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989B1 - 과열보호구조 및 모발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과열보호구조 및 모발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989B1
KR102296989B1 KR1020190099632A KR20190099632A KR102296989B1 KR 102296989 B1 KR102296989 B1 KR 102296989B1 KR 1020190099632 A KR1020190099632 A KR 1020190099632A KR 20190099632 A KR20190099632 A KR 20190099632A KR 102296989 B1 KR102296989 B1 KR 102296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overheat protection
inner layer
protection member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9496A (ko
Inventor
쉬 천
판디 멍
Original Assignee
썬전 수카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전 수카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전 수카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4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05B1/0205Switches using a fusi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5Temperature
    • A45D2200/152Walls with thermally insulating properties, i.e. preventing the exposure of cosmetics to the exterior temperature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 헬드 기구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것으로 특히 과열보호구조 및 모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열보호구조는 바디부, 히터 및 제1 과열보호부재를 포함하고 히터는 내층 및 가열소자을 포함하되, 내층은 가열소자의 내측에 위치하여 가열소자를 지지하고 제1 과열보호부재는 가열소자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렇게 되면 히터의 온도가 비교적 높을 경우 히터와 전원이 오프되고 히터가 작동을 정지하여 히터 및 주변의 부품들이 과열로 인한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전체 모발 건조장치를 진일보로 보호하게 된다. 히터 외부에 설치된 과열보호부재와 비교하여 볼 때 상기 모발 건조장치의 제1 과열보호부재는 히터 내에 설치되는데 이렇게 되면 제1 과열보호부가 전원을 차단하는 온도표준은 히터 내부의 온도가 되어 더 직관적으로 히터의 온도를 반영하여 상기 모발 건조장치의 안전성능 및 사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과열보호구조 및 모발 건조장치 {OVER-TEMPERATURE PROTECTION STRUCTURE AND HAIR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핸드 헬드 기구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것으로 특히 과열보호구조 및 모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발 건조장치는 대부분 머리카락의 건조와 정형에 사용되지만 기타 방면의 건조, 아트 디자인에 사용되기도 한다. 기존의 모발 건조장치는 일반적으로 모두 모터가 직접 팬을 회전하도록 하는 것인데 팬이 회전할 경우 공기는 유체입구로부터 진입하여 다시 유체출구로부터 배출함으로써 유체를 형성하여 건조, 정형 등 목적에 도달하게 된다.
히터는 유체입구로부터 진입한 유체를 가열하여 유체출구로부터 유출한 유체가 일정한 온도를 가지도록 하는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유체는 유출되는 과정에서 히터 주변에 위치한 부품들의 온도도 함께 높아지게 하여 유체 및 히터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로 상승한 후 주변의 부품들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부품의 파손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서 그 히터의 온도가 너무 높아 주변의 부품들을 파손시키는 기술적 단점에 대하여 과열보호구조 및 모발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발 건조장치에 사용되는 과열보호구조를 제공하는데 이는 바디부, 히터 및 제1 과열보호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 내에는 유체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유체통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통로 내의 유체 매질을 가열하며,
상기 히터는 내층 및 가열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내층은 상기 가열소자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가열소자를 지지하고 상기 제1 과열보호부재는 상기 가열소자의 내측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층은 플라스틱층이고 상기 내층에는 제1 통공이 개설되며 상기 제1 과열보호부재는 상기 제1 통공 내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층의 외벽에는 제1 장착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과열보호부재는 제1 온도측정부 및 상기 제1 온도측정부에 연결된 제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온도측정부는 상기 제1 통공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장착기둥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과열보호구조는 상기 가열소자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 과열보호부재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과열보호부재는 상기 히터 내의 온도가 제1 기설정값 이상에 도달할 경우 상기 히터와 전원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제2 과열보호부재는 상기 히터 내의 온도가 제2 기설정값 이상에 도달할 경우 상기 히터와 전원의 연결을 차단하며 상기 히터의 내측의 온도가 제2 기설정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히터와 상기 전원의 연결을 회복하고,
상기 제2 기설정값은 상기 제1 기설정값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층에는 제2 통공이 개설되고 상기 제2 과열보호부재는 상기 제2 통공 내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층의 외벽에는 제2 장착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과열보호부재는 제2 온도측정부 및 상기 제2 온도측정부에 연결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온도측정부는 상기 제2 통공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2 장착기둥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층의 외벽에는 서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가열소자는 상기 서포트에 가설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층은 원통이고 상기 서포트는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가열소자는 다수의 전열선을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서포트는 상기 내층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서포트는 상기 내층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서포트에는 상기 내층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수의 포지셔닝 홈이 설치되며,
다수의 상기 전열선은 상기 내층의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전열선에는 상기 포지셔닝 홈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포지셔닝부가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열선에는 상기 제1 과열보호부재를 수용하는 제1 회피공간이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열선에는 상기 제2 과열보호부재를 수용하는 제2 회피공간이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층의 원주방향에서의 상기 제1 회피공간과 상기 제2 회피공간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전열선은 상기 제1 회피공간과 상기 제2 회피공간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포지셔닝부가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히터는 외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열소자는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모발 건조장치의 과열보호구조는 제1 과열보호부재가 상기 히터 내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의 온도가 비교적 높을 경우 상기 히터와 전원이 오프되고 히터가 작동을 정지하여 히터 및 주변의 부품들이 과열로 인한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전체 모발 건조장치를 진일보로 보호하게 된다. 상기 모발 건조장치의 제1 과열보호부재가 상기 히터 내에 설치되면 상기 제1 과열보호부재가 전원을 차단하는 온도표준은 히터 내부의 온도가 되어 더 직관적으로 히터의 온도를 반영하여 상기 모발 건조장치의 안전성능 및 사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과열보호구조를 포함하는 모발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모발 건조장치의 구조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모발 건조장치의 단면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모발 건조장치의 히터의 모식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모발 건조장치의 히터에서 외층을 제거한 구조모식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모발 건조장치의 내층의 구조모식도이다.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아래에는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 전면적인 설명을 진행한다. 도면은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형태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수많은 상이한 형식으로 실현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이러한 실시형태를 제공하는 목적은 본 발명에서 개시한 내용을 더 확실하고 전면적으로 이해하기 위함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의 모발 건조장치(10)는 손잡이(100)와 바디부(200)를 포함한다. 바디부(200)는 손잡이(100)와 연결된다. 손잡이(100)와 바디부(200)에는 유체로 하여금 유동하도록 하는 제1 유체통로(101)가 설치된다. 손잡이(100)는 제1 유체입구(112)를 구비한다. 바디부(200)는 제1 유체출구(222)를 구비한다. 제1 유체입구(112)와 제1 유체출구(222)는 연통하여 제1 유체통로(101)를 형성한다. 제1 유체입구(112)와 제1 유체출구(222)는 유체로 하여금 각각 제1 유체통로(101)에 유입되거나 제1 유체통로(101)에서 유출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100)는 대향되게 설치된 제1 단(110)과 제2 단(120)을 포함한다. 손잡이(100)의 제2 단(120)은 바디부(200)와 연결된다. 제1 유체입구(112)는 손잡이(100)의 제1 단(110)에 설치된다. 바디부(200)는 대향되게 설치된 제1 단부(210)와 제2 단부(220)를 포함한다. 제1 유체출구(222)는 바디부(200)의 제2 단부(220)에 설치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제1 유체통로(101)는 비선형이다. 제1 유체통로(101)는 연통된 제1 구간(103)과 제2 구간(105)을 포함한다. 제1 구간(103)의 연장방향과 제2 구간(105)의 연장방향은 수직된다. 제1 구간(103)은 손잡이(100) 내에 위치한다. 제2 구간(105)은 바디부(200) 내에 위치한다. 즉 유체는 제1 유체통로(101)의 제1 구간(103)을 따라 흘러 손잡이(100)를 관통하고 제1 유체통로(101)의 제2 구간(105)을 따라 흘러 바디부(200)를 관통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모발 건조장치(10) 는 팬 어셈블리(300)를 더 포함한다. 팬 어셈블리(300)는 제1 유체통로(101) 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팬 어셈블리(300)는 제1 유체통로(101)의 제1 구간(103) 내에 위치한다. 팬 어셈블리(300)는 유체를 펌핑하여 제1 유체입구(112)를 관통하여 제1 유체통로(101)에 들어가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제2 유체입구(212)와 제2 유체출구(224)를 더 구비한다. 제2 유체입구(212)와 제2 유체출구(224)는 연통되어 제2 유체통로(201)를 형성한다. 제2 유체입구(212)와 제2 유체출구(224)는 각각 다른 한 가닥의 유체로 하여금 제2 유체통로(201)에 유입되거나 유출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유체입구(212)는 바디부(200)의 제1 단부(210)에 설치된다. 제2 유체출구(224)는 바디부(200)의 제2 단부(220)에 설치된다.
팬 어셈블리(300)가 운행할 경우, 팬 어셈블리(300)는 유체를 펌핑하여 이로 하여금 제1 유체입구(112)를 관통하여 제1 유체통로(101)에 진입하도록 함과 동시에 제1 유체출구(222)에 도달하고 또 유동하여 바디부(200)를 관통하며 제1 유체출구(222)로부터 유출된 유체의 작용은 다른 한 가닥의 유체가 제2 유체입구(212)에서 휘감아 흡입되거나 또는 제2 유체통로(201) 내에 끌어들어가고 제2 유체통로(201)를 따라 제2 유체출구(224)를 향해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2 유체출구(224)를 거쳐 유출된 다른 한 가닥의 유체와 제1 유체출구(222)를 거쳐 유출된 유체는 바디부(200)의 제2 단부(220)에서 합류되어 모발 건조장치(10)의 유체의 유출량이 증강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케이싱(230) 및 케이싱(230)을 관통하여 설치된 튜브 바디(240)를 포함한다. 제2 유체통로(201)는 튜브 바디(240)에 의해 한정된다. 제2 유체통로(201)는 튜브 바디(240) 내에서 제2 유체입구(212)로부터 제2 유체출구(224)로 연장된다. 제1 유체통로(101)의 제2 구간(105)은 튜브 바디(240)와 케이싱(230)의 측벽 사이의 갭에 의해 한정된다. 제1 유체출구(222)의 단면은 환형상을 이룬다. 제1 유체출구(222)는 제2 유체통로(201)를 에워싸고 연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모발 건조장치(10)는 히터(400)를 더 포함한다. 히터(400)는 제1 유체통로(101) 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400)는 제1 유체통로(101)의 제2 구간(105) 내에 설치된다. 히터(400)는 튜브 바디(240)를 감싸고 연장된다. 히터(400)는 제1 유체통로(101)의 유체를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히터(400)에서 제1 유체출구(222)와 가까이에 있는 일단을 히터(400)의 하류단으로 정의하고 히터(400)에서 제1 유체출구(222)와 멀리에 있는 일단을 히터(400)의 상류단으로 정의한다. 유체는 제1 유체입구(112)를 거쳐제1 유체통로(101)에 들어가고 히터(400)의 상류단으로부터 히터(400)의 하류단으로 유동하여 관통한 다음 계속하여 제1 유체통로(101)를 따라 흘러 제1 유체출구(222)에 도달함으로써 히터(400)로 하여금 상기 제1 유체통로(101) 내의 유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직접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외에 제2 유체통로(201)를 흐르는 다른 한 가닥의 유체는 상기 히터(400)를 통해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과열보호구조는 제1 과열보호부재(500) 및 상술한 바디부(200) 및 히터(400)를 포함하되, 제1 과열보호부재(500)는 히터(400) 내에 설치되고 제1 과열보호부재(500)는 히터(400) 내의 온도가 제1 기설정값 이상에 도달할 경우 히터(400)와 전원의 연결을 차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모발 건조장치(10)의 과열보호구조에 있어서, 제1 과열보호부재는 히터(400) 내에 설치되는데 이렇게 되면 히터의 온도가 비교적 높을 경우 히터(400)와 전원이 오프되고 히터(400)가 작동을 정지하여 히터(400) 및 주변의 부품들이 과열로 인한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전체 모발 건조장치(10)를 진일보로 보호하게 된다. 상기 모발 건조장치(10)의 제1 과열보호부재(500)는 히터(400) 내에 설치되는데 이렇게 되면 제1 과열보호부(500)가 전원을 차단하는 온도표준은 히터(400) 내부의 온도가 되어 더 직관적으로 히터(400)의 온도를 반영하여 상기 모발 건조장치(10)의 안전성능 및 사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과열보호구조의 유체통로는 제1 유체통로(101)의 바디부(200) 내에 형성된 제2 구간(105)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400)는 내층(410), 외층(420) 및 가열소자(430)를 포함하고 가열소자(430)는 내층(410)과 외층(420) 사이에 설치되며 내층(410)은 가열소자(430)의 내측에 위치하여 가열소자(430)를 지지한다.
그러나, 기타 실시예에서 히터(400)는 가열소자(430)의 외측에 설치된 외층(420)을 생략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층(410)에는 내층(410)의 벽을 관통하는 제1 장착홀(4102)이 설치되고 제1 과열보호부재(500)는 제1 온도측정부(510) 및 제1 온도측정부(510)에 연결된 제1 연결부(520)를 포함하며 내층(410)의 외벽에는 제1 장착기둥(4104)이 설치되고 제1 연결부(520) 및 제1 장착기둥(4104)의 수량은 모두 두 개이며 두 개의 제1 연결부(520)는 각각 제1 온도측정부(510)의 양단에 연결되고 제1 연결부(520)는 대응되는 제1 장착기둥(4104)에 고정되어 제1 온도측정부(510)로 하여금 제1 장착홀(4102) 내에 매달릴 수 있록 한다. 바람직하게, 제1 온도측정부(510)의 적어도 일부 구조는 내층(410) 내벽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렇게 되면 제1 과열보호부재(500)가 검출한 온도는 내층(410) 안의 온도로서 상기 실시예의 모발 건조장치(1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더 직관적으로 히터(400)의 온도를 반영하여 상기 모발 건조장치(10)의 안전성능 및 사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열보호구조는 히터(400) 내에 설치되는 제2 과열보호부재(6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2 과열보호부재(600)는 히터(400) 내의 온도가 제2 기설정값 이상에 도달할 경우 히터(400)와 전원의 연결을 차단하고 히터(400) 내의 온도가 제2 기설정값보다 작을 경우 히터(400)와 전원의 연결을 회복하며 제2 기설정값은 제1 기설정값보다 작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과열보호부재(500)는 열퓨즈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과열보호부재(600)는 온도 스위치, 금속 탄성편 등 부품일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과열보호부재(600)는 내층(410)의 외벽에 설치되는데 여기서 제2 과열보호부재(600)는 제2 온도측정부(610) 및 제2 온도측정부(610)에 연결된 제2 연결부(620)를 포함하고 내층(410)의 외벽에는 제2 장착기둥(4106)이 설치되며 제2 연결부(620) 및 제2 장착기둥(4106)의 수량은 모두 두 개이고 두 개의 제2 연결부(620)는 각각 제2 온도측정부(610)의 양단에 연결되며 제2 연결부(620)는 대응되는 제2 장착기둥(4106)에 고정되는데 여기서 제2 온도측정부(610)는 내층(410)의 외벽에 노출된다. 이때 제2 과열보호부재(600)가 히터(400)와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연결하는 온도표준은 내층(410)과 가열소자(430) 사이의 온도이다.
그러나, 기타 실시예에서 제2 과열보호부재(600)는 제1 과열보호부재(500)의 설치와 유사할 수도 있는 바, 즉 내층(410)의 외벽에 제2 장착홀이 설치되고 제2 과열보호부재(600)의 제2 온도측정부(610)가 제2 장착홀 내에 매달리는 것인데 이때 제2 과열보호부재(600) 가 히터(400)와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연결하는 온도표준은 내층(410) 내의 온도이다.
또한, 제1 과열보호부재(500)의 제1 온도측정부(510)는 내층(410)의 외벽에 노출될 수도 있는데 이때 제1 과열보호부재(500)가 히터(400)와 전원을 오프시키는 온도표준은 가열소자(430)와 내층(410) 사이에 위치한 온도이다. 여기서 제1 과열보호부재(500) 및 제2 과열보호부재(600)의 구체적인 장착방식은 서로 한정하지 않는 바, 즉 제1 과열보호부재(500)의 구체적인 장착방식과 제2 과열보호부재(600)의 구체적인 장착방식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내층(410)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다. 전통적인 운모재질과 비교하면 플라스틱 재질은 더 양호한 가소성을 가지고 경도가 더 높아 가열소자(430)을 지지하기 위한 내층(410)을 기타 형상으로 설치하고 상대적으로 고정하는데 유리하며 또 내층(410)에 제1 장착홀(4102) 및 제2 장착홀을 개설하여 제1 과열보호부재(500) 및 제2 과열보호부재(600)이 히터(400) 내에서의 장착 고정을 실현하여 히터(400)의 베어링 적응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외층(420)은 절연재질로 제조되는데 바람직하게 외층(420)은 운모로 제조된다.
제1 과열보호부재(500) 및 제2 과열보호부재(600)는 정상적인 사용에서 제1 유체통로(101) 내의 유체 매질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제1 유체통로(101) 내에 막힘 및 이상발열이 발생하여 히터(400) 내의 온도가 제2 기설정값 이상에 도달할 경우, 즉 히터(400) 내의 온도가 제2 기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제2 과열보호부재(600)은 히터(400)와 전원의 연결을 오프시키고 막힘 및 이상발열이 배제되어 히터(400) 내의 온도가 제2 기설정값보다 작을 경우 제2 과열보호부재(600)는 히터(400)와 전원의 연결을 회복하여 모발 건조장치(10)의 사용을 회복시킨다.
제2 과열보호부재(600)가 효력을 잃고 제1 유체통로(101) 내에 막힘 및 이상발열이 발생하여 히터(400) 내의 온도가 제1 기설정값 이상에 도달하면 제1 과열보호부재(500)는 히터(400)와 전원의 연결을 오프시켜 히터(400) 및 히터(400) 주변에 위치한 부품들을 진일보로 보호한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400)는 컨트롤러와 연결되는데 컨트롤러는 제1 유체통로(101) 내에 위치하고 제1 과열보호부재(500)의 제1 온도측정부(510)는 제1 연결부(520) 및 도선을 통해 컨트롤러와 연결되며 제2 과열보호부재(600)의 제2 온도측정부(610)는 제2 연결부(620) 및 도선을 통해 컨트롤러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과열보호부재(500) 및 제2 과열보호부재(600)는 모두 히터(400)와 컨트롤러의 연결경로에 설치되고 전원은 컨트롤러를 통해 히터(4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1 과열보호부재(500)로 하여금 히터(400)와 전원의 연결을 오프시키거나 또는 회복하고 제2 과열보호부재(600)는 히터(400)와 전원의 연결을 오프시키거나 또는 회복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발 건조장치(10)는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온도검출기(700)를 더 포함하는데 컨트롤러는 온도검출기(700)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히터(400)의 가열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층(410)의 외벽에는 서포트(4108)가 설치되고 가열소자(430)는 서포트(4108)에 가설된다. 여기서 가열소자(430)는 다수의 전열선을 포함하고 서포트(4108)의 수량은 다수인데 전열선은 서포트(4108)에 일일이 대응되게 가설된다.
구체적으로, 내층(410) 및 외층(420)은 원통형상이고 다수의 서포트(4108)는 내층(410)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서포트(4108)는 내층(41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포트(4108)에는 내층(410)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수의 포지셔닝 홈(41082)이 설치되고 다수의 전열선은 내층(410)의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전열선에는 포지셔닝 홈(41082)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포지셔닝부(4302)가 형성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선에는 제1 과열보호부재(500)를 수용하기 위한 제1 회피공간(4304) 및 제2 과열보호부재(600)를 수용하기 위한 제2 회피공간(4306)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회피공간(4304)은 전열선에 형성된 개구가 내층(410)을 향하는 제1 U형구조이고 제2 회피공간(4306)은 전열선에 형성된 개구가 내층(410)을 향하는 제2 U형구조이며 제1 과열보호부재(500)는 제1 U형구조의 개구 내에 설치된다. 제2 과열보호부재(600)는 제2 U형구조의 개구 내에 설치된다.
그러나, 기타 실시예에서 제1 회피공간(4304)은 전열선에 형성된 개구가 내층(410)을 향하는 반원형구조 또는 반타원형구조 일 수도 있고 유사하게 제2 회피공간(4306)은 전열선에 형성된 개구가 내층(410)을 향하는 반원형구조 또는 반타원형구조 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회피공간(4304)과 제2 회피공간(4306)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층(410)의 원주방향에서의 제1 U형구조와 제2 U형구조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4108)가 설치되고 전열선의 제1 U형구조와 제2 U형구조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부(4302)가 설치된다. 즉 제1 U형구조와 제2 U형구조는 인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고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도 있는데 제1 U형구조와 제2 U형구조가 인접하여 설치될 경우 제1 U형구조와 제2 U형구조 사이에는 지지대가 설치되어 제1 U형구조와 제2 U형구조의 구조강도를 보강한다. 즉 내층(410)의 원주방향에서의 제1 회피공간(4304)과 제2 회피공간(4306)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4108)가 설치되도록 담보한다.
이상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바, 이의 설명은 비교적 구체적이고 상세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지적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여 약간의 변형과 개선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특허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명세서에서의 도면부호는 다음과 같다.
10: 모발 건조장치
100: 손잡이
101: 제1 유체통로
103: 제1 구간
105: 제2 구간
110: 제1 단
120: 제2 단
112: 제1 유체입구
200: 바디부
201: 제2 유체통로
210: 제1 단부
212: 제2 유체입구
220: 제2 단부
222: 제1 유체출구
224: 제2 유체출구
230: 케이싱
240: 튜브 바디
300: 팬 어셈블리
400: 히터
410: 내층
4102: 제1 장착홀
4104: 제1 장착기둥
4106: 제2 장착기둥
4108: 서포트
41082: 포지셔닝 홈
420: 외층
430: 전열선
4302: 포지셔닝부
4304: 제1 U형구조
4306: 제2 U형구조
500: 제1 과열보호부재
510: 제1 온도측정부
520: 제1 연결부
600: 제2 과열보호부재
610: 제2 온도측정부
620: 제2 연결부
700: 온도검출기

Claims (14)

  1. 모발 건조장치에 사용되는 과열보호구조에 있어서,
    바디부, 히터 및 제1 과열보호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 내에는 유체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유체통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통로 내의 유체 매질을 가열하며;
    상기 히터는 내층 및 가열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내층은 상기 가열소자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가열소자를 지지하고, 상기 제1 과열보호부재는 상기 가열소자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내층에는 제1 통공이 개설되며, 상기 제1 과열보호부재는 상기 제1 통공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보호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은 플라스틱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보호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의 외벽에는 제1 장착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과열보호부재는 제1 온도측정부 및 상기 제1 온도측정부에 연결된 제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온도측정부는 상기 제1 통공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장착기둥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보호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보호구조는 상기 가열소자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 과열보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보호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열보호부재는 상기 히터 내의 온도가 제1 기설정값 이상에 도달할 경우 상기 히터와 전원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제2 과열보호부재는 상기 히터 내의 온도가 제2 기설정값 이상에 도달할 경우 상기 히터와 전원의 연결을 차단하며, 상기 히터의 내측의 온도가 제2 기설정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히터와 상기 전원의 연결을 회복하고;
    상기 제2 기설정값은 상기 제1 기설정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보호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에는 제2 통공이 개설되고, 상기 제2 과열보호부재는 상기 제2 통공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보호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의 외벽에는 제2 장착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과열보호부재는 제2 온도측정부 및 상기 제2 온도측정부에 연결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온도측정부는 상기 제2 통공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장착기둥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보호구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의 외벽에는 서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가열소자는 상기 서포트에 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보호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은 원통이고, 상기 서포트는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가열소자는 다수의 전열선을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서포트는 상기 내층의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서포트는 상기 내층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서포트에는 상기 내층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수의 포지셔닝 홈이 설치되며;
    다수의 상기 전열선은 상기 내층의 축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전열선에는 상기 포지셔닝 홈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포지셔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보호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에는 상기 제1 과열보호부재를 수용하는 제1 회피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보호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에는 상기 제2 과열보호부재를 수용하는 제2 회피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보호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의 원주방향에서의 상기 제1 회피공간과 상기 제2 회피공간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포트가 설치되고, 상기 전열선은 상기 제1 회피공간과 상기 제2 회피공간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포지셔닝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보호구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외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열소자는 상기 내층과 상기 외층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보호구조.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과열보호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건조장치.
KR1020190099632A 2018-10-31 2019-08-14 과열보호구조 및 모발 건조장치 KR102296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288640.1 2018-10-31
CN201811288640.1A CN109090799A (zh) 2018-10-31 2018-10-31 过温保护结构及毛发干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496A KR20200049496A (ko) 2020-05-08
KR102296989B1 true KR102296989B1 (ko) 2021-09-01

Family

ID=6487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632A KR102296989B1 (ko) 2018-10-31 2019-08-14 과열보호구조 및 모발 건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66533B2 (ko)
KR (1) KR102296989B1 (ko)
CN (1) CN1090907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951A1 (ko) * 2022-10-04 2024-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331292U (zh) * 2018-10-31 2019-09-03 舒可士(深圳)科技有限公司 过温保护结构及毛发干燥装置
WO2020259165A1 (zh) * 2019-06-22 2020-12-30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加热器、电器设备、吹风机及负离子产生方法
CN111166035A (zh) * 2020-03-12 2020-05-19 深圳奥郎格环保有限公司 干发器和干发器的温度校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077Y1 (ko) 2006-03-15 2006-05-22 버텍스 프레시젼 일렉트로닉스 아이엔씨. 헤어 드라이어의 발열 장치
KR101285469B1 (ko) * 2013-03-25 2013-07-12 이용학 전자파 제거 헤어드라이어
JP2017077472A (ja) 2015-10-21 2017-04-27 ダイソン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ヘアケア電気器具
JP2017104554A (ja) * 2015-12-09 2017-06-15 ダイソン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手持型機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63260C3 (de) * 1972-12-23 1982-01-28 Fritz Eichenauer GmbH & Co KG, 6744 Kandel Heizkörper für gebläsebetriebene Heizgeräte, insbesondere Kleinheizkörper für Haartrockner o.dgl.
DE2944132A1 (de) * 1979-11-02 1981-05-14 Fa. Fritz Eichenauer, 6744 Kandel Elektrisches widerstandsheizelement
US4602143A (en) * 1984-11-14 1986-07-22 Clairol Incorporated Infrared hair styling device
KR0152820B1 (ko) * 1995-07-05 1998-10-15 구자홍 텔레비젼 수상기의 이중화면장치
GB2516249B (en) * 2013-07-16 2017-03-01 Dyson Technology Ltd Heater for a hand held appliance
GB2543536B (en) * 2015-10-21 2019-01-02 Dyson Technology Ltd A handheld appliance
CN206261070U (zh) * 2016-12-02 2017-06-20 罗秋红 便携式婴儿吹风机
CN209331292U (zh) * 2018-10-31 2019-09-03 舒可士(深圳)科技有限公司 过温保护结构及毛发干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077Y1 (ko) 2006-03-15 2006-05-22 버텍스 프레시젼 일렉트로닉스 아이엔씨. 헤어 드라이어의 발열 장치
KR101285469B1 (ko) * 2013-03-25 2013-07-12 이용학 전자파 제거 헤어드라이어
JP2017077472A (ja) 2015-10-21 2017-04-27 ダイソン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ヘアケア電気器具
JP2017104554A (ja) * 2015-12-09 2017-06-15 ダイソン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手持型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951A1 (ko) * 2022-10-04 2024-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496A (ko) 2020-05-08
CN109090799A (zh) 2018-12-28
US20200128936A1 (en) 2020-04-30
US11166533B2 (en)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989B1 (ko) 과열보호구조 및 모발 건조장치
KR102175883B1 (ko) 모발 관리 기구
US9145901B2 (en) Heating pump
WO2021052320A1 (zh) 电吹风
KR102329856B1 (ko) 모발 건조장치
EP3134653B1 (en) Heat pump and dishwasher comprising the same
CN105020180A (zh) 用于洗碗机的加热泵和洗碗机
CN109198842B (zh) 毛发干燥装置
CN214547857U (zh) 一种改进温度传感器安装结构的吹风机
WO2020087710A1 (zh) 过温保护结构及毛发干燥装置
CN218526450U (zh) 发热组件及家电产品
CN217986898U (zh) 加热机构及吹风装置
US20200128937A1 (en) Heater and hair drying apparatus
EP3313228A1 (en) Hairdryer with high electrical safety
CN209171528U (zh) 毛发干燥装置
KR20220045938A (ko) 에어 히터
CN209171521U (zh) 毛发干燥装置
WO2024007658A1 (zh) 加热器及护发设备
CN208676493U (zh) 电吹风的发热架
CN209171531U (zh) 毛发干燥装置
KR102363738B1 (ko) 이탈방지기능과 방수기능을 갖는 선택발열형 카트리지히터
US6265698B1 (en) Overheating protector for heaters
WO2022199391A1 (zh) 一种干手器、加热装置、干手器调风装置、吹风设备
CN209315091U (zh) 加热器及毛发干燥装置
CN115727537A (zh) 暖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