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921B1 -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 - Google Patents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921B1
KR102298921B1 KR1020190165815A KR20190165815A KR102298921B1 KR 102298921 B1 KR102298921 B1 KR 102298921B1 KR 1020190165815 A KR1020190165815 A KR 1020190165815A KR 20190165815 A KR20190165815 A KR 20190165815A KR 102298921 B1 KR102298921 B1 KR 102298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press
gube
fitting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5271A (ko
Inventor
김준년
Original Assignee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5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921B1/ko
Publication of KR20210075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개형 부시를 파이프의 부시홀 내로 압입시키는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에 있어서, 고정된 파이프 상에 위치되며,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내경이 일률적인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 하부로 연결되어 점진적으로 내경이 감소되는 구베부를 갖는 부시 압입가이드; 및 상기 부시 압입가이드의 평탄부에 로딩된 절개형 부시를 압입하여 상기 절개형 부시가 상기 구베부를 지나 상기 부시홀 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부시 푸시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Bush Indenting Device using Bush Guide}
본 발명은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에 대한 것이다.
현재 부시(bush)는 다양한 목적을 위해 각종 기계의 부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부시는 부시 결합체에 마련된 부시 홀들에 압입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부시 결합체에 부시를 체결하는 작업은 매우 큰 힘을 필요로 하고, 이 때문에 부시의 압입 작업에는 부시 압입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부시 압입 장치의 일 예가 공개특허 제10-2012-0111160(휴대용 부시압입기), 공개특허 제10-2014-0055454호(부시 압입용 장치) 및 등록특허 제10-1433061호(부시 압입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부시 압입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부시 압입장치는 전체적으로 부시 압입로드, 부시가 부시홀에 압입 장착되는 파이프, 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파이프 고정단, 부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종래 부시압입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부시 가이드 보조장치 없이 부시를 부시압입로드(2)를 통해 직접 압입하여 파이프(3)의 부시홀로 삽입하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되어있는 파이프(3) 위에 부시(4)를 거치한 후, 부시압입로드(2)를 이용하여 부시(4)를 압입하게 된다.
또한, 절개형 부시(4)는 그 특성상 압입 전후 외경이 변하게 되며, 이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되게 된다.
도 3a는 압입전 절개형 부시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압입후 절개형 부시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c는 파이프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파이프의 내경이 42mm인 경우, 압입전 절개형 부시의 외경은 43mm이면, 압입후 부시의 외경은 42mm로 변하게 되며 이러한 압입에 의한 급격한 지름변화로 인해 압입공정중 다량의 버(burr)가 발생되고, 압입제품의 이탈력 감소(400~800kgf)가 발생되게 된다. 도 4는 압입 후 버가 발생한 부시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84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887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116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554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306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절개형 부시 압입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압입시 발생하는 버(burr)를 줄이고, 이탈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절개형 부시를 파이프의 부시홀 내로 압입시키는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에 있어서, 고정된 파이프 상에 위치되며,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내경이 일률적인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 하부로 연결되어 점진적으로 내경이 감소되는 구베부를 갖는 부시 압입가이드; 및 상기 부시 압입가이드의 평탄부에 로딩된 절개형 부시를 압입하여 상기 절개형 부시가 상기 구베부를 지나 상기 부시홀 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부시 푸시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시 푸시로드는, 하중은 인가하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 하부측에 연결되어 상기 절개형 부시와 접촉되어 상기 절개형 부시를 압입하는 푸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유닛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홈이 구비되어 다수의 푸시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푸시부재는 압입시 상기 구베부에 따른 내경 축소에 따라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베부는, 상기 평탄부에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평탄부에 대해 제1경사각을 가지며 점진적으로 내경이 축소되는 1차 구베부와, 상기 1차 구베부에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경사각보다 작은 제2경사각을 가지며 점진적으로 내경이 축소되는 2차 구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차 구베부는 상기 1차 구베부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유닛의 직경은 하부측으로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에 따르면, 절개형 부시 압입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압입시 발생하는 버(burr)를 줄이고, 이탈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부시 압입장치의 구성도,
도 3a는 압입전 절개형 부시의 평면도,
도 3b는 압입후 절개형 부시의 평면도,
도 3c는 파이프의 평면도,
도 4는 압입 후 버가 발생한 부시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의 구성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시 푸시로드의 측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시 푸시로드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시 압입가이드의 측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시압입가이드의 평탄부에 부시가 로딩된 상태의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시 푸시로드에 의해 부시가 압입되어 구베부에 진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시가 파이프의 부시홀 내로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의 구성,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시 푸시로드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시 푸시로드의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시 압입가이드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부시 압입가이드(20)와, 부시 푸시로드(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 압입가이드(20)는, 부시(4)가 수축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며, 고정된 파이프(3) 상에 위치되며, 내부에 관통홀(21)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통홀(21)은 내경이 일률적인 평탄부(22)와, 이러한 평탄부 (22)하부로 연결되어 점진적으로 내경이 감소되는 구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절개형 부시(4)가 평탄부(22)에 로딩되어 부시 푸시로드(10)의 압입에 의해 구베부를 지나면서 절개형 부시(4)가 수축되어 파이프(3)로 압입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베부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구베부(23)와, 2차구베부(24)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1차 구베부(23)는 평탄부(22)에 하단에 연결되며, 평탄부(22)에 대해 제1경사각을 가지며 점진적으로 내경이 축소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1경사각은 10 ~ 20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2차 구베부(24)는 1차 구베부(23)에 하단에 연결되며 제1경사각보다 작은 제2경사각을 가지며 점진적으로 내경이 축소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제2경사각은 0.5 ~ 1.5도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2차 구베부(24)의 하단으로는 파이프 장착단(25)이 형성되어 파이프(3)가 장착되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구베부(24)는 1차 구베부(23)보다 길게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절개형 부시(4)가 평탄부(22)에 로딩되어 부시 푸시로드(10)의 압입에 의해 1차 구베부(23)와 2차 구베부(24)를 연속적으로 지나면서 절개형 부시(4)가 수축되어 파이프 장착단(25)에 장착된 파이프(3)로 압입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시 푸시로드(10)는, 도 5,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4) 압입시 하중을 가하기 위한 로드로서, 부시 압입가이드(20)의 평탄부(22)에 로딩된 절개형 부시(4)를 압입하여 절개형 부시(4)가 1차 구베부(23)와 2차 구베부(24)를 연속적으로 지나 파이프(3)의 부시홀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시 푸시로드(10)는 하중은 인가하기 위한 본체(11)와, 본체(11) 하부측에 연결되어 절개형 부시(4)와 접촉되어 절개형 부시(4)를 압입하는 푸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유닛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홈(13)이 구비되어 다수의 푸시부재(12)를 형성하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푸시유닛의 직경은 하부측으로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다수의 푸시부재(12)는 압입시 1차 구베부(23)와 2차 구베부(24)에 따른 내경 축소에 따라 수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100)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의 압입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파이프(3) 내로 압입시킬 절개형 부시(4)를 부시압입가이드(20)의 평탄부(22)에 로딩하고, 파이프 장착단(25)에 파이프(3)를 장착시키게 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시압입가이드의 평탄부에 부시가 로딩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부시 푸시로드(10)를 통해 부시(4)에 하중을 가하여 압입을 진행하게 된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시 푸시로드에 의해 부시가 압입되어 구베부에 진입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 푸시로드(10)에 의해 절개형 부시(4)를 압입하게 되면 절개형 부시(4)가 1차 구베부(23)와 2차 구베부(24)를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수축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1차 구베부(23)와 2차 구베부(24)를 통해 순차적으로 수축된 절개형 부시(4)는 파이프(3)의 부시홀 내로 압입, 삽입되게 된다.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시가 파이프의 부시홀 내로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에 따르면, 절개형 부시 압입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압입시 발생하는 버(burr)를 줄이고, 이탈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종래 부시 압입장치
2:부시압입로드
3:파이프
4:절개형 부시
10:부시 푸시로드
11:본체
12:푸시부재
13:절개홈
20:부시압입가이드
21:관통홀
22:평탄부
23:1차 구베추
24:2차 구베부
25:파이프 장착단
100: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

Claims (5)

  1. 절개형 부시를 파이프의 부시홀 내로 압입시키는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에 있어서,
    고정된 파이프 상에 위치되며,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내경이 일률적인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 하부로 연결되어 점진적으로 내경이 감소되는 구베부를 갖는 부시 압입가이드; 및
    상기 부시 압입가이드의 평탄부에 로딩된 절개형 부시를 압입하여 상기 절개형 부시가 상기 구베부를 지나 상기 부시홀 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부시 푸시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부시 푸시로드는, 하중은 인가하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 하부측에 연결되어 상기 절개형 부시와 접촉되어 상기 절개형 부시를 압입하는 푸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푸시유닛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홈이 구비되어 다수의 푸시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푸시부재는 압입시 상기 구베부에 따른 내경 축소에 따라 수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베부는, 상기 평탄부에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평탄부에 대해 제1경사각을 가지며 점진적으로 내경이 축소되는 1차 구베부와, 상기 1차 구베부에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경사각보다 작은 제2경사각을 가지며 점진적으로 내경이 축소되는 2차 구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구베부는 상기 1차 구베부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
  5. 절개형 부시를 파이프의 부시홀 내로 압입시키는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에 있어서,
    고정된 파이프 상에 위치되며,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내경이 일률적인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 하부로 연결되어 점진적으로 내경이 감소되는 구베부를 갖는 부시 압입가이드; 및
    상기 부시 압입가이드의 평탄부에 로딩된 절개형 부시를 압입하여 상기 절개형 부시가 상기 구베부를 지나 상기 부시홀 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부시 푸시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부시 푸시로드는, 하중은 인가하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 하부측에 연결되어 상기 절개형 부시와 접촉되어 상기 절개형 부시를 압입하는 푸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푸시유닛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홈이 구비되어 다수의 푸시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푸시부재는 압입시 상기 구베부에 따른 내경 축소에 따라 수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푸시유닛의 직경은 하부측으로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
KR1020190165815A 2019-12-12 2019-12-12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 KR102298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815A KR102298921B1 (ko) 2019-12-12 2019-12-12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815A KR102298921B1 (ko) 2019-12-12 2019-12-12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271A KR20210075271A (ko) 2021-06-23
KR102298921B1 true KR102298921B1 (ko) 2021-09-09

Family

ID=7659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815A KR102298921B1 (ko) 2019-12-12 2019-12-12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9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6316A (zh) * 2014-12-30 2015-04-22 天津市汉沽德源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减震器衬套压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085B1 (ko) 2011-03-31 2013-04-02 ( 주 ) 화신 휴대용 부시압입기
KR20140055454A (ko) 2012-10-31 2014-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시 압입용 장치
KR101433061B1 (ko) 2013-05-31 2014-09-25 주식회사화신 부시 압입장치
KR101648456B1 (ko) 2015-11-20 2016-08-16 박정근 부시 압입 장치
KR101758875B1 (ko) 2016-05-20 2017-07-31 김태진 수평형 부시 압입장치
WO2018074519A1 (ja) * 2016-10-21 2018-04-26 日本バルカー工業株式会社 ピストンパッキン装着用治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6316A (zh) * 2014-12-30 2015-04-22 天津市汉沽德源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减震器衬套压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271A (ko) 202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06573B1 (en) Resilient bush and method of pressure-insertion of a resilient bush
JP6594444B2 (ja) 軸継手
US9130415B2 (en) Electric motor with balance adjustment mechanism for rotor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KR102298921B1 (ko) 부시 압입 가이드를 이용한 절개형 부시 압입장치
JP2011183529A (ja) コンロッド破断分割装置及び破断分割方法
US6543817B1 (en) Process for forming radially upset tube flange and tube connector assembly formed thereby
EP3862592A1 (en) Disc spring, disc spr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c spring
JP2008249035A (ja) 防振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樹脂製外筒部材
DE102015203895A1 (de) Nockenwellenbaugruppe
US7140272B2 (en) Assembly type crankshaft
US20180274578A1 (en) Joining system and method
US10133294B2 (en) Bearing member for pedal arm and pedal arm
US20190107142A1 (en) Nut
KR970011453A (ko) 확개 압입 볼트
WO2015098332A1 (ja) 下段部材の固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流体制御装置
US20040134059A1 (en) Method for fixing at least a guiding insert between two coaxial tubes, in particular in a motor vehicle anti-roll device
US2017010076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ipe member
JP2006315098A (ja) 破断分割装置及び破断分割方法
US20220324183A9 (en) Fastening element
SE504121C2 (sv) Fasad nit
JP2009079722A (ja) 筒型防振装置
JP3012086U (ja) 鍛造・圧造用ダイス
JP2020070858A (ja) 嵌合構造
KR20040010250A (ko) 글로 플러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230013931A (ko) 볼 스터드 및 볼 스터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