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696B1 - 차량용 토크 컨버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토크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696B1
KR102297696B1 KR1020190149909A KR20190149909A KR102297696B1 KR 102297696 B1 KR102297696 B1 KR 102297696B1 KR 1020190149909 A KR1020190149909 A KR 1020190149909A KR 20190149909 A KR20190149909 A KR 20190149909A KR 102297696 B1 KR102297696 B1 KR 102297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lock
plate
torque convert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1864A (ko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Priority to KR1020190149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69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1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16Torsional springs, e.g. torsion bar or torsionally-loaded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6/00Mode of stressing of basic spring or damper elements or devices incorporating such elements
    • F16F2236/08Tor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21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with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73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friction surface of the lock-up clu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차량용 토크 컨버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크 컨버터는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터빈 어셈블리; 상기 임펠러와 상기 터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터빈으로부터 나오는 오일의 흐름을 상기 임펠러 측으로 바꾸는 리엑터;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터빈을 직접 연결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록업 클러치; 및 상기 록업 클러치에 결합되어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 토셔널 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과 상기 토셔널 댐퍼의 상대회전 속도 차이로 인한 내부의 오일을 휘젓는 현상으로 록업 압력이 불안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토셔널 댐퍼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서 상기 피스톤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 허브에 장착되는 격벽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토크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 측의 회전속도와 변속기 측의 회전속도 차이에 의해 내부에서 록업 압력이 불안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스톤의 록업 응답성을 개선하도록 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크 컨버터는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를 이용하여 엔진의 구동력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토크 컨버터는,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임펠러, 이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오일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 그리고 임펠러로 환류하는 오일의 흐름을 임펠러의 회전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토크 변화율을 증대시키는 리엑터('스테이터' 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토크 컨버터는 엔진에 작용하는 부하가 커지면 동력전달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엔진과 변속기 사이를 직접 연결하는 수단인 록업 클러치(Lock-up clutch, 또는 '댐퍼 클러치'라고도 함)를 갖추고 있다. 록업 클러치는 엔진과 직결된 프론트 커버와 터빈 사이에 배치되어 엔진의 회전 동력이 직접 터빈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록업 클러치는, 터빈 축에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그리고 피스톤은 프론트 커버에 마찰 접촉하는 마찰재가 결합된다. 그리고 피스톤에는 마찰재가 프론트 커버에 결합될 때 축의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토셔널 댐퍼(Torsional damper)가 결합되어 있다.
상술한 토셔널 댐퍼는 터빈을 통하여 변속기로 엔진의 구동력을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록업 클러치가 동작하는 경우에 비틀림 토크를 흡수할 수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 탄성부재들이 리테이닝 플레이트의 외주면 측에서 회전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토크 컨버터는 엔진 측의 회전속도와 변속기 측의 회전속도 의 상대속도 차이에 의해 내부에서 오일의 휘젓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피스톤을 작동시키기 위한 록업 압력이 불안정하게 형성되어 록업 클러치의 응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록업 클러치의 응답성이 저하되면, 엔진의 동력 손실을 초래하는 바, 연비가 저하되고, 토크 컨버터와 차량의 전체적인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엔진 측의 회전속도와 변속기 측의 회전속도의 상대회전 속도 차이에 의해 내부에서 록업 압력이 불안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스톤의 록업 응답성이 신속해지도록 개선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크 컨버터는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터빈 어셈블리; 상기 임펠러와 상기 터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터빈으로부터 나오는 오일의 흐름을 상기 임펠러 측으로 바꾸는 리엑터;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터빈을 직접 연결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록업 클러치; 및 상기 록업 클러치에 결합되어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 토셔널 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과 상기 토셔널 댐퍼의 상대회전 속도 차이로 인한 내부의 오일을 휘젓는 현상으로 록업 압력이 불안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토셔널 댐퍼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서 상기 피스톤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 허브에 장착되는 격벽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격벽 플레이트는 회전 중심에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 플레이트는 상기 토셔널 댐퍼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서 오일의 유동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격벽부는 그 지름이 상기 피스톤의 지름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는 상기 피스톤 허브에서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토셔널 댐퍼 측을 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피스톤을 향하여 절곡되며, 상기 피스톤의 외주단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피스톤과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오일이 일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피스톤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허브에는 상기 격벽 플레이트가 장착되도록 단차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 플레이트는 상기 피스톤 허브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 허브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토셔널 댐퍼는 상기 록업 클러치에서 구동력을 전달받는 드라이브 플레이트;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회전 방향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제1 스프링; 상기 제1 스프링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커버 플레이트; 상기 제1 커버 플레이트 및 제2 커버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며 회전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스프링; 및 상기 제2 스프링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스플라인 허브에 연결되는 드리븐 플레이트;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업 클러치는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록업 클러치 사이에 배치되는 마찰 플레이트; 및 상기 마찰 플레이트의 양면에 결합되는 마찰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크 컨버터에 의하면, 엔진 측의 회전속도와 변속기 측의 회전속도의 상대회전 속도 차이로 인한 내부의 오일을 휘젓는 현상으로 록업 압력이 불안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스톤의 록업 응답성이 신속해지도록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록업 응답성을 신속하게 개선함으로써, 엔진의 동력 손실발생을 미연에 방지해 연비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장치 없이도 간단한 구조의 격벽 플레이트를 이용해 록업 압력이 불안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해소함으로써, 토크 컨버터의 전체 중량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공수를 줄이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록업 응답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토크 컨버터의 전체적인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크 컨버터를 축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크 컨버터에 적용되는 격벽 플레이트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크 컨버터에 적용되는 격벽 플레이트의 후방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편의상 이 명세서에서 방향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전후 방향 또는 축 방향은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서, 전방(앞쪽)은 동력원인 어느 일 방향, 가령 엔진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뒤쪽)은 다른 일 방향, 가령 변속기 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면(앞면)이란 그 표면이 전방을 바라보는 면을 의미하고, 후면(뒷면)이란 그 표면이 후방을 바라보는 면을 의미한다.
반경방향 또는 방사 방향이라 함은 상기 회전축과 수직한 평면 상에서 상기 회전축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따라 상기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상기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을 원심방향이라 하고, 상기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구심방향이라 한다.
원주방향이라 함은 상기 회전축의 원주를 에워싸는 방향을 의미한다. 외주라 함은 외측 둘레, 내주라 함은 내측 둘레를 의미한다. 따라서 외주면은 상기 회전축을 등지는 방향의 면이고, 내주면은 상기 회전축을 바라보는 방향의 면을 의미한다.
원주방향 측면이라 함은 그 면의 법선이 대략적으로 원주방향을 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크 컨버터를 축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크 컨버터에 적용되는 격벽 플레이트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크 컨버터에 적용되는 격벽 플레이트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반단면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크 컨버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크 컨버터는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프론트 커버(2), 상기 프론트 커버(2)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임펠러(4), 상기 임펠러(4)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터빈 어셈블리(6), 그리고 상기 임펠러(4)와 터빈 어셈블리(6)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터빈 어셈블리(6)로부터 나오는 오일의 흐름을 바꾸어 상기 임펠러(4) 측으로 전달하는 리엑터(12, 또는 ‘스테이터’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상기 터빈 어셈블리(6)는 터빈 플레이트(8)와, 상기 터빈 플레이트(8)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터빈 블레이드(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4) 측으로 오일을 전달하는 상기 리엑터(12)는 상기 프론트 커버(2)와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진다.
또한, 상기 임펠러(4)와 상기 리엑터(12)의 사이에는 스러스트 니들 베어링(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러스트 니들 베어링(14)은 상기 프론트 커버(2)와 함께 회전하는 임펠러(4)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 컨버터는 엔진과 변속기를 직접 연결하는 수단으로 록업 클러치(15)가 제공된다.
상기 록업 클러치(15)는 상기 프론트 커버(2)와 상기 터빈 어셈블리(6)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록업 클러치(15)는 대략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1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록업 클러치(15)에는 토셔널 댐퍼(20, Torsional damper)가 결합된다.
상기 토셔널 댐퍼(20)는 상기 록업 클러치(15)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터빈 어셈블리(6)에 전달하여 축의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는 비틀림력을 흡수하고 진동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록업 클러치(15)는 상기 프론트 커버(2)와 상기 피스톤(16) 사이에 배치되는 마찰 플레이트(18)를 포함한다. 상기 마찰 플레이트(19)의 양측 면에는 마찰부재(19)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록업 클러치(15)는 공급된 유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16)이 프론트 커버(2)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마찰부재(19)들이 상기 프론트 커버(2)와 상기 피스톤(16)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프론트 커버(2)로 전달된 구동력을 상기 마찰 플레이트(18)를 통하여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셔널 댐퍼(20)는 드라이브 플레이트(22), 제1 스프링(24), 제1 커버 플레이트(26), 제2 커버 플레이트(28), 제2 스프링(32), 및 드리븐 플레이트(3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22)는 상기 록업 클러치(15)에 포함된 상기 마찰 플레이트(18)와 치합되어 상기 마찰 플레이트(18)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프링(24)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다수가 배치되며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22)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제1 스프링(24)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 플레이트(26)와 상기 제2 커버 플레이트(28)는 상기 제1 스프링(24)을 감싸면서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프링(24)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커버 플레이트(26)와 상기 제2 커버 플레이트(28)는 서로 마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22)의 구동력은 상기 제1 스프링(24)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커버 플레이트(26, 28)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 스프링(24)은 회전 방향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스프링(32)은 상기 제1, 및 제2 커버 플레이트(26, 28)에 의해 지지되며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스프링(32)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스프링(24)의 내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프링(32)은 상기 드리븐 플레이트(3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커버 플레이트(26, 28)로 전달된 구동력은 상기 제2 스프링(32)을 통해 상기 드리븐 플레이트(34)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2 스프링(32)은 회전 방향의 진동 및 충격을 재차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리븐 플레이트(34)는 스플라인 허브(36)에 연결된다. 상기 스플라인 허브(36)는 변속기로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토크 컨버터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 플레이트(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 플레이트(50)는 상기 피스톤(16)과 상기 토셔널 댐퍼(20)의 상대회전 속도 차이로 인한 내부의 오일을 휘젓는 현상으로 록업 압력이 불안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토셔널 댐퍼(20)와 상기 피스톤(16) 사이에서 상기 피스톤(16)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 허브(3)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격벽 플레이트(50)는 상기 피스톤 허브(3)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 허브(3)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50)는 격벽부(54)와 절곡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격벽부(54)는 회전 중심에 끼움홀(52)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5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격벽부(54)는 그 지름이 상기 피스톤(16)의 지름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격벽부(54)는 상기 피스톤 허브(3)에서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토셔널 댐퍼(20) 측을 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16)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부(54)는 상기 피스톤(16)의 축 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종래에 별도로 적용되던 리테이닝 플레이트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 허브(3)에는 상기 격벽 플레이트(50)가 장착되도록 단차홈(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홈(60)은 상기 피스톤 허브(3)에서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피스톤(16) 측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홈(60)의 외주면에는 상기 격벽부(54)의 끼움홀(52)이 억지 끼움으로 압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56)는 상기 격벽부(54)의 외주면으로부터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56)는 상기 피스톤(16)을 향하여 절곡되며, 상기 피스톤(16)의 외주단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곡부(56)는 상기 피스톤(16)과 상기 격벽 플레이트(50)의 사이에서 오일이 일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피스톤(16)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피스톤(16)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 플레이트(50)는 상기 격벽부(54)와 상기 절곡부(56)를 통해 상기 피스톤(16)과의 사이에서 록업 압력을 형성 및 해제하기 위해 오일이 유동되는 소정의 간극을 제외하고, 상기 토셔널 댐퍼(20)와는 차단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는 일정량의 오일이 충진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엔진에 연결된 상기 피스톤(16)과 변속기에 연결된 상기 토셔널 댐퍼(20)의 상대회전 속도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내부의 오일을 휘젓는 현상이 록업 압력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 플레이트(50)는 상기 피스톤(16)과 상기 토셔널 댐퍼(20)의 사이에서 상기 피스톤(16)과 상기 절곡부(56) 사이의 간극을 제외하고, 상기 피스톤(16)의 일정부분을 상기 토셔널 댐퍼(20)와 구획시킴으로써, 록업 압력이 불안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록업 클러치(15)의 작동 시에, 상기 피스톤(16)의 작동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종래의 토크 컨버터에 비해 록업 응답성이 보다 신속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크 컨버터를 적용하면, 엔진 측의 회전속도와 변속기 측의 상대회전 속도 차이로 인한 내부의 오일을 휘젓는 현상으로 록업 압력이 불안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피스톤(16)의 록업 응답성이 신속해지도록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록업 응답성을 신속하게 개선함으로써, 엔진의 동력 손실발생을 미연에 방지해 연비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장치 없이도 간단한 구조의 상기 격벽 플레이트(50)를 이용해 록업 압력이 불안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해소함으로써, 토크 컨버터의 전체 중량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록업 응답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토크 컨버터의 전체적인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2: 프론트 커버
4 : 임펠러
6 : 터빈 어셈블리
8 : 터빈 플레이트
10 : 터빈 블레이드
12 : 리엑터
14 : 베어링
15 : 록업 클러치
16 : 피스톤
18 : 마찰 플레이트
19 : 마찰부재
20 : 토셔널 댐퍼
22 : 드라이브 플레이트
24 : 제1 스프링
26 : 제1 커버 플레이트
28 : 제2 커버 플레이트
32 : 제2 스프링
34 : 드리븐 플레이트
36 : 스플라인 허브
50 : 격벽 플레이트
52 : 끼움홀
54 : 격벽부
56 : 절곡부

Claims (10)

  1.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터빈 어셈블리;
    상기 임펠러와 상기 터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터빈으로부터 나오는 오일의 흐름을 상기 임펠러 측으로 바꾸는 리엑터;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터빈을 직접 연결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록업 클러치; 및
    상기 록업 클러치에 결합되어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 토셔널 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과 상기 토셔널 댐퍼의 상대회전 속도 차이로 인한 내부의 오일을 휘젓는 현상으로 록업 압력이 불안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토셔널 댐퍼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서 상기 피스톤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 허브에 장착되는 격벽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 플레이트는 상기 토셔널 댐퍼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서 오일의 유동을 허용하며,
    상기 격벽 플레이트는
    회전 중심에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피스톤을 향하여 절곡되며, 상기 피스톤의 외주단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그 지름이 상기 피스톤의 지름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피스톤 허브에서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토셔널 댐퍼 측을 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피스톤과 상기 격벽 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오일이 일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피스톤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허브에는
    상기 격벽 플레이트가 장착되도록 단차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플레이트는
    상기 피스톤 허브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 허브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셔널 댐퍼는
    상기 록업 클러치에서 구동력을 전달받는 드라이브 플레이트;
    상기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회전 방향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제1 스프링;
    상기 제1 스프링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커버 플레이트;
    상기 제1 커버 플레이트 및 제2 커버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며 회전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스프링; 및
    상기 제2 스프링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스플라인 허브에 연결되는 드리븐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업 클러치는
    상기 프론트 커버와 상기 록업 클러치 사이에 배치되는 마찰 플레이트; 및
    상기 마찰 플레이트의 양면에 결합되는 마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1020190149909A 2019-11-20 2019-11-20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102297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909A KR102297696B1 (ko) 2019-11-20 2019-11-20 차량용 토크 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909A KR102297696B1 (ko) 2019-11-20 2019-11-20 차량용 토크 컨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864A KR20210061864A (ko) 2021-05-28
KR102297696B1 true KR102297696B1 (ko) 2021-09-02

Family

ID=7614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909A KR102297696B1 (ko) 2019-11-20 2019-11-20 차량용 토크 컨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6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904A (ja) * 2003-04-05 2004-11-04 Zf Sachs Ag 捩り振動ダンパ
US20060124420A1 (en) * 2004-12-15 2006-06-15 Zf Friedrichshafen Ag Hydrodynamic clutch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904A (ja) * 2003-04-05 2004-11-04 Zf Sachs Ag 捩り振動ダンパ
US20060124420A1 (en) * 2004-12-15 2006-06-15 Zf Friedrichshafen Ag Hydrodynamic clutch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864A (ko) 202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587B1 (ko) 토크 컨버터용 록업 장치
US9140348B2 (en) Hydrodynamic coupling arrangement, in particular a torque converter
JP5408096B2 (ja) 流体伝動装置
US7172509B2 (en) Damper mechanism and damper disk assembly
WO2011122130A1 (ja) 流体伝動装置
US20170268648A1 (en) Vibration reduction device
JP5585360B2 (ja) 流体伝動装置
EP3101310A1 (en) Damper device
JP4892630B1 (ja) 流体継手用ロックアップ装置
JP3825219B2 (ja)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
US6264018B1 (en) Lockup device of a torque converter
JP5120705B2 (ja) 流体伝動装置
US7401688B2 (en) Torque converter
KR101866035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댐퍼
KR102297696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20160125100A (ko) 내장형 진자를 이용한 차량용 토크 컨버터의 진동 저감 장치
KR102036564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101695653B1 (ko) 진자를 이용한 차량용 토크 컨버터의 진동 저감 장치
KR102529657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20210061775A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CN112762156A (zh) 用于液力联接装置的阻尼系统、液力联接装置和机动车辆
KR101738065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20220089331A (ko) 토크 컨버터
KR102036244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102529656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