 기일 산출 단계는, 균열 영역에 결정된 위험도에 따라 보수 작업이 이행되어야 할 임계 작업 기일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보수 계획 수립 단계의 수행 후에는, 산출된 임계 작업기일 내에 상기 균열 영역에 대한 보수 작업 수행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보수 업체를 모집하여 보수 업체를 선정하는 보수 업체 선정 단계;를 더 포함하여, 선정된 보수 업체에 계획된 보수 작업을 지시함으로써, 균열 영역에 대한 보수가 적시에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관제 카메라에는 라이다 모듈이 구비되어, 균열 영역이 검출된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한 3차원 입체 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3차원 입체 모델을, 선정된 보수 업체에 보수 대상 정보로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장치는, 시공이 완료된 터널의 라이닝콘크리트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관제 카메라를 이용하여,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부; 관제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닝콘크리트의 균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균열 영역에 대한 거동을 분석하는 거동 분석부; 균열 영역의 거동 분석 결과에 따라, 균열 영역에 대해 보수 작업 작업이 이행되어야 할 임계 작업 기일을 산출하는 임계 작업 기일 산출부; 및 균열 영역에 대한 보수 재료 및 보수 공법을 선정하여, 산출된 임계 작업 기일까지 보수 작업이 완료되도록 하는 보수 계획을 수립하는 보수 계획 수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시공이 완료된 터널의 라이닝콘크리트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관제 카메라를 이용하여,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 단계; 관제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닝콘크리트의 균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균열 영역에 대한 거동을 분석하는 거동 분석 단계; 균열 영역의 거동 분석 결과에 따라, 균열 영역에 대해 보수 작업 작업이 이행되어야 할 임계 작업 기일을 산출하는 임계 작업 기일 산출 단계; 및 균열 영역에 대한 보수 재료 및 보수 공법을 선정하여, 산출된 임계 작업 기일까지 보수 작업이 완료되도록 하는 보수 계획을 수립하는 보수 계획 수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널의 라이닝콘크리트에 균열 영역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관제하여, 라이닝콘크리트의 균열에 의한 대형 사고가 초래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관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라이닝콘크리트의 균열 영역 검출 시점, 균열 영역 성장 추이, 임계 균열 크기에 도달하였는지에 대한 여부를 면밀히 살펴볼 수 있음에 따라서, 합리적인 보수 계획을 수립하고, 적시에 균열영역에 대한 보수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여, 향상된 라이닝콘크리트의 점검 효율을 도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라이다 모듈을 활용하여 라이닝콘크리트에 발생된 균열 정보를 보수 업체 측에 더욱 명시적인 자료로 제공하고, 구체적인 보수 방법, 보수 재료 등이 포함된 보수 작업 정보를 지시하게 됨에 따라, 보수 업체 측의 업무를 경감하고 보수 업체 측의 보수 작업 수행 편의를 증대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터널의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한 균열 영역의 검출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검출된 균열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균열 영역의 거동 분석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보수 업체에 제공되는 보수 대상 정보와 보수 계획서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장치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라이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시공된 터널에서 외부 지하수를 차단하도록 하는 라이닝콘크리트의 균열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보수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수행하기로 하고,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의 흐름도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시공이 완료된 터널의 라이닝콘크리트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관제 카메라를 이용하여,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한 정적 이미지 및 동적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 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한 예로서 도 3의 100과 같이 라이닝콘크리트를 촬영하도록 하는 관제 카메라(20)를 설치하여 라이닝콘크리트를 촬영하고, 이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에서 균열 영역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독하여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한 관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에는 명시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관제 카메라(20)를, 관제 대상이 되는 터널을 하나 이상의 단위 구간으로 분류하여 복수 개의 관제 카메라(20)를 설치하여, 관제카메라들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기능할 수 있으며, 이때, 터널을 단위 구간으로 분류 하는 것에 대한 기준은, 관제 카메라의 화각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관제 카메라(20)의 촬영 가능 영역에 대응하도록 터널을 단위 구간으로 분류 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관제 카메라(20)의 배치는 점검 대상이 되는 터널의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한 사각 지대를 형성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관제 카메라(20)는 적외선 카메라가 이용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터널 구조물의 어두운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조명 등이 설치되어 일반 카메라를 통해서도 터널의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한 관제가 가능한 환경일 경우에는, 적외선 카메라에 한정된 관제 카메라(20)가 이용되지 않을 수 있음이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술한 관제 카메라(20)에는 라이다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라이다 모듈은, 레이저 송신부, 레이저 검출부, 신호 수집부 및 신호 처리부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레이저 송신부에서 목표물이 되는 터널의 라이닝콘크리트를 향해 기 설정된 파장의 레이저 펄스(예를 들어 250nm 내지 11μm의 파장 영역)를 주사하면, 레이저 검출부 및 신호 수집부의 기능 수행으로 목표물에서 반사된 레이저 펄스의 도달 시간을 이용하여 3차원 입체 모델을 획득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러한 라이다 모듈을 이용하여 터널의 라이닝콘크리트에서 감지된 균열 영역에 대한 3차원 입체 모델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3차원 입체 모델을 통해 라이닝콘크리트에 발생한 균열 정보를 더욱 상세히 제공하여 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상술한 S10 단계의 수행 후에는, 관제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술한 라이닝콘크리트의 균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균열 영역에 대한 거동을 분석하는 거동 분석 단계(S20)가 수행된다.
이때, 상술한 S20 단계에서는 균열 영역의 형상으로부터 라이닝콘크리트에 발생한 균열이 전단균열인지, 인장균열인지, 관통균열인지 등으로 그 균열의 종류를 특정하는 거동 분석이 수행될 수 있고, 감지된 균열 영역이 실제 균열 영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는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실제 균열 영역인지에 대한 여부는, 균열이 감지된 영역으로 별도의 제2 관제 카메라 모듈이 구비되고 무선 전파로 조종이 가능한 드론과 같은 비행체를 작동시켜, 감지된 균열 영역에 대한 심층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균열 영역이 실제 균열 영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면밀히 살펴볼 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균열 영역의 판별을 위해 드론과 같은 비행체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은, 균열 영역으로 감지되나 별도의 균열 성장이 감지되지 않을 시에만 수행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균열 영역의 검증 단계를 생략하도록 하고, 판별 결과 균열 영역으로 감지되지 않을 경우 관제 대상에서 배제하도록 하여 S20 단계의 수행에 따른 데이터 처리 효율을 높이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S20 단계에서는, 균열 영역이 최초 발현된 시점의 균열 크기에 대응되는 제1 크기 및, 상술한 제1 크기를 기준으로 임계 기간 동안 성장한 균열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는 제2 크기로부터 균열 영역의 성장 속도를 연산하도록 하는 거동 분석이 수행될 수도 있다.
한 예로, 최초 발현된 시점의 균열 영역의 크기가 1cm이고, 10일뒤 동일 균열 영역에 대한 크기가 5cm라고 가정해볼 때, 제1 크기는 1cm로 이해될 수 있고 제2 크기는 5cm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S20 단계는 제1 크기, 제2 크기 및 시간을 팩터로 하여 균열 영역에 성장속도를 연산하여 봄으로써, 균열의 성장 속도가 빠른지 혹은 느린지에 대한 추이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보수 작업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연산된 성장 속도에 따라 위험도를 세분화하여 부여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위험도는 예를 들어 1 내지 5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는 것으로, 위험도 1단계에서는 균열영역의 성장 속도가 매우 느려 비교적 보수 작업을 천천히 수행해도 되는 단계로 균열 영역의 크기 성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도 이에 해당할 것이다. 위험도 2단계에서는 균열 영역의 성장 속도가 비교적 느린 경우로 이해될 수 있고 위험도 3단계는 균열 속도가 보편적인 속도에 하는 경우, 위험도 4단계는 균열 영역의 성장 속도가 비교적 빠른 경우, 위험도 5단계는 균열 영역의 성장 속도가 매우 빨라 신속한 보수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단계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의 설명에서는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세분화된 위험도에는 각 단계별로 정량화된 수치로 임계 성장 속도 구간이 정의되어 균열 영역에 대한 거동 분석을 더욱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 예로서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도 4의 200에서는 관제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서 라이닝콘크리트의 2개의 균열 영역이 감지되어 감지된 균열 영역의 균열 종류와 균열 크기(제1 크기)가 검출된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의 300에서는 앞서 감지된 균열 영역에서 보름 뒤의 균열 영역의 크기(제2 크기) 변화 정도가 모니터링 된 예가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 5의 300의 실시 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존 균열 영역(C1)과 추가 발생한 부분의 균열 영역(C2)을 구분되게 표시되도록 하여, 균열 진행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상술한 S20 단계의 수행 후에는, 앞서 언급한 거동 분석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균열 영역에 대한 보수 작업이 이행되어야 할 임계 작업 기일을 산출하는 임계 작업 기일 산출 단계(S30)가 수행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S30 단계에서는, 앞서 S20 단계의 수행 시 균열 영역에 결정된 위험도에 따라 보수 작업이 이행되어야 할 임계 작업 기일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한 임계 작업 기일은, 균열 영역의 크기가 사고 발생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 즉 라이닝콘크리트에 균열 영역이 존재할 때, 취성파괴에 대한 재료의 저항을 나타낸 파괴 인성값을 고려하여 터널 붕괴 등과 같은 사고 발생 이전으로 작업 기일을 산출하여 적시에 보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라이닝콘크리트의 균열에 의한 사고 발생 우려를 극도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S30 단계의 수행 후에는, 균열 영역에 대한 보수 재료 및 보수 공법을 선정하여, 산출된 임계 작업 기일까지 보수 작업이 완료되도록 하는 보수 계획을 수립하는 보수 계획 수립 단계(S4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S40 단계에서 보수 재료 및 보수 공법의 선정은 균열 시방서 및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보수 이력을 기반으로 감지된 균열 영역의 특성에 기반하여 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일 예로, 균열 영역이 미세 균열에 해당(폭 0.2mm 이하)할 경우, 도막탄성방수재를 이용하여 표면처리 공법으로 보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수 계획을 수립할 수 있고, 다른 예로 균열 영역이 폭 0.2mm 이상에서 0.5mm 미만의 균열에 해당하는 경우, 에폭시 수지를 보수재로 하여 균열 영역에 에폭시 수지를 주입하는 주입 공법으로 보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수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균열 영역이 0.5mm 이상의 균열에 해당하는 경우, 시일재, 가소성 에폭시 수지, 폴리머 시멘트 몰탈 등을 이용하여 균열 면의 콘크리트를 깎아내고, 철근의 녹을 제거하며, 철근 표면에는 방청재를 도포하고 콘크리트면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충전재를 충전하고 양생하도록 하는 등의 보수 작업을 포함하도록 하는 보수 작업이 수립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S40 단계에서는 수립된 보수 계획 상의 보수 작업들을 앞서 산출된 임계 작업 기일에 각 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적절히 분배함으로써, 균열 영역에 대한 보수 계획서를 생성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단순히 보수 계획을 수립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도 1의 S40 단계의 수행 후, 산출된 임계 작업기일 내에 라이닝콘크리트에 발생한 균열 영역에 대한 보수 작업 수행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보수 업체를 모집하여 보수 업체를 선정하도록 하는 보수 업체 선정 단계(S50)가 더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S50 단계에서 선정되는 보수 업체는, 라이닝콘크리트에 균열 영역이 발생한 터널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반경 내에 위치하는 보수 업체를 타겟으로 하나 이상의 보수 업체를 선정하는 것일 수 있다.
한 예로서, 보수 업체의 선정은, 비공개 경쟁 입찰로 진행하여,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한 보수 작업을 합리적인 가격 견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S50 단계의 수행에 의해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보수 업체에는 라이닝콘크리트에 수립된 보수 작업이 지시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이러한 보수 작업의 지시는 보수 업체의 단말에 도 6의 400과 같은 인터페이스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의 400을 참조하여 보면, 보수 업체 단말에는 보수 대상 정보로서, 앞서 라이다 모듈을 통해 생성된 3차원 입체 모델을 보수 업체의 단말에 보수 대상 정보(410)로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보수 대상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균열 영역은, 보수 업체 단말에서의 인터랙션이 활성화되도록 하여, 보수 업체 단말에서 일 균열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을 시, 균열 영역에 대한 세부 정보로서 균열 영역의 최초 발현 시점, 최초 크기 및, 최근 크기, 균열 영역의 성장 속도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하여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수 업체 측에 발생된 균열 영역에 대한 사전 정보를 더욱 면밀하고 명시적으로 제공하여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보수 업체 단말에는, 앞서 도 1의 S40 단계에서 수립된 보수 계획서(420)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 수립된 보수 계획을 도 6에 도시된 보수 계획서(420)와 같은 포맷으로 보수 업체 측에 제공함으로써, 보수 업체에서 별도로 보수 계획을 수립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할 필요 없이, 균열이 발생한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한 보수작업에 즉각 투입되도록 할 수 있어 보수 업체 측의 업무 경감 효과와, 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널의 라이닝콘크리트에 균열 영역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관제하여, 라이닝콘크리트의 균열에 의한 대형 사고가 초래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관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라이닝콘크리트의 균열 영역 검출 시점, 균열 영역 성장 추이, 임계 균열 크기에 도달하였는지에 대한 여부를 면밀히 살펴볼 수 있음에 따라서, 합리적인 보수 계획을 수립하고, 적시에 균열영역에 대한 보수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여, 향상된 라이닝콘크리트의 점검 효율을 도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라이다 모듈을 활용하여 라이닝콘크리트에 발생된 균열 정보를 보수 업체 측에 더욱 명시적인 자료로 제공하고, 구체적인 보수 방법, 보수 재료 등이 포함된 보수 작업 정보를 지시하게 됨에 따라, 보수 업체 측의 업무를 경감하고 보수 업체 측의 보수 작업 수행 편의를 증대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고,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장치(10)의 구성도의 예를 도시하였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장치(10)는 바람직하게 영상 데이터 획득부(11), 거동 분석부(12), 임계 작업 기일 산출부(13) 및 보수 계획 수립부(14)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영상 데이터 획득부(11)는, 시공이 완료된 터널의 라이닝콘크리트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관제 카메라(20)를 이용하여,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영상 데이터 획득부(11)에는 하나 이상의 관제 카메라(20)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관제 카메라(20)로서 적외선 촬영을 지원하는 카메라가 이용되도록 하여, 터널의 어두운 터널 환경에서도 터널의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한 촬영 영상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영상 데이터 획득부(11)는, 도 1의 S1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영상 데이터 획득부(11)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라이닝콘크리트에서 발생한 균열 영역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하는 대책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거동 분석부(12)는, 관제 카메라(20)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닝콘크리트의 균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균열 영역에 대한 거동을 분석하도록 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거동 분석부(12)는, 감지된 균열 영역의 크기는 물론이고, 균열 영역의 성장 속도 분석, 감지된 균열 영역이 실제 균열 영역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별 등이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도 1의 S2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거동 분석부(12)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해 발생된 균열 영역을 더욱 정밀하게 관제할 수 있는 것으로 이렇게 관제된 데이터들을 취합하여 후술할 보수 업체 측에, 보수 대상이 되는 터널의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한 정보를 더욱 상세히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음으로 상술한 임계 작업 기일 산출부(13)는, 균열 영역의 거동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균열 영역에 대해 보수 작업 작업이 이행되어야 할 임계 작업 기일을 산출하는 기능이 수행된다.
즉 상술한 임계 작업 기일 산출부(13)는 도 1의 S3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상술한 임계 작업 기일 산출부(13)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터널 붕괴 등과 같은 사고 발생 이전으로 작업 기일을 산출하여 적시에 보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라이닝콘크리트의 균열에 의한 사고 발생 우려를 극도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보수 계획 수립부(14)는, 균열 영역에 대한 보수 재료 및 보수 공법을 선정하여, 산출된 임계 작업 기일까지 보수 작업이 완료되도록 하는 보수 계획을 수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보수 계획 수립부(14)는 앞서 도 1의 S4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이때 보수 계획은 데이터베이스(40)에 누적된 보수 이력 및, 균열 보수 시방서에 기반한 보수 계획으로 라이닝콘크리트에 적합한 보수 계획이 수립되는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러한 보수 계획을 보수 업체 측 단말(30)로 제공함으로써 실제 보수 작업을 수행할 보수 업체 측의 업무를 경감하고,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에는 명시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장치(10)에는 보수 계획 수립부(14)의 기능 수행 후, 산출된 임계 작업기일 내에 상기 균열 영역에 대한 보수 작업 수행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보수 업체를 모집하여 보수 업체를 선정하는 보수 업체 선정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보수 업체 선정부는 앞서 도 2의 S5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술한 보수 업체 선정부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적시에 균열영역에 대한 보수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여, 향상된 라이닝콘크리트의 점검 효율을 도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고,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8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공이 완료된 터널의 라이닝콘크리트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관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 단계;
    상기 관제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닝콘크리트의 균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균열 영역에 대한 거동을 분석하는 거동 분석 단계;
    상기 균열 영역의 거동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균열 영역에 대해 보수 작업 작업이 이행되어야 할 임계 작업 기일을 산출하는 임계 작업 기일 산출 단계; 및
    상기 균열 영역에 대한 보수 재료 및 보수 공법을 선정하여, 산출된 임계 작업 기일까지 보수 작업이 완료되도록 하는 보수 계획을 수립하는 보수 계획 수립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거동 분석 단계는,
    상기 균열 영역이 최초 발현된 시점의 크기에 대응하는 제1 크기 및, 상기 제1 크기를 기준으로 임계 기간 동안 성장한 균열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는 제2 크기로부터, 상기 균열 영역의 성장 속도를 연산함으로써 상기 균열 영역에 대한 거동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동 분석 단계는,
    상기 연산된 성장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균열 영역의 위험도를 세분화하고,
    상기 임계 작업 기일 산출 단계는,
    상기 균열 영역에 결정된 위험도에 따라 상기 보수 작업이 이행되어야 할 임계 작업 기일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 계획 수립 단계의 수행 후에는,
    산출된 임계 작업기일 내에 상기 균열 영역에 대한 보수 작업 수행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보수 업체를 모집하여 보수 업체를 선정하는 보수 업체 선정 단계;를 더 포함하여,
    선정된 보수 업체에 계획된 보수 작업을 지시함으로써, 상기 균열 영역에 대한 보수가 적시에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카메라에는 라이다 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균열 영역이 검출된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한 3차원 입체 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3차원 입체 모델을, 상기 선정된 보수 업체에 보수 대상 정보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
  6.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장치에 있어서,
    시공이 완료된 터널의 라이닝콘크리트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관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부;
    상기 관제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닝콘크리트의 균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균열 영역에 대한 거동을 분석하는 거동 분석부;
    상기 균열 영역의 거동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균열 영역에 대해 보수 작업 작업이 이행되어야 할 임계 작업 기일을 산출하는 임계 작업 기일 산출부; 및
    상기 균열 영역에 대한 보수 재료 및 보수 공법을 선정하여, 산출된 임계 작업 기일까지 보수 작업이 완료되도록 하는 보수 계획을 수립하는 보수 계획 수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동 분석부는,
    상기 균열 영역이 최초 발현된 시점의 크기에 대응하는 제1 크기 및, 상기 제1 크기를 기준으로 임계 기간 동안 성장한 균열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는 제2 크기로부터, 상기 균열 영역의 성장 속도를 연산함으로써 상기 균열 영역에 대한 거동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장치.
  7.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시공이 완료된 터널의 라이닝콘크리트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관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닝콘크리트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데이터 획득 단계;
    상기 관제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라이닝콘크리트의 균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균열 영역에 대한 거동을 분석하는 거동 분석 단계;
    상기 균열 영역의 거동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균열 영역에 대해 보수 작업 작업이 이행되어야 할 임계 작업 기일을 산출하는 임계 작업 기일 산출 단계; 및
    상기 균열 영역에 대한 보수 재료 및 보수 공법을 선정하여, 산출된 임계 작업 기일까지 보수 작업이 완료되도록 하는 보수 계획을 수립하는 보수 계획 수립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거동 분석 단계는,
    상기 균열 영역이 최초 발현된 시점의 크기에 대응하는 제1 크기 및, 상기 제1 크기를 기준으로 임계 기간 동안 성장한 균열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는 제2 크기로부터, 상기 균열 영역의 성장 속도를 연산함으로써 상기 균열 영역에 대한 거동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200168830A 2020-12-04 2020-12-04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253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830A KR102253614B1 (ko) 2020-12-04 2020-12-04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830A KR102253614B1 (ko) 2020-12-04 2020-12-04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614B1 true KR102253614B1 (ko) 2021-05-17

Family

ID=7615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830A KR102253614B1 (ko) 2020-12-04 2020-12-04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6809A (zh) * 2022-08-02 2022-11-11 山西省智慧交通研究院有限公司 一种隧道衬砌表观裂纹检测方法及检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568B1 (ko) * 2018-11-29 2020-04-28 김노아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구조물 진단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진단시스템
KR102177686B1 (ko) * 2019-08-29 2020-11-11 (주)엘라이트 터널점검 자동 영상촬영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568B1 (ko) * 2018-11-29 2020-04-28 김노아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구조물 진단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진단시스템
KR102177686B1 (ko) * 2019-08-29 2020-11-11 (주)엘라이트 터널점검 자동 영상촬영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6809A (zh) * 2022-08-02 2022-11-11 山西省智慧交通研究院有限公司 一种隧道衬砌表观裂纹检测方法及检测装置
CN115326809B (zh) * 2022-08-02 2023-06-06 山西省智慧交通研究院有限公司 一种隧道衬砌表观裂纹检测方法及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que et al. Bridge deterioration quantification protocol using UAV
Gordon et al. Combining reality capture technologies for construction defect detection: A case study
RU264890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эталонов для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контроля пористости
KR102253614B1 (ko)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의 보수 작업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CN104903197A (zh) 修复复合材料飞行器结构的系统及方法
JP201905666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EP3312095B1 (en) Lightning strike inconsistency aircraft dispatch mobile disposition tool
KR101792435B1 (ko) 화재 피해를 입은 구조물의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
US8805555B2 (en) Configuring a PID controller
Wang et al. A graphics-based digital twin framework for computer vision-based post-earthquake structural inspection and evaluation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Chen et al. Computer-vision-guided semi-autonomous concrete crack repair for infrastructure maintenance using a robotic arm
KR102157702B1 (ko) 원자력 시설의 원자로 보수작업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WO2015137696A1 (ko) 3d 스캐너를 이용한 도로포장면의 손상분석 및 보수방안 수립 시스템, 그리고 이를 기반한 보수방안 수립 방법
KR20200056635A (ko) 지능형 가공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가공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Hendriks et al. Sequentially linear versus nonlinear analysis of RC structures
US7991215B2 (en) Element splitting method, element splitting arithmetic device and damage extension analysis device
KR102441276B1 (ko) 모바일단말 기반의 구조물 안전정보 제공 및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i et al. Automated and intelligent tool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u et al. Thermal Effects on Tension Softening Response and Fracture Characteristics of Quartz-Diorite
JP201905722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726327B1 (ko) 아스팔트 포장시공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방법
Akula et al. Augmenting BIM with 3D imaging data to control drilling for embeds into reinforced concrete bridge decks
KR101983476B1 (ko) 영상 정보 기반 입도 분포 추정 장치 및 방법
Eriksen et al. Investigation of cracking behavior in reinforced concrete panels with bond-slip reinforcement
Czyba et al. Docking unmanned multi-rotor platform for the diagnostic of building structures strengthened with fiber-reinforced polymer overl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