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198B1 - 풀업지함 - Google Patents

풀업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198B1
KR102301198B1 KR1020190179924A KR20190179924A KR102301198B1 KR 102301198 B1 KR102301198 B1 KR 102301198B1 KR 1020190179924 A KR1020190179924 A KR 1020190179924A KR 20190179924 A KR20190179924 A KR 20190179924A KR 102301198 B1 KR102301198 B1 KR 102301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x
box
separation line
lifting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6171A (ko
Inventor
박송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190179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198B1/ko
Publication of KR20210086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8Means facilitating suspending, lifting, handling, or the like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업지함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하부 박스 및 상기 하부 박스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하부 박스와 결합되는 상부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박스는, 상기 상부 박스를 상기 하부 박스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박스를 위쪽으로 들어올리게 보조하는 리프팅부를 상기 하부 박스에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 박스의 적어도 일면에 재단되는 분리 라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풀업지함{PULL UP PAPER BOX}
본 발명은 풀업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함은 상품을 담거나 포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지함은 내부 적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품을 담는 하부 박스가 상부 박스의 내부에 최대한 밀착하여 수용되게 제작된다. 이러한 경우, 하부 박스가 상부 박스와 밀착하여 있어, 지함을 개봉할 때에 하부 박스가 상부 박스와 잘 분리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 하부 박스가 상부 박스와 잘 분리되지 않으므로, 상부박스를 손으로 잡고 상하로 흔드는 식으로 분리를 하게 되어, 개봉하는 사람이 실수로 하부 박스를 떨어뜨리게 되어, 내부에 적재된 상품이 충격으로 훼손될 우려도 존재하였다.
특허문헌 1은, 개방끈을 내부에 설치하여 뚜껑을 열고자 할 때에 개방끈을 잡아당기면 용이하게 뚜껑을 개방할 수 있게 한 포장상자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은 별도의 개방끈을 위한 부자재가 필요하고, 박스의 제작 시 개방끈을 내부에 설치하는 과정을 별도로 수반해야 하며, 개방끈을 그립하기 위한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게 되어 미관을 해칠 뿐 아니라, 노출된 개방끈이 다른 곳에 걸리거나 잡아당겨져서 개방끈의 훼손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9259호(2006.10.13)
본 발명의 과제는 상부 박스를 들어올릴 수 있는 리프팅부를 별도의 부자재 없이 하부 박스의 일부분으로 제작할 수 있고, 리프팅부를 부착하는 과정을 수반하지 않으며, 리프팅부가 돌출되지 않는 풀업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풀업지함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하부 박스 및 상기 하부 박스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하부 박스와 결합되는 상부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박스는, 상기 상부 박스를 상기 하부 박스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박스를 위쪽으로 들어올리게 보조하는 리프팅부를 상기 하부 박스에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 박스의 적어도 일면에 재단되는 분리 라인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상기 분리 라인은, 상기 하부 박스의 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박스의 측면에 재단되되 서로 이격되는 2개의 측면 분리 라인, 상기 측면 분리 라인과 각각 연결되게, 그리고 상기 측면 분리 라인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하부 박스의 저면에 재단되는 2개의 저면 분리 라인 및 상기 저면 분리 라인의 말단에서 상기 저면 분리 라인에 직교하게, 그리고 상기 하부 박스의 저면에 재단되는 직교 분리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하부 박스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박스 형태를 유지하는 제1 층 및 상기 제1 층의 외부에 결합되는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라인은, 상기 하부 박스의 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층의 측면에 재단되되 서로 이격되는 2개의 외부 측면 분리 라인, 상기 외부 측면 분리 라인과 각각 연결되게, 그리고 상기 외부 측면 분리 라인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2 층의 저면에 재단되는 2개의 외부 저면 분리 라인, 및 상기 외부 저면 분리 라인의 말단에서 상기 외부 저면 분리 라인에 직교하게, 그리고 상기 제2 층의 저면에 재단되는 외부 직교 분리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하부 박스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고, 박스 형태를 유지하는 내부층 및 상기 내부층의 외부에 결합되는 외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층은, 상기 내부층의 외부에 결합되는 제1 외부층 및 상기 제1 외부층의 외부에 결합되는 제2 외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라인은, 상기 하부 박스의 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외부층에 재단되되 이격되어 형성되는 2개의 제1 분리 라인, 상기 하부 박스의 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외부층에 재단되되, 상기 제1 분리 라인보다 간격이 넓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2개의 제2 분리 라인, 상기 제1 분리 라인 및 상기 제2 분리 라인과 각각 연결되되, 상기 제1 분리 라인 및 상기 제2 분리 라인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외부층의 저면에 재단되는, 2개의 제3 분리 라인, 및 상기 제3 분리 라인의 말단에서 상기 제3 분리 라인에 직교하게 그리고, 상기 외부층의 저면에 재단되는 제4 분리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하부 박스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박스의 일 측을 위쪽으로 들어올리게 보조하는 제1 리프팅부 및 상기 하부 박스에 상기 제1 리프팅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박스의 타 측을 위쪽으로 들어올리게 보조하는 제2 리프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풀업지함은, 상기 하부 박스에 형성되어 있는 리프팅부를 상기 하부 박스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그립되어 잡아당겨질 수 있게 구비되는 그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하부 박스의 저면 중 리프팅부가 형성되는 부분에 부착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에서 소정 방향으로 상기 리프팅부에 부착되지 않은 채로 연장되어 그립 가능하게 구비되는 비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박스를 들어올릴 수 있는 리프팅부를 하부 박스의 일부분으로 제작할 수 있어서 별도의 리프팅부를 제작하는 부자재가 필요하지 않아 제작 비용이 절감되고, 리프팅부를 부착하는 과정을 수반하지 않아서 제작 공정이 단순해지며, 리프팅부가 박스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리프팅부의 훼손 우려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풀업지함의 하부 박스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풀업지함의 하부 박스의 저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부가 분리된 단계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풀업지함의 하부 박스에 리프팅부가 형성된 단계를 다른 측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풀업지함을 개봉하는 상태를 다른 측면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풀업지함의 하부 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풀업지함의 하부 박스에 리프팅부가 형성된 단계를 도 3과 같은 측면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풀업지함의 제2 층의 전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풀업지함의 하부 박스에 리프팅부가 형성된 단계를 도 3과 같은 측면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풀업지함의 제1 외부층 및 제2 외부층의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풀업지함은 상부 박스를 하부 박스에서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는 풀업지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풀업지함의 하부 박스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풀업지함의 하부 박스의 저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부가 분리된 단계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풀업지함의 하부 박스에 리프팅부가 형성된 단계를 다른 측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풀업지함을 개봉하는 상태를 다른 측면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풀업지함의 하부 박스의 전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풀업지함은 하부 박스(LB)와 상부 박스(U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박스(LB)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박스(LB)는 1개의 저면과 4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1개의 면이 없는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하부 박스(LB)는 내부에 위치한 수용 공간을 통해 제품을 적재할 수 있다.
상부 박스(UB)는 하부 박스(LB)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부 박스(LB)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박스(UB)는 1개의 상면과 4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1개의 면이 없는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상부 박스(UB)는, 하부 박스(LB)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덮어, 적재된 제품이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부 박스(UB)는 하부 박스(LB)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하부 박스(LB)와 결합 시 밀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하부 박스(LB)와 결합 시 상부 박스(UB)가 하부 박스(LB)에 밀착되므로 상부 박스(UB)가 하부 박스(LB)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별도의 접착 없이 방지 할 수 있다.
하부 박스(LB)는 분리 라인(DL)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분리 라인(DL)은 상부 박스(UB)를 하부 박스(LB)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부 박스(UB)를 위쪽으로 들어올리게 보조하는 리프팅부(L)를 하부 박스(LB)에 형성하도록, 하부 박스(LB)의 적어도 일면에 재단될 수 있다. 분리 라인(DL)은, 직선으로 재단될 수 있고, 혹은 점선으로 재단될 수 있다. 분리 라인(DL)은 반칼 재단되어, 종이 두께보다 얇게 잘라진 피막 형태로 리프팅부(L)를 형성하게 재단될 수 있다.
리프팅부(L)는 분리 라인(DL)을 따라 분리되기 이전에는 하부 박스(LB)의 일부이다가, 분리 라인(DL)을 따라 일부분이 분리되는 순간, 리프팅부(L)로 기능할 수 있다. 리프팅부(L)는, 사용자에 의해 일 측이 그립되어 들어올려짐에 따라, 리프팅부(L)의 면에 접하는 상부 박스(UB)의 면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 전달된 힘을 통해, 상부 박스(UB)를 위로 들어올려, 상부 박스(UB)를 하부 박스(LB)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풀업지함을 활용하여 상부 박스(UB)를 하부 박스(LB)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먼저 하부 박스(LB)에 재단되어 있는 분리 라인(DL)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리프팅부(L)를 하부 박스(LB)로부터 일정 부분 분리한다. 일정 부분이 하부 박스(LB)로부터 분리된 리프팅부(L)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분리된 부분이 그립 가능하게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사용자는 사용자에게 노출된 리프팅부(L)를 그립하여, 상방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방으로 잡아당겨진 리프팅부(L)는, 상부 박스(UB)와 접하는 면에 상방으로 당겨지는 힘을 전달하고, 이 힘을 전달받은 상부 박스(UB)는, 상방으로 움직이게 되어, 하부 박스(L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종래에는, 리프팅부에 해당하는 개방끈을 상자 내부의 일 측에 설치한 후, 외부로 일부를 노출 시켜, 뚜껑을 열고자 할 때에 외부로 노출된 개방끈을 잡아당겨 뚜껑을 개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별도의 개방끈을 위한 부자재가 필요하고, 박스의 제작 시 개방끈을 내부에 설치하는 과정을 별도로 수반해야 하며, 외부로 노출된 개방끈이 돌출되게 되어 미관을 해칠 뿐 아니라, 외부로 노출된 개방끈이 다른 곳에 걸리거나 잡아당겨져서 개방끈의 훼손을 초래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반면 실시예 1에 따른 풀업지함은, 상부 박스(UB)를 들어올릴 수 있는 리프팅부(L)를 하부 박스(LB)의 일부분으로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리프팅부(L)를 제작하기 위한 부자재가 필요하지 않아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부(L)를 박스의 내부에 부착하는 과정을 수반하지 않아서 제작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으며, 리프팅부(L)가 박스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상자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리프팅부(L)의 훼손 우려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분리 라인(DL)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측면 분리 라인(111), 저면 분리 라인(112) 및 직교 분리 라인(113)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분리 라인(111)은, 하부 박스(LB)의 저면(B)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부 박스(LB)의 측면에 재단되되 서로 이격되게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저면 분리 라인(112)은, 측면 분리 라인(111)과 각각 연결되게, 그리고 측면 분리 라인(111)과 수직한 방향으로 하부 박스의 저면(B)에 2개로 재단될 수 있다. 직교 분리 라인(113)은, 저면 분리 라인(112)의 말단에서 저면 분리 라인(112)에 직교하게, 그리고 하부 박스의 저면(B)에 재단될 수 있다.
측면 분리 라인(111)은 측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부(SL)를 형성하고, 저면 분리 라인(112) 및 직교 분리 라인(113)은 저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부(LL)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측면 분리 라인(111), 저면 분리 라인(112), 직교 분리 라인(113)에 의해 재단된 리프팅부(L)의 형상은 접힌 부분을 폈을 때, 일직선의 모양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부(LL)를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리프팅부(L)는 제1 리프팅부(L1) 및 제2 리프팅부(L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프팅부(L1)는 하부 박스(LB)에 형성되며, 상부 박스(UB)의 일 측을 위쪽으로 들어올리게 보조하고, 제2 리프팅부(L2)는 하부 박스(LB)에 제1 리프팅부(L1)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부 박스(UB)의 타 측을 위쪽으로 들어올리게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1면이 없는 직육면체 형태의 상자에서 일 측면 및 저면에 제1 리프팅부(L1)가 형성되고, 제1 리프팅부(L1)가 형성되는 일 측면의 맞면 및 저면에 제2 리프팅부(L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리프팅부(L1)와, 제2 리프팅부(L2)를 동시에 잡아 상방으로 당김으로써, 상부 박스(UB)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2개의 힘을 주게 되므로, 1개의 힘을 줄 때 상부 박스(UB)의 일 측만이 들려 올려짐에 따라 상부 박스(UB)가 기울어 지게 되어 발생하는, 상부 박스(UB)가 하부 박스(LB)에 걸리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풀업지함은, 그립부(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G)는 하부 박스(LB)에 형성되어 있는 리프팅부(L)를 하부 박스(LB)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그립되어 잡아당겨질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분리 라인(DL)을 통해 하부 박스(LB)에 재단되어 있던 리프팅부(L)를 그립부(G)를 통해 잡아 당김으로써, 리프팅부(L)를 하부 박스(LB)에서 편리하게 분리해 낼 수 있다.
그립부(G)는 하부 박스의 저면(B) 중 리프팅부(L)가 형성되는 부분에 부착되는 접착부(G1) 및 접착부(G1)에서 소정 방향으로 상기 리프팅부(L)에 부착되지 않은 채로 연장되어 그립 가능하게 구비되는 비접착부(G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G1)는 테이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저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부(LL)에 접착부(G1)를 부착하고, 저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부(LL)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비접착부(G2)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비접착부(G2)를 그립하여 잡아당기게 되면, 비접착부(G2)와 연결된 접착부(G1)가 잡아 당겨지고, 접착부(G1)와 접착되어 있는 리프팅부(L)는 당겨지는 힘을 받아 하부 박스(L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풀업지함의 하부 박스에 리프팅부가 형성된 단계를 도 3과 같은 측면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풀업지함의 제2 층의 전개도이다. 이하에선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풀업지함을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른 풀업지함은 하부 박스(LB) 및 분리 라인(DL)에 있어 실시예 1에 따른 풀업지함과 차이가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풀업지함과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하부 박스(LB)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박스 형태를 유지하는 제1 층(201) 및 상기 제1 층(201)의 외부에 결합되는 제2 층(2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박스(LB)는 2중의 골판지 구조일 수도 있고, 제1 층(201)은 박스 형태, 제2 층(202)은 제1 층(201)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포장재일 수도 있다.
분리 라인(DL)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외부 측면 분리 라인(211), 외부 저면 분리 라인(212), 외부 직교 분리 라인(213)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측면 분리 라인(211) 및 외부 저면 분리 라인(212)은 2개일 수 있다. 외부 측면 분리 라인(211)은, 하부 박스의 저면(B)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층(202)의 측면에 재단될 수 있다. 외부 저면 분리 라인(212)은, 외부 측면 분리 라인(211)과 연결되게, 그리고 외부 측면 분리 라인(211)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2 층(202)의 저면에 재단될 수 있다. 외부 저면 분리 라인(213)은 외부 저면 분리 라인(212)의 말단에서 상기 외부 저면 분리 라인(212)에 직교하게, 그리고 제2 층(202)의 저면에 재단될 수 있다.
외부 측면 분리 라인(211)은 측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부(SL)를 형성할 수 있고, 외부 저면 분리 라인(212) 및 외부 저면 분리 라인(213)은 저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부(LL)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 2에 따르면, 제2 층(202)을 전술한 대로 미리 재단하여 제1 층(201)에 결합할 수 있어, 제작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풀업지함의 하부 박스에 리프팅부가 형성된 단계를 도 3과 같은 측면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풀업지함의 제1 외부층 및 제2 외부층의 전개도이다. 이하에선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풀업지함을 설명한다. 실시예 3에 따른 풀업지함은 하부 박스(LB) 및 분리 라인(DL)에 있어 실시예 1에 따른 풀업지함과 차이가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풀업지함과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하부 박스(LB)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고, 박스 형태를 유지하는 내부층(301), 상기 내부층(301)의 외부에 결합되는 외부층(302)을 포함하고, 외부층(302)은, 상기 내부층(301)의 외부에 결합되는 제1 외부층(303) 및 상기 제1 외부층(303)의 외부에 결합되는 제2 외부층(30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층(301)은, 1개의 면이 없는 직육면체 형태의 종이 박스이고, 외부층(302)은, 이중구조로 형성되는 포장지 일 수 있다.
분리 라인(DL)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분리 라인(311), 제2 분리 라인(312), 제3 분리 라인(313), 제4 분리 라인(3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리 라인(311), 제2 분리 라인(312) 및 제3 분리 라인(313)은 2개일 수 있다.
제1 분리 라인(311)은, 하부 박스의 저면(B)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외부층(303)에 재단될 수 있다. 제2 분리 라인(312)은, 하부 박스의 저면(B)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외부층(304)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분리 라인(311)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재단될 수 있다. 제3 분리 라인(313)은, 제1 분리 라인(311) 및 제2 분리 라인(312)과 연결되되, 제1 분리 라인(311) 및 제2 분리 라인(312)과 수직한 방향으로 외부층(302)의 저면에 재단될 수 있다. 제4 분리 라인(314)은 제3분리 라인(313)의 말단에서 제3 분리 라인(313)에 직교하게 그리고, 외부층(302)의 저면에 재단될 수 있다.
제1 분리 라인(311) 및 제2 분리 라인(312)은 측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부(SL)를, 제3 분리 라인(313) 및 제4 분리 라인(314)은 저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부(LL)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분리 라인(311)은 제1 외부층(303)의 두께만큼, 제2분리 라인(312)은 제2 외부층(304)의 두께만큼, 그리고 제3 및 제4 분리 라인(313,314)은 제1 외부층(303)과 제2 외부층(304)의 두께의 합만큼 재단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분리 라인(DL)을 형성함에 따라, 저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부(LL)에 비해 측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부(SL)의 분리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구조를 형성하여, 저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부(LL)가 측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부(SL) 보다 먼저 분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저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부(LL)의 분리 이후 측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부(SL)가 순차적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UB: 상부 박스
LB: 하부 박스
DL: 분리 라인
B: 하부 박스의 저면
L: 리프팅부
LL: 저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부
SL: 측면에 형성되는 리프팅부
L1: 제1 리프팅부
L2: 제2 리프팅부
G: 그립부
G1: 접착부
G2: 비접착부
111: 측면 분리 라인
112: 저면 분리 라인
113: 직교 분리 라인
201: 제1 층
202: 제2 층
211: 외부 측면 분리 라인
212: 외부 저면 분리 라인
213: 외부 직교 분리 라인
301: 내부층
302: 외부층
303: 제1 외부층
304: 제2 외부층
311: 제1 분리 라인
312: 제2 분리 라인
313: 제3 분리 라인
314: 제4 분리 라인

Claims (6)

  1.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하부 박스; 및
    상기 하부 박스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하부 박스와 결합되는 상부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박스는, 상기 상부 박스를 상기 하부 박스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박스를 위쪽으로 들어올리게 보조하는 리프팅부를 상기 하부 박스에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 박스의 적어도 일면에 재단되는 분리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하부 박스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박스의 일 측을 위쪽으로 들어올리게 보조하는 제1 리프팅부; 및
    상기 하부 박스에 상기 제1 리프팅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박스의 타 측을 위쪽으로 들어올리게 보조하는 제2 리프팅부를 포함하는, 풀업지함.
  2.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하부 박스; 및
    상기 하부 박스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하부 박스와 결합되는 상부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박스는, 상기 상부 박스를 상기 하부 박스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박스를 위쪽으로 들어올리게 보조하는 리프팅부를 상기 하부 박스에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 박스의 적어도 일면에 재단되는 분리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라인은,
    상기 하부 박스의 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박스의 측면에 재단되되 서로 이격되는 2개의 측면 분리 라인;
    상기 측면 분리 라인과 각각 연결되게, 그리고 상기 측면 분리 라인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하부 박스의 저면에 재단되는 2개의 저면 분리 라인; 및
    상기 저면 분리 라인의 말단에서 상기 저면 분리 라인에 직교하게, 그리고 상기 하부 박스의 저면에 재단되는 직교 분리 라인;
    을 포함하는, 풀업지함.
  3.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하부 박스; 및
    상기 하부 박스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하부 박스와 결합되는 상부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박스는, 상기 상부 박스를 상기 하부 박스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박스를 위쪽으로 들어올리게 보조하는 리프팅부를 상기 하부 박스에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 박스의 적어도 일면에 재단되는 분리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박스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박스 형태를 유지하는 제1 층 및 상기 제1 층의 외부에 결합되는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라인은,
    상기 하부 박스의 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층의 측면에 재단되되 서로 이격되는 2개의 외부 측면 분리 라인;
    상기 외부 측면 분리 라인과 각각 연결되게, 그리고 상기 외부 측면 분리 라인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2 층의 저면에 재단되는 2개의 외부 저면 분리 라인; 및
    상기 외부 저면 분리 라인의 말단에서 상기 외부 저면 분리 라인에 직교하게, 그리고 상기 제2 층의 저면에 재단되는 외부 직교 분리 라인;
    을 포함하는, 풀업지함.
  4.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하부 박스; 및
    상기 하부 박스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하부 박스와 결합되는 상부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박스는, 상기 상부 박스를 상기 하부 박스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박스를 위쪽으로 들어올리게 보조하는 리프팅부를 상기 하부 박스에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 박스의 적어도 일면에 재단되는 분리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박스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고, 박스 형태를 유지하는 내부층 및 상기 내부층의 외부에 결합되는 외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층은, 상기 내부층의 외부에 결합되는 제1 외부층 및 상기 제1 외부층의 외부에 결합되는 제2 외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라인은,
    상기 하부 박스의 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외부층에 재단되되 이격되어 형성되는 2개의 제1 분리 라인;
    상기 하부 박스의 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외부층에 재단되되, 상기 제1 분리 라인보다 간격이 넓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2개의 제2 분리 라인;
    상기 제1 분리 라인 및 상기 제2 분리 라인과 각각 연결되되, 상기 제1 분리 라인 및 상기 제2 분리 라인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외부층의 저면에 재단되는, 2개의 제3 분리 라인; 및
    상기 제3 분리 라인의 말단에서 상기 제3 분리 라인에 직교하게, 그리고 상기 외부층의 저면에 재단되는 제4 분리 라인;
    을 포함하는, 풀업지함.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박스에 형성되어 있는 리프팅부를 상기 하부 박스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그립되어 잡아당겨질 수 있게 구비되는 그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하부 박스의 저면 중 리프팅부가 형성되는 부분에 부착되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에서 소정 방향으로 상기 리프팅부에 부착되지 않은 채로 연장되어 그립 가능하게 구비되는 비접착부를 포함하는, 풀업지함.
KR1020190179924A 2019-12-31 2019-12-31 풀업지함 KR102301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924A KR102301198B1 (ko) 2019-12-31 2019-12-31 풀업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924A KR102301198B1 (ko) 2019-12-31 2019-12-31 풀업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171A KR20210086171A (ko) 2021-07-08
KR102301198B1 true KR102301198B1 (ko) 2021-09-10

Family

ID=7689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924A KR102301198B1 (ko) 2019-12-31 2019-12-31 풀업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1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153B1 (ko) * 2018-04-02 2018-10-17 한국씨씨엘레이블 주식회사 담배 케이스의 개봉 레이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259Y1 (ko) 2006-07-21 2006-10-20 (주)아모레퍼시픽 포장상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153B1 (ko) * 2018-04-02 2018-10-17 한국씨씨엘레이블 주식회사 담배 케이스의 개봉 레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171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6491A (en) Box of corrugated fibreboard and packaging method
TWI638754B (zh) 捆包裝容器
KR102279564B1 (ko) 종이류 손잡이를 구비한 포장박스
JP7107098B2 (ja) 包装箱
FI110679B (fi) Pakkausyksikkö arkkimaiselle materiaalille
RU2427519C1 (ru) Сигаретная пачка
US20080230420A1 (en) Secondary Package
KR102301198B1 (ko) 풀업지함
JP2011073702A (ja) 梱包体
KR200482479Y1 (ko) 날개걸이 없는 손잡이 강화형 종이 포장 상자
JP2014091558A (ja) 収納箱
JP2021001033A (ja) 包装箱および包装箱のブランクシート
JP3190695U (ja) 包装箱
KR101558300B1 (ko) 포장용 박스
JP7115527B2 (ja) 包装箱
US8573401B2 (en) Packaging box closing member
JP3139765U (ja) トナー収納用容器のための緩衝保持容器
JPH09132226A (ja) 収容箱
JP6776990B2 (ja) 包装箱および包装箱のブランクシート
KR20110121268A (ko) 덮개판이 원터치로 동시에 접혀지는 포장용 박스
JPH0441064Y2 (ko)
JP7110171B2 (ja) 収容箱
JP3154971U (ja) 包装箱
JP6126187B1 (ja) シートパレット複合体
WO2015182310A1 (ja) 梱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