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153B1 - 담배 케이스의 개봉 레이블 - Google Patents

담배 케이스의 개봉 레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153B1
KR101909153B1 KR1020180037921A KR20180037921A KR101909153B1 KR 101909153 B1 KR101909153 B1 KR 101909153B1 KR 1020180037921 A KR1020180037921 A KR 1020180037921A KR 20180037921 A KR20180037921 A KR 20180037921A KR 101909153 B1 KR101909153 B1 KR 101909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ilm
cigarette case
tab portion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덕
Original Assignee
한국씨씨엘레이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씨씨엘레이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씨씨엘레이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7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5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lid
    • B65D85/10568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lid opening of the lid opens simultaneously an inner package withi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12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an internal frame or the like for maintaining the lid in the closed position by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배 케이스의 내부 포장 필름에 부착되는 개봉 레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담배 케이스의 개폐 커버에 부착되는 탭 부분을 구비한 개봉 레이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개봉 레이블은 담배 케이스의 내부 포장 필름에 부착되는 개봉 레이블로서, 개봉 필름과, 상기 개봉 필름의 하면에 도포되어 상기 개봉 필름이 상기 내부 포장 필름에 부착되도록 하는 제1 점착제 층을 포함하며, 상기 개봉 필름의 일 측에는 상기 담배 케이스의 개폐 커버와 부착되는 탭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담배 케이스의 개봉 레이블{Reseal label of tobacco case}
본 발명은 담배 케이스의 내부 포장 필름에 부착되는 개봉 레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담배 케이스의 개폐 커버에 부착되는 탭 부분을 구비한 개봉 레이블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담배 케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담배 케이스는 컨테이너(1), 개폐 커버(2), 내부 포장 필름(3), 개봉 레이블(4)로 구성되어 있다.
컨테이너(1)와 개폐 커버(2)는 하드 재질로 만들어져 담배 케이스의 외형을 구성하고 있고, 컨테이너(1)에는 내부 포장 필름(3)이 들어 있고, 내부 포장 필름(3)의 담배 배출구(5)에는 개봉 레이블(4)이 점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담배 배출구(5)는 점착제를 통해 개봉 레이블(4)에 의해 닫히거나 개봉된다.
내부 포장 필름(3)은 외부로부터 공기나 습기를 차폐하여 담배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기능성 필름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담배 케이스에서는 사용자가 담배를 꺼내기 위해 개폐 커버를 개봉한 후 다시 개봉 레이블을 개봉해야 하고, 담배를 꺼내고 나서 역순으로 개봉 레이블을 닫은 후 개폐 커버를 닫아야 한다.
이러한 동작은 담배가 모두 소진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이라서, 사용자로서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162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담배를 꺼낼 수 있는 담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개봉 레이블은 담배 케이스의 내부 포장 필름에 부착되는 개봉 레이블로서, 개봉 필름과, 상기 개봉 필름의 하면에 도포되어 상기 개봉 필름이 상기 내부 포장 필름에 부착되도록 하는 제1 점착제 층을 포함하며, 상기 개봉 필름의 일 측에는 상기 담배 케이스의 개폐 커버와 부착되는 탭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담배 케이스는 담배를 수용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개구부를 열거나 닫는 개폐 커버, 상기 컨테이너 안에 설치되는 내부 포장 필름, 상기 내부 포장 필름의 개구부에 부착되는 개봉 레이블을 포함하는 담배 케이스로서, 상기 개봉 레이블은 개봉 필름과, 상기 개봉 필름의 하면에 도포되어 상기 개봉 필름이 상기 내부 포장 필름에 부착되도록 하는 제1 점착제 층을 포함하며, 상기 개봉 필름의 일 측에는 상기 담배 케이스의 개폐 커버와 부착되는 탭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봉 레이블의 제조 방법은 담배 케이스의 내부 포장 필름에 부착되는 개봉 레이블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담배 케이스의 개폐 커버와 부착되는 탭 부분이 형성된 개봉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개봉 필름의 하면에 제1 점착제 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탭 부분의 상면에 제2 점착제 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점착제 층에 제2 이형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담배 케이스를 이용한 담배 포장 방법은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 포장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와, 일 측에 탭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개봉 레이블을 상기 내부 포장 필름의 개구부에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개봉 레이블이 부착된 내부 포장 필름으로 담배를 포장하고 밀봉하는 단계와, 담배를 수용하는 컨테이너 및 상기 컨테이너의 개구부를 열고 닫는 개폐 커버로 이루어진 담배 케이스의 외형 부재를 형성하되, 상기 개봉 레이블이 부착된 내부 포장 필름으로 포장 밀봉된 담배 외부에 상기 컨테이너 및 개폐 커버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봉 레이블을 담배 케이스에 적용하면 사용자가 개봉 레이블의 개폐 동작을 하지 않아도 개폐 커버의 개폐 동작만으로 개봉 레이블의 개폐 동작을 자동화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담배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봉 레이블이 구비된 담배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담배 케이스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담배 케이스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봉 레이블이 개폐 커버에 부착되어 연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봉 레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봉 레이블의 측면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담배 케이스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봉 레이블이 개폐 커버에 부착되어 연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봉 레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봉 레이블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봉 레이블이 구비된 담배 케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담배 케이스는 컨테이너(10), 개폐 커버(20), 내부 포장 필름(30), 개봉 레이블(40)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담배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컨테이너(10)와 개폐 커버(20)는 하드 재질로 만들어져 담배 케이스의 외형 부재를 구성하고 있고, 컨테이너(10)에는 내부 포장 필름(30)이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 포장 필름(30)의 개구부인 담배 배출구(50)에는 개봉 레이블(40)이 점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내부 포장 필름(30)은 외부로부터 공기나 습기를 차폐하여 담배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기능성 필름으로 되어 있다.
개봉 레이블(40)은 그 길이가 종래의 담배 케이스에 부착된 개봉 레이블보다 더 길다. 왜냐하면, 개봉 레이블(40)의 탭 부분(42)이 개폐 커버(20)에 부착되면 개폐 커버(20)의 개폐 동작에 따라 개봉 레이블(40)도 연동하게 되는데, 이때 개봉 레이블(40)의 길이가 종래와 같으면 개봉 레이블(40)의 짧은 길이로 인해 개봉 레이블(40)을 개폐 커버(20)에 부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무리하게 부착했을 때 개폐 커버(20)가 완전히 열리거나 닫히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종래보다 길어진 개봉 레이블(40)이 개폐 커버(20)에 부착되면 개폐 커버(20)의 개폐 동작 시에 개폐 커버(20)가 완전히 열리고 닫히면서 개봉 레이블(40)도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봉 레이블(40)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개봉 레이블(40)의 탭 부분(42)이 담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사용자가 담배를 구입하여 담배 케이스를 개봉하기 전 상태일 때, 컨테이너(10)와 개폐 커버(20)의 경계선 밖으로 개봉 레이블(40)의 탭 부분(42)이 노출되어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봉 레이블(40)에서 사용자는 노출된 탭 부분(42)을 잡아 개봉 레이블(40)을 연 다음에 탭 부분(42)을 개폐 커버(20)에 부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노출된 탭 부분(42)의 제2 이형필름(40e)을 제거한 후 제2 점착제 층(40d)을 이용하여 탭 부분(42)을 개폐 커버(20)에 부착하게 된다(도 7 참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봉 레이블(40)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개봉 레이블(40)의 탭 부분(42)이 접혀서 담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다.
사용자가 담배를 구입하여 담배 케이스를 개봉하게 되면 탭 부분(42)이 접혀 있으며, 사용자는 접혀진 탭 부분(42)을 펴서 잡아 개봉 레이블(40)을 연 다음에 제1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탭 부분(42)을 개폐 커버(20)에 부착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봉 레이블이 개폐 커버에 부착되어 연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개봉 레이블(40)의 탭 부분(42)이 개폐 커버(20)의 전면 하단에 부착되어 있다.
사용자가 제1 실시 예 또는 제2 실시 예에 따라 개봉 레이블(40)의 탭 부분(42)을 개폐 커버(20)에 부착하면, 개봉 레이블(40)이 개폐 커버(20)에 부착하여 이후 사용자가 개폐 커버(20)를 열고 닫을 때 개봉 레이블(40)도 연동하여 동시에 열리고 닫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봉 레이블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7은 개봉 레이블의 측면을 확대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개봉 레이블(40)은 개봉 필름(40a), 개봉 필름(40a)의 하면에 도포되어 개봉 필름(40a)이 내부 포장 필름(30)에 부착되도록 하는 제1 점착제 층(40b)을 포함한다. 여기서 개봉 필름(40a)은 외층 필름(40a-1) 및 베이스 필름(40a-2)으로 구성된다.
도 6에서 개봉 레이블(40)은 이형필름(40c)에 부착 유지된 형태로 제공된다. 복수의 개봉 레이블(40)이 이형필름(40c) 상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며, 이형필름(40c)에서 개봉 레이블(40)을 분리하여 사용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봉 레이블(40)을 부착 유지하는 이형필름(40c)을 제1 이형필름(4c)이라고 칭한다.
제1 점착제 층(40b)은 내부 포장 필름(30)의 개구부(50)에 부착되는 동시에 개구부(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점착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점착제 층(40b)의 하단에는 점착 기능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40f)이 형성되어 있다. 이 코팅층(40f)에 의해 탭 부분(42)이 내부 포장 필름(3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탭 부분(42)을 잡을 때 손가락이 탭 부분(42)에 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 점착제 층(40b)의 하단에 코팅층(40f)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개봉 필름(40a)의 하면에 제1 점착제 층(40b)을 도포할 때 코팅층(40f)에 해당하는 부분에 제1 점착제 층(40b)을 도포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개봉 레이블(40)의 하단에는 담배 케이스의 개폐 커버(20)와 부착되는 탭 부분(42)이 형성되어 있다.
탭 부분(42)은 개폐 커버(20)에 부착될 때 제1 및 제2 실시 예를 위해 사용자가 180도 접을 수 있게 탭 부분(42)의 하면에 탭 부분(42)이 꺾이는 선을 따라 반 절단 선(4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반 절단 선(44)은 제1 점착제 층(40b)과 베이스 필름(40a-2)까지 관통해 있다.
그리고 탭 부분(42)이 개폐 커버(20)에 부착될 수 있도록 개봉 필름(40a)의 하단에 제2 점착제 층(40e)이 도포되어 있고, 제2 점착제 층(40e)에는 제2 이형필름(40d)이 부착되어 있다.
제2 이형필름(40d)의 길이는 개봉 레이블(40)의 열림 방향 길이로 볼 때 탭 부분(42)의 길이보다 짧거나 같고, 제2 점착제 층(40d)의 도포 길이보다 길다. 즉, 사용자가 제2 이형필름(40d)을 잡고 탭 부분(42)에서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제2 이형필름(40d)의 길이를 제2 점착제 층(40d)의 도포 길이보다 길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개봉 레이블(40)을 제작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탭 부분이 형성된 개봉 필름(40a)을 제작한다. 개봉 필름(40a)은 베이스 필름(40a-2)에 외층 필름(40a-1)을 부착하여 제작할 수 있다.
개봉 필름(40a)이 제작되면, 개봉 필름(40a)의 하면에 제1 점착제 층(40b)을 도포한다. 제1 점착제 층(40b)을 도포할 때 탭 부분(42)은 도포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개봉 필름(40a)의 하면 전체에 제1 점착제 층(40b)을 도포한 경우, 제1 점착제 층(40b) 도포 후 탭 부분(42)에 코팅층(40f)을 형성한다.
다음, 탭 부분(42)의 하면에 탭 부분(42)이 접혀 꺾이는 선을 따라 반 절단 선(44)을 형성한다.
다음, 제1 이형필름(40c)을 합지한다.
다음, 탭 부분(42)의 상면에 제2 점착제 층(40d)을 도포하고, 제2 점착제 층(40d)에 제2 이형필름(40e)을 부착한다. 이때, 개봉 레이블(40)의 열림 방향 길이로 볼 때 제2 점착제 층(40d)의 도포 길이는 제2 이형필름(40e)의 길이보다 짧게 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제작된 개봉 레이블(40)이 적용된 담배 케이스를 이용해 담배를 포장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개구부(50)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 포장 필름(30)을 준비한다. 내부 포장 필름(30)에 개구부(50) 형상대로 다이 컷팅(die-cutting)을 하여 내부 포장 필름(30)에 개구부(50)를 형성한다.
다음, 일 측에 탭 부분(42)이 형성되어 있는 개봉 레이블(40)을 내부 포장 필름(30)의 개구부(50)에 부착한다.
다음, 개봉 레이블(40)이 부착된 내부 포장 필름(30)으로 담배를 포장하고 밀봉한다.
그리고 담배를 수용하는 컨테이너(10) 및 컨테이너(10)의 개구부를 열고 닫는 개폐 커버(20)로 이루어진 담배 케이스의 외형 부재를 형성한다.
즉, 개봉 레이블(40)이 부착된 내부 포장 필름(30)으로 포장 밀봉된 담배를 담배 케이스의 외형 부재로 포장할 때, 개봉 레이블(40)의 탭 부분(42)이 노출되도록 담배 케이스의 외형 부재를 형성하거나, 개봉 레이블(40)의 탭 부분(42)을 접은 후 담배 케이스의 외형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담배 케이스를 이용한 담배 포장을 완료한다.
도 2 내지 7에서는 일 측에 탭 부분(42)이 돌출되어 있는 개봉 레이블(40)을 설명하고, 그러한 탭 부분(42)이 있는 개봉 레이블(40)이 적용된 담배 케이스와 그 담배 케이스를 이용해 담배를 포장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봉 레이블과 그 개봉 레이블이 적용된 담배 케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봉 레이블(4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 부분(42')이 도 2 내지 7에 도시된 탭 부분(42)과 달리 개봉 레이블(40')의 본체 너비와 동일하다.
즉, 제3 실시 예에서는 개봉 레이블(40')의 탭 부분(42')이 제1 및 제2 실시 예와 같이 돌출된 부분이 아니며 개봉 레이블(40')과 형태적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제3 실시 예에서 개봉 레이블(40')의 탭 부분(42')은 제1 및 제2 실시 예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게 구분된 부분이 아니며 개봉 레이블(40')의 본체에 속하는 부분으로서,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 손가락으로 잡게 되는 탭 부분이라기보다는 개폐 커버(20)의 하단 내부에 부착되기 위한 점착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개봉 레이블(40')의 탭 부분(42')이 제2 실시 예와 같이 담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제2 실시 예와 달리 개봉 레이블(40')의 탭 부분(42')이 접혀 있지 않다.
사용자가 담배를 구입하여 개폐 커버(20)를 열어 담배 케이스를 개봉하게 되면 개봉 레이블(40')의 탭 부분(42')은 그대로 펴져 있으며, 사용자는 탭 부분(42')의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 개폐 커버(20)를 다시 닫는다.
그런 다음, 탭 부분(42')에 대응하는 개폐 커버(20)의 하단을 누르면 탭 부분(42')이 개폐 커버(20)의 하단 내부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탭 부분(42')이 개폐 커버(20)에 부착되면, 도 9와 같이 개폐 커버(20)를 열 때 개폐 커버(20)에 부착된 개봉 레이블(40')도 연동하게 된다.
도 10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탭 부분(42')을 가진 개봉 레이블(40')을 나타내고, 도 11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봉 레이블(4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탭 부분(42')은 개폐 커버(20)의 하단 안쪽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개봉 필름(40a)의 하단의 상면에 제2 점착제 층(40d)이 도포되어 있고, 제2 점착제 층(40d)에는 제2 이형필름(40e)이 부착되어 있다.
다만, 사용자가 탭 부분(42')을 잡아서 뒤로 접어 개폐 커버(20)에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1 및 제2 실시 예와 달리 반 절단 선(44)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탭 부분(42')의 하면에 제1 점착제 층(40b)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나 점착 기능을 제거를 위한 코팅층이 필요 없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컨테이너 20: 개폐 커버
30: 내부 포장 필름 40, 40': 개봉 레이블
42, 42': 탭 부분

Claims (25)

  1. 담배 케이스의 내부 포장 필름에 부착되는 개봉 레이블에서,
    개봉 필름과,
    상기 개봉 필름의 하면에 도포되어 상기 개봉 필름이 상기 내부 포장 필름에 부착되도록 하는 제1 점착제 층을 포함하며,
    상기 개봉 필름의 일 측에는 상기 담배 케이스의 개폐 커버의 하단 모서리를 감싸면서 개폐 커버의 바깥 면에 부착되는 탭 부분이 형성되어,
    상기 탭 부분이 꺾여 개폐 커버의 하단 모서리를 감싸도록 상기 개봉 필름의 하면에 상기 탭 부분이 꺾이는 선을 따라 반 절단 선이 형성되며, 상기 탭 부분이 개폐 커버의 바깥 면과 부착되도록 상기 탭 부분의 상면에 제2 점착제 층이 도포되고 상기 제2 점착제 층에 제2 이형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레이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탭 부분은 상기 담배 케이스의 개폐 커버가 닫혀 있는 사용자의 개봉 전 상태에서 상기 담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레이블.
  5. 제1항에서,
    상기 탭 부분은 상기 담배 케이스의 개폐 커버가 닫혀 있는 사용자의 개봉 전 상태에서 상기 담배 케이스의 개폐 커버와 부착 시 꺾이는 방향으로 접혀져 있어서 상기 담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레이블.
  6. 제1항에서,
    상기 개봉 레이블의 열림 방향 길이로서 상기 제2 이형필름의 길이는 상기 탭 부분보다 짧거나 같고 상기 제2 점착제 층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레이블.
  7. 제1항에서,
    상기 개봉 필름은 베이스 필름과 베이스 필름상의 외층 필름으로 구성되며, 상기 반 절단 선은 상기 제1 점착제 층과 상기 베이스 필름까지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레이블.
  8. 담배를 수용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개구부를 열거나 닫는 개폐 커버, 상기 컨테이너 안에 설치되는 내부 포장 필름, 상기 내부 포장 필름의 개구부에 부착되는 개봉 레이블을 포함하는 담배 케이스에서,
    상기 개봉 레이블은
    개봉 필름과,
    상기 개봉 필름의 하면에 도포되어 상기 개봉 필름이 상기 내부 포장 필름에 부착되도록 하는 제1 점착제 층을 포함하며,
    상기 개봉 필름의 일 측에는 상기 담배 케이스의 개폐 커버의 하단 모서리를 감싸면서 개폐 커버의 바깥 면에 부착되는 탭 부분이 형성되어,
    상기 탭 부분이 꺾여 개폐 커버의 하단 모서리를 감싸도록 상기 개봉 필름의 하면에 상기 탭 부분이 꺾이는 선을 따라 반 절단 선이 형성되며, 상기 탭 부분이 개폐 커버의 바깥 면과 부착되도록 상기 탭 부분의 상면에 제2 점착제 층이 도포되고 상기 제2 점착제 층에 제2 이형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케이스.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서,
    상기 탭 부분은 상기 담배 케이스의 개폐 커버가 닫혀 있는 사용자의 개봉 전 상태에서 상기 담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케이스.
  12. 제8항에서,
    상기 탭 부분은 상기 담배 케이스의 개폐 커버가 닫혀 있는 사용자의 개봉 전 상태에서 상기 담배 케이스의 개폐 커버와 부착 시 꺾이는 방향으로 접혀져 있어서 상기 담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케이스.
  13. 제8항에서,
    상기 개봉 레이블의 열림 방향 길이로서 상기 제2 이형필름의 길이는 상기 탭 부분보다 짧거나 같고 상기 제2 점착제 층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케이스.
  14. 제8항에서,
    상기 개봉 필름은 베이스 필름과 베이스 필름상의 외층 필름으로 구성되며, 상기 반 절단 선은 상기 제1 점착제 층과 상기 베이스 필름까지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케이스.
  15. 담배 케이스의 내부 포장 필름에 부착되는 개봉 레이블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담배 케이스의 개폐 커버의 하단 모서리를 감싸면서 개폐 커버의 바깥 면에 부착되는 탭 부분이 형성된 개봉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개봉 필름의 하면에 제1 점착제 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탭 부분의 상면에 제2 점착제 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점착제 층에 제2 이형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봉 레이블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서,
    상기 개봉 필름의 하면에 상기 탭 부분의 꺾이는 선을 따라 반 절단 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레이블의 제조 방법.
  17. 제15항에서,
    상기 개봉 레이블의 열림 방향 길이로서 상기 제2 이형필름의 길이는 상기 탭 부분보다 짧거나 같고 상기 제2 점착제 층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레이블의 제조 방법.
  18. 제15항에서,
    상기 개봉 필름의 하면에 제1 점착제 층을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개봉 필름의 탭 부분을 제외하고 제1 점착제 층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레이블의 제조 방법.
  19. 제15항에서,
    상기 개봉 필름의 하면 전체에 제1 점착제 층을 도포하는 경우, 상기 개봉 필름의 탭 부분에 점착 기능 제거를 위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레이블의 제조 방법.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80037921A 2018-04-02 2018-04-02 담배 케이스의 개봉 레이블 KR101909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921A KR101909153B1 (ko) 2018-04-02 2018-04-02 담배 케이스의 개봉 레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921A KR101909153B1 (ko) 2018-04-02 2018-04-02 담배 케이스의 개봉 레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153B1 true KR101909153B1 (ko) 2018-10-17

Family

ID=64099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921A KR101909153B1 (ko) 2018-04-02 2018-04-02 담배 케이스의 개봉 레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171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풀업지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171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풀업지함
KR102301198B1 (ko) * 2019-12-31 2021-09-10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풀업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287B1 (ko) 흡연물품용 팩 및 이러한 팩을 위한 라멜라
JP3587306B2 (ja) たばこ物品のためのパッケージ
JP4975742B2 (ja) シガレットパックのための芳香物ポケット引き裂きテープ
US11208248B2 (en) Container for smoking articles
JP2015231877A (ja) タバコ製品用パッケージ
CZ9901818A3 (cs) Obal na kuřivo a způsob jeho výroby
KR20130136523A (ko) 끽연류용 패키지
US10233004B2 (en) Package
TW201630538A (zh) 菸草工業製品之包裝捆包
KR101909153B1 (ko) 담배 케이스의 개봉 레이블
KR101698714B1 (ko) 패키지
WO2015082386A1 (en) Packaging
US10315824B2 (en) Package
CN107848692B (zh) 软香烟包装
JP2020524118A (ja) 包装された容器
JP3365454B2 (ja) シガレットのソフトパック
KR20010089676A (ko) 봉투 및 접기가능한 봉투용지
CN113557200A (zh) 具有掩蔽元件的可再密封标签和具有可再密封标签的包装膜
CN210028486U (zh) 一种封口贴
CN113023100B (zh) 一种可重复密封的包装盒
CN117508910A (zh) 带开启结构的烟盒
JP2010204618A (ja) 封印シール
JPH0872930A (ja) 包装方法
JP2006056578A (ja) 容器
TW201713579A (zh) 可反置包裝體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