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968B1 -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968B1
KR102293968B1 KR1020210050170A KR20210050170A KR102293968B1 KR 102293968 B1 KR102293968 B1 KR 102293968B1 KR 1020210050170 A KR1020210050170 A KR 1020210050170A KR 20210050170 A KR20210050170 A KR 20210050170A KR 102293968 B1 KR102293968 B1 KR 102293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aerial
support
adjacen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시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시티
Priority to KR1020210050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9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 E04G11/24Construction of lifting jacks or climbing rods for slid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Abstract

수직구의 공중벽체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슬립폼을 상승시키면서 생성될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를 시공할 시 인접벽체에 구비되는 매입 고정수단; 및 상기 슬립폼의 중간 작업대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슬립폼을 상승시키면서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를 시공할 시에는 상기 슬립폼과 함께 상승되다가 생성될 공중벽체의 시작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매입 고정수단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중간 작업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슬립폼을 더 상승시키면서 인접벽체와 함께 시공되는 공중벽체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며, 상기 공중벽체의 시공이 완료된 다음에는 상기 매입 고정수단으로부터 분리되어 해체할 수 있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A DEVICE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A WALL FOR AN AERIAL WALL CONSTRUCTION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AERIAL WA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구 내부 벽체가 저면에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 벽체 형성 시작 지점에서 그 상부에 형성되는 벽체를 지지할 수 있는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의 입체적인 개발을 위하여 도심지 지하공간을 활용한 대심도 터널이나 공공시설물을 수용하는 공동구 등의 시공이 증대됨에 따라, 시공 중 공사용 시공 후의 유지관리 통로 그리고 환기구 역할로서 수직구(vertical shaft) 시공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직구는 지상에서 수직방향의 굴착공을 굴착하고, 굴착공 저면에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면을 성형한 후, 굴착공의 바닥면에서부터 굴착공의 내주면을 따라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을 반복하여 수직벽체를 형성하는 순서로 시공된다.
수직구의 수직벽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과거에는 수직벽체의 형성위치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거푸집을 해체하고 다음 작업위치에 재조립하여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거푸집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최근 들어서는 슬립폼 공법이 많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슬립폼이라 함은 콘크리트 타설 후에 콘크리트가 자립할 수 있는 강도 이상이 되면 거푸집을 상부 방향으로 상승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철근조립, 콘크리트 타설 등을 실시하여 구조물을 완성시키는 공법에 적용되는 거푸집을 말하며, 상기 슬립폼은 일반적으로 상부 작업대, 중간 작업대, 하부 작업대를 포함하여 주변에 배치된 유압잭에 의하여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수직벽체를 시공한다.
상기와 같은 슬립폼 공법은 수직구 내부 벽체가 저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시공될 경우에는 수직구를 매우 빠른 속도로 형성할 수 있지만, 수직구 내부 벽체가 저면에서부터 연속적으로 시공되지 않는 경우, 즉 수직구 하부에는 형성되지 않고 상부에만 형성되는 공중 벽체를 시공할 경우에는 벽체가 수직구의 저면에서부터 연속되지 않으므로 벽체 형성 시작 지점에서 그 상부에 형성되는 벽체를 지지할 가시설물을 반드시 설치해야만 공중 벽체를 시공할 수 있으므로 공중 벽체 시공 시 공중 벽체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7193호(등록일 : 2017.05.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0988호(등록일 : 2019.11.2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13656호(등록일 : 2021.02.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46077호(등록일 : 2020.08.1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구의 공중벽체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슬립폼을 상승시키면서 생성될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를 시공할 시 인접벽체에 구비되는 매입 고정수단; 및 상기 슬립폼의 중간 작업대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슬립폼을 상승시키면서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를 시공할 시에는 상기 슬립폼과 함께 상승되다가 생성될 공중벽체의 시작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매입 고정수단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중간 작업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슬립폼을 더 상승시키면서 인접벽체와 함께 시공되는 공중벽체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며, 상기 공중벽체의 시공이 완료된 다음에는 상기 매입 고정수단으로부터 분리되어 해체할 수 있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를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매입 고정수단은, 상기 생성될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에 수직방향으로 일부가 매설되는 고정빔 및 상기 고정빔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수단과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부재일 수 있으며, 상기 고정빔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나사 체결됨으로써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수단과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 체결관;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고정빔과 상기 지지수단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매입 고정수단은, 상기 생성될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 형성을 위해 배치되는 철근에 고정되며 나사선이 가공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지지수단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정착철근일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슬립폼의 중간 작업대에 고정수단에 의해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슬립폼을 상승시키면서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를 시공할 시에는 상기 슬립폼과 함께 상승하게 되다가 생성될 공중벽체의 시작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고정수단을 해제시켜 중간 작업대로부터 분리되는 지지빔 및, 상기 지지빔의 양측 끝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빔이 생성될 공중벽체 시작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복수개의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매입 고정수단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공중벽체 하부에 위치한 인접벽체에 밀착 지지되어 상기 지지빔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빔에 연결되는 수직 보강부재 및, 상기 수직 보강부재와 지지빔에 대각선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빔의 하중을 분산시켜 상기 지지빔의 강도를 보강하는 경사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지지빔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벽 받침 마감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빔은 상기 생성될 공중벽체의 폭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되어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립폼 중간 작업대에 지지수단을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지지수단 설치단계와, 상기 지지수단이 설치된 슬립폼을 상승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생성될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를 시공하면서 인접벽체에 매입 고정수단을 설치하는 매입 고정수단 설치단계와, 상기 지지수단을 상기 슬립폼의 중간 작업대로부터 분리시키는 지지수단 분리단계 및, 상기 슬립폼을 상승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매입 고정수단에 결합된 지지수단에 의해 공중벽체의 하부가 지지되도록 공중벽체를 시공하는 공중벽체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한편, 상기 공중벽체 생성단계 이후에는 상기 생성된 공중벽체 하부로 하부 작업대를 하강시켜 상기 하부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에 의해 상기 지지수단을 매입 고정수단으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는 지지수단 해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은 슬립폼을 상승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생성될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를 시공할 시 생성될 공중벽체의 시작 지점에 맞춰 인접벽체에 매입 고정수단을 미리 매설하여 시공한 후, 상기 슬립폼의 중간 작업대에 설치되어 슬립폼과 함께 상승되는 지지수단이 시공될 공중벽체의 시작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지지수단을 인접벽체에 기 매설되어 있는 매입 고정수단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지지수단을 상기 슬립폼의 중간 작업대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슬립폼만 상승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매입 고정수단에 결합된 지지수단에 의해 공중벽체의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공중벽체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을 수직구 내부 벽체 시공에 적용하게 되면 수직구의 저면에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공중벽체의 경우에도 위치 제약 없이 슬립폼을 이용하여 매우 안정적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은 공중벽체의 유무와 생성 위치에 제약 없이 수직구를 설계하고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수직구 설계와 시공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중벽체를 시공해야 하는 수직구 공사기간의 단축은 물론 시공비용까지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A의 상세도
도 4는 도 2의 B의 상세도
도 5는 슬립폼 중간 작업대에 벽체하부 지지장치가 설치된 상태 평면도
도 6은 슬립폼 중간 작업대와 인접벽체에 벽체하부 지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C의 상세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공중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의 상세도이고, 도 4는 도 2의 B의 상세도이며, 도 5는 슬립폼 중간 작업대에 벽체하부 지지장치가 설치된 상태 평면도이고, 도 6은 슬립폼 중간 작업대와 인접벽체에 벽체하부 지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C의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100)는 매입 고정수단(110) 및, 지지수단(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입 고정수단(110)은 슬립폼(200)을 상승시키면서 생성될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310)를 시공할 시 인접벽체(310)에 일부가 매설되거나 상기 인접벽체(310)를 형성하기 위해 배치되는 철근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매입 고정수단(110)은 상기 슬립폼(200)을 상승시키면서 생성될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한 쌍의 인접벽체(310)를 시공할 시 생성될 공중벽체의 시작 지점(L)에 구비되어, 지지수단(120)을 인접벽체(310)에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예를 들면, 상기 매입 고정수단(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벽체(310) 형성을 위해 배치되는 수평철근 또는 수직철근에 고정되는 정착철근(114)일 수 있다. 상기 정착철근(114)의 지지수단(120) 측 단부에는 나사선(114a)이 가공되어 너트(115)에 의해 후술하는 상기 지지수단(120)의 결합판(122)과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매입 고정수단(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빔(111) 및 고정부재(113)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113)와 나선결합되는 고정부재 체결관(112) 및 고정부재(113)의 외주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빔(111)은 상기 생성될 공중벽체의 시작 지점(L)에 맞추어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한 쌍의 인접벽체(301)에 수직방향으로 미리 그 하부가 매설되고, 고정빔(111)의 상부에서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113)에 의해서 상기 지지수단(120)의 결합판(122)에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체결관(112)은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빔(111)에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재(113)가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113)에 의해 상기 지지수단(120)과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체결관(112)은 반드시 외주가 원형인 관의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마련되고 고정빔에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 체결관(112)은 용접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상기 고정빔(111)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13)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고정빔(111)과 지지수단(120)의 결합판(122) 사이에는 스페이서(116)가 개재됨으로써 상기 고정빔(111)과 결합판(122) 사이의 이격거리를 쉽게 조절하고, 고정부재(113)의 외주면에 콘크리트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나중에 고정부재(113)를 쉽게 해체하여 지지수단(120)을 매입 고정수단(11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빔(111)으로는 H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페이서(116)은 PVC 파이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수단(120)은 상기 슬립폼(200)의 중간 작업대(210)에 복수개의 고정수단(123)에 의해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수단(120)은 상기 슬립폼(200)을 상승시키면서 생성될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310)를 시공할 시에는 상기 슬립폼(200)의 중간 작업대(210)와 함께 상승되다가 생성될 공중벽체의 시작 지점(L)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매입 고정수단(110)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중간 작업대(210)로부터 분리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슬립폼(200)을 더 상승시키면서 인접벽체(310)와 함께 공중벽체(320)를 시공하게 되면 상기 지지수단(120)은 슬립폼(200)의 중간 작업대(210)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됨으로써 더 이상 상승되지 않고 상기 공중벽체의 시작 지점(L)에서 시공되는 공중벽체(320)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중벽체(320)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되는 지지수단(120)은 상기 공중벽체(320)의 시공이 완료된 다음에는 상기 공중벽체(320) 하부로 하강된 하부 작업대(220)에 탑승한 작업자에 의해 상기 매입 고정수단(110)으로부터 분리되어 해체된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수단(120)은 지지빔(121) 및, 결합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빔(121)은 상기 슬립폼(200)의 중간 작업대(210)에 고정수단(123)에 의해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슬립폼(200)을 상승시키면서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310)를 시공할 시에는 상기 슬립폼(200)과 함께 상승하게 되다가 생성될 공중벽체의 시작 지점(L)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고정수단(123)을 해제시켜 중간 작업대(210)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빔(121)으로는 H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빔(121)은 생성될 공중벽체의 폭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되어 연결수단(124)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수단(124)은 수직 연결판(124a), 수평 연결판(124b) 및, 복수개의 고정부재(124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결판(124a)은 서로 이웃하는 지지빔(121)의 웹(121a)에 밀착되어 복수개의 고정부재(124c)에 의해 상기 서로 이웃하는 지지빔(121)의 웹(121a)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서로 이웃하는 지지빔(121)의 웹(121a)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평 연결판(124b)은 서로 이웃하는 지지빔(121)의 상, 하부 플랜지(121b)(121c)에 밀착되어 복수개의 고정부재(124c)에 의해 상기 서로 이웃하는 지지빔(121)의 상, 하부 플랜지(121b)(121c)에 결합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지지빔(121)의 상, 하부 플랜지(121b)(121c)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 연결판(124a)과 수평 연결판을(124b) 상기 지지빔(121)에 연결시키는 고정부재(124c)로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판(122)은 상기 지지빔(121)의 양측 끝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빔(121)이 생성될 공중벽체 시작 지점(L)에 도달하게 되면 복수개의 고정부재(113)를 통해 상기 매입 고정수단(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빔(121)을 상기 매입 고정수단(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지지빔(121)의 양측 끝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결합판(122)은 상기 결합판(122)을 관통하여 매입 고정수단(11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120)은 수직 보강부재(125) 및, 경사 보강부재(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보강부재(125)는 상기 공중벽체(320) 하부에 위치한 인접벽체(310)에 밀착 지지되어 상기 지지빔(121)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빔(121)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 보강부재(125)는 상기 지지빔(121)에 용접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경사 보강부재(126)는 상기 수직 보강부재(125)와 지지빔(121)에 대각선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빔(121)의 하중을 분산시켜 상기 지지빔(121)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 보강부재(126)는 상기 수직 보강부재(125)와 지지빔(121)에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지지수단(120)은 벽 받침 마감부재(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 받침 마감부재(127)는 상기 지지빔(121)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벽 받침 마감부재(127)는 목재 또는 철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립폼 중간 작업대(210)에서 벽체하부 지지장치(100)가 설치되지 않은 공간은 수직구(300) 하부에서부터 수직구(300) 외벽과 함께 내부벽체가 형성되는 구간이며, 수직구(300) 하부에서부터 벽체가 형성되지 않고 중간부터 벽체가 형성되는 구간에는 슬립폼의 중간 작업대(210) 사이에 본 발명에 의한 벽체하부 지지장치(100)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100)를 이용하여 수직구 내부에 공중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공중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은 지지수단 설치단계(S110), 매입 고정수단 설치단계(S120), 매입 고정수단 결합단계(S130), 지지수단 분리단계(S140) 및, 공중벽체 생성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 설치단계(S1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립폼(200) 중간 작업대(210)에 지지수단(120)을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지지수단 설치단계(S110)에서 상기 지지수단(120)의 지지빔(121)은 복수개의 고정수단(123)에 의해 상기 슬립폼(200) 중간 작업대(210)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매입 고정수단 설치단계(S1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120)이 설치된 슬립폼(200)을 상승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생성될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310)를 시공하면서 생성될 공중벽체의 시작 지점(L)에 상기 인접벽체(310)에 매입 고정수단(110)의 일부, 즉 상기 매입 고정수단(110)의 하부를 매설하여 설치하거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매입 고정수단(110)을 인접벽체 형성을 위해 배치되는 철근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매입 고정수단 결합단계(S1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립폼(200)이 상승하여 상기 지지수단(120)이 공중벽체 시작 지점(L)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지지수단(120)을 매입 고정수단(110)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매입 고정수단 결합단계(S130)에서 상기 지지수단(120)은 지지빔(121)의 양측 끝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결합판(122)이 매입 고정수단(110)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수단 분리단계(S1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 설치단계(S110)에서 지지수단(120)의 지지빔(121)을 슬립폼(200)의 중간 작업대(210)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시킨 복수개의 고정부재(123)을 해체시킴으로써 상기 지지수단(120)을 상기 슬립폼(200)의 중간 작업대(210)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공중벽체 생성단계(S1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 분리단계(S140)에서 지지수단(120)이 중간 작업대(210)로부터 분리된 슬립폼(200)을 더 상승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매입 고정수단(110)에 결합된 지지수단(120)에 의해 공중벽체(320)의 하부가 지지되도록 공중벽체(320)를 시공하여 공중벽체(320)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공중벽체 생성단계(S150)에서는 상기 슬립폼(200)을 상승시키면서 상기 공중벽체(320)를 생성할 시 상기 공중벽체(320)와 인접하는 인접벽체(310) 또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생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은 상기 공중벽체 생성단계(S150) 이후에 지지수단 해체단계(S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 해체단계(S16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슬립폼(200)을 상승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매입 고정수단(110)에 결합된 지지수단(120)에 의해 공중벽체(320)의 하부가 지지되도록 공중벽체(320)를 시공한 이후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중벽체(320) 하부로 슬립폼(200)의 하부 작업대(220)를 하강시켜 상기 하부 작업대(220)에 탑승한 작업자에 의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120)을 매입 고정수단(110)으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은 슬립폼(200)을 상승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생성될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310)를 시공할 시 생성될 공중벽체의 시작 지점(L)에 인접벽체(310)에 매입 고정수단(110)을 설치하여 시공한 후, 상기 슬립폼(200)의 중간 작업대(210)에 설치되어 슬립폼(200)과 함께 상승되는 지지수단(120)이 시공될 공중벽체의 시작 지점(L)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지지수단(120)을 매입 고정수단에(110)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지지수단(120)을 상기 슬립폼(200)의 중간 작업대(210)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슬립폼(200)만 상승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매입 고정수단(110)에 결합된 지지수단(120)에 의해 공중벽체(320)의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공중벽체(320)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을 수직구 내부 벽체 시공에 적용하게 되면 수직구(300)의 저면에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공중벽체(320)의 경우에도 위치 제약 없이 슬립폼(200)을 이용하여 매우 안정적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은 공중벽체(320)의 유무와 생성 위치에 제약 없이 수직구(300)를 설계하고 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여 수직구(300) 설계와 시공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중벽체(320)를 시공해야 하는 수직구(300) 공사기간의 단축은 물론 시공비용까지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매입 고정수단 (111) : 고정빔
(112) : 고정부재 체결관 (113) : 고정부재
(114) : 정착철근 (116) : 스페이서
(120) : 지지수단 (121) : 지지빔
(122) : 결합판 (123) : 고정수단
(124) : 연결수단 (125) : 수직 보강부재
(126) : 경사 보강부재 (127) : 벽 받침 마감부재
(200) : 슬립폼 (210) : 중간 작업대
(220) : 하부 작업대 (310) : 인접벽체
(320) : 공중벽체

Claims (10)

  1. 슬립폼을 상승시키면서 생성될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를 시공할 시 인접벽체에 구비되는 매입 고정수단; 및
    상기 슬립폼의 중간 작업대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슬립폼을 상승시키면서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를 시공할 시에는 상기 슬립폼과 함께 상승되다가 생성될 공중벽체의 시작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매입 고정수단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중간 작업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슬립폼을 더 상승시키면서 인접벽체와 함께 시공되는 공중벽체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며, 상기 공중벽체의 시공이 완료된 다음에는 상기 매입 고정수단으로부터 분리되어 해체할 수 있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슬립폼의 중간 작업대에 고정수단에 의해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슬립폼을 상승시키면서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를 시공할 시에는 상기 슬립폼과 함께 상승하게 되다가 생성될 공중벽체의 시작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고정수단을 해체시켜 중간 작업대로부터 분리되는 지지빔; 및 상기 지지빔의 양측 끝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빔이 생성될 공중벽체 시작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복수개의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매입 고정수단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판을 포함하는,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입 고정수단은,
    상기 생성될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에 수직방향으로 일부가 매설되는 고정빔;
    및 상기 고정빔(111)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수단과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부재(1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빔에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나사 체결됨으로써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수단과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 체결관;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고정빔과 상기 지지수단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입 고정수단은,
    상기 생성될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 형성을 위해 배치되는 철근에 고정되며 나사선이 가공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지지수단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정착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공중벽체 하부에 위치한 인접벽체에 밀착 지지되어 상기 지지빔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빔에 연결되는 수직 보강부재; 및
    상기 수직 보강부재와 지지빔에 대각선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빔의 하중을 분산시켜 상기 지지빔의 강도를 보강하는 경사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지지빔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벽 받침 마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은,
    상기 생성될 공중벽체의 폭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되어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
  9. 슬립폼 중간 작업대에 지지수단을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지지수단 설치단계;
    상기 지지수단이 설치된 슬립폼을 상승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생성될 공중벽체와 인접하는 인접벽체를 시공하면서 인접벽체에 매입 고정수단을 설치하는 매입 고정수단 설치단계;
    상기 슬립폼이 상승하여 지지수단이 공중벽체 시작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지지수단을 매입 고정수단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매입 고정수단 결합단계;
    상기 지지수단을 상기 슬립폼의 중간 작업대로부터 분리시키는 지지수단 분리단계; 및
    상기 슬립폼을 상승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매입 고정수단에 결합된 지지수단에 의해 공중벽체의 하부가 지지되도록 공중벽체를 시공하는 공중벽체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벽체 생성단계 이후에는,
    상기 생성된 공중벽체 하부로 하부 작업대를 하강시켜 상기 하부 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에 의해 상기 지지수단을 매입 고정수단으로부터 분리하여 해체하는 지지수단 해체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하부 지지장치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
KR1020210050170A 2021-04-17 2021-04-17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 KR102293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170A KR102293968B1 (ko) 2021-04-17 2021-04-17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170A KR102293968B1 (ko) 2021-04-17 2021-04-17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968B1 true KR102293968B1 (ko) 2021-08-26

Family

ID=77465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170A KR102293968B1 (ko) 2021-04-17 2021-04-17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96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3382A (ja) * 2000-01-14 2001-07-17 Kawatetsu Kizai Kogyo Co Ltd 壁厚の変化を有する竪坑の構築方法
KR20090047575A (ko) * 2007-11-08 2009-05-13 주식회사 형주엔지니어링 지중 수직터널 구조물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지중수직터널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60000702A (ko) * 2014-06-25 2016-01-05 (주)바로건설기술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에 사용되는 체결부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브라켓의 설치구조와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지하구조물 구축구조와 방법
KR101737193B1 (ko) 2015-01-02 2017-05-18 고엄식 수직터널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50988B1 (ko) 2019-05-02 2019-12-02 (주) 피디티건설 슬립폼을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KR102146077B1 (ko) 2020-04-23 2020-08-19 주식회사 네오시티 최상단 슬래브에 개구부를 구비한 수직구 시공방법
KR20200144240A (ko) * 2019-06-18 2020-12-29 삼우엠텍(주) 매립형앵커구조 및 시공방법
KR102213656B1 (ko) 2020-11-27 2021-02-08 주식회사 네오시티 가변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변단면 수직구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3382A (ja) * 2000-01-14 2001-07-17 Kawatetsu Kizai Kogyo Co Ltd 壁厚の変化を有する竪坑の構築方法
KR20090047575A (ko) * 2007-11-08 2009-05-13 주식회사 형주엔지니어링 지중 수직터널 구조물용 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지중수직터널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60000702A (ko) * 2014-06-25 2016-01-05 (주)바로건설기술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에 사용되는 체결부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브라켓의 설치구조와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지하구조물 구축구조와 방법
KR101737193B1 (ko) 2015-01-02 2017-05-18 고엄식 수직터널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50988B1 (ko) 2019-05-02 2019-12-02 (주) 피디티건설 슬립폼을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KR20200144240A (ko) * 2019-06-18 2020-12-29 삼우엠텍(주) 매립형앵커구조 및 시공방법
KR102146077B1 (ko) 2020-04-23 2020-08-19 주식회사 네오시티 최상단 슬래브에 개구부를 구비한 수직구 시공방법
KR102213656B1 (ko) 2020-11-27 2021-02-08 주식회사 네오시티 가변슬립폼 및 이를 이용한 변단면 수직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821B1 (ko) 조립식 거푸집 구조 및 배수로 시공방법
KR20120096605A (ko)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41942B1 (ko)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을 위한 일체형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방법
KR102293968B1 (ko) 공중벽체 시공용 벽체 하부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중벽체 시공방법
CN105780922A (zh) 大跨度型钢混凝土转换桁架分段吊装支模体系施工方法
KR100814442B1 (ko) 무량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무량 슬래브 시공방법
JP6448683B2 (ja) スラブ支持装置及び建物の解体方法
KR100529517B1 (ko) 변위측정장치가 설치된 교량상부구조물 하중분산지지인상브라켓을 이용한 교량상부구조물 균등인상방법
KR20220063797A (ko) 인장 응력이 적용된 h형강을 이용한 지하옹벽 철거 공법
JP2018003559A (ja) 柱梁架構改修方法及び改修柱梁架構
JP7072483B2 (ja) 躯体構築方法
EP1561874A1 (en) Connecting device and node for buildings with prefabricated elements
KR101414155B1 (ko) 선반을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흙막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60361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unit
JP2006299660A (ja) 仮受け工法及び仮受け構造体
CN213597442U (zh) 一种电梯井模板悬挑操作平台
KR102214872B1 (ko)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60692B1 (ko) 도로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시공장치를 이용한 도로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 시공방법
KR101367227B1 (ko) 송전철탑 심형기초 시공용 라이너 플레이트 설치 및 탈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송전철탑 심형기초 공법
JP5345238B1 (ja) 免震基礎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免震基礎構造物
KR101101182B1 (ko) 지하구조물의 역타공법
KR100617395B1 (ko) 기둥 인상을 통한 건물보수시스템
JP5437876B2 (ja)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工程における支持部材の解体撤去方法
KR100296450B1 (ko) 철근콘크리트 엘엔지탱크의 구축공법
KR101258330B1 (ko) 철골 보 가설 지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