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440B1 -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 - Google Patents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440B1
KR101185440B1 KR1020120058263A KR20120058263A KR101185440B1 KR 101185440 B1 KR101185440 B1 KR 101185440B1 KR 1020120058263 A KR1020120058263 A KR 1020120058263A KR 20120058263 A KR20120058263 A KR 20120058263A KR 101185440 B1 KR101185440 B1 KR 101185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fishing
hole
ring
bo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호
Original Assignee
이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만호 filed Critical 이만호
Priority to KR1020120058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440B1/ko
Priority to PCT/KR2013/004205 priority patent/WO20131804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줄에 연결되며 봉돌에 의하여 수면에 세워지는 낚시찌와 연결되어 물깊이에 따라 낚시찌를 조절하는 낚싯줄 제동구에 있어서, 내측에 낚싯줄이 삽입되도록 일측에서 하측으로 삽입공이 천공되고, 상측에 낚시찌가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되는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힌지연결되며, 낚싯줄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도록 수직으로 천공된 수직공이 형성된 고정본체와; 상기 고정본체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봉돌과 연결되는 낚싯줄을 가압하는 링형상의 압박오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봉돌과 연결되는 낚싯줄에 낚싯줄 제동구가 연결되어 낚시찌를 물깊이에 따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낚시찌가 이동되는 장공형상의 찌이동공을 형성하여 물의 유속이 빠르거나 물의 계류가 있더라도 편리하게 낚시찌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낚싯줄을 고정시키는 브레이크고무를 형성하여 낚시찌에 간섭받지않고 편리하게 낚시할 수 있고, 낚싯줄을 가압하는 압박오링이 안착되는 오링안착부를 형성하여 봉돌과 연결되는 낚싯줄이 입수되는 것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A fishing-line braker adjusted to depth of water}
본 발명은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봉돌과 연결되는 낚싯줄에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가 연결되어 편리하게 낚시할 수 있고, 낚시찌가 이동되는 장공형상의 찌이동공을 형성하여 물의 유속이 빠르거나 파고가 있더라도 안전하게 낚시찌를 제동할 수 있으며, 낚싯줄을 고정시키는 브레이크고무를 형성하여 낚시찌에 간섭받지 않고 낚시할 수 있고, 낚싯줄을 가압하는 압박오링이 안착되는 오링안착부를 형성하여 봉돌과 연결되는 낚싯줄이 입수되는 것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낚싯줄이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싯줄고정구를 구비하여 봉돌을 물의 중간에 놓고 낚시하는 유영층 낚시도 즐길 수 있는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낚시 도구를 구비해야 하며, 이러한 낚시도구 중에서 낚시찌는 필수적으로 준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낚시찌는 물고기의 입질을 파악하여 낚시꾼에게 전달해주는 신호장비로서 낚시꾼은 낚시찌를 통해서 물속 상태와 물고기의 입질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시에 있어서 낚시찌는 핵심도구이다.
상기와 같은 낚시찌는 수면에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찌몸통과, 상기 찌몸통의 상단에 결합되어 수면위로 노출되는 찌톱과, 상기 찌몸통의 하단에 결합되는 찌다리로 구성되고, 상기 찌다리의 하단부는 낚싯줄에 끼워져 연결된 고무링과 결합되어 낚싯줄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낚시찌는 수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찌톱의 상하 움직임에 의하여 물고기가 입질하는 순간을 포착하여 챔질에 의하여 물고기를 낚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낚시찌는 낚싯줄에 연결되는 고무링에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바닥에 따라 수심이 다양한 곳에서 낚시질을 할 경우 낚시 포인트를 확인하기 위하여 낚시찌를 일일이 조절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낚시찌는 수심의 높낮이를 맞추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찌를 채비하여야 하므로 낚시하는 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낚시 포인트에 알맞게 다수개의 찌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봉돌과 연결되는 낚싯줄에 낚시찌를 수심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를 구비하여 용이하게 낚시할 수 있고, 물의 유속이 빠르거나 파고가 있더라도 낚시찌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장공형상의 찌이동공을 형성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낚시할 수 있으며, 낚싯줄을 고정시키는 브레이크고무를 형성하여 낚시찌에 간섭받지 않고 편리하게 낚시할 수 있고, 낚싯줄을 가압하는 압박오링이 안착되는 오링안착부를 형성하여 봉돌과 연결되는 낚싯줄이 입수되는 것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낚싯줄이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싯줄고정구를 구비하여 봉돌을 물의 중간에 놓고 낚시하는 유영층 낚시도 즐길 수 있는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는 낚싯대와 연결되는 낚싯줄의 하단부에 봉돌이 연결되고, 상기 낚싯줄에 연결되며 상기 봉돌에 의하여 수면에 세워지는 낚시찌와 연결되어 물깊이에 따라 낚시찌를 조절하는 낚싯줄 제동구에 있어서, 내측에 낚싯줄이 삽입되도록 일측에서 하측으로 삽입공이 천공되고, 상측에 낚시찌가 연결되며 일측이 힌지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힌지연결되며, 낚싯줄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도록 수직으로 천공된 수직공이 형성된 고정본체와; 상기 고정본체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봉돌과 연결되는 낚싯줄을 가압하는 링형상의 압박오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구의 하측에는 곡면형상으로 돌출된 브레이크안착구가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안착구의 하측에 상기 회전구가 상측으로 회전시 상기 낚싯줄을 밀착시켜 낚싯줄을 고정시키는 브레이크고무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구의 상측에는 낚시찌의 하측에 형성된 찌연결고리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장공으로 천공된 찌이동공이 구비되고, 상기 찌이동공은 낚싯줄에 연결된 봉돌이 물에 입수되면 낚시찌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상하로 천공된 장공형상의 찌상하이동공과, 상기 찌상하이동공의 상측단과 연장되어 낚싯줄을 들어올리면 낚시찌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장공으로 천공된 찌상측이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구의 일측에는 낚싯줄에 연결된 봉돌을 물에 삽입할 경우 낚시찌의 연결고리가 상기 찌상하이동공의 상측으로 이동 후 안착되며 낚시찌의 부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구를 회전시키도록 요입된 회전요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본체의 내측에는 상기 압박오링이 안착되어 상하이동되도록 요입된 오링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링안착부의 일측면은 봉돌과 연결되는 낚싯줄의 두께에 따라 상기 압박오링이 낚싯줄을 가압하도록 하측으로 경사진 가압경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본체의 오링안착부 하측에는 상기 오링안착부에 안착된 압박오링이 이동되어 안착되도록 요입된 오링도피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본체의 상측에는 상기 회전구와 힌지연결되는 힌지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부의 하측에는 상기 삽입공의 하측으로 연결되는 낚싯줄을 고정본체의 수직공으로 이동시키도록 경사진 줄이동경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구의 삽입공의 입구에는 낚싯줄을 고정시켜 낚싯줄의 상하이동을 억제하는 낚싯줄고정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돌과 연결되는 낚싯줄에 낚싯줄 제동구가 연결됨으로써 봉돌에 의하여 수면에 세워지는 낚시찌가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둘째, 회전구의 상측에 낚시찌의 연결고리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장공형상의 찌이동공이 형성됨으로써 봉돌과 연결되는 낚싯줄에 의하여 낚시찌를 용이하게 수직으로 세울 수 있으며, 물의 유속이 빠르거나 파고가 있더라도 낚시찌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셋째, 회전구의 하측에 낚싯줄을 밀착시켜 낚싯줄을 고정시키는 브레이크고무가 형성됨으로써 낚싯줄을 당기면 브레이크고무에 의하여 낚싯줄이 고정되어 낚시찌에 간섭을 받지않고 편리하게 낚시할 수 있고,
넷째, 고정본체의 내측에 낚싯줄을 가압하는 압박오링이 안착되는 오링안착부가 형성됨으로써 봉돌의 무게나 낚싯줄의 두께에 알맞게 낚싯줄을 가압하여 봉돌과 연결되는 낚싯줄이 입수되는 것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다섯째, 고정본체의 하부에 띠형상으로 요입된 오링도피부가 형성됨으로써 오링안착부에 안착된 압박오링을 이동하여 용이하게 낚싯줄을 연결시킬 수 있으며,
여섯째, 회전구의 삽입공 입구에 낚싯줄을 고정시키는 낚싯줄고정구가 구비됨으로써 낚싯줄에 연결되는 봉돌이 고정되어 봉돌을 물의 중간에 놓고 낚시하는 유영층 낚시나 전층낚시도 편리하게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줄 제동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줄 제동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가 상하로 이동되어 회전되는 상태의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가 상측에 고정되는 상태의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줄을 고정시키는 낚싯줄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요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와 연결되는 낚싯줄(1)의 단부에 봉돌(2)이 연결되고, 상기 낚싯줄(1)에 연결되며 상기 봉돌(2)에 의하여 수면에 세워지는 낚시찌(3)와 연결되어 물깊이에 따라 낚시찌(3)를 조절하는 낚싯줄 제동구로서, 내측에 낚싯줄(1)이 삽입되고 상측에 낚시찌(3)가 연결되며 일측에 힌지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구(10)와, 상기 회전구(10)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힌지연결되어 낚싯줄(1)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수직으로 형성된 고정본체(20)와, 봉돌(2)과 연결되는 낚싯줄(1)을 가압하는 압박오링(3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구(10)는 입구가 곡면으로 형성된 삽입공(11)이 천공되어 내측에 낚싯줄(1)이 삽입되고, 상측에 낚시찌(3)가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회전구(10)의 일측 하측에는 상기 고정본체(20)의 상측에서 회전되도록 곡면형상으로 돌출된 브레이크안착구(12)가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안착구(12)의 하측에 상기 회전구(10)가 상측으로 회전시 낚싯줄(1)을 밀착시켜 낚싯줄(1)을 고정시키는 브레이크고무(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본체(20)는 회전구(10)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힌지연결되며, 낚싯줄(1)이 입수되어 상하로 이동되도록 수직으로 천공된 수직공(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본체(20)의 오링안착부(22) 하부에는 상기 오링안착부(22)에 안착된 압박오링(30)이 이동되어 안착되도록 요입된 오링도피부(2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본체(20)의 상측에는 상기 회전구(10)와 힌지연결되는 힌지연결부(24)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부(24)의 하측에는 상기 삽입공(11)의 하측으로 연결되는 낚싯줄(1)을 고정본체(20)의 수직공(21)으로 이동시키도록 경사진 줄이동경사부(2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박오링(30)은 고정본체(20)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봉돌(2)과 연결되는 낚싯줄(1)을 가압하는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상기 회전구(10)의 상측에는 낚시찌(3)의 하측에 형성된 연결고리(3a)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장공으로 천공된 찌이동공(14)이 구비되고,
상기 찌이동공(14)은 낚싯줄(1)에 연결된 봉돌(2)이 물에 입수되면 낚시찌(3)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상하로 천공된 장공형상의 찌상하이동공(14a)과, 상기 찌상하이동공(14a)의 상측단과 연장되어 낚싯줄(1)을 살짝 들어올리면 낚시찌(3)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장공으로 천공된 찌상측이동공(14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구(10)의 일측에는 낚싯줄(1)에 연결된 봉돌(2)을 물에 삽입할 경우 낚시찌(3)의 연결고리(3a)가 상기 찌상하이동공(14a)의 상측으로 이동 후 안착되어 낚시찌(3)의 부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구(10)를 회전시키도록 요입된 회전요입홈(14c)이 형성된다.
도 2에서, 상기 고정본체(20)의 내측에는 상기 압박오링(30)이 안착되어 상하이동되도록 요입된 오링안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오링안착부(22)의 일측면은 봉돌(2)과 연결되는 낚싯줄(1)의 두께에 따라 상기 압박오링(30)이 낚싯줄(1)을 가압하도록 하측으로 경사진 가압경사부(22a)가 형성된다.
도 5에서, 상기 회전구(10)의 삽입공(11)의 입구에는 낚싯줄(1)을 고정시켜 낚싯줄(1)의 상하이동을 억제하는 낚싯줄고정구(15)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와 연결되는 낚싯줄(1)의 단부에 봉돌(2)이 연결되고, 상기 봉돌(2)과 연결되는 낚싯줄(1)에는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봉돌(2)에 의하여 수면에 세워지는 낚시찌(3)가 물깊이에 따라 낚시찌(3)를 자동으로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는 내측에 낚싯줄(1)이 삽입되고 상측에 낚시찌(3)가 연결되는 회전구(10)가 일측에 힌지로 형성되어 상하로 회전되고, 상기 회전구(10)의 일측 하측에는 낚싯줄(1)이 하측로 이동되도록 수직으로 형성된 고정본체(20)가 힌지연결되며, 상기 고정본체(20)의 내측에는 링형상의 압박오링(30)이 안착되어 봉돌(2)과 연결되는 낚싯줄(1)을 가압하면서 하측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회전구(10)는 일측에서 하측으로 삽입공(11)이 천공되어 내측에 낚싯줄(1)이 삽입되고, 상측에 낚시찌(3)가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회전구(10)의 일측 하측에는 상기 고정본체(20)의 상측과 회전되도록 곡면형상의 브레이크안착구(12)가 돌출되고, 상기 브레이크안착구(12)의 하측에는 상기 회전구(10)가 상측으로 회전시 낚싯줄(1)을 밀착시켜 낚싯줄(1)을 고정시키는 고무재질의 브레이크고무(13)가 형성되어 낚싯줄(1)을 올리면 회전구(10)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회전구(10)의 하측에 형성된 브레이크고무(13)가 회전되면서 낚싯줄(1)에 밀착됨으로써 낚싯줄(1)이 브레이크고무(13)에 고정되면서 낚싯줄과 연동되는 낚시찌(3)가 고정되어 편리하게 낚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본체(20)는 회전구(10)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힌지연결되며 낚싯줄(1)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도록 수직으로 천공된 수직공(21)이 형성됨으로써 봉돌(2)과 연결되는 낚싯줄(1)이 낚시찌(3)에 의하여 수면과 수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본체(20)의 오링안착부(22) 하부에는 띠형상으로 요입된 오링도피부(23)가 형성됨으로써 낚싯줄(1)을 수직공(21)에 삽입할 경우 상기 오링안착부(22)에 안착된 압박오링(30)을 이동하여 용이하게 낚싯줄(1)을 연결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압박오링(30)을 추가로 오링도피부(23)에 안착시켜 압박오링(30)이 손상될 경우 여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본체(20)의 상측에는 상기 삽입공(11)의 하측으로 연결되는 낚싯줄(1)을 고정본체(20)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경사진 줄이동경사부(25)가 형성됨으로써 봉돌(2)에 의하여 수직으로 내려오는 낚싯줄(1)에 탄성력을 줄 수 있게 된다.
도 3에서, 상기 회전구(10)의 상측에는 낚시찌(3)의 하측에 형성된 연결고리(3a)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장공형상의 찌이동공(14)이 천공된다.
이때, 상기 찌이동공(14)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10)의 일측에 낚시찌(3)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상하로 형성된 장공형상의 찌상하이동공(14a)이 천공됨으로써, 낚싯줄(1)에 연결된 봉돌(2)이 물에 입수되면 낚시찌(3)가 찌상하이동공(14a)을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낚시찌(3)가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10)의 일측 외측면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찌(3)의 연결고리(3a)가 상기 찌상하이동공(14a)의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안착되도록 회전요입홈(14c)이 요입됨으로써 낚싯줄(1)에 연결된 봉돌(2)이 물에 입수될 경우 회전요입홈(14c)에 안착된 낚시찌(3)가 부력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구(10)를 회전시키고 낚지찌(3)는 회전요입홈(14c)에서 이탈되면서 찌상하이동공(14a)의 상측단에 안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찌상하이동공(14a)의 상측단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찌(3)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장공형상의 찌상측이동공(14b)이 연장되어 천공됨으로써 낚싯대를 통하여 낚싯줄(1)을 살짝 들어올리면 낚시찌(3)가 찌상측이동공(14b)을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낚시찌(3)가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찌(1)가 찌상측이동공(14b)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회전구(10)가 상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회전구(10)의 하측에 돌출된 브레이크고무(13)가 회전되면서 낚싯줄(1)을 밀착시킴으로써 낚시찌(3)가 고정되어 물의 유속이 빠르거나 바람에 의한 파고가 있더라도 낚시찌가 제동되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 상기 고정본체(20)의 내측에는 상기 압박오링(30)이 안착되어 상하이동되도록 링형상의 오링안착부(22)가 요입됨으로써 내측에 안착된 낚싯줄(1)을 가압하여 과다하게 낚싯줄(1)이 풀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링안착부(22)의 일측면은 상기 압박오링(30)이 낚싯줄(1)을 가압하도록 상측으로 각도(θ1)가 크도록 경사진 가압경사부(22a)가 형성됨으로써 압박오링(30)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봉돌(2)의 무게나 낚싯줄(1)의 두께에 알맞게 낚싯줄(1)을 가압하여 봉돌(2)과 연결되는 낚싯줄(1)이 입수되는 것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에서, 상기 회전구(10)의 삽입공(11) 입구에 낚싯줄고정구(15)를 삽입하면 낚싯줄(1)이 고정되어 낚싯줄(1)의 상하이동이 억제됨으로써 낚싯줄(1)과 연결된 봉돌(2)이 수중에 뜨게 되어 봉돌(2)을 물의 중간에 놓고 낚시하는 유영층 낚시나 전층 낚시도 편리하게 즐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낚싯줄 2 : 봉돌
3 : 낚시찌 3a: 연결고리
10 : 회전구 11 : 삽입공
12 : 브레이크안착구 13 : 브레이크고무
14 : 찌이동공 14a: 찌상하이동공
14b: 찌상측이동공 14c: 회전요입홈
15 : 낚싯줄고정구
20 : 고정본체 21 : 수직공
22 : 오링안착부 22a: 가압경사부
23 : 오링도피부 24 : 힌지연결부
25 : 줄이동경사부
30 : 압박오링

Claims (8)

  1. 낚싯대와 연결되는 낚싯줄(1)의 단부에 봉돌(2)이 연결되고, 상기 낚싯줄(1)에 연결되며 상기 봉돌(2)에 의하여 수면에 세워지는 낚시찌(3)와 연결되어 물깊이에 따라 낚시찌(3)를 조절하는 낚싯줄 제동구에 있어서,
    내측에 낚싯줄(1)이 삽입되도록 일측에서 하측으로 삽입공(11)이 천공되고, 상측에 낚시찌(3)가 연결되며 일측이 힌지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구(10)와;
    상기 회전구(10)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힌지연결되며, 낚싯줄(1)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도록 수직으로 천공된 수직공(21)이 형성된 고정본체(20)와;
    상기 고정본체(20)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봉돌(2)과 연결되는 낚싯줄(1)을 가압하는 링형상의 압박오링(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10)의 하측에는 곡면형상으로 돌출된 브레이크안착구(12)가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안착구(12)의 하측에 상기 회전구(10)가 상측으로 회전시 낚싯줄(1)을 밀착시켜 낚싯줄(1)을 고정시키는 브레이크고무(1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10)의 상측에는 낚시찌(3)의 하측에 형성된 연결고리(3a)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장공으로 천공된 찌이동공(14)이 구비되고,
    상기 찌이동공(14)은 낚싯줄(1)에 연결된 봉돌(2)이 물에 입수되면 낚시찌(3)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상하로 천공된 장공형상의 찌상하이동공(14a)과, 상기 찌상하이동공(14a)의 상측단과 연장되어 낚싯줄(1)을 들어올리면 낚시찌(3)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장공으로 천공된 찌상측이동공(1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10)의 일측에는 낚싯줄(1)에 연결된 봉돌(2)이 물에 입수될 경우 상기 낚시찌(3)의 연결고리(3a)가 상기 찌상하이동공(14a)의 상측으로 이동 후 안착되며 낚시찌(3)의 부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구(10)를 회전시키도록 요입된 회전요입홈(14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본체(20)의 내측에는 상기 압박오링(30)이 안착되어 상하이동되도록 요입된 오링안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오링안착부(22)의 일측면은 봉돌(2)과 연결되는 낚싯줄(1)의 두께에 따라 상기 압박오링(30)이 낚싯줄(1)을 가압하도록 하측으로 경사진 가압경사부(2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본체(20)의 오링안착부(22) 하부에는 상기 오링안착부(22)에 안착된 압박오링(30)이 이동되어 안착되도록 요입된 오링도피부(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본체(20)의 상측에는 상기 회전구(10)와 힌지연결되는 힌지연결부(24)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부(24)의 하측에는 상기 삽입공(11)의 하측으로 연결되는 낚싯줄(1)이 고정본체(20)의 수직공(21)으로 삽입되도록 경사진 줄이동경사부(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10)의 삽입공(11)의 입구에는 낚싯줄(1)을 고정시켜 낚싯줄(1)의 상하이동을 억제하는 낚싯줄고정구(1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
KR1020120058263A 2012-05-31 2012-05-31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 KR101185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263A KR101185440B1 (ko) 2012-05-31 2012-05-31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
PCT/KR2013/004205 WO2013180408A1 (ko) 2012-05-31 2013-05-13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263A KR101185440B1 (ko) 2012-05-31 2012-05-31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5440B1 true KR101185440B1 (ko) 2012-10-02

Family

ID=4728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263A KR101185440B1 (ko) 2012-05-31 2012-05-31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85440B1 (ko)
WO (1) WO20131804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646A1 (ko) * 2015-05-26 2016-12-01 권오일 바닥과 중층용 자동 수심 조절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5621A (ja) 2003-01-17 2004-08-05 Tsuriken:Kk 釣り用浮き
KR200435563Y1 (ko) 2006-09-04 2007-01-31 강진일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 찌
KR100944630B1 (ko) 2009-07-15 2010-02-26 강진일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 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3780U (ko) * 1989-09-08 1991-04-24
KR100706209B1 (ko) * 2006-02-23 2007-04-12 민택병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5621A (ja) 2003-01-17 2004-08-05 Tsuriken:Kk 釣り用浮き
KR200435563Y1 (ko) 2006-09-04 2007-01-31 강진일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 찌
KR100944630B1 (ko) 2009-07-15 2010-02-26 강진일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 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646A1 (ko) * 2015-05-26 2016-12-01 권오일 바닥과 중층용 자동 수심 조절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80408A1 (ko)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086B1 (ko) 수심측정이 용이하며 미세 부력조절이 가능한 이중 낚시찌
KR101185440B1 (ko)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
KR200476223Y1 (ko) 낚싯줄에 관통되어 낚싯줄을 타고 상하 유동하는, 부력구, 밑밥 부착구 및 무게 추 일체형 유동식 집어 봉돌
CN206533940U (zh) 一种鱼缸换水用装置
US2481453A (en) Fishing float
CN109122008B (zh) 一种园林新种植苗木固定架
US20040244268A1 (en) Adjustable arm assembly
KR101505087B1 (ko)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구멍찌
CN207151678U (zh) 一种自动钓鱼浮漂
CN207707103U (zh) 一种万向调节自动抱锁鱼竿结构
CN2914663Y (zh) 自动钓鱼器
KR20220002477U (ko) 두족류 낚시용 루어
CN205830843U (zh) 一种小型鱼钩挂饵器
CN204907601U (zh) 一种仰角可调式鱼竿固定装置
JP3127262U (ja) 万能コマセ篭
CN206629805U (zh) 一种无人值守多方式钓鱼工具
CN207070767U (zh) 一种钓鱼打窝器
KR200495435Y1 (ko) 낚시대용 받침장치
CN204070209U (zh) 新型自动搬网架及自动搬网
CN217591622U (zh) 一种陶瓷花盆
KR101457307B1 (ko) 기능성 낚시찌
CN201911202U (zh) 一种可调节高度的手杆架
KR102397374B1 (ko) 부력 조절 봉돌
KR101042547B1 (ko) 챔질 도우미 브레이크부레가 장착된 낚시찌
CN219556053U (zh) 钓鱼摘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