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167B1 -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167B1
KR102295167B1 KR1020190177395A KR20190177395A KR102295167B1 KR 102295167 B1 KR102295167 B1 KR 102295167B1 KR 1020190177395 A KR1020190177395 A KR 1020190177395A KR 20190177395 A KR20190177395 A KR 20190177395A KR 102295167 B1 KR102295167 B1 KR 102295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ayer
adhesive
composite multi
sola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4894A (ko
Inventor
최원석
정성훈
장민건
정연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190177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1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4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5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thin film solar cells, e.g. single thin film a-Si, CIS or CdTe solar cells
    • H01L31/046PV module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in film solar cells deposited on the same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1Encapsulation of modul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encapsulation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Abstract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및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는 1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유리 기판; 유리 기판 양면에 각각 카테콜아민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버퍼층; 버퍼층 외면에 각각 형성되는 접착층; 및 접착층에 부착되거나 접착층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플라스틱 기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및 제조방법{COMPOSITE MULTI-LAYERED SHEET FOR SOLAR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합다층시트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모듈의 경량화에 기여하는 복합다층시트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모듈은 태양빛을 받아서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셀로 구성되며 태양광발전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를 의미한다. 태양광 모듈은 태양전지를 비롯하여 프론트 시트, 백시트, 정션박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최근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기본적인 구조 이외에도 건물에 적용되는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시스템, 수상에 적용되는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 타 에너지원(연료전지, 풍력, 디젤발전 등)과 융복합하여 발전하는 융복합발전시스템 등 다양한 용도로 분화되고 있다.
이 중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인 BIPV는 태양광모듈을 건축 자재화하여 건물외부에 적용함으로써 경제성은 물론 각종 부가가치를 높여 보다 효율적으로 전기에너지 생산과 동시에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BIPV는 건물의 커튼월, 천장, 차양, 지붕타일, 창호, 건물 외벽 등 다양한 곳에 적용되고 있다. BIPV용 태양광 모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태양광 모듈의 중량이다. 건물의 하중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BIPV용 태양광 모듈의 중량을 크게 낮춘 경량 태양광 모듈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이유다.
기존 태양광 모듈의 중량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부품은 강화유리로 전체 태양광 모듈 중량의 85%를 차지하고 있다. 강화유리의 중량을 낮추기 위하여 강화유리의 두께를 낮추고자 하는 시도들이 많이 있었으나, 이 경우 요구되는 내구성이나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강화유리의 내구성 등을 보완하기 위해 플라스틱 기재를 접합시킨 접합유리도 제안된 바 있으나, 미세기공이 발생하고 태양광 모듈의 팽창-수축이 반복됨에 따라 미세크랙이 발생하거나 수분이 침투하여 태양전지의 열화를 야기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40865호(2019.10.30 등록)
본 발명은 강화유리의 두께를 1mm 이하(특히 0.1mm 이하)로 낮추면서 내구성 및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1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유리 기판; 유리 기판 양면에 각각 카테콜아민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버퍼층; 버퍼층 외면에 각각 형성되는 접착층; 및 접착층에 부착되거나 접착층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플라스틱 기재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카테콜아민은 도파민(dopamine), 도파민퀴논(dopamine-quinone), 알파-메틸도파민(alpha-methyldopamine), L-3,4-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3,4-dihydroxyphenylalanine; L-DOPA),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에피네프린(epinephrine), 알파-메틸도파(alphamethyldopa), 드록시도파(droxidopa), 인돌아민(indolamine), 세로토닌(serotonin) 및 5-하이드록시도파민(5-Hydroxydopam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기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이미드(PI), 폴리스틸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우레탄,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사이클릭올레핀 공중합체(COC), 액정 고분자(LCP), 폴리아미드(PA), 폴리이미드(PI), 폴리(페닐렌 에테르) (PPE),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폴리에테르 설폰(PES),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및 아크릴 계통의 수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플라스틱 기재는 접착 시트 또는 접착 필름일 수 있다.
또한, 버퍼층의 두께는 10nm ~ 100nm일 수 있고, 유리 기판의 두께는 0.1mm 이하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의 전체 두께가 1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atate, EVA),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에폭시계 광경화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약염기성 카테콜아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0.1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유리 기판을 단계 a)에서 제조된 약염기성 카테콜아민 수용액에 디핑(dipping) 하여 유리 기판의 양면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c) 버퍼층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단계 a)의 약염기성 카테콜아민 수용액을 제조함에 있어서 과요오드산 나트륨 용액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는 1mm 이하의 두께, 특히 0.1mm이하의 두께(초박형)를 갖는 유리 기판 양면에 카테콜아민을 결합시켜 버퍼층을 형성하고 버퍼층 외면에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접합유리 제조시 상기 버퍼층이 태양광 모듈의 팽창-수축 반복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도록 하여 미세크랙 발생을 방지하고 수분 침투를 억제하며 우수한 접착강도 및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Peel Test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 등은 설명의 편의 등을 위해 과장, 생략,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위치관계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공간에 대한 설명이나 위치관계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공간에는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의 "상부에" 또는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함을 언급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까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100, 이하 '복합다층시트')는 유리 기판(110), 버퍼층(120) 및 접착층(130)을 포함한다.
유리 기판(110)은 투과율이 높고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강화 유리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리 기판(110)은 Na2O-Al2O3-SiO2의 조성을 갖거나 Na2O-CaO-SiO2 조성을 갖는 상용강화유리일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복합다층시트(100)에서 유리 기판(110)의 두께는 1mm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0.1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전체 복합다층시트(100)의 두께도 1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 태양광 모듈에서 강화유리의 중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으므로(기존 태양광 모듈에 사용되는 강화유리의 두께는 최소 0.5mm~3.2mm 가량임), 유리 기판의 두께를 1mm 이하(특히 0.1mm 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 기존 태양광 모듈의 중량을 최소 5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버퍼층(120)은 유리 기판(110)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다. 버퍼층(120)은 카테콜아민이 유리 기판(110)에 결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20)의 두께는 10nm ~ 100nm일 수 있다.
카테콜아민(Catecholamine)은 벤젠 고리의 오쏘(ortho)-기로 하이드록시 기(-OH)를 가지고 파라(para)-기로 다양한 알킬아민을 갖는 단분자를 의미하는 용어다. 상기 카테콜아민은 도파민(dopamine), 도파민퀴논(dopamine-quinone), 알파-메틸도파민(alpha-methyldopamine), L-3,4-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3,4-dihydroxyphenylalanine; L-DOPA),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에피네프린(epinephrine), 알파-메틸도파(alphamethyldopa), 드록시도파(droxidopa), 인돌아민(indolamine), 세로토닌(serotonin) 및 5-하이드록시도파민(5-Hydroxydopam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도파민 또는 L-3,4-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도파민은 신경 말단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로, 카테콜과 아민 작용기를 가지는 분자량 153(Da)의 단분자 물질이다. 바다 속 환경과 동일한 약 염기성 pH 조건(약 pH 8.5)의 도파민 수용액에 표면 개질하고자 하는 물질을 넣었다가 일정 시간 뒤에 꺼내면 카테콜의 산화에 의해 물질의 표면에서 폴리도파민(polydopamine, pDA)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폴리도파민 코팅층은 우수한 부착 특성을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35264140-pat00001
상기 [화학식 1]은 폴리도파민을 나타내는데, 여기에서 R1, R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아민(primary amine) 또는 제2 아민(secondary amine), 니트릴(nitrile), 알데하이드(aldehyde), 이미다졸(imidazole), 아자이드(azide), 할로겐화물(halide), 폴리헥사메틸렌 디티오카보네이트(polyhexamethylene dithiocarbonate), 하이드록실(hydroxyl),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카르복실에스터(carboxylic ester) 또는 카로복사미드(carboxamid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일 수 있으며, 제1 아민 또는 제2 아민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복합다층시트(100)에서 유리 기판(110)의 주성분은 SiO2이며, 이 때 유리 기판(110)의 SiO2와 폴리도파민 등의 카테콜아민 화합물이 결합됨으로써 버퍼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130)은 버퍼층(120)의 외면에 각각 형성된다. 접착층(130)은 열경화성 접착제 또는 광경화성 접착제가 버퍼층(120)에 도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전자의 예로는 에폭시계, 우레탄계 및 아크릴 러버, 아크릴 부타디엔 러버 등이 있고, 후자의 예로는 에폭시계, 우레탄계, 불포화폴리에스테르계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경화성 접착제 또는 광경화성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착층(130)으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atate, EVA) 또는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접착층(130)에는 플라스틱 기재(미도시)가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기재는 광 투과성을 갖는 플라스틱 기재,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명성 플라스틱 기재일 수 있으며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기재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이미드(PI), 폴리스틸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우레탄,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사이클릭올레핀 공중합체(COC), 액정 고분자(LCP), 폴리아미드(PA), 폴리이미드(PI), 폴리(페닐렌 에테르) (PPE),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폴리에테르 설폰(PES),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아크릴 계통의 수지 등으로 형성된 시트 형 또는 필름 형의 기재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다층시트(100)는 광투과율이 50%~88% 범위 일 수 있다(UV-vis 측정 범위: 400nm~600nm).
경우에 따라 접착층(130)과 플라스틱 기재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접착 시트 내지 접착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PVB) 접착시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atate, EVA) 접착시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접착시트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플라스틱 기재 또는 접착 시트는 버퍼층(120)의 카테콜아민의 말단기(NH2)와 공유결합을 형성함으로써 버퍼층(120)과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유리 기판(110)-버퍼층(120)-접착층(130)-플라스틱 기재로 이루어지는복합다층시트(100)는(접착층(130)-플라스틱 기재는 일체형의 접착 시트 또는 접착 필름일 수 있음), 버퍼층(120)이 유리 기판(110)과 플라스틱 기재 사이에서 버퍼(buffer) 역할을 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따른 태양광 모듈의 팽창-수축 반복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변형, 미세기공의 확장, 미세크랙의 발생 및 수분 침투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 기판(110)의 두께를 1mm 이하, 특히 0.1mm 이하의 초박형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접착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태양광 모듈을 제공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다층시트(100)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은 경량 태양광 모듈, 플렉서블 태양광 모듈(유연 태양광 모듈), BIPV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다층시트(100)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복합다층시트 제조방법은 a) 약염기성 카테콜아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1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유리 기판을 단계 a)에서 제조된 약염기성 카테콜아민 수용액에 디핑(dipping) 하여 유리 기판의 양면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c) 버퍼층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a)에서 약염기성 카테콜아민 수용액은 ph 8~9 가량의 약염기성 트리스 완충용액(Tris buffer solution)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카테콜아민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카테콜아민의 유리 기판 표면 코팅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하여 과요오드산 나트륨(Sodium Periodate) 용액을 첨가할 수 있다.
단계 b)는 딥 코팅(dip coating)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mm 이하(특히 0.1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유리 기판(강화 유리 기판)을 상기 약염기성 카테콜아민 수용액에 디핑(dipping)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꺼내어 유리 기판 양면에 버퍼층을 형성한 후, 적당한 온도로 소성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단계 c)는 버퍼층 외면에 통상의 열경화성 접착제 또는 광경화성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는 플라스틱 기재를 접착제 표면에 배치한 후, 열경화 또는 광경화를 진행함으로써 플라스틱 기재를 접합시킬 수 있다. 이 때 진공 압착 등을 함께 수행하여 복합다층시트를 제조 가능하다.
이하, 시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 시험예로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1. 실시예 및 비교예
시험을 위해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실시예 1~3, 비교예 1~5에 따른 복합다층시트를 제조하였다.
구분 유리 기판의 표면처리 접착층 접착 공정
실시예 1 L-DOPA 코팅 PVB 형성 열접착
실시예 2 도파민 코팅 PVB 형성 열접착
실시예 3 도파민 코팅 에폭시계 형성 광접착
비교예 1 별도의 처리 없음 PVB 형성 열접착
비교예 2 코로나 방전 처리 PVB 형성 열접착
비교예 3 아크릴계 프라이머 PVB 형성 열접착
비교예 4 코로나 방전 처리 에폭시계 형성 광접착
비교예 5 아크릴계 프라이머 에폭시계 형성 광접착
(실시예 1~3) Dopamine Chloride를 Di Water와 혼합하여 0.5mM 농도의 수용액을 제조하고, 0.7mM 농도의 트리스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수용액의 pH를 8.0으로 맞추었다. 이어 0.02mM의 과요오드산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도파민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L-DOPA도 마찬가지). 다음으로 0.1mm 두께의 강화유리 기판을 도파민 코팅 용액에 담그고 1분 가량이 지난 후 꺼내고 세척 및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실시예 1,2에서는 코팅된 유리 기판 표면에 PVB를 도포하고 그 위에는 PET 필름(두께:100㎛)을 배치하였다. 실시예 3에서는 코팅된 유리 기판 표면에 에폭시계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는 PET 필름(두께:100㎛)을 배치하였다. 이후, 실시예 1,2는 열프레스를 이용하여 160℃에서 3분간 진공 압착하여 복합다층시트를 제조하였고, 실시예 3은 UV 경화기(385nm 파장, 40W급 출력 이용)를 이용하여 5분간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복합다층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5) 비교예 2,4의 경우 0.1mm 두께의 강화유리 기판의 양면에 공지된 코로나 표면처리를 수행하였으며(표면에너지는 40dyne으로 설정), 비교예 3,5의 경우 동일한 강화유리 기판의 양면에 아크릴계 프라이머를 2㎛ 두께로 코팅하였다. 다음으로 비교예 1~3에서는 유리 기판 표면에 PVB를 도포하고 그 위에는 PET 필름(두께:100㎛)을 배치하였다. 비교예 4~5에서는 유리 기판 표면에 에폭시계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는 PET 필름(두께:100㎛)을 배치하였다. 이후, 비교예 1~3은 열프레스를 이용하여 160℃에서 3분간 진공 압착하여 복합다층시트를 제조하였고, 비교예 4~5는 UV 경화기(385nm 파장, 40W급 출력 이용)를 이용하여 5분간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복합다층시트를 제조하였다.
2. 부착력 측정
KS T 1028(Peel test)에 따른 방법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따른 복합다층시트의 부착력을 시험하였고(속도는 5mm/min), 그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관련하여 도 2는 Peel Test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우측 상단 각주의 위에서부터 비교예 1~3, 실시예 1,2).
구분 접착강도(N) Extension(mm)
실시예 1 158 6.48
실시예 2 223 3.00
실시예 3 243 3.21
비교예 1 158 0.48
비교예 2 162 3.25
비교예 3 181 1.90
비교예 4 158 3.11
비교예 5 168 2.10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2,3에 따른 복합다층시트의 경우 비교예들에 비해 접착강도가 확연히 높음을 확인하였고, 실시예 1에 따른 복합다층시트의 경우 비교예와 접착강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Extension(최대 접착력일 때 접착제가 늘어난 길이를 의미)이 확연히 큰 값을 보이고 있어 비교예보다 접착강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내구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따른 복합다층시트를 고온다습(85℃, 습도 85%) 조건에서 2,000시간 테스트 한 후에 각 시간별로 접착강도를 측정함으로써 내구성을 시험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정리하였다.
구분 접착강도(N)
0 H 300 H 500 H 1000 H 2000 H
실시예 1 158 156 150 148 145
실시예 2 223 223 223 212 202
실시예 3 243 241 240 213 210
비교예 1 158 박리됨 - - -
비교예 2 162 148 45 박리됨 -
비교예 3 181 151 56 25 박리됨
비교예 4 158 142 35 박리됨 -
비교예 5 168 124 42 박리됨 -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3에 따른 복합다층시트의 경우 2000시간 내구성 시험에서도 박리가 일어나지 않은 반면, 비교예 1~5에 따른 복합다층시트의 경우 2000시간 내구성 시험에서 모두 박리가 일어났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다층시트의 접착력이 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복합다층시트
110: 유리 기판
120: 버퍼층
130: 접착층

Claims (18)

1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유리 기판;
유리 기판 양면에 카테콜아민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버퍼층;
버퍼층 외면에 각각 형성되는 접착층; 및
접착층에 부착되거나 접착층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플라스틱 기재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테콜아민은 도파민(dopamine), 도파민퀴논(dopamine-quinone), 알파-메틸도파민(alpha-methyldopamine), L-3,4-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3,4-dihydroxyphenylalanine; L-DOPA),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에피네프린(epinephrine), 알파-메틸도파(alphamethyldopa), 드록시도파(droxidopa), 인돌아민(indolamine), 세로토닌(serotonin) 및 5-하이드록시도파민(5-Hydroxydopam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삭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이미드(PI), 폴리스틸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우레탄,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사이클릭올레핀 공중합체(COC), 액정 고분자(LCP), 폴리아미드(PA), 폴리이미드(PI), 폴리(페닐렌 에테르) (PPE),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폴리에테르 설폰(PES),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및 아크릴 계통의 수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플라스틱 기재는 접착 시트 또는 접착 필름인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버퍼층의 두께는 10nm ~ 100nm인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접착층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atate, EVA),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에폭시계 광경화성 수지로 형성되는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유리 기판의 두께가 0.1mm 이하인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청구항 8에 있어서,
전체 두께가 1mm 이하인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광투과율은 50%~88%인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a) 약염기성 카테콜아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1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유리 기판을 단계 a)에서 제조된 약염기성 카테콜아민 수용액에 디핑(dipping) 하여 유리 기판의 양면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c) 버퍼층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접착층에 플라스틱 기재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단계 c)의 접착층이 플라스틱 기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제조방법.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카테콜아민은 도파민(dopamine), 도파민퀴논(dopamine-quinone), 알파-메틸도파민(alpha-methyldopamine), L-3,4-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3,4-dihydroxyphenylalanine; L-DOPA),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에피네프린(epinephrine), 알파-메틸도파(alphamethyldopa), 드록시도파(droxidopa), 인돌아민(indolamine), 세로토닌(serotonin) 및 5-하이드록시도파민(5-Hydroxydopam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제조방법.
삭제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이미드(PI), 폴리스틸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우레탄,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사이클릭올레핀 공중합체(COC), 액정 고분자(LCP), 폴리아미드(PA), 폴리이미드(PI), 폴리(페닐렌 에테르) (PPE),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폴리에테르 설폰(PES),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및 아크릴 계통의 수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제조방법.
청구항 11에 있어서,
접착층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플라스틱 기재는 접착 시트 또는 접착 필름인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제조방법.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버퍼층의 두께를 10nm~100nm로 형성시키는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제조방법.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접착층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atate, EVA),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에폭시계 광경화성 수지로 형성되는 태양광 모듈용 복합 다층시트 제조방법.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단계 a)의 약염기성 카테콜아민 수용액을 제조함에 있어서 과요오드산 나트륨 용액을 첨가하는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제조방법.
KR1020190177395A 2019-12-30 2019-12-30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및 제조방법 KR102295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395A KR102295167B1 (ko) 2019-12-30 2019-12-30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395A KR102295167B1 (ko) 2019-12-30 2019-12-30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894A KR20210084894A (ko) 2021-07-08
KR102295167B1 true KR102295167B1 (ko) 2021-08-27

Family

ID=7689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395A KR102295167B1 (ko) 2019-12-30 2019-12-30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1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436B1 (ko) * 2013-10-15 2014-11-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홍합유래 폴리도파민을 이용한 유기 박막 포토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9214492A (ja) * 2018-06-13 2019-12-19 東レ株式会社 ガラス強化基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865B1 (ko) 2013-01-03 2019-11-06 주식회사 케이씨씨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개선된 접합유리
KR20160124395A (ko) * 2015-04-18 2016-10-27 주식회사 태광뉴텍 폴리카보네이트-유리 접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436B1 (ko) * 2013-10-15 2014-11-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홍합유래 폴리도파민을 이용한 유기 박막 포토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9214492A (ja) * 2018-06-13 2019-12-19 東レ株式会社 ガラス強化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894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1962B (zh) 一种具有高粘结性的太阳能电池背膜及加工工艺
US20100059105A1 (en) Use of polyamide as an encapsulating material for photovoltaic modules
EP2151884A1 (en) Laminate and solar battery using the laminate
US8552288B2 (en) Photovoltaic module with adhesion promoter
EP3013483B1 (en) Coating for aircraft fuselage surfaces to produce electricity for mission-critical systems on military aircraft
CN109390422B (zh) 一种轻质光伏组件
CN109456710B (zh) 一种封装背板一体化材料及其制备方法
EP2693101A1 (en) Solar lighting system
WO2014153997A1 (zh) 太阳能电池背板及太阳能电池组件
CN215988795U (zh) 一种光伏组件及屋面结构
KR102295167B1 (ko) 태양광 모듈용 복합다층시트 및 제조방법
JPH1028474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201199524Y (zh) 一种高粘结性太阳能电池背膜
CN107968131B (zh) 太阳能电池背板、其制备方法和含有其的太阳能电池组件
KR101076787B1 (ko)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CN107611203B (zh) 一种高性能太阳能电池背板及制备方法和组件
TW201324821A (zh) 藉由將壓感性黏著劑(psa)層合至離型膜上而成之光伏打電池-壓感性黏著劑(pv-psa)層合體
CN201199523Y (zh) 一种用于太阳能电池的背膜
JP4967414B2 (ja)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EP2459626B1 (en) Protective layers suitable for application as back sheets for photovoltaic modules
CN109244166B (zh) 一种封装前板及其制备工艺
CN201199526Y (zh) 一种太阳能电池背膜
JP6819049B2 (ja) 融雪機能付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205900561U (zh) 一种薄膜玻璃封装光伏组件
CN206520288U (zh) 复合型太阳能背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