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079B1 -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및 고정 방법 - Google Patents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및 고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079B1
KR102302079B1 KR1020190154291A KR20190154291A KR102302079B1 KR 102302079 B1 KR102302079 B1 KR 102302079B1 KR 1020190154291 A KR1020190154291 A KR 1020190154291A KR 20190154291 A KR20190154291 A KR 20190154291A KR 102302079 B1 KR102302079 B1 KR 102302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older
plate
fix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5494A (ko
Inventor
박범진
정세영
신승환
조용혁
홍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주식회사 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54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079B1/ko
Publication of KR20210065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494A/ko
Priority to KR1020210094818A priority patent/KR102322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심선을 통해 오일이 유입되지 않는 기밀구조를 가지며, 구성부품 수가 줄어들고 사이즈가 작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패키지 구성 시 사이즈 경쟁력 및 원가 경쟁력이 향상된 솔더용 터미널의 고정 구조 및 고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압착되며, 일측에 솔더용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터미널; 및 일면에서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도록 고정부가 함몰형성되는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솔더용 홀이 형성되며, 상기 솔더용 돌기와 상기 솔더용 홀은 상기 터미널이 상기 플레이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솔더용 돌기가 상기 솔더용 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와
터미널을 와이어 단부에 압착하는 단계; 상기 터미널의 솔더용 돌기가 상기 플레이트의 이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터미널을 플레이트에 삽입하여 상기 터미널과 상기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솔더용 돌기를 회로기판과 솔더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용 터미널 고정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및 고정 방법 {Fixing structure and fixing method of terminal for solder}
본 발명은 자동차 전장품 등에서 복수의 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솔더용 터미널의 고정 구조 및 고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란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자부품으로, 커넥터에 케이블을 접속하는 것과 PCB(인쇄기판)에 직접 삽입하는 것 등 모양과 연결 방법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도 1은 종래 wire to PCB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메일측 커넥터를 이중사출 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각 구성을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Ⅳ-Ⅳ'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wire to PCB 커넥터는 도 1과 같이 메일측 커넥터(1)가 PCB 타입으로 형성되고, 피메일측 커넥터(2)에 와이어가 연결되어, 두 커넥터를 결합하도록 되어있다.
메일측 커넥터는 도 2와 같이 기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커넥터 프리몰드(도 2 (a)) 후 오버몰드(도 2(b))하는 이중사출 구조가 적용되며, 씰(seal) 구조물을 사용하고 있다. 씰 구조물은 도 3과 같이 메일측 커넥터(1)와 피메일측 커넥터(2)가 결합된 상태에서 양 커넥터 간 기밀구조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본 커넥터는 일 예로서 변속기용 전장모듈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메일측 커넥터(1)가 오일에 침적이 되면 도 3의 (c) 및 도 4와 같이 오일이 터미널을 타고 넘어와 와이어(3)의 심선(4)을 통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씰 구조물이 커넥터 간 기밀구조를 유지할 뿐, 커넥터 외측의 오일이 유입되는 것을 막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PCB 타입 메일측 커넥터(1)와 피메일측 커넥터(2)의 조립 및 접점 구조로 인해 구조가 복잡하고 탭 터미널(tab terminal) 및 피메일 터미널(female terminal) 등을 필요로 하여, 구성품 필요에 따른 부품 수 및 사이즈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심선을 통해 오일이 유입되지 않는 기밀구조를 가지며, 구성부품 수가 줄어들고 사이즈가 작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패키지 구성 시 사이즈 경쟁력 및 원가 경쟁력이 향상된 솔더용 터미널의 고정 구조 및 고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압착되며, 일측에 솔더용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터미널; 및 일면에서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도록 고정부가 함몰형성되는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솔더용 홀이 형성되며, 상기 솔더용 돌기와 상기 솔더용 홀은 상기 터미널이 상기 플레이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솔더용 돌기가 상기 솔더용 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터미널이 덮이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커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터미널이 상기 플레이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및 상기 플레이트 일면에 도포되는 수지재의 실런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압착되어 결합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솔더용 돌기가 형성되는 솔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런트는 상기 압착부 상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솔더부가 삽입되는 솔더부 고정홈 및 상기 압착부가 삽입되는 압착부 고정홈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솔더부 고정홈 및 압착부 고정홈 사이 또는 상기 솔더부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넘침방지용 턱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터미널의 솔더부 및 압착부 사이 또는 상기 솔더부에는, 상기 넘침방지용 턱이 삽입될 수 있는 넘침방지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은, 상기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경우 삽입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삽입 완료 시 원형으로 복원되는 란스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란스가 복원된 위치에서 상기 란스의 단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이탈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은, 상기 고정부에 삽입시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로부터 상기 터미널의 삽입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누름부의 반대편에 상기 솔더용 돌기가 형성되는 삽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가 함몰형성되는 깊이는, 상기 터미널이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누름부가 상기 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부의 연장길이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또는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커버결합부가 돌출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커버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결합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복수의 상기 커버결합부 및 결합홀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고정부가 복수 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고정부의 방향이 서로 상이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터미널을 와이어 단부에 압착하는 단계; 상기 터미널의 솔더용 돌기가 상기 플레이트의 이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터미널을 플레이트에 삽입하여 상기 터미널과 상기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솔더용 돌기를 회로기판과 솔더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용 터미널 고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터미널과 상기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터미널을 덮는 커버를 조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터미널과 상기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플레이트 일면의 상기 터미널 상에 실런트를 도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메일측 커넥터를 이중사출하고 피메일측 커넥터와 연결하였던 방식에 비하여, 구성부품이 간소화되어 비용이 절감되며, 패키지 사이즈가 축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런트를 적용함으로써, 오일 침적시에도 와이어 내부의 심선을 통해 오일이 유입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실런트가 와이어 압착부에만 도포되도록 실런트 넘침방지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실런트가 필요 부분에만 적절히 도포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이 플레이트에 삽입후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발명의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더불어, 터미널이 플레이트에 불완전 체결된 경우, 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체결 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wire to PCB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메일측 커넥터를 이중사출 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각 구성을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Ⅳ-Ⅳ'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와이어링하네스의 평면도,
도 8은 도 6에서 와이어 단부에 체결되는 솔더용 터미널의 사시도,
도 9는 도 6에서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0은 도 6에서 커버의 평면도,
도 11은 도 9에서 ⅩⅠ의 확대 사시도,
도 12는 도 9에서 ⅩⅡ의 확대 평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ⅩⅢ-ⅩⅢ' 단면도,
도 14는 하나의 고정부에 하나의 솔더용 터미널이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서 ⅩⅤ-ⅩⅤ'의 단면도,
도 16은 도 14에서 ⅩⅤⅠ-ⅩⅤⅠ'의 단면도,
도 17은 도 14에서 솔더용 터미널이 불완전 삽입된 상태의 일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 솔더용 터미널 고정 방법의 순서도,
도 19는 본 발명 솔더용 터미널 고정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와이어링하네스의 평면도, 도 8은 도 6에서 와이어 단부에 체결되는 솔더용 터미널의 사시도, 도 9는 도 6에서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0은 도 6에서 커버의 평면도, 도 11은 도 9에서 ⅩⅠ의 확대 사시도, 도 12는 도 9에서 ⅩⅡ의 확대 평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ⅩⅢ-ⅩⅢ' 단면도, 도 14는 하나의 고정부에 하나의 솔더용 터미널이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서 ⅩⅤ-ⅩⅤ'의 단면도, 도 16은 도 14에서 ⅩⅤⅠ-ⅩⅤⅠ'의 단면도, 도 17은 도 14에서 솔더용 터미널이 불완전 삽입된 상태의 일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솔더용 터미널(200) 고정 구조는, 와이어링하네스를 구성하는 와이어(100)와, 와이어(100) 단부에 압착되는 터미널(200)과, 터미널(200)이 고정되는 플레이트(300), 터미널(200)이 플레이트(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40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은 둘 이상의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 다른 회로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링하네스(110), 제2와이어링하네스(120)를 포함한다. 각 와이어링하네스는 도체와 절연체로 구성되는 와이어(100) 다발로 볼 수 있으며, 제1와이어링하네스(110) 및 제2와이어링하네스(120)의 단부가 연결됨으로써 두 회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터미널(200)은 와이어(100) 단부에 압착됨으로써 결합된다. 터미널(200)의 와이어(100) 단부를 일부 감싸며 압착되는 압착부(220)와, 다른 회로와 연결되기 위한 솔더부(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압착부(220)는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압착단자의 압착되는 부분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솔더부(210)는 본 발명의 터미널(200)이 솔더링(610)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압착부(220)로부터 연장형성된다. 솔더부(210)는 몸체를 이루며 플레이트(300)에 깊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부(211)와, 작업자가 터미널(200)을 눌러서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부(211)와 수직하는 면에 형성되는 누름부(212)와, 실제로 솔더링(610)을 하기 위해 돌출형성되는 솔더용 돌기(2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솔더용 돌기(213)가 플레이트(300)로부터 돌출되도록 터미널(200)과 플레이트(300)가 조립될 수 있으며, 솔더용 돌기(213)는 누름부(212)가 형성되는 반대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터미널(200)이 플레이트(300)에 삽입된 이후에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란스 구조(214)가 형성될 수 있다. 란스 구조(214)는 삽입부(211)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U 또는 ㄷ 자 형상의 슬릿(216)을 삽입부(211)에 관통형성하고, 슬릿(216)의 내측 부분을 삽입부(211)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휘는 방식으로 란스(215)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란스(215)는 터미널(200)의 삽입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이탈방지구조(314)에 란스(215)가 복원되면서 걸리도록 구성함으로써 터미널(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터미널(200)의 솔더부(210)와 압착부(220) 사이에는 넘침방지용 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넘침방지용 홈(230)은 삽입부(211)에 형성될 수 있다. 넘침방지용 홈(230)은 후술하는 넘침방지용 턱(312)과 조립되는 부분으로써, 실런트(500)가 솔더용 돌기(213) 측으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플레이트(300)는 터미널(200)이 삽입,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플레이트(300) 형상의 본체(330)와, 상기 본체(330)로부터 함몰 또는 돌출형성되어 터미널(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부(310)와, 커버(400) 체결을 위한 커버결합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310)는 터미널(200) 및 와이어(100) 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솔더부(210)가 삽입되는 솔더부 고정홈(311)과, 압착부(220)와 와이어(100) 단부가 삽입되는 압착부 고정홈(313)이 함몰형성된다. 함몰형성되는 깊이는 터미널(200)의 삽입되는 방향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터미널(200) 불완전 체결 시 터미널(200)이 플레이트(3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6을 참조하면 고정부(310)의 함몰 깊이와 삽입부(211)의 길이가 모두 H 로 형성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표시하였다.
솔더부 고정홈(311)에는 플레이트(300)를 관통하도록 솔더용 홀(316)이 형성되며, 솔더용 홀(316)에 상술한 솔더용 돌기(213)가 통과되도록 터미널(200)과 플레이트(300)가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솔더부(210) 내측에는 이탈방지구조(3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구조(314)는 터미널(200) 체결 후 상술한 란스(215)가 걸릴 수 있도록 이탈방지턱(315)을 제공하는 구조이다. 터미널(200)을 플레이트(300)에 삽입 시, 란스(215)는 이탈방지턱(315)을 타고 넘어오면서 삽입부(211) 측으로 탄성변형되며, 삽입 완료 후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이탈방지턱(315)에 의해 걸리도록 형성된다.
또한 솔더부 고정홈(311)의 내측 또는 솔더부 고정홈(311) 및 압착부 고정홈(313)의 사이 부분에는 상술한 넘침방지용 홈(230)에 대응되는 형상의 넘침방지용 턱(312)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런트(500)는 압착부 고정홈(313)에 주로 도포되지만, 과도하게 실런트(500)가 도포되는 경우에도, 넘침방지용 턱(312)에 의하여 실런트(500)가 솔더용 돌기(213) 측으로 침범되지 않게 된다.
나아가 고정부(310)는 플레이트(300) 상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일열로 여러개가 병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면과 같이 복수의 열로 그룹을 지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복수의 열로 그룹을 짓는 경우, 각 그룹의 고정부(310) 방향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이 각 와이어링하네스를 고정함에 있어 작업이 유리하며, 고정부(310)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솔더링(610) 공정상 유리하다.
나아가 플레이트(300)에는 커버(400)와 조립되기 위한 커버결합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결합부(320)는 도면과 같이 고정부(3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측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400)가 결합되는 방향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은 커버(400)를 플레이트(300)에 조립될 때 다소 어긋난 위치에서 조립되더라도 커버(400)가 경사면을 따라 정 위치에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실런트(500)는 터미널(200)이 플레이트(300)에 고정될 수 있게 잡아주며, 와이어(100) 단부를 실링함으로써, 와이어(100) 심선을 통해 오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지재이다. 따라서 플레이트(300) 상의 고정부(310)에 도포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압착부 고정홈(313)이 형성된 부분에 도포될 수 있다. 나아가 실런트는 오일 유입을 방지하는 부분이므로, 오일에 침적되는 부분에만 도포될 수도 있다. 이를 도 6 A로 표시하였다. 실런트(500)는 액체 상태로 도포되어 압착부 고정홈(313)과 터미널(200) 사이에 채워질 수 있으며, 경화된 후 씰링 및 터미널(200) 고정 기능을 할 수 있다.
커버(400)는 플레이트(300)에 조립되는 것으로써, 터미널(200)을 보호하고 터미널(200)과 도포된 실런트(5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터미널(200)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커버(400)는 편평한 형상의 커버면(410), 커버면(410) 외곽 둘레에서 커버면(41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4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면(410)에는 형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가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420)에는 상술한 커버결합부(320)에 끼워지도록 결합홀(430)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커버(400)는 일반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사출품인바, 결합홀(430)에 커버결합부(320)가 끼워지는 동안 커버(400)는 다소 탄성변형되며, 끼워진 후에는 복원되어 커버(400)가 플레이트(30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300)에 커버결합부(320)가 돌출형성되고, 커버(400)에 결합홀(430)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커버(400)에 커버결합부(320)가 돌출형성되고, 플레이트(300)에 커버결합부(320)가 수용될 수 있는 홈이나 홀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커버결합부(320)가 플레이트(300)를 향하는 방향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플레이트(300) 이면에 돌출된 솔더용 돌기(213)에 PCB 등 회로기판(600)을 솔더링(610)함으로써, 2이상의 회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회로기판(600)은 복수 그룹의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솔더용 터미널(200) 고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솔더용 터미널(200) 고정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18은 본 발명 솔더용 터미널(200) 고정 방법의 순서도, 도 19는 본 발명 솔더용 터미널(200) 고정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터미널(200)의 압착부(220)를 와이어(100) 단부에 압착하는 단계(도 18(a), S1), 터미널(200)의 솔더용 돌기(213)가 플레이트(300)의 이면으로 돌출되도록 터미널(200)을 플레이트(300)에 삽입하여 터미널(200)과 플레이트(300)를 조립하는 단계(도 18(b), S2), 플레이트(300) 일면의 터미널(200) 상에 실런트(500)를 도포하는 단계(도 18(c), S3), 플레이트(300)에 터미널(200)을 덮는 커버(400)를 조립하는 단계(도 18(d), S4), 실런트(500)를 약 2주간 자연 경화시키는 단계(S5), 플레이트(300)의 이면에 돌출된 솔더용 돌기(213)를 회로기판(600)에 솔더링(610)하는 단계(도 18(e), S6)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200)과 플레이트(300)를 조립하는 단계에서 터미널(200)의 누름부(212)가 플레이트(300)로부터 돌출되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터미널(200)의 완전 조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런트(500)를 도포하는 단계에서, 실런트는 터미널(200)의 압착부(220) 부분만을 씰링하도록 도포되는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커버(400) 조립 시, 실런트(500)가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립하는 것이 터미널(500) 고정 및 조립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솔더링(610)하는 단계에서 회로기판(600)은 PCB, FP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구성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구성을 일부 조합하여 도출될 수 있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와이어 110 : 제1와이어링하네스
120 : 제2와이어링하네스 200 : 터미널
210 : 솔더부 211 : 삽입부
212 : 누름부 213 : 솔더용 돌기
214 : 란스 구조 215 : 란스
216 : 슬릿 220 : 압착부
230 : 넘침방지용 홈 300 : 플레이트
310 : 고정부 311 : 솔더부 고정홈
312 : 넘침방지용 턱 313 : 압착부 고정홈
314 : 이탈 방지 구조 315 : 이탈방지턱
316 : 솔더용 홀 320 : 커버결합부
330 : 본체 400 : 커버
410 : 커버면 420 : 측면
430 : 결합홀 500 : 실런트
600 : 회로기판 610 : 솔더링

Claims (12)

  1.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압착되며, 일측에 솔더용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터미널; 및
    일면에서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도록 고정부가 함몰형성되는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솔더용 홀이 형성되며,
    상기 솔더용 돌기와 상기 솔더용 홀은 상기 터미널이 상기 플레이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솔더용 돌기가 상기 솔더용 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이 상기 플레이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및 상기 플레이트 일면에 도포되는 수지재의 실런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이 덮이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커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압착되어 결합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솔더용 돌기가 형성되는 솔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런트는 상기 압착부 상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솔더부가 삽입되는 솔더부 고정홈 및 상기 압착부가 삽입되는 압착부 고정홈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솔더부 고정홈 및 압착부 고정홈 사이 또는 상기 솔더부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넘침방지용 턱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터미널의 솔더부 및 압착부 사이 또는 상기 솔더부에는, 상기 넘침방지용 턱이 삽입될 수 있는 넘침방지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경우 삽입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삽입 완료 시 원형으로 복원되는 란스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란스가 복원된 위치에서 상기 란스의 단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이탈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고정부에 삽입시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로부터 상기 터미널의 삽입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누름부의 반대편에 상기 솔더용 돌기가 형성되는 삽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가 함몰형성되는 깊이는, 상기 터미널이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누름부가 상기 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부의 연장길이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또는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커버결합부가 돌출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커버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결합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복수의 상기 커버결합부 및 결합홀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고정부가 복수 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고정부의 방향이 서로 상이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10. 터미널을 와이어 단부에 압착하는 단계;
    상기 터미널의 솔더용 돌기가 플레이트의 이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터미널을 플레이트에 삽입하여 상기 터미널과 상기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솔더용 돌기를 회로기판과 솔더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과 상기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플레이트 일면의 상기 터미널 상에 실런트를 도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용 터미널 고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과 상기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터미널을 덮는 커버를 조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용 터미널 고정 방법.
  12. 삭제
KR1020190154291A 2019-11-27 2019-11-27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및 고정 방법 KR102302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291A KR102302079B1 (ko) 2019-11-27 2019-11-27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및 고정 방법
KR1020210094818A KR102322494B1 (ko) 2019-11-27 2021-07-20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291A KR102302079B1 (ko) 2019-11-27 2019-11-27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및 고정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818A Division KR102322494B1 (ko) 2019-11-27 2021-07-20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494A KR20210065494A (ko) 2021-06-04
KR102302079B1 true KR102302079B1 (ko) 2021-09-13

Family

ID=763916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291A KR102302079B1 (ko) 2019-11-27 2019-11-27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및 고정 방법
KR1020210094818A KR102322494B1 (ko) 2019-11-27 2021-07-20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818A KR102322494B1 (ko) 2019-11-27 2021-07-20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20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6568A (ja) 2005-04-05 2006-10-19 Molex Inc 電子部品接続用コネクタ
KR101028638B1 (ko) 2009-10-14 2011-04-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구동모터용 레졸버
JP2016152214A (ja) * 2015-02-19 2016-08-22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直差し電線およびそれを用いた基板直差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742A (ja) * 1991-08-30 1993-03-12 Fujikura Ltd 基板用接続コネクタ
KR20140003605U (ko) * 2012-12-05 2014-06-13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피씨비 삽입고정용 전선접속단자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6568A (ja) 2005-04-05 2006-10-19 Molex Inc 電子部品接続用コネクタ
KR101028638B1 (ko) 2009-10-14 2011-04-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구동모터용 레졸버
JP2016152214A (ja) * 2015-02-19 2016-08-22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直差し電線およびそれを用いた基板直差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494B1 (ko) 2021-11-04
KR20210093220A (ko) 2021-07-27
KR20210065494A (ko)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689B1 (ko) 커넥터 하우징의 방수구조
US5590463A (en) Circuit board connectors
JP6741040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US9368906B2 (en) Electric terminal
EP1992048B1 (en) Connector cover with fastener
KR102647718B1 (ko) 콘택 캐리어, 전기 콘택 유닛 및 기성품 케이블을 생성하는 방법
KR101984729B1 (ko) 이중사출구조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케이블 커넥터
KR101550994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JP2830529B2 (ja) 可撓性平型導体ケーブルの接続コネクタ
US5421741A (e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US7892020B2 (en) Electric wire connection structure having a mold unit hole
US20070111566A1 (en) Elastomeric connector assembly
US20020125651A1 (en) Liquid-blocking connector
JP6968415B2 (ja) コネクタ
KR20160101520A (ko) 리셉터클 커넥터
US6483035B2 (en) Protecting configuration for flat cables
CN112787153B (zh) 连接器组件和连接器对
KR102302079B1 (ko) 솔더용 터미널 고정 구조 및 고정 방법
KR102237411B1 (ko) 무본딩 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및 케이블 접속구조
DE102016222639B4 (de) Elektronikeinheit
KR20180054117A (ko) 커넥터 어셈블리
CN108365361B (zh) 连接器
JP7388977B2 (ja)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ペア
JP4218852B2 (ja) 回路ユニット
US20100032183A1 (en) Compliant pin strip with integrated dam b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