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982B1 - 난류 형성구 - Google Patents

난류 형성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982B1
KR102298982B1 KR1020170050618A KR20170050618A KR102298982B1 KR 102298982 B1 KR102298982 B1 KR 102298982B1 KR 1020170050618 A KR1020170050618 A KR 1020170050618A KR 20170050618 A KR20170050618 A KR 20170050618A KR 102298982 B1 KR102298982 B1 KR 102298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transfer tube
hole
pair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0512A (ko
Inventor
히데나오 네기
도시미츠 나가사카
다카아키 나카고시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20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28F13/12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by creating turbulence, e.g. by stirring, by increasing the force of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15Guiding means in wate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4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inside the tubular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0/00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e.g. flow guiding means; Particular flow patterns
    • F28F2250/10Particular pattern of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 F28F2250/102Particular pattern of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with change of flow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과제) 전열관(2) 내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방향에 관계없이, 유체의 압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난류 효과가 높은 난류 형성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전열관(2)의 유로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평판부재(1)에 상기 유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마다 복수의 관통구멍(10a, 10b)이 형성되고, 각 관통구멍(10a, 10b)에는 상류측 상변(15a, 15b)과 하류측 하변(16a, 16b)의 각각에서 연장되는 1쌍의 돌출편(11, 12, 13, 14)이 형성되고, 상기 1쌍의 돌출편(11, 12, 13, 14)은 1개의 관통구멍(10a, 10b) 내에서 상기 평판부재(1)의 면에 있어서의 유로방향 우측 근처와 좌측 근처에 병렬로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각의 선단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임의의 관통구멍(10a)에 형성되는 1쌍의 돌출편(11, 12)은 평판부재(1)의 표리면의 어느 일방의 면 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이것에 인접하는 다른 관통구멍(10b)에 형성되는 1쌍의 돌출편(13, 14)은 평판부재(1)의 타방의 면 측으로 돌출된 것이다.

Description

난류 형성구{PART FOR FORMING TURBULANCE}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전열관 내를 흐르는 유체에 난류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상기 전열관 내에 삽입하는 난류 형성구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를 구성하고 있는 전열관은 가스버너의 연소배기가스에 의해서 가열됨으로써 내부의 유체를 승온(昇溫)시킨다. 전열관 내를 흐르는 유체의 국부 비등을 억제하고 열교환을 촉진시켜서 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전열관 내의 유체에 난류를 발생시키는 난류 형성구를 전열관 내에 삽입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4 참조).
상기 난류 형성구로서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부재(3)에 랜스 가공을 함으로써 복수의 절개편(31a, 31b, 31c)을 평판부재(3)의 표리 양면에 돌출시킨 구성의 것이 채용되어 있다. 전열관 내를 흐르는 유체가 절개편(31a, 31b)에 맞닿으면,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열관의 관벽 측으로 흐르게 되고, 관벽에 맞닿은 후에는 다음 절개편(31c)에 맞닿는 흐름을 반복하기 때문에, 유체의 난류화가 촉진되어 국부 비등을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절개편(31a, 31b, 31c)에 의한 유체의 압력 손실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절개편(31a, 31b, 31c)을 유체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는 방향을 따라서 경사지게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0-266488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평11-108458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국 특개평11-51491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국 특개평11-83196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절개편(31a, 31b, 31c)을 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구성으로 하면, 전열관 내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방향과 절개편(31a, 31b, 31c)의 경사방향을 고려하여 유체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도록 난류 형성구를 전열관 내에 삽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나쁘다. 절개편(31a, 31b, 31c)의 경사방향이 유체의 흐름방향과 역방향이 되도록 난류 형성구를 잘못 장착한 경우, 유체에 대한 압력 손실이 증가함과 아울러, 도 5의 이점 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가 평판부재(3)의 표면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절개편(31c)에 맞닿아서 절개구멍(30c)을 통과하고, 그리고 평판부재(3)의 이면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다음 절개편(31b)에 맞닿아서 다음 절개구멍(30b)을 통과하는 것처럼, 유체의 흐름은 평판부재(3)의 표리면을 따라서 흐르게 된다. 이것에서는 유체가 전열관 내의 중앙 측으로 모이게 됨으로써, 즉 유체를 전열관의 관벽 측으로 유도할 수 없기 때문에, 관벽 측에서 난류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국부 비등의 발생이나 열효율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전열관의 난류 형성구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전열관 내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방향에 관계없이 유체의 압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난류 효과가 높은 난류 형성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강구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전열관 내에 삽입되어 전열관 내를 흐르는 유체를 난류시키는 난류 형성구로서, 상기 전열관의 유로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평판부재에 상기 유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마다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각 관통구멍에는 상류측 상변과 하류측 하변의 각각에서 연장되는 1쌍의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1쌍의 돌출편은 1개의 관통구멍 내에서 상기 평판부재의 면에 있어서의 유로방향 우측 근처와 좌측 근처에 병렬로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각의 선단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임의의 관통구멍에 형성되는 상기 1쌍의 돌출편은 상기 평판부재의 표리면의 어느 일방의 면 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관통구멍과 인접하는 다른 관통구멍에 형성되는 상기 1쌍의 돌출편은 상기 평판부재의 타방의 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평판부재의 표리면에는 각각의 선단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1쌍의 돌출편이 인접하는 각 관통구멍에서 표리 측으로 순차적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열관의 양단의 어느 측에서 유체가 흘러오더라도 평판부재의 표리 측에서 돌출편에 의해서 같은 흐름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1쌍의 돌출편은 1개의 관통구멍 내에 병렬로 위치하도록 상류측 상변과 하류측 하변의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각각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열관의 상류측에서부터 흘러오는 유체는, 1개의 관통구멍에 있어서의 상류측 상변에 형성되며 유로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돌출편(상류측 돌출편)과 하류측 하변에 형성되며 반유로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돌출편(하류측 돌출편)의 양측에 맞닿게 된다.
예를 들면, 전열관 내에 형성된 평판부재의 표면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상류측 돌출편에 맞닿은 유체는 상기 상류측 돌출편의 표면을 따라서 상기 상류측 돌출편의 선단에 가까운 관벽의 일방의 측벽 근처로 흐르게 됨과 동시에, 상기 하류측 돌출편의 이면에 맞닿은 유체는 그 기단부 측으로 흐른 후에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평판부재의 이면 측으로 흐르고, 인접하는 다음 관통구멍의 평판부재의 이면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다음 상류측 돌출편의 이면을 따라서 상기 다음 상류측 돌출편의 선단에 가까운 관벽의 타방의 측벽 근처로 흐르게 된다.
이 난류 형성구에서는 유체의 유로방향이 역전되더라도 상기 1쌍의 돌출편은 유체에 대해서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난류 형성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관통구멍의 하류측 하변에서 연장되는 돌출편과 상기 관통구멍의 하류측에 인접하는 다른 관통구멍의 상류측 상변에서 연장되는 돌출편은 유로방향에서 동일 라인상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유체는 인접하는 2개의 관통구멍의 사이를 통해서 유로방향 좌측 근처 또는 우측 근처의 동일 라인상에 위치하는 2개의 돌출편을 따라서 흐르기 때문에, 유체를 부드럽게 관벽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난류 형성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열관 내의 공간이 상기 평판부재에 의해서 넓은 공간과 좁은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평판부재의 일방의 면 측으로 돌출되는 1쌍의 돌출편의 돌출 높이와 상기 평판부재의 타방의 면 측으로 돌출되는 1쌍의 돌출편의 돌출 높이가 상이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돌출편의 돌출 높이가 평판부재의 표리에서 상이하게 되어 있는 평판부재를 전열관 내에 삽입한 경우, 전열관 내에서 돌출 높이가 높은 돌출편이 돌출되는 측의 공간 쪽이 돌출 높이가 낮은 돌출편이 돌출되는 측의 공간보다도 넓어지게 되도록, 평판부재는 전열관의 중심선으로부터 치우친 위치에 세트된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 내에 설치되는 전열관은, 하측 등의 관벽의 일방 측이 버너에 의해서 가열되기 때문에, 전열관의 버너에 가까운 측인 관벽의 일측 영역의 쪽이 버너에서 먼 측인 관벽의 타측 영역보다도 온도가 상승하기 쉽다.
따라서, 전열관 내에서 버너에 가까운 측과 먼 측에 온도차가 생겨 팽창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 그래서, 상기 타측 영역의 공간 쪽이 넓게 되도록 상기 평판부재를 전열관 내에 수용함으로써, 전열관 내부의 넓은 공간을 흐르는 유체의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버너에서부터 먼 전열관 내의 넓은 타측 영역을 천천히 흐르는 유체는 열교환율이 저하되어 타측 영역의 관벽의 온도가 높은 경향이 된다. 따라서, 버너에 가까운 측과 먼 측의 전열관 내의 유체의 온도차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버너에서부터 먼 전열관의 타측 영역에서 결로가 생기거나, 전열관의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에서 팽창 정도에 차이가 생겨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일도 없다.
상기 난류 형성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1쌍의 돌출편은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1쌍의 돌출편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과 아울러 각각의 선단 서로를 교차시키면, 이 돌출편 서로의 교차부분에서 유체가 맞닿게 됨으로써 관벽 측에서 한층 더 난류가 발생하기 쉬워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난류 형성구로서 평판부재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돌출편을 평판부재의 표리에 교호로 돌출되도록 복수 세트 형성하였기 때문에, 유로방향에 관계없이 난류를 발생시키는 기회를 많게 할 수 있으며, 전열관의 관벽 부근까지 유체를 흐르게 하여 유체에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열관 내에서 열효율이 향상된다.
또, 유로방향이 변경되더라도 난류 효과는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난류 형성구의 전열관에 대한 삽입방향은 특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난류 형성구를 장착할 때에, 난류 형성구의 삽입방향과 전열관을 흐르는 유체의 유로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난류 형성구의 전열관 내로의 장착이 간이하게 되어 열교환기의 제조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난류 형성구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난류 형성구를 전열관 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난류 형성구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난류 형성구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난류 형성구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난류 형성구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2는 전열관(2) 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난류 형성구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 타원형상의 전열관(2) 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전열관(2)을 구성하고 있는 타원의 장경(長徑)의 중심선을 따라서 세트 가능한 가로 폭을 가지며, 또한 전열관(2)의 길이에 대략 일치하는 장척상의 금속제의 평판부재(1)로 구성되어 있다.
이 평판부재(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랜스 가공을 함으로써, 절개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관통구멍(10a, 10b)과 절개편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돌출편(11, 12, 13, 14)을 평판부재(1)의 표리 양면에 돌출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1개의 관통구멍(10a)의 상류측 상변(15a)과 하류측 하변(16a)의 각각에서 관통구멍(10a)의 좌우변의 긴 길이에 대략 일치하는 길이의 1쌍의 돌출편(11, 12)을 서로 병렬되게 잘라내어 형성하고, 이들 1쌍의 돌출편(11, 12)의 기단부를 평판부재(1)의 표면 측으로 약 45도 구부린다. 이것에 의해서 돌출편(11, 12)은 그 선단 부분이 교차하는 형태로 평판부재(1)의 표면 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상기 관통구멍(10a)에 인접하는 다른 관통구멍(10b)에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류측 상변(15b)과 하류측 하변(16b)의 각각에 1쌍의 돌출편(13, 14)이 형성되는데, 이것들은 평판부재(1)의 이면 측으로 구부려져서 평판부재(1)의 이면 측에서 양자가 교차하도록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관통구멍(10a)에 1쌍의 돌출편(11, 12)을 평판부재(1)의 표면 측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경사지게 돌출시킴과 아울러, 이것에 인접하는 다른 관통구멍(10b)에는 1쌍의 돌출편(13, 14)을 각각 평판부재(1)의 이면 측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경사지게 돌출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평판부재(1)의 표리 양면에 서로 교차하도록 경사지는 1쌍의 돌출편이 일정한 간격마다 평판부재(1)의 표리면에 교호로 돌출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것에서는, 상류측 관통구멍(10a)의 하류측 하변(16a)에서 평판부재(1)의 표면 측으로 돌출시킨 돌출편(12)과, 그 하류측에 인접하는 관통구멍(10b)의 상류측 상변(15b)에서 평판부재(1)의 이면 측으로 돌출시킨 돌출편(13)은 유로방향 우측 근처의 동일 라인상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의 평판부재(1)를 단면 타원형상의 전열관(2) 내에 장경의 중심선상에 장착함으로써, 전열관(2) 내는 평판부재(1)의 표면 측의 상부 영역(21)과 이면 측의 하부 영역(22)으로 구획되게 되며, 돌출편(11, 12)은 상부 영역(21) 측으로, 돌출편(13, 14)은 하부 영역(22) 측으로 돌출된다.
이 실시형태의 난류 형성구의 경우, 예를 들면 도 1에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의 좌측에서부터 유체가 흘러오는 경우, 전열관(2)의 상부 영역(21)으로 흐르는 유체의 일부는 상류측의 관통구멍(10a)에 형성된 돌출편(11)의 표면을 따라서 전열관(2)의 상부 영역(21)의 관벽(20) 측으로 흐르게 되고, 다른 일부는 돌출편(12)의 이면을 따라서 관통구멍(10a) 측으로 흐른 후에 이 관통구멍(10a)을 통과하여 전열관(2)의 하부 영역(22)으로 흐름과 아울러, 전열관(2)의 하부 영역(22)으로 흐르는 유체와 함께 인접하는 관통구멍(10b)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편(12)과 유로방향 우측 근처의 동일 라인상에 위치하는 돌출편(13)의 이면을 따라서 전열관(2)의 하부 영역(22)의 관벽(20) 측으로 흐르게 된다.
또, 전열관(2)의 하부 영역(22)으로 흐르는 유체의 일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편(13)의 이면을 따라서 전열관(2)의 하부 영역(22)의 관벽(20) 측으로 흐르게 되고, 다른 일부는 돌출편(14)의 표면을 따라서 관통구멍(10b) 측으로 흐른 후에 이 관통구멍(10b)을 통과하여 전열관(2)의 상부 영역(21)으로 흐르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더 하류측에 인접하는 관통구멍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편(14)과 유로방향 좌측 근처의 동일 라인상에 위치하는 돌출편에 의해서 상부 영역(21)의 관벽(20) 측으로 흐르게 된다.
반대로, 도 1의 우측에서부터 유체가 흘러오는 경우, 이점 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열관(2)의 상부 영역(21)으로 흐르는 유체의 일부는 관통구멍(10a)에 형성된 돌출편(12)의 표면을 따라서 전열관(2)의 상부 영역(21)의 관벽(20) 측으로 흐르게 되고, 다른 일부는 돌출편(11)의 이면을 따라서 관통구멍(10a) 측으로 흐른 후에 이 관통구멍(10a)을 통과하여 전열관(2)의 하부 영역(22)으로 흐르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돌출편(11)과 유로방향 우측 근처의 동일 라인상에 위치하는 인접하는 돌출편을 따라서 전열관(2)의 하부 영역(22)의 관벽(20) 측으로 흐르게 된다.
또, 전열관(2)의 하부 영역(22)으로 흐르는 유체의 일부는 관통구멍(10b)의 돌출편(14)의 이면을 따라서 전열관(2)의 하부 영역(22)의 관벽(20) 측으로 흐르게 되고, 다른 일부는 돌출편(13)의 표면을 따라서 관통구멍(10b) 측으로 흐른 후에 이 관통구멍(10b)을 통과하여 전열관(2)의 상부 영역(21)으로 흐름과 아울러, 상기 돌출편(13)과 유로방향 좌측 근처의 동일 라인상에 위치하는 돌출편(12)의 표면을 따라서 전열관(2)의 상부 영역(21)의 관벽(20) 측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유체는 인접하는 관통구멍(10a, 10b) 사이를 통해서 유로방향 좌측 근처 또는 우측 근처의 동일 라인상에 위치하는 2개의 돌출편을 따라서 흐르기 때문에, 유체를 부드럽게 관벽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난류 형성구에서는, 각 관통구멍(10a, 10b)에 돌출편(11, 12, 13, 14)을 "八"자 형상으로 1쌍씩 형성하되 평판부재(1)의 표리면에 교호로 돌출시키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유체가 맞닿아서 흐름이 변화되는 기회가 많아지게 되어 유체의 난류를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열관(2) 내에 있어서의 열교환율이 향상된다.
또, 돌출편(11, 12, 13, 14)은 평판부재(1)의 표리면에 같은 형태로 돌출되어 있어 전열관(2)에 대한 삽입방향에 따라서 난류 효과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삽입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전열관(2)에 난류 형성구를 삽입하여 세트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쌍의 돌출편(11, 12, 13, 14)은 유체의 흐름방향에서 볼 때 대향하는 내측단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의 압력 손실이 억제된다. 또, 1쌍의 돌출편(11, 12, 13, 14)은 전열관(2)의 중앙에 위치하는 기단부가 폭이 넓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전열관(2) 내의 중앙으로 흐르는 유체를 효율적으로 외측의 관벽 측으로 보낼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것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난류 형성구의 설명도이다.
이것에서는 평판부재(1)의 이면 측으로 돌출시키는 돌출편(18)을 표면 측으로 돌출시키는 돌출편(17)보다도 짧게 설정하고, 평판부재(1)를 단면 타원형상의 전열관(2)의 장경의 중심보다도 전열관(2)의 하부 영역(22) 측으로 치우친 소정 위치에 세트하여 사용한다. 이것에 의해서 평판부재(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전열관(2)의 하부 영역(22)이 좁아지게 된다.
이 경우, 열교환기에 채용되는 전열관(2)은 하측에서 버너에 의해서 가열되는 구성이며, 전열관(2) 내는 버너에서부터 먼 상부 영역(21)의 관벽(20)보다도 버너에서부터 가까운 하부 영역(22)의 관벽(20)이 뜨거운 분위기에 노출된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평판부재(10)를 전열관(2) 내의 하부 영역(22) 측으로 치우치게 세트함으로써, 전열관(2)은 평판부재(1)에 의해서 넓은 공간인 상부 영역(21)과 좁은 공간인 하부 영역(22)으로 구획된다.
이것에 의해서 전열관(2) 내를 흐르는 유체는 넓은 공간인 상부 영역(21)을 흐르는 속도보다도 좁은 공간인 하부 영역(22)을 흐르는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하부 영역(22) 내에서 빠르게 흐르는 유체는 평판부재(1)의 이면 측으로 돌출시킨 돌출편(18)에 의해서 난류가 촉진되어 신속하게 열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하부 영역(22)의 관벽(2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영역(21) 내를 천천히 흐르는 유체는 높은 돌출편(17)에 의해서 난류가 촉진되지만, 흐름이 느리고 열교환이 천천히 이루어짐으로써 상부 영역(21)의 관벽(20)의 온도가 높은 경향이 된다. 따라서, 전열관(2)은 하측에서 가열됨에도 불구하고 전열관(2) 내의 상부 영역(21)과 하부 영역(22)에서의 유체의 온도차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버너에서부터 먼 전열관(2)의 상부 영역에서 결로가 생기거나, 전열관(2)의 상부 영역(21)과 하부 영역(22)에서의 온도차에 의해서 팽창 정도에 차이가 생겨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일도 없다.
또한, 이것에서는 평판부재(1)의 표리면에서 돌출편(17, 18)의 높이를 변경하고 있기 때문에, 전열관(2)으로의 삽입시에 평판부재(1)의 상하는 특정되지만, 1개의 관통구멍에 1쌍의 돌출편을 서로 교차되도록 경사시키는 구성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같기 때문에, 이 제 2 실시형태의 난류 형성구도 전열관(2)에 대한 삽입방향이 특정되는 일이 없어 전열관(2) 내에 간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것은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각 관통구멍(40)의 상류측 상변(40a)에서 돌출시키는 상류측 돌출편(4)을 모두 유로방향 좌측 근처의 동일 라인상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함과 아울러, 하류측 하변(40b)에서 돌출시키는 하류측 돌출편(41)을 모두 유로방향 우측 근처의 동일 라인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것에서는 평판부재(1)에 모두 같은 형상의 1개의 관통구멍을 블랭킹 가공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절개구멍으로서의 관통구멍에서 각각 1쌍의 절개편으로서의 돌출편을 돌출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돌출편의 개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1쌍의 돌출편을 선단측에서 교차시키고 있으나, 1쌍의 돌출편을 선단부 사이를 떨어뜨려서 교차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1 : 평판부재 10a,10b : 관통구멍
11,12,13,14 : 돌출편 15a,15b : 상류측 상변
16a,16b : 하류측 하변 2 : 전열관

Claims (5)

  1. 전열관 내에 삽입되어 전열관 내를 흐르는 유체를 난류시키는 난류 형성구로서,
    상기 전열관의 유로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평판부재에 상기 유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마다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각 관통구멍에는 상류측 상변과 하류측 하변의 각각에서 연장되는 1쌍의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1쌍의 돌출편은 1개의 관통구멍 내에서 상기 평판부재의 면에 있어서의 유로방향 우측 근처와 좌측 근처에 병렬로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각의 선단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임의의 관통구멍에 형성되는 상기 1쌍의 돌출편은 상기 평판부재의 표리면의 어느 일방의 면 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관통구멍과 인접하는 다른 관통구멍에 형성되는 상기 1쌍의 돌출편은 상기 평판부재의 타방의 면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난류 형성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임의의 관통구멍의 하류측 하변에서 연장되는 돌출편과 상기 관통구멍의 하류측에 인접하는 다른 관통구멍의 상류측 상변에서 연장되는 돌출편은 유로방향에서 동일 라인상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한 난류 형성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열관 내의 공간이 상기 평판부재에 의해서 넓은 공간과 좁은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평판부재의 일방의 면 측으로 돌출되는 1쌍의 돌출편의 돌출 높이와 상기 평판부재의 타방의 면 측으로 돌출되는 1쌍의 돌출편의 돌출 높이가 상이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는 난류 형성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열관 내의 공간이 상기 평판부재에 의해서 넓은 공간과 좁은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평판부재의 일방의 면 측으로 돌출되는 1쌍의 돌출편의 돌출 높이와 상기 평판부재의 타방의 면 측으로 돌출되는 1쌍의 돌출편의 돌출 높이가 상이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는 난류 형성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돌출편은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난류 형성구.
KR1020170050618A 2016-04-21 2017-04-19 난류 형성구 KR102298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84954 2016-04-21
JP2016084954A JP6662696B2 (ja) 2016-04-21 2016-04-21 乱流形成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512A KR20170120512A (ko) 2017-10-31
KR102298982B1 true KR102298982B1 (ko) 2021-09-06

Family

ID=60089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618A KR102298982B1 (ko) 2016-04-21 2017-04-19 난류 형성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97343B2 (ko)
JP (1) JP6662696B2 (ko)
KR (1) KR102298982B1 (ko)
CN (1) CN1073457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36153A1 (en) * 2016-05-12 2017-11-23 Price Industries Limited Gas turbulator for an indirect gas-fired air handling unit
JP6848418B2 (ja) 2016-12-19 2021-03-24 株式会社ノーリツ 熱交換器および温水装置
DE112018006027T5 (de) 2017-11-27 2020-09-17 Dana Canada Corporation Verbesserte wärmeübertragungsfläche
JP7214209B2 (ja) * 2019-03-06 2023-01-30 株式会社パロマ 乱流板、熱交換器及び給湯器
JP7301344B2 (ja) * 2019-04-01 2023-07-03 株式会社パロマ 熱交換器及び給湯器
US11566855B2 (en) * 2019-08-09 2023-01-31 Mikutay Corporation Tube and chamber heat exchange apparatus having a medium directing assembly with enhanced medium directing panels
KR102651402B1 (ko) * 2020-08-31 2024-03-2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온수기
US20230280108A1 (en) * 2020-08-31 2023-09-07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Exchanger Assembly and Water Heater Compris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6582A1 (en) * 2004-07-23 2006-01-26 Usui Kokusai Sangyo Kaisha Limited Fluid agitating fin,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heat exchanger tube and heat exchanger or heat exchanging type gas cooling apparatus inwardly mounted with the fin
CN204612561U (zh) * 2015-04-28 2015-09-02 中石化石油工程机械有限公司研究院 边界层反转开缝翅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7907A (en) * 1987-03-30 1988-03-01 Dunham-Bush Turbulator with integral flow deflector tabs
JPH0741270U (ja) * 1993-12-17 1995-07-21 オリオン機械株式会社 熱交換器
JP3687294B2 (ja) 1997-07-28 2005-08-24 株式会社ノーリツ フィンパイプの乱流形成装置
US6273183B1 (en) * 1997-08-29 2001-08-14 Long Manufacturing Ltd. Heat exchanger turbulizers with interrupted convolutions
JP3678261B2 (ja) 1997-08-29 2005-08-03 株式会社ノーリツ フィンパイプの乱流形成装置
JP3678262B2 (ja) * 1997-10-06 2005-08-03 株式会社ノーリツ フィンパイプの乱流形成装置
US5901641A (en) 1998-11-02 1999-05-11 Afc Enterprises, Inc. Baffle for deep fryer heat exchanger
US7686070B2 (en) * 2005-04-29 2010-03-30 Dana Canada Corporation Heat exchangers with turbulizers having convolutions of varied height
US20070012430A1 (en) * 2005-07-18 2007-01-18 Duke Brian E Heat exchangers with corrugated heat exchange elements of improved strength
US8453719B2 (en) * 2006-08-28 2013-06-04 Dana Canada Corporation Heat transfer surfaces with flanged apertures
KR100921117B1 (ko) * 2007-12-06 2009-10-12 주식회사 한국쿨러 오일냉각기
KR100971356B1 (ko) * 2008-04-25 2010-07-2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자동차용 오일 쿨러 및 그 제조방법
CN101424490A (zh) * 2008-12-15 2009-05-06 清华大学 一种平板间不连续双斜交叉肋强化换热方法
CN103267436A (zh) * 2013-05-29 2013-08-28 浙江大学 一种强化传热的板翅式树杈结构换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6582A1 (en) * 2004-07-23 2006-01-26 Usui Kokusai Sangyo Kaisha Limited Fluid agitating fin,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heat exchanger tube and heat exchanger or heat exchanging type gas cooling apparatus inwardly mounted with the fin
CN204612561U (zh) * 2015-04-28 2015-09-02 中石化石油工程机械有限公司研究院 边界层反转开缝翅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97343B2 (en) 2019-02-05
CN107345776B (zh) 2020-09-18
JP2017194226A (ja) 2017-10-26
CN107345776A (zh) 2017-11-14
JP6662696B2 (ja) 2020-03-11
US20170307309A1 (en) 2017-10-26
KR20170120512A (ko)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8982B1 (ko) 난류 형성구
KR102354854B1 (ko) 난류 형성구 및 이것을 이용한 열교환기 및 급탕장치
US10408549B2 (en) Heat exchanger, hot water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KR20100097718A (ko) 터빈 날개의 냉각 구조
KR970028422A (ko) 핀부착열교환기
JP7328115B2 (ja) 熱交換器
KR860002709A (ko) 열 교환기
KR20190074646A (ko) 터뷸레이터
CN112368535B (zh) 热交换器
EP1977180B1 (en) Fin and tube heat exchanger
CN111512109B (zh) 无集管板型热交换器
JP2006207966A (ja) 熱交換器
JP2018100789A (ja) 熱交換器および温水装置
US20130327512A1 (en) Heat exchanger
US11774187B2 (en) Heat transfer fin of fin-tube type heat exchanger
KR20200042424A (ko) 전열 핀
JP2020051626A (ja) 熱交換器
JP2005156033A (ja) 給湯器の熱交換器用フィン、及びこれを備える給湯器用熱交換器
KR20160108163A (ko) 가스 터빈 연소기용 순차식 라이너
CN215598200U (zh) 用于热交换器的湍流器
KR101800128B1 (ko) 가스터빈 블레이드
KR101685796B1 (ko) 열교환 유닛
CN111043892B (zh) 传热翅片
JP2008185307A (ja) 熱交換器用フィン
JP7260147B2 (ja) 熱交換器及び給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