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978B1 - 절전형 항온항습장치 - Google Patents
절전형 항온항습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5978B1 KR102295978B1 KR1020210036006A KR20210036006A KR102295978B1 KR 102295978 B1 KR102295978 B1 KR 102295978B1 KR 1020210036006 A KR1020210036006 A KR 1020210036006A KR 20210036006 A KR20210036006 A KR 20210036006A KR 102295978 B1 KR102295978 B1 KR 1022959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thermo
- hygrostat
- deodorant
- pow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humidification
- F25D2317/04131—Control mean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5—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odoriz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전형 항온항습장치에 있어서, 상세히는 가열히터와 가습히터 및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항온항습조의 내부를 일정한 온도 및 습도로 유지하도록 하되, 상기 열교환기를 가습히터가 작동하는 곳과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고,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냉매의 양을 열교환 설정온도에 맞추어 정밀하게 제어하여, 항온항습조 내부를 목표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가열히터의 작동을 최소한으로 함으로써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도록 한 절전형 항온항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목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는 항온항습조와; 상기 항온항습조의 배면에 부착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항온항습조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는 항온항습센서와; 상기 항온항습조의 배후에 설치되어 가열한 공기를 상기 송풍팬을 통해 항온항습조 내부로 공급하되, 상기 항온항습센서의 센싱에 따라 작동이 조절되어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 가열히터와; 상기 항온항습조 배후의 가열히터 아래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여 만든 수증기를 상기 송풍팬을 통해 항온항습조 내부로 공급하되, 상기 항온항습센서의 센싱에 따라 작동이 조절되어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한 가습히터와; 상기 항온항습조 아래의 가습히터가 작동하는 위치에서 떨어진 곳에 배치되고, 항온항습조로부터 목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공기가 순환하여 공급되면 냉매를 통해 온도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출구에 설치되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온도를 센싱하는 열교환센서와; 상기 열교환기에 냉매를 압축하여 전자팽창밸브를 통해 공급하는 냉동기와; 상기 항온항습센서에 의한 가열히터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열교환센서에 의해 센싱한 온도에 의해 목표 온도와 근접하게 냉각되도록 전자팽창밸브를 통해 열교환기에 공급하는 냉매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하면서 가열히터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항온 항습조의 출입문에 설치하되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여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메인 도어(100)와; 상기 메인 도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메인도어의 형상에 상응하여 사각패널 형상으로 제작되며 메인도어에 수평하게 설치하여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는 보조도어(200)와; 상기 메인도어와 보조도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타측은 강제 끼움결합 또는 열림상태가 되도록하는 문틀(300)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목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는 항온항습조와; 상기 항온항습조의 배면에 부착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항온항습조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는 항온항습센서와; 상기 항온항습조의 배후에 설치되어 가열한 공기를 상기 송풍팬을 통해 항온항습조 내부로 공급하되, 상기 항온항습센서의 센싱에 따라 작동이 조절되어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 가열히터와; 상기 항온항습조 배후의 가열히터 아래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여 만든 수증기를 상기 송풍팬을 통해 항온항습조 내부로 공급하되, 상기 항온항습센서의 센싱에 따라 작동이 조절되어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한 가습히터와; 상기 항온항습조 아래의 가습히터가 작동하는 위치에서 떨어진 곳에 배치되고, 항온항습조로부터 목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공기가 순환하여 공급되면 냉매를 통해 온도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출구에 설치되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온도를 센싱하는 열교환센서와; 상기 열교환기에 냉매를 압축하여 전자팽창밸브를 통해 공급하는 냉동기와; 상기 항온항습센서에 의한 가열히터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열교환센서에 의해 센싱한 온도에 의해 목표 온도와 근접하게 냉각되도록 전자팽창밸브를 통해 열교환기에 공급하는 냉매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하면서 가열히터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항온 항습조의 출입문에 설치하되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여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메인 도어(100)와; 상기 메인 도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메인도어의 형상에 상응하여 사각패널 형상으로 제작되며 메인도어에 수평하게 설치하여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는 보조도어(200)와; 상기 메인도어와 보조도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타측은 강제 끼움결합 또는 열림상태가 되도록하는 문틀(300)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절전형 항온항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가열히터와 가습히터 및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항온항습조의 내부를 일정한 온도 및 습도로 유지하도록 하되, 상기 열교환기를 가습히터가 작동하는 곳과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고,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냉매의 양을 열교환 설정온도에 맞추어 정밀하게 제어하여, 항온항습조 내부를 목표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가열히터의 작동을 최소한으로 함으로써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도록 한 절전형 항온항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 일반적인 항온항습기들은 항온항습조 내부의 온도와 습도와 일정하게 유지해주기 위해 센서와 가열히터 및 가습히터, 그리고 열교환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이용한 구체적인 항온항습의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항온항습조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는 센서에 의해 상기 가열히터와 가습히터의 작동을 조절하여 뜨거운 공기와 습기를 적절하게 상기 항온항습조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항온항습을 위한 목표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항온항습기는 온도뿐만 아니라 습도도 일정한 값으로 계속해서 유지주어야 하는 장비이고 항온항습조 내에서 테스트를 하는 제품 자체가 발열도 하기 때문에, 아무리 센서로 항온항습조 내의 온도와 습도를 제어한다고 해도 목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갈 수밖에 없어 뜨거운 공기를 순환시켜 온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온항습조의 외부로 순환하는 온도를 냉각시킨 후 이를 다시 항온항습조에 공급할 때 냉각되어 떨어진 온도만큼 히터를 가열하여 온도를 올릴 때, 냉동기를 통해 상기 열교환기에 공급하는 냉매의 양을 3단계 정도로 밖에 조절할 수 없어 항온항습조 내부의 목표 온도보다 훨씬 낮은 온도로 열교환기로 냉각시킨 후 다시 항온항습조에 공급하고 있으므로, 그 많은 차이만큼의 온도를 올려주기 위해 가열히터를 가동하므로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즉, 냉동성능의 제어단계가 적어서 항온항습조의 목표 온도와 열교환기의 온도 차이가 넓어지면, 차이 나는 열량만큼은 가열히터가 발열하여 목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만약, 필요 이상으로 목표 온도와 열교환기의 온도 차이가 커지면 그만큼 가열히터가 더 많이 발열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량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제품의 유지비용도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도 4에서 붉은 색 부분은 실제 가열히터가 발열하여야 하는 값이다.
예컨대, 종래에는 항온항습조 내부의 목표 온도가 80℃인 경우, 상기 80℃보다 높은 온도로 공기가 순환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하면 60℃ 정도로 온도가 떨어진 공기가 다시 항온항습조 내부로 들어가고, 이때 가열히터는 목표 온도인 80℃에 맞추도록 20℃ 정도를 승온시키기 위해 작동하므로 온도를 20℃ 승온시키려면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전자팽창밸브에 의해 압축기 가스바이패스(gas bypass) 량을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수단을 가지고 냉각능력 조정 가능한 냉각기와, 출력 제어수단을 가지는 가열기 및/또는 가습기를 구비한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항온항습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팽창밸브에 의해 압축기 가스바이패스 량을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항온항습장치는 물을 가열해서 습도를 발생시키는 방법이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도 습도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물을 100℃까지 가열하여 수증기를 만들게 된다. 이때, 항온항습조(100A)에서 순환되는 바람을 타고 가습히터(40) 주변에는 온도에 상관없이 100℃ 근처까지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이 부분을 절대가습구간(A)이라고 하고 이 부분에 온도센서를 위치시키면 열교환기(50)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데이터가 나올 수 없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항온항습장치는 이를 회피하기 위해서 열교환기(50)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직접 제어하지 않고, 가열히터(30)의 출력이 발생하는 양에 따라 냉동기의 전자팽창밸브를 제어하게 되며, 이때 가열히터(30)는 항상 25%정도만 계속해서 가동되도록 전자팽창밸브를 제어하기 때문에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은 다를 바 없다. 여기서, 도면 부호 11은 송풍팬이고 20은 항온항습조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 및 습도 센서이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한 가스량을 2∼3단계로 제어하는 종래 항온항습장치는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전자팽창밸브로 제어하는 항온항습기는 종래 항온항습장치에 비하여 30∼40%에 이를 정도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상당하나, 가습히터 때문에 발생되는 절대가습구간(A) 때문에 가장 좋은 방법인 열교환기의 온도를 직접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어쩔 수 없이 우회적으로 가열히터의 출력량으로 짐작하여 간접적으로 열교환기의 온도를 제어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가열히터의 출력량이 목표하는 퍼센테이지(%) 이하로 떨어지면 냉각효과가 낮아 진 걸로 인식하여 스스로 냉매량을 늘리게 됨으로써, 더 많은 전력을 줄일 수 있는 구간에서도 목표하는 에너지 절약만 구현된다. 이리하여 고습 조건에서도 가장 좋은 방법인 열교환기의 온도를 직접 제어함으로써, 사용조건이 많고 전력소모량이 큰 온도 60℃에서 90%나 85℃에서 85% 등에서도 최고 70%까지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항온항습을 위해 가열히터와 가습히터 및 열교환기가 필요한 항온항습기에서 상기 가열히터를 최소한으로 가동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상기 열교환기를 가습히터가 작동하여 습기를 발생시키는 절대가습구간(A)을 피하여 배치됨으로써, 항온항습조에서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냉각되는 공기의 온도를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어 항온항습조 내의 목표 온도와의 차이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절전형 항온항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즉,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냉각되는 공기의 온도를 소수점 단위로 떨어뜨릴 수 있도록 상기 온도를 센싱하여, 항온항습조의 목표 온도 미만으로 근접하게 설정한 열교환 설정온도와 상기 센싱한 온도를 비교한 후 상기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냉매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하게 됨으로써, 항온항습조 내부의 목표 온도와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온도의 차이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최소한의 차이만큼만 가열히터가 발열하여 목표 온도로 올려주는 것으로 인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절전형 항온항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목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는 항온항습조와; 상기 항온항습조의 배면에 부착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항온항습조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는 항온항습센서와; 상기 항온항습조의 배후에 설치되어 가열한 공기를 상기 송풍팬을 통해 항온항습조 내부로 공급하되, 상기 항온항습센서의 센싱에 따라 작동이 조절되어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 가열히터와; 상기 항온항습조 배후의 가열히터 아래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여 만든 수증기를 상기 송풍팬을 통해 항온항습조 내부로 공급하되, 상기 항온항습센서의 센싱에 따라 작동이 조절되어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한 가습히터와; 상기 항온항습조 아래의 가습히터가 작동하는 위치에서 떨어진 곳에 배치되고, 항온항습조로부터 목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공기가 순환하여 공급되면 냉매를 통해 온도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출구에 설치되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온도를 센싱하는 열교환센서와; 상기 열교환기에 냉매를 압축하여 전자팽창밸브를 통해 공급하는 냉동기와; 상기 항온항습센서에 의한 가열히터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열교환센서에 의해 센싱한 온도에 의해 목표 온도와 근접하게 냉각되도록 전자팽창밸브를 통해 열교환기에 공급하는 냉매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하면서 가열히터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항온 항습조의 출입문에 설치하되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여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메인 도어(1100)와; 상기 메인 도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메인도어의 형상에 상응하여 사각패널 형상으로 제작되며 메인도어에 수평하게 설치하여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는 보조도어(1200)와; 상기 메인도어와 보조도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타측은 강제 끼움결합 또는 열림상태가 되도록하는 문틀(1300)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출입용 도어(1100)는, 도어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하되 인체의 키높이에 설치되며 도어의 모서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도어 조작부(1110)와; 상기 도어 조작부의 상하좌우를 감싸는 형태이며 세로방향보다 가로방향이 더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와; 상기 도어 조작부 마감재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도어 조작부 마감재를 보호하는 마감재 테두리부(1130)와; 상기 도어 조작부 마감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로터리 형태의 손잡이와 결합용 축으로 이루어지되 도어 조작부 마감재를 결합용 축이 삽입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 사이를 록킹상태 또는 언록킹 상태가 되도록 결정하는 걸림쇠 손잡이(1140)와; 상기 걸림쇠 손잡이의 일측에 연결되며 걸림쇠 손잡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상응하여 회전하면서 걸림쇠 손잡이의 동력을 외부로 전달시키는동력전달부(1150)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동시에 도어 조작부 마감재에 수직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며, 걸림쇠 손잡이를 움직여서 동력전달부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상하로 승하강 되면서 중간 도어와 연결되거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용 볼트(116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중간 도어(1200)는, 상기 출입용 도어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설치하되 출입용 도어의 도어 조작부 및 도어 조작부 마감재가 위치하는 지점에 설치하며 각각의 내측에 C자형 채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도어 조작부 및 도어 조작부 마감재를 결합시키거나 해제시켜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가 결합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과; 상기 좌우 이동용 가이드홈에 삽입되거나 해제되어 중간 도어만을 별도로 사용할시에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을 따라 유동되어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의 공간부를 폐쇄하고,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가 동시에 개폐될 때에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홈 사이의 공간부를 오픈시켜 도어 조작부의 동작시 자연스럽게 공간부의 오픈상태가 지속되도록 하는 좌우 이동용 사각판(1220)과; 상기 좌우 이동용 사각판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좌우 이동용 사각판을 보호하는 사각판 테두리부(1230)과; 상기 좌우 이동용 사각판의 상하부에 설치되며 좌우 이동용 사각판이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을 따라 자연스럽게 전후진하도록 보조하며 좌우 이동용 가이드홈을 좌우로 왕복하는 좌우 유동용 상하 돌기구(12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출입용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항온항습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도어 안전장치 겸용 항온항습장치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 안전장치 겸용 항온항습장치 구동수단은, 항온항습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버튼 등을 구비하는 조작수단(550)과, 출입용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 감지수단(560)과, 상기 도어개폐 감지수단(560)으로부터 입력되는 도어개폐 감지신호 및 상기 조작수단(550)으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버너(59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70)과, 상기 제어수단(57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공기를 가열시키는 버너(591)를 구동제어하는 구동수단(580)으로 구성하고; 상기 도어개폐 감지수단(560)은, 상기 출입용 도어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는 도어스위치(561)와, 상기 도어스위치(561)의 온시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24V)의 전류성분을 제한하는 전류제한저항(R1)(R2)과, 상기 전류제한저항(R1)(R2)에 의해 전류성분이 제한된 직류전압(24V)을 분압저항(R3,R4)(R5,R6)을 통해 인가받아 턴온 턴오프동작하는 트랜지스터(TR1)(TR2)와, 상기 트랜지스터(TR1)(TR2)의 턴온 턴오프동작에 따라 외부에서 인가되는 직류전압(5V)을 상기 제어수단(570)의 입력단자(I1)(I2)에 입력하는 저항(R7)(R8)과, 상기 제어수단(570)에 입력되는 전압신호에 포함된 노이즈성분을 필터링하는 컨덴서(C1)(C2)로 구성하며; 상기 구동수단(580)은, 상기 제어수단(570)의 출력단자(P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분압저항(R11,R12)을 통해 입력받아 턴온 턴오프동작하는 트랜지스터(TR3)와,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턴온동작시에 버너(591)를 구동시키도록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24V)을 도어스위치(561)를 통해 받아서 구동하는 릴레이(RY)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항온항습장치의 외부에는 탈취제 도포장치(100A)를 더 설치하되, 상기 탈취제 도포장치(100A)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20)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단에 설치되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모터의 회전운동을 승하강 운동으로 변환시켜 상하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펌핑 동력 제공수단(3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단에 설치되며,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동력 출력용 축에 연결되어 승하강 작동을 하며, 내부에 탑재되는 탈취제 삽입통의 탈취제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와; 상기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를 탄발지지하여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과; 상기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내부에 탈취제를 저장시키고,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의 움직임에 유도하여 상하로 유동하면서 탈취제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탈취제 삽입통(60)과; 상기 탈취제 삽입통의 하부에 나사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에 의해서 결합되어 탈취제 삽입통 내부에 존재하는 탈취제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탈취제 도포수단(7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펌핑 동력 제공수단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일측 홀(30a)을 통해 모터(35)의 동력축이 관통되는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의 내부에 삽입 결합하되 모터(35)의 동력축의 끝단부에 삽입 결합되며 모터 동력축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동력 출력용 축(32)과; 상기 동력 출력용 축(32)의 몸체에 형성하되 포물선 형태를 몸체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가이드홈(33)과; 일측은 가이드홈(33)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의 타측홀(30b)에 관통 설치되며, 동력 출력용 축(32)이 회전되어 가이드홈이 회전시에 가이드홈(33)을 따라 승하강되는 승하강 유동바(34)와; 상기 동력 출력용 축과 승하강 유동바 사이를 분리하고, 동력 출력용 축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동력 출력용 축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격용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승하강 유동바(34)는, 가이드홈(33)을 따라 움직이면서 회전운동을 승하강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반구형 돌기(34a)와; 상기 반구형 돌기에 일체형으로 수평하게 연결되는 제 1 수평 연결바(34b)와; 상기 제 1 수평 연결바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제 1 수평 연결바에 90도 직각으로 꺽여서 형성되며 동력 출력용 축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 2 수직 연결바(34c)와; 상기 제 2 수직 연결바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제 2 수직 연결바에 90도 직각으로 꺽여서 형성되며 제 2 동력 출력용 축의 중심영역에 이르기까지 형성되는 제 3 수평 연결바(34d)와; 상기 제 3 수평 연결바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제 3 수평 연결바에 90도 직각으로 꺽여서 형성되며 하우징의 타측홀에 관통 설치되어 반구형 돌기에 의해서 생성된 승하강 동력을 다른 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제 4 수직 연결바(34e)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절전형 항온항습기에 의하면, 항온항습조의 목표 온도의 유지를 위해 가동되는 가열히터의 에너지 소비량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 항온항습기보다 최대 30∼40%, 특정온도 조건에서는 70%까지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항온항습기의 항온항습조 부분의 개략적인 내부 설치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항온항습기 구성의 전체적인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항온항습기의 냉동성능과 목표 온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종래 항온항습기의 냉동성능과 목표 온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종래 항온항습기의 개략적인 내부 설치도
도 6은 본 발명의 중간 도어를 폐쇄하고 출입용 도어를 개방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출입용 도어 및 걸림쇠 손잡이 작동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중간 도어와 좌우 이동용 사각판 작동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출입용 도어를 개방하고 중간 도어를 폐쇄한 상태에서 좌우 이동용 사각판으로 중간 도어의 공간부를 메꾸는 동작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도어 안전장치 및 항온 항습장치 구동수단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탈취제 도포장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탈취제 도포장치 전체 단면 및 펌핑 동력 제공수단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분해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제 1 동작도.
도 17은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제 2 동작도.
도 18은 본 발명의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 및 탈취제 삽입통 토출수단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항온항습기 구성의 전체적인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항온항습기의 냉동성능과 목표 온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종래 항온항습기의 냉동성능과 목표 온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종래 항온항습기의 개략적인 내부 설치도
도 6은 본 발명의 중간 도어를 폐쇄하고 출입용 도어를 개방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출입용 도어 및 걸림쇠 손잡이 작동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중간 도어와 좌우 이동용 사각판 작동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출입용 도어를 개방하고 중간 도어를 폐쇄한 상태에서 좌우 이동용 사각판으로 중간 도어의 공간부를 메꾸는 동작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도어 안전장치 및 항온 항습장치 구동수단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탈취제 도포장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탈취제 도포장치 전체 단면 및 펌핑 동력 제공수단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분해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제 1 동작도.
도 17은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제 2 동작도.
도 18은 본 발명의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 및 탈취제 삽입통 토출수단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항온항습기의 항온항습조 부분의 개략적인 내부 설치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항온항습기 구성의 전체적인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항온항습기의 냉동성능과 목표 온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종래 항온항습기의 냉동성능과 목표 온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종래 항온항습기의 개략적인 내부 설치도
도 6은 본 발명의 중간 도어를 폐쇄하고 출입용 도어를 개방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출입용 도어 및 걸림쇠 손잡이 작동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중간 도어와 좌우 이동용 사각판 작동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출입용 도어를 개방하고 중간 도어를 폐쇄한 상태에서 좌우 이동용 사각판으로 중간 도어의 공간부를 메꾸는 동작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도어 안전장치 및 항온 항습장치 구동수단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탈취제 도포장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탈취제 도포장치 전체 단면 및 펌핑 동력 제공수단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분해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제 1 동작도.
도 17은 본 발명의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실시예 제 2 동작도.
도 18은 본 발명의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 및 탈취제 삽입통 토출수단 구성도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항온항습기는 항온항습조(1)와 함께 송풍팬(2), 가열히터(3), 가습히터(4), 열교환기(5) 및 제어부(6)로 구성되어 케이스(10)내에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기(5)에 냉매를 공급하는 냉동기(7)와 전자팽창밸브(8)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항온항습조(1)는 본 발명의 항온항습기 구성들을 포함하고 있는 케이스(10) 내의 상부에 배치되고, 항온항습조(1) 내부에는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기 위한 항온항습센서(9)가 설치되며, 상기 항온항습센서(9)는 하나의 부품에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별도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져 배치된다.
상기 송풍팬(2)은 항온항습조(1)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항온항습조(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 즉 항온항습조(1) 내부의 공기는 열교환기(5)와 가열히터(3)를 거쳐 다시 항온항습조(1) 내부로 들어가 순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가열히터(3)는 항온항습조(1) 배후의 송풍팬(2) 아래에 설치되며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송풍팬(2)을 통해 상기 항온항습조(1)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항온항습조(1)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지만 항온항습센서(8)의 온도센싱에 따라 상기 항온항습조(1) 내부는 항상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습히터(4)는 가열히터(3)의 아래의 물을 수용하고 있는 수조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을 끓여 발생하는 수증기를 송풍팬(2)을 통해 상기 항온항습조(1)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항온항습조(1) 내부의 습도를 상승시키지만 항온항습센서(9)의 습도센싱에 따라 상기 항온항습조(1) 내부는 항상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5)는 가습히터(4)가 작동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절대가습구간(A)을 벗어나 항온항습조(1)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항온항습조(1)으로부터 순환하는 뜨거운 공기를 냉매에 의해 냉각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5)에서 뜨거운 공기가 냉각되어 나가는 출구에는 열교환센서(5a)가 설치되어 냉각되어 나가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게 된다. 여기서 열교환기(5)에는 제어부(6)에 의해 목표 온도 미만으로 근접하게 온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어, 상기 열교환기(5)를 통해 냉각되어 나가는 온도는 열교환센서(5a)의 센싱으로 항상 상기한 미리 설정된 온도로 냉각된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5)에는 냉매를 공급하는 냉동기(7)와 전자팽창밸브(8)가 연결되는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기(7)를 통해 냉매를 압축 및 응축한 후 전자팽창밸브(8)를 통해 상기 열교환기(5)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자팽창밸브(8)는 제어부(6)의 제어에 따라 1/500의 미량에서부터 다량의 냉매를 선별적으로 열교환기(5)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5)는 전자팽창밸브(8)로부터 냉매를 정밀하게 공급받게 됨으로써 목표 온도 미만으로 근접하게 설정한 열교환기의 냉각온도에 정확하게 맞추어 냉각된다.
상기 제어부(6)는 냉매를 공급하는 전자팽창밸브(8)를 제어하기도 하지만, 상기한 송풍팬(2)과 가열히터(3) 및 가습히터(4) 그리고 열교환기(5)와 각종의 센서 등을 모두 제어하는 역할을 하도록 일종의 컨트롤박스로 설치된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절전형 항온항습기의 작동을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항온항습조(1) 내부에 놓이는 시험체를 일정한 온도와 습도 하에서 실험을 하기 위해 가열히터(3)와 가습히터(4)를 작동하여 상기 항온항습조(1) 내부의 온도가 목표 온도와 습도에 근접하도록 상승시키고, 상승하는 온도와 습도는 항온항습센서(9)의 센싱에 의해 목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순환하는 공기와 발열하는 시험체 등의 조건으로 인해 항온항습조(1) 내부의 공기는 목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이를 순환시켜 냉각시킨 후 다시 항온항습조(1)에 공급하여 목표 온도에 맞춰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항온항습조(1)로부터 온도가 상승된 공기가 열교환기(5)로 공급되어 냉각되지만, 상기 열교환기(5)의 출구에 설치된 열교환센서(5a)에 의해 냉각되는 온도가 항상 센싱이 되고 열교환기(5)의 냉각온도는 목표 온도 미만으로 근접하게 설정되어 있어, 제어부(6)의 제어에 따라 열교환기(5)의 냉각온도는 항상 목표 온도 미만으로 근접하게 설정된 온도에 맞추어 냉각된다. 예컨대 조건에 따라 목표 온도보다 0.1∼5℃ 정도 낮은 온도로 냉각되도록 전자팽창밸브(8)를 통해 열교환기(5)에 공급되는 냉매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한다. 즉, 온도를 0.1℃ 단위로 아주 조금 떨어뜨리려면 냉매를 아주 미량으로 공급하고 물론 온도를 많이 떨어드리려면 그만큼 냉매를 많이 공급한다.
결론적으로 도 3에서와 같이 목표 온도 값이 0.1℃ 변화될 때마다 실시간 로컬(local) 제어를 통해 냉동성능과 열교환기(5)의 온도도 0.1℃씩 다르게 제어한다. 이렇게 0.1℃ 단위로 제어하여 차이가 적어지는 만큼 같은 조건에서 최대 30∼40%의 전력소모량의 차이가 있으며, 특정온도 조건에서는 70%까지도 에너지 절약의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순환하는 공기를 열교환기(5)에 의해 냉각시킬 때 항온항습조(1)의 목표 온도보다 최대 0.1℃ 단위의 조금 낮은 온도로 냉각시켜 다시 항온항습조(1)로 보내기 때문에, 상기 가열히터(3)는 목표 온도와 열교환기(5)를 통해 냉각된 온도 사이의 작은 온도차이만큼을 승온시키도록 계속해서 발열하여 작동함으로써 최소한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항온 항습장치가 대형제품인 경우 항온 항습을 위해서 출입문의 구조를 이중화할 필요가 있는바, 본 발명은 이중도어를 설치하여 항온 항습 기능을 유지한다. 그리고, 한번의 동작에 의해서 이중도어를 모두 개방할 수도 있고, 분리하여 한개의 도어만을 개방할 수도 있다.
즉,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여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출입용 도어(1100)와, 상기 출입용 도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출입용 도어의 형상에 상응하여 사각판 형상으로 제작되며 출입용 도어에 수평하게 설치하여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는 중간 도어(1200)와, 상기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타측은 강제 끼움결합 또는 열림상태가 되도록하는 도어 프레임(1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출입용 도어(1100)는 도어 조작부(1110)와,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와, 마감재 테두리부(1130)와, 걸림쇠 손잡이(1140)와, 동력전달부(1150)와, 걸림용 볼트(1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 조작부(1110)는 도어의 오른쪽 또는 왼쪽 가장자리에 설치하되 인체의 키높이에 설치되며 도어의 모서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는 도어 조작부의 상하좌우를 감싸는 형태이며 세로방향보다 가로방향이 더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재 테두리부(1130)는 도어 조작부 마감재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도어 조작부 마감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쇠 손잡이(1140)는 도어 조작부 마감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로터리 형태의 손잡이와 결합용 축으로 이루어지되 도어 조작부 마감재를 결합용 축이 삽입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 사이를 록킹상태 또는 언록킹 상태가 되도록 결정한다.
상기 동력전달부(1150)는 걸림쇠 손잡이의 일측에 연결되며 걸림쇠 손잡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상응하여 회전하면서 걸림쇠 손잡이의 동력을 외부로 전달시킨다.
상기 걸림용 볼트(1160)는 동력전달부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동시에 도어 조작부 마감재에 수직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며, 걸림쇠 손잡이를 움직여서 동력전달부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상하로 승하강 되면서 중간 도어와 연결되거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중간 도어(1200)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과, 좌우 이동용 사각판(1220)과, 사각판 테두리부(1230)와, 좌우 유동용 상하 돌기구(1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은 중간 도어의 일측의 상부와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설치하되 출입용 도어의 도어 조작부 및 도어 조작부 마감재가 위치하는 지점에 설치하며 각각의 내측에 C자형 채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도어 조작부 및 도어 조작부 마감재를 결합시키거나 해제시켜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가 결합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좌우 이동용 사각판(1220)은 좌우 이동용 가이드홈에 삽입되거나 해제되어 중간 도어만을 별도로 사용할시에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을 따라 유동되어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의 공간부를 폐쇄하고,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가 동시에 개폐될 때에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홈 사이의 공간부를 오픈시켜 도어 조작부의 동작시 자연스럽게 공간부의 오픈상태가 지속되도록 한다.
상기 사각판 테두리부(1230)는 좌우 이동용 사각판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좌우 이동용 사각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우 유동용 상하 돌기구(1240)는 좌우 이동용 사각판의 상하부에 설치되며 좌우 이동용 사각판이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을 따라 자연스럽게 전후진하도록 보조하며 좌우 이동용 가이드홈을 좌우로 왕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입용 도어(1100)와 중간 도어(1200)가 동시에 움직이는 경우를 살펴보면, 먼저, 출입용 도어(1100)와 중간 도어(1200)는 상호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바, 출입용 도어(1100)의 도어 조작부 마감재(1110)에 장착된 걸림용 볼트(1160)가 중간 도어(1200)의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에 삽입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출입용 도어(1100)에 장착된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와 중간 도어(1200)에 장착된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이 상호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출입용 도어(1100)가 열릴때 중간 도어(1200)가 출입용 도어(1100)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열리게 되고, 출입용 도어(1100)가 닫힐때 중간 도어(1200)가 출입용 도어(1100)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출입용 도어(1100)의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을 따라 슬라이딩 유동하게 되는바, 구체적으로는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의 상하단에 설치된 걸림용 볼트(1160)가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을 따라 우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출입용 도어(1100)의 닫히는 동작을 살펴보면 출입용 도어(1100)를 닫게 되면 경첩이 작동하여 도어 프레임(1300)을 중심으로 출입용 도어(1100)가 일정각도 닫히게되고, 중간 도어(1200)가 동시에 경첩을 중심으로 유동하여 출입용 도어(1100)의 닫힘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닫히게 된다.
이때, 출입용 도어(1100)의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을 따라 슬라이딩 유동하게 되는바, 구체적으로는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의 상하단에 설치된 걸림용 볼트(1160)가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을 따라 좌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출입용 도어(1100)와 중간 도어(1200)는 연결상태를 지속시키게 되므로 출입용 도어(1100)의 도어 조작부(1110)를 열고 닫는 행위만으로 중간 도어(1200)가 열리거나 닫히게 되어 동작이 보다 편리하다.
즉, 출입용 도어(1100)의 도어 조작부(1110)를 열면 자동으로 중간 도어(1200)가 열리고, 출입용 도어(1100)의 도어 조작부(1110)를 닫으면 자동으로 중간 도어(1200)가 닫히게 되어 보다 편리하게 중간 도어(1200)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온도보존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중간 도어(1200)를 이용하는 경우 출입용 도어(1l00)의 도어 조작부(1110)만을 조작하면 되므로 사용상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출입용 도어(1100)와 중간 도어(1200)를 별도로 움직이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출입용 도어(1100)와 중간 도어(1200)를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출입용 도어(1100)의 도어 조작부(1110)에 장착된 걸림쇠 손잡이(114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걸림쇠 손잡이(1140)에 연결된 동력전달부(1150)가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동력전달부(1150)에 연결된 걸림용 볼트(1160)가 작동하게 되어 중간 도어(1200)에 설치된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으로부터 출입용 도어(1100)가 분리된다.
즉, 걸림쇠 손잡이(1140)를 작동시키면 걸림용 볼트(1160)가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의 중심축으로 위치이동되면서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때 출입용 도어(1100)를 움직이게 되면 출입용 도어(1100)와 중간 도어(1200)가 완전히 분리되게 된다.
이후, 상기 중간 도어(1200)의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 중앙은 공간부(1211)가 형성된 상태이므로 폐쇄하기 위해 좌우 이동용 사각판(1220)을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좌우 이동용 사각판(1220)의 상하에 설치된 좌우 유동용 상하 돌기구(1240)가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을 따라 이동하므로 보다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좌우 이동용 사각판(1220)의 움직임이 마무리되면 중간 도어(1200)의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에 존재하는 공간부(1211)를 완전하게 메꾸게 되며, 이에 따라 중간 도어(1200)를 투명창으로 사용할 경우 중간 도어(1200) 전체가 완전하게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마이컴의 도어감지포트를 1개로 구성하므로 도어감지포트가 GND와 쇼트되면 도어감지포트에 항상 로우신호가 입력되어 마이컴에서 출입용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지 못하므로 출입용 도어가 열린 후 작업자가 항온항습장치로 들어갈 경우 출입용 도어를 닫자마자 항온항습장치가 동작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의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제어수단의 도어감지포트를 2개로 구성하여 2포트에 모두 로우신호가 입력되어야만 도어가 닫혔다고 감지하므로 출입용 도어의 개폐를 보다 확실히 감지하여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출입용 도어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출입용 도어 안전장치는, 출입용 도어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는 도어스위치와, 상기 도어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2개 이상의 도어개폐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신호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도어개폐감지신호를 2개 이상의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버너를 구동제어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출입용 도어 안전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열처리조건(가열시간, 가열온도 등)을 입력하도록 다수의 기능버튼을 구비한다.
열처리에 따른 동작버튼 등을 구비하는 조작수단(550)과, 출입용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 감지수단(560)과, 상기 도어개폐 감지수단(560)으로부터 입력되는 도어개폐 감지신호 및 상기 조작수단(550)으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버너(120, 59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570)과, 상기 제어수단(57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불꽃을 점화시키는 버너(591)를 구동제어하는 구동수단(58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개폐 감지수단(560)은 상기 출입용 도어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는 도어스위치(561)와, 상기 도어스위치(561)의 온시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24V)의 전류성분을 제한하는 전류제한저항(R1)(R2)과, 상기 전류제한저항(R1)(R2)에 의해 전류성분이 제한된 직류전압(24V)을 분압저항(R3,R4)(R5,R6)을 통해 인가받아 턴온 턴오프동작하는 트랜지스터(TR1)(TR2)와, 상기 트랜지스터(TR1)(TR2)의 턴온 턴오프동작에 따라 외부에서 인가되는 직류전압(5V)을 상기 제어수단(570)의 입력단자(I1)(I2)에 입력하는 저항(R7)(R8)과, 상기 제어수단(570)에 입력되는 전압신호에 포함된 노이즈성분을 필터링하는 컨덴서(C1)(C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580)은 상기 제어수단(570)의 출력단자(P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분압저항(R11,R12)을 통해 입력받아 턴온 턴오프동작하는 트랜지스터(TR3)와,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턴온동작시에 버너(591)를 구동시키도록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24V)을 도어스위치(561)를 통해 받아서 구동하는 릴레이(RY)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동작설명을 위한 초기조건으로서, 출입용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스위치(561)는 오프되어 있고, 제어수단(570)의 입력단자(I1)(I2) 전위는 하이(HIGH)레벨이며, 버너(591)의 구동을 제어하는 릴레이접점(RYc)은 개방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가 출입용 도어를 열어 가열물을 투입한다음 출입용 도어를 다시 닫으면, 도어스위치(561)가 온된다.
상기 도어스위치(561)가 온되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24V)이 분압저항(R3,R4)(R5,R6)을 통해 트랜지스터(TR1)(TR2)의 베이스단자에 입력되어 상기 트랜지스터(TR1)(TR2)가 턴온동작한다.
상기 트랜지스터(TR1)(TR2)가 턴온동작하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5V)에 의해 전류가 저항(R7)(R8) 및 트랜지스터(TR1)(TR2)를 거쳐 접지단으로 흐르기 때문에 제어수단(570)의 입력단자(I1)(I2) 전위는 하이(HIGH)에서 로우(LOW)레벨로 바뀐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570)에서는 2개의 입력단자(I1)(I2)를 통해 입력되는 로우(LOW)레벨의 전압신호에 따라 출입용 도어가 닫혔음을 감지하므로, 만약 도어감지포트인 입력단자(I1)(I2)중에 하나가 GND와 쇼트되어 도어스위치(561)가 오프임에도 불구하고 입력단자(I1)(I2) 가운데 어느 하나에 항상 로우신호가 입력되어도 다른 하나의 입력단자에는 하이신호가 입력되므로 출입용 도어의 개폐를 보다 확실히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출입용 도어의 닫힘을 감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수단(550)을 조작하여 원하는 열처리조건(가열시간, 가열온도 등)을 입력한다음 동작버튼을 온시키면, 상기 조작수단(550)으로부터 가열시작신호가 제어수단(570)에 입력된다.
동작버튼이 온되면(YES일 경우) 제어수단(570)은 항온항습장치가 작동되도록 출력단자(P1)를 통해 하이(HIGH)레벨의 제어신호를 구동수단(58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570)의 출력단자(P1)로부터 출력되는 하이레벨의 제어신호가 분압저항(R11,R12)을 통해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3)가 턴온동작한다.
상기 트랜지스터(TR3)가 턴온동작하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에 의해 전류가 도어스위치(561)와 릴레이(RY)를 통해 트랜지스터(TR3)를 거쳐 접지단으로 흐르기 때문에 상기 릴레이(RY)가 구동하여 릴레이접점(RYc)이 폐쇄된다.
상기 릴레이접점(RYc)이 폐쇄되면, 교류전원단(590)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압이 릴레이접점(RYc)을 통해 버너(591)에 인가되어 버너(591)를 구동시킨다.
열처리 작동 시간을 경과하면 제어수단(570)은 가열행정을 정지하기 위해 버너(591)를 정지하기 위한 로우(LOW)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단자(P1)를 통해 구동수단(58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570)의 출력단자(P1)로부터 출력되는 로우레벨의 제어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TR3)가 턴오프되어 릴레이(RY)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릴레이접점(RYc)이 초기상태와 같이 개방된다.
상기 릴레이접점(RYc)이 개방되면, 교류전원단(590)으로부터 릴레이접점(RYc)을 통해 버너(591)에 인가되는 교류전압이 차단되어 버너(591)가 정지되므로 가열행정이 정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온항습장치 주변에 열반응에 따른 악취물질이 발생할 수 있는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서 탈취제를 도포하는 장치를 추가 설치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탈취제 분무장치(100A)는 항온항습장치 주변에 설치되는바, 주요한 구성요소는 하우징(10)과, 배터리(20)와, 펌핑 동력 제공수단(30)과,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와,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과, 탈취제 삽입통(60)과, 탈취제 도포수단(70)과, 탈취제 삽입통 토출수단(80)과, 간격제(90)와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 가이드(11)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간부를 갖으며, 각종 장치를 내장하여 이루어진다. 즉, 하우징은 일측이 오픈된 두개의 케이스를 각각 상호 접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가 접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간부에 각종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수단들과 비슷한 구조이다.
상기 배터리(2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배터리는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전력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력을 임시저장하여 전력이 필요로하는 각종 장치에 전기를 공급한다.
상기 펌핑 동력 제공수단(30)은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모터의 회전운동을 승하강 운동으로 변환시켜 상하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링크형 승하강 운동이 가능한 실시예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펌핑동력 제공수단(30)은, 하우징(31)과, 동력 출력용 축(32)과, 가이드홈(33)과, 승하강 유동바(34)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31)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일측 홀(30a)을 통해 모터(35)의 동력축이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 출력용 축(32)은 하우징(31)의 내부에 삽입 결합하되 모터(35)의 동력축의 끝단부에 삽입 결합되며 모터 동력축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회전운동을 한다.
상기 가이드홈(33)은 동력 출력용 축(32)의 몸체에 형성하되 포물선 형태를 몸체를 감싸면서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 유동바(34)는 일측은 가이드홈(33)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의 타측홀(30b)에 관통 설치되며, 동력 출력용 축(32)이 회전되어 가이드홈이 회전시에 가이드홈(33)을 따라 승하강되는 구조이다.
상기 승하강 유동바(34)는 구체적으로 반구형 돌기(34a)와, 제 1 수평 연결바(34b)와, 제 2 수직 연결바(34c)와, 제 3 수평 연결바(34d)와, 제 4 수직 연결바(34e)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구형 돌기(34a)는 가이드홈(33)을 따라 움직이면서 회전운동을 승하강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수평 연결바(34b)는 반구형 돌기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수직 연결바(34c)는 제 1 수평 연결바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제 1 수평 연결바에 90도 직각으로 꺽여서 형성되며 동력 출력용 축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제 3 수평 연결바(34d)는 제 2 수직 연결바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제 2 수직 연결바에 90도 직각으로 꺽여서 형성되며 제 2 동력 출력용 축의 중심영역에 이르기까지 형성된다.
상기 제 4 수직 연결바(34e)는 제 3 수평 연결바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제 3 수평 연결바에 90도 직각으로 꺽여서 형성되며 하우징의 타측홀에 관통 설치되어 반구형 돌기에 의해서 생성된 승하강 동력을 다른 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는 상기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승하강 유동바에 연결되어 승하강 작동을 하며, 내부에 탑재되는 탈취제 삽입통(50)의 탈취제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은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10)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를 탄발지지하여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은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를(40)를 상부방향으로 계속 밀어올리는 탄발작용을 하기 때문에 펌핑 동력 제공수단(30)의 동력 출력용 축의 하강 작동으로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가 하강하고, 펌핑 동력 제공수단(30)의 동력 출력용 축이 상승하면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에 의해서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30)가 상승한다. 따라서,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는 연속적으로 상하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탈취제 삽입통(60)은 실린더 형상이고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의 움직임에 유도하여 상하로 유동하면서 탈취제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전체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우징(10)과, 배터리(20)와, 펌핑 동력 제공수단(30)과,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와, 탈취제 삽입통(50)과,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60)과, 탈취제 도포수단(70)과, 탈취제 삽입통 토출수단(80)과, 간격제(90)로 이루어지는바, 하우징(10)의 내부 가장 상부측에 배터리(20)가 결합되고, 하우징(10)의 중간에 펌핑 동력 제공수단(20)이 결합되며, 하우징(10)의 하단부에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의 외주연에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이 장착되고,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 내부에 탈취제 삽입통(60)이 결합되며, 탈취제 삽입통(60)의 출구측에 탈취제 도포수단(7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의 상단에 탈취제 삽입통 토출수단(80)이 결합되어 탈취제 삽입통(60)과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 사이를 탄발지지하고 있으며, 하우징(10)의 하부 외주연에는 간격제(90)가 설치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전체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에 탈취제 삽입통(60)을 수납하되, 탈취제 삽입통(60)의 외주연에 설치된 돌기부(61)를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의 내주연에 형성한 기억자형 홈(41)에 일치시키고 수직하게 밀어넣은후 회전시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에 설치된 탈취제 삽입통 토출수단(80)은 탄발 스프링(83)이 압축되면서 약약통 케이스(40)로부터 탈취제 삽입통(60)을 탄발지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탈취제 분무 장치(100A)를 작동시키게 되면 배터리(20)의 전원이 펌핑 동력 제공수단(30)에 인가되면서 펌핑 동력 제공수단(30)이 작동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를 하강시키고, 이에 따라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의 내부에 삽입된 탈취제 삽입통(60)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탈취제 삽입통(60)에 담긴 탈취제를 탈취제 도포수단(70)을 통해 외부로 출력시킨다.
그리고,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의 외주연에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이 장착되어 있는바,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가 하강한 후에 펌핑 동력 제공수단(30)의 작동에 의해서 동력 출력용 축이 상승할때 상기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의 작동에 의해서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가 원래 위치로 되돌아간다.
상기와 같이 펌핑 동력 제공수단(30)과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의 반복된 승하강 작동에 의해서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는 빠른 속도로 승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의 내부에 장착된 탈취제 삽입통(60)의 빠르게 승하강하면서 탈취제 삽입통(60) 내부에 담긴 탈취제를 외부로 도포하게 되는 것이다.
1 : 항온항습조 2 : 송풍팬
3 : 가열히터 4 : 가습히터
5 : 열교환기 5a : 열교환센서
6 : 제어부 7 : 냉동기
8 : 전자팽창밸브 9 : 항온항습센서
10 : 케이스 A : 절대가습구간
3 : 가열히터 4 : 가습히터
5 : 열교환기 5a : 열교환센서
6 : 제어부 7 : 냉동기
8 : 전자팽창밸브 9 : 항온항습센서
10 : 케이스 A : 절대가습구간
Claims (5)
- 목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는 항온항습조와;
상기 항온항습조의 배면에 부착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항온항습조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는 항온항습센서와;
상기 항온항습조의 배후에 설치되어 가열한 공기를 상기 송풍팬을 통해 항온항습조 내부로 공급하되, 상기 항온항습센서의 센싱에 따라 작동이 조절되어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 가열히터와;
상기 항온항습조 배후의 가열히터 아래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여 만든 수증기를 상기 송풍팬을 통해 항온항습조 내부로 공급하되, 상기 항온항습센서의 센싱에 따라 작동이 조절되어 목표 습도를 유지하도록 한 가습히터와;
상기 항온항습조 아래의 가습히터가 작동하는 위치에서 떨어진 곳에 배치되고, 항온항습조로부터 목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공기가 순환하여 공급되면 냉매를 통해 온도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출구에 설치되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온도를 센싱하는 열교환센서와;
상기 열교환기에 냉매를 압축하여 전자팽창밸브를 통해 공급하는 냉동기와;
상기 항온항습센서에 의한 가열히터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열교환센서에 의해 센싱한 온도에 의해 목표 온도와 근접하게 냉각되도록 전자팽창밸브를 통해 열교환기에 공급하는 냉매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하면서 가열히터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항온 항습조의 출입문에 설치하되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여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메인 도어(1100)와;
상기 메인 도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메인도어의 형상에 상응하여 사각패널 형상으로 제작되며 메인도어에 수평하게 설치하여 장치의 내부 및 외부를 구분하는 보조도어(1200)와;
상기 메인도어와 보조도어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타측은 강제 끼움결합 또는 열림상태가 되도록하는 문틀(130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메인 도어(1100)는,
도어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하되 인체의 키높이에 설치되며 도어의 모서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도어 조작부(1110)와;
상기 도어 조작부의 상하좌우를 감싸는 형태이며 세로방향보다 가로방향이 더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조작부 마감재(1120)와;
상기 도어 조작부 마감재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도어 조작부 마감재를 보호하는 마감재 테두리부(1130)와;
상기 도어 조작부 마감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로터리 형태의 손잡이와 결합용 축으로 이루어지되 도어 조작부 마감재를 결합용 축이 삽입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 사이를 록킹상태 또는 언록킹 상태가 되도록 결정하는 걸림쇠 손잡이(1140)와;
상기 걸림쇠 손잡이의 일측에 연결되며 걸림쇠 손잡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상응하여 회전하면서 걸림쇠 손잡이의 동력을 외부로 전달시키는동력전달부(1150)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동시에 도어 조작부 마감재에 수직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며, 걸림쇠 손잡이를 움직여서 동력전달부가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상하로 승하강 되면서 중간 도어와 연결되거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용 볼트(116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보조 도어(1200)는,
상기 출입용 도어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설치하되 출입용 도어의 도어 조작부 및 도어 조작부 마감재가 위치하는 지점에 설치하며 각각의 내측에 C자형 채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도어 조작부 및 도어 조작부 마감재를 결합시키거나 해제시켜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가 결합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1210)과;
상기 좌우 이동용 가이드홈에 삽입되거나 해제되어 중간 도어만을 별도로 사용할시에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을 따라 유동되어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의 공간부를 폐쇄하고, 출입용 도어와 중간 도어가 동시에 개폐될 때에는 좌우 이동용 가이드홈 사이의 공간부를 오픈시켜 도어 조작부의 동작시 자연스럽게 공간부의 오픈상태가 지속되도록 하는 좌우 이동용 사각판(1220)과;
상기 좌우 이동용 사각판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부재로서 좌우 이동용 사각판을 보호하는 사각판 테두리부(1230)과;
상기 좌우 이동용 사각판의 상하부에 설치되며 좌우 이동용 사각판이 좌우 이동용 가이드 홈을 따라 자연스럽게 전후진하도록 보조하며 좌우 이동용 가이드홈을 좌우로 왕복하는 좌우 유동용 상하 돌기구(124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메인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항온항습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도어 안전장치 겸용 항온항습장치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 안전장치 겸용 항온항습장치 구동수단은,
항온항습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버튼 등을 구비하는 조작수단(550)과, 출입용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개폐 감지수단(560)과, 상기 도어개폐 감지수단(560)으로부터 입력되는 도어개폐 감지신호 및 상기 조작수단(550)으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버너(59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570)과, 상기 제어수단(57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서 공기를 가열시키는 버너(591)를 구동제어하는 구동수단(580)으로 구성하고;
상기 도어개폐 감지수단(560)은,
상기 출입용 도어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는 도어스위치(561)와, 상기 도어스위치(561)의 온시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24V)의 전류성분을 제한하는 전류제한저항(R1)(R2)과, 상기 전류제한저항(R1)(R2)에 의해 전류성분이 제한된 직류전압(24V)을 분압저항(R3,R4)(R5,R6)을 통해 인가받아 턴온 턴오프동작하는 트랜지스터(TR1)(TR2)와, 상기 트랜지스터(TR1)(TR2)의 턴온 턴오프동작에 따라 외부에서 인가되는 직류전압(5V)을 상기 제어수단(570)의 입력단자(I1)(I2)에 입력하는 저항(R7)(R8)과, 상기 제어수단(570)에 입력되는 전압신호에 포함된 노이즈성분을 필터링하는 컨덴서(C1)(C2)로 구성하며;
상기 구동수단(580)은,
상기 제어수단(570)의 출력단자(P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분압저항(R11,R12)을 통해 입력받아 턴온 턴오프동작하는 트랜지스터(TR3)와,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턴온동작시에 버너(591)를 구동시키도록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압(24V)을 도어스위치(561)를 통해 받아서 구동하는 릴레이(RY)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항온항습장치의 외부에는 탈취제 도포장치(100A)를 더 설치하되,
상기 탈취제 도포장치(100A)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를 충전후 장치에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20)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단에 설치되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모터의 회전운동을 승하강 운동으로 변환시켜 상하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펌핑 동력 제공수단(3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단에 설치되며, 펌핑 동력 제공수단의 동력 출력용 축에 연결되어 승하강 작동을 하며, 내부에 탑재되는 탈취제 삽입통의 탈취제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와;
상기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의 외주연에 설치하되 일측이 하우징 내측의 걸림턱에 고정되고 타측이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의 걸림턱에 고정되어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를 탄발지지하여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가 승하강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 지지용 탄발 스프링(50)과;
상기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내부에 탈취제를 저장시키고, 탈취제 삽입통 케이스(40)의 움직임에 유도하여 상하로 유동하면서 탈취제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탈취제 삽입통(60)과;
상기 탈취제 삽입통의 하부에 나사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에 의해서 결합되어 탈취제 삽입통 내부에 존재하는 탈취제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탈취제 도포수단(7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펌핑 동력 제공수단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일측 홀(30a)을 통해 모터(35)의 동력축이 관통되는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의 내부에 삽입 결합하되 모터(35)의 동력축의 끝단부에 삽입 결합되며 모터 동력축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동력 출력용 축(32)과;
상기 동력 출력용 축(32)의 몸체에 형성하되 포물선 형태를 몸체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가이드홈(33)과;
일측은 가이드홈(33)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의 타측홀(30b)에 관통 설치되며, 동력 출력용 축(32)이 회전되어 가이드홈이 회전시에 가이드홈(33)을 따라 승하강되는 승하강 유동바(34)와;
상기 동력 출력용 축과 승하강 유동바 사이를 분리하고, 동력 출력용 축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동력 출력용 축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격용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승하강 유동바(34)는,
가이드홈(33)을 따라 움직이면서 회전운동을 승하강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반구형 돌기(34a)와;
상기 반구형 돌기에 일체형으로 수평하게 연결되는 제 1 수평 연결바(34b)와;
상기 제 1 수평 연결바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제 1 수평 연결바에 90도 직각으로 꺽여서 형성되며 동력 출력용 축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 2 수직 연결바(34c)와;
상기 제 2 수직 연결바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제 2 수직 연결바에 90도 직각으로 꺽여서 형성되며 제 2 동력 출력용 축의 중심영역에 이르기까지 형성되는 제 3 수평 연결바(34d)와;
상기 제 3 수평 연결바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제 3 수평 연결바에 90도 직각으로 꺽여서 형성되며 하우징의 타측홀에 관통 설치되어 반구형 돌기에 의해서 생성된 승하강 동력을 다른 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제 4 수직 연결바(34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항온항습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6006A KR102295978B1 (ko) | 2021-03-19 | 2021-03-19 | 절전형 항온항습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6006A KR102295978B1 (ko) | 2021-03-19 | 2021-03-19 | 절전형 항온항습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5978B1 true KR102295978B1 (ko) | 2021-09-01 |
Family
ID=77779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6006A KR102295978B1 (ko) | 2021-03-19 | 2021-03-19 | 절전형 항온항습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597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498193A (zh) * | 2023-10-30 | 2024-02-02 | 湖北华亿电气集团有限公司 | 一种高压成套开关柜安全防护装置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7540A (ko) * | 2000-07-15 | 2002-01-29 | 윤종용 | 의류건조기의 도어안전장치 |
KR100799480B1 (ko) | 2002-12-02 | 2008-01-31 | 조희남 | 수도관 보수를 위한 차수 장치 및 방법 |
KR101210798B1 (ko) * | 2012-06-19 | 2012-12-11 | 임진섭 | 절전형 항온항습기 |
KR20180120944A (ko) * | 2017-04-28 | 2018-11-07 | 한국원자력연구원 | 회전식 왕복 펌프 |
KR20200125230A (ko) * | 2019-04-26 | 2020-11-04 | 주식회사 모스티브 | 약물 펌핑수단을 갖는 피부 관리장치 |
KR20200131703A (ko) * | 2019-05-14 | 2020-11-24 | 박진오 | 결로방지 및 방충망 기능을 갖는 이중 도어 장치 |
-
2021
- 2021-03-19 KR KR1020210036006A patent/KR1022959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7540A (ko) * | 2000-07-15 | 2002-01-29 | 윤종용 | 의류건조기의 도어안전장치 |
KR100799480B1 (ko) | 2002-12-02 | 2008-01-31 | 조희남 | 수도관 보수를 위한 차수 장치 및 방법 |
KR101210798B1 (ko) * | 2012-06-19 | 2012-12-11 | 임진섭 | 절전형 항온항습기 |
KR20180120944A (ko) * | 2017-04-28 | 2018-11-07 | 한국원자력연구원 | 회전식 왕복 펌프 |
KR20200125230A (ko) * | 2019-04-26 | 2020-11-04 | 주식회사 모스티브 | 약물 펌핑수단을 갖는 피부 관리장치 |
KR20200131703A (ko) * | 2019-05-14 | 2020-11-24 | 박진오 | 결로방지 및 방충망 기능을 갖는 이중 도어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498193A (zh) * | 2023-10-30 | 2024-02-02 | 湖北华亿电气集团有限公司 | 一种高压成套开关柜安全防护装置 |
CN117498193B (zh) * | 2023-10-30 | 2024-05-10 | 湖北华亿电气集团有限公司 | 一种高压成套开关柜安全防护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95978B1 (ko) | 절전형 항온항습장치 | |
AU2022200857B2 (en) | Refrigerator | |
KR101309917B1 (ko) | 전기온풍기 | |
KR102040916B1 (ko) | 근적외선 방출 램프 냉각 및 순환 시스템 | |
KR20160114810A (ko) |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냉온 매트 | |
KR102285612B1 (ko) | 저온저장고의 저온 고습도 유지장치 | |
KR100187226B1 (ko) |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
CN201766945U (zh) | 空气能节能孵化机 | |
US20070028634A1 (en) | Apparatus for combining air conditioner and pool heater | |
CN110553477A (zh) | 一种干燥箱及热流循环控制方法 | |
KR20090015446A (ko) | 냉/난방 겸용의 공조시스템을 갖는 통신함체 | |
KR100803108B1 (ko) | 소용량 히터의 사용을 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 |
CN211477940U (zh) | 冷热冲击试验设备 | |
KR102300238B1 (ko) | 절전형 항온항습장치 | |
ITMI20000784A1 (it) | Impianto per il mantenimento a bassa temperatura di un ambiente isotermico | |
KR102441176B1 (ko) |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열처리로 장치 | |
KR20150095045A (ko) | 전력저장시스템 항온항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145592A (ko) | 항온 항습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 |
KR101435176B1 (ko) | 냉난방 시스템 | |
CN208425080U (zh) | 一种智能恒温恒湿箱 | |
KR20170132377A (ko) | 로봇 공조장치 | |
JPH05141687A (ja) | 空気調和装置 | |
KR102378084B1 (ko) | 전기 보일러 | |
EP3845846B1 (en) | Entrance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210399222U (zh) | 厨房空调一体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