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625A -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 Google Patents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625A
KR20170047625A KR1020150147964A KR20150147964A KR20170047625A KR 20170047625 A KR20170047625 A KR 20170047625A KR 1020150147964 A KR1020150147964 A KR 1020150147964A KR 20150147964 A KR20150147964 A KR 20150147964A KR 20170047625 A KR20170047625 A KR 20170047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lift device
pair
side wall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춘
송정희
Original Assignee
이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춘 filed Critical 이상춘
Priority to KR1020150147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7625A/ko
Publication of KR20170047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상벌통에 리프트장치를 장착하여 계상벌통을 스무스하게 이동시킴에 따라 손쉬운 내검이 가능하고, 휴대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가벼우면서도 보온성을 갖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사양액과 사양수를 주입하는 별도의 통로와 공간을 확보하여 주입함에 따라 사양량을 확인할 수 있어 벌들이 받을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꿀벌들이 사양기에 빠져 죽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A bee hive including lift device}
본 발명은 벌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견고하면서도 가벼우며 휴대에 편리한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은 꿀을 얻기 위하여 사람이 인위적으로 꿀벌을 치는 것으로서, 이러한 양봉은 대략 함체 형상으로 구비되고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사각형상의 벌통 내에 삽탈이 가능한 다수의 벌집을 격판 형으로 구비하며, 그러한 벌통의 전면 하단에는 꿀벌들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를 구비하여서 꿀벌들을 사육하고 있는 것이고, 따라서, 꿀벌들은 벌통의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면서 적정한 행동반경 내의 꽃을 찾아 꽃 속에 있는 당분을 먹이로 채취하여 벌통 내의 벌집에 저장하는 것이고, 이와 같이 꿀벌들이 벌집 내에 저장한 꿀 즉, 꿀벌들의 먹이를 사람이 인위적으로 채취함으로써 꿀을 얻게 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꿀벌들이 자신의 먹이로 저장한 꿀을 사람이 채취함에 따라 꿀벌들이 먹을 수 있는 먹이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게 됨으로써 꿀을 채취한 양만큼 벌통 내에 꿀벌의 먹이를 공급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요구되었고, 이에 따라 벌집 내에는 상부가 개구되는 꿀벌의 먹이통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사람이 인위적으로 물에 설탕을 적당한 비율로 녹인 먹이를 주전자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수시로 공급해야만 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벌통 내에 꿀벌의 먹이를 공급하는 아무런 장치가 없기 때문에 사람의 수작업으로서 벌통의 뚜껑을 열고 먹이를 수시로 공급하고 있음에 따라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사람이 수작업으로 각 벌통 내의 먹이통에 먹이를 공급함에 따라 먹이를 공급하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일일이 벌통의 뚜껑을 개방하여 먹이를 공급하는 작업을 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힘드는 등 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벌통이 많을 경우에는 더욱 더 가중되는 것이었으며, 게다가 이러한 먹이공급 작업은 공급 시기를 정확히 맞추기 위해서는 벌통의 뚜껑을 수시로 개방하여 육안으로 확인한 후 먹이의 공급작업을 행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과 더불어 작업자의 부주위로 먹이를 공급하는 시기를 놓치게 되면 꿀벌의 성장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거나 장애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외에도 먹이통에 먹이를 공급할 시 먹이통의 개구부를 통해 먹이를 공급하는 방식이므로 먹이통 내에 남아 있는 꿀벌들이 미쳐 빠져 나오지 못해 먹이에 의해 익사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벌통은 목재를 이용하여 상자 형상으로 제조하여 사용되고 있었으나, 이와 같은 목재로 이루어진 벌통은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 운반 등의 취급이 어렵고, 별도의 보온, 방습 및 방음 장치들이 구비됨에 따라 관리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되며, 주위 환경의 오염 등으로 벌들의 수명이 단축되고 벌꿀의 생산량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그래서, 상기의 목재로 된 벌통 대신 스티로폼 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벌통도 있었으나, 이는 부피가 작고 중량이 가벼워 운반 등이 용이한 반면, 벌집 등이 안착될 때 벌통이 쉽게 파손되고, 벌이 합성수지를 쉽게 파먹고 구멍을 뚫어 이탈하게 되는 일이 발생됨으로써 벌통의 수명이 단축되며, 벌통의 외부에서 설탕물 등의 먹이를 공급함에 따른 취급 및 관리가 불편하고, 벌통 내부의 습도 등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들도 있었을 뿐 아니라, 비가 오면 벌통 내로 빗물이 스며들거나, 계절에 따라 벌통의 위치를 이동하게 되면 벌들이 출입하다 이동된 장소까지 따라오지 못하여 벌의 수가 줄어들게 됨에 따라 꿀의 생산량이 줄어드는 등의 문제 등도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1) KR20-0282594 Y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상벌통에 리프트장치를 장착하여 계상벌통을 스무스하게 이동시키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내부에 사양액과 사양수를 주입하는 별도의 통로와 공간을 확보하여 주입함에 따라 효과적인 양봉이 가능한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은
단상벌통;
상기 단상벌통의 상부에 적층되는 계상벌통; 및
상기 단상벌통의 하부에 위치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계상벌통을 승하강시키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장치는 볼트와 너트식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장치는,
한 쌍의 모터;
상기 한 쌍의 모터와 연결되고 상호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상에 장착되어 상기 단상벌통의 마주보는 양측부에 배치되는 두 쌍의 제 1 기어;
상기 회전축 상에서 상기 두 쌍의 제 1 기어 중 어느 하나의 제 1 기어 각각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두 쌍의 제 1 기어와 체결되어 회전하는 두 쌍의 제 2 기어; 및
상기 두 쌍의 제 2 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승하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모터는 상기 단상벌통과 상기 계상벌통이 인접한 부분에 위치한 상기 한 쌍의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두 쌍의 제 1 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 승하강롤러는 회전하는 상기 두 쌍의 제 1 기어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두 쌍의 제 2 기어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계상벌통을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장치는,
상기 승하강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되, 승하강롤러가승하강 가능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 및
상기 승하강롤러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와 접하는 접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롤러가 회전하면서 승강 또는 하강할 시 상기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로 스위치와 접하게 됨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에서 인가된 접지신호가 상기 모터로 인가되어 상기 모터의 동작이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은, 상기 접지신호를 인가한 후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사양액인 설탕물이 주입되는 사양액홀;
상기 사양액홀의 하부에 형성되어 사양수가 주입되는 사양수홀; 및
상기 사양액홀의 하부 및 상기 사양액홀과 상기 사양수홀의 사이에 배치되는 투과성 재질의 확인창;
을 포함하는 사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상벌통은,
양측이 개방된 제 1 측벽부;
상기 제 1 측벽부의 개방된 양측 중 일측에 위치하여 제 1 측벽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제 1 측벽부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
상기 제 1 측벽부의 상측부 일면에 위치하는 개포고정장치;
상기 개포고정장치가 위치하는 일면과 인접한 양면에 장착되는 손잡이; 및
상기 제 1 측벽부의 내측 양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볼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상벌통은,
양측이 개방된 제 2 측벽부;
상기 제 2 측벽부의 개방된 양측 중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측벽부를 지지하는 승하강 지지부재; 및
상기 제 2 측벽부의 외측 양면에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볼레일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은,
상기 단상벌통의 내부에 위치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위치하는 이송기어;
상기 이송기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이송기어와 체결되는 이송부재;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어 통풍이 가능한 환기구;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 순환을 조절하는 환기조절계; 및
상기 환기구와 인접한 히터;
를 포함하는 소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은,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 상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ㄱ'자 형상의 회전부재;
를 포함하는 말벌포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은,
상기 단상벌통과 상기 계상벌통에 삽입되는 다수의 소초광; 및
상기 받침대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한 착륙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은, 상기 제 1 측벽부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단상벌통과 상기 계상벌통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은,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관통형성된 홀과 연통함에 따라 상기 사양액과 상기 사양수의 양을 조절하는 사양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단상벌통에 리프트장치를 장착하여 계상벌통을스무스하게 이동시킴에 따라 손쉬운 내검이 가능하고, 휴대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가벼우면서도 보온성을 갖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사양액과 사양수를 주입하는 별도의 통로와 공간을 확보하여 주입함에 따라 사양량을 확인할 수 있어 벌들이 받을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꿀벌들이 사양기에 빠져 죽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의 (a), (b)는 각각 단상벌통 및 계상벌통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4의 (a), (b), (c), (d), (e), (f)는 단상벌통의 하부에서 상부를 바라본 환기구와 히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의 (a), (b), (c), (d), (e), (f), (g)는 도 3의 (a)의 제 1 측벽부의 정면을 나타낸 분해도,
도 6의 (a), (b), (c)는 제 1 측벽부의 측면을 나타낸 분해도,
도 7의 (a), (b), (c)는 도 3의 (a)의 받침대의 뒷면에 위치한 환기구를 나타낸 참고도,
도 8의 (a), (b), (c), (d), (e), (f), (g), (h)는 도 3의 (b)의 사시도 및 조립구조도,
도 9의 (a), (b)는 도 3의 (b)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9의 (c), (d)는 벌격리판을 나타낸 분해도,
도 10은 도 3의 (b)의 배면도,
도 11의 (a), (b), (c), (d)는 도 3의 (a)의 사양기, 급이판, 고무마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의 (a), (b)는 도 3의 (a)의 사양기, 사양밸브, 급이판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
도 13은 단상벌통의 바닥틀과 리프트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평면도,
도 14의 (a), (b), (c)는 단상벌통의 바닥틀과 리프트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15의 (a), (b), (c)는 단상벌통의 바닥틀과 리프트장치의 모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6의 (a), (b)는 리프트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
도 17는 본 발명의 리프트장치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18의 (a), (b), (c)는 단상벌통의 바닥틀을 나타낸 조립도,
도 19의 (a), (b), (c)는 고정날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0의 (a), (b)는 고정날개의 연결을 나타낸 조립도,
도 21의 (a), (b), (c)는 도 3의 (a)의 소문을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22의 (a), (b), (c), (d)는 본 발명의 소초광을 나타낸 조립도,
도 23의 (a), (b)는 본 발명의 말벌포획기를 나타낸 개략도, 및
도 24의 (a), (b)는 밀납추출기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본 발명의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사양수"라는 용어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꿀벌이 음용할 수 있는 정화된 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사양액"이라는 용어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사양수와 설탕을 섞은 혼합물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1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통(100)은 단상벌통(110), 단상벌통(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계상벌통(120) 및 단상벌통(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받침대(112)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112)는 받침대(112) 상부에 장착되어 계상벌통(120)을 승하강시키는 리프트장치(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상벌통(110)은 제 1 측벽부(111), 받침대(112), 고정날개(113), 개포고정장치(114), 손잡이(115), 볼레일(116), 급이판(117) 및 바닥틀(118)을 포함한다.
또한, 단상벌통(110)의 하부에는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상으로 보이는 롤러가 위치함에 따라 상기 롤러는 슬라이딩될 시 단상벌통(110)을 지지하게 된다.
제 1 측벽부(111)는 4개의 판부재가 연결되어 양측이 개방된 형상을 지니며,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받침대(112)는 제 1 측벽부(111)의 개방된 양측 중 일측에 위치하여 제 1 측벽부(111)를 지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12)는 제 1 측벽부(111)의 하부에 위치함에 따라 제 1 측벽부(111)의 개방된 일측을 막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받침대(112)의 내부로는 후술되는 착륙판(173)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된다.
고정날개(113)는 제 1 측벽부(111)에 장착되며, 하나 이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계상벌통(120)과 체결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반찬통이 체결되는 원리와 동일하다.
개포고정장치(114)는 제 1 측벽부(111)의 상측부 일면에 위치한다.
손잡이(115)는 개포고정장치(114)가 위치하는 일면과 인접한 양면에 장착되며, 사용자는 손잡이(115)를 잡고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볼레일(116)은 제 1 측벽부(111)의 내측 양면에 장착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볼레일(116)은 일반적인 책상 서랍이 슬라이딩되는 원리와 동일하다.
계상벌통(120)은 제 2 측벽부(121), 승하강 지지부재(122) 및 지지대(123)를 포함한다.
제 2 측벽부(121)는 제 1 측벽부(111)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측벽부(121)는 4개의 판부재가 연결되어 양측이 개방된 형상을 지니며,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승하강 지지부재(122)는 제 2 측벽부(121)의 개방된 양측 중 일측에 위치하여 제 2 측벽부(121)를 지지하며, 이러한 승하강 지지부재(122)는 후술되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승하강롤러(146)와 접함에 따라 계상벌통(120)을 승하강시킨다. 상기 승하강 지지부재는 사양액홀(132) 까지 하강할 수 있다.
지지대(123)는 제 2 측벽부(121)의 외측 양면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의 전면부는개패될 수 있다.
사양기(130)는 하우징(131), 사양액홀(132), 사양수홀(133) 및 확인창(134)을 포함한다.
하우징(131)은 중공 형상이며, 하우징(131)의 내부에는 제 1 공간(S1), 제 2 공간(S2)이 형성되도록 격벽(1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131)의 상부 일측에는사양액이 주입되는 사양액홀(132)이 형성되며, 사양액홀(132)의 하부에는 사양수가 주입되는 사양수홀(133)이 형성된다.
사양액홀(132)은 하우징(131)의 측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사양액인설탕물이 주입된다.
사양수홀(133)은 사양액홀(132)의 하부에 형성되어 사양수가 주입된다.
상기 주입된 사양액과 사양수는 하우징(131) 하단부의 홀(136)을 통해 급이대로 내려갈 수 있다. 이의 원리는 주사기 피스톤 방식이며 고무링이 2개인 급이 밸브를 당겨서(138) 수행될 수 있다. 벌들이 사양액과 사양수를 먹으면 에어가 들어가며 물과 액이 상기 홀 하단부에 있는 통로(137)를 통해 급이대로 나올 수 있다.
확인창(134)은 사양액홀(132)의 하부 및 사양액홀(132)과 사양수홀(133)의 사이에 배치되는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확인창(134)을 통하여 사양액과 사양수가 하우징(131)의 내부로 주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하여 주입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사양밸브(190)는 하우징(131)의 하면에관통형성된 홀과 연통함에 따라 사양액과 사양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양밸브(190)는 제 1 공간(S1)과 제 2 공간(S2)과 연통하는 홀과 연통하게 된다. 상기 사양밸브(190)를 상기 제 1 공간(S1) 및 제 2 공간(S2)과 연통하는 홀에 넣거나 뺌으로써 사양수와 사양액의 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사양밸브를 회전시킴으로서 사양수와 사양액의 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사양밸브(190)에 따라 종래기술에서는 구현할 수 없었던 사양수와 사양액의 양을 조절 가능하므로 효과적인 양봉이 가능하다.
리프트장치(140)는 볼트와 너트식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리프트장치(140)는 모터(141), 회전축(142), 지지부재(143), 제 1 기어(144), 제 2 기어(145), 승하강롤러(146), 마이크로 스위치(147) 및 접지부재(148)를 포함한다.
모터(141)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일반적인 기기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러한 모터(141)는 제 1 측벽부(111)의 4면 중 어느 한 면에 한 쌍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142)은 한 쌍의 모터(141)와 연결되고 상호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회전축(142)은 모터(141)가 회전함에 따라 생성되는 회전력을 제 1 기어(144)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재(143)는 회전축(142) 상에서 제 1 기어(144)의 양측에 배치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부재(143)는 제 2 기어(145) 및 승하강롤러(146)를 회전방향을 제외하고는 모든 방향으로 구속되어 고정된다.
제 1 기어(144)는 한 쌍의 회전축(142) 상에 장착되어 단상벌통(110)의 마주보는 양측부에 배치되며, 두 쌍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기어(144)는 한 쌍의 회전축(142)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142) 상에 배치되되, 상호 이격된 위치(바닥틀(118)의 상부 뒤쪽에 배치)에 장착된다. 이는 제 1 기어(144)에 의해 회전하면서 승하강운동하는승하강롤러(146)가 계상벌통(120)과 접하도록 하여 계상벌통(120)을 승하강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한 쌍의 회전축(142) 중 다른 하나의 회전축(142) 상에도 위와 같은 위치에 제 1 기어(144)가 위치한다.
제 2 기어(145)는 두 쌍의 제 1 기어(144)와 체결되어 회전하며, 제 1 기어(144)와 대응되도록 두 쌍으로 이루어진다.
승하강롤러(146)는 두 쌍의 제 2 기어(145)와 연결되고 한 쌍의 회전축(142)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승하강롤러(146)는 회전하면서 승하강운동함에 따라 계상벌통(120)을 승하강시킨다.
마이크로 스위치(147)는 승하강롤러(146)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되, 승하강롤러(146)가 승하강 가능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치된다.
접지부재(148)는 승하강롤러(146)을 둘러싸는 판형상이며, 그 크기는 마이크로 스위치(147)와 접할 수 있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지부재(148)는 승하강롤러(146)가 회전하면서 승강 또는 하강할 시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147)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로 스위치(147)와 접하게 되고, 그에 따라 마이크로 스위치(147)에서 인가된 접지신호가 모터(141)로 인가되어 모터(141)의 동작이 멈추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마이크로 스위치(147)에서 발생되는 접지신호를 인가한 후 모터(141)의 동작(온/오프)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리프트장치(140)를 정리하면, 한 쌍의 모터(141)는 바닥틀(118)과 계상벌통(120)이 인접한 부분에 위치한 한 쌍의 회전축(142)을 회전시켜 두 쌍의 제 1 기어(144)를 회전시키고, 승하강롤러(146)는 회전하는 두 쌍의 제 1 기어(144)에 따라 회전하는 두 쌍의 제 2 기어(145)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계상벌통(120)을 승하강시킨다.
소문(150)은 케이스(151), 이송기어(152), 이송부재(153), 환기구(154), 환기조절계(155),히터(156), 벌출입구(157) 및 차양막(158)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51)는 단상벌통(110)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송기어(152)는 케이스(151)의 내부 일측에 위치하며, 이러한 이송기어(152)는 이송부재(153)과 체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이송부재(153)를 직선왕복운동시킨다.
이송부재(153)는 이송기어(152)의 하부에 위치하고 이송기어(152)와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송부재(153)의 일면은 이송기어(152)와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송기어(152)와 이송부재(153)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랙&피니언 기어와 유사한 원리를 지닌다.
환기구(154)는 케이스(151)의 상부에 장착되어 통풍이 가능하다. 즉, 환기구(154)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151) 내부로 유입되거나 케이스(15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환기조절계(155)는 케이스(151)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케이스(151) 내부의 공기 순환을 조절한다. 이러한 환기조절계(155)의 기능 및 동작원리는 공지기술에 해당하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히터(156)는 환기구(154)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히터(156)는 전기가 인가되면 발열함에 따라 케이스(151)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벌출입구(157)은 벌이 출입할 수 있는 입구이다.
차양막(158)은 겨울에는 보온재겸 소문이 되고 여름에는 햇빛 또는 비를 막아줄 수 있다. 상기 차양막(158)은 고정핀(159)에 의해 고정될 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핀(159)에 의해 겨울에 보온이 가능하다.
말벌포획기(160)는 회전바(161) 및 회전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말벌포획기(160)는 말벌이 양봉벌을 바로 공격하지 못하도록 막아줄 수 있는 파티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5에서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특히, 점선으로 도시된 포획파티션은 말벌포획기(160) 내의 어느 입구로 출입(163,164,165)하는 말벌들이 양봉벌을 공격할 수 없도록 격리되어 있다.
회전바(161)는 케이스(151)의 양측면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이러한 회전바(161) 상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부재(162)가 장착된다.
회전부재(162)는 회전바(161) 상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양봉벌은 말벌포획기(160) 내의 어느 입구로도 출입이 가능하지만(163,164,165), 말벌이 상기 회전부재(162)가 있는 출입구(164) 쪽으로 들어가면 'ㄱ'자 형상의 차단막의 좁아지는 구조로 인해 말벌이 포획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51)로 말벌이 들어올 경우, 회전부재(162)는 회전하면서 말벌의 내부 진입이 가능하지만 다시 케이스(161)의 밖으로 나갈 때에는 회전부재(162)가 고정됨에 따라 나갈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회전부재(162)가 장착되는 높이에도 관련이 있는데, 회전부재(162)는 케이스(151)의 하부로부터 꿀벌이 지나갈 정도의 높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말벌의 경우 내부로 진입하려면 회전부재(162)에 걸려 회전부재(162)를 회전시킬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입된 말벌은 케이스 내부에 갇히게 되고(162), 밖으로 나갈 수 없다.
한편, 케이스(161)로 꿀벌이 들어올 경우, 꿀벌은 회전부재(162)를 회전시키지 않고도 지나갈 수 있다.
소초광(172)은 단상벌통(110)과 계상벌통(120)에 삽입되며, 자석부착부(171a), 초소광고정핀 삽입부(171d), 밀납고정부(171c) 및 밀납고정핀 삽입부(17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초소광(171)은 초소광고정핀 삽입부(171d)에 예를 들면 도 24(d)의 소초광고정핀을 삽입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밀납고정핀 삽입부(171c)에 밀납을 넣고 누르면 밀납이소초광에고정될 수 있다 (도 22의 (c) 참고). 이러한 소초광(172)에는 꿀벌이 벌집을 짓는 장소에 해당한다.
착륙판(173)은 받침대(112)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이러한 착륙판(173)으로 꿀벌이 착지하게 된다.
온도조절부(180)은 제 1 측벽부(111)의 일면에 배치되어 단상벌통(110)과 계상벌통(120)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온도나 습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나 온도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이얼이나 버튼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밀납추출기(200)는 퇴수구(201), 이물질잔류부(202) 및 온도조절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110 : 단상벌통
111 : 제 1 측벽부
112 : 받침대
113 : 고정날개
114 : 개포고정장치
115 : 손잡이
116 :볼레일
117 :급이판
118 :바닥틀
120 :계상벌통
121 : 제 2 측벽부
122 :승하강 지지부재
123 : 지지대
130 :사양기
131 :하우징
132 :사양액홀
133 : 사양수홀
134 :확인창
136 : 하단부의 홀
137 : 통로
140 : 리프트장치
141 : 모터
142 : 회전축
143 : 지지부재
144 : 제 1 기어
145 : 제 2 기어
146 :승하강롤러
147 : 마이크로 스위치
148 : 접지부재
150 : 소문
151 : 케이스
152 : 이송기어
153 : 이송부재
154 :환기구
155 :환기조절계
156 : 히터
157 :벌출입구
158 :차양막
159 :고정핀
160 :말벌포획기
161 :회전바
162 : 회전부재
171a :자석부착부
171b :밀납고정핀 삽입부
171c :밀납고정부
171d :초소광고정핀 삽입부
172 :소초광
173 :착륙판
180 :온도조절부
190 : 사양밸브
200 :밀납추출기
201 :퇴수구
202 :이물질잔류부
203 :온도조절부

Claims (14)

  1. 단상벌통;
    상기 단상벌통의 상부에 적층되는 계상벌통; 및
    상기 단상벌통의 하부에 위치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계상벌통을 승하강시키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장치는 볼트와 너트식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장치는,
    한 쌍의 모터;
    상기 한 쌍의 모터와 연결되고 상호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상에 장착되어 상기 단상벌통의 마주보는 양측부에 배치되는 두 쌍의 제 1 기어;
    상기 회전축 상에서 상기 두 쌍의 제 1 기어 중 어느 하나의 제 1 기어 각각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두 쌍의 제 1 기어와 체결되어 회전하는 두 쌍의 제 2 기어; 및
    상기 두 쌍의 제 2 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승하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모터는 상기 단상벌통과 상기 계상벌통이 인접한 부분에 위치한 상기 한 쌍의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두 쌍의 제 1 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 승하강롤러는 회전하는 상기 두 쌍의 제 1 기어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두 쌍의 제 2 기어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계상벌통을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장치는,
    상기 승하강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되, 승하강롤러가 승하강 가능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 및
    상기 승하강롤러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와 접하는 접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롤러가 회전하면서 승강 또는 하강할 시 상기 한 쌍의 마이크로 스위치 중 어느 하나의 마이크로 스위치와 접하게 됨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에서 인가된 접지신호가 상기 모터로 인가되어 상기 모터의 동작이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은, 상기 접지신호를 인가한 후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사양액인 설탕물이 주입되는 사양액홀;
    상기 사양액홀의 하부에 형성되어 사양수가 주입되는 사양수홀; 및
    상기 사양액홀의 하부 및 상기 사양액홀과 상기 사양수홀의 사이에 배치되는 투과성 재질의 확인창;
    을 포함하는 사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상벌통은,
    양측이 개방된 제 1 측벽부;
    상기 제 1 측벽부의 개방된 양측 중 일측에 위치하여 제 1 측벽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제 1 측벽부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날개;
    상기 제 1 측벽부의 상측부 일면에 위치하는 개포고정장치;
    상기 개포고정장치가 위치하는 일면과 인접한 양면에 장착되는 손잡이; 및
    상기 제 1 측벽부의 내측 양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볼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계상벌통은,
    양측이 개방된 제 2 측벽부;
    상기 제 2 측벽부의 개방된 양측 중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측벽부를 지지하는 승하강 지지부재; 및
    상기 제 2 측벽부의 외측 양면에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볼레일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은,
    상기 단상벌통의 내부에 위치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위치하는 이송기어;
    상기 이송기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이송기어와 체결되는 이송부재;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어 통풍이 가능한 환기구;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 순환을 조절하는 환기조절계; 및
    상기 환기구와 인접한 히터;
    를 포함하는 소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은,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 상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ㄱ'자 형상의 회전부재;
    를 포함하는 말벌포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은,
    상기 단상벌통과 상기 계상벌통에 삽입되는 다수의 소초광; 및
    상기 받침대의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한 착륙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은, 상기 제 1 측벽부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단상벌통과 상기 계상벌통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은, 상기 하우징의하면에 관통형성된 홀과 연통함에 따라 상기 사양액과 상기 사양수의 양을 조절하는 사양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KR1020150147964A 2015-10-23 2015-10-23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KR20170047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964A KR20170047625A (ko) 2015-10-23 2015-10-23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964A KR20170047625A (ko) 2015-10-23 2015-10-23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625A true KR20170047625A (ko) 2017-05-08

Family

ID=6016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964A KR20170047625A (ko) 2015-10-23 2015-10-23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76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43897A (zh) * 2017-11-20 2018-03-02 重庆市春皇中华蜜蜂养殖专业合作社 可摇蜜蜂箱及蜜蜂养殖设备
CN111631170A (zh) * 2020-07-23 2020-09-08 叶建蓉 一种可有效抗风的蜂箱
KR20220138989A (ko) * 2021-04-07 2022-10-14 김성초 양봉관리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43897A (zh) * 2017-11-20 2018-03-02 重庆市春皇中华蜜蜂养殖专业合作社 可摇蜜蜂箱及蜜蜂养殖设备
CN111631170A (zh) * 2020-07-23 2020-09-08 叶建蓉 一种可有效抗风的蜂箱
KR20220138989A (ko) * 2021-04-07 2022-10-14 김성초 양봉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7625A (ko)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벌통
CN107372208B (zh) 蜂蜜收集器
KR101738672B1 (ko) 토·양봉겸용 벌통
JP2022519578A (ja) 自動蜂掃い装置
CN110036946B (zh) 一种巢脾蜜盖切割机
CN113273442A (zh) 一种具有旋转功能的食用菌培育用受热装置
CN114766438B (zh) 一种前裂长管茧蜂的释放装置及应用方法
CN107455345B (zh) 规模化养殖桑蚕的装置
CN209732296U (zh) 一种采蜜系统
CN107047370B (zh) 一种雏鸡饲育系统
CN106577353A (zh) 一种用于散养方式的活动鸡舍
CN107667990B (zh) 自动收集蚕茧的桑蚕养殖装置
KR200487626Y1 (ko) 양봉용 자동사양기
CN212306513U (zh) 一种能够有效避免蜂蜇的蜜蜂养殖箱
CN213486340U (zh) 一种幼羊饲养喂料架
CN212164420U (zh) 一种蔬菜生长物理防护装置
CN212644333U (zh) 一种蝴蝶兰大棚用自动补光装置
CN111615920A (zh) 一种蔬菜收割设备
CN220936274U (zh) 一种蜜蜂箱放置架
CN112042601B (zh) 一种人工诱导胡蜂除虫的装置及方法
CN111406678A (zh) 一种拆分式蜂箱
CN218977715U (zh) 一种绿鳍马面鲀养殖用的网箱
CN110679888A (zh) 一种蜂蜜加热装置
CN215123294U (zh) 一种新型实用养蜂箱
KR20200114270A (ko) 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