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662B1 - 디스플레이 유닛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662B1
KR102294662B1 KR1020187033864A KR20187033864A KR102294662B1 KR 102294662 B1 KR102294662 B1 KR 102294662B1 KR 1020187033864 A KR1020187033864 A KR 1020187033864A KR 20187033864 A KR20187033864 A KR 20187033864A KR 102294662 B1 KR102294662 B1 KR 102294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extruded
section
display unit
peripher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890A (ko
Inventor
마이클 엔트위슬
Original Assignee
어벤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벤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어벤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5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08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means of grooves, rails, or slits
    • G09F7/10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means of grooves, rails, or slits and slideably moun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 및 주변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서, 상기 주변 프레임 내에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되며, 상기 주변 프레임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지지되며, 상기 주변 프레임은 복수의 직선형 압출 섹션, 및 직선형 압출 섹션들을 함께 연계시켜 주변 프레임을 형성하는 복수의 모서리 섹션을 포함하고, 각각의 직선형 압출 섹션은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비가요성의 내향 대면 표면을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중실형인(solid) 본체를 가지고, 상기 표면 내에는, 직선형 압출 섹션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채널은, 프로파일에서, 좁은 목 부분 및 상기 목 부분 아래의 넓은 주 부분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각각의 채널 결합 부재가 임의의 희망하는 횡방향 이격 채널 내에 배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그리고 상기 채널을 따라 희망 길이방향 위치까지 활주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상기 압출 채널 중 임의의 하나 내로 슬롯 결합 되도록,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의 구성요소를 위한 구성요소를 위한 장착부를 하나 이상의 횡방향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비가요성의 내향 대면 표면에 대해서 고정하도록, 각각 배열된 복수의 채널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유닛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관한 것이고, 특히, 그러나 비배타적으로, 연관된 컴퓨터, 통신 장비, 음향 장비 또는 기타와 같은, 보조 장비를 수용할 수 있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독립 직립(freestanding)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적어도 독립 직립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기업 시장에서, 상이한 디스플레이 패널들 또는 디스플레이 보드, 예를 들어 다수의 평판 디스플레이, 하나의 디스플레이로서 기능하도록 상호 연계된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예를 들어 평판 디스플레이 및 인터렉티브 화이트보드와 같은, 상이한 디스플레이 유형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큰 디스플레이가 이제까지 요구되고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근접할 필요가 있고, 이들은, 전형적으로, 종종 디스플레이에 인접하여 구분되어 수용되는, 컴퓨터 및 통신 장치와 같은, 상당한 수량의 관련 구성요소를 필요로 한다. 대안적으로, 적절한 케이블링이 디스플레이와 원격 위치 보조 장비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현재,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가 현장(site)에서 구축될 수 있고 통상적인 벽에 장착된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으며, 그러한 통상적인 벽은 일부 경우에 목적을 가지는 건물 파티션 또는 더미 벽(dummy wall)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뒤쪽에 보이지 않도록 배열되는 프레임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유형의 디스플레이의 장점은, 그러한 디스플레이가 특정 요건에 맞춰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디스플레이의 단점은, 디스플레이가 비교적 영구적이고, 그에 따라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들은 또한, 종종, 디스플레이를 고정하기 위한 통상적인 벽 또는 파티션을 요구하여, 그러한 디스플레이를, 현대의 개방 계획 사무실, 또는 심지어, 특히 파티션이 유리 파티션인, 파티션화된 지역 내의 많은 위치에 설치하기 어렵게 만든다.
전술한 유형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벽 또는 스탠드에 장착될 수 있는 많은 수의 자립형(self-contained)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전형적으로 "규격품(off the shelf)" 유닛이고, 특정 고객의 요건에 맞춰 용이하게 제조될 수 없거나 재구성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라,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 및 주변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공되고, 주변 프레임 내에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되며, 주변 프레임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지지되며, 주변 프레임은 복수의 직선형 압출 섹션, 및 직선형 압출 섹션들을 함께 연계시켜 주변 프레임을 형성하는 복수의 모서리 섹션을 포함하고, 각각의 직선형 압출 섹션은 외부의 외향 대면 면 및 내부의 내향 대면 면을 가지며, 내향 대면 면은 직선형 압출 섹션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이격된 채널을 가지며, 각각의 채널은, 프로파일에서, 좁은 목 부분 및 목 부분 아래의 넓은 주 부분을 가지며, 디스플레이 유닛은, 각각의 채널 결합 부재가 희망 채널 내에 배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그리고 그러한 채널을 따라 희망 위치까지 활주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압출 채널 내로 슬롯 결합(slotted) 되도록,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의 구성요소를 위한 구성요소를 위한 장착부를 고정하도록, 각각 배열된 복수의 채널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은, 주변 프레임이 디스플레이의 여러 구성요소를 위한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하우징을 제공할 수 있고 그리고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이 특별한 요건에 맞춰 구성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구성요소를 지지할 수 있는,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은 다수의 공통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고, 이어서 디스플레이 유닛이 벽에 장착되거나, 가능하게는 작은 안정화 다리 또는 받침부의 도움으로, 벽에 대해서 서있거나 독립 직립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설치되는 임시 벽 또는 기타를 제공할 필요가 없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예를 들어 전시장 또는 컨퍼런스에서 "일시적으로" 설치하기 편리하게 하거나, 예를 들어 방의 모서리에 걸쳐 또는 유리 파티션에 대해서, 임의의 편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편하게 한다.
전술한 모든 것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보조 구성요소를 수용 및 지지하는 주변 프레임에 의해서, 본 발명으로 가능해 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최소의 임의 외부 케이블로 감소시키는, 임의의 요구되는 컴퓨터 또는 보조 장비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깔끔한 구조물을 제공할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를 내부에서 지지하는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유닛이 독립 직립될 수 있게 하거나 벽에 비교적 단순하게 장착될 수 있게 하는데, 이는, 바닥 상에 직립하는 것에 의해서 또는 벽 상의 적절한 장착부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주변 프레임을 지지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임의 유형의 시각적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시각적 디스플레이 보드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구성요소는 단지 2가지 기본적인 구성요소 유형으로 구축된 프레임 내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주변 프레임은, 스피커 또는 컴퓨터 또는 통신 장비를 저장하기 위한 랙 장착 포드와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가 주변 프레임 내의 임의 희망 위치에 장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주변 프레임이 단지 2가지 구성요소 유형(직선형 압출 섹션 및 모서리 섹션)으로 구축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요소, 예를 들어 1, 2 또는 3개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선택이, 특별한 요건을 위해서 선택될 수 있고, 이어서 선택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기 위한 정확한 길이로 디스플레이 유닛을 만들기 위한 적절한 길이로 직선형 압출 섹션이 절단된다. 이어서, 스피커 또는 블랭킹 패널과 같은 다른 적절한 구성요소가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을 완성하여, 콤팩트한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직선형 압출 섹션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기부 섹션 및 2개의 측면 부분을 갖는, 실질적으로 U-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며, 기부 부분의 내부 면은 적어도 2개의 압출된 채널을 내부에 갖는다. U-형상의 횡단면은 특히 만족스러운 미적 형태를 갖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비스듬한 외부 연부를 가질 수 있고, 또한 주변 프레임의 강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블랭킹 패널이 주변 프레임의 연부에 직접 접경되게 할 수 있는 한편, 구성요소를 직선형 압출 섹션의 기부 부분 내의 압출 채널에 부착하기 위한 임의의 장착을 위한 제한된 공간을 여전히 남긴다.
기부 분의 내부 면 상에 적어도 2개의 압출 채널을 제공하는 것은, 구성요소가 프레임을 따른 임의 위치에서, 다수의 횡방향 위치들에 장착될 수 있게 하거나, 구성요소가 직선형 압출 섹션을 따른 임의 위치에서 다수의 횡방향 위치들 중 선택된 하나에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3개 이상의 채널이 직선형 압출 섹션의 편평한 기부 부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 직선형 압출 섹션의 측면 부분들의 내부 면들의 적어도 하나 및 그 초과, 바람직하게 그 둘 모두가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내부에 갖는다. 이는, 구성요소를 위한 장착부가 측면 부분의 내부 면 내의 채널 및 기부 부분의 내부 면의 채널 모두에 고정되는 경우에 특히 안정적인 고정부(anchorage)를 제공할 수 있고, 그러한 채널은, 프로파일에서, 특히 서로에 대해서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측면 부분의 내부 면 내의 채널은, 주변 프레임의 전방 연부와 같은 높이로 장착되는 구성요소를 위한 장착부를 위한 편리한 고정부를 제공할 수 있다.
유리하게, 각각의 모서리 섹션은 직선형 압출 섹션 내의 채널에 상응하는 채널을 가지는 횡단면 프로파일을 가지며, 그러한 채널은, 주변 프레임이 조립될 때, 직선형 압출 섹션 내의 채널과 정합된다(register). 이러한 방식으로, 직선형 압출 섹션 내의 채널은 모서리 섹션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연장되고, 그러한 모서리 섹션은 직선형 압출 섹션과 동일한 압출된 섹션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곡선형이다.
모서리 섹션을 통한 연속적인 채널 모두는 구성요소를 모서리 섹션에 고정하기 위해서 결합 부재가 이용될 수 있게 하고, 또한, 결합 부재가, 채널 내에 구속되는(captive) 경우에, 가능하게는 구성요소를 위한 적절한 장착부가 이미 부착된 상태로, 하나의 압출된 직선형 섹션으로부터 다른 압출된 직선형 섹션으로 활주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 이는 적절한 장착부가 하나 이상의 직선형 압출 섹션 상에 미리 조립될 수 있고 이어서, 주변 프레임이 조립된 후에, 이들이 적절한 위치로 활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직선형 압출 섹션 및 모서리 섹션은, 횡단면에서, 주변 프레임이 조립될 때 각각의 맞춤못(dowel)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상응하는 홀의 세트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주변 프레임의 인접한 섹션들이 정합되게 보장하는 편리한 방식으로 제공하고, 주변 프레임의 인접 섹션들 사이의 강력한 조인트를 제공한다. 또한, 브레이싱 모서리 부재를 이용하여, 인접 압출 직선형 섹션의 단부를 브레이싱 섹션(bracing section)을 따른 중간의 일 단부에 그리고 각각의 모서리 섹션에 대한 타 단부에 고정된 턴버클(turnbuckle)과 연결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모서리 섹션을 2개의 직선형 압출 섹션 내로 끌어당길 수 있게 하고, 그에 의해서 섹션들을 함께 록킹하고 모서리를 90°또는 모서리 섹션의 기하형태에 따른 일부 다른 희망 각도로 브레이싱한다.
채널 결합 부재는, 채널 내로 삽입될 수 있고 희망 위치로 활주될 수 있는, T-슬롯 너트일 수 있다.
단순한 형태에서, 주변 프레임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주변 프레임을 함께 만들 수 있는, 4개의 직각 모서리 섹션 및 4개의 압출된 직선형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평행한 전방 및 후방 면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형 섹션을 포함할 수 있고, 주변 프레임은 평면형 섹션 주위에서 연속적인 연부를 형성한다. 이는, 특히 만족스러운 외관을 디스플레이 유닛에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둘 이상의 평면형 섹션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2개의 평면형 섹션이 서로에 대해서 각도를 형성하고, 주변 프레임은 모든 평면형 섹션 주위에서 연속적이다. 이러한 배열의 장점은, 둘 이상의 평면형 섹션들 사이의 각도가 디스플레이 유닛을 직립 위치에서 유지할 것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독립 직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주변 프레임이 2개의 인접한 직선형 압출 섹션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이들은 2개의 각각의 평면형 섹션들이 만나는 곳에서 연접될(mitred) 수 있다.
주변 프레임은 바람직하게 디스플레이 유닛의 완전한 주변부 주위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데, 이는, 그러한 것이 주변 프레임의 강건성을 크게 높이기 때문이다.
유리하게, 디스플레이 유닛은 주변 프레임 내에 수용되고 그에 의해서 지지되는 상이한 유형의 복수의 구성요소 및, 상이한 구성요소 유형들이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적절한 챔버 내에서 그리고 채널을 따른 적절한 위치에서 채널 결합 부재와 결합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상이한 유형의 장착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주변 프레임 내에서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내부 프레임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내부 프레임 부재는 주변 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되고 그에 의해서 제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적절한 장착부를 통해서, 주변 프레임 내의 채널과 결합되도록 배열된다. 이는, 구성요소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절반에 걸쳐 연장될 수 있게 하고 하나의 연부가 디스플레이 유닛의 중간에서 내부 프레임 부재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한편, 주변 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되는 프레임 부재로 인해서 주변 프레임에 의해서 여전히 지지되게 한다.
내부 프레임 부재가 있는 경우에, 이들은 바람직하게 압출되고 그리고 주변 프레임 내의 압출 채널과 동일한 횡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압출 채널을 갖는다. 이는, 동일한 채널 결합 부재, 예를 들어 T-슬롯 너트가, 주변 프레임과 함께 이용되는 바와 같이, 내부 프레임 부재와 함께 이용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또한 동일한 장착부가 이용되게 할 수 있다.
유리하게,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 내에 장착되는 복수의 상이한 유형의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를 위한 장착부를 제공하기 위해서 채널 결합 부재와 결합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동일한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고, 동일한 장착부들은 상이한 유형의 구성요소를 주변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부 및 구성요소의 표준화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재구성하는 것 또는 표준 구성요소 및 장착부로부터 특별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축하는 것을 비교적 단순화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라, 모두가 전술한 바와 같은 상이한 디스플레이 유닛 구성으로 조립되도록 배열되는, 많은 수의 동일한 디스플레이 패널, 직선형 압출 섹션, 모서리 섹션 및 다른 동일한 구성요소의 세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제, 단지 예로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스크린 디스플레이 유닛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스크린 디스플레이 유닛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안적인 이중 스크린 유닛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6개 스크린 디스플레이 유닛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변 프레임의 직선형 압출 섹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4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변 프레임의 모서리 섹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모서리 섹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모서리 섹션의 제2 사시도이다.
도 9는 모서리 판이 부착된, 도 6 내지 도 8의 모서리 섹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부가적인 내부 프레임 구성요소에 함께 연결되고 이를 지지하는, 도 1 내지 도 4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변 프레임의 2개의 직선형 섹션 및 모서리 섹션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턴버클에 의해서 도 5의 2개의 직선형 섹션에 부착된 도 6 내지 도 8의 모서리 섹션을 도시한다.
도 12는, 스피커 하우징 및 스피커 패널이 도 5의 직선형 압출 섹션에 어떻게 부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도 13은 전방 유리 패널이 백 박스(back box)에 의해서 도 1 내지 도 4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변 프레임에 어떻게 부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반적으로 1a로 표시된, 단일 스크린 디스플레이 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4개의 직선형 압출 섹션(3a 내지 3d) 및 4개의 모서리 섹션(실시예에서는 곡선형 압출 섹션(4a 내지 4d)으로 칭함)으로 이루어진 외부 주변 프레임(2)을 포함한다.
주변 프레임(2) 내에, 단일 평판 디스플레이(5a), 2개의 스피커 패널(6a 및 6b), 카메라 패널(7a), 디스플레이 유닛(1a)과 연관된 컴퓨터 및 통신 장비와 같은 전기 장비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드롭 포워드 스토리지 핀(two drop forward storage pin)(8a 및 8b), 및 2개의 유리 블랭킹 패널(10a 및 10b)이 장착된다.
도 1 내지 도 4의 검토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여러 디스플레이 유닛(1a 내지 1d)은 도 1a의 디스플레이 유닛과 유사하고, 그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평판 디스플레이(5), 직선형 압출 섹션(3)으로 구성된 주변 프레임(2), (디스플레이 유닛(1c 및 1d)의 경우에, 이들 중 일부가 인접 직선형 압출 섹션에 접경되도록 적절하게 연접된다) 주변 프레임(2)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많은 수의 곡선형 압출 섹션(4), 블랭킹 패널(10), 카메라 패널(7), 스피커 패널(6) 및 드롭 포워드 랙 장착 포드(8)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의 상이한 디스플레이 유닛(1a 내지 1d)은, 장착부, 곡선형 압출 섹션(4),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5), 스피커 패널(6), 드롭 포워드 랙 장착 포드(8) 및 유리 블랭킹 패널(10)과 같은, 적어도 일부 공통 구성요소로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직선형 압출 섹션의 길이가, 상이한 디스플레이 유닛(1a 내지 1d)의 주변 프레임의 직선형 압출 섹션을 형성하기 위한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a 내지 1d)의 주변 프레임(2)의 직선형 압출 섹션(3)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직선형 압출 섹션(3)은 알루미늄으로부터 압출되나, 다른 금속으로부터 또는 경질 플라스틱으로부터 압출될 수 있다.
직선형 압출 섹션(3)은 기부 부분(11) 및 2개의 측면 부분(12 및 13)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프로파일에서, 직선형 압출 섹션(3)은 매끄러운 외부 면(14) 및 내부 면(15)을 갖는 실질적으로 U-형상이다.
기부 부분(11) 및 각각의 측면 부분(12 및 13) 모두 내에서, 많은 수의 채널(16a 내지 16g)이 내부 면(15) 내에 형성되도록 압출 프로파일이 구성되고, 각각의 채널(16a 내지 16g)은 좁은 목 부분을 갖는다.
직선형 압출 섹션(3)은 또한 관통 연장되는 많은 수의 원형 개구부(17)를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직선형 압출 섹션(3)은 디스플레이 유닛(1a 내지 1d) 중 하나의 주변 프레임(2)의 하단 섹션으로서 이용하기 위한 것이고, 디스플레이 유닛 내로의 케이블링을 위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서 그 내부로 가공된 개구(18)를 갖는다. 또한 장착부(29 및 30)는, 채널(16a 내지 16g) 중의 적절한 채널 내의 T-슬롯 너트에 의해서 직선형 압출 섹션(3)에 고정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착부(28 및 29)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이러한 도면들은 디스플레이 유닛(1a 내지 1d)의 모서리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된 곡선형 압출 섹션(4)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한다. 곡선형 압출 섹션(4)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압출로 형성되나, 이는 적절한 길이로 절단되고 이어서 곡선화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다른 프로세스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고, 특히 이들이 다이캐스트될 수 있다.
곡선형 압출 섹션(4)은 도 5에 도시된 직선형 압출 섹션과 동일한 횡단면 프로파일을 가지며, 원형 개구부(17)는 맞춤못(미도시)을 수용하여 인접한 직선 및 곡선형 압출 섹션(3, 4)을 정렬시키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곡선형 압출 섹션(4)은 그 내부 면 상에서 많은 수의 홀(19)을 가지며, 그러한 홀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판(20)을, 체결부(21)에 의해서, 곡선형 압출 섹션(4)의 내부 면에 장착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유닛(1a)의 주변 프레임(2)의 단면을 도시하고, 그러한 주변 프레임은, 내부 면에 고정된 모서리 판(20)을 갖는 곡선형 압출 섹션(4d)에 의해서 함께 결합된 2개의 직선형 압출 섹션(3c 및 3d)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그러나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맞춤못은 곡선형 압출 섹션(4d)의 원형 개구부(17) 내로 삽입되고, 그러한 맞춤못은 직선형 압출 섹션(3c 및 3d) 내의 상응하는 원형 개구부(17)와 결합된다. 또한, 모서리 판(20)은 각각의 직선형 압출 섹션(3c 및 3d)의 내부 면(15) 위에서 연장되고, 원하는 경우에, 채널(16b 내지 16f) 중 적절한 채널 내에 미리 삽입되고 구속된 T-슬롯 너트와 결합되는 체결부에 의해서, 그에 고정될 수 있다. 양 직선형 압출 섹션(3c 및 3d)의 채널(16d 및 16c) 내의 동일한 구속 T-슬롯 너트를 이용하여 브레이스 부재(22)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된 내부 프레임 부재(23 및 24)가 또한 주변 프레임(2)에 의해서 고정되고 지지될 수 있고, 이들은, 임의의 희망 위치에서 적절한 채널(16a 내지 16f) 내의 적절한 T-슬롯 너트에 체결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임의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부 프레임은 주변 프레임 내에 장착된 구성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대안적인 배열을 도시하고, 여기에서 브레이스 부재(22)는 턴버클(25)에 의해서 모서리 판(20)에 부착되고 그에 따라 곡선형 압출 섹션(4)에 부착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버클의 장력화는 직선형 압출 섹션(3a 및 3b)과 결합되도록 곡선형 압출 섹션(4)을 당기며, 주변 프레임(2)의 인접 섹션들은 맞춤못(미도시)에 의해서 정렬 유지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이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프레임(2)의 완전한 내부 면 주위에서 연장될 수 있는) 채널(16a 내지 16g)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a 내지 1d)의 여러 구성요소를 위한 장착부(26 내지 29)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스피커 패널(6a)을 위한 백킹 박스(30)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서 이용되는, 위치결정 핀 형태의, 장착부(26)를 도시한다. 장착부(27)는 스피커 하우징(31) 및 연관된 스피커(미도시)를 스피커 패널(6a) 뒤에 장착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유사하게, 도 13에서, 장착부(28)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유닛(1a)의 유리 블랭킹 패널(10b)의 백킹 박스(32)를 정확하게 배치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백킹 박스(32)는 장착부(29) 상의 자석(33)에 의해서 제 위치에서 유지된다.
도 12 및 도 13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절한 위치에서 채널(16a 내지 16g) 중 하나 이상에 고정된 장착부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이한 구성요소들을 많은 필요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서 장착하기 위해서, 많은 수의 표준 장착부가 이용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24)

  1.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 및 주변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서,
    상기 주변 프레임 내에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되며, 상기 주변 프레임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지지되며,
    상기 주변 프레임은 복수의 직선형 압출 섹션, 및 직선형 압출 섹션들을 함께 연계시켜 주변 프레임을 형성하는 복수의 모서리 섹션을 포함하고, 각각의 직선형 압출 섹션은 편평하고 비가요성의 내향 대면 표면을 형성하는 중실형인(solid) 본체를 가지고,
    상기 내향 대면 표면 내에는, 직선형 압출 섹션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압출된 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채널은, 프로파일에서, 좁은 목 부분 및 상기 목 부분 아래의 넓은 주 부분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위한 복수의 장착부, 및 복수의 채널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채널 결합 부재가 희망하는 임의의 횡 방향으로 이격된 채널 내에 배치되고 상기 채널을 따라 희망 길이방향 위치까지 활주되기 위해서, 각각의 채널 결합 부재는 상기 압출 채널 중 임의의 하나 내로 슬롯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구성요소를 위한 장착부를 소망하는 위치에서 고정하되, 상기 복수의 장착부를 둘 이상의 횡방향 위치에서, 상기 편평하고 비가요성의 내향 대면 표면에 대해서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직선형 압출 섹션의 횡방향 프로파일이 상기 압출된 섹션의 길이방향 중앙 평면 주위에서 대칭적인, 디스플레이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향 대면 표면 내의 인접한 압출 채널들이 동일하게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직선형 압출 섹션은, 편평한 기부 부분 및 2개의 측면 부분을 갖는, U-형상의 횡단면 프로파일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 부분의 적어도 내부 면이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내부에 가지는, 디스플레이 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양 측면 부분의 내부 면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내부에 가지는, 디스플레이 유닛.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모서리 섹션은 상기 직선형 압출 섹션 내의 채널에 상응하는 채널을 가지는 횡단면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채널은, 상기 주변 프레임이 조립될 때, 상기 직선형 압출 섹션 내의 채널과 정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섹션이 압출에 의해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직선형 압출 섹션의 쌍과 인접 모서리 섹션을 결합시키는 맞춤못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압출 섹션 및 모서리 섹션은, 횡단면에서, 상기 주변 프레임이 조립될 때 각각의 맞춤 못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상응하는 홀의 세트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유닛.
  11. 제1항 또는 제2항에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압출 섹션은, 횡단면에서, 상기 중실형 본체 내에 압출된 부가적인 특징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유닛.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압출 섹션은, 내부에 형성된 임의의 압출된 채널로부터 이격된, 중실형 형태인, 디스플레이 유닛.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결합 부재가 T-슬롯 너트인, 디스플레이 유닛.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압출 섹션 및 상기 모서리 섹션 모두가 금속인, 디스플레이 유닛.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프레임이 4개의 직각 모서리 섹션 및 4개의 압출된 직선형 섹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평행한 전방 및 후방 면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형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프레임은 상기 평면형 섹션 주위에서 연속적인 연부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둘 이상의 평면형 섹션을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평면형 섹션이 서로에 대해서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주변 프레임은 모든 평면형 섹션 주위에서 연속적인, 디스플레이 유닛.
  18. 제17항에 있어서,
    2개의 각각의 평면형 섹션들이 만나는 곳에서 연접되는, 상기 주변 프레임의 2개의 인접한 직선형 압출 섹션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프레임 내에 수용되고 그에 의해서 지지되는 상이한 유형의 복수의 구성요소 및, 상이한 구성요소 유형들이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적절한 챔버 내에서 그리고 채널을 따른 적절한 부분에서 상기 채널 결합 부재와 결합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상이한 유형의 장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상기 주변 프레임 내에서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내부 프레임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내부 프레임 부재는 상기 주변 프레임에 의해서 지지되고 그에 의해서 제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적절한 장착부를 통해서, 주변 프레임 내의 채널과 결합되도록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 부재가 압출되고 그리고 상기 주변 프레임의 상기 직선형 압출 채널 내의 압출된 채널과 동일한 횡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디스플레이 유닛.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내에 장착되는 복수의 상이한 유형의 구성요소 및 상기 구성요소를 위한, 구성요소를 위한 장착부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채널 결합 부재와 결합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동일한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일한 장착부들은 상이한 유형의 구성요소를 상기 주변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
  23. 삭제
  24. 삭제
KR1020187033864A 2016-05-06 2017-04-28 디스플레이 유닛 KR102294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607975.8A GB2549990B (en) 2016-05-06 2016-05-06 A Display Unit
GB1607975.8 2016-05-06
PCT/GB2017/051214 WO2017191440A1 (en) 2016-05-06 2017-04-28 A display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890A KR20190005890A (ko) 2019-01-16
KR102294662B1 true KR102294662B1 (ko) 2021-08-26

Family

ID=5629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864A KR102294662B1 (ko) 2016-05-06 2017-04-28 디스플레이 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54119B2 (ko)
EP (1) EP3453014B1 (ko)
KR (1) KR102294662B1 (ko)
CN (1) CN109155119B (ko)
ES (1) ES2932176T3 (ko)
GB (1) GB2549990B (ko)
SG (1) SG11201809713QA (ko)
WO (1) WO20171914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9037B2 (en) 2019-01-25 2023-12-0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10961703B2 (en) * 2019-08-19 2021-03-30 RAYVA International LLC Corner assembly for a modular wall overlay system
BE1027690B1 (nl) * 2019-10-18 2021-05-18 Aluvision N V Modulair tegelelement
USD954717S1 (en) * 2020-06-16 2022-06-14 Urben Technologies Limited Stand
GB2597752A (en) 2020-08-03 2022-02-09 Urben Tech Limited A display un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36116A1 (en) * 2009-03-20 2010-09-23 Skyline Displays, Inc. Configurable large-depth panel display
KR101240575B1 (ko) 2012-08-20 2013-03-11 주식회사 오로라 전면 설치 및 수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25549A (de) * 1971-04-15 1972-07-15 Sprecher & Schuh Ag Elektrische Baueinheit aus wahlweise in Stabform hintereinander zusammenfügbaren Schaltungselementen
GB2094535A (en) * 1981-03-06 1982-09-15 Pressweld Ltd Display frame
US4630386A (en) * 1985-08-29 1986-12-23 Wilson Arthur K Reversible picture frame
US4907388A (en) * 1988-08-11 1990-03-13 Siahatgar Mohammed T Modular panel frame assembly system
US5101423A (en) * 1989-02-15 1992-03-31 Kabushiki Kaisha Okamoto Seisakusho X-ray cassette
GB9107355D0 (en) * 1991-04-08 1991-05-22 Signfix Ltd Sign framing
US5377434A (en) * 1993-10-29 1995-01-03 Wilson; Arthur K. Sectional frame display
US5479733A (en) * 1993-11-01 1996-01-02 Color Arts, Inc. Display apparatus
US6141926A (en) * 1995-10-26 2000-11-07 Tetrad Marketing/Sales Ltd. Panel construction and connection system
DE20001923U1 (de) * 2000-02-04 2000-05-18 Daemmler Tuerensysteme Gmbh Rahmenprofilschiene zur Stabilisierung von frei im Raum anordenbaren Wandelementen
CN2431388Y (zh) * 2000-07-14 2001-05-23 洪荣成 新式防盗窗
US6279278B1 (en) * 2000-09-01 2001-08-28 Anderson Hickey Company Top cap arrangement for upright wall panel
DE102004050498B4 (de) * 2004-10-15 2007-02-15 Rittal Gmbh & Co. Kg Gehäuse oder rahmenartige Aufnahmeeinheit
US7336195B2 (en) * 2005-04-07 2008-02-26 Lighthouse Technologies Ltd. Light emitting arr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1025875A (zh) * 2006-02-21 2007-08-29 乐金电子(南京)等离子有限公司 等离子显示器
DE102006013970B4 (de) * 2006-03-15 2008-08-14 J. Schmalz Gmbh Unterdruckflächengreifvorrichtung
KR100838879B1 (ko) 2006-09-21 2008-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용프레임
US8046962B2 (en) * 2006-11-06 2011-11-01 Haworth, Inc. Structural top cap arrangement for wall panel
BE1018433A6 (ko) * 2007-03-30 2010-11-09 Piron David
KR101062424B1 (ko) * 2008-04-10 2011-09-05 안대벽 간판용 프레임
KR101066169B1 (ko) * 2009-06-30 2011-09-20 주식회사 광도 일면 광고용 간판의 테두리프레임
US8561815B2 (en) 2009-09-18 2013-10-22 Fisher-Rosemount Systems, Inc. Mounting frames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s
CN103422798A (zh) * 2012-05-21 2013-12-04 力福建材(昆山)有限公司 固定式窗叶外框架的改良结构
DE202012011537U1 (de) * 2012-11-29 2014-03-06 Novomatic Ag Leuchtrahmensystem
CN103108146B (zh) * 2013-01-14 2015-11-18 佛山市兴知源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电视机用固定框体
KR101424686B1 (ko) * 2013-01-29 2014-08-01 제이에스엘씨디(주)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레임 어셈블리
US9578772B2 (en) * 2014-09-05 2017-02-21 Emerson Network Power, Energy Systems, North America, Inc. Cabinet frame enclosures, frame members and corresponding methods
US20190367263A1 (en) * 2018-06-04 2019-12-05 Jan Chabot Assembly System For Customizable Contain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36116A1 (en) * 2009-03-20 2010-09-23 Skyline Displays, Inc. Configurable large-depth panel display
KR101240575B1 (ko) 2012-08-20 2013-03-11 주식회사 오로라 전면 설치 및 수리가 가능한 led 전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32176T3 (es) 2023-01-16
EP3453014B1 (en) 2022-09-14
GB201607975D0 (en) 2016-06-22
CN109155119A (zh) 2019-01-04
GB2549990A (en) 2017-11-08
US10854119B2 (en) 2020-12-01
EP3453014A1 (en) 2019-03-13
KR20190005890A (ko) 2019-01-16
SG11201809713QA (en) 2018-11-29
US20190180656A1 (en) 2019-06-13
GB2549990B (en) 2021-10-20
CN109155119B (zh) 2022-03-22
WO2017191440A1 (en)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4662B1 (ko) 디스플레이 유닛
US11614114B2 (en) Panels for an assembled product
US5642593A (en) Knockdown and reassemble office partition
ES2289277T3 (es) Estructura de bastidor de armario y metodo de montaje del mismo.
US8720839B2 (en) Connector for panel members
US8733851B2 (en) Modular furniture system
US8365449B2 (en) Configurable large-depth panel display
US20200291647A1 (en) Quick assemble wall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8033059B2 (en) Paneling system
US20170290421A1 (en) Modular Structural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US9874010B2 (en) Panel and wall module connectio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US8234983B2 (en) Post and beam furniture construction
US6023896A (en) Modular parti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such systems
US20220341162A1 (en) Quick assemble wall system, and related methods
GB2193781A (en) Screen assembly
JP2005102737A (ja) 自在な展開を可能にしたデスク
TW584692B (en) Reconfigurable frame system for interior use
RU2805600C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мебельного каркаса и коннектор узла соединения мебельного каркаса
JP4301912B2 (ja) デスク用の配線ダクトにおける付属品の取付構造
JP5257191B2 (ja) 間仕切装置における配線ダクト装置
JP5784897B2 (ja) 間仕切構成体
JP2007303176A (ja) 間仕切装置における受付台装置
IE83793B1 (en) Reconfigurable frame system for interior use
AU2013205598A1 (en) A modular wall or partition system
JPH04161632A (ja) パーティションのウォールサポート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