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636B1 - 조작이 쉬운 부력 봉돌 - Google Patents

조작이 쉬운 부력 봉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636B1
KR102300636B1 KR1020190141121A KR20190141121A KR102300636B1 KR 102300636 B1 KR102300636 B1 KR 102300636B1 KR 1020190141121 A KR1020190141121 A KR 1020190141121A KR 20190141121 A KR20190141121 A KR 20190141121A KR 102300636 B1 KR102300636 B1 KR 102300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housing
buoyancy
rod
space
buoyanc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4887A (ko
Inventor
신태길
Original Assignee
신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태길 filed Critical 신태길
Priority to KR1020190141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6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887A/ko
Priority to KR1020210117220A priority patent/KR102397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위쪽으로 낚시찌 또는 낚싯대와 연결되고, 아래쪽으로 낚싯바늘이 연결되는 봉돌로서, 상기 봉돌은 그 내부에 부력을 형성하는 부력 공간이 형성된 부력 봉돌이고, 상기 부력 봉돌은 상기 부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내측이 비어 있는 상부 하우징과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이 결합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상기 부력 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의 위아래로 이동 가능하되, 상기 상부 하우징이 위아래로 이동할 때 상기 상부 하우징의 회전 없이 상기 상부 하우징을 위아래 이동하게 하는 상부 하우징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부력 봉돌은 부력 봉돌 내부에 형성된 부력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에 있어 하우징 전부를 회전하지 않고 간단하게 회전 나사 체결부만을 회전시켜 부력 공간을 조절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하고 내부의 차단 씰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작이 쉬운 부력 봉돌{BUOYANT SINKER TO BE CONTROLLED EASILY}
본원발명은 위쪽으로 낚시찌 또는 낚싯대와 연결되고, 아래쪽으로 낚싯바늘이 연결되는 봉돌로서, 그 내부에 부력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봉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낚시 또는 민물낚시에 사용되는 봉돌은 낚시찌, 낚싯바늘과 함께 낚싯줄에 연결되어 물속에서 낚시찌의 부력과 무게평형을 맞추거나 낚싯바늘이 물속에 가라앉도록 하여 원하는 위치에 머무르게 하는 기능을 한다.
본원발명은 봉돌에 부력이 생성되도록 하는 부력 봉돌에 관한 것으로 관련 선행발명으로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제1: 2002. 7. 12. 등록 등록실용신안공보 (출원번호 20-2002-0013116) "부력체를 구비한 낚시용 봉돌"
본 선행문헌은 부력 봉돌을 개시하나, 부력 봉돌의 내부 부력 공간을 조절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을 개시하지 않는다. 본원발명은 본 선행발명과 달리 부력 봉돌의 부력 공간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112019113974986-pat00001
제2: 1996. 11. 19. 공개실용신안공보 (출원번호 20-1995-0007040) "탈착으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낚시 봉돌"
Figure 112019113974986-pat00002
1 상부몸체 / 2 하부몸체 / 3 나사돌기 / 4 나사 결합홈
본 선행문헌은 본원발명처럼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하여 그 내부에 부력 공간을 형성하는 부력 봉돌을 개시한다. 본원발명은 본 선행문헌이 제공하는 부력 봉돌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선행문헌이 제공하는 부력 봉돌은 그 내부의 부력 공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부 하우징 자체를 회전시켜야 한다. 이는 낚시를 하는 사람 입장에서 매우 불편하다. 본원발명은 상기 상부몸체의 회전 없이 상기 상부몸체를 위아래 이동하게 하는 상부몸체 이동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부력 봉돌에 설치되는 차단 씰(seal)이 훼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제3: 2017. 2. 8. 공개특허공보 (출원번호 10-2015-0108692) "체적변화에 의한 중량 조절장치를 갖춘 낚시용 봉돌"
Figure 112019113974986-pat00003
Figure 112019113974986-pat00004
10 상부캡 / 11 슬리브 / 23 링 / 20 하부캡
본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선행발명도 나사 조임과 풀림에 의해 내부 공간이 축소 또는 확대되도록 하여, 부력으로 봉돌의 중량을 조절하는 것인데, 이 또한 몸체 전부를 회전시키는 것이어서 낚시 현장에서 불편한 점이 있다. 본원발명은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3 선행발명은 본원발명과 작동이 유사한 면이 있다. 제3 선행발명은 본원발명처럼 회전을 통하여 부력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부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제3 선행발명은 내부 부력 공간을 밀폐되도록 하는 탄성 재질의 차단 씰(seal)인 링체가 게재된 상부캡과 하부캡을 회전시켜서 상기 부력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므로, 상기 차단 씰이, 예를 들어 고무 재질의 오링(O-ring)이 뒤틀리게 되고 상기 오링의 내구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실린더 내부를 밀폐시키는 오링과 같은 차단 씰은 '습동면'이라 불리는 슬라이딩 면에 압착되어 접하면서 반발 탄성에 의하여 밀폐력을 가지는데, 마찰 특성 때문에 수명이 짧아지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런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제3 선행발명은 하부캡의 홈에 조립되어 압착된 차단 씰인 링에 수직 운동을 가할 뿐만 아니라 회전 운동까지 가함으로써 상기 차단 씰의 내구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 2002. 7. 12. 등록실용신안공보 (출원번호 20-2002-0013116) "부력체를 구비한 낚시용 봉돌" ■ 1996. 11. 19. 공개실용신안공보 (출원번호 20-1995-0007040) "탈착으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낚시 봉돌" ■ 2017. 2. 8. 공개특허공보 (출원번호 10-2015-0108692) "체적변화에 의한 중량 조절장치를 갖춘 낚시용 봉돌"
본원발명은 부력 봉돌 내부에 형성된 부력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에 있어, 하우징 전부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상기 부력 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조작이 간편하고 차단 씰(seal)이 회전 마찰에 의하여 비틀리지 않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상부 하우징이 위아래로 이동하더라도 부력 봉돌의 높이가 변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상기 부력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에 있어 상부 하우징을 회전시키지 않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상기 상부 하우징과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 결합이 아니더라도, 눌리는 힘을 받는 경우 상기 부력 공간이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위쪽으로 낚시찌 또는 낚싯대와 연결되고, 아래쪽으로 낚싯바늘이 연결되는 봉돌로서, 상기 봉돌은 그 내부에 부력을 형성하는 부력 공간이 형성된 부력 봉돌이고, 상기 부력 봉돌은 상기 부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내측이 비어 있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 일부를 밀폐하여 부력 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이 결합한 것이고, 상기 부력 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의 위아래로 이동 가능하되, 상기 상부 하우징이 위아래로 이동할 때 상기 상부 하우징의 회전 없이 상기 상부 하우징을 위아래 이동하게 하는 상부 하우징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봉돌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의 상기 상부 하우징 이동 수단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의 나사 결합 구조이되, 상기 나사 결합에 따라 회전으로 상기 상부 하우징이 위아래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상부 하우징은 회전을 하지 않으며 위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상부 하우징 이동 수단은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에 형성된 하부 나사산 기둥과 상기 상부 하우징에 별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하부 나사산에 대응하여 내측면에 체결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 나사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가 상기 하부 나사산 기둥을 따라 위아래로 승강하여,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가 별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상부 하우징도 승강함으로써, 상기 상부 하우징의 회전 없이 상기 상부 하우징을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의 위아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부력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는 베어링 구조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은 베어링 안쪽 링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의 상단은 베어링 바깥쪽 링을 형성하며, 상기 베어링 안쪽 링과 상기 베어링 바깥 링 사이에는 베어링 볼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단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의 상단에는 위쪽으로 길게 중심 로드가 형성되되, 상기 중심 로드는 상기 통공을 지나 상기 낚싯줄로 상기 낚시찌 또는 낚싯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통공의 위쪽으로 상기 중심 로드를 감싸는 밀실 커버가 형성되어 상기 통공으로 상기 부력 공간의 공기가 유실되거나 상기 부력 공간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상부 하우징 이동 수단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이 밀착될 수 있도록 끼워지되 양측에서 누르거나 당기면 슬라이딩되는 구조이고, 내측에 차단 씰이 게재되어 상기 부력 공간이 밀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에 형성된 하부 나사산 기둥과 상기 상부 하우징과 분리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아래쪽에, 상기 하부 나사산 기둥에 대응하여 내측면에 지지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 하우징 지지 나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 지지 나사를 회전시켜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상부 하우징이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 아래 쪽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상부 하우징 이동 수단은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에 형성된 하부 나사산 로드와 상기 상부 하우징에 별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하부 나사산 로드에 대응하여 내측면에 체결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 나사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가 상기 하부 나사산 로드를 따라 위아래로 승강하여,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가 별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상부 하우징도 승강함으로써, 상기 상부 하우징의 회전 없이 상기 상부 하우징을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의 위아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부력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되, 상기 상부 하우징 또는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 내측에 형성되는 물 유입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에 부력 공간을 형성하는 밀폐 상단부와 상기 밀폐 상단부의 아래로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에 물 유입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상기 하부 나사산 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는 베어링 구조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은 베어링 안쪽 링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의 상단은 베어링 바깥쪽 링을 형성하며, 상기 베어링 안쪽 링과 상기 베어링 바깥 링 사이에는 베어링 볼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외부 하우징과 별도로 회전하는 회전 나사 체결부를 제공함으로써, 부력 봉돌 내부에 형성된 부력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에 있어 하우징 전부를 회전하지 않고 간단하게 회전 나사 체결부만을 회전시켜 부력 공간을 조절할 수 있고, 그 내부에 개재되어 있는 차단 씰[예를 들어 오링(O-ring)]도 회전 운동에 의하여 비틀리지 않도록 한다.
본원발명의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의 내측에는 위쪽으로 길게 형성된 중심 로드와 상기 중심 로드가 관통하는 통공 등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이 위아래로 이동하더라도 부력 봉돌의 높이가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이 밀착될 수 있도록 끼워지되 누르거나 당기면 미끄러지는(슬라이딩) 구조를 개시하여, 상기 부력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에 있어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된다.
본원발명은 상기 회전 나사 지지부를 개시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과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눌리는 힘을 받더라도 상기 부력 공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a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부력 봉돌을 비스듬하게 보인 도면이고, 도 1b는 이를 전면에서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부력 봉돌의 상부 하우징이 위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부력 봉돌의 상부 하우징과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부력 봉돌의 상부 하우징의 안쪽을 투시한 도면으로 부력 공간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부력 봉돌의 상부 하우징 평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 6는 도 5의 A-A′단면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인 부력 봉돌을 정면에서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인 부력 봉돌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인 부력 봉돌의 분해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로서 하우징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부력 봉돌을 보인 것이다.
도 12는 도 11의 C 부분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D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원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원발명에 따른 부력 봉돌은 낚시를 하는 사람이 용이하게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종래에도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봉돌은 다수 공개되어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 부력을 조절하는 수단이 조작(操作)하기 불편했다. 특히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부력이 발생하게 하는 봉돌의 경우 내부 공간을 조절함에 있어, 상부 하우징과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을 나사 구조로 결합하고 이를 회전하여 상부 하우징이 승강하도록 함으로써 그 내부 공간을 조절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하우징 전체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작업자의 행동이 낚싯줄 등과 간섭될 수 있어 불편했다. 이에 따라 본원발명은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회전하는 회전 나사 체결부를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상부 하우징은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나사 체결부만을 회전시켜 상기 상부 하우징이 승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봉돌을 이용하는 사람은 낚싯줄 등의 간섭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봉돌 내부의 부력 형성 공간을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둘째, 본원발명은 부력 봉돌의 내부에 구비된 부력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차단 씰(seal)이 수평 마찰로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린더 내의 차단 씰은 수직 운동에 대한 저항만을 받아야 하며, 회전 운동 등에 따른 수평 마찰을 받는 경우 그 내구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본원발명은 종래 부력 봉돌 내에 위치하는 차단 씰이 수평 마찰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하우징은 회전하지 않고 상하로 수직 운동만을 하도록 한다.
셋째, 본원발명은 부력 형성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상부 하우징의 승강에 따라 낚싯바늘과 찌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부력 봉돌은, 낚시를 할 때 낚싯줄에 매달려 물에 뜨게 하여 물고기가 낚싯바늘을 물면 바로 알 수 있게 해 주는 '낚시찌'와 낚싯바늘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낚싯줄로 상기 부력 봉돌의 상부는 찌와 연결되고, 하부는 낚싯바늘과 연결된다. 그런데 상기 부력 봉돌의 내부 부력 형성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부력 봉돌의 높이가 달라지게 하면 결과적으로 상기 낚시찌와 상기 낚싯바늘 사이의 거리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기 내부 부력 형성 공간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상기 부력 봉돌의 최상단부터 최하단까지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넷째, 본원발명은 부력 봉돌의 내부 부력 형성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나사 결합을 보다 간편하게 하기 위한 회전 나사 체결부를 제공하였으나, 이 또한 낚시 현장에서 회전을 해야 하는 것이므로 나사 체결부가 없이 상부 하우징과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이 내부에서 밀착된 상태에서 미끄러지면서(슬라이딩) 상부 하우징이 승강하는 구조를 개시한다. 이와 같이 나사 체결이 아닌 밀착 슬라이딩 구조로 상기 상부 하우징과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을 끼우는 경우, 상기 부력 봉돌의 상부의 낚시찌 또는 낚싯대와 상기 부력 봉돌의 하부의 낚싯바늘 사이에 인력(引力)이 작용하는 경우(예를 들어 물고기가 낚싯바늘을 문 경우),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이 분리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원발명은 상기 부력 봉돌에 작용하는 인력이 상부 하우징에는 작용하지 않고 모두 부력 공간 형성 수단에 작용하도록 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이 분리되지 않는 구성을 제공한다.
다섯째, 부력 봉돌의 상부 하우징과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을 밀착 슬라이딩 구조로 개선하더라도, 당겨지는 힘이 모두 부력 공간 형성 수단에 작용하도록 한 경우 인력에 의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과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이 분리되는 문제는 해결되지만, 상기 상부 하우징이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 방향으로 눌려서 상기 부력 형성 공간이 줄어드는 경우에 적절하게 대처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낚싯줄을 당기는 경우, 상기 부력 봉돌이 물속의 수초나 자갈 등에 걸릴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부력 봉돌에는 누르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이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 방향으로 눌릴 수 있다. 본원발명은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이 눌려서 미끄러지지(슬라이딩) 않도록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의 하단을 지지하는 '상부 하우징 지지 나사'를 추가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다.
이하,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원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a는 본원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인 부력 봉돌을 비스듬하게 보인 도면이고, 도 1b는 이를 전면에서 보인 도면이다.
부력 봉돌(10)은, 상부에 낚시찌 또는 낚싯대와 연결되는 위 방향 연결 고리(20)와, 하부에 낚싯바늘과 연결되는 아래 방향 연결 고리(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 방향 연결 고리(20)와 아래 방향 연결 고리(30)의 사이 부력을 생성하는 몸체(40)가 있는데, 상기 몸체(40)는 상부 하우징(50)과 부력 공간 형성 수단(60)이 위아래로 결합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몸체(4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빈 공간이 수중에서 부력을 형성한다. 이 빈 공간을 부력 공간이라고 하는데, 이에 대하여는 도 3 및 도 4로 설명한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부력 봉돌의 상부 하우징이 위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의 화살표는 상기 상부 하우징(50)이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상기 상부 하우징(60)이 이와 같이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본 실시 예는 '상부 하우징 이동 수단'을 구비한다.
종래 선행발명은 상기 상부 하우징 이동 수단이 상부 하우징과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이 나사 결합을 하고 상부 하우징을 회전시켜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부 하우징이 부력 공간 형성 수단 위로 올라가거나 아래로 내려오도록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런 작동은 상부 하우징 전부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불편하고 작업자의 행동과 낚싯줄이 간섭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위치하는 차단 씰(seal)에 수평 저항을 발생시켜 그 내구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발명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은 회전하지 않고 상기 상부 하우징 내측의 부력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상부 하우징 이동 수단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하우징 이동 수단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이 밀착될 수 있도록 끼워지되 양측에서 누르거나 당기면 미끄러지는(슬라이딩되는) 구조이고, 내측에 차단 씰이 게재되어 상기 부력 공간이 밀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런 구조는 매우 간단하게 본원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이 필요 이상으로 미끄러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그 문제의 해결 수단은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다른 구조로 상기 상부 하우징 이동 수단으로 '나사 결합 구조'를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50)은 회전시키지 않고 상부 하우징(50)이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는 나사 결합 구조를 도 3 내지 도 7로 설명한다.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부력 봉돌의 상부 하우징과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다. 상부 하우징은 그 내부를 파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부력 봉돌의 상부 하우징의 안쪽을 투시한 도면으로 부력 공간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60)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하부 나사산 기둥(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나사산 기둥(61)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 나사 체결부(51)가 상기 상부 하우징(50)에 별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는 상기 하부 나사산 기둥(61)을 따라 위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가 위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에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가 별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상부 하우징(50)도 위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 예인 부력 봉돌의 몸체(40)의 내부에 형성되는 부력 공간(70)은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내측 공간(52)과 상기 하부 나사산 기둥(61)의 상단면(上端面)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단면(62)의 하부에는 상기 부력 공간(70)의 공기가 새어 나오거나 외부의 물이 상기 부력 공간(70)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 씰(80)이 끼워져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차단 씰(80)은 두 개의 고무 재질의 오링(O-rign)이 홈에 끼워져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 하우징(50)이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의 회전에 따라 위아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부력 공간(70)의 크기도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인 부력 봉돌이 생성하는 부력의 크기도 달라지게 된다. 중요한 점은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회전 없이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의 회전만으로 상기 부력 공간(7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도 5 내지 도 7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부력 봉돌의 상부 하우징 평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 6은 도 5의 A-A′단면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내측면(53)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내측면(53)은 매끄러운 상태이어서 미끄럼 면[sliding surface]을 형성한다(이른바 '습동면'). 상기 내측면(53)에 상기 차단 씰(80)이 압착되어 상기 내측 공간(52)에 상기 부력 공간(70)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50)과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의 내측에는 상기 하부 나사산 기둥(도 3의 61)에 대응하여 체결 나사산(51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상부 하우징(50)과 별도로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가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50)과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는 베어링 구조로 결합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下端)은 베어링 안쪽 링(54)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의 상단(上端)은 베어링 바깥쪽 링(51b)을 형성한다. 상기 베어링 안쪽 링(54)과 상기 베어링 바깥 링(51b) 사이에는 베어링 볼(51c)이 개재(介在)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볼은 일반적으로 강구(鋼球)가 쓰이나 마찰을 줄여 주는 어떤 것이라도 무관하다.
이와 같은 베어링 구조를 통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50)과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는 서로 간섭하지 않고 별도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회전 없이,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를 회전시켜 상기 상부 하우징(50)을 위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부력 공간(70)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60)과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의 외주에는 널(knurl)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을 회전시킬 때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널(90)에 형성된 돌기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고, 상기 널이 형성된 돌기부의 외주가 상기 상부 하우징(50)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킬 때 힘이 적게 들고 작업이 쉽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은 부력 봉돌의 부력을 쉽게 조절하고, 작업자의 행동이 낚싯줄 등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부 하우징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 씰이 수평 마찰력을 받아 훼손되거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점을 해결하지만, 부력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부력 봉돌의 높이가 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부력 봉돌의 높이 변화는 낚싯바늘과 낚시찌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게 하여 정밀한 낚시채비 조정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을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이 위아래로 이동하는 수단을 가지되, 상기 상부 하우징이 위아래도 이동하더라도 상기 부력 봉돌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한다. 이하 이 발명의 내용을 제2 실시 예로 설명한다.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인 부력 봉돌을 정면에서 보인 도면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의 도면 부호는 전술한 일 실시 예에 대응하는 부분과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했다. 제2 실시 예인 부력 봉돌(10)의 경우도 위 방향 연결 고리(20), 아래 방향 연결 고리(30)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 예의 경우 위 방향 연결 고리(20)가 전술한 일 실시 예와 다소 차이가 있다. 이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50)이 슬라이딩하여 위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실시 예의 부력 봉돌도 상부 하우징(50)과 부력 공간 형성 수단(60)이 결합되어 있는데, 전술한 일 실시 예와 달리 상부 하우징(50)에 결합되는 회전 나사 체결부는 없다. 제2 실시 예는 상부 하우징 지지 나사(65)가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부 하우징에도 널(9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부 하우징 손잡이부(55)를 형성한다. 제1 실시 예와 달리 본 실시 예는 회전으로 상부 하우징(50)을 위아래로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상부 하우징(50)을 잡고 위로 잡아 당기거나 아래로 눌러 슬라이딩하면서 위아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일 실시 예와 달리 상기 상부 하우징(50)에 상기 손잡이부(55)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인 부력 봉돌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본 제2 실시 예의 가장 큰 특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이 회전 없이 밀거나 당겨서 슬라이딩되며, 상부 하우징 지지 나사(65)가 상기 상부 하우징(50)과는 분리되어(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 회전하면서 위아래로 이동(회전승강)한다는 것이다.
도 9의 A는 상기 상부 하우징(50)과 상기 상부 하우징 지지 나사(65)가 모두 가장 아래쪽으로 내려와 있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때 부력 공간은 가장 작다.
도 9의 B는 상기 상부 하우징(50)을 슬라이딩시켜, 즉 잡아 끌어 올려 위쪽으로 위치시킨 것이다. 이때 부력 공간이 크게 형성된다. 잡아 끌어 올리는 정도를 조절하여 부력 공간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선행발명과 달리,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 하우징(50)을 위쪽으로 올리기 위해 상기 상부 하우징(50)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간편한 조작이 가능하다.
도 9의 C는 제1 실시 예와 달리 나사 결합하는 회전 나사 체결부가 없이 상기 상부 하우징(50)이 슬라이딩하는 구조이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50)이 미끄러져 내려올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로 회전하며 나사 결합하여 지지되는 상부 하우징 지지 나사(65)를 회전시켜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하단을 지지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 상태에서 부력 봉돌(10)에 외압이 작용하더라도, 예를 들어 낚시줄을 위로 올려 상기 부력 봉돌(10)이 수중에서 위로 올라가면 상기 부력 봉돌(10)에 아래로 눌리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하단이 상기 상부 하우징 지지 나사(65)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상기 상부 하우징(50)이 밑으로 내려갈 수 없다.
한편, 상기 상부 하우징(50)이 위로 올라가더라도 상기 부력 봉돌(10)의 높이(h)가 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분해도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인 부력 봉돌의 분해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실시 예도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 하우징(50)을 회전시키지 않고 위아래로 이동시키는 점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의 회전 나사 체결부와 같은 별도의 회전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내부의 차단 씰(80)과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내측면이 밀착되어 부력 공간을 형성하면서 그 접촉 마찰력으로 상기 상부 하우징(50)이 위아래로 쉽게 이동하지 않고 상기 부력 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외부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상부 하우징이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부 하우징 지지 나사(65)가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상단에는 통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60)의 내측에는 위쪽으로 길게 중심 로드(6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심 로드(66)의 상단에는 위 방향 연결 고리(20)가 형성된다. 상기 중심 로드(66)는 상기 통공을 지나 낚싯줄에 연결되어 상기 낚시찌 또는 낚싯대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부력 봉돌의 위아래에서 당겨지는 힘은 모두 부력 공간 형성 수단(60)에 작용하게 되고, 따라서 단순히 끼우는 구조로 부력 공간(70)을 형성하더라도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그 크기가 쉽게 변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위 방향 연결 고리(20)가 중심 로드(66)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나치게 상기 상부 하우징(50)을 위로 올려서 상기 상부 하우징(50)이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위 방향 연결 고리(20)는 상기 통공보다 큰 외경을 가진다.
상기 통공의 위쪽으로 상기 중심 로드(66)를 감싸는 밀실 커버(41)가 형성되어 상기 통공으로 상기 부력 공간(70)의 공기가 유실되거나 상기 부력 공간(70)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경우 상부 하우징에 통공이 없고 상부 하우징 상단에 위 방향 연결 고리가 형성된 것이어서 이와 같이 밀실을 위한 구성이 필요 없으나, 본 제2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부력 봉돌(10)의 높이를 항상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위 방향 연결 고리(20)가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통공을 관통하는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60)에 형성된 상기 중심 로드(66)에 형성되므로, 상기 부력 공간의 밀폐 상태가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통공을 적절하게 막아 주어야 하는데, 이를 상기 밀실 커버(41)로 하는 것이다.
상기 밀실 커버(41)는 고무 등 탄성 재질로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나오는 상기 중심 로드(66)의 외주에 밀착되어 감싸고 상기 통공 부분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통공으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 준다. 상기 밀실 커버(41)는 통공이 형성된 고무 덮개와 같이 상기 중심 로드(66)가 관통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중심 로드(66)에 상기 고무 덮개 형태의 밀실 커버(41)를 끼운 후 상기 통공 쪽으로 바짝 밀어 밀착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부력 공간이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상부 하우징(50)을 회전시키지 않고 슬라이딩으로 위아래로 이동시키므로 상기 상부 하우징(50)이 외압에 의하여 아래로 내려오는 것을 차단하여야 한다.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60)에는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하부 나사산 기둥(6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아래쪽에, 상기 하부 나사산 기둥(61)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내측면에 지지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 상부 하우징 지지 나사(65)가 상기 하부 나사산 기둥에 회전하면서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 지지 나사(65)를 회전시켜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하단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상부 하우징(50)이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60) 쪽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와 제2 실시 예의 경우 상부 하우징(50)의 내측 공(52)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력 공간(70)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부력 봉돌의 부력을 조절하는 것인데, 부력 크기 조절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상기 부력 공간(70) 이외의 공간에는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강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력 공간(70)을 축소하면, 그 축소된 부피만큼 물이 유입되도록 하면, 적은 양의 조절로도 부력 크기의 변화를 크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원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로서 하우징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부력 봉돌을 보인 것이다. 제1 또는 제2 실시 예와 같은 기능을 하는 부품은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실시 예도 부력 봉돌(10)의 상부에 낚시찌 또는 낚싯대와 연결되는 위 방향 연결 고리(20)와 하부에 낚싯바늘과 연결되는 아래 방향 연결 고리(3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도 상기 상부 하우징(50) 내측에 부력 공간을 형성하는 부력 공간 형성 수단(60)이 상부 하우징(50)과 결합된다.
본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처럼, 상부 하우징(50)과 별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 나사 체결부(51)를 가진다. 회전 나사 체결부(51)의 작동은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실시 예가 제1 실시 예와 차별되는 부분은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내측에 부력 공간뿐만 아니라 물 유입 공간도 형성된다는 점이다. 상기 물 유입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공(55)이 상기 상부 하우징(50)에 형성되어 있다. 물 유입공은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에 형성된 물 유입공도 같은 도면 부호(55)를 사용하였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도 11의 C 부분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D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의 큰 화살표는 물이 유입되는 경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상부 하우징(50)과 회전 나사 체결부(51)가 베어링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가 상기 상부 하우징(50)과는 별도로 회전할 수 있음은 제1 실시 예와 같다. 즉,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가 형성하는 베어링 바깥쪽 링(51b)과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하단이 형성하는 베어링 안쪽 링(54) 사이에 베어링 볼(51c)이 개재된다. 다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하우징(50) 또는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에 물 유입공(55)이 형성된 점은 다르다.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60)이 승강하면서 상기 부력 공간(70)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그 부력 공간(70)의 크기에 따라 상기 물 유입 공간(56)의 크기도 달라진다.
상기 상부 하우징(50)과 결합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50) 내측에 부력 공간(70)을 형성하는 부력 공간 형성 수단(60)은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내측에 부력 공간을 형성하는 밀폐 상단부(63)와 상기 밀폐 상단부(63)의 아래로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내측에 상기 물 유입 공간(56)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5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되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와 나사 결합하는 하부 나사산 로드(64)로 구성된다. 상기 밀폐 상단부(63)에는 상기 부력 공간(70)을 밀폐시키기 위한 차단 씰(80)이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차단 씰(80)은 두 개의 오링(O-rign)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51)를 회전시키면, 상기 상부 하우징(50)은 회전하지 않고, 상기 차단 씰(80)이 형성된 상기 밀폐 상단부(63)가 위아래로 이동하면서, 상기 밀폐 상단부(63)의 위쪽에 형성되는 상기 부력 공간(70)과 상기 밀폐 상단부(63)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상기 물 유입 공간(56)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부력 봉돌
20 위 방향 연결 고리
30 아래 방향 연결 고리
40 몸체
41 밀실 커버
50 상부 하우징
51 회전 나사 체결부
51a 체결 나사산
51b 베어링 바깥쪽 링
51c 베어링 볼
52 내측 공간
53 내측면
54 베어링 안쪽 링
55 물 유입공
60 부력 공간 형성 수단
61 하부 나사산 기둥
62 상단면
63 밀폐 상단부
64 하부 나사산 로드
65 상부 하우징 지지 나사
66 중심 로드
70 부력 공간
80 차단 씰(seal)
90 널(knurl)

Claims (12)

  1. 위쪽으로 낚시찌 또는 낚싯대와 연결되고, 아래쪽으로 낚싯바늘이 연결되며, 그 내부에 부력을 형성하는 부력 공간이 형성된 부력 봉돌에 있어서;
    상기 부력 봉돌은 상기 부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내측이 비어 있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 일부를 밀폐하여 부력 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이 결합한 것이고;
    상기 부력 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의 위아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에 형성된 하부 나사산 기둥과 상기 상부 하우징에 별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나사산에 대응하여 내측면에 체결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 나사 체결부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가 상기 하부 나사산 기둥을 따라 위아래로 승강하여,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가 별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상부 하우징도 승강함으로써,
    상기 상부 하우징의 회전 없이 상기 상부 하우징을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의 위아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부력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봉돌.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는 베어링 구조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봉돌.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은 베어링 안쪽 링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의 상단은 베어링 바깥쪽 링을 형성하며, 상기 베어링 안쪽 링과 상기 베어링 바깥 링 사이에는 베어링 볼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봉돌.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단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의 상단에는 위쪽으로 길게 중심 로드가 형성되되, 상기 중심 로드는 상기 통공을 지나 낚싯줄로 상기 낚시찌 또는 낚싯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봉돌.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위쪽으로 상기 중심 로드를 감싸는 밀실 커버가 형성되어 상기 통공으로 상기 부력 공간의 공기가 유실되거나 상기 부력 공간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봉돌.
  8. 제1 항, 제6 항 및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 이동 수단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이 밀착될 수 있도록 끼워지되 양측에서 누르거나 당기면 슬라이딩되는 구조이고, 내측에 차단 씰이 게재되어 상기 부력 공간이 밀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봉돌.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에 형성된 하부 나사산 기둥과
    상기 상부 하우징과 분리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아래쪽에, 상기 하부 나사산 기둥에 대응하여 내측면에 지지 나사산이 형성된 상부 하우징 지지 나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 지지 나사를 회전시켜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상부 하우징이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 아래 쪽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봉돌.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 이동 수단은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에 형성된 하부 나사산 로드와
    상기 상부 하우징에 별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하부 나사산 로드에 대응하여 내측면에 체결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 나사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가 상기 하부 나사산 로드를 따라 위아래로 승강하여,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가 별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상부 하우징도 승강함으로써,
    상기 상부 하우징의 회전 없이 상기 상부 하우징을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의 위아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부력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되,
    상기 상부 하우징 또는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 내측에 형성되는 물 유입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력 공간 형성 수단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에 부력 공간을 형성하는 밀폐 상단부와 상기 밀폐 상단부의 아래로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에 물 유입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상기 하부 나사산 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봉돌.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는 베어링 구조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봉돌.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은 베어링 안쪽 링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 나사 체결부의 상단은 베어링 바깥쪽 링을 형성하며, 상기 베어링 안쪽 링과 상기 베어링 바깥 링 사이에는 베어링 볼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봉돌.
KR1020190141121A 2019-11-06 2019-11-06 조작이 쉬운 부력 봉돌 KR102300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121A KR102300636B1 (ko) 2019-11-06 2019-11-06 조작이 쉬운 부력 봉돌
KR1020210117220A KR102397374B1 (ko) 2019-11-06 2021-09-02 부력 조절 봉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121A KR102300636B1 (ko) 2019-11-06 2019-11-06 조작이 쉬운 부력 봉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220A Division KR102397374B1 (ko) 2019-11-06 2021-09-02 부력 조절 봉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887A KR20210054887A (ko) 2021-05-14
KR102300636B1 true KR102300636B1 (ko) 2021-09-09

Family

ID=759156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121A KR102300636B1 (ko) 2019-11-06 2019-11-06 조작이 쉬운 부력 봉돌
KR1020210117220A KR102397374B1 (ko) 2019-11-06 2021-09-02 부력 조절 봉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220A KR102397374B1 (ko) 2019-11-06 2021-09-02 부력 조절 봉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06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160Y1 (ko) 2003-06-30 2003-09-19 이재경 부력조절이 가능한 보조봉돌
KR101457175B1 (ko) 2013-04-01 2014-11-03 영 균 김 낚시용 봉돌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358Y1 (ko) * 1994-08-02 1997-03-04 진호권 부력이 조절되는 낚시찌
KR100512122B1 (ko) * 2004-12-20 2005-09-02 민택병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KR20120001084U (ko) * 2010-08-06 2012-02-15 홍명표 공기를 이용한 부력조절 낚시 추
KR20120002037U (ko) * 2010-09-10 2012-03-20 홍명표 공기를 이용한 부력조절 낚시 황동추
KR101982156B1 (ko) 2014-03-18 2019-05-24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그래핀 전사 방법
KR101630527B1 (ko) * 2014-09-24 2016-06-14 강신 낚시용 봉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160Y1 (ko) 2003-06-30 2003-09-19 이재경 부력조절이 가능한 보조봉돌
KR101457175B1 (ko) 2013-04-01 2014-11-03 영 균 김 낚시용 봉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887A (ko) 2021-05-14
KR20210111738A (ko) 2021-09-13
KR102397374B1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08306A (en) Aerator
KR102300636B1 (ko) 조작이 쉬운 부력 봉돌
US6612066B1 (en) Adjustable depth fishing bobber
US4266429A (en) Selectable depth water retriever
KR20170057033A (ko) 부력체가 유동되는 낚시찌
KR200484700Y1 (ko) 정밀한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US9945110B2 (en) Double-flush light-touch drain valve and double-flush control method
CN202232607U (zh) 下沉深度可调的捕鱼网
US20120073183A1 (en) Adaptable Fishing Float
CN108844601A (zh) 浮子、水槽组件及电器设备
CN208653599U (zh) 浮子、水槽组件及电器设备
US3698121A (en) Fishing apparatus
KR20150007654A (ko) 낚시용 봉돌
CN207706650U (zh) 大棚水果种植用松土装置
CN208997445U (zh) 一种新型隔膜式遥控浮球阀
CN208619720U (zh) 流量可调节按压阀芯
US7284567B2 (en) Liquid level controller
JP2020527052A (ja) 浮力調整釣りウキ
CN205785949U (zh) 一种水质检测定深取水器
CN207574968U (zh) 一种泡茶杯出水压杆结构
KR101185440B1 (ko)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
CN206603082U (zh) 手竿悬坠钓法浮标调节器
CN207100025U (zh) 一种悬挂式自动浇花装置
JP2000139308A (ja) ウキトップ等を弾性体にて初期荷重を加え結合させたウキ
CN207776033U (zh) 一种创新侧孔可调节的拍盖式排水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