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046B1 - 나이테 구조를 이용한 방사성 폐액 섬유필터장치 - Google Patents

나이테 구조를 이용한 방사성 폐액 섬유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046B1
KR102301046B1 KR1020210043822A KR20210043822A KR102301046B1 KR 102301046 B1 KR102301046 B1 KR 102301046B1 KR 1020210043822 A KR1020210043822 A KR 1020210043822A KR 20210043822 A KR20210043822 A KR 20210043822A KR 102301046 B1 KR102301046 B1 KR 102301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active waste
filter
waste liquid
cartridge
cartridg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명섭
임영하
Original Assignee
대경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경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3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01D29/5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01D29/00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G21F9/12Processing by absorption; by adsorption; by ion-ex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이테 구조를 이용한 방사성 폐액 섬유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원통형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복수개의 드럼 형상의 카트리지가 나이테 형태로 적층되어 마련되고 방사성 폐액이 여과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카트리지 모듈과,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에 방사성 폐액을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에 의해 여과된 방사성 폐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에 의해 공급된 방사성 폐액이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의 안쪽에서 바깥쪽 또는 바깥쪽에서 안쪽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여과되며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사성 폐액의 이온 교환 공정에 있어서, 방사성 폐액이 필터 카트리지 모듈의 안쪽에서 바깥쪽 또는 바깥쪽에서 안쪽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여과되며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나이테 구조를 이용한 방사성 폐액 섬유필터장치{Radioactive Waste Liquid Fiber Filter System Using Nite Structure}
본 발명은 나이테 구조를 이용한 방사성 폐액 섬유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나이테 구조로 마련되는 필터카트리지를 통해 하나의 장치로 양이온, 음이온 및 혼합형의 방사성 폐액을 연속적, 선택적 및 양방향으로 정화하는 나이테 구조를 이용한 방사성 폐액 섬유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원전의 평균 수명이 높아짐에 따라 원전 폐기 기술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원자력 시설에서 발생되는 방사성 폐액은 양이온, 음이온 및 혼합형으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액체 폐기물을 포집 및 치환하여 순수한 물로 정화시켜 처리하는 이온 교환용 섬유필터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이러한 종래의 이온 교환용 섬유필터장치는 방사성 폐액을 한방향으로 여과시키고, 필터의 하우징 내에 각 1개씩의 필터가 장착되어 운영된다. 즉, 종래의 이온 교환용 섬유필터장치는 방사성 폐액의 종류에 따라 각각 따로 사용되어 폐액 처리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3062호를 살펴보면, 오프라인 모듈형 / 이동식 방사성 폐액 처리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여전히 방사성 폐액의 특성에 따라 필터를 교체해야되는 등의 문제로 처리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23062호 (2015.05.19.)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방사성 폐액을 양방향으로 다중 처리할 수 있는 나이테 구조의 카트리지를 구비하여 방사성 폐액의 처리 효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나이테 구조를 이용한 방사성 폐액 섬유필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원통형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복수개의 드럼 형상의 카트리지가 나이테 형태로 적층되어 마련되고 방사성 폐액이 여과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카트리지 모듈과,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에 방사성 폐액을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에 의해 여과된 방사성 폐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에 의해 공급된 방사성 폐액이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의 안쪽에서 바깥쪽 또는 바깥쪽에서 안쪽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여과되며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방사성 폐액의 이온 교환 공정에 있어서, 방사성 폐액이 필터 카트리지 모듈의 안쪽에서 바깥쪽 또는 바깥쪽에서 안쪽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여과되며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 카트리지 모듈은 나이테 구조로 마련되어 방사성 폐액이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여과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이테 구조를 이용한 방사성 폐액 섬유필터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이테 구조를 이용한 방사성 폐액 섬유필터장치의 필터 카트리지 모듈, 급수부 및 배수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로, (a)는 방사성 폐액이 여과될 수 있도록 개폐장치가 개방된 모습, (b)는 방사성 폐액이 여과될 수 없도록 개폐장치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로, (a)는 방사성 폐액이 여과될 수 있도록 개폐장치가 개방된 모습, (b)는 방사성 폐액이 여과될 수 없도록 개폐장치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의 단면 중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카트리지의 상부와 하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나이테 구조를 이용한 방사성 폐액 섬유필터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나이테 구조를 이용한 방사성 폐액 섬유필터장치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원통형 필터하우징(100)과,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내부에 마련되며, 복수개의 드럼 형상의 카트리지가 나이테 형태로 적층되어 마련되고 방사성 폐액이 여과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과,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에 방사성 폐액을 공급하는 급수부(300)와,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에 의해 여과된 방사성 폐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부(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300)에 의해 공급된 방사성 폐액이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의 안쪽에서 바깥쪽 또는 바깥쪽에서 안쪽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여과되며 정화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필터하우징(100)은, 밀폐형으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상부에 마련되는 커버부(11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10)는 중앙부가 볼록한 형태로 마련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필터하우징(110)의 상단면을 감싸며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110)는 상기 커버부(110)가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상단부에 단단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체결부(111)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111)는 상기 커버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111)는 상기 커버부(110)가 상기 필터하우징(100)에 체결되어 상기 필터하우징(100)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볼트, 클램프 등 여러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하우징(100)은,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필터하우징(10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받침대(12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120)는 지면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원형 기둥의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필터하우징(100)이 지면과 이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120)에는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용이한 이동을 위해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하우징(100)은,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이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내부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고정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고정부(130)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의 하단부와 맞물리도록 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즉,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이 상기 필터고정부(130)에 안착되면,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은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은,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1카트리지(200-1), 상기 제1카트리지(200-1)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적층되는 제2카트리지(200-2) 및, 상기 제2카트리지(200-2)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적층되는 제3카트리지(200-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200-1,2,3)는, 양단부가 개방된 원형 드럼의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카트리지(200-1), 제2카트리지(200-2) 및 제3카트리지(200-3)의 직경이 서로 상이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을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할 시에 서로 이격되어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의 단면이 나이테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카트리지(200-1)가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내부 중앙부에 배치되고, 그 다음으로 상기 제2카트리지(200-2)가 상기 제1카트리지(200-1)와 이격되며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카트리지(200-3)가 상기 제2카트리지(200-2)와 이격되며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복수개의 상기 카트리지(200-1,2,3)는 서로 동심원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복수개의 상기 카트리지(200-1,2,3)에는, 내부에 폐액처리부(21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폐액처리부(210)는, 이온 교환용 섬유 소재로 마련되어 방사성 폐액을 여과하는 섬유필터(211)와, 상기 섬유필터(211)의 표면에 마련되는 여과판(21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여과판(212)은, 섬유소재임에 따라 유연성을 갖는 상기 섬유필터(211)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여과판(212)에 의해 상기 폐액처리부(210)가 드럼형상으로 유지되어 상기 카트리지(200-1,2,3)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판(212)은 방사성 폐액의 이물질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난여과성 폐액의 여과가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폐액처리부(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드럼형상의 타공드럼(220), 상기 타공드럼(22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마련되는 원통 형상의 개폐장치(230) 및, 상기 타공드럼(220)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필터고정부(130)와 맞물리며 결합되는 암고정부(2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타공드럼(220)은 상기 타공드럼(220)의 내주면과 외주면의 일측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타공홀(221)을 포함한다. 상기 타공홀(221)은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에 공급되는 방사성 폐액이 상기 폐액처리부(210)로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복수개의 홀 형태로 마련된다. 일례로, 상기 타공홀(221)은 상기 타공드럼(220)의 원주면 상에서 서로 대칭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고정부(240)는 상기 타공드럼(220)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암고정부(240)는 상기 필터고정부(130)와 맞물려 고정되는 경우, 상기 타공드럼(220)을 고정시킨다. 즉, 상기 개폐장치(240)는 상기 필터고정부(130)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타공드럼(220)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개폐장치(230)는 상기 카트리지(200-1,2,3)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개폐장치(230)는 상기 타공드럼(22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타공드럼(220)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개폐장치(230)는 상기 필터고정부(130)에 의해 고정된 상기 타공드럼(220)와 결합을 유지한 상태로 원주면을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230)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타공홀(221)과 연통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개스킷(2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스킷(231)은, 상기 개폐장치(230)에 의하여 상기 타공드럼(220)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방식으로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타공홀(221)을 개폐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개스킷(231)은 상기 개폐장치(230)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각각 복수개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개스킷(231)은 상기 개폐장치(230)가 회전되면 상기 타공드럼(220)의 원주면 상에서 위치가 가변된다. 이때, 상기 타공홀(221)은 도 5와 도 6의 (b)와 같이 상기 개폐장치(230)에 의해 밀폐되어, 방사성 폐액이 여과될 수 없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개폐장치(230)를 다시 반대로 회전시키면, 상기 개스킷(231)의 위치가 가변되며 상기 타공홀(221)이 위치한 부분으로 배치되어, 방사성 폐액이 상기 폐액처리부(210)의 내부로 여과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급수부(300)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에 방사성 폐액이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급수배관(310) 및, 방사성 폐액이 상기 급수배관(310)을 통해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순환펌프(3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배관(310)은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의 상부에 연결되어, 방사성 폐액이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상부로 유동되어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의 상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급수배관(310)은,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의 중심부에 연결되는 제1급수배관(310-1), 상기 제1카트리지(200-1)와 제2카트리지(200-2)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2급수배관(310-2), 상기 제2카트리지(200-2)와 제3카트리지(200-3)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3급수배관(310-3) 및, 상기 제3카트리지(200-3)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제4급수배관(310-4)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상기 급수배관(310)에는 각각, 상기 급수배관(310)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수밸브(311)가 구비되어 방사성 폐액의 유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급수부(300)는 상기 급수배관(310)을 통해 공급되는 방사성 폐액의 유압을 측정하는 급수부 압력계(330)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부 압력계(330)는 측정된 상기 급수배관(310) 내의 유압을 게이지를 통해 나타내어, 방사성 폐액이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에 원활하게 공급되는지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수부(400)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에 의하여 여과된 방사성 폐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배수배관(410) 및,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에 의하여 여과된 방사성 폐액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4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배관(410)은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여과 처리가 완료된 방사성 폐액이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의 하부로부터 유동되어, 상기 필터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량계(420)는, 상기 배수배관(4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정화가 완료된 방사성 폐액이 배출되는 양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배관(410)은,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의 중심부에 연결되는 제1배수배관(410-1), 상기 제1카트리지(200-1)와 제2카트리지(200-2)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2배수배관(410-2), 상기 제2카트리지(200-2)와 제3카트리지(200-3)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3배수배관(410-3) 및, 상기 제3카트리지(200-3)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제4배수배관(410-4)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상기 배수배관(410)에는 각각, 상기 배수배관(410)의 개폐를 제어하는 배수밸브(411)가 구비되어 방사성 폐액의 유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급수배관(310)과 배수배관(410)은 다중으로 마련되며 각각 복수개의 급수밸브(311) 및 배수밸브(411)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어, 방사성 폐액의 여과가 시작되는 방향과 배출되는 방향이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수부(300)는 상기 배수배관(410)을 통해 공급되는 방사성 폐액의 유압을 측정하는 배수부 압력계(430)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부 압력계(430)는 측정된 상기 배수배관(410) 내의 유압을 게이지를 통해 나타내어, 배출되는 방사성 폐액의 유압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 급수부(300) 및 배수부(400)를 통해 방사성 폐액의 선택적 처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급수배관(310-1)을 통해 방사성 폐액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2,3,4급수배관(310-2,3,4)는 상기 급수밸브(311)를 통해 폐쇄된다. 그리고, 방사성 폐액은 상기 제1카트리지(200-1)의 안쪽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상기 제1카트리지(200-1), 제2카트리지(200-2) 및 제3카트리지(200-3) 순으로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여과가 완료된 방사성 폐액은 상기 제2,3,4배수배관(410-2,3,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급수배관(310-2)을 통해 방사성 폐액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1,3,4급수배관(310-1,3,4)는 상기 급수밸브(311)를 통해 폐쇄된다. 그리고, 방사성 폐액은 상기 제2카트리지(200-2)의 안쪽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상기 제2카트리지(200-2) 및 제3카트리지(200-3) 순으로 여과될 수 있다. 또한, 방사성 폐액은 상기 제2카트리지(200-2)와 제1카트리지(200-1)의 사이에서부터 제1카트리지(200-1)의 안쪽 방향으로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여과가 완료된 방사성 폐액은 상기 제1,3,4배수배관(410-1,3,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3급수배관(310-3)을 통해 방사성 폐액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1,2,4급수배관(310-1,2,4)는 상기 급수밸브(311)를 통해 폐쇄된다. 그리고, 방사성 폐액은 상기 제3카트리지(200-3)의 안쪽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여과된다. 또한, 방사성 폐액은 상기 제2카트리지(200-2)와 제3카트리지(200-3)의 사이에서부터 제1카트리지(200-1)의 안쪽 방향으로, 상기 제2카트리지(200-2), 제1카트리지(200-1) 순으로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여과가 완료된 방사성 폐액은 상기 제1,2,4배수배관(410-1,2,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4급수배관(310-4)을 통해 방사성 폐액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1,2,3급수배관(310-1,2,3)는 상기 급수밸브(311)를 통해 폐쇄된다. 그리고, 방사성 폐액은 상기 제4카트리지(200-4)의 바깥쪽부터 안쪽 방향으로, 상기 제4카트리지(200-4), 제3카트리지(200-3) 및 제2카트리지(200-2) 순으로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여과가 완료된 방사성 폐액은 상기 제1,2,3배수배관(410-1,2,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200)은, 방사성 폐액의 특성에 따라 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여과하며 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방사성 폐액을 양방향으로 여과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사성 폐액의 이온 교환 공정에 있어서, 방사성 폐액이 필터 카트리지 모듈의 안쪽에서 바깥쪽 또는 바깥쪽에서 안쪽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여과되며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 카트리지 모듈은 나이테 구조로 마련되어 방사성 폐액이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여과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필터하우징
110 : 커버부
111 : 체결부
120 : 받침대
130 : 필터고정부
200 : 필터 카트리지 모듈
200-1 : 제1카트리지
200-2 : 제2카트리지
200-3 : 제3카트리지
210 : 폐액처리부
211 : 섬유필터
212 : 여과판
220 : 타공드럼
221 : 타공홀
230 : 개폐장치
231 : 개스킷
240 : 암고정부
300 : 급수부
310 : 급수배관
310-1 : 제1급수배관
310-2 : 제2급수배관
310-3 : 제3급수배관
310-4 : 제4급수배관
311 : 급수밸브
320 : 순환펌프
330 : 급수부 압력계
400 : 배수부
410 : 배수배관
410-1 : 제1배수배관
410-2 : 제2배수배관
410-3 : 제3배수배관
410-4 : 제4배수배관
411 : 배수밸브
420 : 유량계
430 : 배수부 압력계

Claims (5)

  1.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원통형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복수개의 드럼 형상의 카트리지가 나이테 형태로 적층되어 마련되고 방사성 폐액이 여과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카트리지 모듈;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에 방사성 폐액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에 의해 여과된 방사성 폐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은,
    상기 필터하우징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1카트리지;
    상기 제1카트리지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적층되는 제2카트리지;
    상기 제2카트리지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적층되는 제3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타공홀; 및
    상기 카트리지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타공홀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급수부에 의해 공급된 방사성 폐액이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의 안쪽에서 바깥쪽 또는 바깥쪽에서 안쪽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여과되며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테 구조를 이용한 방사성 폐액 섬유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타공홀과 연통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개스킷;을 포함하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개폐장치에 의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방식으로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타공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테 구조를 이용한 방사성 폐액 섬유필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 모듈에 의하여 여과된 방사성 폐액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테 구조를 이용한 방사성 폐액 섬유필터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10043822A 2021-04-05 2021-04-05 나이테 구조를 이용한 방사성 폐액 섬유필터장치 KR102301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822A KR102301046B1 (ko) 2021-04-05 2021-04-05 나이테 구조를 이용한 방사성 폐액 섬유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822A KR102301046B1 (ko) 2021-04-05 2021-04-05 나이테 구조를 이용한 방사성 폐액 섬유필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046B1 true KR102301046B1 (ko) 2021-09-10

Family

ID=77777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822A KR102301046B1 (ko) 2021-04-05 2021-04-05 나이테 구조를 이용한 방사성 폐액 섬유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0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31305A (ja) * 2009-07-02 2012-12-10 オーリコン レイボルド バキューム ゲーエムベーハー 多段式の油分離機
JP2014224755A (ja) * 2013-05-16 2014-12-04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放射性物質のモニタリング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フィルタ
KR101523062B1 (ko) 2013-12-16 2015-06-0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오프라인 모듈형/이동식 방사성 폐액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31305A (ja) * 2009-07-02 2012-12-10 オーリコン レイボルド バキューム ゲーエムベーハー 多段式の油分離機
JP2014224755A (ja) * 2013-05-16 2014-12-04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放射性物質のモニタリング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フィルタ
KR101523062B1 (ko) 2013-12-16 2015-06-0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오프라인 모듈형/이동식 방사성 폐액 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5053C2 (ru) Фильтрующий модуль и его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е расположение в фильтрующей системе
KR20180104755A (ko) 모듈러 여과 플랫폼
KR100870572B1 (ko) 회동형 커넥터를 가지는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US6521124B2 (en) Reverse osmosis liquid filter system with ultraviolet filtration
US20020023865A1 (en) Multi-element, reverse osmosis, liquid filter system with flushing and filtering circuits
US3707233A (en) Filter tank and mounting adaptor for multiport valves
KR102301046B1 (ko) 나이테 구조를 이용한 방사성 폐액 섬유필터장치
PL89479B1 (ko)
RU2436617C2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и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такой системы
KR100476096B1 (ko) 정수기용 필터
CN116819030A (zh) 自来水管道水质净化监测装置
CN210048610U (zh) 一种台式净水器
KR101510571B1 (ko) 정수기필터구조
CN215975251U (zh) 一种智能型反渗透多效保护装置
JPH0529115Y2 (ko)
CN211814022U (zh) 全自动化实验室污水废水处理设备
KR100499804B1 (ko) 정수기의 필터 연결 장치
KR101548911B1 (ko) 수압을 이용한 정수장치
CN112169395A (zh) 一种可拆装滤盘的盘式过滤器
CN219449358U (zh) 用于过滤的多路径无管水路平台
CN213771689U (zh) 一种深度净化的饮用水净化装置
KR102597781B1 (ko) 소형생물 차단장치
KR20200016485A (ko) 수전용 카트리지타입 정수장치
CN217202390U (zh) 一种新型光催化的净水设备
KR20180102795A (ko) 여과 및 살균처리 기능을 갖는 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