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215B1 - 충돌가이드 구조부를 갖는 차량용 범퍼 - Google Patents

충돌가이드 구조부를 갖는 차량용 범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215B1
KR102295215B1 KR1020180122275A KR20180122275A KR102295215B1 KR 102295215 B1 KR102295215 B1 KR 102295215B1 KR 1020180122275 A KR1020180122275 A KR 1020180122275A KR 20180122275 A KR20180122275 A KR 20180122275A KR 102295215 B1 KR102295215 B1 KR 102295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guide
guide slit
vehic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115A (ko
Inventor
김병혁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122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2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38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adjustably or movably mounted, e.g. horizontally displaceabl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park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는 내측에서 차체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브라켓 결합부가 형성된 프런트 범퍼와, 상기 프런트 범퍼의 내측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브라켓 결합부에 대응되는 대응되는 범퍼 결합부가 형성된 프런트 앤드 브라켓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전방 충돌시 프런트 범퍼가 일정 충돌력 이상에서 가이드 이동되고, 차량의 전방 충돌시 프런트 범퍼가 가이드 이동되고 마찰력에 의해 댐핑된다.

Description

충돌가이드 구조부를 갖는 차량용 범퍼{VEHICHE BUMPER HAVING COLLISION GUIDE STRUCTURE}
본 발명은 충돌가이드 구조부를 갖는 차량용 범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에는 충격 흡수를 위한 범퍼가 자동차의 프레임에 결합된다. 그리고 범퍼는 수지재질로 사출 성형되며, 자동차 외관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 범퍼는 브라켓을 통해 자동차의 프레임 등과 결합된다.
그러나 차체가 높은 다양한 차량의 경우 차량의 전방에 장착되는 프런트 범퍼가 큰 강성을 갖는 경우, 보행자가 차량에 충돌할 경우 보행자 다리의 심하게 상해를 입는다.
반면, 프런트 범퍼가 작은 강성을 갖는 경우 프런트 범퍼 하측으로 다리가 빨려 들어간다.
이에 따라 프런트 범퍼가 지지하는 정도에 따라 보행자의 상해정도가 결정됨에 따라 이에 대한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차량의 전방 충돌시 프런트 범퍼가 일정 충돌력 이상에 가이드 이동되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차량의 전방 충돌시 프런트 범퍼가 가이드 이동되고 마찰력에 의해 댐핑되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는 내측에서 차체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브라켓 결합부가 형성된 프런트 범퍼와, 상기 프런트 범퍼의 내측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브라켓 결합부에 대응되는 대응되는 범퍼 결합부가 형성된 프런트 앤드 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범퍼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결합부는 상기 프런트 앤드 브라켓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슬릿과, 상기 가이드 슬릿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블럭은 상기 가이드 슬릿의 일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량용 범퍼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은 차체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가이드 슬릿의 차체측 방향의 단부 영역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량용 범퍼에 있어서, 상기 범퍼 결합부에는 상기 가이드 슬릿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블럭에 지지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량용 범퍼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돌기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 슬릿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범퍼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결합부는 상기 프런트 범퍼의 중앙부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범퍼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결합부는 상기 프런트 앤드 브라켓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슬릿과, 상기 가이드 슬릿의 측벽에 형성되고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가이드 슬릿의 일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량용 범퍼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차체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가이드 슬릿의 차체측 방향의 단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범퍼에 있어서, 상기 범퍼 결합부에는 상기 가이드 슬릿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돌기에 지지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전방 충돌시 프런트 범퍼가 일정 충돌력 이상에 가이드 이동되고, 차량의 전방 충돌시 프런트 범퍼가 가이드 이동되고 마찰력에 의해 댐핑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돌가이드 구조부를 갖는 차량용 범퍼가 장착된 차량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범퍼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차량용 범퍼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돌가이드 구조부를 갖는 차량용 범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돌가이드 구조부를 갖는 차량용 범퍼가 장착된 차량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C)에는 전방으로 프런트 범퍼(1100)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프런트 범퍼(1100)는 프런트 앤드 브라켓(도 2에 1200으로 도시함)에 결합된다.
한편, 보행자의 다리(L)가 프런트 범퍼(1100)에 충돌될 경우 프런트 범퍼의 강성에 따라 보행자의 상해정도가 달라진다.
즉, 프런트 범퍼(1100)가 큰 강성을 갖는 경우 보행자 다리의 심하게 상해를 입고, 프런트 범퍼(1100)가 큰 강성을 갖는 경우 차체가 높은 차량의 범퍼 하측으로 다리가 빨려 들어간다.
이에 따라 프런트 범퍼(1100)가 지지하는 정도에 대한 설정이 중요하다.
그리고 프런트 앤드 브라켓에 결합되는 프런트 범퍼(1100)의 결합 및 가이드 이동에 따라 프런트 범퍼(1100)가 지지되는 정도가 설정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프런트 범퍼와 프런트 앤드 브라켓의 세부기술구성 및 이들의 유기적 결합관계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범퍼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범퍼는 프런트 범퍼(1100)와 프런트 앤드 브라켓(1200)을 포함하고, 프런트 범퍼(1100)는 프런트 앤드 브라켓(1200)에 충돌시 가이드 되도록 결합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프런트 범퍼(1100)에는 브라켓 결합부(1110)가 형성된다. 브라켓 결합부(1110)는 프런트 범퍼(1100)의 내측부에 형성되고 차체 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브라켓 결합부(1110)는 가이드 슬릿(1111)과 지지블럭(1112)를 포함한다. 가이드 슬릿(1111)은 프런트 앤드 브라켓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블럭((1112)은 가이드 슬릿(1111)의 일측에 형성된다. 즉, 지지블럭((1112)은 차체측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슬릿(1111)에 있어서 차체측 방향의 단부 영역에 형성된다.
또한, 브라켓 결합부(1110)는 프런트 범퍼(1100)의 중앙부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런트 앤드 브라켓(1200)은 프런트 범퍼(1100)의 내측에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프런트 앤드 브라켓(1200)에는 프런트 범퍼(1100)의 브라켓 결합부(1110)에 대응되는 범퍼 결합부(1210)가 형성된다. 또한, 범퍼 결합부(1210)에는 가이드 슬릿(1111)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1211)가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돌기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 슬릿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1211)가 가이드 슬릿(1111)에 삽입 결합되고, 가이드 돌기(1211)의 일측은 지지블럭(1112)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프런트 범퍼(1100)의 이동은 제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범퍼(1100)와 프런트 앤드 브라켓(1200)은 TPO(thermo plastic olefin)을 포함하는 복합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차량용 범퍼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프런트 범퍼(1100)에 지지블럭(1112)의 파괴되지 않을 정도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브라켓 결합부(1110)의 지지블럭(1112)에 의해 가이드 돌기(1211)가 지지되어 프런트 범퍼(1100)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러나 지지블럭(1112)이 파괴될 정도의 큰 외력이 가해질 경우 지지블럭(1112)은 파손되고 가이드 돌기(1211)는 가이드 슬릿(1111)을 따라 이동되면서 프런트 범퍼(1100)는 차체측인 프런트 앤드 브라켓(1200) 측으로 가이드 이동된다.
그리고 가이드 돌기(1211)가 가이드 슬릿(11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경우 마찰력이 발생됨이 따라 차량용 범퍼의 이동력은 댐핑된다.
또한, 외력이 가해질 때 지지블럭(1112)가 파손되는 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프런트 범퍼(1100)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행자 다리가 차량용 범퍼에 충돌할 경우 차량용 범퍼가 이동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돌가이드 구조부를 갖는 차량용 범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범퍼(2100)와 프런트 앤드 브라켓(2200)은 도 2에 도시한 프런트 범퍼(1100) 및 프런트 앤드 브라켓(1200)와 비교하여 결합구조부의 형상만이 상이하다.
프런트 범퍼(2100)에는 브라켓 결합부(2110)가 형성된다. 브라켓 결합부(2110)는 프런트 범퍼(2100)의 내측부에 형성되고 차체 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브라켓 결합부(2110)는 가이드 슬릿(2111)과 지지돌기(2112)를 포함한다. 지지돌기(2112)은 가이드 슬릿(1111)의 측벽에 형성되고, 가이드 슬릿(1111)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지지돌기(2112)는 차체측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슬릿(2111)에 있어서 차체측 방향의 단부 영역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프런트 앤드 브라켓(2200)은 프런트 범퍼(2100)의 내측에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프런트 앤드 브라켓(2200)에는 프런트 범퍼(2100)의 브라켓 결합부(2110)에 대응되는 범퍼 결합부(2210)가 형성된다. 또한, 범퍼 결합부(2210)에는 가이드 슬릿(2111)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2211)가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돌기(2211)가 가이드 슬릿(2111)에 삽입 결합되고, 가이드 돌기(2211)의 일측은 지지돌기(2112)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프런트 범퍼(2100)의 이동은 제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고, 차량용 범퍼(2100)에 지지돌기(2112)의 지지력 보다 작은 외력이 가해질 경우, 가이드 돌기(2211)는 지지돌기(2112)에 지지되어 차량용 범퍼(2100)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러나 지지돌기(2112)의 지지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질 경우 가이드 돌기(2211)는 지지돌기(2112)를 지나 가이드 슬릿(2111)을 따라 이동되면서 차량용 범퍼(2100)는 차체측인 프런트 앤드 브라켓(2200) 측으로 가이드 이동된다.
그리고 가이드 돌기(2211)가 가이드 슬릿(21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경우 마찰력이 발생됨이 따라 차량용 범퍼의 이동력은 댐핑된다.
또한, 지지돌기(2112)가 돌출되는 형상을 조절하여 가이드 돌기(2211)가 지지돌기를 넘어서는 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차량용 범퍼(2100)의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행자 다리가 차량용 범퍼에 충돌할 경우 차량용 범퍼가 이동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0: 프런트 범퍼 1110: 브라켓 결합부
1111: 가이드 슬릿 1112: 지지블럭
1200: 프런트 앤드 브라켓 1210: 범퍼 결합부
1211: 가이드 돌기
2100: 차량용 범퍼 2110: 브라켓 결합부
2111: 가이드 슬릿 2112: 지지돌기
2200: 프런트 앤드 브라켓 2210: 범퍼 결합부
2211: 가이드 돌기

Claims (9)

  1. 내측에서 차체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브라켓 결합부가 형성된 프런트 범퍼; 및
    상기 프런트 범퍼의 내측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브라켓 결합부에 대응되는 범퍼 결합부가 형성된 프런트 앤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결합부에는 상기 프런트 앤드 브라켓을 향해 연장된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릿의 측벽 간에 연결되는 지지블럭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슬릿은 상기 지지블럭에 의해 제1 가이드 슬릿과 제2 가이드 슬릿으로 구분되고,
    상기 범퍼 결합부에는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블럭에 지지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의 길이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외경보다 길게 형성된 차량용 범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은 차체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가이드 슬릿의 차체측 방향의 단부 영역에 형성된
    차량용 범퍼.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결합부는 상기 프런트 범퍼의 중앙부에 복수개가 형성된
    차량용 범퍼.
  7. 내측에서 차체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브라켓 결합부가 형성된 프런트 범퍼; 및
    상기 프런트 범퍼의 내측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브라켓 결합부에 대응되는 범퍼 결합부가 형성된 프런트 앤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결합부에는 상기 프런트 앤드 브라켓을 향해 연장된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릿의 측벽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슬릿은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제1 가이드 슬릿과 제2 가이드 슬릿으로 구분되고,
    상기 범퍼 결합부에는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돌기에 지지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상기 제1 가이드 슬릿의 길이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외경보다 길게 형성된 차량용 범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차체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가이드 슬릿의 차체측 방향의 단부 영역에 형성된
    차량용 범퍼.
  9. 삭제
KR1020180122275A 2018-10-15 2018-10-15 충돌가이드 구조부를 갖는 차량용 범퍼 KR102295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275A KR102295215B1 (ko) 2018-10-15 2018-10-15 충돌가이드 구조부를 갖는 차량용 범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275A KR102295215B1 (ko) 2018-10-15 2018-10-15 충돌가이드 구조부를 갖는 차량용 범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115A KR20200042115A (ko) 2020-04-23
KR102295215B1 true KR102295215B1 (ko) 2021-08-27

Family

ID=7047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275A KR102295215B1 (ko) 2018-10-15 2018-10-15 충돌가이드 구조부를 갖는 차량용 범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2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880A1 (ko) 2022-08-11 2024-02-15 전광석 자동차 충돌 충격 감쇄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3147A (ja) * 2006-07-10 2008-01-24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の衝撃吸収部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855B1 (ko) * 2012-08-31 2018-08-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964236B1 (ko) * 2017-03-30 2019-04-02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프런트 범퍼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3147A (ja) * 2006-07-10 2008-01-24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の衝撃吸収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880A1 (ko) 2022-08-11 2024-02-15 전광석 자동차 충돌 충격 감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115A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481830U (zh) 一种具有多层防撞结构的保险杠
KR101448745B1 (ko)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JP2017518909A5 (ko)
KR102295215B1 (ko) 충돌가이드 구조부를 갖는 차량용 범퍼
KR100775180B1 (ko) 차량의 액티브 후드 시스템 성능 강화를 위한 후드구조
KR102152621B1 (ko) 차량 차륜부의 스몰 오버 랩 충돌 대응구조
US20180281712A1 (en)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1691803B1 (ko) 자동차의 범퍼
KR20170063097A (ko) 차량용 충격저감장치
KR20190032078A (ko) 차량용 전방 레이더 고정 구조물
KR101704003B1 (ko) 보행자 보호장치
KR102350529B1 (ko)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구조
KR102350011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범퍼 스테이
KR100974505B1 (ko) 크래쉬 박스
KR101411244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
KR20080093630A (ko) 자동차용 충격 흡수 장치
KR20160111617A (ko)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유닛
KR20170057081A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
KR101988368B1 (ko) 에너지 흡수 및 마찰음을 개선한 자동차용 범퍼빔 조립체
KR100920163B1 (ko) 스티어링 컬럼의 초기충격 흡수장치
KR101124957B1 (ko) 차량의 범퍼 장치
KR20100055224A (ko) 자동차 범퍼
KR100848590B1 (ko) 와이어 캡슐을 구비한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
KR0180812B1 (ko) 범퍼의 완충구조
GB2522613A (en) Front end impac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