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989A - 양봉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봉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989A
KR20220138989A KR1020210045040A KR20210045040A KR20220138989A KR 20220138989 A KR20220138989 A KR 20220138989A KR 1020210045040 A KR1020210045040 A KR 1020210045040A KR 20210045040 A KR20210045040 A KR 20210045040A KR 20220138989 A KR20220138989 A KR 20220138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house
opening
management system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3863B1 (ko
Inventor
김성초
김민규
Original Assignee
김성초
김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초, 김민규 filed Critical 김성초
Priority to KR1020210045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863B1/ko
Publication of KR20220138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봉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뼈대로 이루어진 골조에 차광막이 덮여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스; 골조에 설치되고, 차광막을 말거나 펼쳐서 하우스의 일측을 개폐하는 하우스개폐장치; 하우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벌통; 및 골조에 설치되고, 벌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올리거나 내리는 인양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봉관리시스템{BEEKEEPING SYSTEM}
본 발명은 양봉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업자들은 수많은 벌통을 설치하여 꿀을 채집하고 있는데, 양봉작업은 공간활용과 양봉작업의 관리를 좋게 하기 위해 대부분의 벌통을 2단, 3단 등으로 적층하여 운영하고 있다.
벌통은 꿀의 생산량 증가와 품질 향상을 위해 내검작업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내검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적층된 벌통은 들어올려 분리해야 한다.
하지만, 벌통의 무게가 상당하여 이에 대한 노동력이 소모되고, 고령화 시대에 이러한 노동력을 확보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는 상황이다.
또한, 양봉에 있어서 벌통의 내부온도, 사양수와 음용수의 온도, 공급, 질병 등과 같이 벌과 연관된 다양한 요소에 대한 관리가 복잡하고 어려운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봉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뼈대로 이루어진 골조에 차광막이 덮여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스; 골조에 설치되고, 차광막을 말거나 펼쳐서 하우스의 일측을 개폐하는 하우스개폐장치; 하우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벌통; 및 골조에 설치되고, 벌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올리거나 내리는 인양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벌통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태양광의 입사각과 광량을 측정하는 광감지센서; 및 온도센서 또는 광감지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하우스개폐장치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우스개폐장치는 하우스의 천장을 개폐하는 천장개폐장치; 및 하우스의 측면을 개폐하는 측면개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우스가 설치되는 지면과 벌통 간에 배치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벌통은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폐쇄되는 하단벌통; 양면이 개방되고, 하부가 하단벌통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단벌통과 연통하는 중간벌통; 양면이 개방되고, 하부가 중간벌통의 상부에 결합되어 중간벌통과 연통하는 상단벌통; 및 상단벌통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골조에 설치되는 음용수받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양수 또는 음용수가 수용된 탱크와 벌통 간에 설치되되, 일부가 하우스가 설치되는 지대에 묻히는 공급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봉관리시스템은 벌통을 용이하게 배치 또는 분리할 수 있어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고령층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음용수 또는 사양수를 적절한 온도로 벌에게 공급할 수 있어서 벌의 익사, 노제마와 같은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스에 차광막을 설치하고, 차광막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벌통의 내부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봉관리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스의 골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순차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하우스의 천장이 폐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a,b는 순차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하우스의 측면이 개방,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a에 도시된 A-A섹션도이다. 도 9a,b는 순차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음용수받이의 정면도, 단면도이다. 도 10,11은 순차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벌통의 사시도, 분해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순차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중간벌통의 정면도, 평면도,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덮개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상단벌통과 덮개간에 면포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a,b,c는 순차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벌통의 내부에 배치되는 먹이틀, 가압틀, 벌꿀틀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1에 도시된 하단벌통에 공급호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하단벌통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공급호스의 단면도이다. 도 21,22는 순차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인양장치의 레일과 이송대차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에 도시된 인양장치의 후크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에 도시된 인양장치에 의해 벌통이 들어 올려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후술되는 내용에 표현된 방향에 있어서, "상부"의 상(上)은 도 11에 도시된 하단벌통(151)을 기준하여 상단벌통(153) 측으로 향한 방향이며, "하부"의 하(下)는 상단벌통(153)을 기준하여 하단벌통(151) 측으로 향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봉관리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봉관리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스의 정면도이다.
양봉관리시스템(100, 이하, '시스템'이라 함)은 복수 개의 뼈대로 이루어진 골조(110)에 차광막(120)이 덮여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스(10), 상기 골조(110)에 설치되고, 상기 차광막(120)을 말거나 펼쳐서 상기 하우스(10)의 일측을 개폐하는 하우스개폐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하우스(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벌통(150), 상기 골조(110)에 설치되고, 상기 벌통(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올리거나 내리는 인양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스개폐장치(20)를 통해 상기 벌통(150)에 비춰지는 태양광을 차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스(10)의 내부를 환기할 수 있어서 상기 벌통(150)의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양장치(30)를 통해 상기 벌통(150)을 용이하게 배치 또는 분리할 수 있어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고령층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벌통(150)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41), 태양광의 입사각과 광량을 측정하는 광감지센서(42), 상기 온도센서(41) 또는 광감지센서(42)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하우스개폐장치(20)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제어장치(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41)를 통해 상기 벌통(150)의 내부온도를 파악할 수 있고, 상기 광감지센서(42)를 통해 시간대 별로 태양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상기 제어장치(43)가 이러한 측정값을 통해 상기 하우스개폐장치(20)의 구동을 조절할 수 있어서 상기 시스템(100)의 자동화가 구현될 수 있다.
적절한 상기 벌통(150)의 내부온도범위는 기설정될 수 있고, 상기 벌통(150)의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내부온도범위 초과일 경우, 상기 제어장치(43)가 상기 하우스개폐장치(20)를 구동하여 상기 차광막(120)을 펼쳐서 상기 벌통(150)을 비추는 태양광을 차단하거나, 상기 차광막(120)을 말아서 상기 하우스(10)의 내부를 환기시켜줄 수 있다.
또는, 상기 벌통(150)의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내부온도범위에 해당될 경우, 상기 제어장치(43)가 상기 하우스개폐장치(20)를 구동하여 상기 차광막(120)을 펼쳐서 상기 벌통(150)을 비추는 태양광을 차단하고, 상기 하우스(10)를 내부를 폐쇄시켜 상기 하우스(10)의 내부를 보온해줄 수 있다.
또는, 상기 벌통(150)의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내부온도범위 미만일 경우, 상기 제어장치(43)가 상기 하우스개폐장치(20)를 구동하여 상기 차광막(120)을 말아서 상기 벌통(150)에 태양광을 비춰줄 수 있다.
상기 차광막(120)은 폴리에틸렌(PE)과 같은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상기 뼈대는 파이프, 철근과 같은 철재의 환봉부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골조(110)는 용접 방식 또는 클램프와 같은 공지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뼈대가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골조(110)는 상호 이격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골조본체(111), 상기 골조본체(111) 간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연결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조본체(111)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되어 지면에 입설되는 기둥(113), 상기 기둥(113) 간에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기둥(113)의 상단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중방(11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골조본체(111)는 상기 중방(114)의 상부와 상기 기둥(113) 간에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기둥(113)의 상단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아치형태의 서까래(115), 상기 서까래(115)와 중방(114) 간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서까래(115)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중방(114)에 고정되는 서까래지지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하우스(10)가 설치되는 지면과 상기 벌통(150) 간에 배치되는 받침부재(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50)는 판상 형태로서, 철재, 플라스틱, 목재와 같이 일정 강성을 띤 공지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50)는 상기 하우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스(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벌통(150)은 상기 받침부재(5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받침부재(50)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상기 벌통(150)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상기 벌통(150)의 내부로 병균 또는 불특정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순차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하우스의 천장이 폐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차광막(120)은 상기 하우스(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스(10)의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막(121), 상기 하우스(10)의 옆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스(1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막(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스개폐장치(20)는 상기 천장을 개폐하는 천장개폐장치(130), 상기 측면을 개폐하는 측면개폐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장개폐장치(130)는 상기 하우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서까래(115)에 설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천장막(121)의 일단이 고정되는 천장막고정대(131), 상기 하우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서까래(115)에 거치되고 상기 천장막(121)의 타단이 고정되는 천장막회전축(13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개폐장치(130)는 상기 천장막회전축(132)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천장막회전축(132)을 회전시키는 천장막권취모터(133), 일단이 상기 중방(114)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천장막회전축(132)에 관통되어 힌지결합되는 회전축지지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장막고정대(131), 회전축지지대(134)는 상기 뼈대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천장막(121)은 상기 천장막고정대(131), 천장막회전축(132)에 접착제와 같은 공지의 접착부재 또는 벨크로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지지대(134)는 일단이 상기 중방(114)의 중간에 힌지결합되는 제1지지대(134a), 일측이 상기 제1지지대(134a)의 타단을 관통하여 상기 제1지지대(134a)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지지대(134a)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제2지지대(134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지지대(134)는 일측이 상기 제2지지대(134b)의 타단을 관통하여 상기 제2지지대(134b)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천장막회전축(132)에 관통되어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대(134b)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는 제3지지대(134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천장막권취모터(133)의 구동 시, 상기 천장막회전축(132)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천장막(121)이 펼쳐지거나 말리면서 상기 천장막회전축(132)이 상기 서까래(115)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회전축지지대(134)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천장이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까래(115)와 중방(114) 간 구조는 반원이거나, 반타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타원일 경우 직경이 상이하므로, 상기 회전축지지대(134)의 길이가 직경에 맞게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상기 천장막회전축(13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7a,b는 순차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하우스의 측면이 개방,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a에 도시된 A-A섹션도이다.
상기 측면개폐장치(140)는 상기 하우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고, 상기 기둥(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면에 입설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41), 상기 가이드레일(141) 간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41)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측면막(122)이 일단이 고정되는 측면막고정대(142), 상기 측면막(122)의 타단이 고정되는 측면막회전축(143), 상기 측면막회전축(143)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막회전축(143)을 회전시키는 측면막권취모터(1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측면막권취모터(144)의 구동 시, 상기 측면막회전축(143)이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측면막(122)이 펼쳐지거나 말리면서 상기 측면막회전축(143)이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측면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41)은 제1가이드레일(141a), 상기 제1가이드레일(141a)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가이드레일(141b)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14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가이드레일(141a)의 측면에 제1레일홈(141c)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14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가이드레일(141b)의 측면에 제2레일홈(141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막회전축(143)의 일단에 상기 측면막권취모터(144)가 설치되고, 타단에 요동방지부재(14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요동방지부재(145)는 판상 형태로서, 철재, 목재와 같이 일정강성을 띤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용접 또는 볼트결합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측면막회전축(14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요동방지부재(145)의 폭은 상기 제2레일홈(141d)의 폭에 대응되며, 상기 측면막권취모터(144)가 상기 제1레일홈(141c)에 배치되고, 상기 요동방지부재(145)가 상기 제2레일홈(141d)에 배치되어 상기 측면막회전축(143)이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측면막(122)은 상기 측면막고정대(142), 측면막회전축(143)에 접착제와 같은 공지의 접착부재 또는 벨크로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9a,b는 순차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음용수받이의 정면도, 단면도이다.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하우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골조(110)에 설치되는 음용수받이(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용수받이(6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흡수부재(63)가 배치되는 반원통부재(61), 상기 반원통부재(61)의 단부와 상기 기둥(113) 간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받이고정대(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이고정대(62)는 상기 뼈대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용접 또는 클램프 방식이 사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음용수받이(60)가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골조(110)에 고정되도록 상기 받이고정대(62)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반원통부재(61)와 기둥(113) 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반원통부재(61)는 일정각도만큼 기울어져 상기 하우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기둥(113)에 고정될 수 있고,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반원통부재(61)의 단부에 수전(64)이 설치되어 상기 수전(64)으로부터 신선한 음용수가 상기 반원통부재(61)로 공급되어 상기 반원통부재(61)를 따라 흐를 수 있다.
상기 흡수부재(63)는 모래 또는 솜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반원통부재(61)에 공급되는 음용수가 상기 흡수부재(63)에 흡수됨으로써 벌에게 수분을 공급할 수 있고, 벌의 익사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0,11은 순차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벌통의 사시도, 분해사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순차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중간벌통의 정면도, 평면도, 저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덮개의 저면도이고,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상단벌통과 덮개간에 면포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기 벌통(150)은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폐쇄되는 하단벌통(151), 양면이 개방되고, 하부가 상기 하단벌통(151)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단벌통(151)과 연통하는 중간벌통(15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벌통(150)은 양면이 개방되고, 하부가 상기 중간벌통(152)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간벌통(152)과 연통하는 상단벌통(153), 상기 상단벌통(153)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벌통(150)은 벌의 산란, 먹이 섭취, 꿀의 저장 등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된다.
상기 하단벌통(151)의 하면에는 한 쌍의 지지돌기(151a)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151a)가 상기 받침부재(50)의 상면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단벌통(151), 중간벌통(152), 상단벌통(153)의 외측면에는 벌통걸림돌기(155)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벌통(152), 상단벌통(153)의 하단에 확관부(156)가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156)에 상기 벌통(150)의 상단이 삽입되어 상기 확관부(156)가 상기 벌통걸림돌기(155)에 거치되어 상기 벌통(150)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덮개(154)는 상기 상단벌통(153)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벌통걸림돌기(155)에 거치되고, 상기 덮개(154)와 상단벌통(153) 간에는 면포(70)가 개재되어 프로폴리스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154)의 저면에 가압돌기(154a)가 형성되어 상기 면포(70)가 상기 상단벌통(153)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히 지지해줄 수 있다.
상기 벌통(150)의 내측면에 틀걸림돌기(157)가 형성되고, 상기 틀걸림돌기(157)에 벌꿀틀(83), 먹이틀(81), 가압틀(82)이 거치되어 상기 벌통(1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7a,b,c는 순차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벌통의 내부에 배치되는 먹이틀, 가압틀, 벌꿀틀의 사시도이다.
상기 먹이틀(81)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이고, 상기 가압틀(82)과 벌꿀틀(83)은 판상형태이되, 상기 벌꿀틀(83)의 중앙에 통공(84)이 형성되어 밀랍, 꿀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먹이틀(81), 가압틀(82), 벌꿀틀(83)의 양단에는 안착돌기(85)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돌기(85)가 상기 틀걸림돌기(157)에 접하여 걸리게 된다.
상기 가압틀(82)은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벌통(15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여러 마리의 벌이 밀집되어 벌끼리 체온을 나눠줄 수 있도록 상기 가압틀(8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1에 도시된 하단벌통에 공급호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하단벌통의 평면도이고,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공급호스의 단면도이다.
상기 시스템(100)은 사양수 또는 음용수가 수용된 탱크와 상기 벌통(150) 간에 설치되되, 일부가 상기 하우스(10)가 설치되는 지대에 묻히는 공급호스(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벌통(150)의 측면에는 상기 공급호스(160)가 통과하는 관통공(158)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호스(160)의 단부가 상기 먹이틀(81)에 삽입되어 펌프의 구동을 통해 상기 탱크에서 상기 먹이틀(81)로 사양수 또는 음용수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급호스(160)는 일부가 지대에 묻힘으로써 지열에 의한 보온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공급호스(160)는 사양수 또는 음용수가 유동하는 유로(161), 상기 유로(161)를 감싸는 전도체(162), 상기 전도체(162)에 설치되는 열선(163), 상기 전도체(162)를 감싸는 단열재(164), 상기 단열재(164)를 감싸는 호스피복(16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상기 열선(163)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유로(161)를 따라 유동하는 사양수 또는 음용수를 가열할 수 있고, 상기 단열재(164)를 통해 열에 의한 상기 호스피복(165)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22는 순차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인양장치의 레일과 이송대차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이고, 도 23은 도 2에 도시된 인양장치의 후크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24는 도 2에 도시된 인양장치에 의해 벌통이 들어 올려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기 인양장치(30)는 상기 벌통(150)의 테두리에 걸리는 후크부재(170), 상기 후크부재(170)를 올리거나 내리는 권취장치(180), 상기 권취장치(180)가 설치되는 이송대차(190), 상기 하우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골조(110)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대차(190)가 설치되는 이송레일(19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170)는 상기 벌통(150)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벌통걸림돌기(155)에 걸리는 한 쌍의 후크부(171), 일단이 상기 후크부(171)에 연결되고 상호 교차되어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부(172), 복수 개의 고리(173a)가 상호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172) 간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172)의 타단에 설치되는 체인(1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취장치(180)는 상기 고리(173a) 중 어느 하나에 걸리는 갈고리(181), 일단이 상기 갈고리(181)에 고정되는 와이어(182), 상기 와이어(182)의 타단이 고정되는 와이어회전축(183), 상기 와이어회전축(183)이 설치되는 와이어권취모터(1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레일(191)은 상기 하우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중방(114)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대차(190)의 바퀴(192)가 상기 이송레일(191)의 측면에 형성되는 이송레일홈(193)에 삽입되고, 상기 이송대차(190)가 상기 이송레일(191)을 따라 선형이동하여 분리작업이 필요한 상기 벌통(15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와이어권취모터(18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182)가 상기 회전축(에서 풀려 상기 후크부재(170)가 하강한다.
이후, 상기 후크부(171)가 상기 벌통걸림돌기(155)에 걸리고, 상기 와이어권취모터(18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182)가 상기 와이어회전축(183)에 감겨 상기 후크부재(170)가 상승하여 상기 벌통(150)이 분리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봉관리시스템은 벌통을 용이하게 배치 또는 분리할 수 있어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고령층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음용수 또는 사양수를 적절한 온도로 벌에게 공급할 수 있어서 벌의 익사, 노제마와 같은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스에 차광막을 설치하고, 차광막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벌통의 내부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양봉관리시스템 10 : 하우스 20 : 하우스개폐장치 30 : 인양장치 150 : 벌통

Claims (7)

  1. 복수 개의 뼈대로 이루어진 골조에 차광막이 덮여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스;상기 골조에 설치되고, 상기 차광막을 말거나 펼쳐서 상기 하우스의 일측을 개폐하는 하우스개폐장치;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복수 개의 벌통; 및상기 골조에 설치되고, 상기 벌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올리거나 내리는 인양장치;를 포함하는 양봉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벌통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태양광의 입사각과 광량을 측정하는 광감지센서; 및상기 온도센서 또는 광감지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하우스개폐장치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양봉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스개폐장치는,상기 하우스의 천장을 개폐하는 천장개폐장치; 및상기 하우스의 측면을 개폐하는 측면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양봉관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스가 설치되는 지면과 상기 벌통 간에 배치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양봉관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벌통은,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폐쇄되는 하단벌통;양면이 개방되고, 하부가 상기 하단벌통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단벌통과 연통하는 중간벌통;양면이 개방되고, 하부가 상기 중간벌통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간벌통과 연통하는 상단벌통; 및상기 상단벌통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양봉관리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골조에 설치되는 음용수받이를 더 포함하는 양봉관리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사양수 또는 음용수가 수용된 탱크와 상기 벌통 간에 설치되되, 일부가 상기 하우스가 설치되는 지대에 묻히는 공급호스를 더 포함하는 양봉관리시스템.
KR1020210045040A 2021-04-07 2021-04-07 양봉관리시스템 KR102593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040A KR102593863B1 (ko) 2021-04-07 2021-04-07 양봉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040A KR102593863B1 (ko) 2021-04-07 2021-04-07 양봉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989A true KR20220138989A (ko) 2022-10-14
KR102593863B1 KR102593863B1 (ko) 2023-10-30

Family

ID=83599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040A KR102593863B1 (ko) 2021-04-07 2021-04-07 양봉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8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5382A (ko) 2022-11-04 2024-05-14 김찬식 위치기반 양봉데이터 제공 및 전문가 매칭 시스템과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417Y1 (ko) * 2005-09-07 2005-11-15 백용 비닐하우스용 비닐 개폐시스템
KR20150110164A (ko) * 2014-03-24 2015-10-02 김현수 이동가능한 조립식 봉사
KR20170047625A (ko) * 2015-10-23 2017-05-08 이상춘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KR20200034044A (ko) * 2018-09-20 2020-03-31 농업회사법인에코그로잉주식회사 광량을 조절하는 온도저감형 비닐하우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417Y1 (ko) * 2005-09-07 2005-11-15 백용 비닐하우스용 비닐 개폐시스템
KR20150110164A (ko) * 2014-03-24 2015-10-02 김현수 이동가능한 조립식 봉사
KR20170047625A (ko) * 2015-10-23 2017-05-08 이상춘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KR20200034044A (ko) * 2018-09-20 2020-03-31 농업회사법인에코그로잉주식회사 광량을 조절하는 온도저감형 비닐하우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5382A (ko) 2022-11-04 2024-05-14 김찬식 위치기반 양봉데이터 제공 및 전문가 매칭 시스템과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863B1 (ko) 202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7347A (en) Solar heated shelter with moveable secondary roof
US5813169A (en) Portable greenhouse construction
CN203646253U (zh) 一种新型猪舍
KR20220138989A (ko) 양봉관리시스템
EP2156103B1 (en) Animal shelter structure
US5216834A (en) Solar structure
US20200087912A1 (en) Canopy for selectively covering an area
CN108990559A (zh) 一种粮食晾晒装置
CN204949075U (zh) 用于蜜蜂养殖的蜂箱支架
FI119275B (fi) Ruokintalaitteisto
DE19727788C2 (de) Bauelement zur Wärmedämmung von Gebäudehülle
US6014948A (en) Protective structure for shading and cooling dairy cows
WO2013089567A1 (en) An animal shelter having improved interior topography
KR200490320Y1 (ko) 사양기 및 화분공급기를 내장할 수 있는 양봉통
KR101951389B1 (ko) 에어돔 하우스
KR101379530B1 (ko) 식생 간이 건축물
CN107667990B (zh) 自动收集蚕茧的桑蚕养殖装置
KR101947522B1 (ko) 에어돔 하우스
FR3014172A1 (fr) Gaine aeraulique destinee a la climatisation de l'air dans un batiment d'elevage et batiment d'elevage pourvu d'une telle gaine aeraulique
KR20200114270A (ko) 벌통
CN113243230B (zh) 一种内含独立封闭区域的组合日光温室
KR200305894Y1 (ko) 농가용 하우스 조립체
FR2759247A1 (fr) Installation prefabriquee pour l'elevage d'animaux
JPS5820111Y2 (ja) 寒冷地用畜舎
CN209376421U (zh) 一种木质室外宠物房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