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285B1 - 가상 차선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차선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285B1
KR102302285B1 KR1020200000248A KR20200000248A KR102302285B1 KR 102302285 B1 KR102302285 B1 KR 102302285B1 KR 1020200000248 A KR1020200000248 A KR 1020200000248A KR 20200000248 A KR20200000248 A KR 20200000248A KR 102302285 B1 KR102302285 B1 KR 102302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lane
vehicle
unit
lan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7238A (ko
Inventor
김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00000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2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2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K2360/3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15Output devices or features thereof
    • B60K2370/152Displays
    • B60K2370/1529Head-up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70/00Details of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K35/00, B60K37/00
    • B60K237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70/31Virtual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20Ambient conditions, e.g. wind or 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빗물의 양과 속도를 감지하는 빗물 센서부, 차량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부,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빗물 센서부 및 조도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 또는 야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주행 환경 판단부, 및 주행 환경 판단부가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 또는 야간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한 차량의 전방 영상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을 식별하고, 식별된 차선에 기초하여 가상 차선을 생성하며, 생성된 가상 차선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가상 차선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 차선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VIRTUAL LANE}
본 발명은 가상 차선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빗물 감지센서 및 조도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 환경과, 카메라를 통해 식별된 차선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차선을 생성하는 가상 차선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야간에도 차선을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반사도가 높은 도료를 이용하여 차선을 도색하고 있으며, 도로 규정 상 차선을 처음 도색하는 경우에, 백색 차선은 차선의 반사율이 240mcd/m2Lux 이상이 되도록 도색하고, 황색 차선은 차선의 반사율이 150mcd/m2Lux 이상이 되도록 도색하여야 한다.
하지만, 차선의 마모, 불량 도료의 사용 등으로 인하여 차선의 반사율이 도로 규정에 부합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야간 운전 시 운전자가 차선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여 교통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비가 내리는 경우 빗물로 인하여 도로에 수막이 형성됨에 따라 차선의 반사율이 급격히 떨어지고, 이에 따라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보다 차선 미인식에 따른 교통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7112호(2013.05.31.)의 '가상 차선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야간 또는 비가 내리는 경우, 차선의 반사율이 급격히 떨어져 차선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함에 따라 교통사고 발생의 위험이 증가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가상 차선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상 차선 생성 장치는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빗물의 양과 속도를 감지하는 빗물 센서부,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부,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빗물 센서부 및 상기 조도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 또는 야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주행 환경 판단부, 및 상기 주행 환경 판단부가 상기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 또는 야간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한 상기 차량의 전방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차선에 기초하여 가상 차선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가상 차선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가상 차선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HUD(Head Up Display)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가상 차선 생성부는, 상기 빗물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빗물의 양 및 상기 빗물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가상 차선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가상 차선 생성부는, 상기 조도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가상 차선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가상 차선 생성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시야를 통해 인식되는 실제 차선의 위치에 상기 가상 차선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가상 차선 생성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운전자의 시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상 차선 생성 방법은 주행 환경 판단부가, 빗물 센서부 및 조도 센서부를 통해 차량의 주행 환경을 감지하는 단계, 주행 환경 판단부가, 상기 차량의 주행 환경을 감지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 또는 야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 또는 야간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가상 차선 생성부가,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한 상기 차량의 전방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차선에 기초하여 가상 차선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가상 차선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HUD(Head Up Display)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 차선 생성부는, 상기 빗물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빗물의 양 및 상기 빗물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가상 차선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 차선 생성부는, 상기 조도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가상 차선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 차선 생성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시야를 통해 인식되는 실제 차선의 위치에 상기 가상 차선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 차선 생성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운전자의 시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빗물 감지센서 및 조도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 환경과, 카메라를 통해 식별된 차선에 기초하여 가상 차선을 생성함으로써 운전자의 차선 인식성을 향상시키고, 야간 또는 강우 상황에서 주행 시 운전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차선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차선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차선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차선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차선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차선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차선 생성 장치는 카메라부(100), 빗물 센서부(200), 조도 센서부(300), 디스플레이부(400), 주행 환경 판단부(500) 및 가상 차선 생성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00)는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00)는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빗물 센서부(200)는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빗물의 양과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빗물 센서부(200)는 차량의 앞 유리에 부착되어, 적외선을 통해 빗물의 양과 속도를 감지하거나, 빗물 센서부(200)에 구비된 발광부에서 발생한 빛이 차량의 앞 유리에서 반사하여 빗물 센서부(200)에 구비된 수광부에 수광되는 정도를 통해 빗물의 양과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인지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조도 센서부(300)는 차량의 주행 환경이 야간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차량 주변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주행 환경이 야간인지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 이후 차량의 주행 환경이 야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도 센서부(300)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구비되어, 차량 전방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0)는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400)는 HUD(Head Up Display)일 수 있으며,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을 차량의 앞 유리(윈드실드)에 표시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현재 주행 중인 차선을 식별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400)는 투명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차량의 앞 유리에 구비된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을 표시할 수 있다.
주행 환경 판단부(500)는 빗물 센서부(200) 및 조도 센서부(30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 또는 야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환경 판단부(500)는 빗물 센서부(200)를 통해 감지된 빗물의 양과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주행 환경 판단부(500)는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차량의 주변 조도가 기 설정된 기준조도 이하이면 차량의 주행 환경이 야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가상 차선 생성부(600)는 주행 환경 판단부(500)가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 또는 야간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카메라부(100)를 통해 촬영한 차량의 전방 영상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을 식별하고, 식별된 차선에 기초하여 가상 차선을 생성하며, 생성된 가상 차선을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차선 생성부(600)는 주행 환경 판단부(500)가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 또는 야간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에지검출필터 등의 필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카메라부(100)를 통해 촬영한 차량의 전방 영상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고, 필터링된 차량의 전방 영상에서 차선에 해당하는 특징점을 추출함으로써 차량의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선을 식별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으로부터 차선을 식별하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VM(Support Vector Machine), R-CNN(Regions wit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등의 기계학습기법을 이용하여 영상에서 특정 객체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이 영상으로부터 차선을 식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가상 차선 생성부(600)는 빗물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빗물의 양 및 빗물의 속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가상 차선을 표시하는 경우, 가상 차선이 표시되는 동안 운전자의 시야 범위 내에 가상 차선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가상 차선의 밝기가 강한 경우 가상 차선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시야가 방해받거나 운전자의 시선이 가상 차선에 집중되어 운전이 방해받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상 차선 생성부(600)가 빗물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빗물의 양 및 빗물의 속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빗물 센서부(200)를 통해 감지되는 빗물의 양이 많은 경우 가상 차선의 밝기를 높이고, 빗물 센서부(200)를 통해 감지되는 빗물의 양이 적은 경우 가상 차선의 밝기를 낮춤으로써 빗물 센서부(200)를 통해 감지되는 빗물의 양에 따라 가상 차선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도 센서부(300)를 통해 감지되는 차량 주변의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가상 차선의 밝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부(300)를 통해 감지되는 차량 주변의 조도가 큰 경우 가상 차선의 밝기를 높이고, 조도 센서부(300)를 통해 감지되는 차량 주변의 조도가 작은 경우 가상 차선의 밝기를 낮춤으로써 조도 센서부(300)를 통해 감지되는 차량 주변의 조도에 따라 가상 차선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빗물 센서부(200)를 통해 감지되는 빗물의 양 및 빗물의 속도와, 조도 센서부(300)를 통해 감지되는 차량 주변의 조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가상 차선의 밝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가상 차선 생성부(600)는 차량의 운전자 시야를 통해 인식되는 실제 차선의 위치에 가상 차선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상 차선 생성부(600)는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차량의 운전자 시야를 통해 인식되는 실제 차선의 위치에 가상 차선을 표시하여 강우 또는 야간 주행 시 차선 인식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강우 또는 야간 주행하는 운전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차선 생성부(600)가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감지하고, 감지된 운전자의 시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주행 중 운전자의 고개에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운전자의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이 운전자의 시야를 통해 인식되는 실제 차선의 위치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동승자와 대화를 위해 고개를 움직이거나 물건을 집기 위해 움직이는 경우, 차량 내 운전자의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를 통해 인식되는 실제 차선과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 간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다.
가상 차선 생성부(600)는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예: 운전자의 눈 위치)를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운전자의 시야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운전자의 시야를 통해 인식되는 실제 차선과 가상 차선이 일치하도록 가상 차선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가상 차선 생성부(600)가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가상 차선을 표시하는 경우, 차량의 제원(예: 차량의 앞 유리 경사도, 굴곡), 운전자의 특성(예: 운전자의 앉은 키) 등에 따라 가상 차선이 차량의 앞 유리에 표시되는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차량의 시동을 온 시키는 경우 운전자의 시야를 통해 인식되는 실제 차선의 위치와 가상 차선 생성부(600)를 통해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한 가상 차선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위치를 설정하는 초기 위치 설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위치 설정부는 외부(예: 운전자)로부터 운전자의 신체 정보, 및 차종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운전자의 신체 정보 및 차종을 토대로 가상 차선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위치 설정부는 가상 차선 생성 장치에 구비된 버튼(예: 방향 버튼)(미도시)을 이용하여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위치가 운전자의 시야를 통해 인식되는 실제 차선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가상 차선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차선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차선 생성 방법은 감지하는 단계(S100), 판단하는 단계(S200) 및 표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하는 단계(S100)에서 주행 환경 판단부(500)는 빗물 센서부(200) 및 조도 센서부(300)를 통해 차량의 주행 환경을 감지할 수 있다.
판단하는 단계(S200)에서, 주행 환경 판단부(500)는 차량의 주행 환경을 감지한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 또는 야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환경 판단부(500)는 빗물 센서부(200)를 통해 감지된 빗물의 양과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주행 환경 판단부(500)는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차량의 주변 조도가 기 설정된 기준조도 이하이면 차량의 주행 환경이 야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표시하는 단계(S300)에서,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 또는 야간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가상 차선 생성부(600)는 카메라부(100)를 통해 촬영한 차량의 전방 영상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을 식별하고, 식별된 차선에 기초하여 가상 차선을 생성하며, 생성된 가상 차선을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차선 생성부(600)는 주행 환경 판단부(500)가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 또는 야간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에지검출필터 등의 필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카메라부(100)를 통해 촬영한 차량의 전방 영상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고, 필터링된 차량의 전방 영상에서 차선에 해당하는 특징점을 추출함으로써 차량의 전방 영상으로부터 차선을 식별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으로부터 차선을 식별하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VM(Support Vector Machine), R-CNN(Regions wit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등의 기계학습기법을 이용하여 영상에서 특정 객체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이 영상으로부터 차선을 식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예: 운전자)로부터 가상 차선 생성 기능을 활성화시킬지 여부를 입력받고, 가상 차선 생성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주행 환경 판단부(500)가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 또는 야간으로 판단하더라도 가상 차선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표시하는 단계(S300)에서, 가상 차선 생성부(600)는 빗물 센서부(200)를 통해 감지되는 빗물의 양 및 빗물의 속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하는 단계(S300)에서, 가상 차선 생성부(600)는 조도 센서부(300)를 통해 감지되는 차량 주변의 조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하는 단계(S300)에서, 가상 차선 생성부(600)는 차량의 운전자 시야를 통해 인식되는 실제 차선의 위치에 가상 차선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하는 단계(S300)에서, 가상 차선 생성부(600)는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감지하고, 감지된 운전자의 시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차선 생성부(600)는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예: 운전자의 눈 위치)를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운전자의 시야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운전자의 시야를 통해 인식되는 실제 차선과 가상 차선이 일치하도록 가상 차선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가상 차선 생성부(600)가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가상 차선을 표시하는 경우, 차량의 제원(예: 차량의 앞 유리 경사도, 굴곡), 운전자의 특성(예: 운전자의 앉은 키) 등에 따라 가상 차선이 차량의 앞 유리에 표시되는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초기 위치 설정부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차량의 시동을 온 시키는 경우 운전자의 시야를 통해 인식되는 실제 차선의 위치와 가상 차선 생성부(600)를 통해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한 가상 차선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차선 생성 장치 및 방법은 빗물 감지센서 및 조도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차량의 주행 환경과, 카메라를 통해 식별된 차선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차선을 생성함으로써 운전자의 차선 인식성을 향상시키고, 야간 또는 강우 상황에서 주행 시 운전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카메라부
200: 빗물 센서부
300: 조도 센서부
400: 디스플레이부
500: 주행 환경 판단부
600: 가상 차선 생성부

Claims (12)

  1. 가상 차선 생성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빗물의 양과 속도를 감지하는 빗물 센서부;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부;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빗물 센서부 및 상기 조도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 또는 야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주행 환경 판단부; 및
    상기 주행 환경 판단부가 상기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 또는 야간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한 상기 차량의 전방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차선에 기초하여 가상 차선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가상 차선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가상 차선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차선 생성부는, 상기 빗물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빗물의 양 및 상기 빗물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가상 차선의 밝기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위치와 운전자의 시야를 통해 인식되는 실제 차선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상기 가상 차선 생성 장치의 설치 시 또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위치를 설정하는 초기 위치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기 위치 설정부는, 상기 운전자의 신체 정보 및 차종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운전자의 신체 정보 및 차종을 토대로 가상 차선의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초기 위치 설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방향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차선 생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HUD(Head Up Displ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차선 생성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차선 생성부는, 상기 조도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가상 차선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차선 생성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차선 생성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시야를 통해 인식되는 실제 차선의 위치에 상기 가상 차선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차선 생성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차선 생성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운전자의 시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차선 생성 장치.
  7. 가상 차선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가상 차선을 생성하는 가상 차선 생성 방법에 있어서,
    주행 환경 판단부가, 빗물 센서부 및 조도 센서부를 통해 차량의 주행 환경을 감지하는 단계;
    주행 환경 판단부가, 상기 차량의 주행 환경을 감지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 또는 야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주행 환경이 강우 또는 야간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가상 차선 생성부가,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한 상기 차량의 전방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차선에 기초하여 가상 차선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가상 차선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 차선 생성부는, 상기 빗물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빗물의 양 및 상기 빗물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가상 차선의 밝기를 제어하고,
    초기 위치 설정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위치와 운전자의 시야를 통해 인식되는 실제 차선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상기 가상 차선 생성 장치의 설치 시 또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초기 위치 설정부는, 상기 운전자의 신체 정보 및 차종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운전자의 신체 정보 및 차종을 토대로 가상 차선의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초기 위치 설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방향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차선 생성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HUD(Head Up Displ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차선 생성 방법.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 차선 생성부는, 상기 조도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차량 주변의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가상 차선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차선 생성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 차선 생성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시야를 통해 인식되는 실제 차선의 위치에 상기 가상 차선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차선 생성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 차선 생성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운전자의 시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차선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차선 생성 방법.
KR1020200000248A 2020-01-02 2020-01-02 가상 차선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302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248A KR102302285B1 (ko) 2020-01-02 2020-01-02 가상 차선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248A KR102302285B1 (ko) 2020-01-02 2020-01-02 가상 차선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238A KR20210087238A (ko) 2021-07-12
KR102302285B1 true KR102302285B1 (ko) 2021-09-14

Family

ID=7685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248A KR102302285B1 (ko) 2020-01-02 2020-01-02 가상 차선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168B1 (ko) 2023-04-21 2023-11-09 주식회사 테크온 Hud를 이용한 차선 도색차량용 차선 도색 안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5672A (ko) * 2010-12-29 2012-07-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시선방향 검출을 이용한 안전운전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14185B1 (ko) * 2015-08-05 201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80022374A (ko) * 2016-08-24 2018-03-06 주식회사 티노스 운전석과 보조석의 차선표시 hud와 그 방법
KR20180051836A (ko) * 2016-11-09 2018-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행 차량을 위한 가상의 주행 차선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78963B1 (ko) * 2017-05-11 2019-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168B1 (ko) 2023-04-21 2023-11-09 주식회사 테크온 Hud를 이용한 차선 도색차량용 차선 도색 안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238A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3668B1 (en) Variable transmissivity window system
JP3855439B2 (ja) 夜間運転視界支援装置
US11400862B2 (en) Vision-based interactiv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rear-view mirror for vehicle
KR2018005686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03200755A (ja) 車両用表示装置
US20200105224A1 (en)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4599658A (zh) 一种显示亮度的调节方法及装置
US20160125631A1 (en) Apparatus for dynamically controlling hud (head-up display) information display position
JP4687573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4770385B2 (ja) 自動サンバイザ
JP2014120111A (ja) 走行支援システム、走行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302285B1 (ko) 가상 차선 생성 장치 및 방법
US2015017510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ing brightness of a lit motor vehicle instrument as well as a motor vehicle with at least one dimmably lit motor vehicle instrument
CN111556281A (zh) 车用安全系统及其操作方法
JP2023133535A (ja) 撮影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200298677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to adjust dimming associated with vehicle sunroofs
JP5352266B2 (ja) 防眩装置
KR102384426B1 (ko) 운전 시 눈부심 방지 장치 및 방법
US11851003B2 (en) Driv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for driver
US20230069348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345364B2 (en) Attention calling device and attention calling method
WO2020183652A1 (ja) 運転支援装置
KR20220047022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JP6354805B2 (ja) 視界制御装置
US119388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