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685B1 -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685B1
KR102299685B1 KR1020210075362A KR20210075362A KR102299685B1 KR 102299685 B1 KR102299685 B1 KR 102299685B1 KR 1020210075362 A KR1020210075362 A KR 1020210075362A KR 20210075362 A KR20210075362 A KR 20210075362A KR 102299685 B1 KR102299685 B1 KR 102299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oting
photographing
user terminal
photographer
prefer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온
Priority to KR1020210075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685B1/ko
Priority to PCT/KR2022/005423 priority patent/WO202226026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5/23206
    • H04N5/232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영 요청을 수신하여, 입력 위치를 포함하는 촬영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촬영 요청 획득부; 상기 입력 위치에 기초하여 촬영 지역을 설정하는 촬영 지역 설정부; 상기 촬영 지역에 위치한 복수의 촬영 스팟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촬영 스팟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촬영 스팟 부근에 촬영 가능한 복수의 촬영자 단말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촬영자 단말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촬영자 단말을 호출하는 촬영자 결정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촬영 요청에 따라 상기 촬영자 단말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촬영 동영상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ING REAL-TIME VIDEO}
본 발명은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자가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반영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9년에 중국 우한에서 감염병(Infection, Infectious Disease)인 코로나 19(COVID-19)는 처음 발생된 이후 중국 전역과 전세계로 확산되어 최근까지 많은 확진자와 사상자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감염병은 병원체인 미생물이 생물체에 옮아 증식하여 병을 일으키는 것으로서, 다른 사람과의 접촉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발생되고 있다.
이로 인해,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코로나 19를 감염병의 최고 경고등급인 펜데믹(Pendemic), 즉 세계적 대유행을 선언하였다.
이러한,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해외여행을 가지 못하게 되었다. 설령, 해외여행을 간다 하더라도, 국내 입국시 2주 자가격리와 여행지 자가격리로 인한 불편함과 시간적 제약이 따르게 된다. 또한, 전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각국의 출입국 제한으로 인해 현재 항공편이 감소한 실정이다. 이에, 코로나 사태에 의한 여행제한으로 인해 사람들의 여행욕구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장기화되는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한 여행욕구의 해소 노력이 집안에서 즐기는 '랜선여행'의 문화로 발전하고 있다.
다수의 SNS 및 동영상 미디어 플랫폼에서 '랜선여행'이라는 형태의 영상물이 서비스되고 있지만, 많은 한계점들이 있다. 즉, 랜선여행에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하려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화면의 공유가 필요한데, 현재까지의 랜선여행 관련 콘텐츠들은 단순히 촬영자가 기획하여 촬영한 영상을 재가공하여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콘텐츠의 제작 완성까지 많은 시간과 비용, 그리고 노동력이 필요하였다. 또한, 사용자 요구사항의 즉각적 반응에 한계가 있으며, 원하는 시간대, 장소, 및 촬영구도 등을 맞출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457529호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38735호
본 명세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지도 상에서 원하는 장소의 촬영자를 선택하여 촬영 요청할 수 있는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촬영자 입장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반영되는 것에 부담을 느끼지 않고, 기존의 시간과 비용이 발생되는 재가공 작업을 요구하지 않는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영 요청을 수신하여, 입력 위치를 포함하는 촬영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촬영 요청 획득부; 상기 입력 위치에 기초하여 촬영 지역을 설정하는 촬영 지역 설정부; 상기 촬영 지역에 위치한 복수의 촬영 스팟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촬영 스팟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촬영 스팟 부근에 촬영 가능한 복수의 촬영자 단말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촬영자 단말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촬영자 단말을 호출하는 촬영자 결정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촬영 요청에 따라 상기 촬영자 단말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촬영 동영상 제공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영 동영상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촬영 방향 선택 아이콘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촬영 방향 선택 아이콘에서 특정 방향을 선택한 경우, 상기 촬영자 단말에 선택된 방향에 해당되는 팝업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영 요청 획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위치를 획득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로부터 상기 입력 위치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 요청 로그를 수집하고, 상기 촬영 요청 로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촬영 스팟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스팟을 선택하며, 선택된 촬영 스팟에 기초하여 선호 촬영지 정보를 결정하는 선호 촬영지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호 촬영지 결정부는 상기 촬영 지역에 포함된 복수의 촬영 스팟 중에 일정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선택된 촬영 스팟을 상기 선호 촬영지 정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호 촬영지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에 기초하여 상기 선호 촬영지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호 촬영지 결정부는, 상기 촬영 지역 내의 유고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촬영 지역에 포함된 복수의 촬영 스팟 중에 상기 유고 정보와 연관된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스팟을 상기 선호 촬영지 정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호 촬영지 결정부는, 상기 촬영 지역 내에 광고 계약이 체결된 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촬영 지역에 포함된 복수의 촬영 스팟 중에 상기 광고 계약이 체결된 지점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스팟을 상기 선호 촬영지 정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영 동영상 제공부는 상기 동영상을 버퍼링하는 동안에 기저장된 광고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호 촬영지 결정부는, 촬영자 단말의 외부로부터 상기 촬영자 단말에 입력되는 소리 신호를 처리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소리 신호가 입력되는 방향에 지시자를 출력하고, 촬영 스팟 내의 기 존재하는 타 촬영자 단말들이 특정 위치를 촬영하고 있는 경우, 상기 특정 위치를 선호 촬영지로 결정하고, 촬영자 단말의 외부로부터 상기 촬영자 단말에 촬영자의 음성 신호가 입력된 경우, 촬영자 단말이 현재 이용하고 있지 않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을 된 곳을 선호 촬영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영 요청을 수신하여, 입력 위치를 포함하는 촬영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촬영 요청 획득 단계; 상기 입력 위치에 기초하여 촬영 지역을 설정하는 촬영 지역 설정 단계; 상기 촬영 지역에 위치한 복수의 촬영 스팟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촬영 스팟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촬영 스팟 부근에 촬영 가능한 복수의 촬영자 단말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촬영자 단말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촬영자 단말을 호출하는 촬영자 단말 선택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촬영 요청에 따라 상기 촬영자 단말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 요청 로그를 수집하고, 상기 촬영 요청 로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촬영 스팟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스팟을 선택하며, 선택된 촬영 스팟에 기초하여 선호 촬영지 정보를 결정하는 선호 촬영지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영상 제공 단계는, 주기적으로 네트워크의 지연 및 오류를 감지하여 상기 촬영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을 버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의하면, 지도위치 기반으로 운영되며, P2P(Peer to Peer) 방식으로 사용자와 촬영자를 연결하는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구도의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어 생생한 현장의 느낌을 온전히 받을 수 있고, 건당 이용시간이 짧아 어플리케이션 이용에 관한 부담이 적다.
또한, 촬영자 입장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반영되는 것에 부담을 느끼지 않고, 기존의 시간과 비용이 발생되는 재가공 작업을 거치지 않아 실시간 서비스 품질 제공에 더욱 집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촬영자에게 문자 및 음성매체가 아닌 주목성이 뛰어난 방향 표시로 요구사항을 전달하고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어 국가와 인종에 관계없이 서비스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위치의 좌표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방향을 촬영자 단말에 지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화면, 그리고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동영상 중계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사용자 단말(110), 복수의 촬영자 단말(120), 서버(130) 및 네트워크(14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촬영자 단말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10) 및 복수의 촬영자 단말(12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 및 복수의 촬영자 단말(12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1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40)를 통해 복수의 촬영자 단말(120) 및/또는 서버(13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4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4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4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30)는 네트워크(14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 및 복수의 촬영자 단말(120)과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30)는 네트워크(14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110) 및 복수의 촬영자 단말(12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10) 및 복수의 촬영자 단말(120)은 서버(13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 및 복수의 촬영자 단말(120) 각각은 자신이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30)에 접속하여 서버(13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40)를 통해 서비스 접근 요청을 서버(130)로 전송하면,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의 선택에 의해 복수의 촬영자 단말(120)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촬영자 단말(120)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110)로 전달하며, 사용자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30)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세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 및 복수의 촬영자 단말(1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라우팅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사용자 단말(110) 및 서버(13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복수의 촬영자 단말(120) 역시 사용자 단말(110)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과 서버(13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30))이 네트워크(14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4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서버(13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의 촬영자 단말(120)과 서버(13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40)를 통해 서버(13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3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콘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40)를 거쳐 사용자 단말(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3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콘텐츠나 파일 등은 사용자 단말(110)이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30)나 촬영자 단말(120)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콘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단말(110) 및 서버(13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프로세서(222)는 웹 페이지를 온라인으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2) 내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동영상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요청 획득부(310), 촬영 지역 설정부(320), 촬영자 결정부(330), 촬영 동영상 제공부(340), 선호 촬영지 결정부(350), 포인트 결제부(360) 및 평점 관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22)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22)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촬영 요청 획득부(3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촬영 요청을 수신하여, 입력 위치를 포함하는 촬영 요청 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의 (a)에서와 같은 전자 지도의 지도 보기 모드에서, 사용자는 전자 지도에서 탐색 원(410)을 이동시켜 입력 위치의 좌표를 설정하거나, 혹은 도 4의 (b)에서와 같은 동영상 보기 모드에서 이동 버튼(430)을 이용하여 입력 위치의 좌표를 입력할 수 있다.
혹은, 촬영 요청 획득부(310)는 사용자가 도 4의 (a)의 검색어 입력창(420)에 입력한 검색어로부터 입력 위치를 포함하는 촬영 요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의해서 입력 위치의 좌표를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 입력 위치는 좌표가 아닌 지역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검색어로 '삼청동'을 입력하는 경우, 입력 위치는 삼청동 전체가 될 수 있다.
촬영 지역 설정부(320)는 촬영 요청 정보의 입력 위치에 기초하여 촬영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지역은 입력 위치를 포함하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인접 지역일 수 있다.
촬영자 결정부(330)는 촬영 지역에 위치한 복수의 촬영 스팟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고, 복수의 촬영 스팟 중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선택된 촬영 스팟 부근에 촬영 가능한 복수의 촬영자 단말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며, 복수의 촬영자 단말(120) 중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선택된 촬영자 단말(120)을 호출함으로써, 촬영자를 결정할 수 있다.
촬영 동영상 제공부(34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의 촬영 요청에 따라 촬영자 단말(120)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110)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또한, 촬영 동영상 제공부(340)는 도 5의 (a)와 같은 동영상 보기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110)에 촬영 방향 선택 아이콘(510)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촬영 방향 선택 아이콘(510)에서 특정 방향을 선택한 경우, 촬영자 단말(120)에 선택된 방향에 해당되는 팝업 이미지(52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촬영 동영상 제공부(340)는 주기적으로 네트워크의 지연 및 오류를 감지하여 촬영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을 버퍼링할 수 있다. 이때, 촬영 동영상 제공부(340)는 동영상을 버퍼링하는 동안에 기저장된 광고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촬영 동영상 제공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 영상 중 하이라이트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하이라이트 부분 중 손실된 패킷 데이터의 스트리밍 동영상 재생 시간에 대응되는 적어도 일부를 버퍼링 시간 동안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동영상 제공부(340)에서 제공하는 광고 영상은 상기 촬영 스팟에 관련된 광고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스팟이 야시장인 경우, 상기 촬영 스팟 반경 내에 관련된 식당에 대한 광고 영상이 송출될 수 있다.
선호 촬영지 결정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 요청 로그를 수집하고, 촬영 요청 로그에 기초하여 촬영 지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촬영 스팟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스팟을 선택하며, 선택된 촬영 스팟에 기초하여 선호 촬영지 정보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선호 촬영지 결정부(350)는 촬영 지역에 포함된 복수의 촬영 스팟 중에 일정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선택된 촬영 스팟, 즉 가장 많이 로딩된 촬영 스팟을 선호 촬영지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지역이 '삼청동'인 경우, 삼청동에 포함된 복수의 촬영 스팟 중 최근 일주일 동안 가장 타 사용자들의 열람 요청이 많았던 촬영 스팟을 선호 촬영지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호 촬영지 결정부(350)는 사용자의 검색어를 참조하여 선호 촬영지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검색어가 '지리산 등산코스'인 경우, 촬영 지역은 지리산으로 결정되고, 지리산에서 가장 인기도가 높은(예를 들어, 가장 많이 검색되거나 가장 평이 좋은 등 특정 기준을 만족하는) 코스 B를 보여줄 수 있는 촬영 스팟으로 선호 촬영지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선호 촬영지 결정부(350)는 선호 촬영지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들의 촬영 요청 정보들을 획득하여 촬영 요청 로그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선호 촬영지 결정부(350)는 사용자들의 과거 촬영 요청 이력을 수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선호 촬영지 결정부(350)는 사용자들의 촬영 요청을 획득하여, 요청된 촬영 스팟에 대한 촬영 로그를 기록 및 데이터화할 수 있다. 상기 로그는 선호 촬영지 결정부(350)가 저장할 수 있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저장된 로그 데이터의 추이에 기반하여 선호 촬영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봄에 로그를 많이 발생하는 지역 A와 여름에 로그를 많이 발생하는 지역 B로 상이한 경우, 봄에 촬영 요청이 들어온 때에는 지역 A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선호 촬영지 결정부(350)는 촬영 로그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자들로부터 요청된 촬영 스팟을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들이 최종적으로 어떤 촬영 동영상을 보고자 했는지에 대한 의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는 도 4의 (b)에서 이동 버튼(430)을 사용하여 보고자 하는 촬영 스팟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이동 버튼(430) 중에 손바닥 형상의 멈춤 버튼을 눌렀을 때 해당 촬영 스팟이 사용자의 요청 촬영 스팟일 수 있다. 혹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가장 오랜 시간 로딩한 동영상에 대응하는 스팟이 사용자의 요청 촬영 스팟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호 촬영지 결정부(350)는 상술한 방식으로 요청 촬영 스팟을 결정하여 촬영 로그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호 촬영지 결정부(350)는 촬영 지역 내의 유고 정보를 참조하여, 촬영 지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촬영 스팟 중에서 유고 정보와 연관된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스팟을 선호 촬영지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유고 정보란, 도로의 사고 정보나 도로 통제 정보 등과 같은 도로의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고나 이벤트를 뜻한다. 사용자들은 유고 정보가 있을 경우 관련된 위치의 동영상을 직접 보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유고 정보와 관련된 촬영 스팟을 선호 촬영지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호 촬영지 결정부(350)는 촬영 지역 내에 광고 계약이 체결된 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촬영 지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촬영 스팟 중에서 광고 계약이 체결된 지점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스팟을 선호 촬영지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지역 내에 상점 C가 존재하고, 상점 C에 대한 광고 계약이 체결되어 있는 경우, 해당 상점 C가 나타날 수 있는 촬영 스팟이 선호 촬영지 정보로 우선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들이 인근의 동영상을 요청할 때 우선적으로 상점 C가 보이는 동영상이 제공되므로, 상점 C에 대한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호 촬영지 결정부(350)는 촬영 지역 내의 촬영자 단말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선호 촬영지 결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선호 촬영지 결정부(350)는 촬영자 단말의 외부로부터 촬영자 단말에 입력되는 소리 신호를 처리하고, 이 처리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소리 신호가 입력되는 방향에 지시자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상에서 보이지 않는 특정 지역에서 군중이 모여 있는 소리 등 특정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에 소리가 발생하는 곳으로 추정되는 곳 방향으로 특정 지시자를 출력하고, 이를 통해 특정 방향으로 촬영자 단말을 움직이게 요청하여 마치 사용자는 화면만을 보고도 실제 관광이나 취재를 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리 이벤트 관련 아이콘(530)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촬영 방향 선택 아이콘(510)에서 특정 방향을 선택한 경우, 촬영자 단말(120)이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호 촬영지 결정부(350)는 촬영 지역 내의 존재하는 자신 촬영자 단말 이외의 타 촬영자 단말이 특정 위치를 촬영하고 있는 경우, 선호 촬영지를 결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선호 촬영지 결정부(350)는 소정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촬영 지역 내에서 타 촬영자 단말이 특정 위치를 향해 촬영을 하고 있는 경우, 상기 특정 위치를 선호 촬영지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 가상 관광자나 가상 취재자의 경험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활용 가치가 높은 촬영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호 촬영지 결정부(350)는 촬영 지역 내의 촬영자 단말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촬영자 단말 내의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촬영자 단말에 전면 및 배면에 카메라가 각각 설치된 상황에서, 선호 촬영지 결정부(350)는 촬영자 단말의 외부로부터 촬영자 단말에 촬영자의 음성 신호가 입력된 경우, 촬영자 단말의 전면에 위치한 카메라로 동작시켜, 궁극적으로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촬영자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친 사용자는 실재 현장을 취재받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선호 촬영지 결정부(350)가 촬영자를 촬영한 것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을 활용하여 부동산 거래를 위한 실시간 소개 서비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b는 방문지역 주차 공간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c는 약속 장소의 웨이팅 현장을 확인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d는 도착지역 인근 교통상황 모니터링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e는 출장지역 현지 재난, 재해 및 날씨 상황 모니터링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곳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포인트 결제부(360)는 사용자로부터 포인트 충전을 위한 신용카드정보, 체크카드정보 및 폰빌(Phone Bill)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수단 정보를 등록받고, 촬영자 단말(120)에 의한 동영상 촬영이 종료된 경우, 촬영 시간에 대응되는 결제금액만큼 사용자가 보유한 포인트를 차감하고, 또한 촬영자에게는 해당 포인트를 적립함으로써, 결제 처리한다.
평점 관리부(37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각 촬영자에 대한 평점 정보를 수신하여 평점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평점 정보를 분석 및 집계하여 각 촬영자의 평점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평점 관리부(370)는 전자 지도 상에서 각 촬영자의 위치와 함께 평점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서버(13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일례로, 서버(130)에서 구동된 웹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2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222)의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도 6의 실시간 동영상 중계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610 내지 S632)을 수행하도록 서버(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2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동영상 중계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실시간 동영상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30)에 접속한다(S610).
사용자가 회원인 경우에는 서버(130)는 웹페이지를 로딩하여 접속한 사용자에게 회원인지의 여부를 묻는 회원아이디 및 비밀번호 입력 안내창을 화면에 표시한다(S612).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별도의 아이콘을 마련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로그인을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비회원인 경우에는 서버(130)는 회원가입에 관한 안내메시지를 화면으로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회원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신규 회원아이디(ID) 및 비밀번호(Password)를 부여하여 회원가입을 하도록 한다(S613).
서버(130)는 사용자가 로그인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에 촬영 지역 설정을 요청한다(S614). 이때, 서버(130)는 전자 지도 또는 검색어 입력창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에 촬영 지역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입력 위치를 포함하는 촬영 요청 정보를 서버(130)로 전송한다(S616). 도 4의 (a)와 같은 전자 지도의 지도 보기 양식에서, 사용자는 탐색 원(410)을 이동시켜 입력 위치의 좌표를 설정하거나, 혹은 도 4의 (b)와 같은 동영상 보기 모드에서 이동 버튼(430)을 이용하여 입력 위치의 좌표를 입력할 수 있다. 혹은, 사용자는 도 4의 (a)의 검색어 입력창(420)에 검색어를 입력하여 입력 위치의 좌표를 특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의해서 입력 위치의 좌표를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 입력 위치는 좌표가 아닌 지역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검색어로 '삼청동'을 입력하는 경우, 입력 위치는 삼청동 전체가 될 수 있다.
서버(130)는 입력 위치에 기초하여 촬영 지역을 설정하고(S618), 촬영 지역에 위치한 복수의 촬영 스팟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한다(S620).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촬영 스팟 중에 하나의 촬영 스팟을 선택한다(S622).
서버(130)는 복수의 촬영 스팟 중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선택된 촬영 스팟 부근에 촬영 가능한 복수의 촬영자 단말(120)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한다(S624).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촬영자 단말(120) 중에 하나의 촬영자 단말을 선택한다(S626). 이때, 사용자는 각 촬영자의 평점 정보를 조회하여 촬영자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선택된 촬영자 단말(120)을 호출한다(S628).
서버(130)는 촬영자 단말(120)의 수락 여부를 확인하고(S630), 촬영자 단말(120)이 거절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에 해당 촬영자 단말이 서비스 제한된 촬영자 단말임을 표시하고, 사용자 단말(110)로 하여금 다른 촬영자 단말(120)을 선택하도록 한다(S631).
서버(130)는 촬영자 단말(120)이 수락한 경우, 촬영자 단말(120)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110)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S632).
전술한 방법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각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으로 해석되면 아니되며, 본 명세서의 내용을 숙지한 당업자에 의해 서로 조합될 수 있고, 조합될 경우 일부 구성 요소들은 생략될 수도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310: 촬영 요청 획득부 320: 촬영 지역 설정부
330: 촬영자 결정부 340: 촬영 동영상 제공부
350: 선호 촬영지 결정부 360: 포인트 결제부
370: 평점 관리부

Claims (15)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영 요청을 수신하여, 입력 위치를 포함하는 촬영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촬영 요청 획득부;
    상기 입력 위치에 기초하여 촬영 지역을 설정하는 촬영 지역 설정부;
    상기 촬영 지역에 위치한 복수의 촬영 스팟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촬영 스팟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촬영 스팟 부근에 촬영 가능한 복수의 촬영자 단말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촬영자 단말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촬영자 단말을 호출하는 촬영자 결정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촬영 요청에 따라 상기 촬영자 단말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촬영 동영상 제공부; 및
    적어도 하나의 촬영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 요청 로그를 수집하고, 상기 촬영 요청 로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촬영 스팟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스팟을 선택하며, 선택된 촬영 스팟에 기초하여 선호 촬영지 정보를 결정하는 선호 촬영지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호 촬영지 결정부는,
    촬영자 단말의 외부로부터 상기 촬영자 단말에 입력되는 소리 신호를 처리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소리 신호가 입력되는 방향에 지시자를 출력하고,
    촬영 스팟 내의 기 존재하는 타 촬영자 단말들이 특정 위치를 촬영하고 있는 경우, 상기 특정 위치를 선호 촬영지로 결정하고,
    촬영자 단말의 외부로부터 상기 촬영자 단말에 촬영자의 음성 신호가 입력된 경우, 촬영자 단말이 현재 이용하고 있지 않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을 된 곳을 선호 촬영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동영상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촬영 방향 선택 아이콘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촬영 방향 선택 아이콘에서 특정 방향을 선택한 경우, 상기 촬영자 단말에 선택된 방향에 해당되는 팝업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요청 획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위치를 획득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로부터 상기 입력 위치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촬영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 요청 로그를 수집하고, 상기 촬영 요청 로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촬영 스팟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스팟을 선택하며, 선택된 촬영 스팟에 기초하여 선호 촬영지 정보를 결정하는 선호 촬영지 결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촬영지 결정부는 상기 촬영 지역에 포함된 복수의 촬영 스팟 중에 일정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선택된 촬영 스팟을 상기 선호 촬영지 정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촬영지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에 기초하여 상기 선호 촬영지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촬영지 결정부는,
    상기 촬영 지역 내의 유고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촬영 지역에 포함된 복수의 촬영 스팟 중에 상기 유고 정보와 연관된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스팟을 상기 선호 촬영지 정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8.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영 요청을 수신하여, 입력 위치를 포함하는 촬영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촬영 요청 획득부;
    상기 입력 위치에 기초하여 촬영 지역을 설정하는 촬영 지역 설정부;
    상기 촬영 지역에 위치한 복수의 촬영 스팟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촬영 스팟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촬영 스팟 부근에 촬영 가능한 복수의 촬영자 단말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촬영자 단말 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촬영자 단말을 호출하는 촬영자 결정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촬영 요청에 따라 상기 촬영자 단말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촬영 동영상 제공부; 및
    적어도 하나의 촬영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 요청 로그를 수집하고, 상기 촬영 요청 로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촬영 스팟 중 적어도 하나의 촬영 스팟을 선택하며, 선택된 촬영 스팟에 기초하여 선호 촬영지 정보를 결정하는 선호 촬영지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호 촬영지 결정부는 상기 촬영 지역에 포함된 복수의 촬영 스팟 중에 일정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선택된 촬영 스팟을 상기 선호 촬영지 정보로 결정하고,
    상기 선호 촬영지 결정부는,
    상기 촬영 지역 내에 광고 계약이 체결된 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촬영 지역에 포함된 복수의 촬영 스팟 중에 상기 광고 계약이 체결된 지점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스팟을 상기 선호 촬영지 정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동영상 제공부는 주기적으로 네트워크의 지연 및 오류를 감지하여 상기 촬영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을 버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동영상 제공부는 상기 동영상을 버퍼링하는 동안에 기저장된 광고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10075362A 2021-06-10 2021-06-10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299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362A KR102299685B1 (ko) 2021-06-10 2021-06-10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
PCT/KR2022/005423 WO2022260264A1 (ko) 2021-06-10 2022-04-14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362A KR102299685B1 (ko) 2021-06-10 2021-06-10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685B1 true KR102299685B1 (ko) 2021-09-08

Family

ID=7778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362A KR102299685B1 (ko) 2021-06-10 2021-06-10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9685B1 (ko)
WO (1) WO202226026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264A1 (ko) * 2021-06-10 2022-12-15 주식회사 에어온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534798B1 (ko) 2022-12-01 2023-05-26 윤광현 실시간 중계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031A (ko) * 2000-04-27 2001-11-08 변경석 인터넷을 이용하여 전세계를 실시간으로 관광하는 방법
KR20120116787A (ko) * 2011-04-13 2012-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제공 서비스 장치, 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20130038735A (ko) 2011-10-10 2013-04-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1457529B1 (ko) 2013-05-21 2014-11-03 주식회사 지오엔소프트 스마트폰을 이용한 공간정보 기반 실시간 동영상 생중계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060902B1 (ko) * 2018-09-10 2019-12-30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영상 데이터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28398B1 (ko) * 2020-09-08 2021-03-15 김성철 이미지 분석 기반 맞춤형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685B1 (ko) * 2021-06-10 2021-09-08 주식회사 에어온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031A (ko) * 2000-04-27 2001-11-08 변경석 인터넷을 이용하여 전세계를 실시간으로 관광하는 방법
KR20120116787A (ko) * 2011-04-13 2012-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제공 서비스 장치, 영상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20130038735A (ko) 2011-10-10 2013-04-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1457529B1 (ko) 2013-05-21 2014-11-03 주식회사 지오엔소프트 스마트폰을 이용한 공간정보 기반 실시간 동영상 생중계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060902B1 (ko) * 2018-09-10 2019-12-30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영상 데이터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28398B1 (ko) * 2020-09-08 2021-03-15 김성철 이미지 분석 기반 맞춤형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0264A1 (ko) * 2021-06-10 2022-12-15 주식회사 에어온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2534798B1 (ko) 2022-12-01 2023-05-26 윤광현 실시간 중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0264A1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3144B2 (en) Mobile terminal, server device, community generation system,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2455713B1 (en) Building directory aided navigation
KR102299685B1 (ko) 실시간 동영상 중계 장치 및 방법
US201402942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ctions and Providing Feedback by Pointing at Object of Interest
US20140040761A1 (en) Providing an update associated with a user-created point of interest
CN109374002B (zh) 导航方法和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4044721A (ja) 友達推薦方法及びそのためのサーバ、並びに端末
KR101282292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364490B (zh) 一种nfc应用的调用方法、电子设备及nfc装置
EP3388958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iewability of location-based spatial object
KR102225175B1 (ko) 영상 통화를 이용한 길안내 방법 및 시스템
CN103874983A (zh) 用于众包自动数据收集的自动代码产生
CN111949859A (zh) 用户画像更新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2017033569A (ja) 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に基づいてユーザの感情および活動を収集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20027600A (ja) 関心地点リストの購読とレビュー情報とに基づいて報酬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60050314A1 (en) Transmission system, transmission terminal, and transmission method
JP2019211833A (ja) 報酬付与方法、報酬付与装置、報酬付与プログラム
JP2019168943A (ja) シェアリング・エコノミー・システム
KR102121371B1 (ko) 생활영상정보 실시간 공유 방법
KR102041571B1 (ko) 사용자에게 현실 공간에 기반한 게임을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124055A (ko) 지도 상에서의 드로잉을 통한 개인 경로의 생성 및 공유
US105999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90106343A (ko) 거리뷰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06122A (ko)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행사장 별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관심사를 분석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CN112115284B (zh) 多媒体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