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971B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971B1
KR100423971B1 KR10-2001-0074652A KR20010074652A KR100423971B1 KR 100423971 B1 KR100423971 B1 KR 100423971B1 KR 20010074652 A KR20010074652 A KR 20010074652A KR 100423971 B1 KR100423971 B1 KR 100423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motor
driving
power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3466A (ko
Inventor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4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971B1/ko
Publication of KR20030043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그릴모터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상응하여 그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원부에서 그릴모터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전원주파수감지부와, 상기 전원주파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상응하는 상기 그릴모터의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그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그릴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주파수를 감지한 후 메모리에 저장된 모터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그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므로 흡입그릴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과 같이 흡입그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구비하지 않거나 혹은 센서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서 제조 단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THEROF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그릴모터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그릴모터를 구동함으로써 흡입그릴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개폐 작동되는 흡입그릴(3)이 본체(2)의 전면하부에 설치되고,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토출하기 위해 작동되는 풍향날개(4)가 본체(2)의 전면상부에 마련된다.
그리고 본체(2)의 전면에는 실내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내장물을 보호하는 커버부재(5)가 설치되고, 이 커버부재(5)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 등)와 운전의 시작/정지,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 풍향 등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부(6)가 마련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2)의 입력단에는 전원부(11), 조작부(6) 및 리모콘신호감지부(14)로 이루어진 운전조작수단(13), 실내온도감지부(15), 그릴열림감지부(16)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2)의 출력단에는 압축기구동부(18), 풍향조절부(20), 실외팬모터구동부(22), 실내팬모터구동부(24), 그릴모터구동부(26) 그리고 표시부(28)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부(12)에는 흡입그릴을 닫을 경우 그릴모터의 구동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17)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구동수단 즉 압축기구동부(18), 풍향조절부(20), 실외팬모터구동부(22), 실내팬모터구동부(24) 및 그릴모터구동부(26)는 각각 압축기(19), 풍향조절모터(21), 실외팬모터(23), 실내팬모터(25), 그릴모터(27)를 구동한다. 그리고 표시부(28)는 운전상태와 설정온도 및 실내온도 등을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난방겸용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조작부(6)를 조작하여 운전시작키를 누른 다음 원하는 운전모드(예를 들면, 냉방)와 설정온도를 입력하면, 그릴모터(27)가 정회전으로 작동함에 따라 흡입그릴(3)이 열려지고 실내팬모터(25)의 구동에 따라 본체(2) 내부로 실내공기가 흡입된다. 이때, 그릴열림감지부(16)는 흡입그릴(3)이 열림 위치에 도달여부를 감지하며, 흡입그릴(3)이 최대한 열려진 상태를 열림 위치로 감지하도록 설치된 경우 감지신호를 제어부(12)로 출력한다. 이러한 그릴열림감지부(16)는 흡입그릴(3)과의 접촉여부에 따라 접점이 온/오프되는 리미트스위치로 구현되며, 그릴모터(27)의 작동으로 흡입그릴(3)이 열려지기 시작할 때는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며 이후 열림 위치에 도달하는 흡입그릴(3)과 접촉됨에 따라 감지신호를 제어부(12)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부(12)는 리미트스위치의 감지신호에 따라 흡입그릴(3)이 열림 위치에 도달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조작부(6)를 조작하여 운전정지키를 누른 경우, 상기 제어부(12)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정지하기 위해 구동수단의 동작을 멈추게 한 다음 본체(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열려진 흡입그릴(3)을 닫기 위해 그릴모터(27)를 구동시키며, 이때 그릴모터(27)는 역회전으로 구동함에 따라 흡입그릴(3)이 닫히기 시작한다. 여기서, 제어부(12)는 메모리(17)에 저장된 그릴모터 구동시간을 읽어낸 후 읽어낸 구동시간이 경과하면 그릴모터(27)를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2)는 전원 공급시 공기조화기를 초기화하고(S11), 운전조작수단(12)으로부터 운전시작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2). 운전시작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운전시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그릴모터구동부(26)를 제어하여 그릴모터(27)를 정회전으로 구동시킨다(S13).
이어, 상기 제어부(12)는 그릴열림감지부(16)로부터 그릴열림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S14), 그 판단결과 흡입그릴(3)이 아직 열림 위치에 도달하지 않아 리미트스위치와 접촉되지 않음에 따라 그릴열림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계속하여 그릴모터(27)를 구동하기 위해 단계 S13로 돌아가고, 그 판단결과 흡입그릴(3)이 최대한 열려져 열림 위치에 도달하여 리미트스위치와 접촉됨에 따라 그릴열림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그릴모터(27)를 정지시킨다(S15).
이와 같이 흡입그릴(3)이 열림 위치에 도달하여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모드에 따라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공기조화기를 운전한다(S16).
공기조화기의 운전 도중 상기 제어부(12)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정지하기 위한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7). 그 판단결과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계속하여 공기조화기 운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계 S16으로 돌아가고, 그 판단결과 사용자가 운전정지키를 누름에 따라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그릴모터의 구동종료시간을 읽고(S18), 흡입그릴(3)을 닫기 위해 그릴모터(27)를 역회전으로 구동시키며(S19), 이와 함께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역회전으로 구동되는 그릴모터(27)의 구동시간을 카운트한다(S20).
이어, 상기 제어부(12)는 카운트한 구동시간이 설정된 구동종료시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S21), 그 판단결과 도달하지 않은 경우 계속하여 그릴모터(27)를 역회전으로 구동하기 위해 단계 S20으로 돌아가고, 그 판단결과 도달한 경우 흡입그릴(3)이 닫힘 위치로 이동된 것으로 판단하여 그릴모터(27)를 정지시킨다(S22).
종래 기술에서는 흡입그릴을 닫을 때 메모리에 저장된 모터의 구동시간에 의존하여 그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때문에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영향으로 흡입그릴이 완전히 닫히지 않거나 혹은 완전히 닫힌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하게 그릴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소음이 발생되는 등의 오동작을 유발하였다.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그릴모터가 50Hz의 교류전원을 공급받는 조건에서의 모터 구동시간에 비하여 60Hz의 교류전원을 공급받는 조건에서의 모터 구동시간이 짧게 설정되어야 한다. 이는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그릴모터의 토크가 다르고 이로 인해 모터 회전속도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상응하여 모터 구동시간을 정확하게 설정하여야 흡입그릴이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는 그릴모터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흡입그릴의 오동작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일예로, 50Hz의 교류전원을 공급받는 조건으로 만들어진 공기조화기에 60Hz의 교류전원을 공급하여 흡입그릴의 닫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모터 구동시간은 필요한 구동시간 보다 크기 때문에 흡입그릴이 닫힘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도 불필요하게그릴모터를 구동시킴에 따라 모터동력을 전달하는 부위에서 소음이 발생되고 부품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60Hz의 교류전원을 공급받는 조건으로 만들어진 공기조화기에 50Hz의 교류전원을 공급하여 흡입그릴의 닫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모터 구동시간은 필요한 구동시간 보다 작기 때문에 흡입그릴이 닫힘 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도 그릴모터가 정지됨에 따라 틈새가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이를 감안하여, 흡입그릴을 닫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하고 이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그릴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나, 센서의 개수가 추가됨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협소한 공간에 흡입그릴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설치해야하는 등 설치상 어려움이 따르고 작업공수의 증가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그릴모터 구동시간에 따라 흡입그릴의 위치를 판단하여 그릴모터를 정지시킴으로써 흡입그릴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51 : 전원부 52 : 전원주파수감지부
57 : 그릴열림감지부 58 : 제어부
67 : 그릴모터구동부 68 : 그릴모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본체에 마련된 흡입그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전원주파수감지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교류전원을 공급받는 그릴모터; 상기 흡입그릴을 열거나 닫기 위한 소정 제어신호에따라 상기 그릴모터를 구동시키는 그릴모터구동부; 및 상기 전원주파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상응하는 상기 그릴모터의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그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본체에 마련된 흡입그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시작 혹은 정지하기 위한 운전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입력된 운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흡입그릴을 열거나 닫기 위하여 상기 그릴모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그릴모터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그릴모터의 구동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그릴모터의 구동시간이 감지된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그릴모터의 구동시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된 구동시간이 설정된 구동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그릴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본체에 마련된 흡입그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시작하기 위한 운전시작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전시작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흡입그릴이 열리도록 그릴모터를 정회전으로 구동하는 단계; 상기 그릴모터를 정회전으로 구동하는 도중 상기 흡입그릴이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상기 흡입그릴이 열림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흡입그릴이 열림 위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그릴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흡입그릴이 열림 위치에 도달하여 실내공기의 흡입이 가능한 상태에서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운전하는 도중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정지하기 위한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전정지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흡입그릴이 닫히도록 그릴모터를 역회전으로 구동하는 단계; 상기 그릴모터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상기 그릴모터의 구동시간을 메모리에서 읽는 단계; 상기 그릴모터를 역회전으로 구동하는 도중 구동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구동시간과 미리 설정된 구동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흡입그릴이 닫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흡입그릴이 닫힘 위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그릴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감지하고 감지된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그릴모터의 구동시간을 메모리에서 읽은 후 그릴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흡입그릴이 목표 위치에 도달하지 않거나 목표위치에 흡입 그릴이 도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하게 그릴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흡입그릴의 열림 동작과 닫힘 동작시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터의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그릴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고, 이로써 기존의 흡입그림의 열림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없이도 흡입 그릴의 열림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흡입그릴의 닫힘 동작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흡입그릴의 열림 위치는 기존과 같이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한편, 흡입그릴의 닫힘 위치는 그릴모터의 구동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구동시간이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터 구동시간에 도달하는지를 비교판단하는 방식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에 도시한 실내기(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하며, 이에 대한 각 구성요소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록도로서,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전원주파수감지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도 4를 참고하여, 공기조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8)의 입력단에는 전원부(51), 전원주파수감지부(52),, 조작부(54) 및 리모콘신호수신부(55)로 이루어진 운전조작수단(53), 실내온도감지부(56) 그리고 흡입그릴의 열림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그릴열림감지부(57)가 연결된다.
상기 전원주파수감지부(52)는 전원부(51)에서 각 부하 일예로 후술하는 그릴모터(68)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감지하는데, 입력 전원의 위상이 양에서 음으로 혹은 음에서 양으로 바뀌는 0점 즉 제로크로스포인트를 일정시간 동안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값에 따라 전원주파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8)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58)는 전원주파수감지부(52)의 감지신호에 따라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인식하고, 이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상응하는 모터 구동시간을 메모리(70)에서 읽어내어 흡입그릴(3)의 닫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제어부(58)의 출력단에는 압축기구동부(59), 풍향조절부(61), 실외팬모터구동부(63), 실내팬모터구동부(65), 그릴모터구동부(67) 그리고 표시부(69)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부(58)에는 흡입그릴을 닫을 경우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그릴모터의 구동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70)가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70)는 공기조화기가 50Hz의 교류전원을 공급받는 조건에서의 모터 구동시간(일예로, 15.6초)과 공기조화기가 60Hz의 교류전원을 공급받는 조건에서의 모터 구동시간(일예로, 13초)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58)의 제어에 따라 구동수단 즉 압축기구동부(59), 풍향조절부(61), 실외팬모터구동부(63), 실내팬모터구동부(65) 및 그릴모터구동부(67)는 각각 압축기(60), 풍향조절모터(62), 실외팬모터(64), 실내팬모터(66), 그릴모터(68)를 구동한다. 그리고 표시부(69)는 운전상태와 설정온도 및 실내온도 등을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난방겸용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조작부(54)를 조작하여 운전시작키를 누른 다음 원하는 운전모드(예를 들면, 냉방)와 설정온도를 입력하면, 그릴모터(68)가 정회전으로 작동함에 따라 흡입그릴(3)이 열려지고 실내팬모터(66)의 구동에 따라 본체(2) 내부로 실내공기가 흡입된다. 이때, 그릴열림감지부(57)는 흡입그릴(3)이 열림 위치에 도달여부를 감지하며, 흡입그릴(3)이 최대한 열려진 상태를 열림 위치로 감지하도록 설치된 경우 감지신호를 제어부(58)로 출력한다. 이러한 그릴열림감지부(57)는 흡입그릴(3)과의 접촉여부에 따라 접점이 온/오프되는 리미트스위치로 구현되며, 그릴모터(68)의작동으로 흡입그릴(3)이 열려지기 시작할 때는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며 이후 열림 위치에 도달하는 흡입그릴(3)과 접촉됨에 따라 감지신호를 제어부(58)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부(58)는 리미트스위치의 감지신호에 따라 흡입그릴(3)이 열림 위치에 도달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조작부(6)를 조작하여 운전정지키를 누른 경우, 상기 제어부(58)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정지하기 위해 구동수단의 동작을 멈추게 한 다음 본체(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열려진 흡입그릴(3)을 닫기 위해 그릴모터(68)를 구동시키며,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58)는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그릴모터(68)의 구동시간을 카운트한다. 이에 따라 그릴모터(68)는 역회전으로 구동함에 따라 흡입그릴(3)이 닫히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8)는 전원주파수감지부(52)를 이용하여 감지된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그릴모터 구동시간을 메모리(70)에서 읽어온 후 카운트한 그릴모터(27)의 구동시간과 비교 판단하여 흡입그릴(3)이 닫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흡입 그릴(3)이 닫힘 위치에 도달된 경우 그릴모터(68)를 정지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 5a 및 도 5b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58)는 전원 공급시 공기조화기를 초기화하고(S101), 운전조작수단(53)으로부터 운전시작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02). 운전시작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운전시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그릴모터구동부(67)를 제어하여 그릴모터(68)를 정회전으로 구동시킨다(S103).
이어, 상기 제어부(58)는 그릴열림감지부(57)로부터 그릴열림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S104), 그 판단결과 흡입그릴(3)이 아직 열림 위치에 도달하지 않아 리미트스위치와 접촉되지 않음에 따라 그릴열림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계속하여 그릴모터(68)를 구동하기 위해 단계 S103으로 돌아가고, 그 판단결과 흡입그릴(3)이 최대한 열려져 열림 위치에 도달하여 리미트스위치와 접촉됨에 따라 그릴열림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그릴모터(68)를 정지시킨다(S105).
이와 같이 흡입그릴(3)이 열림 위치에 도달하여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모드에 따라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공기조화기를 운전한다(S106).
공기조화기의 운전 도중 상기 제어부(58)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정지하기 위한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07). 그 판단결과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계속하여 공기조화기 운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계 S106으로 돌아가고, 그 판단결과 사용자가 운전정지키를 누름에 따라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8)는 전원주파수감지부(52)의 감지신호에 따라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감지하고(S108), 감지된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50Hz인가를 판단한다(S109).
단계 S109의 판단결과 감지된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50Hz인 경우 상기 제어부(58)는 메모리(70)에서 50Hz의 교류전원에 상응하게 미리 설정된 제1구동종료시간 일예로 15.6초를 읽어내고(S110), 상기 그릴모터구동부(67)를 제어하여 그릴모터(68)를 역회전으로 구동시킴(S111)과 동시에 내부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모터구동시간을 카운트한다(S112).
이어 상기 제어부(58)는 카운트한 모터 구동시간이 읽어낸 제1구동종료시간이 되었는가를 판단하고(S113), 그 판단결과 카운트한 모터 구동시간이 읽어낸 제1구동종료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계속해서 그릴모터(68)를 역회전 구동하기 위해 단계 S111로 돌아가고, 그 판단결과 카운트한 모터 구동시간이 읽어낸 제1구동종료시간에 도달한 경우 흡입그릴(3)이 닫힘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그릴모터(68)를 정지시킨(S114) 다음 리턴한다.
한편, 단계 S109의 판단결과 감지된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50Hz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58)는 감지된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60Hz인가를 판단한다(S115). 단계 S115의 판단결과 감지된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60Hz인 경우 상기 제어부(58)는 메모리(70)에서 60Hz의 교류전원에 상응하게 미리 설정된 제2구동종료시간 일예로 13초를 읽어내고(S116), 상기 그릴모터구동부(67)를 제어하여 그릴모터(68)를 역회전으로 구동시킴(S117)과 동시에 내부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모터 구동시간을 카운트한다(S118).
이어 상기 제어부(58)는 카운트한 모터 구동시간이 읽어낸 제2구동종료시간이 되었는가를 판단하고(S119), 그 판단결과 카운트한 모터 구동시간이 읽어낸 제2구동종료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계속해서 그릴모터(68)를 역회전 구동하기 위해 단계 S117로 돌아가고, 그 판단결과 카운트한 모터 구동시간이 읽어낸 제2구동종료시간에 도달한 경우 흡입그릴(3)이 닫힘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그릴모터(68)를 정지시킨(S114) 다음 리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교류전원의 주파수가 50Hz 혹은 60Hz인지를 비교 판단한 후 해당 모터 구동시간에 따라 그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보다 많은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모터 구동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전원주파수를 감지하여 해당 모터 구동시간을 읽어낸 후 전술한 동작에 따라 흡입 그릴의 닫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은 구체적인 설명이 없더라도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흡입 그릴의 열림 동작에 대해서도 실시예에서와 같이 리미트스위치로 구현되는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각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흡입그릴이 열림 위치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모터 구동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운전시작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감지된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모터 구동시간을 메모리에서 읽어내어 그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작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이 없더라도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릴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주파수를 감지한 후 메모리에 저장된 모터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그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므로 흡입그릴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과 같이 흡입그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구비하지 않거나 혹은 센서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서 제조 단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본체에 마련된 흡입그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전원주파수감지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교류전원을 공급받는 그릴모터;
    상기 흡입그릴을 열거나 닫기 위한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그릴모터를 구동시키는 그릴모터구동부; 및
    상기 전원주파수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상응하는 상기 그릴모터의 구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그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그릴의 열림 혹은 닫힘을 감지하는 하나의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없는 상기 흡입그릴의 열림 혹은 닫힘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그릴모터의 구동시간에 의하여 상기 그릴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정지하기 위한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그릴모터의 구동시간 동안 상기 그릴모터를 구동시킨 다음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그릴모터의 구동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주파수감지부는 교류전원의 위상이 바뀌는 제로크로스포인트를 일정시간 동안 카운트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본체에 마련된 흡입그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시작 혹은 정지하기 위한 운전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입력된 운전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흡입그릴을 열거나 닫기 위하여 상기 그릴모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그릴모터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그릴모터의 구동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그릴모터의 구동시간이 감지된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그릴모터의 구동시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된 구동시간이 설정된 구동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그릴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단계는 교류전원의 위상이 바뀌는 제로크로스포인트를 일정시간 동안 카운트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8.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본체에 마련된 흡입그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시작하기 위한 운전시작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전시작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흡입그릴이 열리도록 그릴모터를 정회전으로 구동하는 단계;
    상기 그릴모터를 정회전으로 구동하는 도중 상기 흡입그릴이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상기 흡입그릴이 열림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흡입그릴이 열림 위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그릴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흡입그릴이 열림 위치에 도달하여 실내공기의 흡입이 가능한 상태에서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운전하는 도중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정지하기 위한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전정지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흡입그릴이 닫히도록 그릴모터를 역회전으로 구동하는 단계;
    상기 그릴모터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상기 그릴모터의 구동시간을 메모리에서 읽는 단계;
    상기 그릴모터를 역회전으로 구동하는 도중 구동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구동시간과 미리 설정된 구동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흡입그릴이 닫힘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흡입그릴이 닫힘 위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그릴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01-0074652A 2001-11-28 2001-11-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23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652A KR100423971B1 (ko) 2001-11-28 2001-11-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652A KR100423971B1 (ko) 2001-11-28 2001-11-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466A KR20030043466A (ko) 2003-06-02
KR100423971B1 true KR100423971B1 (ko) 2004-03-22

Family

ID=29571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652A KR100423971B1 (ko) 2001-11-28 2001-11-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9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319B1 (ko) * 2003-04-30 2008-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외기용 루버 블레이드의 개폐검지장치 및 방법
KR100598385B1 (ko) * 2004-07-23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조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387569B (zh) * 2015-11-30 2019-03-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光伏空调系统控制方法和装置
KR102266973B1 (ko) * 2019-01-21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3287A (ko) * 1996-06-22 1998-03-30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흡입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0131279Y1 (ko) * 1995-06-26 1999-01-15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0187280B1 (ko) * 1996-08-28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87226B1 (ko) * 1995-12-13 1999-05-01 김광호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10009758A (ko) * 1999-07-13 2001-02-05 구자홍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운전감지장치 및 방법
KR100289489B1 (ko) * 1998-11-05 2001-10-26 황한규 패키지에어콘용흡입그릴의자동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279Y1 (ko) * 1995-06-26 1999-01-15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0187226B1 (ko) * 1995-12-13 1999-05-01 김광호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980003287A (ko) * 1996-06-22 1998-03-30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흡입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100187280B1 (ko) * 1996-08-28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89489B1 (ko) * 1998-11-05 2001-10-26 황한규 패키지에어콘용흡입그릴의자동개폐장치
KR20010009758A (ko) * 1999-07-13 2001-02-05 구자홍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운전감지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466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723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6101825A (en) Refrigerator having a device for opening/closing cool air supply por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124102B1 (en) Refrigirator
KR10042397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3019001B2 (ja) ルーバ制御機能付プロジェクタ装置及びこの装置の温度制御方法
JPH09170800A (ja) 空気調和機の吐出口開閉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554281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루버제어방법
KR100356568B1 (ko) 공기조화기의 화재경보방법
KR0125754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101372856B1 (ko) 냉장고의 기계실 방열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3104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16491A (ko) 가전기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25748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도어의 이슬맺힘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197693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100244316B1 (ko) 공기조화기의온도제어장치및그방법
KR100244331B1 (ko) 공기조화기의난방제어장치및그방법
KR10018724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21241B1 (ko) 공기조화기의이슬맺힘방지장치및그방법
KR100191510B1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191524B1 (ko) 공기조화기의 풍향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82579B1 (ko) 공기조화기의 풍량조절장치 및 그 방법
JP2000074463A (ja) リモコン受信装置及び空気調和機
KR100239538B1 (ko) 공기조화기의 정음운전장치 및 그 방법
KR100508482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39539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