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742B1 - 외경 미세 절삭용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 - Google Patents

외경 미세 절삭용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742B1
KR102298742B1 KR1020200028363A KR20200028363A KR102298742B1 KR 102298742 B1 KR102298742 B1 KR 102298742B1 KR 1020200028363 A KR1020200028363 A KR 1020200028363A KR 20200028363 A KR20200028363 A KR 20200028363A KR 102298742 B1 KR102298742 B1 KR 102298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tip
upper block
block
outer diame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탈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탈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탈링
Priority to KR1020200028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12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 B23B29/14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affording a yielding support of the cutting tool, e.g. by spring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02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16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bevelling, chamfering, or deburring the ends of bars or tubes
    • B23B5/167Tools for chamfering the ends of bar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서트 팁 홀더에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진원도, 두께, 진직도, 동심도, 편심도 등 관(Pipe)이 보유한 각종 형태에 대응하여 인서트 팁의 위치 가변이 적극 유도됨에 따라 미세하면서도 균일한 절삭 가공이 가능한 외경 미세 절삭용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에 관한 것으로, 면취 가공 장치에 결부되는 하부블록(11) 및 하부블록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인서트 팁(3)을 구비한 상부블록(12)과 하부블록의 일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부블록의 배면과 마주하는 지지부(13)를 포함하는 바디(10);와, 상부블록과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체(20);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블록(12)은 인서트 팁을 관(2)의 외경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면취 가공 장치에 의해 선회하고, 관의 가변되는 굴곡마다 탄성체(20)가 인장 또는 수축하면서 상부블록의 회동 궤적이 조절됨에 따라 관의 외경을 균일한 절삭력으로 가공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외경 미세 절삭용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Insert tip holder}
본 발명은 관(Pipe)의 단면상에 형성된 BURR의 제거를 위하여 면취 가공 장치에 인서트 팁을 연결하는 인서트 팁 홀더에 관련한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서트 팁 홀더에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진원도, 두께, 진직도, 동심도, 편심도 등 관(Pipe)이 보유한 각종 형태에 대응하여 인서트 팁의 위치 가변이 적극 유도됨에 따라 미세하면서도 균일한 절삭 가공이 가능한 외경 미세 절삭용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절단된 관의 단면에는 BURR가 발생하고, 상기 BURR는 정밀 제품을 조립하는데 방해되거나 도금시 불량을 유도하는 등 제품의 기능을 저하함은 물론 날카로운 형태로 인해 제품을 조립하거나 수리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안전에 유해를 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제거되어야 한다.
기본적으로 BURR는 단면의 둘레를 따라 외경은 약 3mm 이상, 내경은 1mm 이상으로 가공하며, 이를 위해 활용되는 면취 가공 장치는 기계 산업의 발전에 따라 더욱 정교하고 우수한 기능을 갖추게 되었다.
이러한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0661756호 "관 모따기 장치"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관의 내부공간으로 편심지게 삽입되어 관을 압지하는 가압봉과, 관의 하단을 지지하며 좌우 한 쌍이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이송스크류 및 이송스크류에 결합된 상태로 동시 회전하면서 관의 단부에 접촉하여 외경을 가공하는 절삭부로 이루어진 기술로써 하나의 가압봉만으로 관의 내부 지름과 상관없이 면취 가능하여 작업이 수월하고 작은 부피로 인해 휴대성 등이 용이하다.
하지만, 외경이 불규칙한 관을 가공할 경우 관과 밀접하게 접촉된 가압봉이 불규칙한 지름 영역으로 도달할 때마다 지속적인 진동이 발생하고, 이러한 진동은 관의 외경을 균일하게 절삭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상에 제약이 있었다.
다시 말해 상기 기술은 정확하게 원형을 갖춘 관에 한해서 작업 가능하며, 타원형이나 이 형상에 가까울수록 가공의 정확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거나 원하는 수준의 가공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면취 가공과 관련된 또 다른 일례로 공개특허공보 제20-2000-0029204호 "공작물의 내경 모따기 장치"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압축된 공기를 일방향 이송하는 파이프부재와, 파이프부재의 정면에 설치되며 공급된 압축 공기에 의해 절삭날이 회전되는 회전공구체 및 공구이동방지부재와, 공구이동방지부재와 파이프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손잡이부로 구성된 기술이다. 상기 기술은 공작물에 형성된 홀의 중심부로 회전공구체를 진입시켜 홀의 외경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조작하여 회전공구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홀에 면취 가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기술이다.
하지만, 상기 기술 역시 홀의 형태가 타원형이거나 외경이 균일하지 못할 경우 가공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가공 업계에서는 관의 외경과 내경을 동시 가공하여 신속한 작업 환경을 조성함은 물론 관의 형태와 지름 또는 관의 두께에 상관없이 관에 형성된 BURR를 정확하고 균일하게 절삭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661756호 "관 모따기 장치"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0-0029204호 "공작물의 내경 모따기 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관의 절단면을 신속하게 가공함은 물론 론 관의 형태와 지름 또는 관의 두께에 상관없이 관에 형성된 BURR를 정확하고 균일하게 절삭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면취 가공의 정밀성을 위하여 면취 공정 후 별도의 브러쉬 공정이 추가되어야 했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면취 가공만으로도 소수점 이하의 초정밀 면취 가공이 가능한 인서트 팁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외경 미세 절삭용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인서트 팁 홀더는 면취 가공 장치에 결부되는 하부블록(11) 및 하부블록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인서트 팁(3)을 구비한 상부블록(12)과 하부블록의 일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부블록의 배면과 마주하는 지지부(13)를 포함하는 바디(10);와, 상부블록과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체(20);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블록(12)은 인서트 팁을 관(2)의 외경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면취 가공 장치에 의해 선회하고, 관의 가변되는 굴곡마다 탄성체(20)가 인장 또는 수축하면서 상부블록의 회동 궤적이 조절됨에 따라 관의 외경을 균일한 절삭력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블록(12)은 정면과 배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협소해지는 삼각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어느 일면에는 인서트 팁(3)의 결부를 위한 결합 면(12-1)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면(12-1)은 삼각기둥의 상측 꼭짓점을 기점으로 '
Figure 112020024133313-pat00001
'의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 면(12-1)은 상부블록(12)의 정면에서 상측 꼭짓점을 기점으로 배면의 변을 따라 점차 확장되는 각도로 함몰되어 인서트 팁(3)의 상측과 밀접한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1접촉부(12-1a);와, 상부블록(12)의 정면 삼각기둥 하단에서 제1접촉부에 이르도록 연장 함몰되어 인서트 팁의 하측과 밀접한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2접촉부(12-1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 면(12-1)은 함몰된 영역 내에 인서트 팁(3)을 고정하는 결합 공(12-2) 및 인서트 팁을 결합 공에 고정하는 결합 핀(12-3)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핀(12-3)은 인서트 팁과 결합 면(12-1) 사이에 탄성 부재(12-4)가 더 권취되어 탄성력이 부여됨으로써 관(2)의 가변되는 외경 두께에 대응하여 결합 면 내에서 인서트 팁의 설정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관의 외경을 균일한 절삭력으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20)는 볼트의 형상을 가지며 지지부(13)를 관통하여 상부블록(12)의 정면에 나사 고정되는 고정축(21);과, 상기 고정축(21)의 외주연에 권취되어 상부블록에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하부블록(11)으로부터 회동한 상부블록의 지속적인 원상복귀를 유도하는 스프링(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22)은 상부블록(12)과 지지부(13)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블록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제1스프링(22a)과, 지지부(13)와 고정축(21)의 머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블록의 역 회동 내지 회동 반경을 제어하는 제2스프링(22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면취 가공 장치에 결합하는 하부블록과 인서트 팁을 구비한 상부블록으로 양분된 두 개의 몸체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탄성체에 의해 탄성력을 부여받은 상부블록에 의해 완충 작용이 구축됨에 따라 관의 형태, 지름, 두께에 상관없이 광범위한 조건하에서도 정밀하고 정확한 가공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서트 팁이 체결되는 상부블록의 결합 면에 인서트 팁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접촉부와 하단을 지지하는 제2접촉부로 이루어져 인서트 팁을 완벽 고정함으로써 관의 형태, 지름, 두께 등에 따라 전달되는 불규칙한 진동 내지 충격으로부터 인서트 팁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와 상부블록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하기 위한 고정축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축은 볼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블록에 나사 결합하고, 상부블록에 고정축의 삽입 정도에 따라 스프링의 가압력이 가변되면서 고정축과 상부블록 간 완충력이 조절되어 인서트 팁과 관의 외경 간 접촉력이 제어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 면과 인서트 팁 사이에 또 다른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탄성력이 부여됨으로써 관의 가변되는 외경 두께에 대응하여 결합 면 내에서 인서트 팁의 설정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관의 외경을 균일한 절삭력으로 가공함은 물론 인서트 팁에 가해지는 가공 스트레스를 원활하게 분산시켜 인서트 팁을 비롯하여 인서트 팁 홀더와 면취 가공 장치의 내구성을 적극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외경 미세 절삭용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외경 미세 절삭용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외경 미세 절삭용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5 내지 6은 탄성체로 하여금 상부블록에 탄성력이 부여되어 회동시 원상복귀가 이루어짐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인서트 팁을 체결한 상태에서 면취 가공 장치에 설치되어 관에 밀착됨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7의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것으로 상부블록의 결합 면과 인서트 팁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인서트 팁에 탄성력을 부여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관(Pipe)의 단면상에 형성된 BURR의 제거를 위하여 면취 가공 장치에 인서트 팁을 연결하는 인서트 팁 홀더에 관련한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이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인서트 팁 홀더에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진원도, 두께, 진직도, 동심도, 편심도 등 관(Pipe)이 보유한 각종 형태에 대응하여 인서트 팁의 위치 가변이 적극 유도됨에 따라 미세하면서도 균일한 절삭 가공이 가능한 외경 미세 절삭용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외경 미세 절삭용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인서트 팁 홀더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의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100)는 하부블록(11)과 상부블록(12)으로 양분된 몸체(10);와, 하부블록과 상부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20);로 구성되며, 정확하게는 하부블록(11)의 일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부블록(12)의 배면과 마주하는 지지부(13)를 포함하고, 상부블록과 지지부 사이에 탄성체(20)가 개재된다.
상기 하부블록(11)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는 면취 가공 장치(1)에 부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면취 가공 장치(1)에 부착된 상태도 면취 가공 장치가 제공하는 회전 동력을 인가받아 인서트 팁(3)으로 최초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상부블록(12)은 하부블록(11)의 상단에서 축 결합으로 하여금 설정 반경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부블록의 상단 즉 관(2)의 외경과 맞닿는 위치에 인서트 팁(3)이 설치됨에 따라 하부블록과 동반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관의 단면을 가공한다.
상기 상부블록(12)은 하부블록(11)과 대응하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상부블록의 상단에서 정면과 배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협소해지는 삼각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삼각기둥의 꼭짓점은 관의 정확한 가공 위치를 안내함과 동시에 인서트 팁(3)과의 접촉 면을 확장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설치 상태가 장시간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상부블록(12)은 좌측면과 우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인서트 팁(3)의 설치를 위해 설정 깊이 함몰 형성된 결합 면(12-1)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면(12-1)은 상부블록(12)의 정면에서 상측 꼭짓점을 기점으로 배면의 변으로부터 점차 확장되는 각도로 함몰 형성된 제1접촉부(12-1a)와, 상부블록(12)의 정면 삼각기둥 하단에서 제1접촉부에 이르도록 연장 함몰된 제2접촉부(12-1b)의 범위를 가진다.
상기 제1접촉부(12-1a)는 결합 면(12-1)에 설치된 인서트 팁(3)의 상면과 밀접하게 접촉되어 인서트 팁의 상향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제2접촉부(12-1b)는 결합 면에 설치된 인서트 팁의 하면과 밀접하게 접촉되어 인서트 팁의 하향 이동을 완벽하게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 면(12-1)은 제1접촉부(12-1a)와 제2접촉부(12-1b)로 하여금 인서트 팁(3)의 정확한 설치 위치를 보장하면서 면취 가공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내지 충격으로부터 인서트 팁을 안전하게 보호한다.
상기 지지부(13)는 하부블록(11)의 일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부블록(12)의 배면과 마주보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의 중심부에는 아래 후술할 탄성체(20)의 진입을 허용하는 관통홀(13a)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홀(13a)은 탄성체(20)와 대응하는 지름으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좌우 또는 수직방향에 대한 슬롯(Slot)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블록(12)은 배면에 지지부(13)가 형성될 수 있도록 설정 공간의 단턱부(12a)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3)는 단턱부의 상면보다 다소 낮은 높이로 구성하여야만 상부블록(12)이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단턱부(12a)와 지지부(13)의 간격은 상부블록(12)의 회동 반경과 비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6은 관의 굴곡으로 인해 회동이 이루어진 상부블록이 탄성체에 의해 원상복귀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20)는 상부블록(12)과 지지부(13) 사이에 설치되며, 볼트 형상의 고정축(21) 및 고정축의 외주연에 권취되는 스프링(2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축(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 길이로 이루어지고 외주연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21a)와, 나사부의 일측면에서 나사부에 비해 확장된 지름을 가진 머리부(21b)로 이루어진 볼트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나사부(21a)가 지지부(13)의 관통홀(13a)을 경유하여 상부블록에 나사 체결된다.
상기 스프링(22)은 나사부(21a)의 외주연에 권취되며, 특히 상부블록(12)을 기점으로 지지부(13)에 이르는 범위에 배치됨에 따라 해당 구간에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해당 탄성력으로 하여금 상부블록의 가압력을 조절되게 하는 제1스프링(22a)과, 상기 지지부(13)를 기점으로 고정축(21)의 머리부에 이르는 범위에 배치됨에 따라 해당 구간에 다른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해당 탄성력으로 하여금 상부블록의 역 회동 내지 회동 반경을 제어하는 제2스프링(22b)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탄성체(20)는 타원형 또는 구간마다 지름이 상이한 외경을 따라 선회할 때 모든 구간이 동일한 힘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유도함은 물론, 구간별로 요동 내지 회동된 상부블록(12)이 정상 구간을 지날 때 최초 원위치를 고수되게 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한편, 상기 탄성체(20)는 고정축(21)을 상부블록(12)에 조일수록 제1스프링(22a)에 작용하는 수축력에 비례하여 탄성력이 향상되는 것에 기반하여 인서트 팁(3)이 관(2)의 단면을 가압하는 힘이 조절되고, 제2스프링(22b) 역시 동반 수축이 이루어져 상부블록의 회동 반경이 조절된다.
도 7 내지 8은 인서트 팁을 체결한 상태에서 면취 가공 장치에 설치되어 관에 밀착됨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7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서트 팁 홀더(100)는 일 측이 면취 가공 장치의 헤드와 결합하고, 타 측은 관의 외경을 절삭하는 인서트 팁(3)이 설치된다.
상기 면취 가공 장치(1)를 이용하여 관의 BURR을 제거하는 과정으로는 먼저 인서트 팁(3)을 관(2)의 외경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면취 가공 장치의 헤드로부터 인서트 팁 홀더(100)의 위치를 이동시켜 외경의 면취 면적을 1차로 조절하고, 탄성체(20)의 고정축(21)을 조임으로써 외경의 면취 면적을 2차로 미세하게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관(2)에 대한 인서트 팁(3)의 배치와 가압력을 미세한 수준으로 복수 조절함에 따라 소수점 이하의 미세가공은 물론 타원형 내지 구간마다 지름이 가변되는 관도 수월하게 가공할 수 있다.
예컨대 기존의 인서트 팁 홀더는 회동 기능이 배제된 고정형이기 때문에 타원형이나 구간마다 지름이 가변되는 관의 모든 곡면에 접촉할 수 없었다. 타원형의 관(2)을 예로 들어 외경이 넓은 구간에는 인서트 팁(3)이 접촉되나 관이 선회하면서 외경이 축소되는 구간으로 갈수록 인서트 팁의 접촉이 멀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외경이 넓은 구간은 면취 가공이 이루어졌으나 외경이 축소될수록 면취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인서트 팁 홀더(100)는 하부블록(11)과 상부블록(12)으로 상하 구분된 몸체(10)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함은 물론 지지부(13)와 상부블록 사이에 탄성체(20)가 개재되어 회동 후 원상복귀가 가능하고, 더불어 관(2)의 외경을 균일한 가압력으로 밀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것으로 상부블록의 결합 면과 인서트 팁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인서트 팁에 탄성력을 부여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와 같이 상기 결합 면(12-1)에 인서트 팁(3)이 개재된다.
상기 결합 면(12-1)은 함몰된 영역 내에 인서트 팁(3)을 고정하는 결합 공(12-2)이 더 형성되고, 인서트 팁이 결합 면에 밀착 개재된 상태에서 인서트 팁을 관통하여 결합 공에 고정하는 결합 핀(12-3)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핀(12-3)은 볼트와 같은 머리부가 구비되어 결합 면(12-1)으로부터 인서트 팁의 이탈을 적극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결합 면(12-1)과 인서트 팁(3) 사이에는 탄성 부재(12-4)가 더 개재되며, 상기 탄성 부재(12-4)는 결합 핀(12-3)에 권취되어 위치 고정되고, 결합 면(12-1)과 인서트 팁 사이에서 수축 및 인장작용이 이루어져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관(2)의 외경 두께와 대응하여 결합 면 내에서 인서트 팁의 설정 위치를 가변시킴에 따라 관의 외경을 균일한 절삭력으로 가공되게 유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100)는 면취 가공 장치(1)에 결합하는 하부블록(11)과 인서트 팁(3)을 구비한 상부블록(12)으로 양분된 두 개의 몸체(10)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탄성체(20)에 의해 탄성력을 부여받은 상부블록에 의해 완충 작용이 구축됨에 따라 관(2)의 형태, 지름, 두께에 상관없이 광범위한 조건하에서도 정밀하고 정확한 가공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팁(3)이 체결되는 상부블록(12)의 결합 면(12-1)에 인서트 팁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접촉부(12-1a)와 하단을 지지하는 제2접촉부(12-1b)로 이루어져 인서트 팁을 완벽 고정함으로써 관의 형태, 지름, 두께 등에 따라 전달되는 불규칙한 진동 내지 충격으로부터 인서트 팁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지지부(13)와 상부블록 사이에 스프링(22)을 개재하기 위한 고정축(21)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축은 볼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블록에 나사 결합하고, 상부블록에 고정축의 삽입 정도에 따라 스프링의 가압력이 가변되면서 고정축과 상부블록 간 완충력이 조절되어 인서트 팁과 관의 외경 간 접촉력이 제어된다.
또한, 결합 면(12-1)과 인서트 팁(3) 사이에 또 다른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탄성력이 부여됨으로써 관의 가변되는 외경 두께에 대응하여 결합 면 내에서 인서트 팁의 설정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관의 외경을 균일한 절삭력으로 가공함은 물론 인서트 팁에 가해지는 가공 스트레스를 원활하게 분산시켜 인서트 팁을 비롯하여 인서트 팁 홀더와 면취 가공 장치의 내구성을 적극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면취 가공 장치 2. 관
3. 인서트 팁 10. 바디
11. 하부블록 12. 상부블록
13. 지지부 20. 탄성체
21. 고정축 22. 스프링
100. 인서트 팁 홀더

Claims (4)

  1. 면취 가공 장치에 결부되는 하부블록(11) 및 하부블록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 인서트 팁을 구비한 상부블록(12)과 하부블록의 일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부블록의 배면과 마주하는 지지부(13)를 포함하는 바디(10); 및 상부블록과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체(20);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블록(12)은 인서트 팁을 관(2)의 외경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면취 가공 장치에 의해 선회하고, 관의 가변되는 굴곡마다 탄성체(20)가 인장 또는 수축하면서 상부블록의 회동 궤적이 조절됨에 따라 관의 외경을 균일한 절삭력으로 가공되는 인서트 팁 홀더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록(12)은 정면과 배면이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협소해지는 삼각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좌우 양면 중 어느 일면에는 인서트 팁의 결부를 위해 설정 깊이 함몰 형성된 결합 면(12-1)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면(12-1)은,
    상부블록(12)의 정면에서 상측 꼭짓점을 기점으로 배면의 변을 따라 점차 확장되는 각도로 함몰되어 인서트 팁의 상측과 밀접한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1접촉부(12-1a);
    상부블록(12)의 정면 삼각기둥 하단에서 제1접촉부에 이르도록 연장 함몰되어 인서트 팁의 하측과 밀접한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2접촉부(12-1b);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경 미세 절삭용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0)는,
    볼트의 형상을 가지며 지지부(13)를 관통하여 상부블록(12)의 정면에 나사 고정되는 고정축(21);
    상기 고정축(21)의 외주연에 권취되어 상부블록에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하부블록(11)으로부터 회동한 상부블록의 지속적인 원상복귀를 유도하는 스프링(22);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경 미세 절삭용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2)은 상부블록(12)과 지지부(13)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블록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제1스프링(22a)과, 지지부(13)와 고정축(21)의 머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블록의 역 회동 내지 회동 반경을 제어하는 제2스프링(22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경 미세 절삭용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
KR1020200028363A 2020-03-06 2020-03-06 외경 미세 절삭용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 KR102298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363A KR102298742B1 (ko) 2020-03-06 2020-03-06 외경 미세 절삭용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363A KR102298742B1 (ko) 2020-03-06 2020-03-06 외경 미세 절삭용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742B1 true KR102298742B1 (ko) 2021-09-07

Family

ID=7779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363A KR102298742B1 (ko) 2020-03-06 2020-03-06 외경 미세 절삭용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7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756B1 (ko) 2006-01-27 2006-12-28 우광윤 관 모따기 장치
CN105522180A (zh) * 2016-01-21 2016-04-27 广州小出钢管有限公司 一种用于钢管端面内外倒角加工的弹性刀夹
KR101903514B1 (ko) * 2017-06-19 2018-10-02 주식회사 비에스피(Bsp) 완충식 인서트 팁 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756B1 (ko) 2006-01-27 2006-12-28 우광윤 관 모따기 장치
CN105522180A (zh) * 2016-01-21 2016-04-27 广州小出钢管有限公司 一种用于钢管端面内外倒角加工的弹性刀夹
KR101903514B1 (ko) * 2017-06-19 2018-10-02 주식회사 비에스피(Bsp) 완충식 인서트 팁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165B2 (en) Tunable toolholder
JP2001293605A (ja) 穿孔工具
JPH0760501A (ja) 切削加工装置
KR101664325B1 (ko) 건드릴용 가이드부시
KR20170040195A (ko) 진동 댐핑 추 조립체를 가진 절삭 공구 홀더
US10322488B2 (en) Rotating tool, and polishing tool
JP4972492B2 (ja) 研磨機用ブラシ
KR102298742B1 (ko) 외경 미세 절삭용 완충 식 인서트 팁 홀더
KR200483050Y1 (ko) 당구 큐의 팁 가공기구
KR100474637B1 (ko) 공구 연삭기
JP6810435B1 (ja) 研磨ブラシ、および研磨方法
JP4755167B2 (ja) 鍛造装置および鍛造方法
JP7181099B2 (ja) ホーニングツール
KR101903514B1 (ko) 완충식 인서트 팁 홀더
CN209970436U (zh) 一种用于珩磨机的磨头
JP4500994B2 (ja) 切削工具及び切削装置
JP4523304B2 (ja) ボールねじ面のラップ装置
JP2002086325A (ja) 精密バイス
WO2024057564A1 (ja) 研磨ブラシおよびブラシホルダ
US11602793B2 (en) Compression and tension floating deburring tool
KR102053727B1 (ko) 난간 파이프 가공용 선반 장치
JP2001086616A (ja) ケーブルコア切削装置
KR200202542Y1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호닝 툴
CN101289014A (zh) 冲压模块及使用所述冲压模块的冲压装置组合
JP6495798B2 (ja) バニシング加工方法並びにローラ及びローラバニシング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