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059B1 -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059B1
KR102297059B1 KR1020210054515A KR20210054515A KR102297059B1 KR 102297059 B1 KR102297059 B1 KR 102297059B1 KR 1020210054515 A KR1020210054515 A KR 1020210054515A KR 20210054515 A KR20210054515 A KR 20210054515A KR 102297059 B1 KR102297059 B1 KR 102297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body part
insertion groove
pai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진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조현진
주식회사 올어바웃어버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진, 주식회사 올어바웃어버트먼트 filed Critical 조현진
Priority to KR1020210054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35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 A61B2018/20351Scanning mechanisms
    • A61B2018/20353Scanning in three dimensions [3D]

Abstract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IMPLANT BITE SCAN BODY}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제작을 위한 구강 내 설계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에 사용되는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인공 치근인 픽스쳐(fixture)를 심어 치조골에 유착시키고, 그 인공 치근에 치아 보철물(prosthesis)을 고정하여 형성된 인공 치아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 환자의 구강 형태에 따라 보철물을 제작하여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므로, 환자의 구강에 대한 인상채득에 근거하여 보철물을 제작하게 된다.
인상채득 단계는 크게 임프레션 코핑(impression coping)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형을 뜨는 아날로그 방식과 스캔 어댑터를 이용하여 구강 스캐너로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는 디지털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최근에는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는데, 어버트먼트는 티타늄 혹은 티타늄합금 재질이 주로 쓰이기 때문에 스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없고, 따라서 구강 내에서 3차원 정보를 스캔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어버트먼트에 스캔 데이터가 추출가능한 재질로 표면처리를 함으로써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 데이터를 얻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어버트먼트에 표면처리를 할 경우 스캔 데이터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즉, 표면처리된 두께 자체가 스캔 데이터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보철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픽스쳐에 고정되어 있는 어버트먼트와 보철물과의 적합도가 떨어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어버트먼트와 보철물과의 결합관계에 오차가 발생할 경우 상악과 하악의 치아교합에 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10-2181295
본 발명의 일측면은 환자의 치아가 맞물린 상태에서의 스캔 데이터 획득을 가능하게 하는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헤드부는, 횡단면이 장변 길이가 5.5mm이고 단변 길이가 3.5mm인 직사각형이고, 높이는 2.8mm인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홈 부; 및 양 측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홈 부는, 각각 상기 헤드부의 상측면에서 단변으로부터 중심 부분으로 볼록하게 구비된 반타원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상측면의 단변 중심점으로부터 장축방향의 꼭지점까지의 길이는 2.08mm이고, 상기 헤드부의 상측면으로부터 내입되는 홈의 깊이는 0.3mm이며, 단축방향의 길이는 1.75mm인 반타원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곡선부는, 각각 상기 헤드부의 장변에 해당하는 양 측면의 하부 중심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반지름은 1.72mm이고, 높이는 3.50mm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중공부를 형성하여 구강 내에 식립된 어버트먼트의 조립부에 끼워지고,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측면에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는 홈을 복수 개 구비하는 본체부; 및 후단이 상기 본체부의 후단에 힌지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전방 모서리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삽입 홈;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전방 모서리 부분이 후방 모서리 부분보다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는 부분에 관통 홀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 홈은, 상기 도어부의 전방 모서리 부분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도어부를 체결 고정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소정 두께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구비되는 체결 블록; 상기 체결 블록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왼나사면을 형성하고,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오른나사면을 형성하는 체결봉; 소정 두께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중심 부분이 상기 체결 봉에 외삽되어 상기 왼나사면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삽입 홈을 기준으로 하여 전방 측으로 내입되는 제1 이동 공간에 수용되는 제1 이동 블록; 및 소정 두께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중심 부분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를 통해 상기 체결 봉에 내삽되어 상기 오른나사면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삽입 홈을 기준으로 하여 후방 측으로 내입되는 제2 이동 공간에 수용되는 제2 이동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봉은, 상기 체결 블록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이동 블록 및 상기 제2 이동 블록을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시켜 상기 제1 이동 블록 및 상기 제2 이동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도어부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고, 상기 체결 블록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이동 블록 및 상기 제2 이동 블록을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시켜 각각 상기 제1 이동 공간 및 상기 제2 이동 공간에 수납하며,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마련되어 소정 설치면에 상기 본체부를 밀착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소정 두께의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부착 설치되며,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나란히 구비되는 복수의 흡입로를 형성하는 제1 고정 플레이트; 소정 두께의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의 저면에 부착 설치되며,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나란히 구비되는 복수의 승하강 공간을 형성하는 제2 고정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승하강 공간에 각각 수용되어 마련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고무 재질의 원기둥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 대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구비하는 복수의 고정 블록; 및 상기 복수의 고정 블록 각각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의 저면을 관통하여 상기 흡입로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연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헤드부를 통해 환자의 치아가 맞물린 상태에서의 스캔 데이터 획득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한 쌍의 홈 부 및 한 쌍의 곡선부를 통해 몸체부의 어버트먼트 체결방향이 특정되도록 하여 스캔 데이터 획득의 정확도를 높이고 결과적으로는 오차가 거의 없는 보철물 제작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100)는 환자의 구강 내에서 픽스쳐와 어버트먼트의 3차원 입체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헤드부(110) 및 몸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10)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되, 상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홈 부(115) 및 양 측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곡선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부(110)는 횡단면이 장변 길이가 5.5mm이고 단변 길이가 3.5mm인 직사각형이고, 그 높이는 2.8mm인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홈 부(115) 및 제2 홈 부(115)는 헤드부(110)의 상측면에서 각 단변으로부터 중심 부분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홈 부(115) 및 제2 홈 부(115)는 각각 반타원의 아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110)의 상측면의 단변 중심점으로부터 장축방향의 꼭지점까지의 길이는 2.08mm이고, 헤드부(110)의 상측면으로부터 내입되는 홈의 깊이는 0.3mm이며, 단축방향의 길이는 1.75mm인 반타원의 아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곡선부(117)는 각각 헤드부(110)의 장변에 해당하는 양 측면의 하부 중심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20)는 헤드부(110)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중공부를 갖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부(120)의 반지름은 1.72mm이고, 그 높이는 3.50mm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20)는 중공부를 통해 환자의 구강 내에 식립된 어버트먼트의 조립부에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100)는 몸체부(120)가 어버트먼트에 끼워진 상태에서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한 스캔 데이터 추출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그 재질은 스캔 데이터 추출이 가능하고 충격 및 마모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하며, 생체 적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EEK(Polyether ether ketone)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100)는 헤드부(110)를 통해 환자의 치아가 맞물린 상태에서의 스캔 데이터 획득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한 쌍의 홈 부(115) 및 한 쌍의 곡선부(117)를 통해 몸체부(120)의 어버트먼트 체결방향이 특정되도록 하여 스캔 데이터 획득의 정확도를 높이고 결과적으로는 오차가 거의 없는 보철물 제작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는 도 1에 도시된 헤드부(110) 및 몸체부(120)의 구성에 더하여 케이스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부(300)는 도 1에 도시된 스캔바디(100)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며, 본체부(310) 및 도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310)는 도 1에 도시된 스캔바디(100)의 수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부(310)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측면에 몸체부(120)가 삽입되는 삽입 홈을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도어부(320)는 본체부(31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부(320)는 후단이 본체부(310)의 후단에 힌지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체부(310)는 전방 모서리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삽입 홈(310a)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어부(320)는 전방 모서리 부분이 후방 모서리 부분보다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삽입 홈(310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도어부(320)는 삽입 홈(310a)에 삽입된 부분에 관통 홀(320a)을 형성할 수 있으며, 삽입 홈(310a)의 간격은 도어부(320)의 전방 모서리 부분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삽입 홈(310a)에 대한 도어부(320)의 전방 모서리 부분의 삽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케이스부(300)는 본체부(310)의 전방으로부터 관통 홀(320a)을 관통하여 본체부(310) 및 도어부(320)를 체결하는 체결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340)는 체결 블록(341), 체결 봉(342), 제1 이동 블록(345) 및 제2 이동 블록(346)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블록(341)은 소정 두께의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31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체결 블록(341)을 파지하여 후술하는 체결 봉(34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체결 봉(342)은 체결 블록(34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본체부(310)의 전방으로부터 관통 홀(320a)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체결 봉(342)은 외주면에는 왼나사면(342a)을 형성하고,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오른나사면(342b)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이동 블록(345)은 소정 두께의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동 블록(345)는 중심 부분에 체결 봉(342)에 외삽되어 왼나사면(342a)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310)는 삽입 홈(310a)을 기준으로 하여 전방 측으로 내입되는 제1 이동 공간(31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이동 블록(345)은 이러한 제1 이동 공간(311)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이동 블록(346)은 소정 두께의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동 블록(346)은 중심 부분에 체결 돌기(346a)를 형성하고, 이러한 체결 돌기(346a)가 체결 봉(342)에 내삽되어 오른나사면(342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310)는 삽입 홈(310a)을 기준으로 하여 후방 측으로 내입되는 제2 이동 공간(31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이동 블록(346)은 이러한 제2 이동 공간(312)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제2 이동 공간(312)은 제2 이동 블록(346)과 맞닿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312a)를 형성하고, 제2 이동 블록(346)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312a)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346b)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 공간(311) 및 제1 이동 블록(345) 또한 가이드 돌기(312a) 및 가이드 홈(346b)과 동일한 취지의 구성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부(340)는 삽입 홈(310a)에 도어부(320)의 전방 모서리 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 홀(320a)에 체결 봉(342)을 삽입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체결 블록(341)을 파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체결 봉(342)을 삽입함에 따라 제1 이동 블록(345) 및 제2 이동 블록(346)이 서로 근접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이동 블록(345) 및 제2 이동 블록(346)은 삽입 홈(310a)에 삽입된 도어부(32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체결 블록(341)을 파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1 이동 블록(345) 및 제2 이동 블록(346)이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각각 제1 이동 공간(311) 및 제2 이동 공간(312)에 수용될 것이며, 삽입 홈(310a)으로부터 쉽게 도어부(320)의 전방 모서리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부(340)는 도어부(320)를 이용한 본체부(310)의 상측면의 개폐를 용이하게 한다.
한편, 케이스부(300)는 본체부(310)의 저면에 마련되어 소정 설치면에 본체부(310)를 밀착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30)는 제1 고정 플레이트(331), 제2 고정 플레이트(332), 고정 블록(333) 및 연통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플레이트(331)는 소정 두께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310)의 저면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제1 고정 플레이트(331)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로(331a)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흡입로(331)는 제1 고정 플레이트(331)에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정 플레이트(332)는 제1 고정 플레이트(331)의 저면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제2 고정 플레이트(332)는 적어도 하나의 승하강 공간(332a)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승하강 공간(332a)은 제2 고정 플레이트(332)에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블록(333)은 적어도 하나의 승하강 공간(332a)에 수용되어 마련되되, 적어도 일부가 제2 고정 플레이트(332)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블록(333)은 내부가 빈 중공의 고무 재질의 원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측에는 대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기가 구성될 수 있다.
연통부(334)는 고정 블록(333)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고정 플레이트(331)를 관통하여 흡입로(331)와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블록(333) 및 연통부(334)는 본체부(310)를 소정 설치면에 올려 두는 경우, 고정 블록(333)이 본체부(310) 및 설치면 사이에서 탄성 가압되면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진공흡입력을 발생시켜 본체부(310) 및 설치면 사이에 견고한 고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고정부(330)는 본체부(310)를 소정 설치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예컨대, 임플란트 시술 시 본체부(310)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시술의 편의성 및 안정성 향상을 도모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
110: 헤드부
115: 홈 부
117: 곡선부
120: 몸체부

Claims (2)

  1.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횡단면이 장변 길이가 5.5mm이고 단변 길이가 3.5mm인 직사각형이고, 높이는 2.8mm인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홈 부; 및
    양 측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홈 부는,
    각각 상기 헤드부의 상측면에서 단변으로부터 중심 부분으로 볼록하게 구비된 반타원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상측면의 단변 중심점으로부터 장축방향의 꼭지점까지의 길이는 2.08mm이고, 상기 헤드부의 상측면으로부터 내입되는 홈의 깊이는 0.3mm이며, 단축방향의 길이는 1.75mm인 반타원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곡선부는,
    각각 상기 헤드부의 장변에 해당하는 양 측면의 하부 중심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반지름은 1.72mm이고, 높이는 3.50mm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중공부를 형성하여 구강 내에 식립된 어버트먼트의 조립부에 끼워지고,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측면에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는 홈을 복수 개 구비하는 본체부; 및
    후단이 상기 본체부의 후단에 힌지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전방 모서리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삽입 홈;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전방 모서리 부분이 후방 모서리 부분보다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는 부분에 관통 홀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 홈은,
    상기 도어부의 전방 모서리 부분의 두께보다 넓은 간격으로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
  2. 삭제
KR1020210054515A 2021-04-27 2021-04-27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 KR102297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515A KR102297059B1 (ko) 2021-04-27 2021-04-27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515A KR102297059B1 (ko) 2021-04-27 2021-04-27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059B1 true KR102297059B1 (ko) 2021-09-02

Family

ID=7779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515A KR102297059B1 (ko) 2021-04-27 2021-04-27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0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202Y1 (ko) * 1999-12-20 2000-05-15 황경숙 납형제작용 치형세트장치
KR101535294B1 (ko) * 2014-05-14 2015-07-10 최종훈 디지털 힐링 어버트먼트
KR20150130998A (ko) * 2013-02-20 2015-11-24 지씨 유럽 프리캘리브레이션된 치아 임플란트 보조수단
KR102181295B1 (ko) 2020-05-29 2020-11-23 노문성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202Y1 (ko) * 1999-12-20 2000-05-15 황경숙 납형제작용 치형세트장치
KR20150130998A (ko) * 2013-02-20 2015-11-24 지씨 유럽 프리캘리브레이션된 치아 임플란트 보조수단
KR101535294B1 (ko) * 2014-05-14 2015-07-10 최종훈 디지털 힐링 어버트먼트
KR102181295B1 (ko) 2020-05-29 2020-11-23 노문성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6613B2 (en) Molds for custom dental implant abutments and impression posts
KR101663047B1 (ko) 드릴 가이드
DK2699194T3 (en) Healing STIFT SYSTEM KNOGLEKONTURERING
US201003233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xing removable dentures
US20070275351A1 (en) Healing Abutment and Dental Implant Having the Same
TWI394560B (zh) 植牙手術導板及其製作方法
BRPI0416146A (pt) componente de implante dental, implante dental, arranjo de prótese dental, e, tratamento de um ser humano ou animal
PT2005915E (pt) Implante dentário
KR20160018976A (ko) 무피판거상 시술을 위한 상악동 드릴링 키트
KR101106161B1 (ko) 어버트먼트와 지르코니아 캡의 견고한 체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장치
CA2731248C (en) Implant for insertion into the jawbone, prosthetics pillar and implant system
CN113229969A (zh) 移植牙窝备孔导板及其制作方法
KR102297059B1 (ko) 임플란트용 바이트 스캔바디
KR102280897B1 (ko)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US20140322665A1 (en) Guiding template for dental implantology
KR102391077B1 (ko) 지지나사 가이드를 갖는 측벽지지 임플란트 시스템
KR100279178B1 (ko) 다공성치아임플랜트
KR20140105098A (ko) 경사형 임플란트
JP5781709B2 (ja) 歯肉賦形キャップ及び歯肉賦形キャップキット
US20210161617A1 (en) Surgical guide for zygomatic bone implants
JP5706976B1 (ja) 歯肉賦形キャップ及び歯肉賦形キャップキット
KR102303341B1 (ko) 틀니용 힐링어버트먼트 조립체
JPH032254Y2 (ko)
US20240065812A1 (en) Implant device in shape of natural tooth with removable tooth root
KR100919776B1 (ko) 치조골의 골 이식용 스텐트 및 그를 이용한 골 이식시 골의모양을 유지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