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530B1 - 식생 간이 건축물 - Google Patents

식생 간이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530B1
KR101379530B1 KR1020120102224A KR20120102224A KR101379530B1 KR 101379530 B1 KR101379530 B1 KR 101379530B1 KR 1020120102224 A KR1020120102224 A KR 1020120102224A KR 20120102224 A KR20120102224 A KR 20120102224A KR 101379530 B1 KR101379530 B1 KR 101379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water
roof body
storage tank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5670A (ko
Inventor
박공영
Original Assignee
벽화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벽화수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벽화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2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530B1/ko
Publication of KR20140035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 건축물의 지붕, 벽체 등에서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연출할 수 있고, 물을 순환시키면 식물에 의해 물의 온도를 떨어뜨려 외부 기온에 비해 시원해질 수 있도록 한 식생 간이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의 식생공간과 상기 식생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외측으로 개방된 형상의 다수의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식생공간에 식재된 식물이 식생하는 지붕체와; 지붕체를 지탱하는 다수의 지주와; 지주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수하는 저수탱크와; 저수탱크로부터 물을 상기 지붕체의 상부로 펌핑하여 순환시키는 물순환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식생 간이 건축물{Planting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은 식생 간이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이 건축물의 지붕, 벽체 등에서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연출할 수 있고, 물을 순환시키면 식물에 의해 물의 온도를 떨어뜨려 외부 기온에 비해 시원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변이나 강, 산 또는 기타 휴양지에 설치되어 휴양객이나 야영객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휴식 공간 및 야영 공간 제공하는 간이 건축물로서 흔히 방갈로라 불리는 간이 건축물이 설치된다. 이러한 방갈로는 그 면적이 1∼3평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지상에 설치되는 작은 집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데, 설치지역의 전경 및 일조량과 풍향 등을 고려하여 이용자의 요구에 맞게 방갈로의 통풍창 위치를 선정하여 제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방갈로는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설치 장소의 이동이 어렵고, 외관이 현저히 불량하며, 단열성이 떨어져 하절기에는 매우 덮고, 동절기에는 매우 추운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방갈로는 사람들이 그 내부에 들어가 휴식을 취하는 용도 이외에는 전혀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기능적 한계를 가지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간이 건축물의 지붕, 벽체 등에서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연출할 수 있고, 물을 순환시키면 식물에 의해 물의 온도를 떨어뜨려 외부 기온에 비해 시원해지도록 구성하여 정자와 방갈로 겸용으로 활용할 수 있고, 수조를 구비하여 간이 목욕탕과 어린이들의 물놀이 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식생 간이 건축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식생공간에 식물이 식재되어 상기 식재된 식물이 식생하는 지붕체; 상기 지붕체를 지탱하는 다수의 지주; 상기 지주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수하는 저수탱크; 및 상기 저수탱크로부터 물을 상기 지붕체의 상부로 펌핑하여 순환시키는 물순환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붕체에는 다수의 식생공간과 상기 식생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외측으로 개방된 형상의 다수의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식생공간에 식물이 식재되거나, 식혈을 갖는 다수의 식생기반체가 고정되면서 상기 식혈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공간과 상기 통로의 바닥면은 방수처리되어 방수층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층의 상면에는 천, 부직포, 토양 중 선택된 재료가 포설되어 수분을 보유하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다른 장소로 이송하는 수분이송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수탱크는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물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수탱크의 상부에는 마룻바닥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수탱크는 스테인리스 스틸재, 비금속재, 합성수지재, 목재 중 선택된 재질로 된 수조로 구성되며, 상기 저수탱크의 내부에는 가열 히터가 구비되어 상기 저수탱크에 담긴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수탱크 상부에는 착탈식 마룻바닥이 구비되어 상기 저수탱크를 목욕탕 대용으로 활용토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순환수단은, 상기 저수탱크에 구비된 펌프와, 상기 펌프로부터 펌핑된 물을 상기 지붕체의 상부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물이송관과, 상기 지붕체의 하부 테두리에 설치되는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와 상기 저수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물유입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주의 표면에는 다수의 식생공간과 상기 식생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지주의 사이에는 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착탈식 창문이 각각 형성되어 필요시 상기 창문을 상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로 상기 지붕체와의 사이에 걸쇠로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저수탱크의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다수의 바퀴가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붕체의 중앙부는 공기순환을 위해 개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개방된 부위 상부에는 빗물 유입 방지를 위한 간이 덮개가 형성되고, 상기 지붕체의 일부 또는 상기 간이 덮개의 상부에는 태양광 전지판 또는 풍력발전기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붕체와 지주에서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간이 건축물의 외관을 자연친화적인 따뜻한 느낌으로 바꾸어 줄 수 있는 것이며, 지붕체 또는 지주에는 다수의 식생공간이 외측으로 노출된 형상의 통로로 이어져 있어 이러한 통로가 물길을 이룸과 동시에 식물의 뿌리가 뻗어나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어 식생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비바람 등 강한 외력이 발생되더라도 뿌리 사이의 강한 결속을 통해 식생 부위가 손상되지 않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식생공간과 통로의 바닥면에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수분이송층이 형성되어 있어 수분을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은 보유할 수 있고, 또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다른 장소로 이송하여 식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며, 지붕체에서 식생이 이루어지면 직사광선이 지붕체에 가해지는 것에 비해 지붕체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물이 순환되면 식물에 의해 물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또 식물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저수탱크 위쪽에 마룻바닥이 설치되어 있어 마룻바닥의 온도 역시 낮아지게 되어 별도의 냉방기구없이도 외부기온에 비해 보다 시원한 공간을 제공해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지주의 사이에는 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착탈식의 창문이 구비되어 각 창문을 상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지붕체에 걸쇠를 통해 걸어주면 그 자체로 넓은 면적의 그늘을 형성해주게 되고, 모든 방향에서 통풍이 이루어져 마치 정자와 같은 느낌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저수탱크의 하부에는 다수의 바퀴가 장착되어 원하는 장소로 손쉽게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저수탱크를 스테인리스 스틸재, 비금속재, 합성수지재, 목재 중 선택된 재질의 수조로 구성하고, 수조 내부에 가열히터를 구비하는 경우 간이 목욕탕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방갈로, 정자, 간이 목욕탕과 여름에는 시원한 풀장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 건축물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건축물의 지붕체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 건축물의 저수탱크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건축물의 창문을 상승시켜 그늘을 형성하는 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건축물을 간이 목욕탕으로 활용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 건축물을 이동가능하게 형성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생이 가능한 간이 건축물을 제공함과 동시에 보다 다양한 용도로 간이 건축물을 활용토록 한 것으로, 식생이 가능한 지붕체(10), 식생이 가능한 지주(20), 지붕체(10)와 지주(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저수탱크(30) 및 물순환수단을 포함한다.
지붕체(10)는, 다수의 식생공간(11)과 이러한 식생공간(11) 사이를 연결하는 외측으로 개방된 형상의 다수의 통로(12)가 형성되어 다수의 식생공간(11)에 식재된 식물이 식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지붕체(10)는 다수의 식생공간(11)과 다수의 통로(12)가 형성된 블럭 다수개가 지붕 골조(14) 위에 각각 고정되어 이루어지거나, 지붕체(10)의 축조시 다수의 식생공간(11)과 다수의 통로(12) 형상의 거푸집을 이용하여 지붕체(10)와 일체로 다수의 식생공간(11)과 다수의 통로(12)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붕체(10)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식혈을 갖는 다수의 식생기반체를 나란하게 고정하고, 각 식생기반체의 식혈에 식물을 식재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지주(20)는 지붕체(1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구조물로서 일자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지주(20)의 폭을 넓게 구성하면서 지붕체(1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식생공간(미도시)과 다수의 통로(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지주(20)에 식생공간과 통로를 구성하는 경우 여기에서도 식생이 이루어지게 된다.
지붕체(10) 또는 지주(20)에 형성되는 식생공간(11)과 통로(12)의 바닥면에는 방수층(15)이 형성되고, 방수층(15)의 상면에는 천, 부직포, 토양 중 선택된 재료가 포설되어 수분을 보유하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다른 장소로 이송하는 수분이송층(16)이 형성되어 식물의 식생에 조력하게 된다.
지붕체(10)의 축조시 다수의 식생공간(11)과 다수의 통로(12) 형상의 거푸집을 이용하여 지붕체(10)와 일체로 다수의 식생공간(11)과 다수의 통로(12)를 형성하는 경우 방수층(15)은 상기와 같이 식생공간(11)과 통로(12)의 바닥면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다수의 식생공간(11)과 다수의 통로(12)가 형성되어 있는 블럭을 지붕체(10) 위에 고정하여 구성하는 경우에는 지붕체(10)의 표면에 방수포를 포설하거나 방수코팅을 하여 방수, 방근 처리를 한 후 그 위에 다수의 블럭을 각각 고정해줄 수 있으며, 각각의 블럭은 상하방향 또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블럭끼리 일부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구성하여 마치 지붕체(10)에 기와를 시공하는 것과 같이 고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지주(20)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수하는 저수탱크(30)는,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구성하거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통으로 구성하게 되며, 저수탱크(30)의 상부에는 마룻바닥(40)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 간이 건축물이 간이 목욕탕으로 사용되는 경우, 저수탱크(30)는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리스 스틸재, 비금속재, 합성수지재, 목재 중 선택된 재질로 된 수조로 구성되며, 저수탱크의 내부에는 가열 히터(31)가 구비되어 저수탱크(30)에 담긴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고, 사용자가 걸터앉을 수 있도록 목재로 된 계단(32)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가열히터(31)는 안전성 향상을 위해 별도의 안전보호 공간을 설치하거나, 목재로 된 계단(32)의 내부 공간에 수용함이 바람직하며, 저수탱크(30) 상부에는 마룻바닥(40)을 착탈식으로 구비하여 저수탱크(30)를 목욕탕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마룻바닥(40)을 깔아 그 위에서 휴식을 취함으로써 간이 목욕탕 겸용 방갈로로 활용할 수 있다.
마룻바닥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취급이 용이하도록 40~50㎝의 폭으로 각각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저수탱크(30)의 상부 테두리에는 각각의 마룻바닥을 손쉽게 안착시키거나 들어올릴 수 있도록 가이드 프레임을 형성해줌이 바람직하다.
지붕체(10)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저수탱크(30)의 물을 순환시키는 물 순환수단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물 순환수단으로 저수탱크(30)에 구비된 펌프(51)와, 펌프(51)로부터 펌핑된 물을 지붕체(10)의 상부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물이송관(52)과, 지붕체(10)의 하부 테두리에 설치되는 물받이(53)와, 물받이(53)와 저수탱크(30) 사이에 설치되는 물유입관(54)으로 구성하게 된다. 물론, 지주(20)에 식생공간과 통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물이송관(52)을 지주 상부측으로 분지시켜 구성하면 된다.
또한, 각 지주(20)의 사이에는 힌지(미도시)를 통해 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착탈식 창문(60)이 각각 형성되어 필요시 창문(60)을 상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로 지붕체(10)와의 사이에 걸쇠(61)로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며, 저수탱크(10)의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다수의 바퀴(62)가 장착하여 원하는 장소로 손쉽게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착탈식 창문(60)을 사용하지 않고 지주(20)의 사이에 벽체를 형성하고, 벽체에 창문을 내어 일반적인 건축물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지붕체(10)의 중앙부는 공기순환을 위해 개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개방된 부위 상부에는 빗물 유입 방지를 위한 간이 덮개(71)가 설치된다. 간이 덮개(71)의 상부에는 풍력발전기(72)를 설치하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간이덮개(71)의 상면 또는 지붕체(10) 상부 일부에 태양광 전지판을 구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생 간이 건축물에 필요한 전력을 자체 생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각 식생공간(11)에 식물묘를 식재하며, 이와 동시에 저수탱크(30)에 물을 채우고, 펌프(51)를 구동하여 저수탱크(30)에 담긴 물을 지붕체(10)의 상부로 펌핑해주게 되고, 지붕체(10) 상부로 이송된 물은 최상부측의 각 통로(12)를 따라 이동하여 최상부측의 각 식생공간(11)측으로 공급되고, 최상부측 각 식생공간(11)에는 식물묘가 식재되어 있으므로 수분이 식물에 공급되어 생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물은 다시 최상부측 각 식생공간(11) 양측의 통로(12)를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하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식생공간(11)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각 식생공간(11)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여 식물의 생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식생공간(11)에 식재된 식물은 자라면서 뿌리를 물이 지나가는 통로(12) 방향으로 뻗어 보다 넓은 영역에서 수분의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생육 가능성을 더욱 높여주게 되며, 식물 뿌리들이 서로 엉키면서 견고하게 식생공간(11)내에 활착함으로써 비바람 등 강한 외력이 발생되더라도 식생 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또한, 식물의 뿌리에 의해 정화된 물은 고여 있어도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은 물론 히팅에 의해 고온 살균하여 자연스럽게 소독이 이루어짐으로써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식생공간(11)을 연결해주는 통로(12)는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식생공간(11)에 식재된 식물이 통로(12)측으로 뿌리를 뻗더라도 통로(12)가 막히지 않게 되며, 물이 통로(12)를 통해 각 식생공간(11)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 식생이 지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지붕체(10)를 모두 통과한 물은 물받이(53)로 떨어져 모아지고, 물받이(53)와 저수탱크(30)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물유입관(54)을 통해 다시 저수탱크(30)로 모아지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며, 물이 식물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을 빼앗기게 되어 이러한 물이 다시 저수탱크(39)에 모아지게 되므로 지붕체(10) 아래쪽과 저수탱크(30) 상부 공간은 별도의 냉각기구 없이도 외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원해지게 되어 보다 쾌적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물이 식물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자연 정화되어 물이 썩지 않는 상태로 지속적인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비가 내리는 경우 빗물은 지붕체(10)를 위쪽으로부터 흘러내려 물받이(53), 물유입관(54)을 통해 저수탱크(30)에 모아지게 되고, 만일 저수탱크(30)의 적정 수위보다 많은 량의 빗물이 저수탱크로(30) 유입되는 경우 저수탱크(30)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30a)를 통해 오버플로우되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저수탱크(30)는 항상 적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저수탱크(30)의 바닥에는 욕조의 배수구와 같이 배수구를 형성할 수 있어 언제든 물교환도 가능하게 된다.
외부 기온이 상승되는 경우 각 지주(20)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창문(60)을 상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로 지붕체(10) 아래쪽에 걸쇠(61)를 통해 걸어주게 되면 창문(60)을 통해 보다 넓은 면적의 그늘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늘을 형성하고 있는 각 창문(60)의 사이 빈 공간에 그늘천(63)을 더 연결해주게 되면 보다 넓은 면적의 그늘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지붕체(10)의 중앙부는 개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창문(60)을 모두 닫은 상태에서도 공기가 지붕체(10) 중앙부의 개방된 부위를 통해 원활하게 빠져나가게 되어 신선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지붕체(10) 아래의 내부 공간에서 요리를 하더라도 환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되며, 개방된 부위 상부에는 간이 덮개(72)가 설치되어 있어 빗물 등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저수탱크(30)를 녹이 슬지않으면서 어느 정도의 온도까지는 견딜 수 있는 스테인리스 스틸재, 비금속재, 합성수지재, 목재 중 선택된 재질로 된 수조로 구성하고, 저수탱크(30)의 내부에 가열 히터(31)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저수탱크(30)에 채워진 물을 가열 히터(31)를 통해 가열하여 데워준 후 저수탱크(30) 내부에 들어가 목욕을 즐길 수 있으며, 목욕이 끝난 후에는 사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해주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도 목욕탕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저수탱크(30)에 담긴 물을 펌프(51)를 통해 지붕체(10) 상부로 펌핑하여 관수를 해주게 되며, 저수탱크(30)의 상부에는 착탈식으로 된 마룻바닥(40)을 깔아 그 위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식생 간이 건축물은 간이 덮개(71)의 상부에 풍력발전기(72)를 설치하거나, 지붕체 상부 일부 또는 간이 덮개(71)의 상면에 태양광 전지판을 구비하는 경우 지붕체(10) 안쪽에 설치되는 전등이나 물순환에 필요한 펌프(51),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히터(31) 등에 필요한 전력의 전량 또는 일부를 자체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수탱크(30)의 하부에 바퀴(62)가 장착되어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식생 간이 건축물을 원하는 장소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또한, 일체의 구조물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장소에 구애됨없이 쉽게 설치, 철거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10 : 지붕체 11 : 식생공간
12 : 통로 14 : 골조
15 : 방수층 16 : 수분이송층
20 : 지주 30 : 저수탱크
30a : 배구수 31 : 가열히터
32 : 계단 40 : 마룻바닥
51 : 펌프 52 : 물이송관
53 : 물받이 54 : 물유입관
60 : 창문 61 : 걸쇠
62 : 바퀴 63 : 그늘천
71 : 간이 덮개 72 : 풍력발전기

Claims (8)

  1. 다수의 식생공간에 식물이 식재되어 상기 식재된 식물이 식생하는 지붕체; 상기 지붕체를 지탱하는 다수의 지주; 상기 지주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수하는 저수탱크; 상기 저수탱크로부터 물을 상기 지붕체의 상부로 펌핑하여 순환시키는 물순환수단을 포함하는 식생 간이 건축물에 있어서,
    상기 지붕체에는 다수의 식생공간과 상기 식생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외측으로 개방된 형상의 다수의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식생공간에 식물이 식재되거나, 식물 식재용 식혈을 갖는 다수의 식생기반체가 고정되며;
    상기 지주의 표면에는 다수의 식생공간과 상기 식생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간이 건축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는 스테인리스 스틸재, 비금속재, 합성수지재, 목재 중 선택된 재질로 된 수조로 구성되며, 상기 저수탱크의 내부에는 가열 히터가 구비되어 상기 저수탱크에 담긴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수탱크 상부에는 착탈식 마룻바닥이 구비되어 상기 저수탱크를 목욕탕 대용으로 활용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간이 건축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0102224A 2012-09-14 2012-09-14 식생 간이 건축물 KR101379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224A KR101379530B1 (ko) 2012-09-14 2012-09-14 식생 간이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224A KR101379530B1 (ko) 2012-09-14 2012-09-14 식생 간이 건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670A KR20140035670A (ko) 2014-03-24
KR101379530B1 true KR101379530B1 (ko) 2014-03-28

Family

ID=50645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224A KR101379530B1 (ko) 2012-09-14 2012-09-14 식생 간이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951B1 (ko) * 2014-08-18 2016-06-13 박태재 다기능 조립식 저장 구조물
KR20180091471A (ko) 2017-02-07 2018-08-16 왕한호 재배 제어 시스템
CN114731877B (zh) * 2022-04-25 2023-05-12 四维生态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种植柜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754A (ko) * 2000-09-28 2002-04-04 영 성 왕 화분의 자동수분공급장치
KR100802501B1 (ko) * 2007-02-23 2008-02-13 박스칸 이동식 원두막
KR20110017616A (ko) * 2009-08-14 2011-02-22 (주)비에프조경개발 파고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754A (ko) * 2000-09-28 2002-04-04 영 성 왕 화분의 자동수분공급장치
KR100802501B1 (ko) * 2007-02-23 2008-02-13 박스칸 이동식 원두막
KR20110017616A (ko) * 2009-08-14 2011-02-22 (주)비에프조경개발 파고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670A (ko) 201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1073B2 (en) Building with integrated natural systems
CN203646253U (zh) 一种新型猪舍
CN102177821B (zh) 一种结合功能挡板的立体绿化装置及方法
US4141498A (en) Combination structure and greenhouse utilizing indirect solar energy
KR100858413B1 (ko)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및 이 가구별 테라스를 이용한 정화/집수 시스템.
KR101379530B1 (ko) 식생 간이 건축물
KR102193142B1 (ko) 녹화지붕 구조
CN103734025A (zh) 竹鼠饲养舍
CN1844611A (zh) 盆式生态庭院及其建造方法
CN107646707B (zh) 一种可调温猪舍
CN210421670U (zh) 一种节能环保的绿色建筑集成屋顶
JP2015037380A (ja) 立体庭園における自動潅水システム
KR101480303B1 (ko) 1-자연에너지 생산 시설과 생활 편의시설 및 인체건강 시설이 주변과 내부로 설치된 자연환경 조립식 건축물.
CN205554528U (zh) 一种旋转式多功能生态节能房
KR101225187B1 (ko)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옥상 녹화장 구조체
CN101151958B (zh) 有蓄水装置的种植盆
JP2008212104A (ja) ワサビのハウス促成栽培システム
KR101061465B1 (ko) 농업용 친환경 온실구조물
CN201188786Y (zh) 有蓄水装置的种植盆
CN106150311A (zh) 绿化节能抗雾霾除甲醛省空间的窗户窗台结构和使用方法
CN210659391U (zh) 一种环保生态住宅
KR20230034533A (ko) 빗물을 이용한 옥상 녹화장치 및 그 방법
CN100450341C (zh) 屋面、墙面的防水绿化装置
KR101357003B1 (ko) 2-친환경 조립식 텐트와 가 건물.
JP2012023992A (ja) 建築物に敷設する立体庭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