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027B1 -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027B1
KR102303027B1 KR1020210055275A KR20210055275A KR102303027B1 KR 102303027 B1 KR102303027 B1 KR 102303027B1 KR 1020210055275 A KR1020210055275 A KR 1020210055275A KR 20210055275 A KR20210055275 A KR 20210055275A KR 102303027 B1 KR102303027 B1 KR 102303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racket
rotation
horizontal
horizontal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호
Original Assignee
김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호 filed Critical 김기호
Priority to KR1020210055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027B1/ko
Priority to KR1020210120663A priority patent/KR20220148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6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 이동수단이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부에 구비되는 콘트롤러부; 상기 몸체부 상부에 상기 콘트롤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비되는 구동부; 상기 몸체부 상부에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비되는 파워부; 상기 몸체부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수직지지부; 상기 수직지지부의 상부에 상기 수직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이가 가변되는 수평암유닛; 상기 수평암유닛의 일측 단부에 상기 수평암유닛의 길이방향에 수직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브라켓; 상기 연결브라켓의 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지지브라켓에 구비되는 제1회전모터부; 상기 회전브라켓의 단부에 구비되는 보조브라켓; 상기 보조브라켓 내측에 구비되는 제2회전모터부; 및 상기 제2회전모터부의 회전축에 중심축이 연결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Movable auto plastering machine}
본 발명은 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성을 높이고 작업 장소로의 이동이 손쉽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안정적 작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장이나 벽면 등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은 주로 거푸집의 상부 측으로 철근을 배치한 후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콘크리트 타설시 건축물의 천장 수평이나 측면 수직을 맞추기 위해 마무리 작업의 하나로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기 전에 수평 또는 수직면을 균일하게 만드는 미장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최근 들어서는 이러한 미장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 미장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고가인 문제가 있다.
또한, 미장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이동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7625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미작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이동이 쉽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천장 또는 벽면의 평탄화 작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장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에 이동수단이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부에 구비되는 콘트롤러부; 상기 몸체부 상부에 상기 콘트롤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비되는 구동부; 상기 몸체부 상부에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비되는 파워부; 상기 몸체부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수직지지부; 상기 수직지지부의 상부에 상기 수직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이가 가변되는 수평암유닛; 상기 수평암유닛의 일측 단부에 상기 수평암유닛의 길이방향에 수직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브라켓; 상기 연결브라켓의 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지지브라켓에 구비되는 제1회전모터부; 상기 회전브라켓의 단부에 구비되는 보조브라켓; 상기 보조브라켓 내측에 구비되는 제2회전모터부; 및 상기 제2회전모터부의 회전축에 중심축이 연결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암유닛은 상기 수직지지부에 힌지 연결되는 수평고정부와, 상기 수평실린더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인입 및 인출되는 수평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고정부로부터 상기 수평이동부를 수평 이동시키는 유압식으로 작동하는 피스톤부 및 실린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평암유닛이 힌지 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수평암유닛이 회동하도록,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몸체부와 상기 수평암유닛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실린더부 및 회동피스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에 의하면, 몸체부 하측에 구비된 이동수단을 이용 미장장치 전체를 미장작업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상의 편리함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에 의하면, 회동이 가능한 수평암유닛과, 제1회전모터부 및 제2회전모터부를 이용 블레이드부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평면과 수직면 양측 모두의 미작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효율적 작업이 가능해지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에 의하면, 미장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의 요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에 적용되는 블레이드부의 요부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자동 미장장치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모듈을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블레이드모듈에 적용된 블레이드부의 경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블레이드부의 경사각 측정 및 조절을 위한 조절보드모듈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8은 상기 도 7에 적용된 지시볼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의 요부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에 적용되는 블레이드부와 회전축의 요부 결합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100)는 몸체부(110), 콘트롤러부(120), 구동부(134), 파워부(132), 수직지지부(136), 수평암유닛, 연결브라켓(172), 지지브라켓(177), 회전브라켓(185), 제1회전모터부(188), 보조브라켓(195), 제2회전모터부(192), 블레이드부(198)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100)의 메인 플랫폼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하부에 휠(112) 및 무한궤도부(115) 적용 방식의 이동수단이 구비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미장장치를 전체적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부(120)는 상기 몸체부(110) 상부에 구비되며 다수의 레버 방식의 조작부(122)가 적용된 형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구동부(134)와 파워부(132)도 상기 몸체부(110) 상부에 상기 콘트롤러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비되며, 상기 콘트롤러부(120)의 조작부(122) 조작에 따라서 상기 수평암유닛, 제1회전모터부(188), 제2회전모터부(192), 후술하는 회동피스톤부(146)와 수평피스톤부(152) 등을 전기식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동부(134)에 연결되는 수평암유닛, 제1회전모터부(188), 제2회전모터부(192), 회동피스톤부(146), 수평피스톤부(152) 등의 연결방식 및 작동은 공지된 기술에 따른 방식이 적용되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그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수직지지부(136)는 상당 강성을 지닌 철재 구조로 상기 몸체부(110) 상부 일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암유닛은 상기 수직지지부(136)의 상부에 상기 수직지지부(136)에 힌지부(20)에 의하여 타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이가 가변되는 구성을 이룬다.
이를 위해, 상기 수평암유닛은 상기 수직지지부(136)에 힌지 연결되는 수평고정부(141)와, 상기 수평고정부(141)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인입 및 인출되는 수평이동부(143)를 포함하며, 도시된 것처럼, 상기 수평고정부(141)로부터 상기 수평이동부(143)를 수평 이동시키도록 유압식으로 작동하는 수평실린더부(151) 및 수평피스톤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브라켓(172)은 상기 수평암유닛을 이루는 수평피스톤부(152)의 일측 단부에 상기 수평암유닛의 길이방향에 수직 교차되는 방향으로 힌지부(1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브라켓(172)의 일측으로는 제1로드부(161)와, 제2로드부(162)가 힌지부(10)에 의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2로드부(162)의 단부는 상기 연결브라켓(172)에 힌지부(10)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1로드부(161)의 타측 단부는 상기 수평고정부(141)에 힌지부(10)에 의하여 연결된 보조실린더부(153)와 보조피스톤부(154)의 단부에 힌지연결된다.
즉, 상기 보조실린더부(153)와 보조피스톤부(154)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제1로드부(161)와, 제2로드부(162)가 가압하여 상기 연결브라켓(172)이 상기 수평이동부(143)의 단부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177)은 상기 연결브라켓(172)의 단부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브라켓(185)은 상기 지지브라켓(177)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제1회전모터부(188)의 회전축(175)이 상기 회전브라켓(185)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지지브라켓(177) 외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제1회전모터부(188)의 작동에 따른 회전축(175)의 회전 시 상기 회전브라켓(185)이 상기 지지브라켓(177)에 상대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브라켓(195)은 상기 회전브라켓(185)의 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2회전모터부(192)는 상기 보조브라켓(192)에 결합된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부(198)는 상기 제2회전모터부(192)의 회전축(197)에 중심부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2회전모터부(192)이 작동 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지지부(136)와 상기 수평암유닛이 힌지 연결된 부위(20)를 중심으로 상기 수평암유닛이 회동하도록,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수평암유닛의 수평실린더부(151)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실린더부(145) 및 회동피스톤부(146)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제2회전모터부(192)의 회전축(197) 단부는 끼움홈(197b)이 구비되되, 상기 끼움홈(197b)에 끼워지며 소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끼움편(196a)과, 상기 수평끼움편(196a)에 교차되게 구비되는 수직결합편(196b)을 가지는 중간고정부재(196)가 구비된다.
상기 제2회전모터부(192)의 회전축(197)과 상기 수평끼움편(196a)은 상기 회전축(197) 단부에 구비된 나사홈(197a)과 상기 수평끼움편(196a)의 나사홈(196c)을 통하여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고정부재(196)의 수직결합편(196b)이 상기 블레이드부(198)의 중앙측을 가로지르며 용접 또는 나사방식 등에 의하여 고정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100)에 의하면, 이동수단을 이용 미장장치 전체를 미장작업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상의 편리함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특히, 회동이 가능한 수평암유닛과, 제1회전모터부(188) 및 제2회전모터부(192)를 이용 블레이드부(198)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평면과 수직면 양측 모두의 미작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효율적 작업이 가능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모듈을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모듈(250)은 상기 제2회전모터부(192)의 회전축(197)이 중심에 연결되는 중심회전부(252), 미장용 블레이드부(255) 포함한다.
상기 중심회전부(252)는 원판 형태를 이루되, 상기 중심회전부(252)의 외측 원주 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상기 블레이드부(255)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중심회전부(252)에는 외측 원주 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설치공(253)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공(253)에 삽입 고정되는 설치로드부(259)가 단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된 제1결합로드부(25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로드부(252)에 나사결합되는 제2결합로드부(251)가 구비되되, 상기 제2결합로드부(251)에 상기 블레이드부(255)가 상기 제2결합로드부(251)에 구비된 나사공(257a)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나사공(255a)을 통하여 나사(257, 258)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로드부(252)도 상기 제2결합로드부(251)에 구비된 나사공(257a)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공(258a)이 구비되어 나사(258)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각 블레이드부(255)는 평면을 기준으로 소정 경사진 각도(θ)를 이루며 상기 중심회전부(252)에 결합된 상태를 이룬다(도 5 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블레이드모듈을 가지는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블레이드부(255)가 적용되어 천장이나 벽체의 미장 작업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즉, 고속회전으로 신속하게 미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6은 전술한 블레이드모듈의 경사각 측정 및 조절을 위한 조절보드모듈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는 상기 블레이드모듈(250)의 제1블레이드부(255)의 경사각도를 측정 및 조절하기 위한 조절보드모듈(3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조절보드모듈(300)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판 보드 형태의 조절보드몸체부(303)를 구비하되, 상기 조절보드몸체부(303)에 상기 블레이드모듈(250)을 상측에서 덮어 감싸는 경우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255)가 내설되는 블레이드내설부(330)가 구비된다.
상기 블레이드내설부(330)는 소정의 홈 형태를 이루되, 기 설정 각도로 상기 제1블레이드부(255)가 설치 시에 상기 블래이드내설부(330)에 상측이 면상 접촉되며 설치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절보드모듈(300)의 상부에는 평형상태를 지시하는 평형계가 구비되며, 공지된 기술 중 일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조절보드보듈(300)을 이용하여 상기 블레이드모듈(250)을 덮어 감싸도록 하면서 수평하게 설치한 후에는 상기 제1블레이드부(255)가 블레이드내설부(330)에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제1블레이드부(255)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미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내설부(330) 내측면에는 지시 페인팅액이 기 도포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부(255)가 전체적으로 상기 지시페인팅액이 묻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정확한 각도로 제1블레이드부(255)가 설치되어지는 지를 파악할 수도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중심회전부(252)를 포함하여 블레이드모듈(250) 전체가 상기 조절보드모듈(300) 내부에 내설되도록 상기 조절보드몸체부(303)의 하부에 상기 블레이드모듈(250)의 형태에 대응되는 소정의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7에 적용된 지시볼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블레이드부(255)의 일측면 가장자리 측으로 중앙에 끼움공(415)이 구비된 삽입공(412)이 구비되며, 상기 끼움공(415)에 억지 끼워지는 끼움부(420)및 상기 삽입공(412)에 삽입되는 헤드부(410)를 포함하는 지시볼트부(4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410)의 상부면에는 서로 다른 색으로 이루어지며 마찰에 의하여 벗겨지는 제1지시층(411)과 제2지시층(41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420)는 상기 끼움공(415)에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끼움부(420) 내부에는 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미장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1지시층(411) 또는 상기 제2지시층(412)의 노출 정도에 따라서 상기 제1블레이드부(255)의 각도 변경 상태 또는 마모 정도를 파악하여 올바른 위치로 제1블레이드부(255)를 위치시키거나 교체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
120: 콘트롤러부
132: 파워부
134: 구동부
136: 수직지지부
141: 수평고정부
143: 수평이동부
145: 회동실린더부
146: 회동피스톤부
172: 연결브라켓
177: 지지브라켓
188: 제1회전모터부
192: 제2회전모터부
195: 회전브라켓
198: 블레이드부

Claims (3)

  1. 하부에 이동수단이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부에 구비되는 콘트롤러부; 상기 몸체부 상부에 상기 콘트롤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비되는 구동부; 상기 몸체부 상부에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비되는 파워부; 상기 몸체부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수직지지부; 상기 수직지지부의 상부에 상기 수직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이가 가변되는 수평암유닛; 상기 수평암유닛의 일측 단부에 상기 수평암유닛의 길이방향에 수직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브라켓; 상기 연결브라켓의 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지지브라켓에 구비되는 제1회전모터부; 상기 회전브라켓의 단부에 구비되는 보조브라켓; 상기 보조브라켓 내측에 구비되는 제2회전모터부; 및 상기 제2회전모터부의 회전축에 중심축이 연결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암유닛은 상기 수직지지부에 힌지 연결되는 수평고정부와, 상기 수평실린더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인입 및 인출되는 수평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고정부로부터 상기 수평이동부를 수평 이동시키는 유압식으로 작동하는 피스톤부 및 실린더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평암유닛이 힌지 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수평암유닛이 회동하도록,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몸체부와 상기 수평암유닛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실린더부 및 회동피스톤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
KR1020210055275A 2021-04-28 2021-04-28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 KR102303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275A KR102303027B1 (ko) 2021-04-28 2021-04-28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
KR1020210120663A KR20220148070A (ko) 2021-04-28 2021-09-09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275A KR102303027B1 (ko) 2021-04-28 2021-04-28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663A Division KR20220148070A (ko) 2021-04-28 2021-09-09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027B1 true KR102303027B1 (ko) 2021-09-15

Family

ID=777930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275A KR102303027B1 (ko) 2021-04-28 2021-04-28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
KR1020210120663A KR20220148070A (ko) 2021-04-28 2021-09-09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663A KR20220148070A (ko) 2021-04-28 2021-09-09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30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257B1 (ko) 1997-04-07 2000-12-15 이형도 전원공급장치 판별기능을 갖는 유무선 겸용키보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39713A (ko) * 2016-06-09 2017-12-2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굴삭기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설치장치
CN208777735U (zh) * 2018-07-25 2019-04-23 陈素赫 一种双伸缩臂滑移四轮整平机
JP2020200593A (ja) * 2019-06-06 2020-12-17 鹿島建設株式会社 把持装置及び把持運搬装置、並びに把持装置を用いた運搬・設置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257B1 (ko) 1997-04-07 2000-12-15 이형도 전원공급장치 판별기능을 갖는 유무선 겸용키보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39713A (ko) * 2016-06-09 2017-12-2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굴삭기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설치장치
CN208777735U (zh) * 2018-07-25 2019-04-23 陈素赫 一种双伸缩臂滑移四轮整平机
JP2020200593A (ja) * 2019-06-06 2020-12-17 鹿島建設株式会社 把持装置及び把持運搬装置、並びに把持装置を用いた運搬・設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070A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370009U (zh) 一种装配式墙板支撑装置
KR100988019B1 (ko) 내/외장 패널 설치구조
KR102303027B1 (ko) 이동형 자동 미장장치
CN115370048A (zh) 一种用于曲面幕墙的可调节精准定位装置
CN105569363A (zh) 一种用于预制构件斜撑的旋转接头连接装置及使用方法
KR102274936B1 (ko) 자동 미장장치
CN209874484U (zh) 一种铝合金模板斜撑装置
JP2001159240A (ja) コンクリート直仕上げ工法と治具
CN207798099U (zh) 一种用于悬空点放样的组合装置
CN220151072U (zh) 一种建筑模板支撑用防倾斜装置
CN212784348U (zh) 一种砖墙上的配电箱预埋固定装置
JP2021031981A (ja) ベタ基礎工事方法及び型枠固定具
CN219138483U (zh) 一种土木工程建筑支柱
CN217105839U (zh) 一种钢筋混凝土保护层控制装置
CN210289026U (zh) 一种自动批荡抹平机
CN212477285U (zh) 一种导轨支撑安装装置及其导轨
KR20200109817A (ko) 거푸집 통공용 관체 받침대
KR101620627B1 (ko) 슬래브 전기박스 보강구조
CN220080851U (zh) 一种装配式建筑用于连接墙板构件的水平装置
CN217580503U (zh) 一种可调节的排水沟浇筑模板
CN214658749U (zh) 一种可不同角度调节的建筑铝模板
CN219909975U (zh) 一种土建基模固定夹具
CN217949765U (zh) 一种建筑模板固定装置
CN216559610U (zh) 一种土木工程结构抗震试验装置
CN221236405U (zh) 一种混凝土外挑梁模板加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