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122B1 -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 Google Patents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122B1
KR100512122B1 KR1020040108539A KR20040108539A KR100512122B1 KR 100512122 B1 KR100512122 B1 KR 100512122B1 KR 1020040108539 A KR1020040108539 A KR 1020040108539A KR 20040108539 A KR20040108539 A KR 20040108539A KR 100512122 B1 KR100512122 B1 KR 100512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nut
buoyancy
fishing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택병
Original Assignee
민택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택병 filed Critical 민택병
Priority to KR1020040108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1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낚시찌는 호수(104)와 눈금(105)이 형성된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와셔(300)와 패킹(400)을 수용하는 너트(500)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상부 본체(100)와 와셔(300)는 패킹(400)을 가압하는 가압 경사면(106,301)이 형성되어, 탄성 변형하는 패킹(400)에 의하여 고정력과 수밀성이 발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너트(500)를 풀고 조이며, 하부 본체(200)를 호수(104)와 눈금(105)을 보면서 부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민물 낚시용 낚시찌와 바다 낚시용 낚시찌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A buoyancy control float}
본 발명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낚시찌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두 개의 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낚시찌의 길이를 조절하여 부력을 조절할 수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할 때에는 낚시찌의 크기와 발광체의 부착 유무에 따라서 납으로 제작된 봉돌을 이용하여 낚시찌의 부력을 조정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낚시찌와 봉돌의 종류를 다양하게 구비하여야 되기 때문에 낚시를 하는 사람들의 비용 지출이 많았고, 부력을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해서 봉돌을 여러 차례에 걸쳐서 조금씩 잘라내야 했기 때문에 많은 시간을 낭비하게 되며, 잘라낸 납 부스러기에 의하여 환경오염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낚시찌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구조의 낚시찌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86-3283호 '부력 조절찌', 실용신안공개 제89-6045호 '부력 조절용 낚시찌', 실용신안공개 제90-4288호 '부력 조절식 낚시찌', 실용신안공개 제98-59530호 '부력 조절용 낚시찌', 실용신안공개 제99-22493호 '릴 찌 낚시용 부력 조절이 가능한 찌'실용신안등록 제282209호 '낚시찌 부력 조절 장치'가 알려져 있다.
도 1은 상기한 예 중에서 실용신안공개 제98-59530호 '부력 조절용 낚시찌'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부력 조절용 낚시찌(1)는 봉돌의 무게에 다라 다수개가 제작되는 상부 캡(10)과 하부 캡(14)및 조절로드(32)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캡(14)의 내부 바닥면에는 내부가 비어있는 봉(18)이 위로 신장 형성되며, 상기 봉(18)의 내측 둘레면에는 암나사(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돌출턱(22)이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조절로드(32)의 이탈을 방지하고 패킹(40)으로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하부 캡(14)의 내측 상단에는 후술하는 상부 캡(10)이 체결되기 위한 암나사(16)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캡(10)은 봉돌의 무게에 따라 다수개 제작되어 상기 하부 캡(14)에 체결되는 종류에 따라 상하부 캡(10,14) 내부의 공기량이 조절되어 봉돌의 무게에 맞도록 부력이 조절된다. 또한 하부 캡(14)으로부터 상부 캡(1O)을 조금씩 풀어서 낚시찌(1)의 부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낚시찌를 비롯하여 상기한 고안들은 공통적으로 낚시찌가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로 양분되면서 나사로 직접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를 회전시켜서 낚시찌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서 부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가 이동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규격화되어 있는 호수를 맞추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감각에 의존하거나 수면에 수차례 투척하여 부력을 조절하여야 한다.
또한 나사 결합의 구조적인 특성에 의하여 부력이 큰 위치에서 부력이 작은 위치로 조절할 때에는 상당한 시간동안 낚시찌를 회전시켜야한다.
또한 부력 조절시 패킹이 상부 본체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하부 본체와 함께 이동하게 되어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쉽게 마모되어 수밀성을 유지할 수 없어서 침투되는 물에 의하여 부력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편리하게 부력을 조절할 수 있고, 수밀성이 유지되어 정확한 부력을 유지할 수 있는 낚시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로 나누어지고, 패킹과 나사로 결합되어 부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낚시찌를 형성함에 있어서, 투명한 재질의 캡슐에 낚시찌의 호수가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하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하단부는 패킹이 접촉하는 면이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패킹을 가압하는 가압 경사면이 형성되는 상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의 캡슐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고, 패킹의 상부에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하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부 본체의 수나사에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에 수용되어 상기 하부 본체가 삽입되는 내경의 단부보다 외경의 단부가 높은 경사 가압면이 형성된 와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너트 내에서 와셔 상부에 패킹에 놓여지고, 하부 본체는 패킹과 와셔 및 너트를 관통하고, 상단부는 상부 본체 내부에 삽입되는데, 상부 커버와 너트가 체결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부 본체에 표시된 호수의 위치에 하부 커버의 상단부를 맞추어 너트를 조이면 상부 본체와 와셔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 경사면이 패킹을 하부 본체에 밀착시켜서 고정력과 수밀성이 발생된다.
따라서 봉돌의 중량에 관계없이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를 적절한 위치에서 너트로 고정시키는 작업만으로 부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 2 내지 도 4는 민물 낚시용 낚시찌에 관한 실시예이고, 도 5 및 도 6은 바다 낚시용 낚시찌에 관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찌(2)는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로 분리되면서 와셔(300) 패킹(400)을 수용하여 상기 상부 본체(100)에 체결되는 너트(500)로 구성된다.
상부 본체(100)는 수면 위에 노출되는 가늘고 긴 띠(101)가 형성되면서 너트(500)로 결합되는 하부 본체(200)에 의하여 밀폐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캡슐(102)과 상기 캡슐(102)의 아래쪽 단부에 형성되는 수나사(103)로 형성된다.
상기 캡슐(102)은 투명하거나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되면서 외부 표면에는 낚시찌의 호수(104)를 표시하는 숫자가 1~7까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숫자에는 눈금(105)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나사(103)가 형성되는 하단부는 하부 본체(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개방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나사(103)는 너트(500)와 체결되며, 너트(500)가 체결될 때에 패킹(40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하단부에는 안쪽으로 경사지는 가압 경사면(106)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본체(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상단부의 일정한 구간의 외경이 그 아래쪽의 외경보다 크게 되는 돌출부(201)가 형성되어, 너트(500)를 관통한 다음 돌출부(201)가 상부 본체(100)의 캡슐(102) 내부에서 호수(104)와 눈금(105)이 형성된 구간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와셔(300)는 상부 본체(100)에 형성되어 패킹(400)의 상부에서 밀착력을 발생시키는 가압 경사면(106)과 대칭이 되는 위치에서 상기 가압 경사면(106)과 협력하여 패킹(400)의 하부에서 밀착력을 발생시키는 가압 경사면(3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와셔(300)의 가압 경사면(301)은 하부 본체(200)가 삽입되는 내경으로부터 외경 쪽으로 갈수록 단면의 위치가 점차 높아지게 형성되어 패킹(400)의 위 아래쪽에서 중심 방향으로 고르게 가압력을 작용시킨다.
패킹(400)은 고무재로 되면서 단면이 원형인 링 형상으로 되어 너트(500) 내부에서 와셔(300) 상부에 놓여진다.
너트(500)는 와셔(300)의 가압 경사면(301)에 동반하여 형성되는 저면의 경사면(302)에 대응하는 경사면(501)이 형성되어 와셔(300)가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너트(500)에 와셔(300)와 패킹(400)을 삽입하고, 하부 본체(200)를 삽입한 다음, 하부 본체(200)의 돌출부(201)를 상부 본체(100)의 캡슐(102) 하단부에 삽입하면서 너트(500)를 상부 본체(100)의 수나사(103)와 체결하면 조립이 간편하게 완료된다.
여기서 너트(500)와 수나사(103)가 완전히 체결되지 않은 상태, 즉 나사산의 1~2 피치 정도가 풀려있을 때에는 패킹(400)이 하부 본체(200)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하부 본체(200)가 상부 본체(100)의 캡슐(102) 내부에서 왕복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명한 캡슐(102)의 호수(104)와 눈금(105)을 보면서 원하는 호수의 위치에 하부 본체(200)를 신속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호수의 위치에서 너트(500)를 수나사(103)에 완전히 체결시키면 패킹(400)이 하부 본체(200)에 밀착되면서 고정력이 발생하여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가 유동됨이 없이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력은 너트(500)의 가압력에 의하여 패킹(400)이 탄성변형을 하면서 하부 본체(200)에 밀착되는 변형력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상부 본체(100)의 가압 경사면(106)과 하부 본체(200)의 가압 경사면(301)이 패킹(400)을 하부 본체(200)의 외주면 쪽으로 밀어주게 됨으로써, 단면이 원형인 패킹(400)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름모꼴에 유사한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탄성 변형력이 하부 본체(200)의 외주면에 집중되어 견고한 고정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확실한 수밀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너트(500)를 회전시키면서 발생하는 회전력은 패킹(400)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와셔(300)의 저면 경사면(302)과 마찰되면서 상쇄됨으로 패킹(400)에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이 바다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낚시찌(2a)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민물 낚시용 낚시찌에 한정되지 않고, 바다 낚시용 낚시찌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구조와 작용은 상기한 민물 낚시용 낚시찌의 실시예와 같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너트를 약 1바퀴 정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하부 본체를 이동 및 정지시킬 수 있으며, 상부 본체에 형성된 호수 숫자와 눈금을 이용하여 원하는 규격의 부력을 나타낼 수 있는 낚시찌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찌와 봉돌의 종류를 다양하게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봉돌의 중량에 관계없이 낚시찌만으로 부력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어서 봉돌을 깎아내야 하는 불편함과 환경오염의 원인이 배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본체가 상부 본체의 캡슐에서 왕복 이동을 하고, 고정력은 너트의 순간 이동 거리에 의하여 발생됨으로써 종래의 부력 조절 낚시찌와 비교할 때 비교적 경량체로 제작할 수가 있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제작과 취급이 용이하다. 상기한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된 예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의도하는 기술적인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실시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한 실시예에서 의도하는 바에 따라서 와셔(300)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경우에는 가압 경사면(301)이 너트(500)에 직접 형성된다. 즉, 너트(500)의 경사면(501)이 가압 경사면(301)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변경실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에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민물 낚시용 낚시찌에 적용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민물 낚시용 낚시찌에 적용된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바다 낚시용 낚시찌에 적용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바다 낚시용 낚시찌에 적용된 실시예의 종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부 본체 102 : 캡슐
103 : 수나사 104 : 호수
105 : 눈금 106 : 가압 경사면
200 : 하부 본체 201 : 돌출부
300 : 와셔 301 : 가압 경사면
400 : 패킹 500 : 너트

Claims (1)

  1. 낚시찌의 호수가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하단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는 상부 본체와, 패킹과 암나사를 구비하는 하부 본체가 상기 상부 관체의 수나사와 체결되어 부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낚시찌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부 본체의 수나사가 형성되는 하단부가 안쪽으로 경사져서 패킹을 가압하는 가압 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부 본체는 상기 상부 본체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되면서 패킹의 상부에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본체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부 본체의 수나사에 결합되면서 내경의 단부보다 외경의 단부가 높은 가압경사면(301)을 구비하는 너트(500)가 상부본체(100)의 수나사(103)와 체결되고,
    상기 상부 본체의 가압 경사면(106)과 상기 너트(500)의 가압경사면(301) 사이에 패킹(400)이 놓여져서 너트(500)가 상부 본체(100)에 체결될 때에 패킹(400)이 하부 본체(200)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KR1020040108539A 2004-12-20 2004-12-20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KR100512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539A KR100512122B1 (ko) 2004-12-20 2004-12-20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539A KR100512122B1 (ko) 2004-12-20 2004-12-20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2122B1 true KR100512122B1 (ko) 2005-09-02

Family

ID=3730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539A KR100512122B1 (ko) 2004-12-20 2004-12-20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1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952A1 (ko) * 2015-02-12 2016-08-18 원철호 유동식 부력조절 낚시추
KR20210111738A (ko) * 2019-11-06 2021-09-13 신태길 부력 조절 봉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952A1 (ko) * 2015-02-12 2016-08-18 원철호 유동식 부력조절 낚시추
KR20210111738A (ko) * 2019-11-06 2021-09-13 신태길 부력 조절 봉돌
KR102397374B1 (ko) * 2019-11-06 2022-05-12 신태길 부력 조절 봉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4913A (en) Lighted bobber for a fishing line
US20060193129A1 (en) Flashlight with magnetic switch
KR100512122B1 (ko)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US2706359A (en) Fishing lures
US5035796A (en) Liquid line chlorine cleaner
US20150257375A1 (en) Bait lighting and fish attracting bobber
FR2447202A1 (fr) Flacon aspirant pour le drainage de plaies
US20100281757A1 (en) Two part slip bobber and method of assembly
US3739513A (en) Fishing float
US20060213114A1 (en) Float with adjustable buoyancy
US2683325A (en) Line buoy
GB2040651A (en) Fishing float
KR100944630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 찌
CN205848403U (zh) 浮力可调式浮标
CN208956769U (zh) 一种可调钓鱼浮漂
US2022193A (en) Float for a fishing line
CN205500405U (zh) 一种胶带
CN215836645U (zh) 一种碳纤维复合材料的渔具浮标
CN208727398U (zh) 一种颜料生产配比用滴定装置
CN219270620U (zh) 一种透明玻璃内芯盖
CN218937877U (zh) 一种水质环境检测取样装置
CN209609607U (zh) 一种调漂器
CN208692116U (zh) 一种一体式粗尾浮漂
KR820001411Y1 (ko) 바다 낚시용 야광찌
KR200316461Y1 (ko) 찌톱의 길이와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