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226B1 -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226B1
KR100187226B1 KR1019950049388A KR19950049388A KR100187226B1 KR 100187226 B1 KR100187226 B1 KR 100187226B1 KR 1019950049388 A KR1019950049388 A KR 1019950049388A KR 19950049388 A KR19950049388 A KR 19950049388A KR 100187226 B1 KR100187226 B1 KR 100187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oltage
control means
contro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9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361A (ko
Inventor
정의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49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7226B1/ko
Priority to JP8330746A priority patent/JP2895813B2/ja
Priority to US08/764,268 priority patent/US5823002A/en
Priority to MYPI96005223A priority patent/MY132544A/en
Priority to CN96123995A priority patent/CN1097704C/zh
Publication of KR970047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2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토출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도어 위치 감지 수단에 구동 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제품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유지 비용을 작게 할 수 있고, 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 회로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제어 회로 블록도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의 상세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의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토출구 12 : 도어
20 : 도어 개방 센서 22 : 도어 폐쇄 센서
24 : 도어 위치 감지 수단 30 : 제어 수단
32 : 전원 공급 수단 34 : 키 입력 수단
38 : 도어 모터 구동 수단 40 : 전압 절환 수단
52,53 : 접속점 D1,D2 : 다이오드
TR1,TR2 :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출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도어 위치 감지 수단에 구동 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실내기 내로 흡입하는 흡입구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로 이루어져 있었다. 상기 토출구에는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실내 공기가 실내기 내로 흡입되면, 실내기 내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다. 다음에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실내 공기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실내기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도어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토출구를 폐쇄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공기 조화기는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을 감지하는 도어 개방 센서와, 상기 도어가 폐쇄된 것을 감지하는 도어 폐쇄 센서에 항상 구동 전압이 공급됨으로써, 제품의 소비 전력이 크고, 상기 도어 개방 센서와 도어 폐쇄 센서의 수명이 짧았으며, 상기 실내기의 정상 운전 및 운전 대기 중에 빛의 굴절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도어 개방 센서와 상기 도어 폐쇄 센서가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유지 비용을 작게 할 수 있고, 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에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키 입력 수단과,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받아서 상기 제어 수단에 직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를 받아서 상기 도어를 개폐하도록 도어 모터를 구동하는 도어 모터 구동 수단과, 상기 도어를 구동하도록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도어 위치 감지 수단과, 상기 도어가 구동될 경우 상기 전원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도어 위치 감지 수단에 구동 전압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수단의 출력 단자를 상기 도어 위치 감지 수단에 연결하고 상기 도어가 구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도어 위치 감지 수단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 공급 수단의 출력 단자를 상기 도어 위치 감지 수단과 차단하는 전압 절환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토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이동시킬 경우에, 상기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도어 위치 감지 수단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고, 토출구의 도어를 정지시킬 경우에, 상기 도어 위치 감지 수단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의 중앙에는 실내 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4)의 하측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구(6)를 통해 실내기(2)내로 흡입한 다음 상기 열교환기(4)에서 열교환하도록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내 팬(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내기(2)의 상측에는 상기 실내기(2) 내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4)의 상측에는 실내기(2)의 토출구(10)를 개폐하는 도어(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12)의 내면에는 도어 모터(14)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12)를 이동시키도록 랙(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랙(16)은 도어 모터(14)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12)를 이동시키도록 피니언(18)을 통해 상기 도어 모터(14)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10)의 하측의 실내기(2)에는 상기 도어(12)의 개방을 감지하는 도어 개방 센서(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구(10) 상측의 실내기(2)에는 상기 도어(12)의 폐쇄를 감지하는 도어 폐쇄 센서(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 개방 센서(20)와 상기 도어 폐쇄 센서(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도어(12)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도어(12)의 위치를 감지하는 후술하는 도어 위치 감지 수단(24)을 구성한다.
상기 토출구(10)의 내측에는 상기 토출구(10)에서 토출되는 실내 공기의 토출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수평 루버(26)와, 상기 토출구(10)에서 토출되는 실내 공기의 토출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수직 루버(28)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수단(30)은 공기 조화기의 공기 조화 동작 및 도어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이다.
전원 공급 수단(32)은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받아서 상기 제어 수단(30)에 직류 전압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도어 모터(14)에 직류의 구동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도어 개방 센서(20)와 상기 도어 폐쇄 센서(22)에 직류의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변압, 정류 및 전압 조정 회로이다.
키 입력 수단(34)은 상기 제어 수단(30)에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도록 상기 제어 수단(30)에 접속되어 있다.
실내 온도 감지 수단(36)은 실내 공기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 수단(30)에 실내 공기를 출력하는 서미스터이다.
상기 도어 위치 감지 수단(24)은 도어(12)의 위치를 감지하여 도어(12)의 위치를 상기 제어 수단(30)에 입력하도록 상기 제어 수단(30)에 접속되어 있다.
도어 모터 구동 수단(38)은 상기 제어 수단(30)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 모터(14)를 구동/정지시키도록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으로부터 상기 도어 모터(14)에 전압을 공급/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도어 모터(14)를 상승/하강시키도록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으로부터 상기 도어 모터(14)에 인가되는 전압의 방향을 제어하는 스위칭 회로이다.
전압 절환 수단(40)은 상기 제어 수단(30)으로부터 상기 도어 모터 구동 수단(38)으로 도어 구동 명령의 제어 신호가 출력될 경우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으로부터 상기 도어 위치 감지 수단(24)에 구동 전압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의 출력 단자를 상기 도어 위치 감지 수단에 연결하고 상기 제어 수단(30)으로부터 상기 도어 모터 구동 수단(38)으로 도어 구동 정지 명령의 제어 신호가 출력될 경우 상기 도어 위치 감지 수단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의 출력단자를 상기 도어 위치 감지 수단(24)과 차단하는 스위칭 회로이다.
압축기 구동 수단(42)은 상기 제어 수단(30)으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압축기(44)에 교류 전압을 공급/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외부의 교류 전압으로부터 상기 압축기(44)에 인가되는 전압의 위상을 제어하는 스위칭 및 위상 제어 회로이다.
팬 모터 구동 수단(46)은 상기 제어 수단(30)으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실내 팬(8)을 회전시키도록,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팬 모터(48)에 교류 전압을 공급/차단하는 스위칭 회로이다.
표시 수단(50)은 상기 제어 수단(30)으로부터 표시 신호를 받아서 상기 압축기(44) 및 팬 모터(48)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액정 표시 패널과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모터 구동 수단(38)은 상기 제어 수단(30)의 출력단자(O1)로부터 출력된 도어 개방 명령의 제어 신호를 받아서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상기 도어 모터(14)에 정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제1릴레이(RY1)와, 상기 제어 수단(30)의 출력단자(O2)로부터 출력된 도어 폐쇄 명령의 제어 신호를 받아서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상기 도어 모터(14)에 역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제2릴레이(RY2)와, 상기 제1릴레이(RY1)와 상기 제2릴레이(RY2)가 동시에 동작할 경우 회로의 안전을 위해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으로부터 상기 도어 모터(14)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3릴레이(RY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압 절환 수단(40)은 상기 제어 수단(30)으로부터 상기 도어 모터 구동 수단(38)에 구동신호가 출력될 경우에 턴온되고 상기 제어 수단(30)으로부터 상기 도어 모터 구동 수단(38)에 구동 정지 신호가 출력될 경우에 턴오프되도록 상기 제어 수단(30)과 상기 도어 모터 구동 수단(38)의 접속점(NODE, 52,53)에 접속된 다이오드(D1,D2)와, 상기 다이오드(D1,D2)가 턴온/턴오프될 경우에 순차적으로 턴온/턴오프되어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상기 도어 위치 감지 수단에 공급/차단하는 트랜지스터(TR1,TR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도어 개방 센서(20)는 상기 도어(12)가 개방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 수단(30)의 입력단자(I1)에 도어 개방의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커플러이다.
상기 도어 폐쇄 센서(22)는 상기 도어(12)가 폐쇄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 수단(30)의 입력단자(I2)에 도어 폐쇄의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커플러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제4도에 있어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먼저, 동작 설명을 위한 초기 조건으로서, 상기 제1릴레이(RY1)의 고정 접점(RY1a)과 고정 접점(RY1b), 고정 접점(RY1c)과 고정 접점(RY1d), 고정 접점(RY1e)과 고정 접점(RY1f)은 서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다. 상기 제2릴레이(RY2)의 고정 접점(RY2a)과 고정 접점(RY2b), 고정 접점(RY2c)과 고정 접점(RY2d), 고정 접점(RY2e)과 고정 접점(RY2f)은 서로 접속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제3릴레이(RY3)의 고정 접점(RY3a)과 고정 접점(RY3f)은 서로 접속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상기 도어(12)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스텝S1에서 사용자가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면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과 상기 압축기 구동 수단(42) 및 상기 팬 모터 구동 수단(46)에 220V의 교류 전압이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의 출력단자(VDD)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30)과 초기화 회로(54), 상기 키 입력 수단(34), 상기 실내 온도 감지 수단(36) 및 상기 표시 수단(50)에 5V의 직류 전압이 공급된다. 동시에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의 출력단자(VDD)로부터 상기 전압 절환 수단(40)의 트랜지스터(TR2)의 컬렉터와 저항(R2)의 한쪽 끝부분에 각각 5V의 직류 전압이 출력된다. 동시에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의 출력단자(VCC)로부터 상기 도어 모터 구동 수단(38)에 12V의 직류 전압이 출력된다.
다음에 스텝S2에서 초기화 회로(54)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30)으로 하이레벨의 초기화 명령이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 수단(30)은 실내 공기를 조화시키는 공기 조화 동작과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을 위하여 상기 제어 수단(30)의 메모리에 지정되어 있는 변수들을 초기화시킨다.
다음에 스텝S3에서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키 입력 수단(34)으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30)에 운전 조건과 운전 개시 명령으로 이루어진 조작 명령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키 입력 수단(34)으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30)에 운전 조건과 운전 개시 명령으로 이루어진 조작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스텝S4로 진행한다.
스텝S4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30)의 출력단자(O1)로부터 상기 도어 모터 구동 수단(38)의 나트 게이트(NOT1)에 하이레벨의 제어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30)의 출력단자(O1)로부터 저항(R1)을 통해서 상기 전압 절환 수단(40)의 다이오드(D1)에 하이레벨의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30)의 출력단자(O2)으로부터 상기 도어 모터 구동 수단(38)의 나트 게이트(NOT2)에 로우레벨의 제어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30)의 출력단자(O2)로부터 저항(R2)을 개재해서 상기 전압 절환 수단(40)의 다이오드(D2)에 로우레벨의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나트 게이트(NOT1)로부터 상기 제1릴레이(RY1)에 로우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1릴레이(RY1)에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으로부터 출력된 12V의 직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제1릴레이(RY1)의 고정 접점(RY1a)과 고정 접점(RY1b), 고정 접점(RY1c)과 고정 접점(RY1d), 고정 접점(RY1e)과 고정 접점(RY1f)이 서로 접속된다. 동시에 상기 나트 게이트(NOT2)로부터 상기 제2릴레이(RY2)에 직류 12V의 하이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2릴레이(RY2)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상기 제2릴레이(RY2)의 고정 접점(RY2a)과 고정 접점(RY2b), 고정 접점(RY2c)과 고정 접점(RY2d), 고정 접점(RY2e)과 고정 접점(RY2f)이 서로 접속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의 출력단자(VCC,-)으로부터 제3릴레이(RY3)의 고정 접점(RY3a,RY3b)과 상기 제1릴레이(RY1)의 고정 접점(RY1a,RY1b,RY1c,RY1d)을 개재해서 상기 도어 모터(14)의 입력단자(14a,14b)에 12V의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도어 모터(1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피니언(18)이 정방향(제1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어서 상기 랙(16)이 상기 피니언(18)에 의해 하강함으로써 도어(12)가 하강한다.
동시에 스텝S5에서는 상기 다이오드(D1)로부터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로우레벨의 전위가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되면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의 전류가 로우레벨이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TR2)가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2)가 턴온되면,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으로부터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와 컬렉터를 개재해서 상기 도어 개방 센서(20)와 도어 폐쇄 센서(22)에 5V의 직류 전압이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도어 개방 센서(20)의 발광 다이오드(D3)가 발광하여 상기 도어 개방 센서(20)의 수광 트랜지스터(TR3)가 턴온된다. 상기 수광 트랜지스터(TR3)가 턴온하면, 상기 제어 수단(30)의 입력단자(I1)에 로우레벨의 위치 신호가 출력된다.
동시에 상기 도어 폐쇄 센서(22)의 발광 다이오드(D4)가 발광하여 상기 도어 폐쇄 센서(22)의 수광 트랜지스터(TR4)가 턴온된다. 상기 수광 트랜지스터(TR4)가 턴온하면, 상기 제어 수단(30)의 입력단자(I2)에 로우레벨의 위치 신호가 출력된다.
다음에 스텝S6에서 상기 제어 수단(30)은 도어가 개방되었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도어 개방 센서(20)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30)의 입력단자(I1)에 하이레벨의 위치 신호가 입력되어서 상기 도어(12)가 개방되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스텝S7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텝S7에서 상기 제어 수단(30)의 출력단자(O1)로부터 상기 도어 모터 구동 수단(38)의 나트 게이트(NOT1)에 로우레벨의 제어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30)의 출력단자(O1)로부터 저항(R1)을 통해서 상기 전압 절환 수단(40)의 다이오드(D1)에 로우레벨의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30)의 출력단자(O2)로부터 상기 도어 모터 구동 수단(38)의 나트 게이트(NOT2)에 로우레벨의 제어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30)의 출력단자(O2)로부터 저항(R2)을 개재해서 상기 전압 절환 수단(40)의 다이오드(D2)에 로우레벨의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나트 게이트(NOT1)로부터 상기 제1릴레이(RY1)에 직류 12V의 하이레벨의 전압이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제1릴레이(RY1)의 양단에 전위차가 형성되지 않아 상기 제1릴레이(RY1)에 전류가 흐르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1릴레이(RY1)의 고정 접점(RY1a)과 고정 접점(RY1b)이 분리되고, 제1릴레이(RY1)의 고정 접점(RY1c)과 고정 접점(RY1d)이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제1릴레이(RY1)의 고정 접점(RY1e)과 고정 접점(RY1f)이 분리된다. 그러면 상기 도어 모터(14)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상기 도어 모터(14)의 회전이 정지한다. 그러면 상기 피니언(18)과 랙(16)이 정지함으로써 상기 도어(12)가 정지한다.
다음에 스텝S8에서 상기 다이오드(D1)와 상기 다이오드(D4)로부터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직류 5V의 하이레벨의 전위가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트랜지스터(TR1)가 턴오프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1)가 턴오프되면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의 전위가 하이레벨이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TR2)가 턴오프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2)가 턴오프되면,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으로부터 상기 도어 개방 센서(20)와 도어 폐쇄 센서(22)에 5V의 직류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다음에 스텝S9에서 상기 제어 수단(30)으로부터 상기 팬 모터 구동 수단(46)으로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팬 모터 구동 수단(46)으로부터 상기 팬 모터(48)에 220V의 교류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팬 모터(48)가 회전하여 실내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4)에서 열교환하도록 순환시킨다.
다음에 스텝S10에서 상기 제어 수단(30)은 현재의 실내기(2) 주위 환경의 조건이 압축기의 구동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예를 들면, 상기 실내 온도 감지 수단(36)으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30)에 입력된 실내의 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어 수단(30)에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보다 높아서 현재의 실내기(2) 주위 환경의 조건이 압축기(44)의 구동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스텝S11로 진행한다.
스텝S11에서 상기 제어 수단(30)으로부터 상기 압축기 구동 수단(42)으로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압축기 구동 수단(42)으로부터 상기 압축기(44)에 220V의 교류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압축기(44)가 동작하여 냉매를 압축한다.
다음에 스텝S12에서 제어 수단(30)은 실내 공기를 상기 제어 수단(30)에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와 비교하면서 상기 압축기(44)와 상기 실내 팬(8)을 정상적으로 구동한다. 그러면 실내는 예를 들면, 냉방된다.
이어서 스텝S13에서 상기 제어 수단(30)은 상기 키 입력 수단(34)으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30)에 운전 정지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키 입력 수단(34)으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30)에 운전 정지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스텝S14로 진행한다.
스텝S14에서 상기 제어 수단(30)으로부터 상기 압축기 구동 수단(42)에 구동 정지의 제어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30)으로부터 상기 팬 모터 구동 수단(46)에 구동 정지의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압축기 구동 수단(42)으로부터 상기 압축기(44)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압축기(44)의 동작이 정지된다. 동시에 상기 팬 모터 구동 수단(46)으로부터 상기 팬 모터(48)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상기 팬 모터(48)의 회전이 정지한다. 상기 팬 모터(48)의 회전이 정지하면 실내 팬(8)이 정지한다.
다음에 스텝S15에서 상기 제어 수단(30)의 출력단자(O2)로부터 상기 도어 모터 구동 수단(38)의 나트 게이트(NOT2)에 하이레벨의 제어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30)의 출력단자(O2)로부터 저항(R2)을 통해서 상기 전압 절환 수단(40)의 다이오드(D2)에 하이레벨의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30)의 출력단자(O1)로부터 상기 도어 모터 구동 수단(38)의 나트 게이트(NOT1)에 로우레벨의 제어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30)의 출력단자(O1)로부터 저항(R1)을 개재해서 상기 전압 절환 수단(40)의 다이오드(D1)에 로우레벨의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나트 게이트(NOT2)로부터 상기 제2릴레이(RY2)에 로우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2릴레이(RY2)에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으로부터 출력된 12V의 직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제2릴레이(RY2)의 고정 접점(RY2a)과 고정 접점(RY2b), 고정 접점(RY2c)과 고정 접점(RY2d), 고정 접점(RY2e)과 고정 접점(RY2f)이 서로 접속된다. 동시에 상기 나트 게이트(NOT1)로부터 상기 제1릴레이(RY1)에 직류 12V의 하이레벨의 전압이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제1릴레이(RY1)에 전위차가 형성되지 않아 상기 제1릴레이(RY1)에 전류가 흐르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1릴레이(RY1)의 고정 접점(RY1a)과 고정 접점(RY1b), 고정 접점(RY1c)과 고정 접점(RY1d), 고정 접점(RY1e)과 고정 접점(RY1f)이 서로 접속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의 출력단자(VCC,-)으로부터 제3릴레이(RY3)의 고정 접점(RY3a,RY3b)과 상기 제2릴레이(RY2)의 고정 접점(RY2a,RY2b,RY2c,RY2d)을 개재해서 상기 도어 모터(14)의 입력단자(14b,14a)에 12V의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도어 모터(1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기 피니언(18)이 역방향(제1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어서 상기 랙(16)이 상기 피니언(18)에 의해 상승함으로써 상기 도어(12)가 상승한다.
동시에 스텝S16에서는 상기 다이오드(D2)로부터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로우레벨의 전위가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되면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의 전위가 로우레벨이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TR2)가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2)가 턴온되면,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으로부터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와 컬렉터를 개재해서 상기 도어 개방 센서(20)와 도어 폐쇄 센서(22)5V에 5V의 직류 전압이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도어 개방 센서(20)의 발광 다이오드(D3)가 발광하여 상기 도어 개방 센서(20)의 수광 트랜지스터(TR3)가 턴온된다. 상기 수광 트랜지스터(TR3)가 턴온하면, 상기 제어 수단(30)의 입력단자(I1)에 로우레벨의 위치 신호가 출력된다.
동시에 상기 도어 폐쇄 센서(22)의 발광 다이오드(D4)가 발광하여 상기 도어 폐쇄 센서(22)의 수광 트랜지스터(TR4)가 턴온된다. 상기 수광 트랜지스터(TR4)가 턴온하면, 상기 제어 수단(30)의 입력단자(I2)에 로우레벨의 위치 신호가 출력된다.
스텝S17에서 상기 제어 수단(30)은 도어(12)가 폐쇄되었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도어 폐쇄 센서(22)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30)의 입력단자(I2)에 하이레벨의 위치 신호가 입력되어서 상기 도어(12)가 폐쇄되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스텝S18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텝S18에서 상기 제어 수단(30)의 출력단자(O2)로부터 상기 도어 모터 구동 수단(38)의 나트 게이트(NOT2)에 로우레벨의 제어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30)의 출력단자(O2)로부터 저항(R2)을 통해서 상기 전압 절환 수단(40)의 다이오드(D2)에 로우레벨의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30)의 출력단자(O1)로부터 상기 도어 모터 구동 수단(38)의 나트 게이트(NOT1)에 로우레벨의 제어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30)의 출력단자(O1)로부터 저항(R1)을 개재해서 상기 전압 절환 수단(40)의 다이오드(D1)에 로우레벨의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이어서 상기 나트 게이트(MOT2)로부터 상기 제2릴레이(RY2)에 직류 12V의 하이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2릴레이(RY2)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상기 제2릴레이(RY2)의 고정 접점(RY2a)과 고정 접점(RY2b)이 분리되고, 제2릴레이(RY2)의 고정 접점(RY2c)과 고정 접점(RY2d)이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제2릴레이(RY2)의 고정 접점(RY2e)과 고정 접점(RY2f)이 분리된다. 그러면 상기 도어 모터(14)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상기 도어 모터(14)의 회전이 정지한다. 그러면 상기 피니언(18)과 랙(16)이 정지함으로써 상기 도어(12)가 정지한다.
동시에 스텝S19에서 상기 다이오드(D1)와 상기 다이오드(D2)로부터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직류 5V의 하이레벨의 전위가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트랜지스터(TR1)가 턴오프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1)가 턴오프되면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의 전위가 하이레벨이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TR2)가 턴오프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2)가 턴오프되면,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으로부터 상기 도어 개방 센서(20)와 도어 폐쇄 센서(22)에 5V의 직류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다음에 스텝S20에서 상기 제어 수단(30)은 현재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으로 220V의 교류 전압이 공급되고 있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으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30)에 공급되는 전압의 레벨이 상기 제어 수단(30)에 미리 설정된 레벨보다 작아서 현재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으로 220V의 교류 전압이 공급되고 있지 않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공기 조화 및 도어 개폐에 대한 제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스텝S3에서 상기 키 입력 수단(34)으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30)에 운전 조건과 운전 개시 명령으로 이루어진 조작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스텝S3에서 계속 상기 키 입력 수단(34)으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30)에 운전 조건과 운전 개시 명령으로 이루어진 조작 명령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별한다.
한편, 상기 스텝S6에서 상기 도어 개방 센서(20)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30)의 입력단자(I1)에 로우레벨의 위치 신호가 입력되어서 상기 도어(12)가 개방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4로 진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2)를 하강시킨다.
한편, 상기 스텝S10에서 현재의 실내기(2)의 주위 환경 조건이 압축기(44)의 구동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9로 진행하여 상기 실내 팬(8)을 계속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스텝S13에서 상기 키 입력 수단(34)으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30)에 운전 정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12로 진행하여 실내 온도를 상기 제어 수단(30)에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와 비교하면서 상기 압축기(44)와 상기 실내 팬(8)을 정상적으로 구동한다.
한편, 상기 스텝S17에서 상기 도어 폐쇄 센서(22)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30)의 입력단자(I2)에 로우레벨의 위치 신호가 입력되어서 상기 도어(12)가 폐쇄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 스텝S15로 진행하여 상기 도어(12)를 계속 상승시킨다.
한편, 상기 스텝S20에서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으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30)에 공급되는 전압의 레벨이 상기 제어 수단(30)에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이어서 현재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 수단(32)으로 220V의 교류 전압이 공급되고 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3로 진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키 입력 수단(34)으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30)에 운전 조건과 운전 개시 명령으로 이루어진 조작 명령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토출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도어 위치 감지 수단에 구동 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제품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유지 비용을 작게 할 수 있고, 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도어를 이동시켜서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도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도어 모터 구동 수단과, 상기 도어 모터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상기 도어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이동하는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도어 위치 감지 수단과, 상기 도어 위치 감지 수단에 외부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입력된 교류 전압을 소정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도어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 공급 수단과 도어 위치 감지 수단의 전원 접속을 행하고, 도어가 정지한 경우에는 전원 공급 수단과 도어 위치 감지 수단의 전원 접속을 차단하는 전압 절환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절환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상기 도어 모터 구동 수단으로 도어 모터 구동용 제어 신호가 출력된 경우에는 턴온되고,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상기 도어 모터 구동 수단으로 도어 모터 정지용 제어 신호가 출력된 경우에는 턴오프되도록 상기 제어 수단과 상기 도어 모터 구동 수단 사이에 접속된 복수개의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가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경우에는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전원 공급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상기 도어 위치 감지 수단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복수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공기 조화기를 초기화시키는 단계와, 공기 조화기의 공조 운전 명령에 따라 도어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토출구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도어가 하방으로 이동시 그 이동상태를 감지하도록 도어 위치 감지 수단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와, 토출구가 완전 개방되어 도어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었을 경우 도어 위치 감지 수단에 공급되는 구동 전압을 차단하는 단계, 설정된 공조 운전 조건에 따라 공조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 공조 운전이 종료되면 도어 모터를 구동하여 도어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토출구를 폐쇄하는 단계 및, 토출구가 완전히 폐쇄되어 도어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었을 경우 도어 위치 감지 수단에 공급되는 구동 전압을 차단하고 대기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19950049388A 1995-12-13 1995-12-13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187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388A KR100187226B1 (ko) 1995-12-13 1995-12-13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8330746A JP2895813B2 (ja) 1995-12-13 1996-12-11 空気調和機の吐出口開閉制御装置
US08/764,268 US5823002A (en) 1995-12-13 1996-12-12 Air conditioner and method therefor
MYPI96005223A MY132544A (en) 1995-12-13 1996-12-12 An air conditioner and method therefor
CN96123995A CN1097704C (zh) 1995-12-13 1996-12-13 空调机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388A KR100187226B1 (ko) 1995-12-13 1995-12-13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361A KR970047361A (ko) 1997-07-26
KR100187226B1 true KR100187226B1 (ko) 1999-05-01

Family

ID=19439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9388A KR100187226B1 (ko) 1995-12-13 1995-12-13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23002A (ko)
JP (1) JP2895813B2 (ko)
KR (1) KR100187226B1 (ko)
CN (1) CN1097704C (ko)
MY (1) MY1325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971B1 (ko) * 2001-11-28 2004-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6234A1 (de) * 2000-02-11 2001-08-23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steuern einer elektrischen Betätigungseinheit
ES2275405B1 (es) * 2005-05-10 2008-05-01 Universitat Politecnica De Catalunya Unidad interior de un equipo de aire acondicionado.
CN102252406A (zh) * 2011-07-07 2011-11-23 苏宇贵 电能计量空调系统及空调电能计量方法
CN105704906B (zh) * 2014-11-27 2018-08-07 深南电路有限公司 一种电路板基板层间导通的方法及电路板基板
CN104566717B (zh) * 2014-12-26 2017-10-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除湿器和终端设备
CN111853928B (zh) * 2020-07-20 2021-08-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室内机唤醒室外机的控制方法、装置、室内机和存储介质
KR20220028772A (ko) * 2020-08-31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 장치, 회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CN113775272B (zh) * 2021-09-01 2023-05-09 广州松下空调器有限公司 活动面板防夹手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69820A1 (fr) * 1979-11-14 1981-05-22 Carpano & Pons Dispositif de commande pour moteur electrique a courant continu
EP0079340B1 (en) * 1981-05-19 1987-01-28 Firmadoor Australia Pty. Ltd. Operator for a door
US4882913A (en) * 1988-10-20 1989-11-28 Carrier Corporation Slide plate economizer
US5461875A (en) * 1993-06-24 1995-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outlet opening/closing apparatus of air-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971B1 (ko) * 2001-11-28 2004-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361A (ko) 1997-07-26
MY132544A (en) 2007-10-31
CN1097704C (zh) 2003-01-01
JPH09178253A (ja) 1997-07-11
CN1161434A (zh) 1997-10-08
JP2895813B2 (ja) 1999-05-24
US5823002A (en) 1998-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723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0755230A (ja) 空気調和器の吐出口開閉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0182588B1 (ko) 공기조화기의 개폐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87226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197683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JPH1078255A (ja) 空気調和機の開閉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9980019767A (ko)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16492A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87273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100231025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82546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0182578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25754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100239543B1 (ko) 공기조화기의 풍량조절날개
KR100187247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10018723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0168179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016825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97693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0185025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토출구 개폐제어회로
KR100187235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18722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239540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82579B1 (ko) 공기조화기의 풍량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0182580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