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764B1 - 완충용 포장재 - Google Patents

완충용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764B1
KR102301764B1 KR1020210042559A KR20210042559A KR102301764B1 KR 102301764 B1 KR102301764 B1 KR 102301764B1 KR 1020210042559 A KR1020210042559 A KR 1020210042559A KR 20210042559 A KR20210042559 A KR 20210042559A KR 102301764 B1 KR102301764 B1 KR 102301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air
transverse
packaging material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준
Original Assignee
(주)이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엘에스 filed Critical (주)이엘에스
Priority to KR1020210042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8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D75/20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횡방향 융착부와 복수의 종방향 융착부를 통해 상호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내부에 공기셀을 형성하고, 공기셀의 전단부에 공기주입로를 형성하는 상·하부외피 및 상·하부외피 사이에 융착되고, 내부융착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공기주입로와 공기셀 사이를 연통하는 공기유도로를 형성하는 상·하부내피를 포함하고, 공기주입로와 공기셀 사이에 형성되는 횡방향 융착부는, 공압에 따른 스트레스성 크랙에 의한 공기 유실을 억제하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이중으로 형성되는 완충용 포장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완충용 포장재{A SHOCK-ABSORBING PACKS}
본 발명은 완충용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완충용 포장재의 필름 상에 형성되는 융착부 구조를 개선하여 완충용 포장재의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완충용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포장할 경우, 물품을 종이 박스 내에 넣어 포장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종이 박스는 물품을 포장할 뿐 완충보호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운반시 물품이 쉽게 흔들리고 손상을 받게 된다.
따라서, 운반 과정에서 쉽게 손상되는 물품 또는 손상이 우려되는 물품의 경우 물품을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게 되는데, 이 경우 물품을 감싸며 완충할 수 있는 공기셀 형태의 완충용 포장재가 많이 쓰이게 된다.
이러한 공기셀 형태의 완충용 포장재는, 공기셀을 형성하는 외피들 사이에 내피로 형성된 구조물을 삽입함으로써 공기 주입시 공기셀에 공기주입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공기셀 외부로의 공기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1)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1)를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상·하부내피(30,40)를 중첩하여, 상·하부외피(10,20) 사이에 삽입시키고, 융착기(미도시)를 통해 상부외피(10), 상부내피(30) 및 하부내피(40)를 종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부분적으로 융착함으로써 내부융착부(31)를 형성하여 상부외피(10)와 상부내피(30)를 서로 융착시키는 동시에, 상부내피(30)와 하부내피(40) 사이에 공기유도로(32)를 형성한다.
이후, 융착기(미도시)를 통해 상·하부외피(10,20) 및 상·하부내피(30,40)를 동시에 융착시켜 제1 내지 제3 횡방향 융착부(11,12,13)를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는, 상·하부외피(10,20)의 전단 가장자리를 마감하도록 융착하여 제1 횡방향 융착부(11)를 형성하고, 제1 횡방향 융착부(11)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하부외피(10,20)와 상·하부내피(30,40)를 융착하는 제2 횡방향 융착부(12)를 형성하며, 제1 횡방향 융착부(11)와 제2 횡방향 융착부(12)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로(21)가 형성된다.
또한, 상·하부외피(10,20)의 후단 가장자리를 마감하도록 융착하여 제3 횡방향 융착부(13)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 융착기(미도시)를 통해 상·하부외피(10,20)와 상·하부내피(30,40)의 양측 단부를 동시에 융착시켜, 일측단 가장자리를 마감하도록 융착하는 제1 종방향 융착부(14)를 형성하고, 타측단 가장자리에는 외측에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로(21)만 제외하고 융착하는 제2 종방향 융착부(15)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융착기(미도시)를 이용한 융착 과정에서는, 융착기(미도시)의 흔들림 또는 진동이나, 필름(상·하부외피(10,20) 및 상·하부내피(30,40))의 틀어짐 또는 이동으로 인하여 필름 상의 융착 지점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종방향 융착 지점의 오차 발생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필름 상에 종방향 융착부(14,15)를 형성하는 융착 시, 오차 발생으로 인하여 제2 종방향 융착부(15)가 정위치에서 소정 간격 앞쪽으로 치우쳐 융착되면 제2 종방향 융착부(15)의 전단이 공기주입로(21)의 일부를 막게되어 공기 주입 시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오차 발생으로 인하여 제2 종방향 융착부(15)가 정위치에서 소정 간격 뒤쪽으로 치우쳐 융착되면 제2 종방향 융착부(15)의 전단이 횡방향 융착부에 못미쳐 융착되어 공기 유실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융착 구조를 통해 제조된 완충용 포장재(1)는, 공기 충진 시 과도한 공기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취약한 부분인 상·하부외피(10,20)와 상·하부내피(30,40)가 함께 융착된 공기주입로(21) 쪽의 제2 횡방향 융착부(12)의 하단에 스트레스성 크랙이 발생하게 되어 공기가 유실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2009-0105721호(공개일: 2009.10.07) "완충 포장 주머니"
본 발명에서는 완충용 포장재, 구체적으로는 완충용 포장재의 필름 상에 형성되는 융착부 구조를 개선하여, 융착 오차에 의한 불량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완충 성능을 증대시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완충용 포장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횡방향 융착부와 복수의 종방향 융착부를 통해 상호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내부에 공기셀을 형성하고, 공기셀의 전단부에 공기주입로를 형성하는 상·하부외피 및 상·하부외피 사이에 융착되고, 내부융착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공기주입로와 공기셀 사이를 연통하는 공기유도로를 형성하는 상·하부내피를 포함하고, 공기주입로와 공기셀 사이에 형성되는 횡방향 융착부는, 공압에 따른 스트레스성 크랙에 의한 공기 유실을 억제하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이중으로 형성되는 완충용 포장재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횡방향 융착부는, 상·하부외피의 전단 가장자리와 후단 가장자리를 각각 융착하여 마감하는 제1 횡방향 융착부와 제4 횡방향 융착부, 제1 횡방향 융착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하부외피와 상·하부내피를 융착하여, 제1 횡방향 융착부와 함께 공기주입로를 형성하는 제2 횡방향 융착부 및 제2 횡방향 융착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하부외피와 상·하부내피를 융착하여, 제2 횡방향 융착부와 함께 이중으로 형성되는 제3 횡방향 융착부를 포함하는 완충용 포장재를 제공한다.
또한, 내부융착부는 상·하부내피를 소정 패턴으로 융착하여 가로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종방향의 공기유도로를 형성하고, 공기유도로의 내측에는 융착 방지를 위한 이형대가 구비되며, 제2 횡방향 융착부와 제3 횡방향 융착부는 내부융착부와 공기유도로를 가로지르며 융착되는 완충용 포장재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종방향 융착부는, 상·하부외피와 상·하부내피의 일측단 가장자리를 융착하여, 제1 내지 제4 횡방향 융착부의 일단을 마감하는 제1 종방향 융착부 및 공기주입로의 입구쪽을 제외하고 상·하부외피와 상·하부내피의 타측단 가장자리를 융착하여, 공기셀을 형성하도록 제3 및 제4 횡방향 융착부의 타단을 마감하는 제2 종방향 융착부를 포함하되, 제2 종방향 융착부의 전단은 제2 횡방향 융착부 또는 제2 횡방향 융착부와 제3 횡방향 융착부의 간격 내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며, 종방향 융착 지점의 오차로 인하여 제2 종방향 융착부의 전단이 제2 횡방향 융착부와 제3 횡방향 융착부의 간격 내에 위치하여 제2 횡방향 융착부의 타단을 마감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공기셀의 공기 유실이 억제되는 완충용 포장재를 제공한다.
또한, 제2 횡방향 융착부와 제3 횡방향 융착부의 간격은, 융착기를 통한 융착 과정에서 발생하는 종방향 융착 지점의 오차를 수용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완충용 포장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하부외피에는 공기셀이 형성되는 부분에, 공기 충진 시 과압을 억제할 수 있는 복수의 보조 융착부가 형성되는 완충용 포장재를 제공한다.
또한, 완충용 포장재는, 상·하부외피의 중간 부분에는 횡방향을 따라 폴드라인 융착부가 형성되어, 폴드라인 융착부를 따라 반으로 접혀지고, 접혀진 양측 가장자리가 상호 융착되어,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물품을 수용하는 물품 수용부가 형성되는 포켓 형태로 구성되며, 폴드라인 융착부는, "工" 형상의 융착부가 상·하부외피의 중간 부분에 횡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접혀진 부분에 형성되는 공기셀을 일정한 형태로 고정하는 완충용 포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는, 포장재에 형성된 공기주입로와 공기셀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중으로 횡방향 융착부를 형성하여, 과도한 공기압력으로 인해 취약 부분인 공기주입로측 횡방향 융착부에 스트레스성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이중 융착부 구조를 통해 공기 유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완충용 포장재의 생산 과정에서, 융착기를 통해 횡방향 융착부를 마감하는 종방향 융착부를 형성할 때, 종방향 융착부의 전단이 횡방향 융착부에 정확히 일치되어 융착되지 않더라도, 이중으로 형성된 한 쌍의 횡방향 융착부 중 적어도 한 쪽만 마감되면 공기가 유실되는 문제가 없어, 종방향 융착 지점의 오차 발생으로 인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완충용 포장재의 생산성과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용 포장재를 포켓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포장재가 접혀지는 부분에 폴드라인 융착부를 형성하여 접이 부분에도 공기셀을 형성할 수 있고, 더불어 공기셀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균일한 완충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종방향 융착 지점의 오차 발생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의 구성을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종방향 융착부의 융착 지점을 예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의 구성을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에 공기가 충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드라인 융착부가 형성된 완충용 포장재의 하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100)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100)의 구성을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설명에 앞서, 하기의 설명에서 기재되는 '상부', '하부', '전단' 및 '후단'은 본 발명을 이해하기 용이하도록 도면을 기준으로 선택되어진 용어로서, 도 4에 도시된 완충용 포장재(100)에서 외피 또는 내피의 적층 순서에 따라 아래쪽은 하부, 위쪽을 상부로 지칭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로(121)가 형성되어 있는 쪽을 전단, 그 반대측의 공기셀(122)의 하단부는 후단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서 외피 및 내피에 도시된 실선은 상면에 형성된 융착부를 나타내며, 점선은 저면에 형성된 융착부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완충용 포장재(100)는 포장재 전단에 형성된 공기주입로(121)를 통해 내부의 공기셀(122)에 공기를 충진하여 물품을 보호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공기주입로(121)와 공기셀(122)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중으로 횡방향 융착부(112,113)를 형성하여, 과도한 공기압력으로 인해 취약 부분인 공기주입로(121)측 횡방향 융착부(112,113) 하단에 스트레스성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이중 융착부 구조를 통해 공기 유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완충용 포장재(100)의 생산 과정에서, 융착기(미도시)를 통해 횡방향 융착부를 마감하는 종방향 융착부(115,116)를 형성할 때, 이중으로 형성된 한 쌍의 횡방향 융착부(112,113) 중 적어도 한 쪽만 마감되면 공기가 유실되는 문제가 없어, 종방향 융착 지점의 오차 발생으로 인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100)는, 상호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내부에 공기주입로(121)와 공기셀(122)을 형성하는 상부외피(110) 및 하부외피(120)와, 상부외피(110) 및 하부외피(120) 사이에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공기주입로(121)와 공기셀(122) 사이에 공기유도로(132)를 형성하는 상부내피(130) 및 하부내피(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외피(110)와 하부외피(120)는 합성수지 등의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내피(130)와 하부내피(140) 역시 합성수지 등의 필름으로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하부외피(120) 및 상부외피(11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종방향으로는 하부외피(120) 및 상부외피(110)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내피(140)의 전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형대(14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형대(141)는 상·하부내피(130,140)의 융착시 하부내피(140)와 상부내피(130)가 서로 융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상부외피(110), 하부외피(120), 상부내피(130) 및 하부내피(140)를 상호 융착하여 본 실시예의 완충용 포장재(100)를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이형대(141)가 형성된 하부내피(140)의 상부에 상부내피(130)를 중첩시키고, 중첩된 상·하부내피(130,140)를 상부외피(110)와 하부외피(120) 사이에 삽입하며, 하부내피(140)와 하부외피(120) 사이에 이형면(미도시)을 삽입할 수 있다.
이어서, 융착기(미도시)를 이용한 융착 공정을 통해, 상부외피(110), 상부내피(130) 및 하부내피(140)를 부분적으로 융착하여 소정 간격으로 내부융착부(131)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융착부(131)는 상부외피(110)와 상부내피(130)를 서로 융착시키는 동시에, 상부내피(130)와 하부내피(140)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공기유도로(13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공기유도로(132)의 입구측에 이형대(141)가 배치되도록 내부융착부(131)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내부융착부(131)는 상·하부내피(130,140)의 가로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종방향의 공기유도로(132)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하부내피(140)와 하부외피(120) 사이에 삽입된 이형면(미도시)을 제거하고, 융착기(미도시)를 이용한 융착 공정을 통해, 상·하부외피(110,120)와 상·하부내피(130,140)를 동시에 융착시켜 제1 내지 제4 횡방향 융착부(111,112,113,114)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횡방향 융착부(111,112,113,114)는 가로방향의 라인(line) 형태로 융착된 융착부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상·하부외피(110,120)의 전단 가장자리를 마감하도록 융착하여 제1 횡방향 융착부(111)를 형성하고, 제1 횡방향 융착부(111)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하부외피(110,120)와 상·하부내피(130,140)를 융착하는 제2 횡방향 융착부(112)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제1 횡방향 융착부(111)와 제2 횡방향 융착부(112)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로(121)가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제2 횡방향 융착부(112)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하부외피(110,120)와 상·하부내피(130,140)를 융착하는 제3 횡방향 융착부(113)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제2 횡방향 융착부(112)와 제3 횡방향 융착부(113)의 간격은 대략 0.5 내지 1.5c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횡방향 융착부(112)와 제3 횡방향 융착부(113)는 상·하부내피(130,140)에 형성된 복수의 내부융착부(131)와 공기유도로(132)를 가로지르며 융착되는데, 공기유도로(132)에 배치된 이형대(141)에 의해 공기유도로(132)는 융착되지 않고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공기유도로(132)는 제2 및 제3 횡방향 융착부(112,113) 사이에 형성된 공기주입로(121)와 상호 연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하부외피(110,120)의 후단 가장자리를 마감하도록 융착하여 제4 횡방향 융착부(114)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 융착기(미도시)를 이용한 융착 공정을 통해, 상·하부외피(110,120)와 상·하부내피(130,140)의 양측 단부를 동시에 융착시켜 제1 및 제2 종방향 융착부(115,116)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종방향 융착부(115,116)는 세로방향의 라인(line) 형태로 융착된 융착부를 말한다.
이때, 다수개의 융착기(미도시)를 통해 횡방향 융착과 종방향 융착을 따로 진행하는 이유는, 융착 공정 중 상부외피(110)와 하부외피(120)에 사이에 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여 불량 발생을 억제하기 위함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종방향 패턴의 융착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중첩된 상·하부외피(110,120)와 상·하부내피(130,140)의 일측단 가장자리를 마감하도록 융착하는 제1 종방향 융착부(115)를 형성하고, 중첩된 상·하부외피(110,120)와 상·하부내피(130,140)의 타측단 가장자리에는 외측에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로(121)의 입구쪽만 제외하고 융착하는 제2 종방향 융착부(116)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융착기를 이용한 융착 과정에서는, 융착기의 흔들림 또는 진동이나, 필름(상·하부외피 및 상·하부내피의 틀어짐 또는 이동으로 인하여 필름 상의 융착 지점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필름 상에 제2 종방향 융착부를 형성하는 융착 시, 오차 발생으로 인하여 제2 종방향 융착부가 정위치에서 소정 간격 앞쪽으로 치우쳐 융착되면 제2 종방향 융착부의 전단이 공기주입로의 일부를 막게되어 공기 주입 시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오차 발생으로 인하여 제2 종방향 융착부가 정위치에서 소정 간격 뒤쪽으로 치우쳐 융착되면 제2 종방향 융착부의 전단이 횡방향 융착부에 못미쳐 융착되어 공기 유실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필름(상·하부외피(110,120) 및 상·하부내피(130,140)) 상에서 공기주입로(121)를 형성하는 제2 횡방향 융착부(112)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3 횡방향 융착부(113)를 형성하여, 제2 종방향 융착부(116)의 융착 지점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제2 종방향 융착부(116)의 전단이 제2 및 제3 횡방향 융착부(112,113) 사이의 간격 내에 배치되어 융착되면, 공기 주입 시 간섭이나 공기 유실 등의 불량이 없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종방향 융착부(116)의 융착 지점을 예로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제2 및 제3 횡방향 융착부(112,113)의 사이 간격은 제2 종방향 융착부(116)의 융착 시 오차 범위를 수용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름(상·하부외피(110,120) 및 상·하부내피(130,140)) 상에 제2 종방향 융착부(116)를 형성하는 융착 시, 오차 발생으로 인하여 제2 종방향 융착부(116)가 정위치에서 소정 간격 앞쪽이나 뒤쪽으로 치우쳐 융착되더라도 제2 종방향 융착부(116)의 전단이 제2 및 제3 횡방향 융착부(112,113)의 사이의 간격 내에 배치됨으로써, 제2 종방향 융착부(116)의 전단을 통해 제2 및 제3 횡방향 융착부(112,113) 중 적어도 한 쪽을 마감할 수 있다.
이때, 제2 종방향 융착부(116)가 제3 횡방향 융착부(113)만 마감하더라도 공기 충진 시 밀봉 성능에 전혀 문제가 없으며, 이를 통해 완충용 포장재(100)의 불량률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융착 과정에 의해, 제3 및 제4 횡방향 융착부(113,114)의 양측이 제1 및 제2 종방향 융착부(115,116)에 의해 마감됨으로써, 상·하부외피(110,120)의 내측에 공기셀(1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융착기(미도시)를 이용한 융착 공정을 통해, 공기셀(122)이 형성되는 상·하부외피(110,120)에 공기 충진 시 과압을 방지할 수 있는 복수의 보조융착부(117)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보조융착부(117)는 복수의 점, 횡방향 라인 또는 종방향 라인 등의 다양한 패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완충용 포장재(100)에 공기를 충진할 때에는, 공기주입로(121)의 입구에 공기주입노즐(미도시)을 삽입하여 고압의 공기를 주입할 수 있고, 공기주입로(121)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가 복수의 공기유도로(132)를 통하여 공기셀(122)로 충진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완충용 포장재(100)의 경우, 공기주입로(121)와 공기셀(122) 사이에 이중으로 제2 및 제3 횡방향 융착부(112,113)를 형성하여, 과도한 공기압력에 가장 취약한 부분인 공기주입로(121)측 제3 횡방향 융착부(113)에 스트레스성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제2 횡방향 융착부(112)가 공기 유실을 차단할 수 있어 완충 성능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100')의 구성을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100')에 공기가 충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드라인 융착부(118)가 형성된 완충용 포장재(100')의 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10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완충용 포장재(100)를 포켓 형태로 형성한 것으로서, 과일 등을 수용하여 보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완충용 포장재(10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완충용 포장재(100)에 비해 종방향으로 긴 길이의 상·하부외피(110,120)를 구비하고, 상·하부외피(110,120)의 중간 부분에 횡방향을 따라 폴드라인 융착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폴드라인 융착부(118)는 완충용 포장재(100)가 접혀지는 부분에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써 "工" 형상의 융착부(118a)가 상·하부외피(110,120)의 중간 부분에 횡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工" 형상의 융착부(118a) 사이에 점 융착부(미도시)가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외피(110,120)와 상·하부내피(130,140)가 부분적으로 융착된 완충용 포장재(100')를 포켓 형태로 형성함에 있어서는, 폴드라인 융착부(118)를 따라 완충용 포장재(100')를 반으로 접고, 완충용 포장재(100')의 접혀진 양측 가장자리를 상호 융착하여 포켓 형태의 완충용 포장재(1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융착된 완충용 포장재(100')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물품 수용부가 형성되는 포켓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포켓 형태로 융착된 완충용 포장재(100')의 공기주입로(121)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셀(122)에 공기를 충진하게 되면, 공기셀(122)이 팽창하면서 완충용 포장재(10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가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벌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써 외부 충격에 손상되기 쉬운 과일 등을 안전하게 포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포켓 형태로 접혀진 완충용 포장재(100')의 하부에 폴드라인 융착부(118, 도 7 참조)가 형성되어 있어, 도 9의 (a)에서와 같은 완충용 포장재(100')의 접혀진 내측 하부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도 9의 (b)에서와 같이 폴드라인 융착부(118, 도 7 참조)를 통해 억제하여 균일한 완충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폴드라인 융착부(118)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工" 형상의 융착부(118a, 도 7 참조)가 완충용 포장재(100')에서 접혀진 하부 부분에 형성된 공기셀(122)을 일정한 형태로 고정하여, 배부름 현상에 의해 어느 한 쪽으로 공기가 쏠리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균일한 완충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 포장재는, 포장재에 형성된 공기주입로와 공기셀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중으로 횡방향 융착부를 형성하여, 과도한 공기압력으로 인해 취약 부분인 공기주입로(121)측 횡방향 융착부에 스트레스성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이중 융착부 구조를 통해 공기 유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완충용 포장재의 생산 과정에서, 융착기를 통해 횡방향 융착부를 마감하는 종방향 융착부를 형성할 때, 종방향 융착부의 전단이 횡방향 융착부에 정확히 일치되어 융착되지 않더라도, 이중으로 형성된 한 쌍의 횡방향 융착부 중 적어도 한 쪽만 마감되면 공기가 유실되는 문제가 없어, 종방향 융착 지점의 오차 발생으로 인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완충용 포장재의 생산성과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용 포장재를 포켓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포장재가 접혀지는 부분에 폴드라인 융착부를 형성하여 접이 부분에도 공기셀을 형성할 수 있고, 더불어 공기셀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균일한 완충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100' : 완충용 포장재 110 : 상부외피
111 : 제1 횡방향 융착부 112 : 제2 횡방향 융착부
113 : 제3 횡방향 융착부 114 : 제4 횡방향 융착부
115 : 제1 종방향 융착부 116 : 제2 종방향 융착부
117 : 보조융착부 118 : 폴드라인 융착부
120 : 하부외피 121 : 공기주입로
122 : 공기셀 130 : 상부내피
131 : 내부융착부 132 : 공기유도로
140 : 하부내피 141 : 이형대

Claims (7)

  1. 복수의 횡방향 융착부와 복수의 종방향 융착부를 통해 상호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내부에 공기셀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셀의 전단부에 공기주입로를 형성하는 상·하부외피; 및
    상기 상·하부외피 사이에 융착되고, 내부융착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상기 공기주입로와 상기 공기셀 사이를 연통하는 공기유도로를 형성하는 상·하부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횡방향 융착부는,
    상기 상·하부외피의 전단 가장자리와 후단 가장자리를 각각 융착하여 마감하는 제1 횡방향 융착부와 제4 횡방향 융착부; 상기 제1 횡방향 융착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하부외피와 상·하부내피를 융착하여, 상기 제1 횡방향 융착부와 함께 공기주입로를 형성하는 제2 횡방향 융착부; 및 상기 제2 횡방향 융착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하부외피와 상·하부내피를 융착하여, 상기 제2 횡방향 융착부와 함께 이중으로 형성되는 제3 횡방향 융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종방향 융착부는,
    상기 상·하부외피와 상·하부내피의 일측단 가장자리를 융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횡방향 융착부의 일단을 마감하는 제1 종방향 융착부; 및 상기 공기주입로의 입구쪽을 제외하고 상기 상·하부외피와 상·하부내피의 타측단 가장자리를 융착하여, 상기 공기셀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3 및 제4 횡방향 융착부의 타단을 마감하는 제2 종방향 융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종방향 융착부의 전단은 상기 제2 횡방향 융착부 또는 상기 제2 횡방향 융착부와 상기 제3 횡방향 융착부의 간격 내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며, 종방향 융착 지점의 오차로 인하여 상기 제2 종방향 융착부의 전단이 상기 제2 횡방향 융착부와 상기 제3 횡방향 융착부의 간격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횡방향 융착부의 타단을 마감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상기 공기셀의 공기 유실이 억제되는 완충용 포장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융착부는 상기 상·하부내피를 소정 패턴으로 융착하여 가로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종방향의 상기 공기유도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유도로의 내측에는 융착 방지를 위한 이형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횡방향 융착부와 상기 제3 횡방향 융착부는 상기 내부융착부와 상기 공기유도로를 가로지르며 융착되는 완충용 포장재.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횡방향 융착부와 상기 제3 횡방향 융착부의 간격은,
    융착기를 통한 융착 과정에서 발생하는 종방향 융착 지점의 오차를 수용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완충용 포장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외피에는 상기 공기셀이 형성되는 부분에, 공기 충진 시 과압을 억제할 수 있는 복수의 보조 융착부가 형성되는 완충용 포장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 포장재는,
    상기 상·하부외피의 중간 부분에는 횡방향을 따라 폴드라인 융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폴드라인 융착부를 따라 반으로 접혀지고, 접혀진 양측 가장자리가 상호 융착되어,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물품을 수용하는 물품 수용부가 형성되는 포켓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폴드라인 융착부는,
    "工" 형상의 융착부가 상기 상·하부외피의 중간 부분에 횡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접혀진 부분에 형성되는 공기셀을 일정한 형태로 고정하는 완충용 포장재.
KR1020210042559A 2021-04-01 2021-04-01 완충용 포장재 KR102301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559A KR102301764B1 (ko) 2021-04-01 2021-04-01 완충용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559A KR102301764B1 (ko) 2021-04-01 2021-04-01 완충용 포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764B1 true KR102301764B1 (ko) 2021-09-14

Family

ID=7777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559A KR102301764B1 (ko) 2021-04-01 2021-04-01 완충용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7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141Y1 (ko) * 2005-07-13 2005-09-28 (주)에어텍네츄럴 공기 주입식 완충 포장재 구조
JP2009205755A (ja) * 2008-02-28 2009-09-10 Hoya Corp 磁気ディスク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20090105721A (ko) 2008-04-03 2009-10-07 인디스에어 주식회사 완충 포장 주머니
KR101361004B1 (ko) * 2013-03-07 2014-02-11 주식회사 레코 포장외피 일체형 완충용 포장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141Y1 (ko) * 2005-07-13 2005-09-28 (주)에어텍네츄럴 공기 주입식 완충 포장재 구조
JP2009205755A (ja) * 2008-02-28 2009-09-10 Hoya Corp 磁気ディスク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20090105721A (ko) 2008-04-03 2009-10-07 인디스에어 주식회사 완충 포장 주머니
KR101361004B1 (ko) * 2013-03-07 2014-02-11 주식회사 레코 포장외피 일체형 완충용 포장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7141Y1 (ko) 공기 주입식 완충 포장재 구조
JP4928527B2 (ja) 高圧気体を充填可能な空気密封体及びその気体逆止弁
US20070092164A1 (en) Bag with a gas filling compart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ethod for sealing gas in the same and method for packaging the same
KR101563191B1 (ko) 다층 공기셀을 구비한 완충용 포장재
JPWO2003099678A1 (ja) 立体状緩衝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01764B1 (ko) 완충용 포장재
KR100969617B1 (ko) 측면 공기유도로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36160B1 (ko) 바이패스가 형성된 공기주입로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07755B1 (ko) 공기 주입식 완충 포장재
CN210943071U (zh) 一种组装拼接式的充气缓冲物流垫
US20160176606A1 (en) Packaging for protecting objec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155655B1 (ko) 에어포켓을 이용한 포장상자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포장상자의 포장방법
WO2014088219A1 (ko) 완충 포장백,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KR100970985B1 (ko) 과일포장판의 제조방법
KR200417130Y1 (ko) 이중 포장지
CN110963167A (zh) 空气包装装置及其制造方法
CN102300783B (zh) 具备形成有支路的进气路的缓冲包装材料及其制造方法
KR102465593B1 (ko) 모서리 보호용 완충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68710B1 (ko) 충전형 가변 외형재 및 필름식 밸브
US1119828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ckaging sheet
KR20060035708A (ko) 이중 포장지
CN107082187A (zh) 缓冲护角、护棱以及组合式运输保护装置
KR102088838B1 (ko) 완충 포장백을 이용한 포장 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
CN207046054U (zh) 缓冲护角、护棱以及组合式运输保护装置
KR101362041B1 (ko) 물품 수납주머니가 구비된 완충용 포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