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133B1 -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133B1
KR102302133B1 KR1020190164823A KR20190164823A KR102302133B1 KR 102302133 B1 KR102302133 B1 KR 102302133B1 KR 1020190164823 A KR1020190164823 A KR 1020190164823A KR 20190164823 A KR20190164823 A KR 20190164823A KR 102302133 B1 KR102302133 B1 KR 102302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rail
blocking
b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968A (ko
Inventor
최진경
김성안
김선곤
안호섭
최진실
김영범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190164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133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2Racks for dr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퀴가 결합되어 있으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그 사이에 건조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골조부, 상기 건조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골조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골조부의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구르는 롤러와 상기 레일과 연결되어 있고 건조물이 걸릴 수 있는 거치바를 포함하는 건조부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공간은 사방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건조부는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건조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레일이 건조장치의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배열된 레일에 복수의 건조부가 설치되며 각 건조부에 건조물이 걸리어 건조될 수 있다. 이에 건조공간에 복수의 건조물들을 위치시킬 수 있어 좁은 면적에서 많은 건조물을 건조하므로 단위면적당 건조 용량 우수하다.

Description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경작하는 담뱃잎, 고추, 콩, 깨, 등의 농작물을 재배 후 보관을 위해 통상적으로 바닥에 비닐, 방수포 등을 깔고 그 위에 올려 놓은 후 자연 건조하고 있다.
이의 경우 바닥에서 습기가 올라오고 통풍이 잘되지 않아 농작물의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각종 해충이 건조중인 농작물에 쉽게 접근이 가능하여 건조하는 과정에서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다. 특히 우천 시 건조 중인 농작물을 비닐 따위로 덮어줘야 하는 불편함 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924호 (2005.06.2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1814호 (2004.12.22.)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에서 많은 양의 농작물 건조하며, 기후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노동력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는 바퀴가 결합되어 있으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그 사이에 건조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골조부, 상기 건조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골조부를 연결하고 있는 복수의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구르는 롤러와 상기 레일과 연결되어 있고 건조물이 걸릴 수 있는 거치바를 포함하는 건조부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공간은 사방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건조부는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건조공간을 이루는 상기 골조부의 내측면에는 걸림홈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적어도 1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롤러가 이동하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레일몸체, 그리고 상기 레일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고리는 복수의 걸림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걸리어 상기 건조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차단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그리고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골조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에 감겨 있으며 상기 골조부의 상부와 양측면을 덮을 수 있는 덮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한 쌍의 권취부를 덮고 있는 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재는 합성수지일 수 있다.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건조물에 떨어지는 내용물을 받는 수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거부는,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 수거네트, 상기 수거네트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레일과 연결된 지지바 및 상기 수거네트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지지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공간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건조공간의 개방된 양측을 열고 닫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골조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골조부의 측면을 덮을 수 있는 차단네트 및 상기 차단네트와 이웃하고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건조공간의 측면을 가릴 수 있는 가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네트와 상기 가림부재는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차단네트와 상기 가림부재가 동시에 상기 골조부의 측면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네트가 감긴 차단드럼, 상기 차단드럼과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차단구동부, 상기 가림부재가 감긴 가림드럼 및 상기 가림드럼과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가림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건조공간의 측면에 복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골조부를 흔드는 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곡부는 편심 모터 또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조부는,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바,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수직바를 연결하고 있는 한 쌍의 수평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바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수평 내측바와 상기 수평 내측바의 외부 둘레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 수평 외측바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외측바의 이동으로 상기 수평바는 길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건조부의 거치바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거치 내측바, 그리고 상기 거치 내측바의 외부 둘레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있는 거치 외측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 외측바의 이동으로 상기 건조부의 거치바는 상기 수평바를 따라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외측바와 상기 거치 외측바는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건조장치는 복수 포함하고, 복수의 건조장치는 서로 폭을 달리하며, 폭이 작은 건조장치는 그 보다 큰 폭을 갖는 건조장치의 내부로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바퀴는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레일이 건조장치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배열된 레일에 복수의 건조부가 설치되며 각 건조부에 건조물이 걸리어 건조될 수 있다. 이에 건조공간에 복수의 건조물들을 위치시킬 수 있어 좁은 면적에서 많은 건조물을 건조하므로 단위면적당 건조 용량 우수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레일에 다수의 건조부를 설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 측면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골조부와 레일의 설치가 용이하고 레일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건조장치의 조립이 간편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저렴한 가격으로 농가에 보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골조부에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바퀴가 장착되어 있어 건조장치의 이동 및 위치 고정이 가능하여 건조장치를 지형 상태에 제약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부, 측면에 설치되는 차단부에 의해 빗물이 건조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단부의 차단네트에 의해 공기는 순환되면서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날씨 및 환경에 관계없이 야외에서 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탈곡부에 의해 건조장치가 흔들리고, 이때 건조부에 걸린 건조물에 내용물이 수거부로 떨어져 수집되므로 수확의 편리성 및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골조부와 레일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건조부와 레일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도.
도 5는 도 2의 건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수거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차단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의 골조부와 건조부의 길이 조절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복수의 골조부들을 폭을 달리하여 서로 중첩되어 보관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건조장치는 작은 공간에 많은 양의 농작물 건조, 기후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노동력 절감을 도모한다. 7 내지 10
Figure 112019128139413-pat00001
정도 되는 공간을 차지하면서 10 아르(1000
Figure 112019128139413-pat00002
) 정도 되는 면적에서 수확한 참깨를 모두 건조할 수 있도록 한다.
건조장치는 적은 면적에서 많은 농작물의 건조 가능하여 단위면적당 건조 용량이 우수하다. 다수의 건조대를 하나의 건조대 내에 보관 가능하므로 공간 활용 측면 우수하다.
단순 조립 또는 용접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어 가격 저렴, 농가보급 가능하다. 바퀴 및 브레이크를 적용함으로써 이동 및 고정 가능하다.
다양한 제원 적용 가능하므로 수요자 맞춤형 제작하고, 건조대 이외에 물건 적재 등과 같은 타용도 사용 가능하므로 다기능이 가능하다.
비가림막을 적용함으로써 날씨에 관계없이 야외 건조 가능하고, 참깨 터는 기구 및 수집망을 적용함으로 수확의 편리성, 노동력 절감할 수 있다.
건조, 탈곡, 수집을 한 곳에서 진행하므로 이동 최소화, 노동력 절감할 수 있고, 자재 구입의 용이함에 따라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골조부는 건조장치의 구조 형성 및 강성 유지하며, 철제를 적용하여 장기간 사용, 강성을 확보한다.
건조부는 수확한 농작물을 거치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으로 적용 가능하고, 건조부의 길이 방향 양 끝단에 롤러/캐스터 등 부착함으로 수평 이동 용이하다.
레일은 건조부의 수평 이동을 유도하며, 레일은 여러 단으로 구성 가능하다.
바퀴는 건조장치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며, 바퀴에 브레이크 적용하여 건조장치의 이동 후 정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덮개부는 우천 시 등에 건조물을 보호하며, 골조부 상단에 덮개부용 골조를 설치한다. 비닐 등을 이용하여 덮개부로 사용하며, 덮개부는 골조 상단 이외에 측면에도 적용 가능하다. 덮개부에 개폐장치 적용할 수 있으며, 개폐장치는 전동/수동, 부착형/리모트형을 포함할 수 있다.
수거네트는 건조부에서 떨어지는 농작물을 수집하며, 바닥에 위치 또는 골조부에 수거네트 거치대를 적용할 수 있다.
탈곡부는, 건조부에 가진(Excitation) 장치를 적용하여 건조물의 탈곡이 가능하도록 한다. 바이브레이터(Vibrator), 편심모터(偏心 , Eccentricity Motor) 등을 탈곡부로 적용할 수 있다.
건조부에 농작물을 거치하며, 레일을 여러 단으로 적용한 경우, 여러 단에 거치 가능하다. 바퀴를 레일에 끼우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바퀴 사이의 간격을 원하는 만큼 설정한다. 건조장치의 건조부에 농작물을 거치하여 건조하며, 햇빛의 방향 등에 따라 건조장치의 회전 또는 이동하여 건조 효율 향상시킨다. 바퀴에 브레이크를 적용하여 건조장치 위치 고정 및 이동을 방지한다.
건조 시 맑은 날 덮개부를 열어 햇빛의 투과 극대화하며, 비오는 날 덮개부를 닫아 빗물의 투입 차단하고, 덮개부를 2층 또는 다층 구조로 하여 공기 순환 유도한다.
상하 및 측면 등에 비닐 등을 적용 및 개폐하여 건조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며, 강우 시 바닥에서 튀는 빗물로부터 농작물 보호한다.
건조물의 자중 또는 바람에 의한 탈곡하며, 외부 진동에 의한 탈곡(바이브레이터, 편심모터, 피스톤, 인력 등)한다. 건조공간의 하부에 수거네트를 배치하여 탈곡된 건조물 수집한다.
건조장치의 크기가 약간씩 차이 있게 적용하여 하나의 건조장치에 다른 건조장치 여러 개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골조부와 레일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건조부와 레일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1)는 골조부(10), 레일(20) 및 건조부(30)를 포함하며, 협소한 공간에서 많은 양의 농작물 건조하며, 기후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노동력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골조부(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한 쌍의 골조부(10)의 간격은 건조장치가 설치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 쌍의 골조부(10)는 각각 수직바(11)와 수평바(12)의 결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골조부(10)의 사이에는 건조공간(13)이 형성된다.
수직바(11)는 골조부(10)의 상하 길이를 이루며, 수평바(12)는 골조부(10)의 폭 길이를 이룬다. 수평바(12)는 한 쌍의 수직바(11)의 사이에 위치하여 한 쌍의 수직바(11)를 연결하고 있다. 수직바(11)와 수평바(12)는 사각 파이프를 포함한다. 사각 파이프의 규격은 25mm X 25mm일 수 있다.
한 쌍의 골조부(10)가 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되면서 그 사이에 형성된 건조공간(13)은 사방이 개방되어 있다. 한 쌍의 골조부(10)의 하부에는 바퀴(14)가 결합되어 있다. 바퀴(14)는 방향 전환이 가능하며 브레이크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바퀴(14)에 의해 건조장치(1)는 이동 및 방향전환 할 수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에 의해 건조장치(1)는 배치된 장소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한편, 수직바(11)의 내측면 즉, 건조공간(13)을 이루고 있는 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홈(111)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레일(20)은 레일몸체(21), 그리고 걸림고리(22)를 포함한다.
레일몸체(21)는 레일(20)의 외형을 형성한다. 레일몸체(21)는 수평바(12)와 직각을 이룬다. 즉, 수평바(12)가 제1 방향(Y)으로 배치되고 레일몸체(21)는 제2 방향(X)으로 배치되어 있다. 레일몸체(21)는 건조공간(13)에 위치하여 수직바(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레일몸체(21)는 한 쌍의 골조부(10)를 연결하게 된다. 이에 레일몸체(21)의 양 끝에는 골조부(10)가 각각 위치한다.
한편, 레일몸체(21)의 길이는 수평바(12)의 길이보다 길다. 이에 건조장치(1)는 폭 방향인 제1 방향(Y)의 길이보다 길이 방향인 제2 방향(X)의 길이가 더 길다.
레일몸체(21)의 내부에는 레일홈(211)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레일홈(211)은 레일몸체(21)의 적어도 3면이 개방되어 있다. 즉, 레일홈(211)은 레일몸체(21)의 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통해 개방되어 있다. 한편, 레일몸체(21)의 배면은 수직바(11)와 접하고 있다.
걸림고리(22)는 기역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레일몸체(21)의 배면과 연결되어 있다. 걸림고리(22)는 복수의 걸림홈(111)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걸린다. 이에 걸림고리(22)가 걸림홈(111)에 걸리면서 레일(20)은 건조공간(13)에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레일(20)의 위치는 건조물의 길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레일(20)은 수직바(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있다. 레일(20)이 배치되는 개수는 건조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건조부(30)는 롤러(31), 그리고 거치바(32)를 포함하며 건조물이 놓일 수 있다.
롤러(31)는 레일홈(211)에 위치하여 레일몸체(21)를 따라 구를 수 있다. 롤러(31)의 구름으로 건조부(30)의 위치가 건조공간(13)에서 조절될 수 있다. 롤러(31)는 베어링 또는 활차 따위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바(3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수평바(12)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롤러(31)가 일단과 타단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에 거치바(32)는 롤러(31)에 의해 건조공간(13)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치바(32)에는 들깨, 참깨, 담뱃잎 따위의 건조물이 걸려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건조물은 다발 형태로 묶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1)는 덮개부(40)를 더 포함한다.
덮개부(40)는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건조공간(13)의 개방된 상부를 덮고 있다. 덮개부(40)는 빗물 따위가 건조공간(13)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골조부(10)에는 건조장치(1)를 지지하는 덮개 지지바(41)가 배치되어 있다. 덮개부(40)는 덮개 지지바(41)에 의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덮개부(40)에 내린 빗물은 경사면을 따라 흘려 내릴 수 있다.
흐르는 빗물이 건조공간(13)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덮개부(40)의 폭 방향 양단은 레일(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부(40)는 투명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40)는 태양광이 투과하여 건조물이 조사될 수 있다. 그러나 덮개부(40)는 불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고 태양광을 차단할 수도 있다. 덮개부(40)는 전체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덮개부(40)는 투명과 불투명이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부분적으로 태양광은 덮개부(40)를 부분적으로 투과하고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부(40)는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그리고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덮개부(40)의 재질을 한정하지 않으며 태양광이 투과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여 덮개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건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40a)는 한 쌍의 권취부(42), 덮개부재(43a, 43b) 및 루프(45)를 포함한다.
한 쌍의 권취부(42)는 건조공간(13)의 상부에서 건조장치(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권취부(42)의 양측은 덮개 지지바(4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권취부(42)는 덮개 지지바(41)에 배치된 브래킷,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드럼,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구동부는 드럼과 연결된 휠 및 휠을 회전시키는 로프를 포함한다. 그러나 구동부는 드럼과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재(43a, 43b)는 일단이 드럼에 감겨 있으며 합성수지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합성수지는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카보네이트 등일 수 있다.
덮개부재(43a, 43b)는 드럼의 회전 방향에 따라 드럼에 감기거나 드럼에서 풀릴 수 있다. 덮개부재(43a, 43b)의 타단에는 웨이트바가 설치되어 있다. 드럼에서 풀린 덮개부재(43a, 43b)는 건조공간(13)의 상부와 양측면을 덮을 수 있다.
건조공간(13)의 상부에 위치한 덮개부재(43a, 43b)의 부분은 빗물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경사지게 위치한다. 그리고 건조공간(13)의 상부와 측면을 연결하는 부분에는 덮개부재(43a, 43b)를 가이드하는 덮개롤러(44)가 배치되어 있다. 드럼에서 풀린 덮개부재(43a, 43b)가 건조공간(13)의 상부와 측면을 동시에 덮개 된다. 빗물 및 먼지 따 따위 외부물질이 덮개부재(43a, 43b)에 의해 건조공간(13)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외부물질에 의해 건조물이 오염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덮개부재(43a, 43b)가 드럼에서 풀리는 정도에 따라 건조공간(13)의 측면을 완전하게 가려 폐쇄하거나 기설정된 위치까지 풀려 측면을 개방할 수 있다. 개방된 측면을 통해 건조공간(13)은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루프(45)는 드럼의 상부에 위치하여 권취부(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루프(45)는 한 쌍의 권취부(42)의 사이로 빗물 따위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루프(45)의 상면은 그 폭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빗물 따위가 흘러내릴 수 있다. 루프(45)에서 흐르는 빗물은 드럼에 풀린 덮개부재(43a, 43b)로 흘러내릴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수거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건조장치(2)는 골조부(10), 레일(20), 건조부(30), 덮개부(40) 및 수거부(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골조부(10), 레일(20), 건조부(30) 및 덮개부(40)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골조부, 레일, 건조부 및 덮개부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효과를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거부(50)는 수거네트(51), 지지바(52) 및 지지롤러(53)를 포함하며, 건조공간(13)의 최 하단에 배치되어 건조부(30)에 걸린 건조물에서 떨어지는 내용물을 받아 수거한다.
수거네트(51)는 기설정된 폭과 길이를 가지며 네트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수거네트(51)는 서로 마주하는 레일(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수거네트(51)는 건조공간(13)에 위치하여 건조물에서 떨어지는 내용물을 받을 수 있다.
지지바(5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수거네트(51)의 길이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바(52)의 양단은 레일(20)에 삽입되어 있다. 지지바(52)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30)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효과를 갖는다. 이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지지바(52)에는 수거네트(51)가 감겨 보관되며, 지지바(52)는 건조공간(13)에서 양단이 레일(20)에 위치한 상태에서 레일(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거네트(51)를 풀 수 있다. 이에 건조공간(13)에서 수거네트(51)가 펼쳐질 수 있다.
지지롤러(53)는 수거네트(51)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수거네트(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지지롤러(53)는 일측이 수거네트(51)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레일(20)과 연결되어 있다. 지지롤러(53)는 수거네트(51)와 연결된 상태에서 레일(20)을 따라 이동하며 수거네트(51)가 건조공간(13)에서 처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수거부(50)가 건조 과정 중 건조물에서 떨어지는 내용물을 받아 수거하므로 건조물 수확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수거부(50)를 건조물에서 떨어지는 내용물을 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수거부(50)에는 고추, 콩, 벼 등일 수 있다. 즉, 건조물은 묶지 않고 별친 상태로 건조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수거부(50)는 건조공간(13)에 배열되어 레일(20)들에 고정된다. 이에 건조공간(13)은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층에서 입상열매의 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차단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3)는 골조부(10), 레일(20), 건조부(30), 덮개부(40) 및 차단부(60)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건조장치(3)는 수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골조부(10), 레일(20), 건조부(30), 덮개부(40) 및 수거부는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골조부, 레일, 건조부, 덮개부 및 수거부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효과를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60)는 브래킷(61), 차단네트(62c) 및 가림부재(63c)를 포함한다. 차단부(60)는 차단드럼(62a), 차단구동부(62b), 가림드럼(63a) 및 가림구동부(6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60)는 건조공간(13)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건조공간(13)의 개방된 측면을 열고 닫는다.
브래킷(61)은 골조부(10)의 수직바(11) 상부측에 위치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브래킷(61)은 덮개부(40)의 양단을 벗어나지 않는다.
차단드럼(62a)과 가림드럼(63a)은 수직바(11)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건조장치(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차단드럼(62a)의 양단은 브래킷(61)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차단드럼(62a)은 레일(20)과 가까운 브래킷(6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고 가림드럼(63a)은 브래킷(6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다.
차단구동부(62b)는 차단드럼(62a)과 연결되어 차단드럼(62a)을 회전시킨다. 가림구동부(63b)는 가림드럼(63a)과 연결되어 가림드럼(63a)을 회전시킨다. 차단구동부(62b)와 가림구동부(63b)는 전기 에너지로 작동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차단구동부(62b)와 가림구동부(63b)는 휠과 로프를 포함하여 작업자의 조작으로 구동할 수 있다.
차단네트(62c)는 차단드럼(62a)에 감겨 있으며, 가림부재(63c)는 가림드럼(63a)에 감겨 있다. 차단네트(62c)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네트를 포함하며, 가림부재(63c)는 빗물 따위의 유입을 막는 비닐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네트(62c)는 차단드럼(62a)의 회전 방향에 따라 차단드럼(62a)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고, 가림부재(63c)는 가림드럼(63a)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가림드럼(63a)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차단네트(62c)와 가림부재(63c)는 동시에 풀리어 건조공간(13)의 개방된 측면을 열고 닫을 수 있다. 그러나, 차단네트(62c)와 가림부재(63c) 중 선택된 어느 하나만 풀리어 건조공간(13)의 측면을 개방할 수 있다.
차단네트(62c)는 해충 따위가 건조공간(13)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건조물을 보호하고, 가림부재(63c)는 빗물 따위가 건조공간(13)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건조공간(13)의 환기가 필요로 한 경우 차단네트(62c)는 차단드럼(62a)에서 풀리고 가림부재(63c)는 차단드럼(62a)에 감겨 건조공간(13)의 측면에서 걷힐 수 있다.
한편, 차단부(60)는 도면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바(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배열된 차단부(60) 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측은 차단네트(62c)만 펼쳐 사용하고, 하부측은 가림부재(63c)만 펼쳐 사용할 수 있다. 배열된 차단부(60)의 사용은 건조환경, 날씨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4)는 골조부(10), 레일(20), 건조부(30), 덮개부(40), 차단부(60) 및 탈곡부(70)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건조장치(4)는 수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골조부(10), 레일(20), 건조부(30), 덮개부(40), 차단부(60) 및 수거부는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골조부, 레일, 건조부, 덮개부, 차단부 및 수거부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 효과를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탈곡부(70)는 골조부(10)의 수직바(11)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탈곡부(70)는 골조부(10)에 진동을 가한다. 탈곡부(70)는 공지의 바이브레이터, 편심모터, 가진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탈곡부(70)는 건조장치(4)를 흔들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탈곡부(70)의 진동에 의해 건조장치(4)가 흔들리면 건조부(30)에 걸린 건조물은 흔들리고 건조물의 내용물은 떨어질 수 있다. 떨어진 건조물은 수거부(50)로 떨어진다. 그리고 차단네트(62c) 설치로 건조물에서 떨어지는 내용물이 건조공간(13)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건조장치(4)의 외부로 떨어지지 않고 수거부(50)로 수거된다. 이에 건조물의 추수에 따른 수확이 향상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의 골조부와 건조부의 길이 조절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4는 복수의 골조부들을 폭을 달리하여 서로 중첩되어 보관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5)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는 건조장치(5)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골조부(10)의 수평바(12)와 건조부(30)의 거치바(32)가 다른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바(1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수평 내측바(121)와 수평 내측바(121)의 외부 둘레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 수평 외측바(122)를 포함한다. 수평 외측바(122)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수평 내측바(121)의 길이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수평 내측바(121)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수평바(12)의 길이는 가변된다. 즉, 한 쌍의 수평 내측바(121)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골조부(10)의 폭이 증가하면서 건조장치(5)의 폭이 증가한다. 그러나 한 쌍의 수평 내측바(121)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골조부(10)의 폭이 좁아지면서 건조부(30)의 폭이 좁아진다.
거치바(3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거치 내측바(321), 그리고 거치 내측바(321)의 외부 둘레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롤러(31)와 연결되어 있는 거치 외측바(322)를 포함한다. 여기서 거치 외측바(322) 또한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거치 내측바(321)의 길이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거치 외측바(322)가 중앙을 기준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거치바(32)의 길이는 증가하고, 중앙으로 이동하면 거치바(32)의 길이는 줄어든다.
이에, 거치 외측바(322)의 이동으로 건조부의 거치바(32)는 수평바(12)를 따라 길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건조장치(5)의 폭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건조장치(5, 5a, 5b)들의 폭을 달리하여 도면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폭이 큰 건조장치(5)의 건조공간으로 폭이 좁은 건조장치(5a, 5b)를 위치시켜 건조장치(5, 5a, 5b)들을 보관할 수 있다. 협소한 공간에서 건조장치(5, 5a, 5b)들의 보관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2, 3, 4, 5: 건조장치 10: 골조부
11: 수직바 111: 걸림홈
12: 수평바 121: 수평 내측바
122: 수평 외측바 13: 건조공간
14: 바퀴 20: 레일
21: 레일몸체 211: 레일홈
22: 걸림고리 30: 건조부
31: 롤러 32: 거치바
321: 거치 내측바 322: 거치 외측바
40, 40a: 덮개부 41: 덮개 지지바
42: 권취부 43a, 43b: 덮개부재
44: 덮개롤러 45: 루프
50: 수거부 51: 수거네트
52: 지지바 53: 지지롤러
60: 차단부 61: 브래킷
62a: 차단드럼 62b: 차단구동부
62c: 차단네트 63a: 가림드럼
63b: 가림구동부 63c: 가림부재
70: 탈곡부

Claims (18)

  1. 바퀴가 결합되어 있으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건조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골조부,
    상기 건조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골조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골조부의 복수의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구르는 롤러와 상기 레일과 연결되어 있고 건조물이 걸릴 수 있는 거치바를 포함하는 건조부
    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공간은 사방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건조부는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건조공간을 이루는 상기 골조부의 내측면에는 걸림홈이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은,
    적어도 1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롤러가 이동하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레일몸체, 그리고
    상기 레일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고리
    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고리는 복수의 걸림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걸리어 상기 건조공간에 고정되는
    건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건조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차단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건조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덮개부는,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그리고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건조장치.
  5. 바퀴가 결합되어 있으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그 사이에 사방이 개방된 건조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골조부,
    상기 건조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골조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골조부의 복수의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구르는 롤러와 상기 레일과 연결되어 있고 건조물이 걸릴 수 있는 거치바를 포함하는 건조부 및
    상기 건조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차단하는 덮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골조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에 감겨 있으며 상기 골조부의 상부와 양측면을 덮을 수 있는 덮개부재
    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한 쌍의 권취부를 덮고 있는 루프를 더 포함하는 건조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덮개부재는 합성수지인 건조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건조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건조물에 떨어지는 내용물을 받는 수거부를 더 포함하는 건조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수거부는,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 수거네트,
    상기 수거네트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레일과 연결된 지지바 및
    상기 수거네트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지지롤러
    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건조공간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건조공간의 개방된 양측을 열고 닫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11. 바퀴가 결합되어 있으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그 사이에 사방이 개방된 건조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골조부,
    상기 건조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골조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골조부의 복수의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구르는 롤러와 상기 레일과 연결되어 있고 건조물이 걸릴 수 있는 거치바를 포함하는 건조부 및
    상기 건조공간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건조공간의 개방된 양측을 열고 닫는 차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골조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골조부의 측면을 덮을 수 있는 차단네트 및
    상기 차단네트와 이웃하고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건조공간의 측면을 가릴 수 있는 가림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네트와 상기 가림부재는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차단네트와 상기 가림부재가 동시에 상기 골조부의 측면을 폐쇄할 수 있는
    건조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네트가 감긴 차단드럼,
    상기 차단드럼과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차단구동부,
    상기 가림부재가 감긴 가림드럼 및
    상기 가림드럼과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가림구동부
    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13. 제10항에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골조부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는 건조장치.
  14. 제1항 또는 제8항에서,
    상기 골조부를 흔드는 탈곡부를 더 포함하는 건조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탈곡부는 편심 모터 또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16. 바퀴가 결합되어 있으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그 사이에 건조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골조부,
    상기 건조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골조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골조부의 복수의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구르는 롤러와 상기 레일과 연결되어 있고 건조물이 걸릴 수 있는 거치바를 포함하는 건조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골조부는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바,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수직바를 연결하고 있는 한 쌍의 수평바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바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수평 내측바와 상기 수평 내측바의 외부 둘레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된 수평 외측바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외측바의 이동으로 상기 수평바는 길이 조절되며,
    상기 건조부의 거치바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거치 내측바, 그리고 상기 거치 내측바의 외부 둘레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롤러와 연결되어 있는 거치 외측바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외측바의 이동으로 상기 건조부의 거치바는 상기 수평바를 따라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수평 외측바와 상기 거치 외측바는 슬라이드 이동하는
    건조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건조장치는 복수 포함하고, 복수의 건조장치는 서로 폭을 달리하며, 폭이 작은 건조장치는 그 보다 큰 폭을 갖는 건조장치의 내부로 삽입되어 보관되는
    건조장치.
  18. 제1항에서,
    상기 바퀴는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건조장치.
KR1020190164823A 2019-12-11 2019-12-11 건조장치 KR102302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823A KR102302133B1 (ko) 2019-12-11 2019-12-11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823A KR102302133B1 (ko) 2019-12-11 2019-12-11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968A KR20210073968A (ko) 2021-06-21
KR102302133B1 true KR102302133B1 (ko) 2021-09-15

Family

ID=76599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823A KR102302133B1 (ko) 2019-12-11 2019-12-11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1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809Y1 (ko) * 2004-03-16 2004-05-28 한문기 식품 건조 장치
KR101062143B1 (ko) * 2008-10-17 2011-09-05 김나연 고추건조기
JP2018091597A (ja) * 2016-12-01 2018-06-14 京備産業有限会社 穀物の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6539B1 (en) 1998-08-04 2006-02-28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Corporation Nonlinear optical crystal
KR200371814Y1 (ko) 2004-10-12 2005-01-10 김재만 농산물 건조대
KR20180046453A (ko) * 2016-10-28 2018-05-09 김형주 다용도 건조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809Y1 (ko) * 2004-03-16 2004-05-28 한문기 식품 건조 장치
KR101062143B1 (ko) * 2008-10-17 2011-09-05 김나연 고추건조기
JP2018091597A (ja) * 2016-12-01 2018-06-14 京備産業有限会社 穀物の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968A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9789A (en) Food dryer
CN207383069U (zh) 一种大棚的自动遮阳装置
US4067347A (en) Solar heated shelter with moveable secondary roof
US4269021A (en) Fruit and nut harvesting apparatus
KR102302133B1 (ko) 건조장치
CA2969085A1 (en) Device for deploying a planar sheet over a structure
CN108990559A (zh) 一种粮食晾晒装置
EP0430933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cal drying of an organic fibre based material as straw materials, peat, wooden chips and the like
US4827957A (en) Shelter used to protect plants or crops from adverse environmental conditions
CN211811961U (zh) 一种便于稻谷收集装车装置
NL8901989A (nl) Omzetbaar en omkeerbaar zonne-afdak of -plafond.
CN204060066U (zh) 晒场自动遮雨篷
US5666761A (en) Grape drying system
CA2788300C (en) Apparatus for covering a feeding aperture of an animal shelter and an animal shelter
KR20220138989A (ko) 양봉관리시스템
CN219593194U (zh) 一种用于冬枣种植的温室大棚
GB2418139A (en) Louvered cover for a clothes-line
CN216888187U (zh) 一种具有防潮机构的农作物种子运输装置
CN214452947U (zh) 一种金银花转运箱
TR202012665Y (tr) Tarım ürünleri için manuel hasat düzeneği
US20020079068A1 (en) Trackless roll-up door opening covering
SU1738145A1 (ru) Складной контейнер дл сельскохоз йственных продуктов
KR101905626B1 (ko) 하우스형 접이식 농작물 건조대
CN114674123A (zh) 一种具有快速展开回收功能的便捷式农业晒种装置
CN115009393A (zh) 一种防水型送物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