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509B1 - 냉매관 구조 - Google Patents

냉매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509B1
KR102301509B1 KR1020200074053A KR20200074053A KR102301509B1 KR 102301509 B1 KR102301509 B1 KR 102301509B1 KR 1020200074053 A KR1020200074053 A KR 1020200074053A KR 20200074053 A KR20200074053 A KR 20200074053A KR 102301509 B1 KR102301509 B1 KR 102301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hole
refrigerant
open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순
Original Assignee
박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순 filed Critical 박정순
Priority to KR1020200074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부재가 내부에 일체로 구비된 새로운 구조의 냉매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구조에 따르면, 제1 냉매관(10)과 제2 냉매관(30)의 사이에 필터체(20)가 삽입고정되도록 구비됨으로, 별도의 필터유닛을 냉매관의 중간부에 결합하여야 하는 종래의 냉매관 구조에 비해, 시공이 용이하고,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냉매관 구조{refrigerant pipe structure}
본 발명은 필터부재가 내부에 일체로 구비된 새로운 구조의 냉매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나 에어컨 등에 사용되는 냉각장치에는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냉매관이 구비되며, 이러한 냉매관의 중간부에는 필터유닛이 구비되어, 냉각장치의 각 부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필터유닛은 양측에 연결탭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필터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냉매관을 상기 연결탭의 양단에 용접결합하여 냉매관에 필터유닛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냉매관의 경우, 냉매관에 연결을 하기 위해서는 하우징의 양측에 형성된 연결탭에 냉매간을 각각 삽입한 후 2번의 작업에 걸쳐 용접을 하여야 함으로, 비용이 상승될 뿐 아니라, 현장에서 냉매관의 사이에 필터부재를 설치할 경우,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지고, 냉매관에 수출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필터유닛 자체의 부피가 커서 냉매관을 배치할 때 많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개특허 10-2006-013371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터부재가 내부에 일체로 구비된 새로운 구조의 냉매관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단부에 확경부(11)가 형성된 제1 냉매관(10)과, 상기 제1 냉매관(10)의 내부에 삽입고정되는 필터체(20)와, 전단부가 상기 확경부(11)에 삽입되도록 제1 냉매관(10)에 용접고정되어 상기 필터체(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2 냉매관(30)을 포함하는 냉매관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확경부(11)는 제1 냉매관(10)의 후단부에서 외측으로 확대된 확대부(11a)와, 상기 확대부(11a)의 외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1b)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11b)의 내경은 상기 제2 냉매관(30)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제2 냉매관(30)을 연장부(11b)의 내부에 삽입한 후 제2 냉매관(30)을 연장부(11b)의 내주면에 용접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터체(20)는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콘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냉매관(10)의 후단부 내부로 삽입되는 필터망체(21)와, 상기 필터망체(21)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확대부(11a)에 걸리며 중앙부에는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2a)이 형성된 걸림링체(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필터망체(21)의 전단부에는 관통공(21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1a)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수집관(23)과, 상기 수집관(23)의 전단부에서 상기 제1 냉매관(10)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된 배출관(24)과, 상기 배출관(24)의 외측단에 구비된 개폐수단(A)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수단(A)은 상기 배출관(24)의 외측단에 결합되며 내부공간은 중간부에 구비된 격판(41)에 의해 상하부챔버(42,43)로 구획되고 상기 격판(41)의 중간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41a)이 형성되며 상단 일측에는 배기구(44)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지지브라켓(45)이 구비된 개폐통체(40)와, 상기 하부챔버(43)의 내부에 구비되며 탄성부재(51)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격판(41)의 관통공(41a)에 결합되어 관통공(41a)을 밀폐하는 밀폐부재(50)와, 상기 브라켓에 회전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에는 돌출부(61)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회동바(62)가 구비된 캠부재(60)와, 상기 밀폐부재(50)의 상면에서 상기 관통공(41a)과 개폐통체(4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캠부재(60)의 하측으로 연장된 푸쉬바(70)와, 상기 개폐통체(40)의 배기공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집통체(80)를 포함하여, 상기 수집통체(80)는 미세한 관통공이 형성된 필터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바(62)를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캠부재(60)의 돌출부(61)에 의해 푸쉬바(70)가 하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관통공(41a)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제1 냉매관(10) 내부의 가스의 기압에 의해 상기 수집관(23)에 수집된 이물질이 배출관(24)을 통해 개폐통체(40)에 수집된 후 상기 배기구(44)를 통해 상기 수집통체(80)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구조에 따르면, 제1 냉매관(10)과 제2 냉매관(30)의 사이에 필터체(20)가 삽입고정되도록 구비됨으로, 별도의 필터유닛을 냉매관의 중간부에 결합하여야 하는 종래의 냉매관 구조에 비해, 시공이 용이하고,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구조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구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구조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구조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후단부에 확경부(11)가 형성된 제1 냉매관(10)과, 상기 제1 냉매관(10)의 내부에 삽입고정되는 필터체(20)와, 전단부가 상기 확경부(11)에 삽입되도록 제1 냉매관(10)에 용접고정되어 상기 필터체(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2 냉매관(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확경부(11)는 제1 냉매관(10)의 후단부에서 외측으로 확대된 확대부(11a)와, 상기 확대부(11a)의 외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1b)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11b)의 내경은 상기 제2 냉매관(30)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제2 냉매관(30)을 연장부(11b)의 내부에 삽입한 후 제2 냉매관(30)을 연장부(11b)의 내주면에 용접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필터체(20)는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콘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냉매관(10)의 후단부 내부로 삽입되는 필터망체(21)와, 상기 필터망체(21)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확대부(11a)에 걸리며 중앙부에는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2a)이 형성된 걸림링체(22)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망체(21)는 금속재질의 그물망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망체(21)가 상기 제1 냉매관(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걸림링체(22)가 확대부(11a)에 걸리도록 필터체(20)를 설치한 후, 상기 걸림링체(22)가 상기 제2 냉매관(30)의 전단부와 확대부(11a)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확경부(11)의 내부에 제2 냉매관(30)의 전단부를 삽입한 후, 상기 제2 냉매관(30)을 확경부(11)의 내부에 용접결합함으로써, 중간부에 필체가 삽입되도록 제1 및 제2 냉매관(10,30)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냉매관(30)에서 제1 냉매관(10)으로 냉매가 통과할 경우,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체(20)의 필터망체(21)에 걸려 제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매관 구조에 따르면, 제1 냉매관(10)과 제2 냉매관(30)의 사이에 필터체(20)가 삽입고정되도록 구비됨으로, 별도의 필터유닛을 냉매관의 중간부에 결합하여야 하는 종래의 냉매관 구조에 비해, 시공이 용이하고,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필터망체(21)의 전단부에는 관통공(21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1a)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수집관(23)과, 상기 수집관(23)의 전단부에서 상기 제1 냉매관(10)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된 배출관(24)과, 상기 배출관(24)의 외측단에 구비된 개폐수단(A)이 더 구비된다.
상기 수집관(23)은 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콘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관(24)은 기단부가 상기 수집관(23)의 전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개폐수단(A)은 상기 배출관(24)의 외측단에 결합되며 내부공간은 중간부에 구비된 격판(41)에 의해 상하부챔버(42,43)로 구획되고 상기 격판(41)의 중간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41a)이 형성되며 상단 일측에는 배기구(44)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지지브라켓(45)이 구비된 개폐통체(40)와, 상기 하부챔버(43)의 내부에 구비되며 탄성부재(51)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격판(41)의 관통공(41a)에 결합되어 관통공(41a)을 밀폐하는 밀폐부재(50)와, 상기 브라켓에 회전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에는 돌출부(61)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회동바(62)가 구비된 캠부재(60)와, 상기 밀폐부재(50)의 상면에서 상기 관통공(41a)과 개폐통체(4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캠부재(60)의 하측으로 연장된 푸쉬바(70)와, 상기 개폐통체(40)의 배기공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집통체(80)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통체(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45)은 상기 개폐통체(40)의 상면 양측에 위치된다.
상기 캠부재(60)는 상기 회동바(62)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돌출부(61)가 하측을 향하여 상기 푸쉬바(70)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집통체(80)는 미세한 이 형성된 필터재질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매관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냉매관을 통해 냉매가 순환되는 상태에, 냉매와 함께 흐르는 이물질은 상기 필터망체(21)에 걸린 후, 상기 수집관(23)의 내부로 수집된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부재(60)는 돌출부(61)가 전방에 위치되도록 회동되며, 상기 밀폐부재(50)는 탄성부재(51)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격판(41)의 관통공(41a)을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냉매관(10,30)을 따라 흐르는 냉매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밀터체의 필터망체(21)에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에 의해 냉매의 흐름에 저항이 발생될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회동바(62)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캠부재(60)의 돌출부(61)가 후방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푸쉬바(70)를 하측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밀폐부재(50)가 하강되어 상기 격판(41)의 관통공(41a)을 개방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냉매관(10,30)을 통과하는 고압의 냉매가 상기 밀터망체의 내부에 수집된 이물질을 밀어내게 되며, 이에 따라, 이물질이 냉매와 함께 상기 배출관(24)을 통해 개폐통체(40)의 하부챔버(43)와 격판(41)의 관통공(41a) 및 배기구(44)를 통해 상기 수집통체(80)로 배출되어, 냉매는 수집통체(8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이물질은 수집통체(80)의 내부에 수집된다.
그리고, 관리자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바(62)를 완전히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밀폐부재(50)가 탄성부재(51)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올라가 상기 관통공(41a)을 밀폐함으로서, 더 이상 냉매가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이러와 같이, 상기 회동바(62)를 회동시킬 때 소요되는 시간은 매우 짧음으로, 전술한 과정중에서 상기 이물질과 함께 소량의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지만, 상기 냉매관이 연결되는 냉각장치에는 여분의 냉매가 저장되어 있음으로, 소량의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냉각장치의 작동에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관리자는 상기 수집통체(80)를 분리하여 내부에 수집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상기 수집통체(80)를 개폐통체(40)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매관 구조에 따르면, 상기 관리자가 상기 회동바(62)를 회동시키면, 개폐수단(A)이 짧은 시간동안 개방되어 필터망체(21)에 수집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함으로, 필터망체(21)에 수집된 이물질에 의해 냉매관을 통과하는 냉매의 흐름에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제1 냉매관 20. 필터체
30. 제2 냉매관

Claims (3)

  1. 후단부에 확경부(11)가 형성된 제1 냉매관(10)과,
    상기 제1 냉매관(10)의 내부에 삽입고정되는 필터체(20)와,
    전단부가 상기 확경부(11)에 삽입되도록 제1 냉매관(10)에 용접고정되어 상기 필터체(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2 냉매관(30)을 포함하고,
    상기 확경부(11)는
    제1 냉매관(10)의 후단부에서 외측으로 확대된 확대부(11a)와,
    상기 확대부(11a)의 외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1b)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11b)의 내경은 상기 제2 냉매관(30)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제2 냉매관(30)을 연장부(11b)의 내부에 삽입한 후 제2 냉매관(30)을 연장부(11b)의 내주면에 용접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터체(20)는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콘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냉매관(10)의 후단부 내부로 삽입되는 필터망체(21)와,
    상기 필터망체(21)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확대부(11a)에 걸리며 중앙부에는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2a)이 형성된 걸림링체(22)를 포함하고,
    필터망체(21)의 전단부에는 관통공(21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1a)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수집관(23)과,
    상기 수집관(23)의 전단부에서 상기 제1 냉매관(10)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된 배출관(24)과,
    상기 배출관(24)의 외측단에 구비된 개폐수단(A)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수단(A)은
    상기 배출관(24)의 외측단에 결합되며 내부공간은 중간부에 구비된 격판(41)에 의해 상하부챔버(42,43)로 구획되고 상기 격판(41)의 중간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41a)이 형성되며 상단 일측에는 배기구(44)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지지브라켓(45)이 구비된 개폐통체(40)와,
    상기 상하부챔버(42,43)의 하부챔버(43)의 내부에 구비되며 탄성부재(51)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격판(41)의 관통공(41a)에 결합되어 관통공(41a)을 밀폐하는 밀폐부재(50)와,
    상기 지지브라켓(45)에 회전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에는 돌출부(61)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회동바(62)가 구비된 캠부재(60)와,
    상기 밀폐부재(50)의 상면에서 상기 관통공(41a)과 개폐통체(4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캠부재(60)의 하측으로 연장된 푸쉬바(70)와,
    상기 개폐통체(40)의 배기공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집통체(8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통체(80)는 미세한 관통공이 형성된 필터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바(62)를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캠부재(60)의 돌출부(61)에 의해 푸쉬바(70)가 하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관통공(41a)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제1 냉매관(10) 내부의 가스의 기압에 의해 상기 수집관(23)에 수집된 이물질이 배출관(24)을 통해 개폐통체(40)에 수집된 후 상기 배기구(44)를 통해 상기 수집통체(80)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200074053A 2020-06-18 2020-06-18 냉매관 구조 KR102301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053A KR102301509B1 (ko) 2020-06-18 2020-06-18 냉매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053A KR102301509B1 (ko) 2020-06-18 2020-06-18 냉매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509B1 true KR102301509B1 (ko) 2021-09-10

Family

ID=7777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053A KR102301509B1 (ko) 2020-06-18 2020-06-18 냉매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5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856U (ko) * 1996-12-27 1998-09-25 배순훈 냉동사이클의 냉매여과장치
KR20060133716A (ko) 2005-06-21 2006-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856U (ko) * 1996-12-27 1998-09-25 배순훈 냉동사이클의 냉매여과장치
KR20060133716A (ko) 2005-06-21 2006-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1509B1 (ko) 냉매관 구조
JPH11138319A (ja) 自動送り穿孔機用冷却集塵装置
CN110075589A (zh) 一种用于车辆的冷却液过滤装置及车辆
CN117365621A (zh) 瓦斯抽采钻孔吹孔修复装置及修复方法
CN102400887B (zh) 低温泵及过滤器装置
FI112780B (fi) Menetelmä suodatustilassa olevan suodatinelementin puhdistamiseksi sekä menetelmää soveltava suodatin
CN214334323U (zh) 一种用于河道底质取样器的取样管组件
CN213422726U (zh) 一种固定式的高温取样探头
CN213394122U (zh) 一种管道水压试验封堵装置
CN114087197A (zh) 一种可拦截杂物并排出的双吸泵
CN107255381B (zh) 干燥过滤器和具有其的制冷与热泵系统
CN215176227U (zh) 一种储液器
KR101951843B1 (ko) 압력 변화에 대응한 스팀 누설 방지 기능을 향상시킨 스팀트랩
CN205826593U (zh) 用于稳定同位素质谱仪双路进样法测试元素同位素时使用的参考气罐
CN218915485U (zh) 一种紧凑型油分离器
CN217715543U (zh) 一种单管储液器
CN220451976U (zh) 泥渣处理装置及抽采孔施工系统
CN220213645U (zh) 一种气切管防喷痰缓冲封堵装置
CN211411965U (zh) 一种固体催化剂吸附装置
CN213943918U (zh) 一种轴流旋风除尘器
CN214211542U (zh) 喷煤分配器出口阀门带压疏通装置
CN217715544U (zh) 一种双管储液器
CN213176205U (zh) 一种风机用消音器
JP2532018B2 (ja) 凝縮液トラップ
CN211562065U (zh) 一种垃圾渗滤液双网孔径自清洗管道式除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