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841B1 -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인조잔디 구조체 - Google Patents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인조잔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841B1
KR102295841B1 KR1020200079414A KR20200079414A KR102295841B1 KR 102295841 B1 KR102295841 B1 KR 102295841B1 KR 1020200079414 A KR1020200079414 A KR 1020200079414A KR 20200079414 A KR20200079414 A KR 20200079414A KR 102295841 B1 KR102295841 B1 KR 102295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antibacterial
pile yarn
weigh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도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도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도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079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8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3Agents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7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making fire- or flame-proof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05C17/02Tufted products
    • D05C17/026Tuft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ufted pile surfa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71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2Artificial gr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항균성이 있어 세균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인조잔디 파일사 및 인조잔디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 70~95중량%, 실리콘계 화합물 1~15중량% 및 항균성 분말 1~15중량%를 포함하는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이다.

Description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인조잔디 구조체{Antibacterial artificial turf pile yarn and antibacterial artificial turf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균 효과가 있는 인조잔디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는 합성섬유를 소재로 하여 잔디의 형태를 갖추어 인공적으로 만든 잔디의 대용품으로서, 1956년 미국에서 처음 제작된 이래 주로 야구,축구, 골프 등의 스포츠 구장에 사용되고 있다. 나아가 잔디의 생육이 불가능한 옥내정원이나 일조시간이 극히 제한된 고층건물의 북쪽에 접한 옥외지역과 같은 곳에서 사용될 수 있다.
기존 인조잔디는 천연잔디를 시공할 수 없는 곳에 주로 시공되어왔는데, 그 예로 자연 채광이 폐쇄된 돔구장, 답압이 집중되는 곳, 기후적으로 천연잔디의 생육이 곤란한 지역 등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초기 시공비가 높지만 천연잔디에 비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특히 유지관리의 편의성이 높을 뿐 아니라 날로 발전하는 기술에 힘입어 천연잔디 못지않은 우수한 질감과 뛰어난 품질로 인해 천연 잔디의 시공성과 관계없이 다양한 장소에서 인조잔디의 선호도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인조잔디는 일반 천연잔디에 비해 초기 시공비가 많이 들지만,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고, 유지관리의 편의성, 운동하기에 적합하도록 표면이 고른 점 때문에 선호도가 높다. 인조잔디는 항상 고유색을 유지할 수 있고 환경조건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시공 후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천연잔디를 대체하여 인조잔디를 사용할 경우 사용기간이 길어지면서 각종 세균 등이 증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졌으나, 여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2055556호(2019.12.0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항균성이 있어 세균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인조잔디 파일사 및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 70~95중량%, 실리콘계 화합물 1~15중량% 및 항균성 분말 1~15중량%를 포함하는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중밀도폴리에틸렌(Medium Density Polyethylene), 그리고 고밀도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은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알킬실록산,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은 점도가 50~5,000cst일 수 있다.
상기 항균성 분말은 구리 분말은 황화 구리 또는 산화 구리 또는 이들의 혼합 분말일 수 있다.
상기 항균성 분말은 입도가 0.1~3.5 ㎛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 및 상기 항균성 분말은 0.1:1~10:1의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
상기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는 상용화제, 노화방지제, 산화방지제, 컬러 마스터 배치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포층; 및 상기 기포층에 터프팅되며, 상기 파일사로 이루어진 파일부;를 포함하는 항균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 실리콘계 화합물 및 항균성 분말을 특정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항균 효과가 우수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 70~95중량%, 실리콘계 화합물 1~15중량% 및 항균성 분말 1~15중량%를 포함하는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올레핀(이중결합을 1개 가지는 사슬모양 탄화수소 화합물)의 중합으로 생기는 고분자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아이소부틸렌 등이 있다.
상기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중밀도폴리에틸렌(Medium Density Polyethylene), 그리고 고밀도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0.2 내지 2.0 g/min의 용융지수를 가지고, 밀도가 0.910 내지 0.925 g/cm2인 폴리에틸렌일 수 있고,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0.2 내지 10g/min의 용융지수를 가지고, 밀도가 0.941 내지 0.985g/cm2인 폴리에틸렌일 수 있고,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은 0.8 내지 2.0 g/min의 용융지수를 가지고, 밀도가 0.915 내지 0.930 g/cm2인 폴리에틸렌일 수 있고, 중밀도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가 0.5 내지 1.5 g/min이고, 밀도가 0.935 내지 0.970 g/cm2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파일사를 구성하는 베이스 수지로서, 함량은 상기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 100중량% 기준으로 70~95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80~90중량%이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량이 70중량% 미만이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95중량%를 초과하면 항균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은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알킬실록산,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Polydimethylsiloxane)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은 반응 가능한 작용기가 없어 파일사의 표면에 안정성 및 윤활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항균성 물질과 혼합되어 항균성 물질이 파일사의 내부가 아닌 표면으로 이동시켜 파일사의 항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의 점도는 50~5,000cst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1,000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의 점도가 50cst 미만이면, 파일사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5,000cst를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 공업 상의 조업성이 낮아져 원사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고, 파일사 표면으로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 항균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의 점도는 동점도(Dynamic viscosity) 측정법으로 캐논-펜스케형 점도계(Cannon-Fenske Type Viscometer)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은 또한, 상온(25 ℃)에서 비중이 0.950 내지 1.000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파일사 100중량%를 기준으로 1~15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3~10중량%이다.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항균성 분말과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아 항균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15중량%를 초과하면 파일사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공업 상의 조업성이 낮아져 원사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균성 분말은 상기 파일사에 항균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서, 황화 구리 또는 산화구리 또는 이들의 혼합 분말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황화 구리 분말일 수 있다.
상기 황화 구리 또는 산화구리 분말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습식 밀링, 건조, 건식 밀링 및 분급하는 공정을 통해 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산화구리 또는 황화구리는 항균금속으로서, 파일사에 전도성 외에 우수한 항균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균 자체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어 우수한 방취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 황화구리(Ⅰ)은 황화제일구리(copper(Ⅰ) sulfide, cuprous sulfide)라고도 하며 화학식은 Cu2S, 화학식량은 159.15이다. 구리를 수소/황화수소 혼합기체와 함께 가열하거나 황화구리(Ⅱ)를 소량의 황과 함께 수소 기체속에서 가열하여 얻을 수 있다. 천연으로는 휘동광에서 산출된다. 결정의 형태에 따라 α형(입방결정계)과 β형(사방결정계)이 있으며 녹는점은 α형이 1130℃, β형이 1100℃로 비슷하다. α형은 91℃보다 고온에서 안정하고 용융물을 냉각할 때 석출되며, β형은 91℃보다 저온에서 안정하고 천연 휘동광이 β형에 속한다. α, β 모두 금속 광택이 있는 검은 회색의 결정으로 열에 안정하며 고온에서는 염소 또는 탄산나트륨과 천천히 반응한다. 물에는 잘 녹지 않으나 질산이나 암모니아수에는 녹는다.
황화구리(Ⅱ)는 황화제이구리(copper(Ⅱ) sulfide, cupric sulfide)라고도 하며 화학식은 CuS, 화학식량은 95.61이다. 천연으로는 남동광으로 산출되며 공업적으로는 구리(Ⅱ)염 수용액에 황화수소를 통하여 흑갈색의 침전으로 얻거나 구리와 황을 직접 결합시켜 만든다. 황화구리(Ⅱ)는 검은색의 가루 또는 청흑색의 육방결정계 결정으로 구조가 복잡하다. 전기전도성은 황화구리(Ⅰ)보다 크며, 220℃에서 가열하면 황화구리(Ⅰ)로 분해된다. 물이나 묽은 산에 거의 녹지 않으나 고온의 질산이나 사이안화알칼리 용액에는 녹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균성 분말은 입도가 0.1~3.5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2.5 ㎛일 수 있다. 상기 입도가 0.1 ㎛ 미만이거나, 3.5 ㎛를 초과하면 분산 시 내부로 파일사 표면이 아닌 내부로 분산되는 양이 증가하여 항균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성 분말의 함량은 상기 파일사 100 중량% 기준으로 1~15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3~10 중량%이다. 상기 항균성 분말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항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5 중량%를 초과하면 제조 원가 대비 항균 효과 향상이 미미하고, 분말 간 뭉침 현상으로 인해 노즐이 막혀 방사성이 저하되며,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 및 상기 항균성 분말은 0.1:1~10:1의 중량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5:1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가 0.1~10 미만이면 실리콘계 화합물의 함량이 낮아 표면으로의 이동성이 저하되어 항균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10:1을 초과하면 항균성 분말의 함량이 낮아 항균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일사는 상용화제, 노화방지제, 산화방지제, 컬러 마스터 배치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파일사 100 중량% 기준으로 0.1~1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 노화방지제, 산화방지제, 컬러 마스터 배치 및 난연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는 폴리올레핀 수지 70~95중량%, 실리콘계 화합물 1~15중량% 및 항균성 분말 1~15중량%를 마스터 배치화하여 방사기에 투입하고, 용융 방사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포층; 및 상기 기포층에 터프팅되며, 상기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로 이루어진 파일부;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인조잔디 구조체는 상기 기포층 후면에 백코팅되어 상기 파일이 뽑히지 않도록 하는 백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포층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로 구성된 파일부의 길이는 35~55 mm일 수 있다.
상기 기포층은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직포,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직포 및 부직포로 구성된 그룹 중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계 직포는 폴리프로필렌 직포일 수 있다.
상기 백킹층은 인조잔디 구조체의 형태 안정성 강화, 소음 감소, 인열 강도 강화, 파일의 인발 강도 강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폴리올레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따위로 이루어진 장섬유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일 수 있고, 장섬유 부직포로 형성된 백킹층은 기계적 강도와 내후성이 우수하며 기계적 강도에 의해 장기간 설치하여도 변형 및 물성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백킹층은 우수한 투수성을 가지고 있어 뛰어난 배수 효과를 갖을 수 있고, 지면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어 노면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백코팅은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포층 상부면 및 파일부 사이에 충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재는 합성수지 충진재이며, 상기 합성수지 충진재는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에틸렌비닐알코올,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이 포함되는 것이 더 좋으며,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은 우수한 충격완화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경제적이면서도 황이나 발암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친환경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충진재의 크기는 2~3 mm일 수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83중량%, 점도 500cst인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7.5중량% 및 입도 0.5㎛인 황화구리 분말 7.5중량%을 마스터 배치화하여 방사기에 넣고, 녹색마스터배치 1중량% 및 말레산 무수물 1중량%를 첨가한 후, 방사기에서 혼합하고 용융 방사하여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85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3중량%, 황화구리 분말 10중량%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85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10중량%, 황화구리 분말 3중량%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75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3중량%, 황화구리 분말 20중량%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75중량%,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20중량%, 황화구리 분말 3중량%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90.5중량% 및 입도 0.5㎛인 황화구리 분말 7.5중량%을 마스터 배치화하여 방사기에 넣고, 녹색마스터배치 1중량% 및 말레산 무수물 1중량%를 첨가한 후, 방사기에서 혼합하고 용융 방사하여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90.5중량% 및 점도 500cst인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7.5중량%을 마스터 배치화하여 방사기에 넣고, 녹색마스터배치 1중량% 및 말레산 무수물 1중량%를 첨가한 후, 방사기에서 혼합하고 용융 방사하여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를 제조하였다.
이하 하기 표 1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인조잔디 파일사의 구성을 나타낸 표이다.
구분 LLDPE
(중량%)
PDMS
(중량%)
황화구리 분말
(중량%)
컬러 마스터 배치
(중량%)
말레산무수물
(중량%)
실시예1 83 7.5 7.5 1 1
실시예2 85 3 10 1 1
실시예3 85 10 3 1 1
비교예1 75 3 20 1 1
비교예2 75 20 3 1 1
비교예3 90.5 0 7.5 1 1
비교예4 90.5 7.5 0 1 1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파일사의 내구성 및 방사성을 하기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
내구성 : LISPORT 스터드 마모장비를 사용하여 인조잔디 시스템을 각각 30,000회 마모시킨 후, 파일사의 외관 상태 관찰함.
구분 내구성
실시예1 양호
실시예2 양호
실시예3 양호
비교예1 일부 갈라짐
비교예2 일부 갈라짐
비교예3 양호
비교예4 양호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PDMS 또는 황화구리 분말을 1~15중량%로 포함하는 경우(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3 및 4)에는 내구성이 우수하나,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비교예 1 및 2)에는 내구성이 저하되어 일부 갈라짐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파일사의 항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측정방법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파일사 100g에 대장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이 함유된 수용액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에 항균시험인 KS K 0693:2001의 시험방법 따라 측정하였다.
구분 대장균
(Escherichia coil ATCC 8739)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초기
(CFU/ml)
18시간 후
(CFU/ml)
초기
(CFU/ml)
18시간 후
(CFU/ml)
실시예1 2.5 X 105 10 < 2.6 X 105 10 <
실시예2 2.5 X 105 10 < 2.6 X 105 10 <
실시예3 2.5 X 105 10 < 2.6 X 105 10 <
비교예1 2.5 X 105 10 < 2.6 X 105 10 <
비교예2 2.5 X 105 10 < 2.6 X 105 10 <
비교예3 2.5 X 105 2.1 X 10 2.6 X 105 4.5 X 102
비교예4 2.5 X 105 2.1 X 105 2.6 X 105 2.7 X 105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황화구리 분말을 첨가한 경우(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3)는 황화구리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4)와 비교할 때, 항균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PDMS를 첨가한 경우(실시예 1)와 PDMS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3)를 비교하면, 황화구리 분말의 함량은 동일하나 PDMS를 첨가한 경우(실시예 1)의 항균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의 경우, 상기 실험예에서 알 수 있듯이, 폴리올레핀 수지, 실리콘계 화합물 및 항균성 분말을 특정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고, 내구성이 우수한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폴리올레핀 수지 80~90 중량%, 실리콘계 화합물 3~10 중량% 및 항균성 분말 3~10 중량%를 포함하는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로서,
    상기 항균성 분말은 황화 구리 분말이고,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 및 상기 항균성 분말은 1:5~5:1의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중밀도폴리에틸렌(Medium Density Polyethylene), 그리고 고밀도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은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알킬실록산,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화합물은 점도가 50~5,000cs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분말은 입도가 0.1~3.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는 상용화제, 노화방지제, 산화방지제, 컬러 마스터 배치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
  9. 기포층; 및
    상기 기포층에 터프팅되며,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파일사로 이루어진 파일부;
    를 포함하는 항균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200079414A 2020-06-29 2020-06-29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인조잔디 구조체 KR102295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414A KR102295841B1 (ko) 2020-06-29 2020-06-29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인조잔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414A KR102295841B1 (ko) 2020-06-29 2020-06-29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인조잔디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841B1 true KR102295841B1 (ko) 2021-09-03

Family

ID=77784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414A KR102295841B1 (ko) 2020-06-29 2020-06-29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인조잔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8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514A (ja) * 1996-01-31 1997-10-14 Sekisui Chem Co Ltd 人工芝用パイル糸
KR101651461B1 (ko) * 2016-01-20 2016-08-26 문진호 친환경 인조잔디
KR101943960B1 (ko) * 2018-11-14 2019-01-30 주식회사 아이디엠램프 고탄성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03285B1 (ko) * 2019-04-08 2019-10-02 주식회사 액션필드 내열성이 우수한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자가치유형 인조잔디 술 및 그 제조 방법
KR102055556B1 (ko) 2019-03-29 2019-12-16 김세학 친환경 항균성 인조잔디 충진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514A (ja) * 1996-01-31 1997-10-14 Sekisui Chem Co Ltd 人工芝用パイル糸
KR101651461B1 (ko) * 2016-01-20 2016-08-26 문진호 친환경 인조잔디
KR101943960B1 (ko) * 2018-11-14 2019-01-30 주식회사 아이디엠램프 고탄성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55556B1 (ko) 2019-03-29 2019-12-16 김세학 친환경 항균성 인조잔디 충진재
KR102003285B1 (ko) * 2019-04-08 2019-10-02 주식회사 액션필드 내열성이 우수한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자가치유형 인조잔디 술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103B1 (ko) 인조잔디 구조체
KR101882379B1 (ko) 항균 및 자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CN101871136A (zh) 一种红外隐身纤维及其制备方法
CN114395820B (zh) 一种稀土改性抗拉抗菌无纺布及其制备方法
KR102295841B1 (ko) 항균 인조잔디 파일사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인조잔디 구조체
AU2003292343B2 (en) Articles with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y
KR20210137320A (ko) 항균성을 가진 선도유지 포장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09892A (ko) 항균 섬유 소재, 항균 섬유, 항균 섬유 제조용 마스터배치, 및 항균 섬유의 제조방법
JPH10168657A (ja) 耐塩素性エラスタン繊維
KR102030355B1 (ko)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가지는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
JP2008525653A (ja) 抗菌弾性繊維の作成プロセス
CN110845841A (zh) 一种永不黄变热塑性聚氨酯弹性体及其制备方法
CN114197077B (zh) 一种稀土阻燃尼龙纤维及其制备方法
CN115975293A (zh) 一种丙纶用2000小时防老化色母粒及其制备方法
KR20040066906A (ko) 개질된 폴리올레핀 섬유
KR102294464B1 (ko)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인조잔디 구조체
KR20040068490A (ko) 염소저항성 탄성섬유
KR100894494B1 (ko) 심초형 복합방사 단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71157A (ko) 항균성 탄성섬유
KR102671835B1 (ko) 항균 및 소취 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섬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8089B1 (ko) 항균 제습기
KR101858450B1 (ko) 내연성 인조 잔디
KR20060036972A (ko) 항균방취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의 제조방법
KR102301119B1 (ko) 항균성 인조잔디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27221B1 (ko) 발수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섬유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직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