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026B1 -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026B1
KR102302026B1 KR1020170087251A KR20170087251A KR102302026B1 KR 102302026 B1 KR102302026 B1 KR 102302026B1 KR 1020170087251 A KR1020170087251 A KR 1020170087251A KR 20170087251 A KR20170087251 A KR 20170087251A KR 102302026 B1 KR102302026 B1 KR 102302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nufacturing
roof greening
rust
forming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356A (ko
Inventor
송인관
Original Assignee
송인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관 filed Critical 송인관
Priority to KR1020170087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0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23Vinyl res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0/00Agriculture-related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VC수지로 형성된 상, 하부시트와 특수 처리된 섬유보강재를 합지시켜 방수 및 방근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및 그 제조방법은, 용융된 PVC(Polyvinyl chloride)수지에 수축저감재를 혼합하여 압출성형기를 통해 일정한 두께로 용융 압출하는 상부시트 형성단계; 용융된 PVC수지에 몬모릴로나이트, 일라이트를 혼합하여 압출성형기를 통해 일정한 두께로 용융 압출하는 하부시트 형성단계; 200~300메쉬의 입자 크기로 분말화된 지르코늄과 무기질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된 혼합물을 폴리비닐알코올(PVA) 섬유의 표면에 도포한 후 고온의 온도로 열처리하는 섬유보강재 형성단계; 및 상기 섬유보강재를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일체화되게 적층시켜 부착시키는 섬유보강재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및 그 제조방법{Root-proof sheet for rooftop green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VC수지로 형성된 상, 하부시트와 특수 처리된 섬유보강재를 합지시켜 방수 및 방근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옥상 등에는 강우 등으로 인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방수공사가 이루어지며, 주로 몰탈 액체방수, 수용성 또는 유용성의 도막 방수, 아스팔트 방수 및 방수시트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은 신축성이 우수한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고무화 아스팔트 등을 주원료로 하여 일정 규격의 방수시트를 제작하여 바닥면에 견고하게 밀착시켜 부착하게 된다.
이러한 방수시트는 시트 형상의 방수재를 방수공사를 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설치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공법으로서, 시공이 비교적 간편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경우에는 시트의 겹침 부위를 토치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가열 용융시켜 열융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고,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 방수시트의 경우에는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접착하거나 용제를 사용하여 용착 한다든지(폴리염화비닐(PVC) 시트) 혹은 열풍 융착기를 사용하여 열풍 융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폴리염화비닐 시트, 폴리올레핀 시트 등)
이러한 기술의 일예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484093호의 PVC시트와 접착제를 이용한 일체형 방수 방근 칼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PVC시트와 접착제를 이용한 일체형 방수 방근 칼라시트는 옥상의 방수 기능과 방근 기능이 동시에 있는 방수 방근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방수 방근 시트는 최상층부에 형성되어 자외선을 차단하여 하부층을 보호하며, 변화가 심한 기후에 견디는 내후성과 1차 방수 방근 기능을 가지고, 각종 컬러를 띄는 자외선차단 코팅층; 상기 자외선차단 코팅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2차 방수 방근 기능을 하는 1차 염화비닐층; 상기 1차 염화비늘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3차 방수 방근 기능을 하는 2차 염화비닐층; 상기 1차 염화비닐층과 2차 염화비닐층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1차 염화비닐층과 2차 염화비닐층의 상호 결합 시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며 메쉬 형태로 된 폴리에스터층; 최종 방수 방근 기능을 하고, 상기 방수 방근 시트를 콘크리트층이나 기타 재질의 층에 접합하기 위해 상기 2차 염화비닐층의 하부에 형성되며, 포설 시 겹치는 부분인 이음부를 제외하고 형성되는 접착제층; 및 보관 및 이동을 위해 상기 접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접착제층의 하부에 층을 이루며 이형필름으로 된 이형필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은 전면접착형으로 콘크리트 바탕면의 레이턴스(laitance)가 제거되어야 시트층을 시공할 수 있는 자재로서, 신설된 건축물의 경우에는 사용성이 우수하지만 기존 방수층위에 시공할 시에는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 있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방수시트의 표면은 수축, 건조, 팽창작용이 수회 반복되고, 옥외에 설치되는 방수시트 경우 자외선 노출에 의해 경화현상이 발생되어 미세한 표면 크랙이 발생하고, 이러한 크랙 발생의 정도에 따라 인장 및 인열강도를 현저히 저하시키며, 특히 옥외용인 방근시트의 내구성을 현저히 떨어뜨리고 식물 생장이나 병충해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비료나 소독제 등으로 인해 내식성 및 내약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484093 B1 (2015. 01. 13.)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PVC수지로 형성된 상, 하부시트와 특수 처리된 섬유보강재를 합지시켜 재료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를 강화하고, 방수 및 방근 성능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식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시비, 방제 등에도 잘 견딜 수 있는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및 그 제조방법은, 용융된 PVC(Polyvinyl chloride)수지에 수축저감재를 혼합하여 압출성형기를 통해 일정한 두께로 용융 압출하는 상부시트 형성단계; 용융된 PVC수지에 몬모릴로나이트, 일라이트를 혼합하여 압출성형기를 통해 일정한 두께로 용융 압출하는 하부시트 형성단계; 200~300메쉬의 입자 크기로 분말화된 지르코늄과 무기질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된 혼합물을 폴리비닐알코올(PVA) 섬유의 표면에 도포한 후 고온의 온도로 열처리하는 섬유보강재 형성단계; 및 상기 섬유보강재를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일체화되게 적층시켜 부착시키는 섬유보강재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축저감재는 상기 PVC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0.1~1 중량부, 운모 0.05~0.1 중량부, 실리카분말 0.1~0.5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시트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몬모릴로나이트 및 일라이트를 각각 분쇄기에 투입하여 3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한 다음 500~600℃에서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VA) 섬유는 진공상태에서 130~150℃의 온도에서 3~6분간 가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및 그 제조방법은 옥상 녹화에 대한 방수 및 방근 성능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식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시비, 방제 등에도 잘 견딜 수 있으므로 옥상 녹화층 하부구조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의 내구성 시험에 사용된 인장시험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의 방근성 시험에 사용된 시험체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제조방법은 상부시트 형성단계(S100), 하부시트 형성단계(S200), 섬유보강재 형성단계(S300) 및 섬유보강재 부착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시트 형성단계(S200)에서는 용융된 PVC(Polyvinyl chloride)수지에 수축저감재를 혼합하여 압출성형기를 통해 일정한 두께로 용융 압출시킨다.
이때, 상기 PVC수지를 150~200℃에서 일정 시간동안 가열시켜 용융시키며, 이때 가열 온도가 150℃ 미만이면 압출 성형 시 방근시트의 탄성이 낮고, 200℃를 초과하면 성형된 방근시트의 물성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압출성형기를 통해 용융 압출되는 상부시트의 두께는 0.5~1m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축저감재는 상기 PVC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0.1~1 중량부, 운모 0.05~0.1 중량부, 실리카분말 0.1~0.5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는 수화반응성을 증가시키고 균열 억제를 위해 첨가하는 무기계 속경성 광물 재료로서, 수지와 혼합할 때 단시간 내에 우수한 압축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의 중량비가 증가하면 빠른 경화특성을 나타내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강도 및 균열 발생 억제 효과가 미미하고, 1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빠른 경화 특성으로 인해 과팽창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운모는 층상 구조형의 규산염 광물로서, 그 결정구조는 대체로 단사정계에 속하나 육방정계 또는 사방정계에 속하는 것도 있다. 또한, 운모의 비중은 종류에 따라 또는 동일 종류에 있어서도 각 성분의 함량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2.5 내지 3.3 정도이고, 경도는 1.5 내지 3.0 정도이다.
이러한 운모는 우수한 전기적 절연성과 내열성, 방수성, 내부식성, 탄성 및 높은 박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운모는 함량이 0.05 중량부 미만이면 건조 수축의 방지 효과가 미미하고, 0.1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사용량 대비 물성의 변화가 작아 효율적이지 않다.
상기 실리카분말은 규소의 산화물로서, 무색 투명한 고체이고 평균입경 0.1 내지 10㎛의 다공성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분말은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반응성이 낮아 강도 발현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0.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강도가 낮게 발현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상부시트 형성단계(S100)에서는 상기 수축저감재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PVC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금속 산화물 입자인 무공질 실리카를 포함한 차열도막 방수제 1~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열도막 방수제는 온도 상승의 주원인이 되는 태양광 근적외선 영역의 빛에 대한 높은 반사율로 표면온도의 상승을 막아주는 한편, 도막 내에 중공구체(hollow spheres)를 적용하여 물체로의 열전도를 방해함으로써 근본적으로 열 축적을 차단 및 완화시켜 준다.
상기 차열도막 방수제는 ㈜두온에너지원에서 판매하고 있는 "어드그린코트" 라는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무공질 구 형상 금속 산화물 입자(0.5㎛ 이하의 초미립자 실리카 입자)에 루타일이산화티탄, 탄산칼슘 및 아크릴 실리콘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미세한 실리카 입자에 의해 열의 흡수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하부시트 형성단계(S200)에서는 용융된 PVC수지에 몬모릴로나이트, 일라이트를 혼합하여 압출성형기를 통해 일정한 두께로 용융 압출시킨다.
상기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는 단사정계에 속하며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광물이다. 또한, 수분을 흡수하여 원래 부피의 7∼10배로 팽윤하는 성질이 있으며, 이온 교환성이 높다. 함수량 150%에서 점착력이 생기고 약 500%의 함수량에서 점착력을 잃으며, 내부 마찰저항이 작은 점 등 특수한 성질을 가진 점토이다.
상기 몬모릴로나이트는 상기 PVC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라이트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미세한 운모족 광물의 분말로서, 굳기는 1~2, 비중은 2.6~2.9, 조흔색은 백색이며, 암석 풍화에 의해 생성되고 주로 산(알루미늄이 풍부한 이질 또는 응회 암질 퇴적암 중에 산출되며, 열수성 광상모암의 변질광물로 산출)에서 채굴된다.
상기 일라이트는 상기 PVC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몬모릴로나이트 및 일라이트는 상기 PVC에 혼합되어 단열 성능을 발휘하는 한편 균열 발생을 억제하도록 유동성과 흡착성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하부시트 형성단계(S200)에서는 상기 몬모릴로나이트 및 일라이트를 각각 분쇄기에 투입하여 3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한 다음 500~600℃에서 가열시킨다.
상기 몬모릴로나이트 및 일라이트를 500~600℃로 가열하면 수배의 크기로 팽창하며, 상기 용융된 PVC수지와 배합하여 가압 성형하면 PVC수지에 의하여 입자들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강도를 증진시키게 된다.
상기 섬유보강재 형성단계(S300)에서는 200~300메쉬의 입자 크기로 분말화된 지르코늄과 무기질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된 혼합물을 폴리비닐알코올(PVA) 섬유의 표면에 도포한 후 고온의 온도로 열처리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섬유의 두께는 0.10~0.1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섬유는 OH-그룹을 가지는 친수성물질로서, 보통 물리적, 화학적으로 우수한 접착성을 가지고 있고, 인장강도가 900~1600MPa를 가지므로 인장력과 내알칼리성을 요구하는 보강재로 적합하다.
뿐만 아니라, 합성섬유 중에서 연소열이 가장 낮고 연소 시 발생되는 가스에는 유해가스가 전혀 없으므로 친환경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섬유는 진공상태에서 130~150℃의 온도에서 3~6분간 가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르코늄은 티탄족에 속하는 전이원소의 한 가지로서, 은백색의 금속원소로 공기 중에서는 산화피막을 생성하며, 고온에서 강도가 우수하여 경화 도막의 강도를 부여하고 도막의 내충격성을 보완할 수 있으며, 산, 알칼리에 대한 내식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르코늄은 자외선 등에 의해 방근시트 표면의 온도가 상승하여 산화 또는 노화현상이 가속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차단을 위해 첨가된다.
상기 무기질바인더는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등의 인산염계 화합물 또는 규산나트륨, 규산칼슘 등의 규산 알칼리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지르코늄과 무기질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된 혼합물을 폴리비닐알코올 섬유의 표면에 도포한 후 고온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성형된 섬유보강재는 방근시트의 방수 및 방근 성능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식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시비, 방제 등에도 잘 견디도록 한다.
상기 섬유보강재 부착단계(S400)에서는 상기 섬유보강재를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일체화되게 적층시켜 부착시킨다.
즉, 상기 섬유보강재 부착단계(S400)에서는 용융된 PVC수지로 이루어진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에 적합한 기능을 부여한 후 열간 압연을 통하여 하나의 방근시트로 제작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동일한 PVC수지로 이루어진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열간 압연에 의해 일체화된다 하더라도 PVC 재질 특성과 방근시트가 얇은 두께로 성형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각 층간의 결합력이 저감될 수도 있으며, 전체적으로 인열성능이 저감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섬유보강재가 게재되게 한 후 열간 압연시킴으로써,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섬유보강재가 함침되어 그 결합력을 보완하면서 전체적으로 인열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제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된 PVC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1 중량부, 운모 0.1 중량부, 실리카분말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축저감재를 혼합하여 압출성형기를 통해 두께가 0.5㎜인 용융 압출하는 상부시트(10)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다른 용융된 PVC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몬모릴로나이트 5 중량부와 일라이트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압출성형기를 통해 두께가 0.5㎜인 하부시트(20)를 형성하였다.
이후, 300메쉬의 입자 크기로 분말화된 지르코늄과 무기질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된 혼합물을 두께가 0.12㎜인 폴리비닐알코올 섬유의 표면에 도포한 후 고온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섬유보강재(30)를 형성한 다음, 상기 섬유보강재(30)를 상기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 사이에 일체화되게 적층시켜 부착시켜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인장강도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의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를 KS M 6518에서 규정하는 길이 방향으로 각각 절취하고, 도 4에 도시된 인장시험기에 고정하여 200㎜/min의 속도로 시험편이 파단될 때까지 인장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의 인장강도는 길이방향 15.5N/㎟, 신장률은 길이방향 530%로 KS F 4911의 품질기준인 인장강도 10N/㎟ 이상, 신장률 450% 이상을 모두 충족하였다.
[시험예 2] 인열강도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를 KS M 6518에서 규정하는 길이 방향으로 절취한 후, 표준 상태에서 1시간 이상 정치하고 인장시험기에 고정하여 200㎜/min의 속도로 시험편이 파단될 때까지 인장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의 인열강도는 길이방향 85N/㎜로 KS F 4911의 품질기준인 40N/㎜를 충족하였다.
[시험예 3] 방수성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를 ASTM D 5385에 따라 챔버 내부에 물을 채워 넣고 공기압력을 103kPa 간격으로 1시간동안 누수여부를 관찰하면서 최고 690kPa에서 1시간을 유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의 누수여부를 확인한 결과, 뒷면에 누수는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방수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험예 4] 방근성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의 방근성 시험을 실시하기에 앞서, 가장 효과적인 시험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 재질의 식생상자를 제작하고, 상기 식생상자의 내부에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를 접합하였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를 KS F 4938 시험방법에 따라 혼합식재(쌍떡잎식물인 피라칸타+외떡잎식물인 사사 조릿대) 후 6개월 단위로 12개월간 14~35℃의 온실 내에서 육안조사를 한 결과, 사사조릿대 식생의 뿌리의 활착에 대하여 방근시트 시험체의 일반부, 접합부, 코너부 등 뿌리에 대한 손상 및 파손 등이 없었으며, 이는 옥상녹화용 하부시스템에 적용을 하여도 식생의 뿌리에 대하여 방수층 보호 및 구조물의 안정성까지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상부시트
20 : 하부시트
30 : 섬유보강재

Claims (5)

  1. 용융된 PVC(Polyvinyl chloride)수지에 수축저감재를 혼합하여 압출성형기를 통해 일정한 두께로 용융 압출하는 상부시트 형성단계;
    용융된 PVC수지에 몬모릴로나이트, 일라이트를 혼합하여 압출성형기를 통해 일정한 두께로 용융 압출하는 하부시트 형성단계;
    200~300메쉬의 입자 크기로 분말화된 지르코늄과 무기질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된 혼합물을 폴리비닐알코올(PVA) 섬유의 표면에 도포한 후 고온의 온도로 열처리하는 섬유보강재 형성단계; 및
    상기 섬유보강재를 상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사이에 일체화되게 적층시켜 부착시키는 섬유보강재 부착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저감재는,
    상기 PVC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0.1~1 중량부, 운모 0.05~0.1 중량부, 실리카분말 0.1~0.5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몬모릴로나이트 및 일라이트를 각각 분쇄기에 투입하여 300메쉬의 크기로 분쇄한 다음 500~600℃에서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VA) 섬유는,
    진공상태에서 130~150℃의 온도에서 3~6분간 가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KR1020170087251A 2017-07-10 2017-07-10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302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251A KR102302026B1 (ko) 2017-07-10 2017-07-10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251A KR102302026B1 (ko) 2017-07-10 2017-07-10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356A KR20190006356A (ko) 2019-01-18
KR102302026B1 true KR102302026B1 (ko) 2021-09-13

Family

ID=6532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251A KR102302026B1 (ko) 2017-07-10 2017-07-10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0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8203B (zh) * 2022-01-17 2023-11-24 雨中情防水技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耐根穿刺pvc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564B1 (ko) * 2002-05-03 2005-10-31 주식회사 경동세라텍 내화 및 흡음용 피복 조성물
KR100659039B1 (ko) * 2006-02-28 2006-12-21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옥상방근용 방근시트, 이 방근시트와 엠보싱폴리비닐절연시트 및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재를부분절연하여 적층 구성한 복합 옥상 방수·방근층 구조와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15957B (en) * 1997-12-09 2000-12-21 Nippon Kayaku Kk Permeable water cut-off agent, water cut-off material, concrete or morta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venting water leaks
KR101041287B1 (ko) * 2009-02-23 2011-06-14 이헌구 폐자재를 이용한 친환경 방수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4093B1 (ko) 2014-05-27 2015-01-20 주식회사 경암이앤씨 Pvc시트와 접착제를 이용한 일체형 방수 방근칼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564B1 (ko) * 2002-05-03 2005-10-31 주식회사 경동세라텍 내화 및 흡음용 피복 조성물
KR100659039B1 (ko) * 2006-02-28 2006-12-21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옥상방근용 방근시트, 이 방근시트와 엠보싱폴리비닐절연시트 및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재를부분절연하여 적층 구성한 복합 옥상 방수·방근층 구조와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356A (ko) 2019-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521B1 (ko) 유리섬유 메쉬망을 이용한 바닥면 방수공법
DE202010009060U1 (de) Wärmedämmverbundwerkstoff
KR102050253B1 (ko) 라돈 차단용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시트방수재
HUE029490T2 (en) Insulating element for flat roof or flat dome roof, roofing system for flat roof or flat dome roof, and insulation process
KR101132816B1 (ko) 콘크리트 표면의 방수 및 차열공법
KR101812175B1 (ko) 방수 및 방근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근 공법
KR102302026B1 (ko) 옥상 녹화용 방근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902477B1 (ko) 아스팔트복합방수층의 시공방법
KR10152969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및 단열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및 단열공법
RU2642697C2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KR102280015B1 (ko) 친환경 수화반응경화 무기결합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하이브리드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KR101535351B1 (ko) 개질 폴리머를 이용한 유·무기 복합 방수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70658B1 (ko) 탄성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시공하기 위한 탄성복합방수공법
KR101923920B1 (ko) 미끄럼 방지용 지붕 방수시트
KR102214921B1 (ko) 방근 성능을 가진 폴리우레탄씰 조성물
KR101627580B1 (ko)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구조물 시공용 탄성봉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80985B1 (ko) 벽체용 도막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24805B1 (ko) 복합방수방근공법
KR101789015B1 (ko) 옥상 녹화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4682A (ko) 100% 냉공법이 가능한 아스팔트 방수시트, 도막형 프라이머, 아스팔트 실란트 및 벽체용 도막제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KR20180042604A (ko) 옥상 구조물의 복합 방수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KR101433129B1 (ko) 아스팔트 우레탄 방수 도막재와 혼합수지 보호시트를 포함하는 이중복합 노출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13524B1 (ko) 아스팔트 우레탄 방수 도막재와 혼합합성수지 보호시트를 포함하는 이중복합 노출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EP3594291A1 (e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coatings and thermoreflexive and thermo-insulating materials
CN206538957U (zh) 硅藻土防火保温板薄抹灰外墙保温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