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968B1 - 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 - Google Patents

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968B1
KR102300968B1 KR1020190153335A KR20190153335A KR102300968B1 KR 102300968 B1 KR102300968 B1 KR 102300968B1 KR 1020190153335 A KR1020190153335 A KR 1020190153335A KR 20190153335 A KR20190153335 A KR 20190153335A KR 102300968 B1 KR102300968 B1 KR 102300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ore
fiber
graded index
light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764A (ko
Inventor
하진용
두라니 칸 압둘라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3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96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6Optical cohere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6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optical, e.g. for light supply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65Optical arrangements with light-conductive means, e.g. fibre o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 A61B1/313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for examination of the interior of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4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introduction into the body, e.g. by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6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6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livering implantable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6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livering implantable medical measuring apparatus cathet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28Microwav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2Arrangements of medical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Connectors or couplings specifically adapted for medical sensors
    • A61B2562/225Connectors or coupl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는 입력되는 광 빔의 파장에 대해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단일 모드 광섬유;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광 빔으로부터 평행광을 형성시키는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 상기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평행광의 위상 차이를 발생시키는 링 코어 광섬유; 상기 링 코어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광 빔이 원하는 크기로 확장되거나 발산되도록 하는 난 코어 광섬유; 및 상기 난 코어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에서 방출된 광선을 집중시키는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를 포함하여 depth of focus(DOF)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CARDIOVASCULAR OCT OPTICAL PROBE USING RING CORE FIBER}
본 발명은 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single mode fiber(SMF), non-core fiber(NCF), graded index(GRIN) fiber로 모두 섬유이며, 광학 융착(optical fusion splicing)에 의해 구현되는 광학 프로브 구성에 ring core fiber(RCF)를 추가하여 depth of focus(DOF)를 향상시킨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학 프로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ngle mode fiber(SMF), non-core fiber(NCF), graded index(GRIN) fiber로 all fiber 이며, 광학 융착(optical fusion splicing)에 의해 구현되거나, phase shifter를 부착하여 구현되는데, 이러한 종래 광학 프로브는 제한된 DOF(Depth Of Focus)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6475호(2016.04.22)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single mode fiber(SMF), non-core fiber(NCF), graded index(GRIN) fiber로 모두 섬유이며, 광학 융착에 의해 구현되는 종래의 광학 프로브 구성에 링 코어 광섬유(RCF:Ring core fiber)를 추가하여 depth of focus(DOF)를 향상시킨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는 입력되는 광 빔의 파장에 대해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단일 모드 광섬유;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광 빔으로부터 평행광을 형성시키는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 상기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평행광의 위상 차이를 발생시키는 링 코어 광섬유; 상기 링 코어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광 빔이 원하는 크기로 확장되거나 발산되도록 하는 난 코어 광섬유; 및 상기 난 코어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에서 방출된 광선을 집중시키는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는 도파로를 형성하고 굴절률을 높이기 위해 게르마늄 농도로 도핑 된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광섬유 코어; 및 상기 광섬유 코어를 중심으로 외주면에 실리콘으로 제조되어 형성되는 클래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의 길이는 상기 평행광의 폭과 상기 링 코어 광섬유의 원형 코어 지름의 차이가 소정의 임계치 이내가 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 코어 광섬유의 길이는 상기 링 코어 광섬유의 원형 코어 영역과 주변 영역을 통과하는 광 경로의 위상 차이가 180도의 정수배에 해당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DS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는 입력되는 광 빔의 파장에 대해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단일 모드 광섬유;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광 빔으로부터 평행광을 형성시키는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 상기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평행광의 위상 차이를 발생시키는 분산 편이 광섬유; 상기 분산 편이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광 빔이 원하는 크기로 확장되거나 발산되도록 하는 난 코어 광섬유; 및 상기 난 코어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에서 방출된 광선을 집중시키는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DS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는 입력되는 광 빔의 파장에 대해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단일 모드 광섬유;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광 빔으로부터 평행광을 형성시키는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 상기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평행광의 위상 차이를 발생시키는 분산 평 광섬유; 상기 분산 평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광 빔이 원하는 크기로 확장되거나 발산되도록 하는 난 코어 광섬유; 및 상기 난 코어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에서 방출된 광선을 집중시키는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는 종래의 광학 프로브 구성에 ring core fiber(RCF)를 추가하여 depth of focus(DOF)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는 RCF가 phase shifter의 역할을 대체하므로, 반도체 제조 공정이 요구되는 phase shifter를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프로브 생산의 난이도를 낮추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OCT에 사용되는 종래 광학 프로브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S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5는 각각 RCF 및 DSF의 반경에 대한 굴절률의 그래프이다.
도 6는 RCF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의 DOF 확장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DFF의 반경에 대한 굴절률의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는 단일 모드 광섬유(SMF:Single mode fiber,100),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GRIN:graded index fiber,200), 링 코어 광섬유(RCF:ring core fiber,300),난 코어 광섬유(NCF:non-core fiber,400), 및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GRIN:graded index fiber,500)를 포함한다.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SMF:Single mode fiber,100)는 클래딩에 의해 둘러싸인 파이버 코어를 가질 수 있다. 크기는 부분적으로 광빔의 파장에 대한 단일 모드 동작에 기초하여 선택되고, 코어 직경이 ~ 9 μm 인 표준 원거리 통신 광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클래딩은 일반적으로 순수한 실리콘으로 제조되며, 광섬유 코어 는 일반적으로 도파로를 형성하고 굴절률을 높이기 위해 게르마늄 농도로 도핑 된 실리콘으로 주로 제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일 모드 광섬유(100)는 약 8-10㎛의 코어 직경과 약 125 ± 2㎛의 클래딩 직경을 갖는 단일 모드 광섬유이다.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1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GRIN:graded index fiber,200)는 입력된 광 빔으로부터 평행광을 형성시킨다. 이는, 상기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200)가 빛 굴절을 유발하고, 렌즈의 초점 조절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링 코어 광섬유(RCF:ring core fiber,300)는 입력된 평행광에 대하여 위상의 차이를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상기 링 코어 광섬유(300) 렌즈는 중공이 형성된 원형 코어 및 환형 클래딩을 갖는다. 이때, 원형 코어의 중공 부분과 클래딩에서는 동일한 굴절률을 나타낼 수 있으며, 원형 코어는 그보다 높은 굴절률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링 코어 광섬유(300)의 I, II, III 영역의 굴절률은 각각 n2, n1, n2로 상이하여, 굴절률이 n2인 영역을 지나는 광과 굴절률이 n1인 영역을 지나는 광에 위상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광경로의 위상 차이를 줄 수 있는 굴절률 프로파일(profile)을 가진 다른 종류의 광섬유가 상기 링 코어 광섬유(300)를 대체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링 코어 광섬유(300)의 중심부(I 영역)과 원형 코어 영역(II 영역), 외부 영역(III 영역)에서 굴절률(refractive index)에 차이가 두드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200)의 길이는 평행광의 폭과 상기 링 코어 광섬유(300) 원형 코어 지름의 차이가 소정의 임계치 이내가 되도록 결정된다.
즉,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100) 이후 상기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200)로 빔이 들어가고, 빔이 퍼지면서 평행광이 만들어 진다. 이때,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200)의 길이는 상기 링 코어 광섬유(300)의 원형 코어 지름만큼 평행광이 퍼지도록 하는 길이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임계치는 측정 오차 범위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링 코어 광섬유(300)의 원형 코어 영역(II 영역)의 지름(b)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링 코어 광섬유(300)의 길이는 상기 링 코어 광섬유(300)의 원형 코어 영역과 주변 영역을 통과하는 광 경로의 위상 차이가 180도의 정수배에 해당하도록 결정된다.
즉, 상기 링 코어 광섬유(300)의 원형 코어 영역(II 영역)과 주변 영역(I, III 영역)을 통과하는 광의 광 경로의 위상 차이가 180도의 정수배에 해당하도록 상기 링 코어 광섬유(300)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링 코어 광섬유(300)의 길이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 1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9121751663-pat00001
여기서, S는 상기 링 코어 광섬유(300)의 길이이고, N은 정수이고, n1, n2는 II영역 및 I, III 영역의 굴절률이고, λ는 빛의 파장이다.
예컨대, 빛의 파장이 결정되어 있고, 굴절률 n1, n2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 S는 N이 증가하면서 20.4um, 40.8um, 61.2um, ...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링 코어 광섬유(300)의 단부에 형성되는 난 코어 광섬유(NCF:non-core fiber,400)는 빔 확장기 또는 빔 익스팬더의 일예로 자유 공간을 에뮬레이션하기 위해 균일하고 일정한 특성을 갖는 고체 섬유이다.
상기 난 코어 광섬유(200)는 도핑된 코어가 없으며 일반적으로 유리 또는 순수 실리카 섬유의 단단한 조각이다.
빔 익스팬더의 일예에 해당하는 상기 난 코어 광섬유(400)는 광 빔이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500)에 도달하기 전에 광 빔이 원하는 크기로 확장되거나 발산되도록 한다.
상기 난 코어 광섬유(400)의 길이는 주어진 발산 각에 대한 광 빔의 팽창량을 결정하고, 바람직한 팽창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난 코어 광섬유(400)가 링 코어 광섬유(300) 및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500) 모두에 스플라이스되기 때문에, 상기 난 코어 광섬유(400)는 자동적으로 정렬된다.
상기 난 코어 광섬유(400)의 사용은 몇 가지 이유로 공기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난 코어 광섬유(400)는 더 양호한 온도 안정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표면 반사를 줄이기 위해 상기 링 코어 광섬유(300) 및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500) 상에 파장 관련 코팅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조 과정에서 상기 링 코어 광섬유(300)와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500) 모두에 난 코어 광섬유(400)가 자동으로 정렬된다.
상기 난 코어 광섬유(4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500)는 상기 난 코어 광섬유(400)에서 방출된 광선을 집중시킨다.
이는,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500)가 빛 굴절을 유발하고, 렌즈 초점 조절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200, 500) 렌즈는 원통형 코어 및 환형 클래딩을 갖는다. 상기 코어에서, 굴절률은 상기 제1 및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200, 500) 렌즈의 축으로부터의 반경 방향 거리에 따라 변한다. 전형적으로, 코어 굴절률은 거의 포물선모양으로 감소한다.
상기 클래딩에서 굴절률은 일정하며, 상기 코어에서 보다 낮은 값을 갖는다.
빔 포커싱을 위해, 상기 제1 및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200, 500) 렌즈는 평탄한 표면을 갖는 축 방향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로 지칭된다. 곡면이 있는 일반 렌즈처럼 포커스 라이트가 없다.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가 특정 길이로 절단될 때, 짧은 길이의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는 광선을 집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학 렌즈가 상기 난 코어 광섬유(400)의 종단에 융합되면, 상기 난 코어 광섬유(400)에서 방출된 광선을 집중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S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는 단일 모드 광섬유(SMF:Single mode fiber,100),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GRIN:graded index fiber,200), 분산 편이 광섬유(DSF:dispersion shifted fiber,600),난 코어 광섬유(NCF:non-core fiber,400), 및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GRIN:graded index fiber,500)를 포함한다.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1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GRIN:graded index fiber,200)는 입력된 광 빔으로부터 평행광을 형성시킨다.
상기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분산 편이 광섬유(DSF:dispersion shifted fiber,600)는 입력된 평행광에 대하여 위상의 차이를 발생시킨다.
상기 분산 편이 광섬유(DSF:dispersion shifted fiber,600)는 1.55μm에서 최소 분산, 즉 0분산을 나타내도록 광섬유의 비굴절률 차, 굴절률 분포 등을 변경하여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의 색분산을 상쇄한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분산 편이 광섬유(600)의 중심부(-10~10um)와 그 외의 영역(-10um 이하, 10um 이상)에서 굴절률(refractive index)에 차이가 두드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산 편이 광섬유(600)를 대신하여 분산 평 광섬유(DFF: dispersion flatted fiber,미도시)가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을 참조하면, DFF의 반경에 따른 굴절률 특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광 경로에 따른 위상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분산 편이 광섬유(600)의 단부에 형성되는 난 코어 광섬유(NCF:non-core fiber,400)는 광 빔이 원하는 크기로 확장되거나 발산되도록 한다.
상기 난 코어 광섬유(4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500)는 상기 난 코어 광섬유(400)에서 방출된 광선을 집중시킨다.
도 7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는 상기 링 코어 광섬유(300) 또는 상기 분산 편이 광섬유(600)를 포함하여 더 긴 초점 길이를 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DOF가 0.93mm(도 7a)에서 1.70mm(도 7b)로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도 7a는 기존의 프로브 디자인을 이용하였으며, 기존의 프로브 디자인은 단일 모드 광섬유, 난 코어 광섬유(396um),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249um)를 포함한다. 한편, 도 7b는 본 발명의 프로브 디자인을 이용하였으며, 본 발명의 프로브 디자인은 단일 모드 광섬유,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220um), 링 코어 광섬유(61um), 난 코어 광섬유(116um),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185um)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난 코어 광섬유(400)와 상기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500)의 길이는 원하는 워킹 디스턴스(working distance)와 스팟 크기(spot size)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단일 모드 광섬유(SMF:Single mode fiber)
200 :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GRIN:graded index fiber)
300 : 링 코어 광섬유(RCF:ring core fiber)
400 : 난 코어 광섬유(NCF:non-core fiber)
500 :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GRIN:graded index fiber)
600 : 분산 편이 광섬유(DSF:dispersion shifted fiber)

Claims (6)

  1. 입력되는 광 빔의 파장에 대해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단일 모드 광섬유;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광 빔으로부터 평행광을 형성시키는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GRIN: graded index fiber);
    상기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GRIN)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평행광의 위상 차이를 발생시키는 링 코어 광섬유(RCF:Ring Core Fiber);
    상기 링 코어 광섬유(RCF)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광 빔이 원하는 크기로 확장되거나 발산되도록 하는 난 코어 광섬유(NCF: non-core fiber); 및
    상기 난 코어 광섬(NCF)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에서 방출된 광선을 집중시키는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GRIN);를 포함하는 링 코어 광섬유(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는
    도파로를 형성하고 굴절률을 높이기 위해 게르마늄 농도로 도핑 된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광섬유 코어; 및
    상기 광섬유 코어를 중심으로 외주면에 실리콘으로 제조되어 형성되는 클래딩;을 포함하는 링 코어 광섬유(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GRIN)의 길이는
    상기 평행광의 폭과 상기 링 코어 광섬유(RCF)의 원형 코어 지름의 차이가 소정의 임계치 이내가 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 코어 광섬유(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 코어 광섬유(RCF)의 길이는
    상기 링 코어 광섬유(RCF)의 원형 코어 영역과 주변 영역을 통과하는 광 경로의 위상 차이가 180도의 정수배에 해당하도록 결정되는 링 코어 광섬유(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
  5. 입력되는 광 빔의 파장에 대해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단일 모드 광섬유;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광 빔으로부터 평행광을 형성시키는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GRIN: graded index fiber);
    상기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GRIN)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평행광의 위상 차이를 발생시키는 분산 편이 광섬유(DSF;Dispersion Shifted Fiber);
    상기 분산 편이 광섬유(DSF)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광 빔이 원하는 크기로 확장되거나 발산되도록 하는 난 코어 광섬유(NCF: non-core fiber); 및
    상기 난 코어 광섬유(NCF)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에서 방출된 광선을 집중시키는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GRIN);를 포함하는 분산 편이 광섬유(DS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
  6. 입력되는 광 빔의 파장에 대해 단일 모드로 동작하는 단일 모드 광섬유;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광 빔으로부터 평행광을 형성시키는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GRIN: graded index fiber);
    상기 제1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GRIN)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평행광의 위상 차이를 발생시키는 분산 평 광섬유(DFF:Dispersion Flatted Fiber);
    상기 분산 평 광섬유(DFF)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광 빔이 원하는 크기로 확장되거나 발산되도록 하는 난 코어 광섬유(NCF: non-core fiber); 및
    상기 난 코어 광섬유(NCF)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에서 방출된 광선을 집중시키는 제2 그레이디드 인덱스 광섬유(GRIN);를 포함하는 분산 평 광섬유(DF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
KR1020190153335A 2019-11-26 2019-11-26 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 KR102300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335A KR102300968B1 (ko) 2019-11-26 2019-11-26 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335A KR102300968B1 (ko) 2019-11-26 2019-11-26 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764A KR20210064764A (ko) 2021-06-03
KR102300968B1 true KR102300968B1 (ko) 2021-09-10

Family

ID=7639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335A KR102300968B1 (ko) 2019-11-26 2019-11-26 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9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590A (ko) 2022-06-14 2023-12-2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절 렌즈를 이용하는 oct 광학 프로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1855A (ja) 2000-01-28 2003-07-15 エムシーアイ・ワールドコム・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複合光ファイバ伝送線及び伝送方法
JP2019100743A (ja) 2017-11-29 2019-06-24 アダマンド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レーザラインジェネレー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3738A (ja) * 1996-06-21 1998-03-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伝送用波長多重通信リンク
KR100666433B1 (ko) * 1999-12-28 2007-01-09 주식회사 케이티 분산제어광섬유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50033189A (ko) * 2003-10-06 2005-04-12 광주과학기술원 고차 모드 분산 보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통신 시스템
KR101616475B1 (ko) 2014-03-03 2016-04-29 주식회사 지에스엠코리아 Pzt를 이용한 oct 프로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1855A (ja) 2000-01-28 2003-07-15 エムシーアイ・ワールドコム・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複合光ファイバ伝送線及び伝送方法
JP2019100743A (ja) 2017-11-29 2019-06-24 アダマンド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レーザラインジェネレータ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i wang, et. al., Measurement of the focusing constant of gradient-index fiber lens and its application in developing GRIN fiber probes, Measurement 90 (2016) 542-54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590A (ko) 2022-06-14 2023-12-2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절 렌즈를 이용하는 oct 광학 프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764A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8883B2 (en) Symmetric, bi-aspheric lens for use in optical fiber collimator assemblies
US7920763B1 (en) Mode field expanded fiber collimator
JP2012203416A (ja) 曲げ耐性マルチモード光ファイバ
WO2012003103A1 (en) Fiberoptic device with long focal length gradient-index or grin fiber lens
JP2009093070A (ja) ホーリーファイバ
JP2017535810A (ja) ビーム整形コンポーネントを備える光ファイバアセンブリ
RU2771518C2 (ru) Оптическое волокно
WO2002088803A2 (en) Dispersion shifted fiber having low dispersion slope
JP7388353B2 (ja) 光ファイバ
CN109073822B (zh) 带透镜的光纤及光耦合器
KR102300968B1 (ko) Rcf를 활용한 심혈관 oct 광학 프로브
JP6312760B2 (ja) 光ファイバ
JPWO2019172022A1 (ja) 光ファイバ
JP5945472B2 (ja) 曲げ耐性マルチモード光ファイバ
JP4690249B2 (ja) 高屈曲性光ファイバ
JP2017111173A (ja) ファイバヒューズ抑圧ファイバ及び光コネクタ
US20020114568A1 (en) Optical fiber termination collimator and process of manufacture
JP2002365469A (ja) 分散補償光ファイバの接続構造
JP2005300596A (ja) 複合光ファイバ、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
US6644870B2 (en) Optical fiber transmission line
Seraji et al. A review on the designed low–loss single–mode optical fiber used in fiber–to–the–home networks
US9753216B2 (en) Multimode optical fiber and optical cable including the same
JP2005195752A (ja) 光ファイバコリメータ
JP6746625B2 (ja) 光ファイバ
JP2004013163A (ja) シングルモード光ファイバ並びに光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